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409A -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409A
KR20190035409A KR1020170124579A KR20170124579A KR20190035409A KR 20190035409 A KR20190035409 A KR 20190035409A KR 1020170124579 A KR1020170124579 A KR 1020170124579A KR 20170124579 A KR20170124579 A KR 20170124579A KR 20190035409 A KR20190035409 A KR 20190035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sage
reference value
information
power consumption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형
노동희
박지영
정재하
김승혜
배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124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5409A/ko
Publication of KR20190035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단말이 서버로부터 수용가(consumer, 需用家)의 전력 사용량 및 전력 사용량의 누진단계 정보를 포함하는 참조값(reference value)을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이, 상기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참조값을 비교하고, 시각적으로 대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ELECTRIC POWER USAGE}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기존의 전력 사용량 계량기는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원격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기존의 전력 사용량 계량기는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누진 단계와 비교하기 어렵다.
기존의 전력 사용량 계량기는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다른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과 비교하기 어렵다.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누진 단계와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다른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은, 단말이, 서버로부터 수용가(consumer, 需用家)의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전력 사용량의 누진단계 정보를 포함하는 참조값(reference value)을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이,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참조값을 비교하고, 시각적으로 대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 정보는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전자계량기로부터 수신된 것이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복수의 표시영역을 통해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참조값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은, 상기 누진단계 정보와 대응되는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 중 하나를 가리키는 바늘을 포함하는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에 따라 게이지(gauge)가 바닥에서부터 증가하는 전력 사용량 표시영역 및 상기 참조값을 표시하는 참조값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영역의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은, 상기 바늘이 지나온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상기 바늘이 가리키고 있는 전력 사용량 구간의 색이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제2 표시영역의 게이지는 상기 제1 표시영역에서 상기 바늘이 가리키는 전력 사용량 구간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영역은 현재까지의 누적 전력 사용량 정보 및 다음(next) 전력 사용량 구간과의 차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영역은 3개의 전력 사용량 구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3개의 전력 사용량 구간은 가장 낮은 전력 사용량 구간부터 가장 높은 전력 사용량 구간까지 각각 녹색, 황색 및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게이지는 표면이 유동(flow, 流動)하는 동적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참조값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측정된 상기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일 수 있다.
상기 참조값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인 상대 참조값(relative reference value)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은,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기 상대 참조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변화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상대 참조값과 각각 대응되는 제1 표정 아이콘 및 제2 표정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3 표시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용가와 상기 수용가는 상기 서버에 등록된 넓이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기 상대 참조값의 비교 결과,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기 상대 참조값의 비교 결과,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은, 프로세서,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정보를 노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용가(consumer, 需用家)의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전력 사용량의 누진단계 정보를 포함하는 참조값(reference value)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참조값을 비교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참조값이 시각적으로 대비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 정보는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전자계량기로부터 수신된다.
상기 표시부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복수의 표시영역을 통해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참조값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은, 상기 누진단계 정보와 대응되는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 중 하나를 가리키는 바늘을 포함하는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에 따라 게이지(gauge)가 바닥에서부터 증가하는 전력 사용량 표시영역 및 상기 참조값을 표시하는 참조값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영역의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은, 상기 바늘이 지나온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상기 바늘이 가리키고 있는 전력 사용량 구간의 색이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제2 표시영역의 게이지는 상기 제1 표시영역에서 상기 바늘이 가리키는 전력 사용량 구간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영역은 현재까지의 누적 전력 사용량 정보 및 다음(next) 전력 사용량 구간과의 차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영역은 3개의 전력 사용량 구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3개의 전력 사용량 구간을 낮은 전력 사용량 구간부터 높은 전력 사용량 구간까지 각각 녹색, 황색 및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게이지는 표면이 유동(flow, 流動)하는 동적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참조값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측정된 상기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일 수 있다.
상기 참조값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인 상대 참조값(relative reference value)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은,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기 상대 참조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변화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상대 참조값과 각각 대응되는 제1 표정 아이콘 및 제2 표정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3 표시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용가와 상기 수용가를 상기 서버에 등록된 넓이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기 상대 참조값의 비교한 결과,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기 상대 참조값의 비교한 결과,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누진 단계와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다른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도 1은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서버 및 전자 계량기를 도시한다.
도 2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100), 서버(200) 및 전자 계량기를 도시한다.
도 2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100)의 블록도이다.
단말(100), 서버(200) 및 전자 계량기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단말(100)은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기기 중 하나일 수 있다. 단말(100)은, 전자 계량기가 전송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서버(2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전자 계량기는 수용가(consumer, 需用家)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가에서 사용 중인 가전기기 각각의 사용 전력량 및 총 사용 전력량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IoT 전력 계량기, 에너지미터, 스마트미터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수용가는 전력을 소비하는 가정을 지칭한다.
단말(100)은 프로세서, 서버(20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정보를 노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용가(consumer, 需用家)의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전력 사용량의 누진단계 정보를 포함하는 참조값(reference value)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참조값을 비교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참조값이 시각적으로 대비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 정보는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전자계량기(300)로부터 수신된다.
누진단계는 특정한 기준(e.g. 한국전력[KEPCO]이 제시한 기준 등)에 따라 전력 사용량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눈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진단계는 전력 사용량 0kWh 이상부터 200kWh 이하를 포함하는 제1 전력 사용량 구간, 201kWh 이상부터 400kWh 이하를 포함하는 제2 전력 사용량 구간 및 401kWh 이상을 포함하는 제3 전력 사용량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값은,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으로 누진단계 정보 및 미리 정해진 기간(e.g. 1주, 1월, 6월 등) 동안 수용가가 사용한 평균 전력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전력 사용량의 누진단계 정보를 포함하는 참조값을 수신한다(S100).
단말(100)은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복수의 표시영역을 통해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참조값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도 4a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제1 표시영역을 차량 계기판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표시할 수 있고, 제2 표시영역을 일정한 부피를 가진 용기에 액체가 채워지는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표시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단말(100)은 복수의 표시영역을 일정 각도의 부채꼴 형태, 원 형태, 직선 형태, 다각형 형태, 캐릭터 형태, 기타 형태 또는 그것들의 조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도 4a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표시영역의 중단부에 제1 표시영역을 노출하고, 표시영역의 하단부에 제2 표시영역을 노출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과 제2 표시영역은 위 실시예와 상반되도록 배치되거나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단말(100)은 표시영역의 상단부에 "전기료 알리미"라는 텍스트를 더 노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누진단계 정보와 대응되는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전력 사용량 정보에 따라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 중 하나를 가리키는 바늘을 포함하는 제1 표시영역과 전력 사용량 정보에 따라 게이지가 바닥에서부터 증가하는 전력 사용량 표시영역 및 상기 참조값을 표시하는 참조값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는 표면이 유동(flow, 流動)하는 동적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하는 동적이미지는 액체의 표면이 찰랑거리는 모양, 일렁거리는 모양, 여울지는 모양, 잔물결, 잔잔한 파도, 넘실대는 모양 등 다양한 움직임 중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제2 표시영역의 전력 사용량 표시영역 및 참조값 표시영역의 게이지의 최상단부는 액체의 표면이 일렁거리는 모양으로 유동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르면, 상기 동적이미지는 상기 게이지에 액체에 열이 가해짐으로써 액체의 아래로부터 기포가 끓어오르거나 표면에 기포가 발생하는 움직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또 다른 일례에 따르면, 상기 동적이미지는 상기 게이지에 상하좌우 중 한 방향 또는 불규칙한 방향으로 흔들림이 발생하는 움직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도시되지 않음).
도 4a 내지 도 4c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누진단계 정보는 바늘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에 위치한 제1 전력 사용량 구간(0kWh~200kWh), 상측에 위치한 제2 전력 사용량 구간(201kWh~400kWh) 및 우측에 위치한 제3 전력 사용량 구간(401kWh 이상)이라는 3개의 전력 사용량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참조값을 비교하고, 시각적으로 대비되도록 표시한다(S110).
도 4a 내지 도 4c는 부채꼴 형태로 표시된 전력 사용량 구간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a의 바늘은 제1 전력 사용량 구간을 가리키고, 도 4b의 바늘은 제2 전력 사용량 구간을 가리키며, 도 4c의 바늘은 제3 전력 사용량 구간을 가리킨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3개의 전력 사용량 구간은 공백을 사이에 두고 시각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사용량 구간은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도시되지 않음).
계속해서 도 4a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제2 표시영역의 좌측에 전력 사용량 정보에 따라 게이지가 바닥에서부터 바닥의 위쪽을 향해 증가하는 "전력 사용량 표시영역"을 통해 수용가의 누적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고, 제2 표시영역의 우측에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참조값을 표시하는 "참조값 표시영역"을 통해 수용가의 예상 전력 사용량을 표시할 수 있다. 누적 전력 사용량은 수용가가 특정한 기간(e.g. 09.01에서 09.10 등) 누적하여 소비한 전력 사용량일 수 있고, 예상 전력 사용량은 특정한 기간(e.g. 1주, 1개월, 6개월, 1년 등) 동안 수용가가 소비한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즉, 수용가의 전력 소비 패턴으로부터 추출된 값)일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전력 사용량 표시영역과 참조값 표시영역의 위치는 도 4a와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표시영역의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은,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은 상기 바늘이 지나온 전력 사용량 구간 및 바늘이 가리키고 있는 전력 사용량 구간의 색이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전력 사용량 구간은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검은색, 흰색, 주황색, 분홍색, 보라색, 갈색, 연두색, 상아색 등 다양한 색 중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단말(100)은 제2 표시영역의 게이지의 색을 제1 표시영역의 바늘이 가리키는 전력 사용량 구간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누진 단계가 3개의 전력 사용량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100)은 제1 전력 사용량 구간은 녹색으로 표시하고, 제2 전력 사용량 구간은 황색으로 표시하며, 제3 전력 사용량 구간은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영역의 "참조값 표시영역"은 수용가의 예상 전력 사용량과 대응되는 높이로(또는, 상기 높이만큼 증가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참조값 표시영역"은 수용가의 예상 전력 사용량인 380kWh 및 그와 대응되는 높이의 게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참조값 표시영역"의 게이지의 색은 좌측의 "전력 사용량 표시영역" 게이지의 색과 다른 색(e.g.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도 4a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09.01부터 09.10까지 수용가의 누적 전력 사용량 150kWh 및 수용가의 예상 전력 사용량 380kWh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시영역의 바늘은 제1 전력 사용량 구간 중 현재까지의 누적 전력 사용량 150kWh에 대응되는 지점을 가리킬 수 있고, 제2 표시영역의 게이지는 제2 표시영역의 바닥에서부터 상기 누적 전력 사용량 150kWh와 대응되는 높이로(또는, 상기 높이만큼 증가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이 가리키는 제1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상기 게이지는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바늘이 아직 지난 적 없는 전력 사용량 구간(e.g. 제2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제3 전력 사용량 구간)들은 서로 동일한 색(e.g. 회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른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09.01부터 09.20까지 수용가의 누적 전력 사용량 360kWh 및 수용가의 예상 전력 사용량은 380kWh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시영역의 바늘은 제2 전력 사용량 구간 중 현재까지의 누적 전력 사용량 360kWh에 대응되는 지점을 가리킬 수 있고, 제2 표시영역의 게이지는 제2 표시영역의 바닥에서부터 상기 누적 전력 사용량 360kWh와 대응되는 높이로(또는, 상기 높이만큼 증가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이 가리키는 제2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상기 게이지는 황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늘이 이미 지나온 전력 사용량 구간(e.g. 제1 전력 사용량 구간)의 색은 변하지 않고 유지(e.g. 녹색)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따른 도 4c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09.01부터 09.19까지 수용가의 누적 전력 사용량 430kWh 및 수용가의 예상 전력 사용량은 380kWh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시영역의 바늘은 제3 전력 사용량 구간 중 현재까지의 누적 전력 사용량 430kWh에 대응되는 지점을 가리킬 수 있고, 제2 표시영역의 게이지는 제2 표시영역의 바닥에서부터 상기 누적 전력 사용량 430kWh와 대응되는 높이로(또는, 상기 높이만큼 증가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이 가리키는 제3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상기 게이지는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늘이 이미 지나온 전력 사용량 구간(e.g. 제1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제2 전력 사용량 구간)의 색은 변하지 않고 유지(e.g. 각각 녹색 및 황색)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 또는 제2 표시영역은 현재까지의 누적 전력 사용량 정보와 다음(next) 전력 사용량 구간과의 차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차이는 텍스트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수용가의 누적 전력 사용량이 150kWh인 경우, 단말(100)은 다음 누진단계인 제2 전력 사용량 구간까지의 차이 50kWh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2단계까지 50kWh 남음"이라는 형식의 텍스트를 통해 상기 차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르면, 수용가의 누적 전력 사용량이 360kWh인 경우, 단말(100)은 다음 누진단계인 제3 전력 사용량 구간까지의 차이 40kWh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3단계까지 40kWh 남음"이라는 형식의 텍스트를 통해 상기 차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따르면, 수용가의 누적 전력 사용량이 430kWh이 최대 누진단계(e.g. 3단계)로 진입한 경우, 단말(100)은 "3단계를 30kWh 초과함"이라는 형식의 텍스트를 통해 상기 차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참조값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인 상대 참조값(relative reference valu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은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대 상대 참조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변화하고,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대 참조값과 각각 대응되는 제1 표정 아이콘 및 제2 표정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3 표시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은 제3 표시영역과 제1, 제2 표시영역을 한 번에 모두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화면 전환을 통해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제1 표시영역 및 제2 표시영역은 동시에 출력하되, 도 5a 및 도 5b와 같이 화면 전환을 통해 제3 표시영역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용가와 상기 수용가는 서버(200)에 등록된 넓이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넓이 정보는 평수 또는 m2로 표시될 수 있다. 넓이 정보에 기초하여 수용가를 카테고리화 함으로써, 유사한 조건(e.g. 넓이)을 가진 수용가들 간의 전력 사용량을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용가와 상기 수용가는 같은 단위 내 지역(e.g. 동이나 구와 같은 행정적 구분 상의 지역 또는 동일한 아파트 단지) 내에 위치한 것일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서버(200)는 넓이 정보가 동일한 복수의 수용가를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에 등록된 수용가 A의 넓이 정보는 30평이고, 다른 수용가 B의 넓이 정보도 30평인 경우, 수용가 A 및 B를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서버(200)는 넓이 정보를 일정 구간에 따라 카테고리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수용가의 넓이 정보를 10-15, 16-20, 21-25, 26-30, 31-35, 36-40 등의 구간으로 카테고리화 하고, 서버(200)에 등록된 수용가 A의 넓이 정보가 30평이고, 다른 수용가 C의 넓이 정보는 33평인 경우, 수용가 A 및 C를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일정 구간에 따라 넓이 정보를 카테고리화함으로써 동일하지 않더라도 유사한 조건을 가진 수용가들 간의 전력 사용량을 유의미하게 비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100)은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대 참조값의 비교 결과,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대 참조값 미만인 경우, 제1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고, 제2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고,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대 참조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3 표시영역은 상단에 위치한 하나의 표정 아이콘과 하단에 위치한 두 개의 표정 아이콘(제1 표정 아이콘 및 제2 표정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정 아이콘은 및 제2 표정 아이콘은 수용가와 다른 수용가 간의 상대적인 전력 사용량에 따라 다른 표정을 가지도록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단에 위치한 두 개의 표정 아이콘 중 "누적 사용량" 텍스트 바로 아래에 있는 표정 아이콘은 제1 표정 아이콘이고, "이웃집 평균 사용량" 텍스트 바로 아래에 있는 표정 아이콘은 제2 표정 아이콘일 수 있다. 제3 표시영역의 상단에 위치한 표정 아이콘은 하단에 위치한 제1 표정 아이콘과 대응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도 5a를 참조하면, 누적 사용량으로 표시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가 150kWh이고, 이웃집 평균 사용량으로 표시되는 상대 참조값이 250kWh이므로 단말(100)은 제1 표정 아이콘의 웃는 표정을 표현하기 위해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고, 제2 표정 아이콘의 불쾌한 표정을 표현하기 위해 입꼬리는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른 도 5b를 참조하면, 누적 사용량으로 표시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가 360kWh이고, 이웃집 평균 사용량으로 표시되는 상대 참조값이 250kWh이므로 단말(100)은 제1 표정 아이콘의 불쾌한 표정을 표현하기 위해 입꼬리가 아래로 내려가고, 제2 표정 아이콘의 웃는 표정을 표현하기 위해 입꼬리는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100)은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대 참조값의 비교 결과,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대 참조값 미만인 경우, 제1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고, 제2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고,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대 참조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고, 제2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도시되지 않음).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100)은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대 참조값의 비교 결과,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대 참조값 미만인 경우, 제1 표정 아이콘을 화난 표정, 머리 위에서 김이 나는 모양, 찡그리는 표정, 주름이 생기는 표정, 우는 표정 등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는 형태로 표시하고, 제2 표정 아이콘을 웃는 표정 등 긍정적인 감정을 표출하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3 표시영역은 전력 사용 기간 정보 및 현재 누적 전력 사용량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도 5a를 참조하면, 제3 표시영역은 전력 사용 기간 정보(09.01~09.10) 및 현재 누적 전력 사용량 정보(150kWh)를 표정 아이콘의 우측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른 도 5b를 참조하면, 제3 표시영역은 전력 사용 기간 정보(09.01~09.20) 및 현재 누적 전력 사용량 정보(360kWh)를 표정 아이콘의 우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단말
110: 프로세서
120: 송수신부
130: 표시부
200: 서버
300: 전자계량기

Claims (25)

  1.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서버로부터 수용가(consumer, 需用家)의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전력 사용량의 누진단계 정보를 포함하는 참조값(reference value)을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이,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참조값을 비교하고, 시각적으로 대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 정보는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전자계량기로부터 수신된 것인,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복수의 표시영역을 통해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참조값을 표시하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은,
    상기 누진단계 정보와 대응되는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 중 하나를 가리키는 바늘을 포함하는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에 따라 게이지(gauge)가 바닥에서부터 증가하는 전력 사용량 표시영역 및 상기 참조값을 표시하는 참조값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영역
    을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영역의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은, 상기 바늘이 지나온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상기 바늘이 가리키고 있는 전력 사용량 구간의 색이 서로 다르게 표시되고,
    상기 제2 표시영역의 게이지는 상기 제1 표시영역에서 상기 바늘이 가리키는 전력 사용량 구간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되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영역은 현재까지의 누적 전력 사용량 정보와 다음(next) 전력 사용량 구간과의 차이를 더 표시하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영역은 3개의 전력 사용량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전력 사용량 구간은 가장 낮은 전력 사용량 구간부터 가장 높은 전력 사용량 구간까지 각각 녹색, 황색 및 적색으로 표시되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는 표면이 유동(flow, 流動)하는 동적이미지로 표시되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값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측정된 상기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인,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값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인 상대 참조값(relative reference value)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은,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기 상대 참조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변화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상대 참조값과 각각 대응되는 제1 표정 아이콘 및 제2 표정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3 표시영역을 더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용가와 상기 수용가는 상기 서버에 등록된 넓이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된 것인,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기 상대 참조값의 비교 결과,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기 상대 참조값의 비교 결과,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는,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13.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정보를 노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용가(consumer, 需用家)의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전력 사용량의 누진단계 정보를 포함하는 참조값(reference value)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참조값을 비교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참조값이 시각적으로 대비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 정보는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전자계량기로부터 수신된 것인,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복수의 표시영역을 통해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참조값을 표시하는,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은,
    상기 누진단계 정보와 대응되는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 중 하나를 가리키는 바늘을 포함하는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에 따라 게이지(gauge)가 바닥에서부터 증가하는 전력 사용량 표시영역 및 상기 참조값을 표시하는 참조값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영역
    을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영역의 복수의 전력 사용량 구간은, 상기 바늘이 지나온 전력 사용량 구간 및 상기 바늘이 가리키고 있는 전력 사용량 구간의 색이 서로 다르게 표시되고,
    상기 제2 표시영역의 게이지는 상기 제1 표시영역에서 상기 바늘이 가리키는 전력 사용량 구간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되는,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영역은 현재까지의 누적 전력 사용량 정보 및 다음(next) 전력 사용량 구간과의 차이를 더 표시하는,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영역은 3개의 전력 사용량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3개의 전력 사용량 구간을 낮은 전력 사용량 구간부터 높은 전력 사용량 구간까지 각각 녹색, 황색 및 적색으로 표시하는,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는 표면이 유동(flow, 流動)하는 동적이미지로 표시되는,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값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측정된 상기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인,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값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인 상대 참조값(relative reference value)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영역은,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기 상대 참조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변화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상대 참조값과 각각 대응되는 제1 표정 아이콘 및 제2 표정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3 표시영역을 더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용가와 상기 수용가를 상기 서버에 등록된 넓이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기 상대 참조값을 비교한 결과,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는,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와 상기 상대 참조값을 비교 결과,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가 상기 상대 참조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정 아이콘의 눈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표시하는,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단말.
  25.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124579A 2017-09-26 2017-09-26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90035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579A KR20190035409A (ko) 2017-09-26 2017-09-26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579A KR20190035409A (ko) 2017-09-26 2017-09-26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409A true KR20190035409A (ko) 2019-04-03

Family

ID=6616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579A KR20190035409A (ko) 2017-09-26 2017-09-26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54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774A (ko) 2022-08-03 2024-02-14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용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774A (ko) 2022-08-03 2024-02-14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용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2321B2 (en) Recognition of user drawn graphical objects based on detected regions within a coordinate-plane
CN105844681A (zh) 热力图绘制方法及装置
KR20150081125A (ko) 전자 장치 스크린에서의 입자 효과 디스플레이
CN113240936B (zh) 停车区域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US20150324106A1 (en) User interfa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data
CN104571990A (zh) 一种调整显示屏的运行状态的方法和装置
CN107784281B (zh) 人脸检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0495118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19052151A1 (zh) 仪表盘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8710453A (zh) 一种触控面板、电子设备和信息处理方法
CN107077310A (zh) 用于控制显示器的电子设备壳体及用于控制显示器的方法
CN107122117A (zh) 通知展开方法及装置、计算机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919636A (zh) 一种信用等级确定方法、系统及相关组件
CN110971761B (zh) 生成显示参数曲线的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CN106598379A (zh) 管理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KR20190035409A (ko) 전력 사용량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3995809A (zh) 社会化媒体的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9408566A (zh) 一种智能图表推荐方法及装置
CN109948812A (zh) 确定故障原因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9857964A (zh) 一种页面操作的热力图绘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处理器
CN110515685A (zh) 一种信息流展示方法与设备
CN108021539A (zh) 数据的展示方法及装置
CN105739932B (zh) 在终端屏幕上显示数据的方法及其装置
CN105868086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0009100A (zh) 自定义算子的计算方法及相关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