KR20190036642A - 조명등 - Google Patents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642A
KR20190036642A KR1020170125786A KR20170125786A KR20190036642A KR 20190036642 A KR20190036642 A KR 20190036642A KR 1020170125786 A KR1020170125786 A KR 1020170125786A KR 20170125786 A KR20170125786 A KR 20170125786A KR 20190036642 A KR20190036642 A KR 20190036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ght source
leds
ligh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희
Original Assignee
김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희 filed Critical 김종희
Priority to KR1020170125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6642A/ko
Publication of KR20190036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내측과 함께 외측이 밝게 조명될 수 있도록 하여 조명등의 가장자리가 어둡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내,외측에 대한 조명이 분리되어 이루어지면서 내,외측 중 적어도 한 곳에서의 조명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밝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양한 형태로의 조명효과를 통해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등{LIGHTING}
본 발명은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내측과 함께 외측이 밝게 조명될 수 있도록 하여 조명등의 가장자리가 어둡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내,외측에 대한 조명이 분리되어 이루어지면서 내,외측 중 적어도 한 곳에서의 조명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밝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양한 형태로의 조명효과를 통해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실 등의 천장에는 내부를 조명하기 위해 조명등이 설치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78037호(2013.06.24.)에는 '천장형 LED 등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천장형 LED 등기구는 외측을 밝게 조명할 수 없기 때문에 가장자리게 어둡게 되는 것은 물론, 다양한 형태로의 연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78037호(2013.06.24.) '천장형 LED 등기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의 내측과 함께 외측이 밝게 조명될 수 있도록 하여 조명등의 가장자리가 어둡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내,외측에 대한 조명이 분리되어 이루어지면서 내,외측 중 적어도 한 곳에서의 조명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밝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양한 형태로의 조명효과를 통해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엘이디(21)를 구비하는 내부광원부(20); 및 상기 내부광원부(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다수의 엘이디(31)를 구바하는 외부광원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다수의 엘이디(21,31)가 배치되는 플레이트(11); 상기 내부광원부(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1)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벽(12); 및 상기 외부광원부(3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내측벽(12)과의 사이로 상기 내부광원부(20)가 수용되는 공간부(14)를 형성하는 외측벽(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외부광원부(20,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40)는, 제어에 따라 상기 엘이디(21,31)가 소등되도록 하거나, 상기 엘이디(21,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엘이디가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엘이디(21,31)의 빛이 간접조명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커버(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버(50)는, 상기 엘이디(21)의 빛이 간접조명되도록 하는 내부커버(51); 및 상기 엘이디(31)의 빛이 간접조명되도록 하는 외부커버(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의 내측과 함께 외측이 밝게 조명될 수 있음으로써 조명등의 가장자리가 어둡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외측에 대한 조명이 분리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다양한 형태로의 조명효과를 통해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에서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외부광원부가 점등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내부광원부가 점등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에서 냉,외부광원부가 함께 점등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은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내부광원부(20) 및 상기 내부광원부(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외부광원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실내 천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플레이트(11), 상기 내부광원부(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1)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벽(12) 및 상기 외부광원부(3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내측벽(12)과의 사이로 상기 내부광원부(20)가 수용되는 공간부(14)를 형성하는 외측벽(13)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11)는 원형이나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안정기(미도시) 등이 구비되면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이 상기 내,외부광원부(20,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안정기 등은 상기 플레이트(1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외측벽(12,13)은 상기 플레이트(11)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간부(14)는 하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내부광원부(20)는 다수의 엘이디(21)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12)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1)에 배치된다.
상기 외부광원부(30)는 다수의 엘이디(31)를 포함하며, 공간부(14)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1)에 배치된다.
상기 엘이디(21,31)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 배치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엘이디(21,31)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엘이디(21,31)는 상기 조명등(1)이 설치되는 장소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조명되면서 미려함이 부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1)은 상기 내,외부광원부(20,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내,외부광원부(20,30)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차단하면서 상기 엘이디(21,31)가 점,소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는 상황에 따라 상기 엘이디(21)가 점등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이 조명되도록 하거나 상기 엘이디(31)가 점등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이 조명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엘이디(21,31)가 동시에 점등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의 내,외측이 함께 조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이디(21)가 점등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0)의 외측만이 조명되면서 실내를 은은하게 조명하는 것은 물론, 링 형태를 이루므로 미려함이 부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이디(31)가 점등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이 조명되면서 실내를 밝게 조명하는 것은 물론, 외측과의 명암 차이로 인한 미려함이 부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이디(21,31)가 함께 점등되는 경우, 실내를 밝게 조명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내측벽(12)에 의해 상기 엘이디(21,31) 간이 나뉘며 띠가 형성되면서 미려함이 부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1)은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커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50)는 상기 엘이디(21,31)의 빛이 간접조명 되도록 하며, 상기 엘이디(21)의 빛이 간접조명되도록 하는 내부커버(51) 및 상기 엘이디(31)의 빛이 간접조명되도록 하는 외부커버(52)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커버(51)는 개방된 상기 내측벽(12)의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엘이디(21)의 빛이 간접조명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커버(52)는 상기 내,외측벽(12,13)의 하부 즉, 상기 공간부(14)를 이루는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엘이디(31)의 빛이 간접조명되도록 한다.
상기 내,외부커버(51,52)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에 의해 상기 본체부(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외측벽(11,12)은 상기 내,외부커버(51,52)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외부커버(51,52)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엘이디(21,31)에서 발생되는 빛이 다르게 조명되면서 미려함이 부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외커버(51,52)는 투과원단으로 이루어지면서 개방된 상기 내측커버의 하부 및 개방된 상기 내,외측벽(12,13)의 하부를 차단할 수 있다.
투과원단은 상기 엘이디(21,31)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연질의 PVC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조명부(1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측과 함께 외측이 밝게 조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등의 가장자리가 어둡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내,외측에 대한 조명이 분리되어 이루어지면서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밝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양한 형태로의 조명효과를 통해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조명등 10 : 본체부
11 : 플레이트 12 : 내측벽
13 : 외측벽 14 : 공간부
20 : 내부광원부 30 : 외부광원부
40 : 제어부 50 : 커버
51 : 내부커버 52 : 외부커버

Claims (5)

  1.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엘이디(21)를 구비하는 내부광원부(20); 및
    상기 내부광원부(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다수의 엘이디(31)를 구바하는 외부광원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다수의 엘이디(21,31)가 배치되는 플레이트(11);
    상기 내부광원부(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1)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벽(12); 및
    상기 외부광원부(3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내측벽(12)과의 사이로 상기 내부광원부(20)가 수용되는 공간부(14)를 형성하는 외측벽(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광원부(20,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40)는,
    제어에 따라 상기 엘이디(21,31)가 소등되도록 하거나, 상기 엘이디(21,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엘이디가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21,31)의 빛이 간접조명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커버(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0)는,
    상기 엘이디(21)의 빛이 간접조명되도록 하는 내부커버(51); 및
    상기 엘이디(31)의 빛이 간접조명되도록 하는 외부커버(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KR1020170125786A 2017-09-28 2017-09-28 조명등 KR20190036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786A KR20190036642A (ko) 2017-09-28 2017-09-28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786A KR20190036642A (ko) 2017-09-28 2017-09-28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642A true KR20190036642A (ko) 2019-04-05

Family

ID=6610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786A KR20190036642A (ko) 2017-09-28 2017-09-28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66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037B1 (ko) 2012-12-14 2013-06-24 홍철한 천장형 led 등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037B1 (ko) 2012-12-14 2013-06-24 홍철한 천장형 led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05439A (ja) 照明器具
JP2010192228A (ja) 照明装置
JP2017519344A (ja) Ledを用いた間接照明装置
KR20190079260A (ko) 컬러led를 이용한 공간감성조명기구
KR100697181B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0412764Y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190036642A (ko) 조명등
KR200385055Y1 (ko) 엘이디에 의한 보조발광부를 갖는 조명등
KR200471698Y1 (ko) 천장 직접조명용 전등갓을 구비한 천장직착등 구조
JP4491327B2 (ja) 照明器具
JP2006125065A (ja) Led照明ドア
KR101459273B1 (ko) 돌출형 확산커버를 이용한 매립형 다운라이트
JP6327611B2 (ja) 照明器具
KR101783173B1 (ko) 등커버의 윤곽선을 따라 다른 색상의 조명빛이 조사되는 엘이디 등기구
KR20170086429A (ko) 엘이디 등기구
KR200379815Y1 (ko) 방폭형 피난구 유도등 구조
JP2001297887A (ja) 演出照明装置
DE50309867D1 (de) Anbauleuchte
KR20190070561A (ko) 고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960003168Y1 (ko) 조명기구
KR102033302B1 (ko) Led 고효율 구조를 갖는 조명 장치
CN206459143U (zh) 一种具有多种发光效果的led天花灯
KR200285385Y1 (ko) 조명장치가 내장된 액자
KR200312419Y1 (ko) 조명등 겸용 피난구유도등
JP3107465U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