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938A -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 - Google Patents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938A
KR20190035938A KR1020197008553A KR20197008553A KR20190035938A KR 20190035938 A KR20190035938 A KR 20190035938A KR 1020197008553 A KR1020197008553 A KR 1020197008553A KR 20197008553 A KR20197008553 A KR 20197008553A KR 20190035938 A KR20190035938 A KR 20190035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operation mode
finger
sliding
prob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안 팡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를 개시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모드는 왼손 조작 모드와 오른손 조작 모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추가 비용 없이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METHOD FOR IDENTIFYING USER OPERATION MODE ON HANDHELD DEVICE AND HANDHELD DEVICE}
본 발명은 인간-기계 상호작용(man-machine interaction)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에 관한 것이다.
실생활에서, 사용자가 예컨대 버스를 타고 있을 때나 식사를 할 때와 같은 경우는 한 손으로 핸드헨드형 기기를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핸드헬드형 기기, 예를 들어, 이동 전화의 화면은, 현재 시장에서 점점 커지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부적절하게 설계되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이동 전화를 조작하기가 비교적 어렵다. 이 경우에, 많은 애플리케이션은, 예컨대 왼손 조작 모드 또는 오른손 조작 모드와 같은, 사용자 조작 모드가 수동으로 설정되고, 그 후 UE의 표시 모드가 설정된 조작 모드에 따라 결정될 것을 요구한다.
종래기술에서, 사용자 조작 모드를 획득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한 가지 방식은 수동 설정이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한 손 조작 모드, 즉, 왼손 조작 모드와 오른손 조작 모드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전에 조작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한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버스 안에 서있고 핸드헬드형 기기를 손에 쥐기 위해 왼손과 오른손 사이를 자주 바꿔야 할 때, 이 경우, 수동 설정 방식은 명백하게 불편하다. 다른 방식은 사용자 조작 모드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것이다. 사용자 조작 모드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방식은 두 가지 있으며, 한 가지 방식은 이동 전화 내부의 센서를 이용하여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식은 화면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경사를 계산하여 왼손 조작 모드 또는 오른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것이다.
하지만, 장기간의 연구 개발에서, 본 출원에서, 조작 모드를 센서만 이용하여 식별하면,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판정의 정확도(accuracy)가 센서의 감도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았으며; 화면 상의 사용자 슬라이딩 경사를 계산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판정의 정확도가 낮고, 개개의 사용자의 차이의 영향이 크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는 주요 기술 문제는, 추가 비용 없이,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식을 풍부하게 할 수 있고 식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 상기 조작 모드는 왼손 조작 모드와 오른손 조작 모드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상기 슬라이딩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설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의 가중치를 w1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이면,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이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의 가중치를 w0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상기 화면의 오른쪽 영역에 속하면,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상기 화면의 왼쪽 영역에 속하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4, 제5, 및 제6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가중치 w0, w1, w2, 및 w3은 상기 화면의 크기와, 상기 화면 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길이 및 형상에 따라 설정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6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8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화면 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동작은 상기 화면의 잠금 해제 동작이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6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9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에 따라 상기 핸드헬드형 기기의 조작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핸드헬드형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핸드헬드형 기기는 검출 모듈, 획득 모듈 및 식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모듈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검출 모듈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식별 모듈은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 모드는 왼손 조작 모드와 오른손 조작 모드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상기 슬라이딩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식별 모듈은 제1 판단 유닛 및 제1 식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단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식별 유닛은, 상기 제1 판단 유닛에 의한 판정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진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판단 유닛에 의한 판정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진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식별 모듈은 제2 판단 유닛 및 제2 식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단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식별 유닛은, 상기 제1 판단 유닛에 의한 판정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진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식별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2 판단 유닛에 의한 판정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진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식별 모듈은 제1 설정 유닛, 제1 결정 유닛, 제1 비교 유닛, 및 제3 식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정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설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추가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비교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식별 유닛은, 상기 제1 비교 유닛에 의한 비교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비교 유닛에 의한 비교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 모듈은 제2 설정 유닛, 제2 결정 유닛, 제2 비교 유닛, 및 제4 식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설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의 가중치를 w1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추가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추가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비교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식별 유닛은, 상기 제2 비교 유닛에 의한 비교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비교 유닛에 의해 비교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 모듈은 제3 설정 유닛, 제3 결정 유닛, 제3 비교 유닛, 및 제5 식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설정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의 가중치를 w0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상기 화면의 오른쪽 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상기 화면의 왼쪽 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추가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추가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비교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5 식별 유닛은, 상기 제3 비교 유닛에 의한 비교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제3 비교 유닛에 의한 비교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의 제4, 제5, 및 제6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가중치 w0, w1, w2, 및 w3은 상기 화면의 크기와, 상기 화면 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길이 및 형상에 따라 설정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6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8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화면 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동작은 상기 화면의 잠금 해제 동작이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6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9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에 따라 상기 핸드헬드형 기기의 조작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스위칭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에서의 상황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식별하며, 조작 모드는 왼손 조작 모드와 오른손 조작 모드를 포함한다. 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추가 비용 없이,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식을 풍부하게 할 수 있고 식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의 구현 방식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의 다른 구현 방식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의 또 다른 구현 방식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의 또 다른 구현 방식의 흐름도이다.
도 6은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에서의 사용자의 오른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원리도이다.
도 7은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에서의 사용자의 왼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원리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의 또 다른 구현 방식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의 또 다른 구현 방식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에서의 잠금 해제를 위한 슬랑이딩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에서의 잠금 해제를 위한 슬랑이딩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에서의 잠금 해제를 위한 슬랑이딩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의 또 다른 구현 방식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구현 방식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다른 구현 방식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또 다른 구현 방식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또 다른 구현 방식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또 다른 구현 방식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또 다른 구현 방식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또 다른 구현 방식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구현 방식의 개략적인 엔티티 구성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및 하드웨어 환경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실생활에서, 사용자가 예컨대 버스를 타고 있을 때나 식사를 할 때와 같은 경우에는 한 손으로 핸드헨드형 기기를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핸드헬드형 기기, 예를 들어, 이동 전화의 화면은, 현재 시장에서 점점 커지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부적절하게 설계되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이동 전화를 조작하기는 비교적 어렵다. 이 경우에, 많은 애플리케이션은, 핸드헬드형 기기가 한 손으로 조작될 때 사용자의 조작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UE의 표시 모드를 필요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 방식에서 제공되는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에 적용되는 핸드헬드형 기기의 논리 구성을 소개하기 위한 예로 사용된다. 핸드헬드형 기기는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하드웨어 계층은 CPU, GPU, 등을 포함하고, 당연히, 저장장치, 입력/출력 기기, 메모리, 메모리 컨트롤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기기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기기는, 예컨대 LCD, CRT, 홀로그래픽 이미징(Holographic), 또는 프로젝터(Projector)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체제(안드로이드 등)과 몇몇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계층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커널 라이브러리(kernel library)는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이며, 입력/출력 서비스, 커널 서비스, 그래픽 기기 인터페이스, CPU 및 GPU 그래픽 처리를 구현하는 그래픽 엔진(Graphics Engine) 등을 포함한다. 또, 핸드헬드형 기기는 드라이버 계층(driver layer), 프레임워크 계층(framework layer)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을 더 포함한다. 드라이버 계층은 CPU 드라이버, GPU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드라이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 계층은 시스템 서비스(System service), 웹 서비스(Web Service), 고객 서비스(Customer Ser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데스크톱(launch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브라우저(Browser)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의 구현 방식의 흐름도이며,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01: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102: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며, 조작 모드는 왼손 조작 모드와 오른손 조작 모드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을 슬라이딩할 때, 대량의 슬라이딩 정보가 생성되고,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오직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식별될 수 있다. 조작 모드는 왼손 조작 모드와 오른손 조작 모드를 포함하고, 왼손 조작 모드는 핸드헬드형 기기를 왼손으로 조작하는 모드이고, 오른손 조작 모드는 핸드헬드형 기기를 오른손으로 조작하는 모드이다. 즉, 왼손 모드는, 사용자가 핸드헬드형 기기를 왼손으로 조작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오른손 모드는 핸드헬드형 기기기를 오른손으로 조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슬라이딩 정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자연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정보가 포착되거나 수집되는 한, 다른 센서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슬라이딩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핸드헬드형 기기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생성되는 슬라이딩 정보는 일반적으로 대량의 관련 슬라이딩 정보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정보의 종합적인 고려는 식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이 구현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식별한다. 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핸드헬드형 기기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할 때 식별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의 다른 구현 방식의 흐름도이다.
단계 S201: 사용자의 손가락이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획득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은 계속 변화하고,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 또한 계속 변화한다.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이 획득되거나, 또는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이 획득되거나, 또는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이 획득이 획득된다.
단계 S202: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한다.
왼 손가락과 오른 손가락이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관점에서 왼손과 오른손 사이의 변화 법칙은 다르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왼 손가락과 오른 손가락이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식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202는 단계 S202a 및 단계 S202b를 포함할 수 있거나, 단계 S202는 단계 S202c 및 단계 S202d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단계 S202는 단계 S202e, 단계 S202f, 단계 S202g, 단계 S202h, 및 단계 S202i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2a: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한다.
S202b: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가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이면, 단계 S202는 단계 S202c 및 단계 S202d를 포함한다.
단계 S202c: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한다.
단계 S202d: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둘 다를 포함하면, 단계 S202는 단계 S202e, 단계 S202f, 단계 S202g, 단계 S202h, 및 단계 S202i를 포함한다.
단계 S202e: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설정하고,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한다.
단계 S201과 단계 S202e 사이에 명백한 순서는 없다.
단계 S202f: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S202g: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S202f와 단계 S202g 사이에 순서는 없다.
단계 S202h: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한다.
단계 S202i: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으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한다.
기기를 오른쪽 한 손으로 쥐고 있을 때(즉, 오른손 조작 모드), 및 엄지를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은 엄지가 원단(remote end)의 직선 상태(straight state)에서 만곡 상태(bent state)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진다. 즉, 엄지가 직선 상태에 있는 경향이 많을수록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은 더 크고; 손가락이 만곡 상태에 있는 경향이 많을수록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은 더 작다. 원리는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부호 11은 오른손으로 기기를 쥔 위치이고; 도면부호 12는 직선 상태의 오른손의 엄지와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고, 도면부호 13은 만곡 상태의 오른손의 엄지와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다. 정상적인 환경에서, 사용자가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손가락의 힘 F는 거의 일정하다(즉, 화면 상의 손가의이 터치력(touch force)과 손가락의 슬라이딩력(sliding force) 사이에서). 그러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마찰력 F'는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와 함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진다. 가속도에 대한 물리 공식 (F-F')=ma에 따라,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m은 손가락의 질량이다.
마찬가지로, 기기를 왼쪽 한 손으로 쥐고 있을 때(즉, 왼손 조작 모드), 및 엄지를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은 엄지가 원단의 직선 상태에서 만곡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점차 작아진다(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진다). 원리는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부호 21은 왼손으로 기기를 쥔 위치이고; 도면부호 22는 직선 상태의 왼손의 엄지와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고, 도면부호 23은 만곡 상태의 왼손의 엄지와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다. 가속도에 대한 물리 공식 (F-F')=ma에 따라,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m은 손가락의 질량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오른손 조작 모드로 식별된다.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자 커지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왼손 조작 모드로 식별된다.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 및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둘 다를 포함하면, 이 둘의 가중치가 개별적으로 미리 설정된다.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그 후,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식별된다.
물론,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식별되는 단계 S202에서의 방식은, 다른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의 슬라이딩 과정 중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환 상황과,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이 전술한 법칙에 매칭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다른 법칙이 획득된 후에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구현 방식에 따르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획득되고,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식별된다. 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추가 비용 없이, 사용자가 기기를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쥐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방식을 풍부하게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 조작 모드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둘 다에 따라 식별되는 경우 식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잠금 해제를 위해 슬라이딩할 때,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사용자에 의한 잠금 해제(예를 들어, 슬라이딩 블록 잠금 해제 또는 패턴 잠금 해제)를 위한 슬라이딩 과정 중에 획득되고, 또한 사용자의 조작 모드, 즉 사용자가 왼손 조작 모드 상태인지 오른손 조작 모드 상태인지가 사용자의 손가락이 잠금 해제를 위해 슬라이딩할 때 생성되는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식별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사용자가 잠금 해제 조작을 구현한 후에 식별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다음 조작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의 조작 모드에 매칭되는 형식(예를 들어, 왼손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형식 또는 오른손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형식)으로 즉시 전환될 수 있고, 이는 사용자 경험을 더욱 향상시킨.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의 두 가지 구현 방식의 흐름도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계 S301: 사용자의 손가락이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다.
단계 S302: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및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을 획득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을 획득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 내용을 포함한다:
A. 슬라이딩 궤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의 획득하는 것;
B. 슬라이딩 궤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끝 위치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시작 위치의 오른쪽에 있으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 및
C. 슬라이딩 궤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끝 위치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시작 위치의 왼쪽에 있으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왼쪽으로 슬라이딩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
사용자가 한 손으로 기기를 쥐고 있으면, 슬라이딩 궤적에서의 손가락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는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고, 손가락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어느 쪽 손이 기기를 쥐고 있는지를 대략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S303: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의 가중치를 w1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한다.
단계 S304: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이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이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S305: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S306: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S304, 단계 S305, 및 단계 S306 사이에 순서는 없다.
단계 S307: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한다.
단계 S308: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으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구현 방식에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및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단계 S401: 사용자의 손가락이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다.
단계 S402: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및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을 획득한다.
단계 S403: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의 가중치를 w0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한다.
단계 S404: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화면의 오른쪽 영역에 속하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화면의 왼쪽 영역에 속하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기기를 쥘 때, 손가락의 활동 범위는 제한된다. 슬라이딩 과정 중에 지나간 화소는 기본적으로 한 영역에 집중되고, 슬라이딩 과정 중에 지나간 화소는 기본적으로 기기를 수고 있는 손에 가까운 영역에 집중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에 따라, 기기를 쥐고 있는 사용자 손을 대략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405: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S406: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S404, 단계 S405, 및 단계 S406 사이에 순서는 없다.
단계 S407: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한다.
단계 S408: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으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4개의 파라미터가 획득될 수 있다: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 및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실제 애플리케이션 상황에 따르면, 4개의 파라미터 중 일부 파라미터가 기기를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쥐고 있을 확률을 종합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획득될 수 있고, 획득되는 파라미터가 많을수록 식별의 정확도가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술한 구현 방식에서는, 4개의 파라미터 중 일부 조합을 선택하며, 다른 조합은 역시에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구현 방식에서, 화면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동작은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이다. 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 없는 경우에 기기를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쥐고 있는지를 신속하고 더욱 정확하게 식별한다. 또한 식별 결과는 잠금 해제 후의 전체 잠금 해제된 기간에 적용된다.
또, 전술한 구현 방식의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4개의 파라미터가 모두 획득되면,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의 가중치가 w0로 설정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의 가중치가 w1로 설정되고;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가 w2로 설정되고;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가 w3으로 설정된다.
두 번째, 4개의 파라미터(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 및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가 획득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화면의 오른쪽 영역에 속하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화면의 왼쪽 영역에 속하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이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이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세 번째,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한다.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으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된다.
예를 들어,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w0+w2+w3이고,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w1이고, w0+w2+w3과 w1이 비교되며; w0+w2+w3이 w1보다 크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된다.
가중치 w0, w1, w2, 및 w3은 화면의 크기 및 화면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길이 및 형상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의 화면이 비교적 크고 사용자가 이동 전화를 한 손으로 쥐는 경우, 엄지가 반대쪽의 베젤 위치에 닿는 것(즉, 왼손이 오른쪽 베젤에 닿고, 오른손이 왼쪽 베젤에 닿는 것)은 꽤 어렵다. 수평 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딩하여 잠금 해제하는 방법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 상에서 가로 방향으로 원을 그림으로써 잠금 해제를 위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이 명백이 더 효과적이며. 이 경우에, 가중치 w0가 증가되어야 한다. 이 경우, 가중치는 w0>w2>w1>w3일 수 있다.
화면이 중간 크기인 경우(즉, 양손의 엄지가 양쪽의 베젤에 닿을 수 있음),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잠금 해제 방식이 설계되고, 가중치들은 w2>w1>w3>w0로 조정되어야 한다. 도 11에서 잠금 해제 패턴의 양단은 완전히 대칭이기 때문에, 슬라이딩 과정에서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의 가중치 w0은 완전히 무시되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즉, 가중치 w0은 0이다).
따라서, 전술한 4개의 파라미터가 모두가 동시에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4개의 파라미터 중 일부 파라미터만이 화면의 크기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슬라이딩 형상의 설계에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화면이 더 큰 이동전화 또는 태블릿 컴퓨터에 대해, 잠금 해제 방법이 설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가 설계되는 경우, 잠금 해제를 위한 슬라이딩 영역은 아래쪽의 두 모서리, 즉 왼쪽 아래 모서리와 오른쪽 아래 모서리에 설계될 수 있으며, 한 손의 엄지는 반대쪽 상의 영역에 닿지 못할 수 있다. 이런 비교적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슬라이딩 중에 화면 상의 손가락이 있는 영역의 가중치 w0만을 결정 근거로 사용하여 정확한 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구현 방식에 따르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획득되고,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식별된다. 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추가 비용 없이,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식을 풍부하게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 조작 모드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둘 다에 따라 식별되는 경우, 식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식별의 정확도는 슬라이딩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한 영역 및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의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동작은 화면의 잠금 해제 동작이며, 사용자의 추가 동작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기기를 쥐고 있는 모드를 신속하고 더욱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식별 결과는 잠금 해제 후의 전체 잠금 해제된 기간에 적용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의 또 다른 구현 방식의 흐름도이다.
단계 S501: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획득한다.
단계 S502: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한다.
단계 S503: 사용자의 조작 모드에 따라 핸드헬드형 기기의 조작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한다.
기기를 쥐고 있을 확률이 높은 손이 기기를 쥐는 손으로 결정된다. 결정 결과를 획득한 후, 조작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드는 자동으로 스위칭되며, 조작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드는 왼손 표시 모드와 오른손 표시 모드를 포함한다. 왼손 표시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작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화면의 약간 왼쪽 영역에 표시된다. 즉, 왼손 표시 모드는 왼손 조작 모드와 매칭되고, 오른손 표시 모드는 오른손 조작 모드와 매칭된다. 또, 화면 상의 사용자의 슬라이딩 동작이 잠금 해제 동작이면, 스위칭된 표시 모드가 잠금 해제 후의 전체 잠금 해제된 기간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이 구현 방식에 따르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획득되고,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식별되며; 조작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의 조작 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모드에 매칭되는 표시 모드로 자동 스위칭된다. 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추가 비용 없이,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식을 풍부하게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둘 다에 따라 식별되는 경우, 식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조작 모드의 조작 인터페이스는 더욱 정확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구현 방식의 개략 구성도이며, 핸드헬드형 기기(10)는 검출 모듈(101), 획득 모듈(102), 및 식별 모듈(103)을 포함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이 구현 방식에서의 핸드헬드형 기기는 도 2에서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검출 모듈(101)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102)은, 검출 모듈(101)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식별 모듈(103)은 획득 모듈(102)에 의해 획득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도록 구성되고, 조작 모드는 왼손 조작 모드와 오른손 조작 모드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대량의 슬라이딩 정보가 생성되고,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오직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식별될 수 있다. 조작 모드는 왼손 조작 모드와 오른손 조작 모드를 포함하고, 왼손 조작 모드는 핸드헬드형 기기를 왼손으로 조작하는 모드이고, 오른손 조작 모드는 핸드헬드형 기기를 오른손으로 조작하는 모드이다.
슬라이딩 정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자연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정보가 포착되거나 수집되는 한, 다른 센서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슬라이딩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핸드헬드형 기기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 슬라이딩 과정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생성되는 슬라이딩 정보는 일반적으로 대량의 관련 슬라이딩 정보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정보의 종합적인 고려는 식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이 구현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가 획득되고;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식별된다. 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핸드헬드형 기기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 조작 모드가 식별되는 경우 식별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도 19를 참조하면, 도 15∼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다섯 가지 구현 방식의 개략 구성도이며, 핸드헬드형 기기(20)는 검출 모듈(201), 획득 모듈(202), 및 식별 모듈(203)을 포함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이 구현 방식에서의 핸드헬드형 기기는 도 3, 도 4, 도 5, 도 8, 및 도 9에서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검출 모듈(201)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202)은, 검출 모듈(201)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식별 모듈(203)은 획득 모듈(202)에 의해 획득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도록 구성되고, 조작 모드는 왼손 조작 모드와 오른손 조작 모드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은 계속 변화하고,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 또한 계속 변화한다.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이 획득되거나, 또는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이 획득되거나, 또는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이 획득이 획득된다.
식별 모듈(203)은 구체적으로, 획득 모듈(202)에 의해 획득되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왼 손가락과 오른 손가락이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관점에서 왼손과 오른손 사이의 변화 법칙은 다르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식별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이면, 식별 모듈(203)은 제1 판단 유닛(2031) 및 제1 식별 유닛(2032)을 포함한다.
제1 판단 유닛(2031)은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식별 유닛(2032)은, 제1 판단 유닛(2031)에 의한 판정 결과가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진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식별 유닛(2032)은 추가로, 제1 판단 유닛(2031)에 의한 판정 결과가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진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가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이면, 식별 모듈(203)은 제2 판단 유닛(2033) 및 제2 식별 유닛(2034)을 포함한다.
제2 판단 유닛(2033)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식별 유닛(2034)은, 제1 판단 유닛(2033)에 의한 판정의 결과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진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제2 식별 유닛(2034)은 추가로, 제2 판단 유닛(2033)에 의한 판정 결과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진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둘 다이면, 식별모듈(203)은 제1 설정 유닛(2035), 제1 결정 유닛(2036), 제1 비교 유닛(2037), 및 제3 식별 유닛(2038)을 포함한다.
제1 설정 유닛(2035)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설정하고,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결정 유닛(2036)은,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결정 유닛(2036)은 추가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비교 유닛(2037)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제3 식별 유닛(2038)은, 제1 비교 유닛(2037)에 의한 비교 결과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제1 비교 유닛(2037)에 의한 비교 결과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 구현 방식에 따르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획득되고,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식별된다. 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추가 비용 없이, 사용자가 기기를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쥐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방식을 풍부하게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 조작 모드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둘 다에 따라 식별되는 경우 식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잠금 해제를 위해 슬라이딩할 때,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사용자에 의한 잠금 해제(예를 들어, 슬라이딩 블록 잠금 해제 또는 패턴 잠금 해제)를 위한 슬라이딩 과정 중에 획득되고, 또한 사용자의 조작 모드, 즉 사용자가 왼손 조작 모드에 있는지 오른손 조작 모드에 있는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잠금 해제를 위해 슬라이딩할 때 생성되는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식별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사용자가 잠금 해제 조작을 구현한 후에 식별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다음 조작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의 조작 모드에 매칭되는 형식(예를 들어, 왼손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형식 또는 오른손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형식)으로 즉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 경험을 더욱 향상시킨다.
도 18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및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을 포함하면, 식별 모듈(203)은 제2 설정 유닛(2039), 제2 결정 유닛(20310), 제2 비교 유닛(20311), 및 제4 식별 유닛(20312)을 포함한다.
제2 설정 유닛(2039)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의 가중치를 w1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결정 유닛(20310)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인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결정 유닛(20310)은 추가로,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결정 유닛(20310)은 추가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비교 유닛(20311)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제4 식별 유닛(20312)은, 제2 비교 유닛(20311)에 의한 비교 결과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제2 비교 유닛(20311)에 의해 비교 결과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및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을 포함하면, 식별 모듈(203)은 제3 설정 유닛(20313), 제3 결정 유닛(20314), 제3 비교 유닛(20315), 및 제5 식별 유닛(20316)을 포함한다.
제3 설정 유닛(20313)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의 가중치를 w0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제3 결정 유닛(20314)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화면의 오른쪽 영역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화면의 왼쪽 영역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3 결정 유닛(20314)은 추가로,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3 결정 유닛(20314)은 추가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3 비교 유닛(20315)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제5 식별 유닛(20316)은, 제3 비교 유닛(20315)에 의한 비교 결과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제3 비교 유닛(20315)에 의한 비교 결과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4개의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 및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실제 애플리케이션 상황에 따르면, 4개의 파라미터 중 일부 파라미터가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기기를 쥐고 있을 확률을 종합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획득될 수 있고, 획득된 파라미터가 많을수록 식별의 정확도가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술한 구현 방식에서, 4개의 파라미터 중 일부 조합이 선택되었으며, 다른 조합은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구현 방식에서, 화면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동작은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이다. 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 없는 경우에 기기를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쥐고 있는지가 신속하고 더욱 정확하게 식별된다. 또한, 식별 결과는 잠금 해제 후의 전체 잠금 해제된 기간에 적용된다.
또, 전술한 구현 방식의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4개의 파라미터가 모두 획득되면, 식별 모듈은 제4 설정 유닛, 제4 결정 유닛, 제4 비교 유닛, 및 제6 식별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설정 유닛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의 가중치를 w0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의 가중치를 w1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제4 결정 유닛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화면의 오른쪽 영역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화면의 왼쪽 영역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4 결정 유닛은 추가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인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4 결정 유닛은 추가로,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4 결정 유닛은 추가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4 비교 유닛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가 식별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으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가 식별된다.
제6 식별 유닛은, 제4 비교 유닛에 의한 비교 결과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제4 비교 유닛에 의한 비교 결과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가중치 w0, w1, w2, 및 w3은 화면의 크기와, 화면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길이 및 형상에 따라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이 구현 방식에 따르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획득되고,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식별된다. 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추가 비용 없이, 사용자가 기기를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쥐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방식을 풍부하게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둘 다에 따라 식별되는 경우, 식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식별의 정확도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 및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한 파라미터 참조로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동작은 화면을 잠금 해제하는 동작이고, 이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 없는 경우에 기기를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쥐고 있는지가 신속하고 더욱 정확하게 식별된다. 또한, 식별 결과는 잠금 해제 후의 전체 잠금 해제된 기간에 적용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또 다른 구현 방식의 개략 구성도이며, 핸드헬드형 기기(30)는 검출 모듈(301), 획득 모듈(302), 식별 모듈(303), 및 스위칭 모듈(304)을 포함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이 구현 방식에서의 핸드헬드형 기기는 도 13에서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검출 모듈(301)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302)은, 검출 모듈(301)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식별 모듈(303)은 획득 모듈(302)에 의해 획득되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칭 모듈(304)은 식별 모듈(303)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의 조작 모드에 따라 조작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 구현 방식에 따르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획득되고;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식별되며; 조작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드는 사용자의 조작 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스위칭된다. 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추가 비용 없이,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식을 풍부하게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둘 다에 따라 식별되는 경우, 식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조작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드는 더욱 정확하다.
도 21을 참조하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형 기기의 구현 방식의 개략적인 엔티티 구성도이며, 핸드헬드형 기기는 프로세서(31), 프로세서(31)에 연결된 메모리(32), 검출기(33) 및 수집기(34)를 포함한다.
검출기(33)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수집기(34)는, 검출기(33)가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획득하고, 메모리(32)에,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31)는 메모리(32)에 저장되어 있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꺼내, 수집기(34)에 의해 획득되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31)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지,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가,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진다는 것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진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판정 결과가,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진다는 것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진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31)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고;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으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및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을 포함하는 경우:
수집기(34)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및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31)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의 가중치를 w1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이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이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고;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으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및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수집기(34)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가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및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31)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의 가중치를 w0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화면의 오른쪽 영역에 속하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화면의 왼쪽 영역에 속하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면,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고;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으면,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31)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의 가중치를 w0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의 가중치를 w1로,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가 w3으로 설정하고; 수집기(34)가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화면의 오른쪽 영역에 속하는 것을 획득한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수집기(34)가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화면의 왼쪽 영역에 속한다는 것을 획득한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수집기(34)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수집기(34)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인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비교 결과가,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가중치 w0, w1, w2, 및 w3은 화면의 크기 및 화면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길이 및 형상에 따라 설정된다.
화면 상의 사용자 손가락의 슬라이딩 동작은 화면을 잠금 해제하는 동작이다.
본 발명의 이 구현 방식에 따르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획득되고, 사용자의 조작 모드는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식별된다. 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추가 비용 없이,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식을 풍부하게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기기를 쥐는 확률이,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과, 슬라이딩 과정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 둘 다에 따라 식별되는 경우, 식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식별의 정확도는 슬라이딩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한 영역 및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의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동작은 화면의 잠금 해제 동작이며, 사용자의 추가 동작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기기를 쥐는 모드를 신속하고 더욱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식별 결과는 잠금 해제 후의 전체 잠금 해제된 기간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기재된 장치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어, 모듈 또는 유닛 분할은 논리 기능 분할일 뿐이고,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feature)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정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자적으로, 기계적으로, 또는 기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separate part)으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도 분리할 수 없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분은 물리적인 유닛일 수도 물리적인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 있다. 유닛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되어 있다.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통합 유닛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해결방안의 일부 또는 전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여러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로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탈착 가능한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 Read-Only Memory), 임의 접근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의 내용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동등한 구조 또는 동등한 프로세스 교체, 또는 명세서 및 도면의 내용을 다른 관련 기술 분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21)

  1.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 상기 조작 모드는 왼손 조작 모드와 오른손 조작 모드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설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의 가중치를 w1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의 가중치를 w0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상기 화면의 오른쪽 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상기 화면의 왼쪽 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 각각은 상기 화면의 크기와, 상기 화면 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길이 및 형상에 따라 설정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동작은 상기 화면의 잠금 해제 동작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에 따라 상기 핸드헬드형 기기의 조작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검출 모듈, 획득 모듈 및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핸드헬드형 기기로서,
    상기 검출 모듈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검출 모듈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핸드헬드형 기기의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식별 모듈은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 모드는 왼손 조작 모드와 오른손 조작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을 포함하는,
    핸드헬드형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는, 핸드헬드형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을 더 포함하는, 핸드헬드형 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 또는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에 더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 또는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를 비교하도록 더 구성되는,
    핸드헬드형 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모듈은 제1 판단 유닛 및 제1 식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단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식별 유닛은, 상기 제1 판단 유닛에 의한 판정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진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판단 유닛에 의한 판정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진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형 기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모듈은 제2 판단 유닛 및 제2 식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단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식별 유닛은, 상기 제1 판단 유닛에 의한 판정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진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식별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2 판단 유닛에 의한 판정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진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형 기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모듈은 제1 설정 유닛, 제1 결정 유닛, 제1 비교 유닛, 및 제3 식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정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설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추가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비교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식별 유닛은, 상기 제1 비교 유닛에 의한 비교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비교 유닛에 의한 비교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형 기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 모듈은 제2 설정 유닛, 제2 결정 유닛, 제2 비교 유닛, 및 제4 식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설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의 가중치를 w1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1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추가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추가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비교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식별 유닛은, 상기 제2 비교 유닛에 의한 비교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비교 유닛에 의해 비교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형 기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정보는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 모듈은 제3 설정 유닛, 제3 결정 유닛, 제3 비교 유닛, 및 제5 식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설정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속하는 영역의 가중치를 w0로,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2로,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과정 중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의 변화 상황의 가중치를 w3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상기 화면의 오른쪽 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나간 화소가 상기 화면의 왼쪽 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추가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화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2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추가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가속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가중치 w3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비교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과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5 식별 유닛은, 상기 제3 비교 유닛에 의한 비교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크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오른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제3 비교 유닛에 의한 비교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 조작 모드의 확률이 상기 사용자의 왼손 조작 모드의 확률보다 작다는 것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가 상기 왼손 조작 모드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형 기기.
  19. 제13항, 제16항,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 각각은 상기 화면의 크기와, 상기 화면 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길이 및 형상에 따라 설정되는, 핸드헬드형 기기.
  20.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동작은 상기 화면의 잠금 해제 동작인, 핸드헬드형 기기.
  21.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모드에 따라 상기 핸드헬드형 기기의 조작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스위칭 모듈을 더 포함하는 핸드헬드형 기기.
KR1020197008553A 2014-03-31 2015-02-09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 KR201900359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126867.1A CN103870199B (zh) 2014-03-31 2014-03-31 手持设备上用户操作模式的识别方法及手持设备
CN201410126867.1 2014-03-31
PCT/CN2015/072531 WO2015149588A1 (zh) 2014-03-31 2015-02-09 手持设备上用户操作模式的识别方法及手持设备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111A Division KR101963782B1 (ko) 2014-03-31 2015-02-09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938A true KR20190035938A (ko) 2019-04-03

Family

ID=509087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111A KR101963782B1 (ko) 2014-03-31 2015-02-09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
KR1020197008553A KR20190035938A (ko) 2014-03-31 2015-02-09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111A KR101963782B1 (ko) 2014-03-31 2015-02-09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44951B2 (ko)
EP (1) EP3118733B1 (ko)
JP (1) JP6272502B2 (ko)
KR (2) KR101963782B1 (ko)
CN (1) CN103870199B (ko)
TW (1) TW201602867A (ko)
WO (1) WO2015149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1367A (zh) * 2014-09-28 2015-01-14 北京数字天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系统管理方法及装置
CN105511774A (zh) * 2014-10-17 2016-04-20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显示终端界面显示方法及装置
CN105700782A (zh) * 2014-11-25 2016-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整虚拟按键布局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6155525A (zh) * 2015-04-14 2016-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操作方式的识别方法及装置
CN106210242A (zh) * 2015-04-29 2016-12-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天线切换方法、装置及终端
CN105260121A (zh) * 2015-10-23 2016-01-20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终端操控方法、终端操控装置和终端
CN107346171A (zh) * 2016-05-04 2017-11-14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操作模式的切换方法和装置
CN109997348B (zh) 2017-09-25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界面的显示方法及终端
CN107704190B (zh) * 2017-11-06 2020-07-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手势识别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0769096A (zh) * 2019-10-21 2020-02-07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马达振动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1078087A (zh) * 2019-11-25 2020-04-28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模式切换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553568A (zh) * 2020-04-23 2021-10-26 京东数字科技控股有限公司 人机识别方法、滑块验证方法、装置、介质和设备
CN113204305B (zh) * 2021-04-30 2023-06-09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移动终端的握持模式检测方法、装置、介质及移动终端
TWI775474B (zh) * 2021-06-07 2022-08-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與其單手觸控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4402A (ja) * 2007-02-22 2008-09-04 Eastman Kodak Co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20100114945A (ko) * 2008-04-02 2010-10-26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유저인터페이스생성장치
JP2010277197A (ja) * 2009-05-26 2010-12-0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310136A1 (en) 2009-06-09 2010-12-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istinguishing right-hand input and left-hand input based on finger recognition
CN101599001B (zh) * 2009-07-13 2012-11-1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触摸屏显示界面更新方法和多媒体电子设备
JP2011081646A (ja) * 2009-10-08 2011-04-21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713822A (zh) 2010-06-16 2012-10-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输入装置、信息输入方法以及程序
KR101694787B1 (ko) * 2010-06-30 201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8471869B1 (en) * 2010-11-02 2013-06-25 Google Inc. Optimizing display orientation
CN102096513B (zh) * 2011-02-23 2014-04-1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摸屏的滑动解决方法及使用该方法的电子设备
WO2012144235A1 (ja) * 2011-04-20 2012-10-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JP2013003949A (ja) * 2011-06-20 2013-01-07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情報端末装置、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176724A (zh) * 2011-12-21 2013-06-2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可切换左右手使用模式的操作界面的电子设备及方法
TWI493438B (zh) * 2012-01-09 2015-07-21 Amtran Technology Co Ltd 觸控方法
US8863042B2 (en) * 2012-01-24 2014-10-14 Charles J. Kulas Handheld device with touch controls that reconfigure in response to the way a user operates the device
US9250768B2 (en) * 2012-02-13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blet having user interface
CN102624977B (zh) * 2012-02-17 2014-03-1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根据用户左右手使用习惯进行手机界面切换的系统及方法
CN202475551U (zh) * 2012-03-20 2012-10-03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基于左右手使用习惯调整手机显示界面的系统
JP2013232118A (ja) * 2012-04-27 2013-11-14 Panasonic Corp 操作処理装置
CN102799268A (zh) 2012-07-03 2012-11-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持终端左右手识别方法
WO2014024277A1 (ja) * 2012-08-08 2014-02-1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830935B (zh) * 2012-08-22 2015-05-06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触控终端及操作界面的调整方法
JP2014041498A (ja) * 2012-08-23 2014-03-06 Sanyo Electric Co Ltd 通信端末装置
US8665238B1 (en) * 2012-09-21 2014-03-04 Google Inc. Determining a dominant hand of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US8782549B2 (en) * 2012-10-05 2014-07-15 Google Inc. Incremental feature-based gesture-keyboard decoding
EP2720172A1 (en) * 2012-10-12 2014-04-16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Video access system and method based on action type detection
TWM461837U (zh) * 2012-10-15 2013-09-11 Guan-Ru Wang 行動設備滑動解鎖裝置
KR101995278B1 (ko) * 2012-10-23 2019-07-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의 ui 표시방법 및 장치
US8769431B1 (en) * 2013-02-28 2014-07-01 Roy Varada Prasad Method of single-handed software operation of large form fact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N103354581B (zh) * 2013-06-14 2015-02-1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过左右手来自动调整手机控件的方法及系统
DE102013011689A1 (de) * 2013-07-12 2015-01-15 e.solution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arbeiten von Berührungssignalen eines Touchscre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70199A (zh) 2014-06-18
US10444951B2 (en) 2019-10-15
US20170017799A1 (en) 2017-01-19
EP3118733A4 (en) 2017-03-08
TW201602867A (zh) 2016-01-16
JP2017518553A (ja) 2017-07-06
KR101963782B1 (ko) 2019-03-29
CN103870199B (zh) 2017-09-29
JP6272502B2 (ja) 2018-01-31
WO2015149588A1 (zh) 2015-10-08
TWI560595B (ko) 2016-12-01
EP3118733A1 (en) 2017-01-18
KR20160136446A (ko) 2016-11-29
EP3118733B1 (en)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782B1 (ko)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
US95143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unlocking screen
TWI546711B (zh) 用於決定有角度之接觸幾何形狀的方法及計算裝置
US2016003404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keyboard input in the presence of multiple contact points
US9639265B2 (en) Distance-time based hit-testing for displayed target graphical elements
CN103914196B (zh) 电子设备和确定电子设备的触摸按键输入的有效性的方法
US20130044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between force inputs and temporal inputs
US201300501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luding operations associated with accidental touch inputs
WO2014015221A1 (en)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20120007816A1 (en) Inpu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 Software Keyboard
US20140210728A1 (en) Fingerprint driven profiling
US20130044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o-tap zone for touch screen displays
US2015037034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TWI407361B (zh)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nformation memory medium
CN106681640B (zh) 一种移动终端的屏幕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7132927B (zh) 输入字符的识别方法及装置和用于识别输入字符的装置
CN104375708B (zh) 触摸输入事件处理方法及设备
US10318131B2 (en) Method for scaling down effective display area of screen, and mobile terminal
CN110658976A (zh) 一种触控轨迹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20140152586A1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70277340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terminal
CN109117077A (zh) 一种通过两点触摸滑动操作刷新列表视图元素的方法及终端
CN107544696B (zh) 压力触控的软键盘输入方法及终端
JP617171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