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150A - Assembly device for kitchen lathe installation - Google Patents

Assembly device for kitchen lathe instal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150A
KR20190035150A KR1020170124041A KR20170124041A KR20190035150A KR 20190035150 A KR20190035150 A KR 20190035150A KR 1020170124041 A KR1020170124041 A KR 1020170124041A KR 20170124041 A KR20170124041 A KR 20170124041A KR 20190035150 A KR20190035150 A KR 20190035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kitchen
fixing
strut
shelf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7593B1 (en
Inventor
이영숙
Original Assignee
이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숙 filed Critical 이영숙
Priority to KR1020170124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593B1/en
Publication of KR20190035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1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5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device for installing a kitchen shelf, which conveniently installs a shelf capable of storing various kinds of articles used in a kitchen in the upper part of a sink in the kitche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device for installing a kitchen shelf comprises: a first shelf member (100a) having a fixing hole (111)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circumference of a side of a first plate (110a), wherein the first shelf member (100a) is to store the articles; a pillar member (200) inserted and connected to a side end of the first shelf member (100a) by a connection groove (213) on a side in which the fixing hole (111) is formed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211) in which the fixing hole (111)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wherein the pillar member (200) enables the first shelf member (100a) to b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ink by using a structure of being installed and fixed to a kitchen wall or the lower part of a storage closet of the kitchen; and a fixing member (300) reciprocating by sliding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1) of the pillar member (200) and fixing the first shelf member (100a) so that the first shelf member (100a) is not separated from the pillar member (200) by an action in which an insertion protrusion (311) protruding in a sliding direction is hung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11)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1).

Description

주방 선반 설치용 조립기구 {Assembly device for kitchen lathe installation}[0001] Assembly apparatus for kitchen lathe installation [0002]

본 발명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각종 물품을 보관 가능하게 하는 선반을 주방의 싱크대 상부에 간편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주방 선반 설치용 조립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mechanism for installing a kitchen shelf in which a shelf for storing various items used in a kitchen is easily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 kitchen sink.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대접, 접시, 찻잔 등과 같이 설거지가 완료된 그릇을 보관하거나, 음식조리와 같이 주방 생활에서 사용하는 용품들을 보관하는 선반이 설치되어 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a kitchen is provided with shelves for storing dishes, such as dishes, dishes, and cups, or for storing kitchen utensils such as food.

이러한 주방용 선반은 설거지가 완료된 대상의 물기가 자연 배수되도록 다수의 구멍을 갖는 판 부재가 수평으로 마련되거나, 음식조리와 같이 주방 생활에서 사용하는 용품들을 보관하는 걸이대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Such a kitchen lathe is provided with a plat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holes horizontally so that the water of the object to which the dishwashing operation is completed is discharged in a natural manner, or in the form of a hanger for storing articles used in kitchen life such as cooking food.

예들 들어, 종래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194호를 살펴보면, 싱크대 선반의 다리에 고정되어 싱크대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선반의 다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다리 고정홈이 동일한 패턴으로 상하 이격 형성된 제1 높이 조절판; 및 일면에 상기 제1 다리 고정홈과 제2 다리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다리 고정홈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다리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 높이 조절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높이 조절판;을 포함하여, 상기 제1,2 높이 조절판 사이에서 상기 다리가 상기 제1,2 다리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싱크대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2 다리 고정홈에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 고정되는 구조이다.For example, in a conventional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3194, a height of a shelf height adjuster for a sink for fixing a height of a sink shelf by being fixed to a leg of a sink shelf, A first height regulating plate having upper and lower spaced apart first leg fixing grooves in the same pattern; And the first leg fixing groove and the second leg fixing groove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leg fixing groove, and the first and second leg fixing groov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height adjusting plate to fix the leg, Wherein the height of the sink shelf is adjusted by changing a position of the leg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and second leg fixing groov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ight adjusting plates,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a pair of vertical portions and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and second leg fixing grooves.

또한, 종래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실0125048호를 살펴보면, 싱크대 찬장 저면에 나사부재로서 하향설치되는 한 쌍의 걸이구와, 양측걸이구 사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수평설치되는 선반으로 구성되는 싱크대용 선반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양측에는 두개의 상향경사홈이 일정간격으로 하향절개된 두개의 걸림구가 일정간격으로 상향돌출되어 있고, 두개의 걸림구 사이의 하측에는 선반본체테가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구는 상기 본체테를 외측에서 감싸듯이 지지할 적어도 1열 이상의 외측지지부가 반원형으로 절곡형성되고, 그 외측지지부 상측에는 상기 상향경사홈에 끼워질 두개의 걸림쇠가 수평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 office room 0125048, a pair of hooks installed downward as a screw member on the bottom of a sink base, and a shelf for a countertop comprising a shelf horizontally installed between both hooks Two shelv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helf with two upwardly sloped upwardly inclined grooves upwardly protruded at regular intervals. The shelf body frame is exposed on the lower side between the two shelves, At least one or more rows of outer support portions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frame from outside are bent in a semicircular shape and two latches to be inserted into the upwardly inclined grooves are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pport portion.

그러나 종래에는 개선해야할 기술적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However, technological problems to be improved have been exposed in the past.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 주방용 선반의 외형이 제조단계에서 결정되어 출시됨으로 선반을 구매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반을 추가 또는 삭제하거나, 선반의 외형을 변형할 수 없어 선반의 사용성 및 확장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outer shape of the kitchen shelf is determined and released at the manufacturing stage, the user who purchased the shelf can not add or remove the shelf or change the outer shape of the shelf as needed, There was a falling problem.

또한, 종래의 경우 주방용 선반은 그릇, 주방용품들의 보관을 위한 선반의 측부에 하나 이상의 지주가 수직으로 용접되어 고정결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용접 작업 및 용접 이음매의 도금을 위해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선반의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용접 이음매가 외부로 노출되어 디자인의 심미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kitchen lathe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support is vertically weld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shelf for storing the utensils and kitchen utensils, so that it takes a lot of time for the welding operation and plating of the weld seam, And the weld seam is exposed to the outside, resulting in a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the aesthetics of the design.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194호가 제시되어 있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3194 is presented.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실0125048호가 제시되어 있다.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 office room 0125048 is presented.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방용 선반을 구매한 사용자가 선반을 추가 또는 삭제하거나, 선반의 외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반의 사용성 및 확장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itchen lathe assembling apparatus which can improve the usability and expandability of a shelf by allowing a user who purchases a kitchen shelf to add or remove shelves,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주방용 선반의 설치를 위한 지주를 용접 없이 선반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용접 작업 및 용접 이음매의 도금을 위해 소비되는 시간을 줄여 선반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선반과 지주의 조립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주방용 선반의 디자인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ssemble the pillar for installation of the kitchen lathe on the shelf without welding, thereby reducing the time consumed for the welding work and the plating of the weld seam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shelf, Another object is to prevent the portion from being exposed so that the aesthetics of the design of the kitchen lathe can be improved.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주방용 선반의 조립 기구로서,As an assembly mechanism for a kitchen lathe,

물품 보관을 위한 것이며, 제1판재의 측방 둘레 부분 수직방향에 고정홀이 형성된 제1선반 부재와;A first shelf member for storing articles and having a fixing hol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side portion of the first plate;

상기 제1선반 부재의 측단부로 상기 고정홀이 형성된 측에 연결홈을 이용해 끼움결합되되, 상기 고정홀이 안쪽에 위치되는 수용공간를 갖고, 주방의 수납장 하부 또는 주방 벽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용해 상기 제1선반 부재를 싱크대의 상부로 설치되게 하는 지주 부재와;The first shelf memb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helf member is fitted and connected to the side where the fixing hole is formed by using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fixing hole is located inside and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binet or the kitchen wall of the kitchen, A strut member for allowing the first shelf member to b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ink;

상기 지주 부재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이 가능하고, 그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가 상기 수용공간 안쪽에 위치된 고정홀에 끼워져 걸리는 작용으로 상기 제1선반 부재를 지주 부재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를 제공한다.The first and second shelf members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strut memb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helf members can recipro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tting protrusion protruded in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fixing member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member.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방용 선반을 추가 또는 삭제하거나, 선반의 외형을 임의 변경가능함에 따라 선반의 사용성 및 확장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d or remove a kitchen shelf or to change the outer shape of the shelf,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and expandability of the shelf.

또한, 본 발명은 주방용 선반에 지주가 단순 끼움 구조로 조립됨에 따라 용접 작업 및 용접 이음매의 도금을 위해 소비되는 시간이 줄어 선반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선반과 지주의 조립 부분을 지주 프레임을 이용해 차폐함에 따라 주방용 선반의 디자인의 심미성이 향상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 a kitchen lathe with a simple fitting structure, the time consumed for the welding operation and plating of the welding seam is reduc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lathe is improved, There is another effect that the aesthetics of the design of the kitchen lathe is improved.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ing apparatus for a lathe of a kitch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structural view of each part of a kitchen lathe assembly mechanis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tructural view of each part of a kitchen lathe assembly mechanis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tructural view of each part of a kitchen lathe assembly mechanis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features of the assembly mechanism for a lathe of a kitc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components that are widely known and us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omitted, and unnecessary explanations thereof are omitted. It is to communicate the point more clearly.

이하, 본 발명의 기본구성으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조립 기구 중 선반 부재가 단층인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조립 기구 중 선반 부재가 다층인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조립 기구의 측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Hereinafter, as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each part of the kitchen lathe assembly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helf member is a single layer in an assembling mechanism,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elf member is multilayered in an assembling mechanism, and FIG.

이에 따르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립 기구(1)는, 제1선반 부재(100a)와; 지주 부재(200)와; 고정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is, the assembl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shelf member 100a; A strut member (200); And a fixing member (300).

먼저, 상기 제1선반 부재(100a)는;First, the first shelf member 100a includes:

제1판재(110a)의 측방 둘레 부분 수직방향에 고정홀(111)이 형성되며, 주방에서 사용하는 각종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fixing hole 111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first plate 110a so as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various articles used in the kitchen.

예를 들면, 상기 제1선반 부재(100a)는; 주방 물품을 상면에 안착시켜 보관하는 제1보관부(111a)를 갖는 제1판재(110a)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For example, the first shelf member 100a includes: And a first plate 110a having a first storage portion 111a for storing and storing the kitchen article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제1판재(110a)는 판재 형태로 제작되며, 후단부 측방 둘레 내측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고정홀(111)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홀(111)은 관통 구멍으로 마련되거나, 고정 부재(300)의 끼움돌기(311) 길이에 대응한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110a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fixing hole 111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rear end side inner peripheral portion. The fixing hole 111 is formed as a through hole, or the fixing member 300 (Not shown).

이때, 상기 고정홀(111)은 지주 부재(200), 고정 부재(300)가 구비되는 수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제1판재(110a)의 내측에 수평 평면을 갖음으로 물품을 안착시켜 보관하는 제1보관부(111a)가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보관부(111a)에는 배수를 위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holes 111 are selectively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the supporting members 200 and the fixing member 300, and the fixing holes 111 have a horizontal plane inside the first plate 110a A first storage part 111a for storing and storing an article is formed as a space, and a plurality of holes for drainage can be formed in the first storage part 111a.

그리고, 상기 지주 부재(200)는;The strut member (200) comprises:

상기 제1선반 부재(100a)의 측단부로 상기 고정홀(111)이 형성된 측에 연결홈(213)을 이용해 끼움결합되되, 상기 고정홀(111)이 안쪽에 위치되는 수용공간(211)를 갖고, 주방의 수납장 하부 또는 주방 벽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용해 상기 제1선반 부재(100a)를 싱크대의 상부로 설치되게 하는 것이다.The accommodating space 211 in which the fixing hole 111 is located is formed at a side end of the first shelf member 100a using a connection groove 213 on the side where the fixing hole 111 is formed, And the first shelf member 100a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ink using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binet of the kitchen or the wall of the kitchen.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지주 부재(200)는; 지주프레임(210), 마감캡(220)으로 구성된다.The strut member (200) according to the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ding frame 210, and a finishing cap 220.

예를 들면, 상기 지주 부재(200)는; 상단이 주방의 수납장 하단 또는 주방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프레임(210)을 더 포함한다.For example, the strut member (200) comprises: And a stanchion frame 210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abinet or the kitchen wall of the kitchen.

상기 지주프레임(210)은 직선형 프레임으로 내측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된 중공의 관체로 제작되는데, 지주프레임(210)의 단면의 모양의 사각으로 이루어지지만, 원형 또는 다각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지주프레임(210)의 후면은 고정 부재(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드 되도록 개방된 작동부(212)가 관통 구멍으로 형성된다.The strut frame 210 is a rectangular frame and is formed as a hollow tube having a receiving space 211 formed on the inner side thereof. The strut frame 210 has a rect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of the strut 210, bu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or polygonal. And an operation part 212 opened to slide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 fixing member 300 is engaged is formed as a through hole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10. [

이때, 상기 지주프레임(210)의 측방 임의 위치에는 제1선반 부재(100a) 제1판재(110a) 측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홈으로 형성되는 연결홈(213)이 제1선반 부재(100a)의 알맞은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13)은 제1선반 부재(100a)의 기본 실시 예인 제1판재(110a) 및, 후술하는 다른 실시 예의 제2판재(110b), 제3판재(110c)의 두께에 대응한다.At this time, a connection groove 213, which is formed as a groove, is formed on the first shelf member 100a so that the end of the first shelf member 100a on the side of the first shelf member 100a can be inserted, And the connection groove 213 is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an appropriat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shelf member 100a and the first shelf member 110a which is the basic embodiment of the first shelf member 100a and the second plate member 110b,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member 110c.

또한, 상기 지주 부재(200)는; 연결홈(213)이 지주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홈(213)의 형성 수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정 부재(30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홈(213) 및 고정 부재(300)의 수에 대응하여 제1선반 부재(100a)가 단층 또는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더 포함한다.Further, the strut member (200) comprises: The connection groove 213 is formed in one or mor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10. One or more fixing members 300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grooves 213, The first shelf member 100a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the grooves 213 and the fixing member 300. [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홈(213)을 지주프레임(210)의 측방 상,하측에 서로 임의 거리, 즉 제1선반 부재(100a)의 복수의 제1판재(110a) 다층 높이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하고, 도 2에서는 연결홈(213)이 상,하 측에 두 개 형성되어 제1판재(110a)가 2단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1판재(110a)의 다층 수는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2, the connection grooves 213 may be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on the lateral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210, that i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irst plate members 110a in the first shelf member 100a 2, two connection grooves 213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plate member 110a is formed in two stages. However, the multi-layer water of the first plate member 110a may be selectively formed Can be applied.

또한, 상기 지주 부재(200)는; 지주프레임(210)의 상,하단 또는 상단, 하단 중 어느 한쪽을 막아 결합되는 마감캡(220)을 더 포함한다.Further, the strut member (200) comprises: And a finishing cap 2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trut frame 210 to cover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상기 마감캡(220)은 지주프레임(210)의 수용공간(211) 크기에 대응하여 한쪽으로 끼움 결합을 위해 돌출된 캡부(221), 상기 캡부(221)의 측면으로 일체로 판 형태로 형성되면서 지주프레임(210)의 끝단을 막아 차폐하는 덮개(222)로 이루어진다.The finishing cap 2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ap portion 221 so as to protrude for fitting into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receiving space 211 of the strut 210, And a lid 222 for blocking the end of the strut 210.

여기서, 상기 마감캡(220)은, 지주프레임(210)의 상단에 결합되면, 상부로 연장되면서 안쪽으로 걸림 기능을 하도록 꺾여 형성되어, 그 걸림 기능을 통해 지주 부재(200)를 설치되게 하는 걸림부(223)를 더 포함한다.The finishing cap 22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frame 210 and is bent upward to extend upward so as to engage with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frame 210 so that the supporting member 200 can be installed (223).

상기 걸림부(223)는 지주프레임(210)의 상단에 결합된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마감캡(220)의 덮개(222) 일측 상부로 걸고리 형태로 돌출되는 구조이고, 주방의 수납장 또는 주방 벽체에 걸림을 수행할 수 있는 부분에 걸 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별도로 시판되는 주방용 프레임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latching portion 223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trut 210 and is protruded in the form of a hook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lid 222 of the finishing cap 220, Or a part that can be hooked on the kitchen wall, and preferably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kitchen frame separately sold by the present applicant.

이때, 상기 걸림부(223)는 걸림 기능을 선반용 조립 기구(1)에 제공하여 설치 편의성을 향상되게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latching part 223 provides a latching function to the lathe assembling mechanism 1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300)는;The fixing member 300 includes:

상기 지주 부재(200)의 수용공간(211)에 삽입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이 가능하고, 그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311)가 상기 수용공간(211) 안쪽에 위치된 고정홀(111)에 끼워져 걸리는 작용으로 상기 제1선반 부재(100a)를 지주 부재(200)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insertion protrusion 311 protruding in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1 of the strut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1, The first shelf member 100a is fixed to the strut 200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shelf member 100a does not come off.

예를 들면, 상기 고정 부재(300)는; 지주프레임(210)의 수용공간(211)에 끼움홈(312)을 이용해 끼워지면서 지주프레임(210)의 후측면 작동부(212)에 일부 노출되어 상,하 왕복이동이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이드몸체(310)를 더 포함한다.For example, the fixing member 300 may include: The one or more guides (not shown) which are partly exposed to the rear side actuating part 212 of the supporting frame 210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211 of the supporting frame 210 using the fitting grooves 312, And further includes a body 310.

상기 가이드몸체(310)는 지주 부재(200)가 제1선반 부재(100a)에 적용되는 수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결합하는데, 도면에서는 2 개의 가이드몸체(310)가 적용된 것을 기본으로 하였다.The guide body 310 is connected to one or more of the support members 20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shelf member 100a to which the two guide bodies 310 are applied .

상기 가이드몸체(310)는 수용공간(211)의 형상에 대응한 단면을 갖는 블록 형태로 제작되며, 양 측면 내측에 지주프레임(210)의 수용공간(211)에 삽입되면 지주프레임(210)의 후측면 작동부(212) 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작동부(212)의 크기에 대응한 홈으로 한 쌍의 끼움홈(31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몸체(310)가 지주프레임(210)에 결합되면 가이드몸체(310)의 후측부는 지주프레임(210)의 작동부(212)를 통해 외부로 일부 노출됨으로 가이드몸체(310)를 상,하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 기능을 한다.The guide body 3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lock having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1. When the guide body 31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1 of the support frame 210 on both sides, And a pair of fitting grooves 312 are formed by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actuating part 212 so as to be fitted to the rear side actuating part 212 side. When the guide body 310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10, the rear portion of the guide body 310 i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ration portion 212 of the support frame 210, And serves as a knob for reciproc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er.

상기 가이드몸체(310)의 양 측방 상,하측에는 한 쌍의 제1브래킷홀(313)이 관통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브래킷홀(313) 사이에는 장홀 형태로 제2브래킷홀(314)이 관통형성된다.A pair of first bracket holes 313 are formed in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310 on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310 and a pair of first bracket holes 313 are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bracket holes 313, (314) is formed.

이때, 상기 가이드몸체(310)의 하부 일측에는 단턱을 갖는 부분으로 끼움돌기(311)가 하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311)는 고정홀(111)이 형성된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한다.At this time, a fitting protrusion 311 protrudes downwar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body 310, and the fitting protrusion 311 corresponds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fixing hole 111 formed.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두 개의 가이드몸체(310) 측방으로 형성된 제1브래킷홀(313)에 한 쌍의 제1끼움부(321)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끼움부(321)의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꺾여서 상기 한 쌍의 제1끼움부(321)를 이어서 형성되는 제1받침대(322)가 제1선반 부재(100a)의 제1판재(110a) 전방 하부를 지지함으로 제1선반 부재(100a)가 쳐지지 않게 고정하는 제1브래킷(320)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300 includes: A pair of first fitting portions 321 are fitted and coupled to a first bracket hole 313 formed on the side of the two guide bodies 310. The pair of first fitting portions 321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pair of first fitting portions 321 The first pedestal 322 formed by successively forming the pair of first fitting portions 321 of the first shelf member 100a supports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110a of the first shelf member 100a, And a first bracket (320) that fixes the first bracket (320) so as not to be struck.

상기 제1브래킷(320)은 설치를 위해 두 개의 가이드몸체(310)를 필요로 하는데, 한쪽의 가이드몸체(310)와 그 반대쪽 가이드몸체(310)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여 한 쌍의 제1끼움부(321)가 위치되면, 상기 한 쌍의 제1끼움부(321)에서 연장되면서 이들을 서로 이어서 형성된 제1받침대(322)가 대략적으로 "┗┛"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끼움부(321)는 한쪽의 가이드몸체(310) 측방 및 그 반대쪽 가이드몸체(310)의 제1브래킷홀(312)에 서로 대향된 형태로 각각 결합되는 구조이다.The first bracket 320 requires two guide bodies 310 for installation. The first bracket 320 includes a pair of first fittings 310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one guide body 310 and the opposite guide body 310, The first pedestal 322 extending from the pair of first fitting parts 321 and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s integrally formed in a substantially " The first fitting portion 321 is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hole 312 of the guide body 310 at one side of the guide body 310 an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body 310,

이때, 상기 제1브래킷(320)이 가이드몸체(310)에 결합되면 상기 제1브래킷(320)의 제1받침대(322)는 제1선반 부재(100a)의 제1판재(110a) 전방 하부를 지지하여 쳐짐을 방지한다.When the first bracket 320 is coupled to the guide body 310, the first bracket 322 of the first bracket 320 is engaged with the lower front portion of the first plate 110a of the first shelf member 100a Thereby preventing stitching.

여기서, 상기 제1브래킷(320)은 바람직하게는 제1 실시 예의 제1판재(110a) 전방 하부에 지지되지만, 선택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제2판재(110b) 전방 하부에 지지할 수 있다.Here, the first bracket 320 is preferably supported o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110a of the first embodiment, but may be supported o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110b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더욱이, 상기 제1브래킷(320)은; 제1받침대(322)의 하부로 꺾여서 한 쌍의 제1끼움부(321)에 인접한 위치로 연장형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행거부(323)를 더 포함한다.Furthermore, the first bracket (320) comprises: And one or more row rejects 323 that are bent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edestal 322 and exten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pair of first catches 321. [

상기 행거부(323)는 한 쌍의 제1끼움부(321)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형성됨으로 상기 제1받침대(322)의 형상과 비슷한 "┗┛" 형태로 형성되고, 그 행거부(323)의 안쪽 공간에 주방에서 사용하는 행주, 걸레와 같은 천 재질 물품을 걸어 보관할 수 있게 한다.The row rejection 323 is formed in a shape of "┗ 비슷한" similar to the shape of the first pedestal 322 because the both ends of the row rejection 323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insertion portions 321. The row rejection 323 ) To be able to store cloth items such as cloths and rags used in kitchens.

즉, 상기 제1선반 부재(100a)의 제1판재(110a) 고정홀(111) 측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주 부재(200)가 지주프레임(210)을 이용해 결합되면, 상기 지주프레임(210)의 내측 수용공간(211)에 가이드몸체(310)의 끼움홈(312)을 이용해 끼워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지주프레임(210)의 작동부(212) 후방으로 일부 노출된 가이드몸체(310) 후방 부분을 사용자가 잡아서 하측으로 가이드몸체(310)를 내리면 상기 제3선반 부재(100c)의 제고정홀(111)에 끼움돌기(311)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게 된다.That is, when one or more strut members 200 are coupled to the first plate material 110a of the first shelf member 100a by using the strut frame 210, The guide frame 3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receiving space 211 by using the fitting groove 312 of the guide body 310 and the rear portion of the guide body 310 partially exposed behind the operation portion 212 of the support frame 210 The user inserts the fitting protrusion 311 into the fixing hole 111 of the third shelf member 100c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311 is fitted into the fixing hole 111 of the third shelf member 100c.

이때, 상기 제3선반 부재(100c)는 끼움돌기(311)에 의해 지주프레임(210) 안쪽으로 끼워져 걸린 상태이므로 지주 부재(200)와 제3선반 부재(100c)가 상호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기능을 수행한다.At this time, since the third shelf member 100c is inserted into the strut frame 210 by the fitting protrusion 311, the strut member 200 and the third shelf member 100c are fixed together Function.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4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조립 기구의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itution of each part of the kitchen lathe assembl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mechanism.

이에 따르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립 기구(1)는, 제2선반 부재(100b)와; 지주 부재(200); 고정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is, the assembl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second shelf member 100b; A strut member (200); And a fixing member (300).

먼저, 상기 제2선반 부재(100b)는;First, the second shelf member 100b includes:

제2판재(110b)의 측방 둘레 부분 수직방향에 고정홀(111)이 형성되며, 주방에서 사용하는 물품을 수저통(112b)을 이용해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A fixing hole 111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ide edge of the second plate 110b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articles used in the kitchen using the bottom case 112b.

예를 들면, 상기 제2선반 부재(100b)는; 내측 중앙에 수저통(112b)이 삽입고정되는 제2판재(110b)를 더 포함한다.For example, the second shelf member 100b includes: And a second plate member 110b into which the bottom case 112b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제2판재(110b)는 내측 중앙에 수저통(112b)이 삽입되면서 안착고정될 수 있게 하는 통홀(111b)이 상기 수저통(112b)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후단부 측방 둘레 내측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고정홀(111)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홀(111)은 관통 구멍으로 마련되거나, 고정 부재(300)의 끼움돌기(311) 길이에 대응한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plate member 110b has a through hole 111b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waterbottom 112b to allow the waterbottom 112b to be seated and fixed to the inner center thereof, The fixing hole 111 may be formed as a through hole or may have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tting protrusion 311 of the fixing member 300. [

이때, 상기 수저통(112b)은 내측에 상부로 개구부를 갖는 공간을 갖는 함체로 제작되며, 내측 공간에 수저와 같은 식기 용품들을 넣어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저통(112b)의 저면에는 배수를 위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ttom case 112b is made of a housing having a space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part on the inside thereof, and can store food utensils such as cutlery in the inside space. A plurality of holes for drainag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case 112b.

상기 고정홀(111)은 지주 부재(200), 고정 부재(300)가 구비되는 수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형성된다.The fixing holes 111 are selectively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the supporting members 200 and the fixing members 300.

그리고, 상기 지주 부재(200)는;The strut member (200) comprises:

상기 제2선반 부재(100b)의 측단부로 상기 고정홀(111)이 형성된 측에 연결홈(213)을 이용해 끼움결합되되, 상기 고정홀(111)이 안쪽에 위치되는 수용공간(211)를 갖고, 주방의 수납장 하부 또는 주방 벽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용해 상기 제2선반 부재(100b)를 싱크대의 상부로 설치되게 하는 것이다.The accommodating space 211 in which the fixing hole 111 is located is formed at a side end of the second shelf member 100b by using a connection groove 213 on the side where the fixing hole 111 is formed, And the second shelf member 100b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ink by using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binet of the kitchen or the wall of the kitchen.

여기서, 제2 실시 예의 지주 부재(20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지주 부재(200)와 동일 구성으로 지주 부재(200)의 결합 대상의 도면부호, 명칭에만 일부 차이가 있는 것이며, 이는 지주 부재(200)의 결합 대상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치환하여 사용가능한 구성이고, 도면부호, 명칭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인바, 제2 실시 예의 지주 부재(20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설명에서 충분히 유추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지주 부재(200)의 반복적인 구조의 추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supporting member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only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names of the connecting objects of the supporting members 200 partially differ, The supporting member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member 200, and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member 200 can be used by substituting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and th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a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petitive structure of the strut member 200 is omitted because it can be sufficiently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of one embodiment.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300)는;The fixing member 300 includes:

상기 지주 부재(200)의 수용공간(211)에 삽입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이 가능하고, 그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311)가 상기 수용공간(211) 안쪽에 위치된 고정홀(111)에 끼워져 걸리는 작용으로 상기 제2선반 부재(100b)를 지주 부재(200)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것이다.The insertion protrusion 311 protruding in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1 of the strut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1, So that the second shelf member 100b is fixe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strut member 200. [

여기서, 제2 실시 예의 고정 부재(300)는, 제1 실시 예의 고정 부재(300)와 동일 구성으로 고정 부재(300)의 결합 대상의 도면부호, 명칭에만 일부 차이가 있는 것이며, 이는 고정 부재(300)의 결합 대상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치환하여 사용가능한 구성이고, 도면부호, 명칭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인바, 제2 실시 예의 고정 부재(30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설명에서 충분히 유추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정 부재(300)의 반복적인 구조의 추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fixing member 300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xing member 300 of the first embodiment, and only th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of the objects to be coupled of the fixing member 3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300 can be used in place of each othe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h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a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3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petitive structure of the fixing member 300 with respect to it can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5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조립 기구의 사시도이다.As another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itution of each part of the kitchen lathe assembl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mechanism.

이에 따르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조립 기구(1)는, 제3선반 부재(100c)와; 지주 부재(200); 고정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is, the assembling mechanism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the third lathe member 100c; A strut member (200); And a fixing member (300).

먼저, 상기 제3선반 부재(100c)는;First, the third shelf member 100c includes:

제3판재(110c)의 측방 둘레 부분 수직방향에 고정홀(111)이 형성되며, 주방에서 사용하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A fixing hole 111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third plate 110c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articles used in the kitchen.

예를 들면, 상기 제3선반 부재(100c)는; 주방 물품의 하부를 임의 간격 이격되게 감싸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보관부(111c)를 갖는 제3판재(110c)를 더 포함한다.For example, the third shelf member 100c includes: And a second storage part (111c) for providing a space for wrapping and storing the lower part of the kitchen article at an arbitrary spacing.

상기 제3판재(110c)는 판재 형태로 제작되는데, 후단부 측방 둘레 내측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고정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111)은 관통 구멍으로 마련되거나, 고정 부재(300)의 끼움돌기(311) 길이에 대응한 홈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고정홀(111)은 지주 부재(200), 고정 부재(300)가 구비되는 수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형성된다.The third plate 110c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material. The fixing hole 111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rear end sid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The fixing hole 111 is formed as a through hole, And the fixing hole 111 may be formed in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tting protrusion 311 of the holding member 200 and the fixing member 300. The fixing hole 111 may be formed by one or more .

이때, 상기 제3판재(110c)는 전방 하부로 라운드 면으로 형성되면서 안쪽에 반원형의 공간을 갖는 제2보관부(111c)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보관부(111c)는 주방에서 사용하는 롤 휴지, 키친타올과 같은 원통체 하부를 감싸서 지지함으로, 롤 휴지, 키친타올 등에서 하부로 떨어질 수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받쳐 싱크대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At this time, the third plate 110c is formed as a round surface in the front lower part, and a second storage part 111c having a semicircular space is formed inside, and the second storage part 111c is formed of a roll Such as toilet paper, kitchen towel, and so on, so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which may fall down from the roll rest paper or kitchen towel, ar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sink.

그리고, 상기 지주 부재(200)는;The strut member (200) comprises:

상기 제3선반 부재(100c)의 측단부로 상기 고정홀(111)이 형성된 측에 연결홈(213)을 이용해 끼움결합되되, 상기 고정홀(111)이 안쪽에 위치되는 수용공간(211)을 갖고, 주방의 수납장 하부 또는 주방 벽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용해 상기 제3선반 부재(100c)를 싱크대의 상부로 설치되게 하는 것이다.The accommodating space 211 in which the fixing hole 111 is located is formed at a side end of the third shelf member 100c using a connection groove 213 on the side where the fixing hole 111 is formed, And the third shelf member 100c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ink by using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kitchen cabinet or the kitchen wall.

여기서, 제3 실시 예의 지주 부재(20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지주 부재(200)와 동일 구성으로 지주 부재(200)의 결합 대상의 도면부호, 명칭에만 일부 차이 있는 것이며, 이는 지주 부재(200)의 결합 대상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치환하여 사용가능한 구성이고, 도면부호, 명칭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인바, 제3 실시 예의 지주 부재(20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설명에서 충분히 유추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지주 부재(200)의 반복적인 구조의 추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strut member 200 of the third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strut member 200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only some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of the strut member 200 to be joined are different, The supporting member 200 of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00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ecause the connecting object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00 can be used by substituting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and th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a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petitive structure of the strut member 200 is omitted because it can be sufficiently deduc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300)는;The fixing member 300 includes:

상기 지주 부재(200)의 수용공간(211)에 삽입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이 가능하고, 그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311)가 상기 수용공간(211) 안쪽에 위치된 고정홀(111)에 끼워져 걸리는 작용으로 상기 제3선반 부재(100c)를 지주 부재(200)에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것이다.The insertion protrusion 311 protruding in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1 of the strut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1, So that the third shelf member 100c is fixed to the strut 200 without detaching it.

여기서, 제3 실시 예의 고정 부재(300)는, 제1 실시 예의 고정 부재(300)와 동일 구성으로 고정 부재(300)의 결합 대상의 도면부호, 명칭에만 일부 차이가 있는 것이며, 이는 고정 부재(300)의 결합 대상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치환하여 사용가능한 구성이고, 도면부호, 명칭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인바, 제3 실시 예의 고정 부재(30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설명에서 충분히 유추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정 부재(300)의 반복적인 구조의 추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fixing member 300 of the third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xing member 300 of the first embodiment, and only th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of the objects to be coupled of the fixing member 300 are different, 300 can be used in place of each othe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h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a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300 of the third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petitive structure of the fixing member 300 with respect to it can be omitted.

또한, 제3 실시 예에서의 고정 부재(300)는; 제3판재(110c)를 적용하는 경우, 하나 또는 두 개의 가이드몸체(310)에 선택 적용되되, 상기 가이드몸체(310)의 측방에서 상,하로 형성된 제1브래킷홀(313)에 한 쌍의 제2끼움부(331)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제2끼움부(331)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꺾여서 상기 한 쌍의 제2끼움부(331)를 이어서 형성되는 제2받침대(332)가 주방 용품 중 롤을 지지가능하게 하는 제2브래킷(330)을 더 포함한다.Further, the fixing member 300 in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In the case of applying the third plate 110c, one or two guide bodies 310 are selectively applied. In the first bracket holes 313 formed on the side of the guide body 310, And a second pedestal 332 formed by successively bending the front side of the pair of second fitting parts 331 and continuing from the pair of second fitting parts 331, And a second bracket (330) for supporting the roll in the article.

상기 제2브래킷(330)은 설치를 위해 하나의 가이드몸체(310)만 필요로 하고, 한 쌍의 제2끼움부(331)가 상기 가이드몸체(310)의 상,하로 각각 형성된 제1브래킷홀(313)의 이격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되면, 상기 한 쌍의 제2끼움부(331)에서 연장되면서 이들을 서로 이어서 형성된 제2받침대(332)가 대략적으로 "ㄷ"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The second bracket 330 requires only one guide body 310 for installation and the pair of second fitting portions 331 are formed on the first bracket hole 310 formed above and below the guide body 310, The second pedestal 332 extending from the pair of second fitting parts 331 and form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is integrally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

이때, 상기 한 쌍의 제2끼움부(331)가 가이드몸체(310)의 일측 제1브래킷홀(313)에 끼워짐으로 제2받침대(332)가 제3판재(110c)의 상부 임의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받침대(332)에 주방에서 사용하는 휴지, 키친타올의 롤 심재를 끼워 제자리 회전가능하면서 보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pair of second fitting portions 331 are fitted into the first bracket holes 313 on one side of the guide body 310, the second pedestal 332 is positioned at an arbitrary position above the third plate member 110c And the second pedestal 332 can be rotatably rotated by putting a roll core of a toilet paper towel used in a kitchen.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6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조립 기구의 사시도이다.As another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stitution of each part of a kitchen lathe assembling mechanis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mechanism.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조립 기구(1) 중 상기 지주 부재(200)는; 하나 이상의 지주프레임(210)이 선택적으로 설치되면, 상기 지주프레임(210)의 정면에 형성되면서 하나 이상의 지주프레임(210)을 상호 연결되게 하는 연장판부(230)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trut member (200) among the assembling mechanisms (1) having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comprises: The support frame 210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late 23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10 to interconnect the at least one support frame 210 when the at least one support frame 210 is selectively installed.

상기 연장판부(230)는, 지주프레임(210)이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지주프레임(210)의 정면에 판 형태로 연장판부(230)가 형성되는데, 기본적으로 연장판부(230)를 일체로 형성하지만, 하나 이상의 지주프레임(210) 크기에 대응하여 별도로 판 형태로 제작한 연장판부(230)를 상기 하나 이상의 지주프레임(210) 정면에 끼움 결합방식으로 체결하는 구조 역시 적용할 수 있다.The extension plate 2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10 when at least one support frame 210 is installed.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structure in which the extension plate 230 form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strut 210 is fasten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at least one strut 210 by fitting .

이때, 상기 연장판부(230)가 하나 이상의 지주프레임(210)을 상호 연결함으로 지주 부재(200)의 지지 기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지주 부재(200) 사이 공간을 차폐가능함에 따라 디자인적 심미감을 향상되게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extending plate 230 connects the at least one strut 210 to each other, the supporting function of the strut 200 is improved and the space between the strut 200 can be shielded, Improved sens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As described above.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But is not intended to,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easy for anyone to know.

1; 조립 기구 100a; 제1선반 부재
110a; 제1판재 100b; 제2선반 부재
110b; 제2판재 100c; 제3선반 부재
110c; 제3판재 200;지주 부재
210; 지주프레임 220; 마감캡
230; 연장판부 300; 고정 부재
310; 가이드몸체 320; 제1브래킷
330; 제2프래킷
One; Assembly mechanism 100a; The first lathe member
110a; A first plate member 100b; The second lathe member
110b; A second plate member 100c; The third lathe member
110c; A third plate 200,
210; A holding frame 220; Closing cap
230; An extension plate 300; Fixed member
310; Guide body 320; The first bracket
330; The second friction plate

Claims (5)

주방용 선반의 조립 기구로서,
물품 보관을 위한 것이며, 제1판재(110a)의 측방 둘레 부분 수직방향에 고정홀(111)이 형성된 제1선반 부재(100a)와;
상기 제1선반 부재(100a)의 측단부로 상기 고정홀(111)이 형성된 측에 연결홈(213)을 이용해 끼움결합되되, 상기 고정홀(111)이 안쪽에 위치되는 수용공간(211)를 갖고, 주방의 수납장 하부 또는 주방 벽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용해 상기 제1선반 부재(100a)를 싱크대의 상부로 설치되게 하는 지주 부재(200)와;
상기 지주 부재(200)의 수용공간(211)에 삽입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이 가능하고, 그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311)가 상기 수용공간(211) 안쪽에 위치된 고정홀(111)에 끼워져 걸리는 작용으로 상기 제1선반 부재(100a)를 지주 부재(200)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
As an assembly mechanism for a kitchen lathe,
A first shelf member (100a) for storing articles and having a fixing hole (111)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id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rst plate member (110a);
The accommodating space 211 in which the fixing hole 111 is located is formed at a side end of the first shelf member 100a using a connection groove 213 on the side where the fixing hole 111 is formed, A strut member (200) for installing the first shelf member (100a) on the upper part of the sink by using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and fixed to a lower part of a kitchen cabinet or a kitchen wall;
The insertion protrusion 311 protruding in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1 of the strut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1, And a fixing member (300) for fixing the first shelf member (100a)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strut member (200) by an action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shelf member (111).
주방용 선반의 조립 기구로서,
물품 보관을 위한 것이며, 제2판재(110b)의 측방 둘레 부분 수직방향에 고정홀(111)이 형성된 제2선반 부재(100b)와;
상기 제2선반 부재(100b)의 측단부로 상기 고정홀(111)이 형성된 측에 연결홈(213)을 이용해 끼움결합되되, 상기 고정홀(111)이 안쪽에 위치되는 수용공간(211)를 갖고, 주방의 수납장 하부 또는 주방 벽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용해 상기 제2선반 부재(100b)를 싱크대의 상부로 설치되게 하는 지주 부재(200)와;
상기 지주 부재(200)의 수용공간(211)에 삽입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이 가능하고, 그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311)가 상기 수용공간(211) 안쪽에 위치된 고정홀(111)에 끼워져 걸리는 작용으로 상기 제2선반 부재(100b)를 지주 부재(200)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
As an assembly mechanism for a kitchen lathe,
A second shelf member (100b) for storing articles and having a fixing hole (111)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ide of the second plate member (110b);
The accommodating space 211 in which the fixing hole 111 is located is formed at a side end of the second shelf member 100b by using a connection groove 213 on the side where the fixing hole 111 is formed, A strut member (200) for installing the second shelf member (100b) on the upper part of the sink by using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and fixed to a lower part of a kitchen cabinet or a kitchen wall;
The insertion protrusion 311 protruding in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1 of the strut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1, And a fixing member (300) for fixing the second shelf member (100b)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strut member (200) by an action of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shelf member (111).
주방용 선반의 조립 기구로서,
물품 보관을 위한 것이며, 제3판재(110c)의 측방 둘레 부분 수직방향에 고정홀(111)이 형성된 제3선반 부재(100c)와;
상기 제3선반 부재(100c)의 측단부로 상기 고정홀(111)이 형성된 측에 연결홈(213)을 이용해 끼움결합되되, 상기 고정홀(111)이 안쪽에 위치되는 수용공간(211)을 갖고, 주방의 수납장 하부 또는 주방 벽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용해 상기 제3선반 부재(100c)를 싱크대의 상부로 설치되게 하는 지주 부재(200)와;
상기 지주 부재(200)의 수용공간(211)에 삽입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이 가능하고, 그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311)가 상기 수용공간(211) 안쪽에 위치된 고정홀(111)에 끼워져 걸리는 작용으로 상기 제3선반 부재(100c)를 지주 부재(200)에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
As an assembly mechanism for a kitchen lathe,
A third shelf member (100c) for storing articles and having a fixing hole (111)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ide peripheral portion of the third plate member (110c);
The accommodating space 211 in which the fixing hole 111 is located is formed at a side end of the third shelf member 100c using a connection groove 213 on the side where the fixing hole 111 is formed, A strut member (200) for mounting the third shelf member (100c) on the upper part of the sink by using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and fixed to a lower part of a cabinet of a kitchen or a kitchen wall;
The insertion protrusion 311 protruding in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1 of the strut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1, And a fixing member (300) for fixing the third shelf member (100c) to the strut member (200) in a manner that the third shelf member (100c) is not detached from the supporting member (20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부재(200)는, 지주프레임(210)의 상,하단 또는 상단, 하단 중 어느 한쪽을 막아 결합되는 마감캡(220)을 더 포함한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trut member (200) further includes a finishing cap (220) which is engaged with one of upper, lower,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trut frame (2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00)는, 두 개의 가이드몸체(310) 측방으로 형성된 제1브래킷홀(313)에 한 쌍의 제1끼움부(321)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끼움부(321)의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꺾여서 상기 한 쌍의 제1끼움부(321)를 이어서 형성되는 제1받침대(322)가 제1선반 부재(100a)의 제1판재(110a) 전방 하부를 지지함으로 제1선반 부재(100a)가 쳐지지 않게 고정하는 제1브래킷(320)을 더 포함한 주방의 선반용 조립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member 300 includes a first bracket hole 313 formed at the side of the two guide bodies 310 and a pair of first fitting portions 321 inserted into the first bracket holes 313, The first pedestal 322 formed by successively bending the front plate 321 in front of the first plate member 110 and the pair of first fitting parts 321 is supported by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member 110a of the first shelf member 100a And a first bracket (320) for fixing the first shelf member (100a) so as not to be struck.
KR1020170124041A 2017-09-26 2017-09-26 Assembly device for kitchen lathe installation KR1020475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041A KR102047593B1 (en) 2017-09-26 2017-09-26 Assembly device for kitchen lathe instal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041A KR102047593B1 (en) 2017-09-26 2017-09-26 Assembly device for kitchen lathe instal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50A true KR20190035150A (en) 2019-04-03
KR102047593B1 KR102047593B1 (en) 2019-11-21

Family

ID=6616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041A KR102047593B1 (en) 2017-09-26 2017-09-26 Assembly device for kitchen lathe instal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59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048Y1 (en) 1995-08-07 1998-09-15 김삼수 A shelf attached to a sink
JP3067236U (en) * 1999-09-07 2000-03-31 律夫 柿田 Multipurpose assembly storage shelves
KR20110106529A (en) * 2010-03-23 2011-09-29 명진실업 주식회사 Prefabricated kitchen shelves
KR200473194Y1 (en) 2012-12-04 2014-06-16 김국환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sink shelf
KR101505004B1 (en) * 2013-11-25 2015-03-23 명진실업 주식회사 The clamp device for shel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236B2 (en) * 1991-04-03 2000-07-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Drilling too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048Y1 (en) 1995-08-07 1998-09-15 김삼수 A shelf attached to a sink
JP3067236U (en) * 1999-09-07 2000-03-31 律夫 柿田 Multipurpose assembly storage shelves
KR20110106529A (en) * 2010-03-23 2011-09-29 명진실업 주식회사 Prefabricated kitchen shelves
KR200473194Y1 (en) 2012-12-04 2014-06-16 김국환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sink shelf
KR101505004B1 (en) * 2013-11-25 2015-03-23 명진실업 주식회사 The clamp device for shel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593B1 (en)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528B2 (en) Over door storage rack for base cabinet doors
KR20190035150A (en) Assembly device for kitchen lathe installation
KR100673488B1 (en) Chopping board hanger unit
KR20180003606U (en) A extendable shelf for kitchen
KR101817446B1 (en) dish drying rack
US2489543A (en) Fixture
US8752914B1 (en) Dish rack mounted in kitchen cabinet
KR200480129Y1 (en) Shelf for kitchen
KR200385893Y1 (en) Length form cabinet
JPH0286340U (en)
KR102066774B1 (en) Kitchen lathe with lighting function
US2101852A (en) Adjustable fixture support
KR200464816Y1 (en) The shelf deferment unit where the establishment is possible in the form which is various
KR200384820Y1 (en) Sub-shelf for furniture
JP3091239U (en) Assembling type multifunctional goods storage cabinet
KR101607574B1 (en) Dish shelf
JPH1132849A (en) Unit for arranging kitchen utensils
KR200377376Y1 (en) Shelf for Kitchen
KR100282654B1 (en) A movale cooking table
JP7186555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side cabinets, washstands and washstands
CN220327172U (en) Wooden dismouting structure handrail of stealthy saucer in area of sofa packing volume is reduced
KR200443182Y1 (en) Shelf for Kitchen
KR200363200Y1 (en) Shelf suitable to kinchi refrigerator
KR20200112134A (en) self-assembly utility shelf rack
JP2001128867A (en) Washbowl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