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606U - A extendable shelf for kitchen - Google Patents
A extendable shelf for kitch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3606U KR20180003606U KR2020170003024U KR20170003024U KR20180003606U KR 20180003606 U KR20180003606 U KR 20180003606U KR 2020170003024 U KR2020170003024 U KR 2020170003024U KR 20170003024 U KR20170003024 U KR 20170003024U KR 20180003606 U KR20180003606 U KR 2018000360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lf
- frame
- lathe
- kitchen
- sid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은 제1 선반프레임과, 제1 선반프레임의 안쪽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제1 선반프레임에 일부가 수용된 채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선반프레임을 포함한다.An extendable kitchen lathe is disclosed. The kitchen lath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athe frame and a second lathe frame formed to be received inside the first lathe frame and slidable forward or rearward while being partially housed in the first lathe frame do.
Description
본 고안은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가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h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itchen lathe that can be extended in length.
최근 주방이 단순히 식사를 준비하고 정리하는 공간이 아니라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머물게 되는 생활 공간이자 온 가족이 모이는 소통의 장소로 진화하게 되면서, 주방 가구, 주방 가전을 비롯한 각종 주방 용품들이 기능적 측면 또는 인테리어 측면에서 다양한 변화가 모색되고 있다. 또한 주방 용품들이 기능별로 세분화 되면서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종류의 주방 용품들이 출현하고 있다. 주방 가구의 수납 공간 또는 수납용 주방 용품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다. Recently, kitchens evolve not only as a place to prepare and organize meals but also as a living space that will stay for many hours of the day and as a place for communication where the whole family gather, so that various kitchen utensils including kitchen furniture, kitchen appliances, Various changes are being sought from the side. In addition, as kitchen appliances are divided into functions, various types of kitchen appliances are emerging that can not be compared with before. This is why more attention is being paid to storage space for kitchen furniture or kitchen utensils for storage.
대표적인 수납용 주방 용품 내지 주방 가구로는 주방용 선반(shelf)이 있다. 주방용 선반은 식기 등을 건조하거나 자주 사용하는 주방 용품을 거치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고정된 크기를 갖는 단일품의 건조대 형태를 갖는 선반이나, 벽에 고정되는 한 쌍의 봉 부재와 상기 봉 부재 사이에 거치되는 망 형태의 선반(물이 낙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얇은 봉재가 간격을 두어 짜여진 형태로 형성됨)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주방용 선반은 그 크기가 고정되어 있었는 바, 본 고안의 고안자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수납 공간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을 고안하기에 이르렀다.Typical storage kitchen appliances or kitchen furniture include kitchen shelves. A kitchen lathe has a function of drying a tableware or the like and mounting a kitchen utensil which is frequently used. In the past, a shelf having a single size of a single article having a fixed size, a pair of rod members fixed to the wall, (A plurality of thin rods are formed in a woven form with a space interposed therebetween so as to allow water to fall).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conventional kitchen lathe has been fixed,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ised a kitchen lathe capable of expanding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본 고안은 선반의 길이를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chen lathe that can extend the length of the shelf.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선반프레임과,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의 안쪽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선반프레임에 일부가 수용된 채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선반프레임을 포함하는 주방용 선반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elf frame comprising: a first shelf frame; and a second shelf frame formed to be received inside the first shelf frame and slidable forward or rearward while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shelf frame A kitchen lathe may be provided.
이 때,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의 내측에는 제1 선반이 안착되며, 상기 제2 선반프레임의 내측에는 제2 선반이 안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first shelf is seated inside the first shelf frame, and a second shelf is seated inside the second shelf frame.
또한,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은 한 쌍의 제1 장변부와, 한 쌍의 제1 단변부가 결합하여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장변부는 내측 상부분에 형성되어 제1 선반이 안착되는 제1 선반결합부와, 내측 하부분에 형성되어 제2 선반프레임을 수용하는 제2 선반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제1 선반결합부 및 제2 선반프레임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선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물받침대의 통로로 기능하는 장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helf frame is formed in a square frame shape by a pair of first long side portions and a pair of first short side portions, and the first long side portion is formed in an inner upper portion to seat the first shelf A second shelf frame engaging portion formed at an inner lower portion to receive a second shelf frame and a second shelf frame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inner portion of the second shelf frame engaging portion and formed between the first shelf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shelf frame engaging portion, And a first slit that serves as a passage for the first water pedestal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ter pedestal.
또한, 상기 제2 선반프레임은 한 쌍의 제2 장변부와 1 이상의 제2 단변부가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장변부는 내측에 형성되어 제2 선반이 안착되는 제2 선반결합부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선반프레임 결합부에 수용되어 구름운동하는 1 이상의 슬라이딩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helf frame may include a second shelf engaging portion formed by engaging a pair of second long side portions and at least one second short side portion,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being formed on the inner side to seat the second shelf, And at least one sliding roller portion that is received in the second lathe frame engaging portion and rolls.
또한, 상기 제1 장변부에 결합하는 1 이상의 창틀걸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window frame hanger member coupled to the first long side portion.
또한,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의 후방측 제1 단변부에 높이 방향으로 결합하는 제1 걸이부재와, 상기 제2 선반프레임의 전방측 제2 단변부에 높이 방향으로 결합하는 제2 걸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a first hook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short side portion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lathe frame in a height direction, and a second hook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front side second short side portion of the second lathe frame in the height direction .
또한,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의 뒤쪽 제1 장변부 및 양측 제1 단변부에 높이 방향으로 결합하는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helf frame may further include a panel coupled to the first long side portion and the first short side portions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shelf frame in the height direction.
또한,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 기둥부와, 상기 제1 걸림부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 기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에 상기 제1 걸이부재가 거치되고, 상기 제2 걸림부에 상기 제2 걸이부재가 거치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illar portion including a first pillar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awl por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heigh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awl portion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pawl portion, , The first hooking member may be mounted on the first hooking portion, and the second hooking member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hooking portion.
또한, 상기 주방용 선반 한 쌍이 상하로 배치되고, 하나의 주방용 선반의 제1 선반프레임의 후방측 제1 단변부와, 다른 하나의 주방용 선반의 제1 선반프레임의 후방측 제1 단변부를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재와, 하나의 주방용 선반의 제2 선반프레임의 전방측 제2 단변부와, 다른 하나의 주방용 선반의 제2 선반프레임의 전방측 제2 단변부를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air of kitchen shelves are arranged vertically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short side of the first shelf frame of one kitchen lathe and the first short side of the first shelf frame of the other kitchen shelf. One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second short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lathe frame of one kitchen lathe and the second short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lathe frame of the other kitchen lathe .
이 때,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선반프레임 및 제2 선반프레임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may be hinged to the first shelf frame and the second shelf frame.
본 고안의 구체예들에 따른 주방용 선반은 제1 선반프레임과, 제1 선반프레임의 안쪽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제1 선반프레임에 일부가 수용된 채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선반프레임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선택에 따라 주방용 선반의 길이를 2배 가까이 확장시킬 수 있어 필요시 주방용품 등의 거치공간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The kitchen shelf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helf frame and a second shelf frame formed to be received inside the first shelf frame and slidable forward or rearward while being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shelf frame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length of the kitchen lathe by approximately two time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o easily expand the storage space of the kitchen utensil or the like when necessary.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방용 선반에서 제1 선반프레임과 제2 선반프레임의 결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주방용 선반에서 제1 선반프레임과 제2 선반프레임의 결합부를 다른 방향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주방용 선반의 제1 변형예이다.
도 5는 도 1의 주방용 선반의 제2 변형예이다.
도 6은 도 1의 주방용 선반의 제3 변형예이다.
도 7은 도 1의 주방용 선반의 제4 변형예이다.
도 8은 도 1의 주방용 선반의 제5 변형예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itchen lath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n engaging portion of a first lathe frame and a second lathe frame in the kitchen lathe of FIG. 1. FIG.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coupling portion between a first lathe frame and a second lathe frame in the kitchen lathe of FIG. 1 in another direction.
Fig. 4 is a first modification of the kitchen lathe of Fig. 1. Fig.
Fig. 5 is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kitchen lathe of Fig. 1. Fig.
Fig. 6 is a third modification of the kitchen lathe of Fig. 1. Fig.
Fig. 7 is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kitchen lathe of Fig. 1. Fig.
Fig. 8 is a fifth modification of the kitchen lathe of Fig. 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thickness, size, etc. of each member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고안의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and direction are based on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방용 선반(100)은 제1 선반프레임(110)과, 제2 선반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이 때, 제2 선반프레임(120)은 제1 선반프레임(110)의 안쪽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제1 선반프레임(110)에 일부가 수용된 채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 선반프레임(110)에는 제1 선반(10)이 안착된다. 제2 선반프레임(120)에는 제2 선반(20)이 안착된다. 따라서 제2 선반프레임(12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주방용 선반(100)의 총 선반 길이가 대략적으로 "제1 선반(10)+제2 선반(20)"의 길이로 확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100)은 제1 선반프레임(110)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선반프레임(120)의 구성을 통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총 선반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이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전방"은 도 1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좌측 방향을 의미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제1 선반프레임(110)은 한 쌍의 제1 장변부(111)와, 한 쌍의 제1 단변부(112)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장변부(111)는 길이 방향(도 1에서 좌우측 방향을 의미함)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단변부(112)는 너비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장변부(111) 및 제1 단변부(112)가 결합함으로써, 제1 선반프레임(110)은 속이 빈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단변부(112)의 크기는 상호 비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쪽에 위치한 제1 단변부(112)는 제1 장변부(111)의 측부 전체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방쪽에 위치한 제1 단변부(112)는 제1 장변부(111)의 측부 일부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제2 선반프레임(120)이 제1 선반프레임(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바, 이러한 제2 선반프레임(120)의 통로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The
제2 선반프레임(120)은 한 쌍의 제2 장변부(121)와, 한 쌍의 제2 단변부(122)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장변부(121)는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단변부(122)는 너비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장변부(121) 및 제2 단변부(122)가 결합함으로써, 제2 선반프레임(210)은 속이 빈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제2 단변부(122)는 한 쌍이 아니라 전방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2 단변부(122)의 경우에는 제1 선반프레임(110)의 내부에만 위치하므로 생략 가능하기 때문이다. The
제1 선반프레임(110)의 내측에는 제1 선반(10)이 안착된다. 제2 선반프레임(120)의 내측에는 제2 선반(20)이 안착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선반(10)은 물이 낙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얇은 두께를 갖는 봉재가 간격을 두어 짜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제1 선반(10)은 복수의 홀을 갖는 타공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선반(20)은 제1 선반(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선반(10) 및 제2 선반(20)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선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helf (10) is seated inside the first shelf frame (110). A
이하, 제1 선반프레임(110)과 제2 선반프레임(120)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주방용 선반(100)에서 제1 선반프레임(110)과 제2 선반프레임(120)의 결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주방용 선반(110)에서 제1 선반프레임(110)과 제2 선반프레임(120)의 결합부를 다른 방향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선반프레임(110)의 제1 장변부(111)는 제1 선반결합부(111a), 제2 선반프레임 결합부(111b), 장슬릿(11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반결합부(111a)는 제1 장변부(111)의 내측 상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이란 제1 장변부(111)의 안쪽면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선반결합부(111a)는 제1 장변부(111)의 내측벽을 따라 형성된 장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선반결합부(111a)에는 제1 선반(10)의 양측부가 결합합으로써 제1 선반(10)이 고정될 수 있다. 2 and 3, the first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111b)는 제1 장변부(111)의 내측 하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111b)는 제1 장변부(11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속이 빈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111b)의 최내측에 위치한 면의 중앙부에는 소정 크기를 갖는 틈이 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제2 선반프레임(120)의 제2 장변부(121)의 외측면에는 슬라이딩 롤러부(121b)가 마련된다. 이 때, 슬라이딩 롤러부(121b)는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111b)의 내부로 진입한다. 또한 제2 장변부(121)의 외측면과 슬라이딩 롤러부(121b) 사이의 결합부재가 상기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111b)의 최내측 면에 형성된 틈에 수용될 수 있다.The second shelf
장슬릿(111c)은 제1 선반결합부(111a)와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111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장슬릿(111c)은 제1 선반(10)의 하부에 거치되는 1 이상의 제1 물받침대(11)의 통로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제1 물받침대(11)는 제1 선반(10) 상에 올려진 주방 식기 등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선반(10)의 하부에는 제1 물받침대(11)의 측부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돌기(미도시)가 마련되며, 제1 물받침대(11)는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제1 선반(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장슬릿(111c)을 통해 제1 물받침대(11)를 제1 선반(10)의 하부에 거치시키거나, 또는 제1 선반(10)으로부터 제1 물받침대(11)를 빼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물받침대(1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 물받침대(11)의 장슬릿(111c) 쪽 측단부가 장슬릿(111c) 쪽으로 소정 정도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돌출된 부분을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제2 선반프레임(120)의 제2 장변부(121)는 제2 선반 결합부(121a)와 슬라이딩 롤러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선반 결합부(121a)는 앞서 설명한 제1 선반프레임(110)의 제1 장변부(111)의 제1 선반 결합부(111a)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선반 결합부(121a)는 제2 장변부(121)의 내측벽을 따라 형성된 장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선반 결합부(121b)에는 제2 선반(20)의 양측부가 결합함으로써 제2 선반(2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선반(20)의 하부에는 제2 물받침대(21)가 거치될 수 있다. 제2 물받침대(21)의 기능이나 거치 형태는 제1 물받침대(11)의 기능 및 거치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second
슬라이딩 롤러부(121b)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선반프레임(110)으로부터 제2 선반프레임(12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슬라이딩 롤러부(121b)는 제2 선반프레임(120)의 제2 장변부(121)의 외측부에 1 이상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슬라이딩 롤러부(121b)는 제1 선반프레임(110)의 제1 장변부(111)의 제2 선반프레임 결합부(111b) 내부에 수용된다. 즉 슬라이딩 롤러부(121b)는 제2 선반프레임 결합부(111b) 내부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내부 바닥면을 따라 구름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선반프레임(120)은 슬라이딩 롤러부(121b)의 구름운동에 의해 제1 선반프레임(110)에 후방측이 일부 수용된 형태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롤러부(121b)는 제2 선반프레임(120)을 제1 선반프레임(110)의 상기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살짝 들리게 하는 기능도 한다. 따라서 제2 장변부(121)가 별도의 간섭 없이 제1 장변부(1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장변부(111)의 제2 선반프레임 결합부(111b)의 내부 바닥면에는 슬라이딩 롤러부(121b)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liding
상술한 것과 같이, 제2 선반프레임(120)의 제2 장변부(121)는 제1 선반프레임(110)의 제1 장변부(111)의 내부(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선반프레임 결합부(111b)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장변부(121)의 외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롤러부(121b)는 제2 선반프레임 결합부(111b)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름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선반프레임(12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다. 즉 제1 선반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제2 선반프레임(120)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제2 선반프레임(120)에 안착된 제2 선반(20)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제1 선반프레임(110)에 안착된 제1 선반(10)이 제2 선반(20)으로 선반의 길이가 확장되는 효과를 낳는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에는 다시 제1 선반(10) 만큼의 길이로 축소된다. 이와 같이 선반의 길이를 최대 2배 가까이 확장시킬 수 있는 바, 필요시 주방 용품 등의 거치공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The second
한편,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선반프레임(12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제1 선반프레임(11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제1 선반프레임(110)의 제1 장변부(111)의 제2 선반프레임 결합부(111b)의 바닥면의 전단부에는 슬라이딩 롤러부(121b)의 이탈을 막는 스톱퍼 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 부재는 예컨대 돌기 부재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롤러부(121b)가 스톱퍼 부재를 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제2 선반프레임(12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2 선반프레임(120)의 전방측 제2 단변부(122)가 제1 선반프레임(110)의 제1 장변부(111)의 전단부에 의해 막히게 형성됨으로써, 제2 선반프레임(120)이 제1 선반프레임(110)보다 후방으로 이동할 수는 없게 된다. In order to prevent the
또한 경우에 따라, 제1 선반프레임(110) 및 제2 선반프레임(120)에는 복수의 다리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재는 주방용 선반(10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선반프레임(110)의 후방측에 위치한 제1 단변부(112)의 하부 귀퉁이에 각각 다리부재를 형성하고, 제2 선반프레임(120)의 전방측에 위치한 제2 단변부(122)의 하부 귀퉁이에 각각 다리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leg members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예들에 따른 주방용 선반은 제1 선반프레임과, 제1 선반프레임의 안쪽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제1 선반프레임에 일부가 수용된 채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선반프레임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선택에 따라 주방용 선반의 길이를 2배 가까이 확장시킬 수 있어 필요시 주방용품 등의 거치공간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kitchen lathe according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athe frame, a second lathe frame that is formed to be received in the first lathe frame and is slidable forward or rearward while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lathe frame By configuring to include two shelf frames, the length of the kitchen shelf can be expanded to nearly double the length of the kitchen shelf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o that the storage space of kitchen appliances and the like can be easily expanded when necessary.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구체예들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다양한 변형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고안이 하기 변형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주방용 선반은 앞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구체예들에 따른 주방용 선반을 의미함을 밝혀두며 도 1 내지 도 3에 표시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Hereinafter,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kitchen lathe according to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t should be apparent, howeve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modifications.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the kitchen shelf means a kitchen shelf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s. .
변형예Variation example
도 4는 도 1의 주방용 선반(100)의 제1 변형예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주방용 선반(100)은 제1 장변부(111)에 결합하는 1 이상의 창틀걸이 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방용 선반(100)은 주방에 마련되는 창(window)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창틀걸이 부재(30)는 주방용 선반(100)을 창에 설치하기 위한 거치용 부재에 해당한다. Fig. 4 is a first modification of the
일 구체예에 있어서, 창틀걸이 부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눕힌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부가 주방용 선반(100)의 제1 선반프레임(110)의 뒤쪽 제1 장변부(111)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방식은 특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볼트-너트 결합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창틀걸이 부재(30)는 창틀 일부를 파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주방용 선반(100)이 창틀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window
도 5는 도 1의 주방용 선반(100)의 제2 변형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방용 선반(100)은 제1 선반프레임(110)의 후방측 제1 단변부(112)에 높이 방향으로 결합하는 제1 걸이부재(40)와, 제2 선반프레임(120)의 전방측 제2 단변부(122)에 높이 방향으로 결합하는 제2 걸이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 5 is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제1 걸이부재(40)는 하단이 제1 선반프레임(110)의 후방측 제1 단변부(112)에 결합된다. 결합 방식은 특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볼트-너트 등의 통상의 결합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걸이부재(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형태를 갖는 봉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걸이부재(40)의 상단에는 1 이상의 결합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 제1 걸이부재(40)의 상단에는 한 쌍의 결합홀(41)이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결합홀(41)의 개수는 3 이상이거나 1개일 수도 있다.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oking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걸이부재(4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걸이부재(40)는 2개의 부재가 상하부로 결합되고, 하부 부재가 상부 부재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하부 부재는 상부분에 측방향 쪽으로 돌출된 돌출부재(미도시)가 탄성부재(예컨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결합하고, 상부 부재에는 복수의 홀이 일렬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홀 중 어느 하나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지지됨으로써 하부 부재를 상부 부재의 내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1 걸이부재(40)의 높이는 특정되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hooking
한편, 제2 걸이부재(50)는 하단이 제2 선반프레임(120)의 전방측 제2 단변부(122)에 결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걸이부재(4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걸이부재(50)는 제1 걸이부재(40)와 마찬가지로 상단에 1 이상의 결합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ooking
상술한 것과 같은 제1 걸이부재(40) 및 제2 걸이부재(50)는 주방용 선반(100)을 거치시키거나 고정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임의의 공간에 형성되며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재가 있는 경우, 한 쪽의 돌기부재에는 제1 걸이부재(40)의 상부분을 걸고, 다른 한 쪽의 돌기부재에는 제2 걸이부재(50)의 상부분을 걸어 주방용 선반(100)을 상기 돌기부재들에 거치시킬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임의의 상판(upper plate)이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주방용 선반(100)을 원하는 만큼 선반의 길이를 확장시킨 후에, 제1 걸이부재(40) 및 제2 걸이부재(5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41,51)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에 주방용 선반(100)을 볼트-너트 등의 통상적인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상판의 예로는 싱크대 세트의 상부장의 바깥쪽 하부면, 싱크대 세트의 상부장 또는 하부장의 수납 공간 내부가 될 수 있다. The first hooking
도 6은 도 1의 주방용 선반(100)의 제3 변형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방용 선반(100)은 제1 선반프레임(110)의 뒤쪽 제1 장변부(111) 및 양측 제1 단변부(112)에 높이 방향으로 결합하는 패널(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ig. 6 is a third modification of the
일 구체예에 있어서, 패널(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선반프레임(110)의 뒤쪽 제1 장변부(111)에 결합하는 제1 패널(61)과, 양측 제1 단변부(112)에 각각 높이 방향으로 결합하는 제2 패널(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61) 및 제2 패널(62)은 측부가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2 패널(61,62)의 형태는 특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패널(61)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패널(62)은 앞쪽으로 라운드진 1/4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고). 또한 제1,2 패널(61,62)은 타공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제1,2 패널(61,62)은 제1 선반프레임(110)에 놓여진 각종 주방용품들이 밖으로 이탈하지 않게 막는 역할을 한다. 6, the
도 7은 도 1의 주방용 선반(100)의 제4 변형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방용 선반(100)은 제1 기둥부(71), 제2 기둥부(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둥부(71)는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걸림부(72)를 포함한다. 제2 기둥부(81)는 제1 걸림부(72)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걸림부(82)를 포함한다. 제1 기둥부(71)와 제2 기둥부(81)는 주방용 선반(100)의 길이 또는 확장된 길이와 상응하도록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걸림부(72) 및 제2 걸림부(82)는 상호 마주보게 된다. Fig. 7 is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상술한 것과 같은 제1,2 기둥부(71,81)는 주방용 선반(100)을 임의의 공간에 배치시키는 기능을 하며, 나아가 2 이상의 주방용 선반(100)을 상하로 배치시키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주방용 선반(100)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걸이부재(40) 및 제2 걸이부재(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2 기둥부(71,81)에 형성된 제1 걸림부(72)에 제1 걸이부재(40)가 거치되고, 제2 걸림부(82)에 제2 걸이부재(50)가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방용 선반(100)은 제1,2 기둥부(71,81)에 거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나아가 도 7에서와 같이 하나의 주방용 선반(100)을 제1,2 기둥부(71,81)의 상부분에 거치시키고, 다른 하나의 주방용 선반(100)을 제1,2 기둥부(71,81)의 하부분에 거치시키는 방식으로 2 이상의 주방용 선반(100)을 제1,2 기둥부(71,81)에 거치시킬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post portions 71 and 81 function to dispose the
사용자는 주방용 선반(100)의 제2 선반프레임(12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원하는 선반 길이를 맞춘 다음, 상기 선반 길이에 상응하도록 제1,2 기둥부(71,81)를 배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2 기둥부(71,81)에 형성된 제1,2 걸림부(72,82)에 주방용 선반(100)의 제1,2 걸이부재(40,50)를 각각 걸어, 주방용 선반(100)을 제1,2 기둥부(71,81)에 거치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1,2 기둥부(71,81)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바닥면이나 임의의 상판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기둥부(71,81)의 하단부에 바닥면과의 고정을 위한 체결홀(미도시)이 1 이상 형성되거나, 상단부에 상판과의 고정을 위한 접착수단 또는 체결홀이 1 이상 형성될 수 있다. The user can slide the
도 8은 도 1의 주방용 선반(100)의 제5 변형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주방용 선반(100)은 제1,2 연결부재(91a,9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2 연결부재(91a,91b)는 2 이상의 주방용 선반(100)을 상하로 배치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Fig. 8 is a fifth modification of the
제1 연결부재(91a)는 하나의 주방용 선반(100, 도 8에서 위에 배치된 주방용 선반)의 제1 선반프레임(110)의 후방측 제1 단변부(112)와, 다른 하나의 주방용 선반(200, 도 8에서 아래에 배치된 주방용 선반)의 제1 선반프레임의 후방측 제1 단변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제2 연결부재(91b)는 하나의 주방용 선반(100)의 전방측 제2 단변부(112)와, 다른 하나의 주방용 선반(200)의 제2 단변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제1,2 연결부재(91a,91b)가 제1,2 단변부에 결합되는 방식은 특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2 연결부재(91a,91b)는 상술한 제1,2 단변부에 볼트-너트 등의 통상적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제1,2 연결부재(91a,91b)는 상술한 제1,2 단변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8에서는 힌지(92)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주방용 선반(100)을 힌지의 회동 범위 내에서 회동시켜 2 이상의 주방용 선반(100,200)의 배치 형태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서와 같이 위에 배치된 주방용 선반(100)이 아래에 배치된 주방용 선반(200)보다 뒤쪽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 형태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1,2 연결부재(91a,91b)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2 이상의 주방용 선반(100,200)의 배치 형태를 만들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아래에 배치된 주방용 선반(200)의 하부에는 복수의 다리부(93)가 형성될 수 있다. 주방용 선반(100,200)들이 지면으로부터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함이다. 다리부(93)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 배치된 주방용 선반(200)의 하부면 네 귀퉁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manner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이상, 본 고안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simple design changes, omissions of some components, and simple changes in usage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200: 주방용 선반
110: 제1 선반프레임
111: 제1 장변부
112: 제1 단변부
120: 제2 선반프레임
121: 제2 장변부
122: 제2 단변부
10: 제1 선반
20: 제2 선반
30: 창틀걸이 부재
40: 제1 걸이부재
50: 제2 걸이부재
60: 패널
71: 제1 기둥부
81: 제2 기둥부
91a: 제1 연결부재
91b: 제2 연결부재100, 200: Kitchen lathe 110: First shelf frame
111: first long side portion 112: first short side portion
120: second lathe frame 121: second long side
122: second short side 10: first shelf
20: second shelf 30: window frame hook member
40: first hooking member 50: second hooking member
60: Panel 71: First column
81:
91b: second connecting member
Claims (10)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의 안쪽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선반프레임에 일부가 수용된 채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선반프레임을 포함하는 주방용 선반.A first shelf frame,
And a second lathe frame formed to be received in the first lathe frame and slidable forward or rearward while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lathe frame.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의 내측에는 제1 선반이 안착되며, 상기 제2 선반프레임의 내측에는 제2 선반이 안착되는 주방용 선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shelf is seated inside the first shelf frame and a second shelf is seated inside the second shelf frame.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은 한 쌍의 제1 장변부와, 한 쌍의 제1 단변부가 결합하여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장변부는 내측 상부분에 형성되어 제1 선반이 안착되는 제1 선반결합부와, 내측 하부분에 형성되어 제2 선반프레임을 수용하는 제2 선반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제1 선반결합부 및 제2 선반프레임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선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물받침대의 통로로 기능하는 장슬릿을 포함하는 주방용 선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helf frame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a pair of first long side portions and a pair of first short side portions joined together,
The first long side portion has a first shelf engag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upper portion and on which a first shelf is seated, a second shelf frame engag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lower portion to receive the second shelf frame, And a second slit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helf frame engaging portions and serving as a passage of the first water pedestal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helf.
상기 제2 선반프레임은 한 쌍의 제2 장변부와 1 이상의 제2 단변부가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장변부는 내측에 형성되어 제2 선반이 안착되는 제2 선반결합부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선반프레임 결합부에 수용되어 구름운동하는 1 이상의 슬라이딩 롤러부를 포함하는 주방용 선반.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shelf frame is formed by a pair of second long side portions and at least one second short side portion combined,
Wherein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comprises a second shelf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on which the second shelf is seated and one or more sliding roller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side and received in the second shelf frame engaging portion and rolling.
상기 제1 장변부에 결합하는 1 이상의 창틀걸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 선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window frame hanger member coupled to the first long side portion.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의 후방측 제1 단변부에 높이 방향으로 결합하는 제1 걸이부재와,
상기 제2 선반프레임의 전방측 제2 단변부에 높이 방향으로 결합하는 제2 걸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 선반.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hook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a first short side portion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lathe frame in a height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hook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a second short side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lathe frame in a height direction.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의 뒤쪽 제1 장변부 및 양측 제1 단변부에 높이 방향으로 결합하는 패널을 더 포함하는 주방용 선반.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anel coupled to the first long side portion of the first shelf frame and the first short side portions on both side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shelf frame.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 기둥부와,
상기 제1 걸림부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 기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에 상기 제1 걸이부재가 거치되고, 상기 제2 걸림부에 상기 제2 걸이부재가 거치되는 주방용 선반.The method of claim 6,
A first pillar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por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second pillar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pawl portion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pawl portion,
Wherein the first latching member is seated in the first latching portion and the second latching member is seated in the second latching portion.
하나의 주방용 선반의 제1 선반프레임의 후방측 제1 단변부와, 다른 하나의 주방용 선반의 제1 선반프레임의 후방측 제1 단변부를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재와,
하나의 주방용 선반의 제2 선반프레임의 전방측 제2 단변부와, 다른 하나의 주방용 선반의 제2 선반프레임의 전방측 제2 단변부를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 선반.A pair of kitchen shelves according to claim 4 are arranged vertically,
A first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a first short side portion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lathe frame of one kitchen lathe and a first short side portion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lathe frame of the other kitchen lath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a second short side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lathe frame of one kitchen lathe and a second short side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lathe frame of the other kitchen lathe.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선반프레임 및 제2 선반프레임에 힌지 결합하는 주방용 선반.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re hinged to the first shelf frame and the second shelf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024U KR20180003606U (en) | 2017-06-14 | 2017-06-14 | A extendable shelf for kitch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024U KR20180003606U (en) | 2017-06-14 | 2017-06-14 | A extendable shelf for kitche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3606U true KR20180003606U (en) | 2018-12-24 |
Family
ID=6495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3024U KR20180003606U (en) | 2017-06-14 | 2017-06-14 | A extendable shelf for kitch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3606U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9243B1 (en) * | 2019-11-21 | 2020-06-04 | 나성관 | Expandable kitchen shipboard |
KR102128351B1 (en) * | 2019-11-06 | 2020-06-30 | (주)대진아트와이어 | Shelf for Dishes |
KR20210054949A (en) * | 2019-11-06 | 2021-05-14 | (주)대진아트와이어 | Dishes Shelf for Window Frame |
-
2017
- 2017-06-14 KR KR2020170003024U patent/KR20180003606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8351B1 (en) * | 2019-11-06 | 2020-06-30 | (주)대진아트와이어 | Shelf for Dishes |
KR20210054949A (en) * | 2019-11-06 | 2021-05-14 | (주)대진아트와이어 | Dishes Shelf for Window Frame |
KR102119243B1 (en) * | 2019-11-21 | 2020-06-04 | 나성관 | Expandable kitchen shipboar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91378A (en) | Shelving console furniture | |
RU2763642C2 (en) | Box for wall-mounted storage system | |
US20170311717A1 (en) | Cabinet | |
US20140261094A1 (en) | Table leg assembly | |
KR101804752B1 (en) | Multi-functional rack with wall fixed type | |
KR20180003606U (en) | A extendable shelf for kitchen | |
KR200485024Y1 (en) | A shelf for a sink | |
KR200480389Y1 (en) | Multi-fetched expressions cabinet | |
EP2777430B1 (en) | Mountable furniture system | |
KR101818835B1 (en) | Shelf for Dishes | |
US10470560B2 (en) | Slidable furniture with in-wall mounting system | |
KR100696936B1 (en) | A decoration furniture having a table | |
KR102019427B1 (en) | The table with an extension | |
JP2006325788A (en) | Kitchen counter | |
KR101850399B1 (en) | Display Cupboard | |
KR200464816Y1 (en) | The shelf deferment unit where the establishment is possible in the form which is various | |
KR200476051Y1 (en) | Hanger is equipped with a chair | |
EP1256291A2 (en) | Bracket for furniture elements and the like | |
JP6490484B2 (en) | Headboard and bed | |
KR200481408Y1 (en) | convertible table | |
KR102302530B1 (en) | Dishes Shelf for Window Frame | |
JP2019187971A (en) | table | |
KR100302670B1 (en) | Furniture having a multiple-purpose for fabricated type | |
KR102036497B1 (en) | Folding shelf | |
KR102006453B1 (en) | Multi functional shelv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