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501A -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501A
KR20190035501A KR1020180101943A KR20180101943A KR20190035501A KR 20190035501 A KR20190035501 A KR 20190035501A KR 1020180101943 A KR1020180101943 A KR 1020180101943A KR 20180101943 A KR20180101943 A KR 20180101943A KR 20190035501 A KR20190035501 A KR 20190035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contact portion
elastic arm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4642B1 (en
Inventor
다카아키 도리하라
다다시 사카이자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5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5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6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terminal which maximally suppress a terminal width dimension, secure terminal strength, and prevent elastic bending interference between two contact units. The terminal has a first and a second elastic arm unit (42A, 43A). A base unit (41A) of a right angle is formed by a first base unit (41A-1) of the first elastic arm unit (42A) and a second base unit (41A-2) of the second elastic arm unit (43A). The first elastic arm unit (42A) has a first ascending unit (42A-1) and a first contact unit (42A-2) extended from the first ascending unit to a free end. The second elastic arm unit (43A) has a second ascending unit (43A-1) extended from the second base unit (41A-2) to a position more forward than the first ascending unit (42A-1), and a second contact unit (43A-2) bent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ascending unit towards a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in a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bent towards a terminal length direction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to be positioned more forwards than the first contact unit. The first contact unit and the second contact unit come in contact with a target connection body on a rolled plate surface.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단자{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0001]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상대 접속체에 대하여 1 개의 단자가 접속 방향에서 2 개의 접촉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및 단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terminal in which one terminal has two contact portions in the connec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a relative connector.

상대 접속체와의 접촉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대 접속체을 향한 접속 방향에서, 1 개의 단자에 2 개의 접촉부를 형성한 전기 커넥터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로 알려져 있다.An electric connector in which two contact portions are formed on one terminal in the connection direction toward the counterpart connector is known as,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improve contact (connection) reliability with the counterpart connector.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단자는, 띠상의 금속판을 절곡 그리고 굴곡시켜 상기 접속 방향을 단자 길이 방향이 되도록 제조되어 있고, 2 개의 탄성 아암부를 갖고 있다. 2 개의 탄성 아암부는, 모두 상기 단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것들의 일부를 기부로 하여 기부끼리가 연결되어 있고, 선단에 굴곡된 접촉부를 갖고 있다. 2 개의 탄성 아암부는 각각의 기부로부터 선측이 서로 독립적으로 탄성 휨 가능하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도 4 그리고 도 8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기부에서 중첩되도록 절곡됨으로써 2 개의 탄성 아암부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있고, 서로의 접촉부끼리가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상대 접속체, 예를 들어, 핀상의 상대 단자가 상기 단자를 향하여 상기 접속 방향으로 이동해 오면, 상대 단자는, 상기 2 개의 접촉부에 시간차를 갖고 접촉하고, 2 개의 접촉점을 가짐으로써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The terminal in the electrical connector of Patent Document 1 is manufactured so that the metal plate in the band is bent and bent so that the connecting direction becomes the terminal length direction and has two elastic arm portions. The two elastic arm portions all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the bas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part of them as a base, and the contact portion bent at the tip end. As shown in FIGS. 4 and 8 of Patent Document 1, the two elastic arm portions are bent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t the base portion, whereby the two elastic arm portions can be elastically bendable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Are arranged at the same positions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mutual contact portions a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hus, when the mating terminal, for example, the mating terminal on the pin moves in the connecting direction toward the terminal, the mating termina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wo contacting portions with a time lag and has two contact points,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73998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6-173998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있어서는, 2 개의 탄성 아암부의 접촉부는, 모두 산형으로 굴곡된 정점으로 형성되는 접촉점끼리가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는 하다. 그러나, 2 개의 탄성 아암부는 기부에서의 중첩되는 절곡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에서 동일 위치가 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일방의 탄성 아암부가 탄성 휨을 발생시켰을 때, 그 일방의 탄성 아암부의 일부가 상기 타방의 탄성 아암부의 접촉부에 맞닿아 간섭을 받는 위치 관계에 있다.However, in Patent Document 1, the contact portions of the two elastic arm portions are formed so that the contact points formed by vertexes bent in a mountain-like shape are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However, since the two elastic arms are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by the overlapping bending at the base, when one of the elastic arms causes elastic bending, a part of one of the elastic arms is engaged with the other elastic arm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negative contact portion.

따라서, 상기 일방의 탄성 아암부가, 그 접촉부에서 상대 단자와의 사이의 접압하에서 휘어도, 한정된 양의 휨을 발생시킨 시점에서, 상기 타방의 접촉부와 간섭하여, 휨량이 더 이상 커지지 않아 휨량을 충분히 크게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은, 상대 단자와의 사이에 충분히 큰 접압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Therefore, at the time when the one-side elastic arm portion generates a limited amount of warpage even when it bends under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mating terminal, it interferes with the other contact portion and the warpage does not increase further, It can not be largely secured. This means that a sufficiently large contact pressure with the mating terminal can not be obtained.

나아가서는, 특허문헌 1 에서는, 복수의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폭)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 개의 탄성 아암부를, 그것들의 기부의 면끼리를 중첩되도록 180°절곡시킴으로써, 단자 배열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부의 절곡 가장자리에서는 굽힘 가공도가 매우 커, 단자의 그 절곡 가장자리에서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있다.Further, in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reduce the terminal (width) dimension in the array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the two elastic arms are bent 180 degrees so as to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y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Therefore, the degree of bending at the bending edge of the base portion is very large, and the strength of the terminal at the bending edge is lowered.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폭 치수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단자의 강도를 확보하고, 또한 2 개의 탄성 아암부의 접촉부끼리가 탄성 휨 상태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고 충분한 휨량, 즉 상대 접속체와의 사이에 충분한 접압을 확보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및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which can secure the strength of a terminal while suppressing the terminal width dimension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s much as possible, and that the contact portions of the two elastic arms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the elastic bending state, That is,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capable of ensuring sufficient contact pressure with a relative connector and a terminal.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 그리고 그것을 위한 단자에 있어서는, 상대 접속체에 대한 접속 방향을 단자 길이 방향으로 하는 단자가 그 단자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에 의해 복수 배열 유지되어 있다.In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terminal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plurality of arrangements are held by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s, which make the connec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connection member,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are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

이러한 전기 커넥터 그리고 단자에 있어서, 단자는, 굴곡 상태의 금속판제로 일 부재를 이루고,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 인접하여 병설된 제 1 탄성 아암부와 제 2 탄성 아암부를 갖고, 그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와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기부가, 각각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압연판면끼리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굴곡 상태로 연결된 기부를 형성하고 있고,In such a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the terminal has a first resilient arm portion and a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formed as a bent metal plate single member and adjacently arrange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first resilient arm portion The first base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form base portion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bent stat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상기 기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 그리고 제 2 탄성 아암부와는 반대 방향이 되는 타방향에 위치하고 도전 조체 (條體) 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갖고,And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conductive rods in the other direction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제 1 탄성 아암부는, 제 1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직상부 (直狀部) 와, 그 제 1 직상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자유단까지 연장되어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기 위한 제 1 접촉부와, 제 1 기부, 제 1 직상부 그리고 제 1 접촉부의 어느 압연판면도 단자 배열 방향과 평행한 면을 이루고,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includes a first straigh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in on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straigh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traight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to a free end,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and the rolling surface of the first base portion,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are parallel to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제 2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제 2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그 제 1 직상부보다 선측 위치까지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직상부와, 제 2 직상부의 선단에서 단자 배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에서 굴곡되고 또한 상기 단자 길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일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부보다 선측에 위치하는 제 2 접촉부를 갖고, 제 1 접촉부도 제 2 접촉부도 압연판면에서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대 접속체가 상기 접속 방향에서의 이동으로 제 2 접촉부와의 접촉 후에 제 1 접촉부와도 접촉하도록 제 2 접촉부가 제 1 접촉부에 대하여 위치 관계를 갖고 있는 제 2 접촉부를 통과하는 접속 방향의 직선이 제 1 접촉부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has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toward the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traight portion toward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ward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also provided on the rolled plate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contact portion hav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so that the relative contac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after the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due to the movement in the connection direction The straight line in the connecting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first contact portion.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제 1 기부와 제 2 기부의 기부끼리가 직각의 굴곡 상태이므로, 기부에서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단자 폭 (단자 배열 방향 치수) 이 제 1 탄성 아암의 폭에 제 2 탄성 아암의 판두께를 더한 치수로 억제할 수 있어, 종래의 단자의 경우에 비해 그다지 커지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stitution, since the base portions of the first base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are bent at right angles, the terminal width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dimens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late thickness of the two elastic arms to the sum of the thicknesses thereof, which is not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erminal.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모두 상대 접속체와 단자 폭이 중복되는 위치에 있지만, 단자 길이 방향에서는 다른 위치에 있고, 한편, 제 1 접촉부 그리고 제 2 접촉부 이외의 부위끼리가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상이한 위치에 있으므로, 탄성 휨 상태에서 서로 간섭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제 1 접촉부 그리고 제 2 접촉부는 아무런 제약도 없이 크게 휠 수 있고, 그 결과, 상대 접속체와의 사이의 접압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located at positions overlapping the terminal widths of the counterparts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but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s and portions other tha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Since they are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they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the elastic bending state. Therefore,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can be made large without any restriction, and as a result, a large contact pressure with the counterpart connection can be secured.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 모두, 압연판면을 상대 접속체와의 접촉면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대 접속체와의 접촉 폭 나아가서는 접촉 면적이 커지고 그리고 접촉이 원활해진다.In bot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since the rolled plate surface is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the contact width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and thus the contact area becomes larger and the contact becomes smooth.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접촉부는, 그 자유단이 단자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접촉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이 되는 상기 일방향을 향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may be oriented in the one direction in which the free end thereof i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resilient arm por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단자 소재의 굴곡 전의 평면 형상에서,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접촉부를 이루는 부분이 제 2 직상부를 이루는 부분에 대하여, 단자 길이 방향이 아니라 이것에 대하여 직각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소재의 치수가 억제된다. 단자 소재의 재료를 취할 때의 수율은, 상기 단자 길이 방향 치수로 좌우되므로, 제 2 접촉부가 단자 길이 방향이 아니라 이것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수율이 향상되는 한편, 상기 직각 방향에서는, 제 1 탄성 아암부가 단자 길이 방향에서 연장되는 범위보다 선측에 상기 제 2 접촉부를 이루는 부분이 위치하게 되므로, 원래 상기 제 2 접촉부를 위한 스페이스의 여유가 있고, 이 스페이스에 위치하는 소재 부분을 상기 제 2 접촉부를 이루는 부분에 사용할 수 있어, 상기 직각 방향에서도 단자 소재를 제 2 접촉부를 위해 여분으로 필요로 하게 되지 않는다.By doing so, in the plane shape before bending the terminal material,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second abutment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is b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second straight- And as a result, the dimension of the terminal material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is suppressed. Since the yield of the material of the terminal material is dependent on the dimens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extends not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b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yield, Since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region where the elastic arm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there is a margin of space f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originally, So that the terminal material does not need to be extra f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even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또,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의 양방 모두, 단자 소재의 일방의 압연판면에 상대 접속체에 대한 접촉면이 오도록 할 수 있다. 단자 소재는, 통상적으로 타발 가공에 의해 형태 부여되므로, 표리의 압연판면의 상방에서는, 타발 가장자리에「새깅」이 발생하고, 타방에는「버」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일방의 면에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의 상대 접속체에 대한 접촉면을「새깅」이 형성된 쪽의 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대 접촉체가「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원활한 접촉을 할 수 있다.Bot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one side of the terminal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counterpart connector. Since the terminal material is usually shaped by punching, "sagging" occurs on the punching edge and "burr" occurs on the other side above the rolled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spect, since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to the relative connection member can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one surface on which the "sagging" is formed, So that smooth contact can be achieved.

한편, 상기 서술한 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접촉부는, 그 자유단이 단자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접촉부에 근접하는 방향이 되는 상기 타방향을 향하고 있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is designed so that the free end thereof is directed to the other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close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이와 같은 형태로 하면, 제 1 접촉부보다 먼저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의 선단 (상대 접속체와 최초로 접촉을 개시하는 부분) 이 볼록 만곡부를 이루므로, 선단 가장자리가 상대 접속체와 충돌하지는 않고, 볼록 만곡면으로 상대 접속체를 안내하는 것이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실시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tip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the portion that first starts contact with the counterpart body)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unterpart connector before the first contact portion forms a convex curve, the leading edge does not collide with the counterpart It is ensured and smoothly guided by the convex curved surface of the relative connector.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와 상기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기부 중 적어도 제 2 기부에 보강용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하에서는, 적어도 제 2 기부에 리브가 형성되면, 그 제 2 기부, 나아가서는 기부 전체가 보강됨과 함께, 리브를 단자 배열 방향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하면, 단자가 상기 기부로 하우징에 유지될 때에는, 그 유지 강도를 향상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inforcing rib is formed on at least a second base portion of the first base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When the ribs are formed at least on the second base portion, the second base portion and thus the entire base portion are reinforced. When the ribs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 And the holding strength thereof is improved.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과 같이, 단자의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와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기부를, 그것들의 소재에 있어서의 압연판면끼리가 직각이 되도록 굴곡시키고,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에서 제 1 접촉부까지 압연판면이 단자 배열 방향과 평행한 면을 이루고, 제 2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제 2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그 제 1 직상부보다 선측 위치까지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직상부와, 제 2 직상부의 선단에서 단자 배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에서 굴곡되고 또한 상기 단자 길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일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부보다 선측에 위치하는 제 2 접촉부를 갖고, 제 1 접촉부도 제 2 접촉부도 압연판면에서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대 접속체가 상기 접속 방향에서의 이동으로 제 2 접촉부와의 접촉 후에 제 1 접촉부와도 접촉하도록 제 2 접촉부가 제 1 접촉부에 대하여 위치 관계를 갖고 있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제 1 기부와 제 2 기부 사이의 굴곡시의 가공도도 크지 않아 굴곡 가장자리에서의 국부적인 강도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고, 오히려 굴곡에 의해 양 기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치수도, 제 1 기부의 폭에 상기 제 2 기부의 판두께를 더한 치수에 그쳐 전체적으로 작게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제 2 직상부가 제 1 직상부에 대하여 단자 배열 방향에서 어긋나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제 2 접촉부가 제 1 접촉부에 대하여 단자 길이 방향에서 선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 2 탄성 아암부의 탄성 휨 상태에서 제 1 접촉부와 간섭하지 않으므로, 충분한 휨량, 즉, 상대 접속체와의 접압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ase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are bent so that the rolled plate surfaces of the material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elastic arm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to the side of the first straight portion from the first straight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And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toward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bent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bent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toward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on the rolled plate surface, The second contact portion has a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after the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due to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The strength of both base portions is improved by bending rather than causing a local decrease in strength at the bending edge so that the dimension of the terminal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width of the first base portion to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is shifted from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in the elastic bending state of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so that the sufficient bending amount, that is,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여러 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접속 전의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는 도 1 의 커넥터의 단자의 하나를 발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 는 도 4(A) 의 단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다른 실시형태의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parts of the connector of Fig. 1 separated;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of Fig. 1 in a state before connection; Fig.
Fig. 4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of the terminals of the connector of Fig. 1 taken out. Fig.
4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terminal of Fig. 4 (A).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전기 커넥터 (Ⅰ) (이하「커넥터 (Ⅰ)」) 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electrical connector I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onnector I ")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커넥터 (Ⅰ) 는, 전기 절연재제의 하우징 (10) 과, 이것에 끼워 장착되는 금속판제의 실드 케이스 (20) 와, 상기 하우징 (10) 에서 삽입 장착되는 전기 절연재제의 단자 유지체 (30) 와, 그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유지되는 금속판제의 단자 (40) 의 여러 부재를 갖고 있다. 도 2 는 이들 여러 부재의 조립 전에 있어서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3 은 여러 부재의 조립 후, 커넥터 (Ⅰ) 로서 완성된 것을 상대 접속체로서의 상대 커넥터 (Ⅱ) 가 접속되기 전의 상태로, 그 상대 커넥터 (Ⅱ) 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The connector I comprises a housing 10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and a shield case 20 made of a metal plate fitted to the housing 10 and a terminal holding body 30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inserted in the housing 10, And a terminal 40 made of a metal plate held by the terminal holding body 30.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se various members are separated before assembly.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I after being assembled, together with its mating connector II, before the mating connector II as a mating connector is connected.

본 발명은, 단자 (40) 에 특징이 있으므로, 이 단자 (40) 부터 설명을 시작한다. 단자 (40)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주요부를 동일한 형태로 하고 후단 (상대 커넥터 (Ⅱ) 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에서의 단부) 에 형성된 접속부의 길이만이 상이한 2 종의 단자 (40A) 와 단자 (40B) 를 갖고 있다. 단자 (40B) 에는, 단자 (40A) 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각 부위의 부호에서 A 대신에 B 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2 종의 단자 (40A) 와 단자 (40B) 는, 교대로 배열되어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유지되어 있고, 이러한 단자 유지체 (30) 는 하우징 (10) 에 대하여, 서로 상하 반전된 자세로 상하 2 단을 이루도록 2 개 조립되어 있고, 이 2 개의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2 종의 단자 (40A, 40B) 는, 각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2 개의 단자 유지체 (30) 가 하우징 (10) 에 조립되었을 때에 (단자 (40A) 의 커넥터 높이 방향 (Z) 으로는 단자 (40B) 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단자 (40A, 40B) 가 각각 지그재그상으로 위치하고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terminal 40, the description starting from this terminal 40 is started. As shown in Fig. 2, the terminal 40 has two types of terminals 40A and 40B, which have the same main portion and differ only i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the rear end (the en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mating connector II) (40B). The description of the terminal 40A will be omitted by attaching B to the terminal 40B in place of A in th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terminal 40A. The two types of terminals 40A and 40B are arranged alternately and integrally molded and held by the terminal holding body 30. The terminal holding body 30 is held in contact with the housing 10 Two types of terminals 40A and 40B held by the two terminal holding bodies 30 are assemb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two terminal holding bodies 30 constitute upper and lower two stages in an inverted posture, When the two terminal holding bodies 30 are assembled to the housing 10 (the terminals 40B are arranged in the connector height direction Z of the terminals 40A)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Y, The terminals 40A and 40B as a whole ar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단자 (40A), 단자 (40B) 는 모두 금속판제이며, 상대 접속체로서의 상대 커넥터 (Ⅱ) (도 3 참조) 와의 접속 방향을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하고 있고, 이 단자 길이 방향 (X) 에 대하여 직각인 2 방향 중 일방을 단자 배열 방향 (Y), 타방을 커넥터 높이 방향 (Z) (상기 상하로 위치하는 2 개의 단자 유지체 (30) 의 그 상하 방향) 으로 하여, 1 개의 단자 유지체 (30) 에 대해서는, 상기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단자 (40A) 와 단자 (40B) 가 교대로 배열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The terminal 40A and the terminal 40B are all made of a metal plate and the direction of connection with the mating connector II as a counterpart connector (see Fig. 3) is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One of the two directions at right angles to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is set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and the other is set in the connector height direction Z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two vertically positioned terminal holding members 30) The terminal body 40A and the terminal 40B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

단자 (40A) 와 단자 (40B) 를 교대로 위치시켜 유지하고 있는 단자 유지체 (30) 는, 상기 커넥터 높이 방향 (Z) 에서 2 단을 이루고, 게다가 서로 커넥터 높이 방향 (Z) 에서 대칭이 되는 대향한 자세로, 쌍을 이루도록 2 개 형성되어 있고 이 2 개의 단자 유지체 (30) 모두 공통된 1 개의 하우징 (10) 에 장착되어 유지되고 있다. 그 결과, 2 단으로 배열된 2 종의 단자 (40A) 와 단자 (40B) 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 유지되고 있는 상태로, 서로 지그재그상을 이루며 교대로 위치하고 있다.The terminal holding bodies 30 holding and holding the terminals 40A and 40B in an alternate manner are arranged in two stages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connector and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in the connector height direction Z Two terminal holding bodies 30 are mounted and held in one common housing 10 in a pair. As a result, the two types of terminals 40A and 40B arranged in two stage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staggered state in a state of being held by the housing 10, as described above.

도 2 에서는, 상기 2 단의 단자 유지체 (30) 의 각각에서, 2 종의 단자 (40A, 40B) 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지만, 단자 배열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상단 그리고 하단의 1 개씩의 단자 (40A, 40B) 가 단자 유지체 (30) 로 유지되기 전의 분리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 단의 단자 유지체 (30) 는 서로 상하 대칭의 자세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는 이 단자 (40A, 40B) 는 상하로 대칭인 형태를 이루며 서로 대향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2, two kinds of terminals 40A and 40B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in each of the two-stage terminal holding bodies 30, but the upper and lower ends The terminals 40A and 40B are shown in a separated state before they are held by the terminal holding body 30.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wo-stage terminal holders 30 are arranged in an up-and-down symmetrical posture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terminals 40A and 40B which are shown separately are symmetrical in the vertical direction, .

접속부의 길이만이 상이하고, 타부를 동일 형태로 하는 2 종의 단자 (40A, 40B) 중 일방의 단자 (40A) 에 대해 설명하면, 그 단자 (40A) 는, 단자 소재 (금속판) 의 압연판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굴곡되어 L 자상을 이루는 기부 (41A) 가 서로 직각인 제 1 기부 (41A-1) 와 제 2 기부 (41A-2) 를 갖고 있다 (도 4(A) 참조). 이러한 단자 (40A) 는, 제 1 기부 (41A-1) 로부터 단자 길이 방향 (X) 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탄성 아암부 (42A) 와, 제 2 기부 (41A-2) 로부터 제 1 탄성 아암부 (42A) 와는 독립적이고 그 제 1 탄성 아암부 (42A) 와 동일하게 단자 길이 방향 (X) 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탄성 아암부 (43A) 와, 상기 기부 (41A) 에 대하여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타방향에 위치하는 장착부 (44A) 를 갖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타방의 단자 (40B) 는, 그 단자 (40B) 의 장착부 (44B) 가 상기 단자 (40A) 에 비해 그 단자 (40A) 의 장착부 (44A) 보다 길다는 점에서만 상이하다는 점, 나아가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 (40A) 의 연결부 (45A) 보다 단자 (40B) 의 연결부 (45B) 쪽이 커넥터 높이 방향 (Z) 에서 큰 단차를 갖고 있는 점 (도 3 참조) 을 제외하고, 상기 단자 (40A) 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단, 도 2 에서는, 상하 대칭인 방향의 자세를 취하고 있으므로, 상하 반전된 자세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그 타방의 단자 (40B)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일방의 단자 (40A) 의 장착부 (44A) 보다 단자 길이 방향에서 길게 설정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단자 (40A) 와 상이할 뿐이므로, 이하, 일방의 단자 (40A) 의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장착부 (44B) 에서만 상이한 타방의 단자 (40B)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One terminal 40A of the two types of terminals 40A and 40B having different lengths of connecting portions and having the same shape is described. The terminal 40A is formed on the rolled plate surface of the terminal material (metal plate) A base portion 41A bent in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41A forming an L-shaped phase has a first base portion 41A-1 and a second base portion 41A-2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ee Fig. The terminal 40A includes a first elastic arm portion 42A exten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41A-1 in one direc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and a second elastic arm portion 42B extending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41A- A second elastic arm portion 43A that is independent of the arm portion 42A and extends in one direc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as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42A and a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43A that is independent of the arm portion 42A, And a mounting portion 44A located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X direction.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terminal 40B is arranged such that the mounting portion 44B of the terminal 40B is longer than the mounting portion 44A of the terminal 40A in comparison with the terminal 40A The connecting portion 45B of the terminal 40B has a larger step in the connector height direction Z than the connecting portion 45A of the terminal 40A as described later (However, in Fig. 2, the posture is shown in a vertically inverted posture because the posture is symmetrical in the up-and-down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terminal 40B is different from the terminal 40A in that it is set longer than the mounting portion 44A of the one terminal 40A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Hereinafter, the shape of one of the terminals 40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terminal 40B different from the mounting portion 44B will be omitted.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유지된 도 1 에 있어서의 단자 (40A) 그리고 단자 유지체 (30) 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는 도 2 에 있어서의 단자 (40A) 는, 도 4(A) 에서는 이 도 1 그리고 도 2 에 있어서의 자세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역방향 자세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이 단자 (40A) 에 대해 도 4(A)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The terminal 40A shown in Fig. 1 held by the terminal holding member 30 and the terminal 40A shown in Fig. 2 separated from the terminal holding body 30 are shown in Fig. 1 and 2 are shown in a reverse pos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Hereinafter, this terminal 40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

단자 (40A) 의 제 1 탄성 아암부 (42A) 는,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상대 접속체 쪽을 향하는 일방향으로 상기 제 1 기부 (41A-1) 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직상부 (42A-1) 와, 상기 일방향에 위치하는 자유단측에 형성된 제 1 접촉부 (42A-2) 를 갖고 있다. 제 1 직상부 (42A-1) 는, 그 제 1 직상부 (42A-1) 에서 제 1 접촉부 (42A-2) 를 향하여 도 4(A) 에서 상방으로 경사를 갖는 경사 아암부 (42A-3) 를 거쳐 상기 제 1 접촉부 (42A-2) 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접촉부 (42A-2) 는, 상기 경사 아암부 (42A-3) 에 대하여 자유단을 향하여 도 4(A) 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굴곡된 산형 형상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산형 형상부의 정점이 상대 접속체와의 접점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1 직상부 (42A-1) 와 제 1 접촉부 (42A-2) 는,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는 굴곡되어 있지 않고, 상방에서 본 경우에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일직선상을 이루고 있고, 또 상기 제 1 직상부 (42A-1) 와 제 1 접촉부 (42A-2) 의 상면은, 상기 제 1 기부 (41A-1) 와 동일한 압연판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기부 (41A-1) 에서 제 1 접촉부 (42A-2) 까지의 전체 범위에서 동일 압연면이 상방을 향하고 있다.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42A of the terminal 40A has a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42A-1 exten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41A-1 in one direction toward the counterpart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And a first contact portion 42A-2 formed on the free end side located in the one direction.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42A-1 has an inclined arm portion 42A-3 having an inclination upward in Fig. 4A from the first straight portion 42A-1 toward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is formed as a mountain-shaped portion bent toward the free end with respect to the inclined arm portion 42A-3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in Fig. 4 (A). And the apex of the mountain-shaped portion forms a contact with the counterpart connector.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42A-1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are not bent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and are straight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when viewed from abov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42A-1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are formed of the same rolled plate surface as the first base portion 41A-1. That is, the same rolled surface is directed upward in the entire range from the first base portion 41A-1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상기 제 1 기부 (41A-1) 는, 단자 길이 방향 (X) 과 단자 배열 방향 (Y) 으로 확대되는 평면에 압연판면이 위치하고 있는 평판상을 이루고 있지만, 그 일부에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이하에 서술하는 제 2 탄성 아암부 (43A) 쪽으로 돌출되는 측돌출부 (41A-1-1) 가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base portion 41A-1 has a flat plate shape in which the rolled plate surface is located in a plane extending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and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Side protruding portion 41A-1-1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43A described below is formed.

상기 제 1 기부 (41A-1) 에 대하여 직각으로 굴곡된 제 2 기부 (41A-2) 에는, 측면에서 외측 (제 1 기부 (41A-1) 로부터 이간되는 방향) 으로 돌출되는 리브 (41A-2A) 가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기부 (41A-2) 로부터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탄성 아암부 (43A) 는, 제 2 기부 (41A-2) 에 있어서의 압연판면의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제 2 직상부 (43A-1) 와 그 자유단측에 형성된 제 2 접촉부 (43A-2) 를 갖고 있다. 상기 제 2 기부 (41A-2) 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창부 (41A-2-1)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창부 (41A-2-1) 에 상기 제 1 기부 (41A-1) 의 측돌출부 (41A-1-1) 가 돌출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기부 (41A-2) 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우징 (10) 에 대한 빠짐 방지를 위한 걸림 돌기 (41A-2B) 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base portion 41A-2 bent at right angles to the first base portion 41A-1 is provided with ribs 41A-2A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ide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base portion 41A-1) Are formed so as to extend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43A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41A-2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does not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olling surface of the second base portion 41A-2 And has a second straight section 43A-1 extending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and a second contact section 43A-2 formed on the free end side. The window 41A-2-1 is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second base 41A-2 and the side projection 41A-2 of the first base 41A-1 is provided with the window 41A- -1-1). In addition, latching protrusions 41A-2B are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base portion 41A-2 for preventing the housing 10 from slipping off.

상기 제 2 직상부 (43A-1) 는, 상기 서술한 제 1 탄성 아암부 (42A) 보다 단자 길이 방향 (X) 의 일방향에서 선측까지 연장되어 있고, 2 단 굴곡부 (43A-3) 를 거쳐 제 2 접촉부 (43A-2) 에 연결되어 있다. 그 2 단 굴곡부 (43A-3) 는,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선단의 폭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직상부 (43A-1) 의 압연판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굴곡되어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 (42A) 쪽으로 지향된 후, 그 상측 가장자리측이 압연판면에 대하여 굴곡되어 상기 단자 길이 방향 (X) 의 일방향을 향하여 경사져 상기 제 2 접촉부 (43A-2) 로 이행하고 있다. 그 제 2 접촉부 (43A-2) 는 상기 2 단 굴곡부 (43A-3) 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 (42A) 의 제 1 접촉부 (42A-2) 와 동일하게 상기 단자 길이 방향 (X) 의 일방향을 향하여 굴곡되어 그 일방향에서 자유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제 2 접촉부 (43A-2) 는 제 1 접촉부 (42A-2) 와 동일한 산형 형상을 이루고, 그 정점이 상대 접속체와의 접점을 형성하고 있다. 그 제 2 접촉부 (43A-2) 는, 상기 서술한 제 2 기부 (41A-2) 그리고 2 단 굴곡부 (43A-3) 에서의 굴곡의 결과, 제 1 접촉부 (42A-2) 와 동일한 측의 압연판면으로 형성된다. 그 제 2 접촉부 (43A-2) 는,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상기 제 1 접촉부 (42A-2) 와 거의 동일 위치에 있고, 또 커넥터 높이 방향 (Z) 에서는, 그 제 2 접촉부 (43A-2) 의 정점과 제 1 접촉부 (42A-2) 의 정점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있다. 바꿔 말하면, 단자 길이 방향 (X) 을 접속 방향으로 하는 상대 접속체는, 접속 과정에서, 제 2 접촉부 (43A-2) 에 접촉한 후, 접속 이동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 1 접촉부 (42A-2) 와도 접촉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접촉부 (43A-2) 의 단자 폭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의 치수 폭) 이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제 1 접촉부 (42A-2) 와 거의 동일 위치에 오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접촉부 (42A-2) 와 제 2 접촉부 (43A-2) 의 단자 폭끼리가, 상기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중복 범위를 갖고 있으면 된다. 즉, 상기 접속 방향에서의 상대 접속체의 이동 과정에서, 그 상대 접속체가 제 2 접촉부 (43A-2) 와의 접촉 후, 접촉 폭 (단자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 길이) 의 넓고 좁음에 상관없이, 제 1 접촉부 (42A-2) 와도 접촉하도록, 상기 제 2 접촉부 (43A-2) 와 제 1 접촉부 (42A-2) 가,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의 위치 관계를 갖고 있으면 된다.The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43A-1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to the side of the side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42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42A via the second elastic bending portion 43A- 2 contact portion 43A-2. The two-step bent portion 43A-3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tip end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is bent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rolled plate surface of the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43A-1, Y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42A and then the upper edge side thereof is bent with respect to the rolled plate surface so as to be inclined toward one direction of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 .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extends from the upper edge of the two-step bent portion 43A-3 and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42A, Is bent toward one direction of the direction X and extends from the one direction to the free e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has the same mountain shape as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and its apex forms a contact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As a result of the bending of the second base portion 41A-2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43A-3,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is rolled on the same side as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 And is formed as a flat surface.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is located at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and in the connector height direction Z,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 -2 and the apex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In other words, the relative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as the connection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in the connecting process, and then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 2). 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width (dimension width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is set so as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When the terminal widths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are overlappe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do. That is,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the relative contac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and the contact width (contact length in the terminal width direction) is wide and narrow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ounterpart in the connection directi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may have a positional relationship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so as to contact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단자 (40A) 는, 상기 제 1 기부 (41A-1) 로부터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상기 일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타방향 (도 4(A) 에서 우측) 으로 연장되는 장착부 (44A) 가 크랭크상을 이루는 연결부 (45A) 를 개재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장착부 (44A) 는, 도 4(A) 에서, 하면측에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오목 만곡면을 형성하고, 그 오목 만곡면에 케이블 심선 등의 도전 조체가 배치되어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단자 (40A) 에 대하여, 단자 (40B) 는 장착부 (44B) 가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장착부 (44A) 보다 길고, 연결부 (45B) 가 커넥터 높이 방향 (Z) 에서 연결부 (45A) 보다 크게 되어 있으므로, 단자 (40A) 와 단자 (40B) 가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도, 장착부 (44A) 와 장착부 (44B) 가 충분히 떨어져 위치하므로, 장착부 (44A) 와 장착부 (44B) 에 있어서의 도전 조체의 땜납 접속이 용이해진다.The terminal 40A has a mounting portion 44A exten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41A-1 to the other direction (the right side in Fig. 4 (A))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Is formed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45A forming an upper surface. The mounting portion 44A has a concave curved surface extending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on the lower surface side in Fig. 4A, and a conductive cord such as a cable core is disposed on the concave curved surface to be soldered . The terminal 40B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ounting portion 44B is longer than the mounting portion 44A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and the connecting portion 45B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45A in the connector height direction Z, The mounting portion 44A and the mounting portion 44B are sufficiently apart from each other even when the terminals 40A and 40B ar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44A and the mounting portion 44B The solder connection of the conductive rod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acilitated.

이러한 단자 (40A) 그리고 단자 (40B)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기부 (41A) 의 부분에서 그 단자 유지체 (30) 와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된다. 이 단자 (40A, 40B) 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체 (30) 를 후술하는 하우징 (10) 에 장착할 때, 그 단자 유지체 (30) 를 2 개 준비하고, 이것들을 도 2 와 같이 상하단을 이루도록 하여, 서로 상하 역방향의 자세로 위치시키면, 이들 2 개의 단자 유지체 (30) 에 의해 유지된 2 단의 단자 (40A, 40B) 는,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게 된다.The terminal 40A and the terminal 40B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by the terminal holding body 30 as shown in Fig. And is held by integral molding with the mold 30. When the terminal holding body 30 holding the terminals 40A and 40B is to be mounted on the housing 10 described later, two terminal holding bodies 30 are prepared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formed as shown in Fig. The two terminals 40A and 40B held by these two terminal holding bodies 30 ar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상기 단자 유지체 (30) 자체는, 가로로 긴 대략 직방체 외형을 갖고, 예를 들어, 도 2 의 상단에 위치하는 단자 유지체 (30) 의 상부 후측 가장자리 (상면측에서 단자 (40A) 의 장착부 (44A) 에 치우친 위치의 가장자리) 에는, 스토퍼 돌출부 (31) 가 단자 배열 방향 (Y) 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의 측단면에는 하우징 (10) 과의 걸림을 위한 갈고리상의 걸림 돌기 (32) 가 형성되어 있다.The terminal holding body 30 itself has an elongated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al outer shape. For example, the terminal holding body 30 located at the upper end of FIG. 2 has an upper rear edge The stopper projection 31 is formed along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and the side end face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is provided with a stopper projection 31 for engagement with the housing 10 And hooking projections 32 on hooks are formed.

다음으로, 하우징 (10) 은, 도 2 및 도 3 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각통 (角筒) 을 이루는 전통부 (前筒部) (도 2, 3 에서 좌측의 각통부) (11) 와, 그 전통부 (11) 보다 큰 외형의 후통부 (後筒部) (12) 를 갖고 있다.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상기 전통부 (11) 와 후통부 (12) 의 경계 위치에는,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을 전후로 이분하는 중간벽 (13) 이 형성되어 있다.2 and 3, the housing 10 has a conventional tubular portion (each tubular portion on the left side in Figs. 2 and 3) 11 And a rear tubular portion 12 having an outer shape larger than the tubular portion 11. An intermediate wall 13 is formed at the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traditional portion 11 and the rear portion 12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 forward and backward.

전통부 (11)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면이 약간 사다리꼴상을 이루는 각통면으로 되어 있고, 그 전통부 (11) 의 상하 내벽면의 각각에는, 이미 서술한 단자 (40A) 의 제 1 탄성 아암부 (42A) 그리고 제 2 탄성 아암부 (43A) 를 수용하는 단자 홈 (14A) 그리고 단자 (40B) 의 제 1 탄성 아암부 (42B) 그리고 제 2 탄성 아암부 (43B) 를 수용하는 단자 홈 (14B) 이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고 단자 배열 방향 (Y) 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2 종의 단자 홈 (14A, 14B) 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eg portion 11 is an angular surface having a slightly trapezoidal cross section.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inner wall surfaces of the leg portion 11, The first resilient arm portion 42A and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43B of the terminal 40B and the terminal groove 14A accommodating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43A and the first resilient arm portion 42B and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43B of the terminal 40B The terminal grooves 14B extending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and arrange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are formed. The two types of terminal grooves 14A and 14B have the same shape.

상기 후통부 (12) 에는, 그 후통부 (12) 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이분하고, 상기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격벽 (15) 을 갖고 있다. 그 격벽 (15) 보다 상방의 공간 그리고 하방의 공간은 각각 상하 반전 자세의 상기 단자 유지체 (30) 가 삽입되는 2 개의 삽입부 (16) 를 상하 대칭 형상을 이루며 형성하고 있고, 상기 격벽 (15) 은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상기 삽입부 (16) 보다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삽입부 (16) 에는, 도 3 에서 지면의 앞측 그리고 내측의 내벽면에, 상기 단자 유지체 (30) 의 걸림 돌기 (32) 와 걸리는 걸림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 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2 개의 단자 유지체 (30) 는, 각각 상하 반전 자세로, 상기 2 개의 삽입부 (16) 에 각각에 삽입되면, 그 단자 유지체 (30) 의 스토퍼 돌출부 (31) 가 하우징 (10) 의 우측단에 맞닿아,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 돌기 (32) 가 하우징의 걸림부와 걸림으로써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The rear tube portion 12 has partition walls 15 which divide the inner space of the tube portion 12 upward and downward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terminal. The space above the partition 15 and the spaces below form two vertically symmetrical insertion portions 16 into which the terminal holding body 30 with the upside down posture is inserted,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serting portion 16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 3, an engaging portion (not shown) for engaging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32 of the terminal holding body 30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n the front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paper in Fig. 3 . When the two terminal holding bodies 30 are inserted into the two inserting portions 16 in the up and down reversing positions respectively, the stopper projection 31 of the terminal holding body 3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So that the latching protrusion 32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portion of the housing to prevent the latching protrusion 32 from falling out.

또, 하우징 (10) 의 상기 후통부 (12) 는, 상하 외면에 후술하는 실드 케이스 (20) 와 걸리는 걸림 갈고리 (17) 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양단에는, 상하 방향 그리고 전방으로 약간 돌출된 플랜지상의 돌출 가장자리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The rear tube portion 12 of the housing 10 is formed with upper and lower outer surfaces of a latching claw 17 for engagement with a shield case 20 to be described later. A flange-like protruding edge portion 18 slightly protruding forward is formed.

상기 하우징 (10) 에 끼워 장착되는 실드 케이스 (20) 는, 상기 하우징 (10) 의 전통부 (11) 의 외주면 그리고 후통부 (12) 의 전면 (前面) (전통부 (11) 를 둘러싸는 전면) 과 상하면에 면하는 형상을 이루고, 통부 (21) 와 가로가 U 자상인 프레임부 (22) 를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 (10) 의 전통부 (11) 의 외주면에 면하도록 형성된 통부 (21) 는, 그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 (21-1) 가 내측으로 약간 좁혀지고 있어 돌출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하우징 (10) 의 전통부 (11) 의 전면 외주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 프레임부 (22) 는 상기 하우징 (10) 의 후통부 (12) 의 전면에 면하는 전판부 (前板部) (22-1) 와 그 후통부 (12) 의 상하면에 면하는 평판부 (22-2) 를 갖고, 그 평판부 (22-2) 에, 상기 하우징 (10) 의 걸림 갈고리 (17) 와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걸기 위한 걸림창 (22-3) 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실드 케이스 (20)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 끼워 장착되어, 하우징 (10) 내의 단자 (40A, 40B) 에 대하여, 실드의 기능을 갖게 된다.The shield case 20 to be fitted to the housing 1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g portion 11 of the housing 10 and a front surface of the rear tubular portion 12 And has a tubular portion 21 and a frame portion 22 in a transversely U-shape. The cylindrical portion 21 formed to fa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ditional portion 11 of the housing 10 is formed such that its peripheral edge 21-1 is slightly narrowed inwardly to form a protruding edge, So as to be caught by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ion 11. The frame portion 22 includes a front plate portion 22-1 facing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tube portion 12 of the housing 10 and a flat plate portion 22b facing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rear portion 12, And an engagement window 22-3 for engagement with the engagement claw 17 of the housing 10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is formed in the flat plate portion 22-2 . 3, the shield case 20 is fitted to the housing 10 to have a shielding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s 40A and 40B in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서는, 단자 (40A) 는, 도 4(A) 와 같은 형태로 하지 않고, 도 5 와 같이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A) 에서는 제 1 탄성 아암부 (42A) 의 제 1 접촉부 (42A-2) 와 제 2 탄성 아암부 (43A) 의 제 2 접촉부 (43A-2) 는, 모두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의 일방향을 향한 자유단을 갖고 있었지만, 도 5 의 예에서는, 제 1 탄성 아암부 (42A) 그리고 그 제 1 접촉부 (42A-2) 는 도 4(A) 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제 2 탄성 아암부 (43A') 의 제 2 접촉부 (43A'-2) 는 그 자유단이 도 4(A) 의 경우와 역방향, 즉,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의 타방향을 향하여, 제 1 접촉부 (42A-2) 와 대향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40A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5 without being shaped as shown in Fig. 4 (A). 4A,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42A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43A are both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5,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42A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thereof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case of Fig. 4 (A), but the second elasticity portion 42A-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of the arm portion 43A 'has its free end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ase of FIG. 4A, that is,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42A-2.

도 5 에 있어서의 제 2 탄성 아암부 (43A') 는, 도 4(A) 의 경우와 동일한 제 2 직상부 (43A'-1) 의 선단을 제 2 접촉부 (43A'-2) 에 연결하는 2 단 굴곡부 (43A'-3) 가 도 4(A) 의 경우의 제 2 탄성 아암부 (43A) 에 있어서의 2 단 굴곡부 (43A-3) 와 형태가 상이하다. 도 5 에 있어서의 2 단 굴곡부 (43A'-3) 는, 상기 제 2 직상부 (43A'-1) 의 선단에서 그 제 2 직상부 (43A'-1) 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굴곡되어 제 1 기부 (41A-1) 와 평행한 압연판면을 갖는 중간부 (43A'-4) 를 형성하고 나서 그 중간부 (43A'-4) 의 일 가장자리에서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의 일단측을 이루는 부분을 압연판면에 대하여 굴곡시켜 들어올리고 나서 상기 단자 길이 방향의 타방향을 향하여 굴곡시킴으로써 제 2 접촉부 (43A'-2) 를 형성하고, 그 제 2 접촉부 (43A'-2) 는 자유단을 그 타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제 1 접촉부 (42A-2) 와는 자유단끼리가 역방향이 되도록 되어 있다.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43A 'in FIG. 5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43A' in that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straight portion 43A'-1, which is the same as that in FIG. 4A,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 The two-step bent portion 43A'-3 is different in shape from the two-step bent portion 43A-3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43A in the case of Fig. 4A. The two-step bent portion 43A'-3 in FIG. 5 is bent at the lower edge of the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43A'-1 at the tip of the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43A'-1, (43A'-4) having a rolled plate surfac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41A-1) is formed, and a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43A'-4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is formed by bend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43A'-2 bend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against the rolled plate surface and bend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toward the other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So that the free ends of the first contact portions 42A-2 are opposite to the first contact portions 42A-2.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제 2 접촉부 (43A'-2) 는, 그 상면이 압연판면이 되지만, 상기 2 단 굴곡부 (43A'-3) 의 굴곡 순서에서 기인하여, 제 1 접촉부 (42A-2) 의 상면과 반대측의 압연판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 도 5 의 형태의 제 2 접촉부 (43A'-2) 에 의하면, 제 2 접촉부 (43A'-2) 는,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상대 접속체에 가장 가까운 부분, 즉, 상대 접속체가 접속 개시시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은, 상대 접속체 쪽을 향하여 볼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상대 접속체는 충돌하려고 해도 바로 제 2 접촉부 (43A'-2) 의 사면에 안내되므로, 충돌에 의한 단자의 손상이 없이 원활하게 접속된다.Alth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formed in this way becomes the rolled plate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due to the bending order of the two- And the rolled plat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According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portion closest to the counterpart connector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Since the portion that may collide at the start is convexly curved toward the counterpart, the counterpart is guided to the slop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immediately after the counterpart collides against the counterpart, It is connected smoothly without any damage.

도 5 의 예에서는, 장착부 (44A) 는 압접 홈 (44A-1)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압접 홈 (44A-1) 의 대향 내측 가장자리가 압접날을 이루고 있고, 이 압접 홈 (44A-1) 으로 케이블의 심선이 압접 결선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example of Fig. 5, the mounting portion 44A is formed with the pressure-contacting groove 44A-1, and the opposing inner edge of the pressure-contacting groove 44A- So that the core wire of the cable is connected by pressure contact.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커넥터 (Ⅰ) 에 접속되는 상대 접속체로서의 상대 커넥터 (Ⅱ) 에 대해, 도 3 에 기초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Next, a mating connector (II) as a mating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I)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 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 (Ⅱ) 는 전기 절연 재료제의 하우징 (50) 에 상대 단자 (60) 와 금속판제의 실드 케이스 (70) 를 유지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3, the mating connector II is formed by holding a mating terminal 60 and a metal shield case 70 in a housing 50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하우징 (50) 은, 대략 직방체 외형의 본체부 (51) 와 그 본체부 (51) 로부터 상기 커넥터 (Ⅰ) 쪽을 향하여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고 단자 배열 방향 (Y) 으로 확대되는 중앙판부 (52) 를 갖고 있다. 그 중앙판부 (52) 의 상하면에는, 후술하는 단자 (60) 를 수용하기 위한 단자 홈 (53) 이 단자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단자 홈 (53) 은 상기 본체부 (51) 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하우징 (50) 에는, 그 바닥면에 회로 기판 (도시 생략) 과의 위치 결정을 위한 단주부 (短柱部) (54) 등이 형성되어 있다.The housing 5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main body portion 51 and a center portion 51 extending from the main portion 51 toward the connector I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and extending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And has a plate portion 52. A terminal groove 53 for receiving a terminal 6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groove 53 i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51 are also penetrated. The housing 50 is provided with a short pillar portion 54 for positioning with a circuit board (not shown)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단자 (60) 는, 금속 띠상편을 굴곡시켜 제조되어 있고, 대략 L 자상을 이루고 있다. 대략 L 자상을 이루는 그 단자 (60) 는 하우징 (50) 의 바닥면 (도 3 에서 좌측면) 측에 접속부 (61) 그리고 상기 단자 홈 (53) 내에 수용되는 접촉부 (62) 를 갖고, 접촉부 (62) 보다 자유단측이 상기 단자 홈 (53) 의 홈 바닥에 위치하도록 경사 그리고 굴곡된 선단 안내부 (63) 를 형성하고, 그 선단 안내부 (63) 가 그 경사부에서 커넥터 (Ⅰ) 의 단자 (40A, 40B) 를 접촉 개시시에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접촉부 (62) 의 대부분은 단자 홈 (53) 내에서 뜬 상태에 있고, 단자 홈 (53) 의 홈 바닥 쪽을 향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 (61) 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 (도시 생략) 등에 땜납 접속된다. 금속제의 실드 케이스 (70) 는, 하우징 (50) 의 본체부 (51) 의 외주면에서 유지되는 피유지 통부 (71) 와, 그 피유지 통부 (71) 로부터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의 타방향, 즉 커넥터 (Ⅰ) 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부 (空筒部) (72) 를 갖고 있다. 그 공통부 (72) 는, 하우징 (50) 의 본체부 (51) 의 상기 타방향에서의 단부 위치에서 상기 피유지 통부 (71) 에 대하여 단상으로 작은 외형을 이루고 그대로 상기 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공통부 (72) 는, 그 내통면이 상기 커넥터 (Ⅰ) 의 하우징 (10) 의 전통부 (11) 의 외측에 끼워져 그 전통부 (11) 를 포위하고, 상하 내면에서 그 전통부 (11) 와의 사이에 근소한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그 공통부 (72) 의 상하 내면에는, 그 공통부 (72) 의 상하벽을 내측으로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해 팽출시키는 맞닿음 돌출부 (72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맞닿음 돌출부 (72A) 는, 상기 전통부 (11) 의 외측에 끼워졌을 때에 그 전통부 (11) 와의 맞닿음에 의해 공통부 (72) 의 상하벽에 약간의 탄성 휨을 발생시켜, 이 전통부 (11) 와의 맞닿음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The terminal 60 is manufactured by bending the metal strip top piece, and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L shape. The terminal 60, which is substantially L-shaped, has a connecting portion 61 on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left side in FIG. 3) of the housing 50 and a contacting portion 62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groove 53, The free end of the connector I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groove of the terminal groove 53 and the leading end guide portion 63 is inclined and bent so that the tip end guide portion 63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40A, 40B) at the start of contact. Most of the abutting portion 62 is in a floating state in the terminal groove 53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toward the bottom of the groove of the terminal groove 53. [ The connection portion 61 is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not shown), for example, by soldering. The shield case 70 made of metal is provided with a to-be-held tubular portion 71 which is hel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51 of the housing 50 and a to-be- , That is, a common portion (air cylinder portion) 72 extend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onnector I. The common portion 72 has a small outer shape in a single phase with respect to the held tube portion 71 at an end position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51 of the housing 50 and extends in the other direction . The common portion 72 is formed so that its inner surface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traditional portion 11 of the housing 10 of the connector I to surround the traditional portion 11, And a small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m. The upper and lower inner surfaces of the common portion 72 are provided with abutting protrusions 72A for expanding the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common portion 72 inwardly by embossing or the like. The abutting protrusion 72A has a slight elastic flexure on the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common portion 72 when abutted against the traditional portion 11 when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traditional portion 11, The abutment against the portion 11 is assured.

이와 같이 형성된 상대 접속체로서의 상대 커넥터 (Ⅱ) 는, 다음의 요령으로 이미 서술한 커넥터 (Ⅰ) 에 접속된다.The counterpart connector II as the counterpart connector thus formed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I already described in the following manner.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Ⅰ) 의 전통부 (11) 와 상대 커넥터 (Ⅱ) 의 공통부 (72) 가 마주보도록 하여,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커넥터 (Ⅰ) 와 상대 커넥터 (Ⅱ) 를 근접 배치한다.The connector I and the mating connector I are arranged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X such that the traditional portion 11 of the connector I and the common portion 72 of the mating connector II are opposed to each other, II) are arranged close to each other.

이러한 상태에서, 커넥터 (Ⅰ) 의 하우징 (10) 의 전통부 (11) 의 외주면을 덮고 있는 실드 케이스 (20) 의 통부 (21) 의 외주면을 상기 상대 커넥터 (Ⅱ) 의 실드 케이스 (70) 의 공통부 (72) 에 끼워 넣으면, 커넥터 (Ⅰ) 의 단자 (40A ; 40B) 의 제 1 접촉부 (42A-2 ; 42B-2) 와 제 2 접촉부 (43A-2 ; 43B-2) 는, 상기 상대 커넥터 (Ⅱ) 의 단자 (60 ; 60) 의 접촉부 (62 ; 62) 와 탄성력에 의한 접압을 갖고 접촉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21 of the shield case 20 cover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ditional portion 11 of the housing 10 of the connector I is inserted into the shield case 70 of the mating connector II The first contact portions 42A-2 and 42B-2 of the terminals 40A and 40B of the connector I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s 43A-2 and 43B-2 are inserted into the common portion 72, Contacts with the contact portions 62 (62) of the terminals (60; 60) of the connector (II) with a contact pressure by elastic force.

상기 커넥터 (Ⅰ) 의 단자 (40A ; 40B) 와 상대 커넥터 (Ⅱ) 의 단자 (60 ; 60) 의 접촉은, 커넥터 (Ⅰ) 에 대한 상대 커넥터 (Ⅱ) 의 외측 끼움 개시 당초에는, 단자 (40A) 의 제 1 접촉부 (42A-2) 와 제 2 접촉부 (43A-2) 가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 전후하고,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는 동 위치에 있으므로 (단자 (40B) 에 대해서도 동일), 상대 커넥터 (Ⅱ) 에 커넥터 (Ⅰ) 를 끼워 넣는 것이 깊어짐에 따라, 상대 커넥터 (Ⅱ) 의 단자 (60) 는, 먼저 커넥터 (Ⅰ) 의 단자 (40A ; 40B) 의 제 2 접촉부 (43A-2, 43B-2) 와 접촉한 후, 제 1 접촉부 (42A-2 ; 42B-2) 와도 접촉하게 된다.The contact between the terminals 40A and 40B of the connector I and the terminals 60 and 60 of the mating connector II is carried out at the beginning of the outer fitting of the mating connector II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I,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2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43A-2 are located in the same position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the same applies to the terminal 40B) The terminal 60 of the mating connector II is firs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s 43A-40B of the terminals 40A and 40B of the connector I as the deepening of the connector I into the mating connector II becomes deeper, 2 and 43B-2, and the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s 42A-2 and 42B-2.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 (40A ; 40B) 의 제 1 접촉부 (42A-2 ; 42B-2) 와 제 2 접촉부 (43A-2, 43B-2) 는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는 대략 동 위치에 있지만, 단자 길이 방향 (X) 에서는 상이한 위치에 있어, 상기 제 2 접촉부 (43A-2 ; 43B-2) 가 상대 커넥터 (Ⅱ) 의 단자 (60) 와 맞닿아 커넥터 높이 방향 (Z) 에서 크게 탄성 변형하더라도, 제 2 접촉부 (43A-2, 43B-2) 가 제 1 탄성 아암부 (42A ; 42B) 와 간섭하지 않아, 큰 탄성 변형량, 즉, 상대 커넥터 (Ⅱ) 의 단자 (60) 와 큰 접압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s 42A-2 and 42B-2 of the terminals 40A and 40B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s 43A-2 and 43B-2 are substantially in the same position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The second contact portions 43A-2 and 43B-2 abut against the terminals 60 of the mating connector II and are elastically deformed largely in the connector height direction Z, The second contact portions 43A-2 and 43B-2 do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s 42A and 42B so that a large elastic deformation amount, that is, a large contact pressure with the terminals 60 of the mating connector II .

그러나,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 (42A ; 42B) 와 제 2 탄성 아암부 (43A ; 43B) 는, 기부 (41A) 를 단자 소재의 압연판면을 직각으로 굴곡시켜 형성함으로써,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 위치를 달리 하고 있으므로, 단자 (40A ; 40B) 의 단자 폭 치수 (단자 배열 방향 (Y) 에서의 치수) 는, 제 1 탄성 아암부 (42A ; 42B) 의 폭 치수에 제 2 탄성 아암부 (43A ; 43B) 의 판두께 치수를 더하기만 한 치수가 되어, 작은 단자 폭 치수로 억제되고, 커넥터 (Ⅰ) 에 있어서, 단자의 고밀도 배열, 즉, 커넥터의 폭 치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The first elastic arm portions 42A and 42B and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s 43A and 43B are formed by bending the base portion 41A at a right angle to the rolled plate surface of the terminal material, The terminal width dimension (the dimension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 of the terminals 40A and 40B is set such that the width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42A (42B) 43A, 43B), and is reduced to a small terminal width dimension. In the connector I, high-density arrangement of the terminals, that is, the width dimension of the connector can be reduced.

10 : 하우징
40 (40A ; 40B) : 단자
41A (41B) : 기부
41A-1 (41B-1) : 제 1 기부
41A-2 (41B-2) : 제 2 기부
42A (42B) : 제 1 탄성 아암부
42A-1 (42B-1) : 제 1 직상부
42A-2 (42B-2) : 제 1 접촉부
43A (43B) : 제 2 탄성 아암부
43A-1 (43B-1) : 제 2 직상부
43A-2 (43B-2) : 제 2 접촉부
44A (44B) : 장착부
Ⅰ : 커넥터
Ⅱ : 상대 접속체 (상대 커넥터)
X : 단자 길이 방향
Y : 단자 배열 방향
Z : 커넥터 높이 방향
10: Housing
40 (40A; 40B): terminal
41A (41B): donor
41A-1 (41B-1): First base
41A-2 (41B-2): the second base
42A (42B): a first elastic arm portion
42A-1 < / RTI > 42B-1:
42A-2 (42B-2): a first contact
43A (43B):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43A-1 < / RTI > 43B-1:
43A-2 (43B-2): The second contact
44A (44B): mounting portion
Ⅰ: Connector
II: Relative connector (relative connector)
X: Terminal length direction
Y: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Z: Connector height direction

Claims (5)

상대 접속체에 대한 접속 방향을 단자 길이 방향으로 하는 단자가 그 단자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에 의해 복수 배열 유지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는, 굴곡 상태의 금속판제로 일 부재를 이루고,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 인접하여 병설되고, 단자 길이 방향에서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탄성 아암부와 제 2 탄성 아암부를 갖고, 그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와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기부가, 각각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압연판면끼리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굴곡 상태로 연결된 기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기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 그리고 제 2 탄성 아암부와는 반대 방향이 되는 타방향에 위치하고 도전 조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갖고,
제 1 탄성 아암부는, 제 1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직상부와, 그 제 1 직상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자유단까지 연장되어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기 위한 제 1 접촉부와, 제 1 기부, 제 1 직상부 그리고 제 1 접촉부의 어느 압연판면도 단자 배열 방향과 평행한 면을 이루고,
제 2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제 2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그 제 1 직상부보다 선측 위치까지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직상부와, 제 2 직상부의 선단에서 단자 배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에서 굴곡되고 또한 상기 단자 길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일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부보다 선측에 위치하는 제 2 접촉부를 갖고, 제 1 접촉부도 제 2 접촉부도 압연판면에서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대 접속체가 상기 접속 방향에서의 이동으로 제 2 접촉부와의 접촉 후에 제 1 접촉부와도 접촉하도록 제 2 접촉부가 제 1 접촉부에 대하여 위치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Wherein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and held in a terminal array dir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s, the terminals having a terminal connec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connector,
The terminal has a first resilient arm portion and a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which are joined to each other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extend in one direc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base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form base portion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bent stat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conductive support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has a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in on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toward the free end toward the one direction, The contact portion, the first base portion,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has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toward the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traight portion toward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ward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also provided on the rolled plate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has a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so that the relative contact member also contacts the first contact portion after the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due to the movement in the connection direction.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접촉부는, 그 자유단이 단자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접촉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이 되는 상기 일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is directed in the one direction in which the free end thereof i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resilient arm por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접촉부는, 그 자유단이 단자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접촉부에 근접하는 방향이 되는 상기 타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is direc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free end of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being in a direction close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resilient arm portion in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와 상기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기부 중 적어도 제 2 기부에 보강용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reinforcing rib is formed on at least a second base portion of the first base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상대 접속체에 대한 접속 방향을 단자 길이 방향으로 하는 단자가 그 단자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에 의해 복수 배열 유지된 전기 커넥터를 위한 단자에 있어서,
단자는, 굴곡 상태의 금속판제로 일 부재를 이루고,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 인접하여 병설된 제 1 탄성 아암부와 제 2 탄성 아암부를 갖고, 그 제 1 탄성 아암부의 제 1 기부와 제 2 탄성 아암부의 제 2 기부가, 각각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압연판면끼리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굴곡 상태로 연결된 기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기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탄성 아암부 그리고 제 2 탄성 아암부와는 반대 방향이 되는 타방향에 위치하고 도전 조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갖고,
제 1 탄성 아암부는, 제 1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직상부와, 그 제 1 직상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자유단까지 연장되어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기 위한 제 1 접촉부와, 제 1 기부, 제 1 직상부 그리고 제 1 접촉부의 어느 압연판면도 단자 배열 방향과 평행한 면을 이루고,
제 2 탄성 아암부는, 상기 제 2 기부로부터 상기 단자 길이 방향에서 그 제 1 직상부보다 선측 위치까지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직상부와, 제 2 직상부의 선단에서 단자 배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에서 굴곡되고 또한 상기 단자 길이 방향을 향하며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일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부보다 선측에 위치하는 제 2 접촉부를 갖고, 제 1 접촉부도 제 2 접촉부도 압연판면에서 상대 접속체와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대 접속체가 상기 접속 방향에서의 이동으로 제 2 접촉부와의 접촉 후에 제 1 접촉부와도 접촉하도록 제 2 접촉부가 제 1 접촉부에 대하여 위치 관계를 갖고 있는 제 2 접촉부를 통과하는 접속 방향의 직선이 제 1 접촉부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를 위한 단자.
A termina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and arranged in a terminal array dir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erminal has a first resilient arm portion and a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which are juxtaposed and adjacently arranged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first base portion and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of the first resilient arm portion The second base portion forms a base connected to the rolling surfaces perpendicular to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in a bent stat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conductive support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has a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in on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toward the free end toward the one direction, The contact portion, the first base portion,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The second resilient arm portion has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toward the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straight upp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straight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traight portion toward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ward the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also provided on the rolled plate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contact portion hav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so that the relative contac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after the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due to the movement in the connection direction Wherein a straight line in the connecting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first contact portion.
KR1020180101943A 2017-09-25 2018-08-29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KR1022746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3325A JP6861603B2 (en) 2017-09-25 2017-09-25 Electrical connectors and terminals
JPJP-P-2017-183325 2017-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501A true KR20190035501A (en) 2019-04-03
KR102274642B1 KR102274642B1 (en) 2021-07-07

Family

ID=6563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943A KR102274642B1 (en) 2017-09-25 2018-08-29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61603B2 (en)
KR (1) KR102274642B1 (en)
CN (1) CN109560409B (en)
DE (1) DE10201821624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0878A (en) * 2021-12-02 2022-04-08 鹤山市得润电子科技有限公司 Terminal, forming method and electric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060U (en) * 1989-08-09 1991-03-28
JP2005317262A (en) * 2004-04-27 2005-11-10 Hirose Electric Co Ltd Connector for card and contact terminal for card to be used for the connector
JP2015005504A (en) * 2013-05-24 2015-01-0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2016173998A (en) 2014-08-06 2016-09-29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Contact and connector employing the 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060Y2 (en) * 1986-09-27 1991-07-08
CN101645557B (en) * 2008-08-10 2011-09-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Electric connector terminal
CN201285939Y (en) * 2008-09-04 2009-08-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Electric connector
JP2012221592A (en) * 2011-04-04 2012-11-12 Fujitsu Component Ltd Connector
KR20140008879A (en) * 2012-07-12 2014-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nector terminal having improved insertion and joint stability
WO2015125839A1 (en) * 2014-02-18 2015-08-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CN204333352U (en) * 2014-09-11 2015-05-13 得意精密电子(苏州)有限公司 Socket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060U (en) * 1989-08-09 1991-03-28
JP2005317262A (en) * 2004-04-27 2005-11-10 Hirose Electric Co Ltd Connector for card and contact terminal for card to be used for the connector
JP2015005504A (en) * 2013-05-24 2015-01-0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EP2950397A1 (en) * 2013-05-24 2015-12-02 Iriso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JP2016173998A (en) 2014-08-06 2016-09-29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Contact and connector employing the cont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60409B (en) 2021-07-27
CN109560409A (en) 2019-04-02
DE102018216248A1 (en) 2019-03-28
JP6861603B2 (en) 2021-04-21
KR102274642B1 (en) 2021-07-07
JP2019061770A (en)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6804B2 (en) connector
KR101762556B1 (en) Connector
US10498082B2 (en) Terminal structure that supports movement between two housings
JP7154782B2 (en) movable connector
JP7107708B2 (en) connector
US6390860B2 (en) Connector with a terminal deflection preventing mechanism
JPH0945404A (en) Female terminal
JP2014110214A (en) Female terminal
US9887481B2 (en) Termin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KR20180025187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JP2019071184A (en) connector
TWI641186B (en)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floating connector, and soldering member of floating connector
JP2004273154A (en) Joint connector and terminal
KR102425767B1 (en) A contact blade for a socket-shaped connector part, and a socket-shaped connector part
US20200169040A1 (en)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KR20190035501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JP6069541B2 (en) connector
CN108493648B (en) Electrical connector
JP4343029B2 (en) Board mounting type electrical connector
JP2022037547A (en) Terminal fitting and chain terminal
JP6431277B2 (en) connector
US20230246352A1 (en) Connector
JP7407551B2 (en) terminals and connectors
US10727622B2 (en) Board-mounted connector
US20230402770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