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865A -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및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및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865A
KR20190034865A KR1020170123411A KR20170123411A KR20190034865A KR 20190034865 A KR20190034865 A KR 20190034865A KR 1020170123411 A KR1020170123411 A KR 1020170123411A KR 20170123411 A KR20170123411 A KR 20170123411A KR 20190034865 A KR20190034865 A KR 20190034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opening
working fluid
passag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492B1 (ko
Inventor
구진회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3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4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82Hydraulic or pneumat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655Location of control
    • B29C2945/76775Fluids
    • B29C2945/76785Fluids hydraulic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가 갖는 구동장치의 제1유압실에 연결된 제1연결부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입유로; 상기 구동장치의 제2유압실에 연결된 제2연결부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입유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가 상기 사출성형기가 갖는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유출유로; 상기 제1유입유로, 상기 제2유입유로, 및 상기 유출유로 전부에 연통된 개폐유로; 및 상기 개폐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구를 포함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및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및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Device for Removing Operating Fluid of Hydraulic Apparatus and Hydraulic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제조방법이다. 예컨대, 텔레비전,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제품에 있어서 커버, 케이스를 비롯한 다양한 부품이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을 통한 제품의 제조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거쳐 이루어진다. 우선, 안료, 안정제, 가소제, 충전제 등이 첨가된 성형재료를 호퍼에 투입하여 용융상태로 만든다. 다음,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한 후에 냉각을 통해 응고시킨다. 다음, 금형으로부터 응고된 성형재료를 추출한 후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공정들을 거쳐 다양한 종류 및 크기를 갖는 사출제품이 제조된다. 이와 같은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설비로, 사출성형기가 이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는 사출장치 및 형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사출장치는 상기 형체장치에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형체장치는 상기 사출장치로부터 공급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유압장치 및 구동장치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는 구동장치(110) 및 유압장치(12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장치(11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동장치(110)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가 갖는 부품을 이동시킨다. 예컨대, 상기 구동장치(110)는 사출제품에 부분적으로 내부 형상을 구현하기 위한 코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110)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110)는 작동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11), 및 상기 하우징(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부재(112)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1)에는 상기 유압장치(120)에 연결된 제1유압실(111a) 및 제2유압실(111b)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재(112)는 상기 제1유압실(111a) 및 상기 제2유압실(111b) 각각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거나 비워짐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부품을 이동시킨다.
상기 유압장치(120)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장치(11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유압장치(120)는 유압을 형성하기 위한 작동유체를 상기 구동장치(110)에 대해 공급 및 배출함으로써, 상기 구동장치(110)를 작동시킨다. 상기 유압장치(120)는 제1연결부재(131)를 통해 상기 제1유압실(111a)에 연결됨과 아울러 제2연결부재(132)를 통해 상기 제2유압실(111b)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131) 및 상기 제2연결부재(132)는 각각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호스(Hose) 등으로 구현된다.
상기 유압장치(120)가 상기 제1연결부재(131)를 통해 상기 제1유압실(111a)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면, 상기 구동부재(112)는 상기 제1유압실(111a)에서 상기 제2유압실(1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유압장치(120)는 상기 제2연결부재(132)를 통해 상기 제2유압실(111b)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시킨다.
상기 유압장치(120)가 상기 제2연결부재(132)를 통해 상기 제2유압실(111b)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면, 상기 구동부재(112)는 상기 제2유압실(111b)에서 상기 제1유압실(111a)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유압장치(120)는 상기 제1연결부재(131)를 통해 상기 제1유압실(111a)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시킨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장치(120)는 금형 교체 등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들(131, 132)을 상기 구동장치(110)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연결부재들(131, 132)에 채워져 있던 작동유체가 고압으로 비산(飛散)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장치(120)는 상기 연결부재들(131, 132)로부터 비산된 작동유체로 인해 사출성형기와 그 주변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고압으로 비산된 작동유체로 인해 인적사고 등과 같은 산업재해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작동유체로 인한 오염 및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및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는 사출성형기가 갖는 구동장치의 제1유압실에 연결된 제1연결부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입유로가 형성된 제1유입배관; 상기 구동장치의 제2유압실에 연결된 제2연결부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입유로가 형성된 제2유입배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가 상기 사출성형기가 갖는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유출유로가 형성된 유출배관; 상기 제1유입유로, 상기 제2유입유로, 및 상기 유출유로 전부에 연통된 개폐유로가 형성된 개폐배관; 및 상기 개폐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폐배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제2유입유로에서 상기 유출유로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개폐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제2유입유로에서 상기 유출유로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키도록 상기 개폐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는 사출성형기가 갖는 구동장치의 제1유압실에 연결된 제1연결부; 상기 구동장치의 제2유압실에 연결된 제2연결부; 상기 제1유압실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위해 상기 제1연결부에 연결된 제1유로부; 상기 제2유압실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위해 상기 제2연결부에 연결된 제2유로부; 상기 제1유로부와 상기 제2유로부가 각각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작동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부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N개(N은 2보다 큰 정수)의 유로가 형성된 제거본체, 및 상기 유로들 전부에 연통된 개폐유로를 개폐(開閉)하도록 상기 제거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동유체로 인해 사출성형기와 그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유체로 인해 인적사고 등과 같은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유압장치 및 구동장치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가 구비된 사출성형기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에 있어서 전환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유압회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에 있어서 제거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에 있어서 제거본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파지부재를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에 표시된 화살표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에 표시된 점선 화살표는 작동유체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사출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성형기(10)에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사출성형기(1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출성형기(10)는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사출장치(11), 및 상기 사출장치(11)로부터 공급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키는 형체장치(12)를 포함한다.
상기 사출장치(11)는 호퍼(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성형재료를 저장하는 배럴(11a), 상기 배럴(11a)의 내부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사출스크류(미도시), 및 상기 사출스크류를 구동시키는 사출구동부(11b)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를 통해 상기 배럴(11a)의 내부로 성형재료가 공급되면, 사출구동부(11b)는 상기 사출스크류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배럴(11a)에서 성형재료를 용융시켜 계량한 후에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상기 형체장치(12)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형체장치(12)는 고정금형(미도시)이 결합된 고정형판(12a), 및 이동금형(미도시)이 결합된 이동형판(12b)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형판(12b)이 이동하여 상기 이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이 형폐되면, 상기 사출장치(11)는 상기 이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의 내부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형체장치(12)는 사출제품에 부분적으로 내부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 코어가 상기 이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의 내부가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로 채워지면, 상기 형체장치(12)는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킨다. 용융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응고가 완료되면, 상기 코어가 상기 이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한 후에, 상기 이동형판(12b)은 상기 이동금형이 상기 고정금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을 형개한다.
이러한 사출성형기(10)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사출성형기(10)가 갖는 구동장치(110)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구동장치(110)는 상기 사출성형기(10)가 갖는 부품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코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유압으로 작동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110)는 상기 코어 외에 상기 사출성형기(10)가 갖는 다른 부품을 이동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구동장치(110)는 작동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11), 및 상기 하우징(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부재(112)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1)에는 제1유압실(111a) 및 제2유압실(111b)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재(112)는 상기 제1유압실(111a) 및 상기 제2유압실(111b) 각각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거나 비워짐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부품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상기 제1유압실(111a)과 상기 제2유압실(111b) 각각에 대해 작동유체를 공급 및 배출함으로써, 상기 구동장치(110)를 작동시킨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상기 제1유압실(111a)에 연결된 제1연결부(2), 상기 제2유압실(111b)에 연결된 제2연결부(3), 상기 제1유압실(111a)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해 상기 제1연결부(2)에 연결된 제1유로부(4), 상기 제2유압실(111b)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해 상기 제2연결부(3)에 연결된 제2유로부(5), 상기 제1유로부(4)와 상기 제2유로부(5)가 각각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20)와 작동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부(3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전환하는 전환부(6), 및 상기 제1연결부(2)와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부(7)는 상기 제1연결부(2)와 상기 전환부(6)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로부(4)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2연결부(3)와 상기 전환부(6) 사이에서 상기 제2유로부(5)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거부(7)는 상기 제1유로부(4)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2)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부(7)는 상기 제2유로부(5)를 통해 상기 제2연결부(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금형 교체 등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제거부(7)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를 상기 구동장치(1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작동유체로 인해 상기 사출성형기(10)와 그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를 상기 구동장치(1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작동유체로 인해 인적사고 등과 같은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연결부(2), 상기 제2연결부(3), 상기 제1유로부(4), 상기 제2유로부(5), 상기 전환부(6), 및 상기 제거부(7)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연결부(2)는 상기 구동장치(110)가 갖는 제1유압실(111a)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1연결부(2)는 일측이 상기 제1유압실(111a)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유로부(4)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2)는 상기 제1유로부(4)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유압실(111a)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는 상기 제1유압실(111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유로부(4)로 배출할 수 있다. 작동유체는 오일(Oil)일 수 있다. 작동유체는 상기 제1연결부(2)의 내부에서 상기 제1연결부(2)를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제1유압실(111a)에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제1유압실(111a)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호스(Hos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는 본체(1a)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a)의 내부에는 상기 제1유로부(4), 상기 제2유로부(5), 및 상기 전환부(6)가 위치한다. 상기 제1연결부(2)는 상기 본체(1a)의 외부에서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1유압실(111a) 각각에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2연결부(3)는 상기 구동장치(110)가 갖는 제2유압실(111b)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3)는 일측이 상기 제2유압실(111b)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유로부(5)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3)는 상기 제2유로부(5)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2유압실(111b)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3)는 상기 제2유압실(111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2유로부(5)로 배출할 수 있다. 작동유체는 상기 제2연결부(3)의 내부에서 상기 제2연결부(3)를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제2유압실(111b)에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제2유압실(111b)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3)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호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3)는 상기 본체(1a)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3)는 상기 본체(1a)의 외부에서 상기 제2유로부(5) 및 상기 제2유압실(111b) 각각에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유로부(4)는 상기 제1유압실(111a)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해 상기 제1연결부(2)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1유로부(4)는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전환부(6)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로부(4)는 상기 전환부(6)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연결부(2)를 통해 상기 제1유압실(111a)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부(4)는 상기 제1유압실(111a)로부터 상기 제1연결부(2)를 통해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전환부(6)로 배출할 수 있다. 작동유체는 상기 제1유로부(4)를 따라 상기 제1연결부(2) 쪽으로 유동할 수도 있고, 상기 전환부(6) 쪽으로 유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유로부(4)는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부(4)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결합된 배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부(4)는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가공된 홈(Groove) 또는 구멍(Hole)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2유로부(5)는 상기 제2유압실(111b)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해 상기 제2연결부(3)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2유로부(5)는 일측이 상기 제2연결부(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전환부(6)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유로부(5)는 상기 전환부(6)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2연결부(3)를 통해 상기 제2유압실(111b)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부(5)는 상기 제2유압실(111b)로부터 상기 제2연결부(3)를 통해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전환부(6)로 배출할 수 있다. 작동유체는 상기 제2유로부(5)를 따라 상기 제2연결부(3) 쪽으로 유동할 수도 있고, 상기 전환부(6) 쪽으로 유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유로부(5)는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부(5)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결합된 배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부(5)는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가공된 홈 또는 구멍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전환부(6)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것이다. 상기 전환부(6)는 일측이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2유로부(5) 각각에 연결된다.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2유로부(5)는 상기 전환부(6)의 일측에서 서로 다른 부분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6)는 타측이 상기 공급부(20) 및 상기 배출부(30)에 연결된다. 상기 공급부(20) 및 상기 배출부(30)는 상기 전환부(6)의 타측에서 서로 다른 부분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20)는 작동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유체를 유동시키는 펌프(Pu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20)는 공급유로(21)를 통해 상기 전환부(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21)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결합된 배관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가공된 홈 또는 구멍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부(30)는 작동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유체를 저장하는 드레인탱크(Drain Tan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30)는 배출유로(31)를 통해 상기 전환부(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31)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결합된 배관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가공된 홈 또는 구멍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유로(31) 및 상기 공급유로(21)는 상기 전환부(6)의 타측에서 서로 다른 부분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6)는 상기 제1유로부(4)와 상기 제2유로부(5)가 각각 상기 공급부(20)와 상기 배출부(3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전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환부(6)는 상기 구동부재(112)가 이동하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부(6)는 상기 제1유로부(4)가 상기 공급부(20)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2유로부(5)가 상기 배출부(30)에 연결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부(20)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전환부(6)를 거쳐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1연결부(2)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제1유압실(111a)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압실(111b)에 위치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연결부(3) 및 상기 제2유로부(5)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전환부(6)를 거쳐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유압실(111a)을 작동유체로 채움과 아울러 상기 제2유압실(111b)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상기 구동부재(112)를 상기 제1유압실(111a)에서 상기 제2유압실(1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부(6)는 상기 제2유로부(5)가 상기 공급부(20)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유로부(4)가 상기 배출부(30)에 연결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부(20)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전환부(6)를 거쳐 상기 제2유로부(5) 및 상기 제2연결부(3)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제2유압실(111b)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압실(111a)에 위치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1유로부(4)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전환부(6)를 거쳐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유압실(111b)을 작동유체로 채움과 아울러 상기 제1유압실(111a)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상기 구동부재(112)를 상기 제2유압실(111b)에서 상기 제1유압실(111a)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부(6)는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2유로부(5)가 모두 상기 배출부(30)에 연결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부(20)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전환부(6)에 의해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2유로부(5)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제1유압실(111a)에 위치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1유로부(4)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전환부(6)를 거쳐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1유로부(4)로부터 작동유체가 전부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1유로부(4)에 작동유체가 남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1유로부(4)에 남아 있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거부(7)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1유로부(4)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압실(111b)에 위치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연결부(3) 및 상기 제2유로부(5)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전환부(6)를 거쳐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연결부(3) 및 상기 제2유로부(5)로부터 작동유체가 전부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제2연결부(3) 및 상기 제2유로부(5)에 작동유체가 남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3) 및 상기 제2유로부(5)에 남아 있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거부(7)에 의해 상기 제2연결부(3) 및 상기 제2유로부(5)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전환부(6)는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2유로부(5)가 모두 상기 공급부(20) 및 상기 배출부(30) 중에서 어느 것에도 연결되지 않도록 전환할 수도 있다.
상기 전환부(6)는 제1전환부재(61), 제2전환부재(62), 제3전환부재(63), 및 전환본체(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재(61)는 상기 공급부(20)와 상기 제1유로부(4)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배출부(30)와 상기 제2유로부(5)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전환부재(61)는 상기 전환본체(6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재(61)는 상기 전환본체(64)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전환본체(64)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전환부재(61)가 상기 공급유로(21), 상기 제1유로부(4), 상기 배출유로(31), 및 상기 제2유로부(5)에 연결되는 위치에 위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20)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전환부재(61)를 거쳐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1연결부(2)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제1유압실(111a)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압실(111b)에 위치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연결부(3) 및 상기 제2유로부(5)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제1전환부재(61)를 거쳐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재(61)는 상기 공급유로(21)와 상기 제1유로부(4)를 연결하는 유로, 및 상기 배출유로(31)와 상기 제2유로부(5)를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재(61)의 유로들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부재(62)는 상기 공급부(20)와 상기 제2유로부(5)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배출부(30)와 상기 제1유로부(4)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전환부재(62)는 상기 전환본체(6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환본체(64)에는 상기 제2전환부재(62)와 상기 제1전환부재(61)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부재(62)는 상기 전환본체(64)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전환본체(64)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전환부재(62)가 상기 공급유로(21), 상기 제1유로부(4), 상기 배출유로(31), 및 상기 제2유로부(5)에 연결되는 위치에 위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20)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전환부재(62)를 거쳐 상기 제2유로부(5) 및 상기 제2연결부(3)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제2유압실(111b)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압실(111a)에 위치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1유로부(4)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제2전환부재(62)를 거쳐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부재(62)는 상기 공급유로(21)와 상기 제2유로부(5)를 연결하는 유로, 및 상기 배출유로(31)와 상기 제1유로부(4)를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부재(62)의 유로들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전환부재(63)는 상기 공급부(20)에 대해 상기 제1유로부(4)와 상기 제2유로부(5) 모두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제3전환부재(63)는 상기 전환본체(6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환본체(64)에는 상기 제3전환부재(63), 상기 제2전환부재(62), 및 상기 제1전환부재(61)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63)는 상기 제2전환부재(62) 및 상기 제1전환부재(6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전환부재(63)는 상기 전환본체(64)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전환본체(64)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전환부재(63)가 상기 공급유로(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20)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3전환부재(63)에 의해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2유로부(5)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 경우, 상기 제3전환부재(63)는 상기 제1유로부(4), 상기 배출유로(31), 및 상기 제2유로부(5)에 연결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압실(111a)에 위치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1유로부(4)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제3전환부재(63)를 거쳐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압실(111b)에 위치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연결부(3) 및 상기 제2유로부(5)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제3전환부재(63)를 거쳐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전환부재(63)는 상기 배출유로(31)와 상기 제1유로부(4)를 연결하는 유로, 및 상기 배출유로(31)와 상기 제2유로부(5)를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전환부재(63)의 유로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환본체(64)는 상기 제1전환부재(61), 상기 제2전환부재(62), 및 상기 제3전환부재(63)의 위치가 변동되도록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전환본체(64)는 상기 본체(1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환본체(64)는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환본체(64)에는 상기 제1전환부재(61), 상기 제2전환부재(62), 및 상기 제3전환부재(63)가 결합된다. 상기 제1전환부재(61), 상기 제2전환부재(62), 및 상기 제3전환부재(63)는 상기 전환본체(64)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환본체(64)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환본체(64)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전환부재(63)가 상기 제1전환부재(61)와 상기 제2전환부재(6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환본체(64)는 상기 사출성형기(10)가 갖는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환본체(64)는 상기 사출성형기(10)가 사출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순서에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전환부(6)는 제1전환모듈(65) 및 제2전환모듈(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모듈(65) 및 상기 제2전환모듈(66)은 상기 전환본체(64)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전환모듈(65) 및 상기 제2전환모듈(66)은 상기 제1유로부(4)와 상기 제2유로부(5)가 각각 상기 공급부(20)와 상기 배출부(3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환본체(6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모듈(65) 및 상기 제2전환모듈(66)은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전환본체(6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환모듈(65) 및 상기 제2전환모듈(66)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환본체(64)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모듈(65) 및 상기 제2전환모듈(66)은 상기 전환본체(64)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전환본체(64)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환본체(64)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환모듈(65) 및 상기 제2전환모듈(66)은 상기 전환본체(64)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전환모듈(65)이 상기 전환본체(64)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제2전환모듈(66)이 상기 전환본체(64)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모듈(65) 및 상기 제2전환모듈(66)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 및 사출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순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전환본체(6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거부(7)는 상기 제1연결부(2)와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는 상기 제거부(7)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거부(7)는 상기 제1연결부(2)와 상기 전환부(6)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로부(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거부(7)는 상기 제2연결부(3)와 상기 전환부(6)의 사이에서 상기 제2유로부(5)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거부(7)는 상기 제1유로부(4)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2)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유로부(5)를 통해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금형 교체 등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를 상기 구동장치(1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작동유체로 인한 오염 및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거부(7)는 제거본체(71) 및 개폐기구(72)를 포함한다.
상기 제거본체(71)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N개(N은 2보다 큰 정수)의 유로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유로들은 각각 상기 제1연결부(2), 상기 제2연결부(3), 및 상기 배출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거본체(71)의 내부로 유입된 후에 유출되어서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유체는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에서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2유로부(5)를 통해 상기 제거본체(7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거본체(71)는 개폐유로(711)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유로(711)는 상기 유로들 전부에 연통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기구(72)가 상기 개폐유로(711)를 폐쇄하면, 상기 유로들 간의 연통이 차단된다. 따라서, 작동유체는 상기 제거본체(71)를 통해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되지 못한다. 상기 개폐기구(72)가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시키면, 상기 유로들이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제거본체(71)를 통해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된다. 상기 개폐유로(711)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제거본체(71)의 내부에 가공된 홈 또는 구멍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거본체(71)는 상기 개폐유로(711)에 연통된 유로들로, 제1유입유로(712), 제2유입유로(713) 및 유출유로(7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유로(712)는 상기 제1연결부(2)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1유입유로(712)는 상기 개폐유로(711)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거본체(7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유로(712)는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2)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유입유로(712)의 일측을 통해 상기 제거본체(7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입유로(712)의 일측은 상기 제1유로부(4)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유로(712)는 타측이 상기 개폐유로(711)에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기구(72)가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한 경우, 상기 제1유입유로(712)에 유입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유입유로(712)의 타측을 통해 상기 개폐유로(711)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유로(712)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제거본체(71)의 내부에 가공된 홈 또는 구멍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유로(713)는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2유입유로(713)는 상기 제1유입유로(71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개폐유로(711)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거본체(7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유로(713)는 일측이 상기 제2연결부(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유입유로(713)의 일측을 통해 상기 제거본체(7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입유로(713)의 일측은 상기 제2유로부(5)를 통해 상기 제2연결부(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유로(713)는 타측이 상기 개폐유로(711)에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기구(72)가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한 경우, 상기 제2유입유로(713)에 유입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유입유로(713)의 타측을 통해 상기 개폐유로(711)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유로(713) 및 상기 제1유입유로(712)는 상기 개폐유로(711)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유로(713)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제거본체(71)의 내부에 가공된 홈 또는 구멍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714)는 작동유체를 상기 배출부(30)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유출유로(714)는 상기 제1유입유로(712)와 상기 제2유입유로(713)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개폐유로(711)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거본체(7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714)는 일측이 상기 배출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는 상기 유출유로(714)를 통해 상기 제거본체(71)의 외부로 유출되어서 상기 배출부(30)로 유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출유로(714)의 일측은 상기 배출유로(31)를 통해 상기 배출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714)는 타측이 상기 개폐유로(711)에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기구(72)가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한 경우, 상기 제1유입유로(712) 및 상기 제2유입유로(713)로 유입된 작동유체는 상기 개폐유로(711)를 거쳐 상기 유출유로(714)의 타측을 통해 상기 배출부(3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714), 상기 제2유입유로(713) 및 상기 제1유입유로(712)는 상기 개폐유로(711)의 서로 다른 부분에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714)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제거본체(71)의 내부에 가공된 홈 또는 구멍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거본체(71)는 개폐배관(715), 제1유입배관(716), 제2유입배관(717), 및 유출배관(7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배관(715)은 상기 개폐유로(711)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개폐유로(711)는 상기 개폐배관(715)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배관(715)에는 상기 제1유입배관(716), 상기 제2유입배관(717), 및 상기 유출배관(718)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배관(716), 상기 제2유입배관(717), 및 상기 유출배관(718)은 상기 개폐배관(715)의 서로 다른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배관(715), 상기 제1유입배관(716), 상기 제2유입배관(717), 및 상기 유출배관(718)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유입배관(716)은 상기 제1유입유로(712)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유입유로(712)는 상기 제1유입배관(716)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배관(716)은 상기 제1유입유로(712)가 상기 개폐유로(711)에 연통되도록 상기 개폐배관(7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배관(717)은 상기 제2유입유로(713)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유입유로(713)는 상기 제2유입배관(717)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배관(717)은 상기 제2유입유로(713)가 상기 개폐유로(711)에 연통되도록 상기 개폐배관(7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배관(717) 및 상기 제1유입배관(716)은 상기 개폐배관(715)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배관(718)은 상기 유출유로(714)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유출유로(714)는 상기 유출배관(718)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배관(718)은 상기 유출유로(714)가 상기 개폐유로(711)에 연통되도록 상기 개폐배관(7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출배관(718)은 상기 제2유입배관(717) 및 상기 제1유입배관(716)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개폐배관(7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제거본체(7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72)가 상기 개폐유로(711)를 폐쇄하도록 이동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제1유입유로(712), 상기 제2유입유로(713), 및 상기 유출유로(714) 간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제1유입유로(712), 상기 제2유입유로(713), 및 상기 유출유로(714) 간에 유동하지 못한다. 상기 개폐기구(72)가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시키도록 이동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제1유입유로(712), 상기 제2유입유로(713), 및 상기 유출유로(714)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유입유로(712) 및 상기 제2유입유로(713)에서 상기 개폐유로(711)를 통과한 후에 상기 유출유로(714)를 통해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개폐유로(7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 사출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순서, 작업자의 조작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개폐유로(7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기구(72)가 사출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순서에 따라 이동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부(6)가 상기 제1유로부(4)와 상기 제2유로부(5) 모두를 상기 배출부(30)에 연결할 때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상기 제1유로부(4)와 상기 제2유로부(5) 모두로부터 작동유체가 배출될 때마다, 자동으로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가 제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작업자의 실수로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를 분리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110)가 사출제품에 부분적으로 내부 형상을 구현하기 위한 코어를 이동시키는 것인 경우, 상기 개폐기구(72)는 용융상태의 성형재료가 응고되어서 상기 코어가 상기 이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한 이후마다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72)가 사출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순서에 따라 이동하는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부(6)가 상기 제1유로부(4)와 상기 제2유로부(5)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공급부(20)에 연결하는 동안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개폐유로(711)를 폐쇄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상기 제거부(7)로 인해 상기 구동부재(112)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력 및 상기 구동부재(112)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유압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제거본체(71)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도 10에 도시됨)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유로(711)를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제1유입유로(712)와 상기 제2유입유로(713)에서 상기 유출유로(714)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도 9에 도시됨)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제1유입유로(712)와 상기 제2유입유로(713)에서 상기 유출유로(714)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개폐배관(71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개폐배관(715)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유로(711)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72)는 개폐부재(721,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721)는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재(721)는 상기 개폐유로(711)가 형성된 개폐배관(715)의 내면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상기 개폐유로(711)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721)는 상기 개폐배관(715)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721)는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폐부재(721)는 고무(Rubber)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721)는 상기 개폐배관(715)의 내면에 접촉되면서 탄성적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개폐유로(711)를 강한 밀폐력으로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72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폐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유입유로(712), 상기 제2유입유로(713), 및 상기 유출유로(714)는 각각 상기 개폐유로(711)에 연통된 부분의 직경이 감소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개폐부재(721)의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상기 개폐부재(721)가 상기 개폐유로(711)를 폐쇄하는 밀폐력이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1유입유로(712)는 상기 제1연결부(2)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1입구공(712a, 도 11에 도시됨), 및 상기 개폐유로(711)로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제1출구공(712b, 도 1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출구공(712b)은 상기 제1입구공(712a)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721)의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상기 개폐부재(721) 및 상기 제1출구공(712b) 간의 크기 차이가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721)가 상기 제1출구공(712b)을 폐쇄하는 밀폐력이 증대됨으로써,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개폐유로(711)를 더 강한 밀폐력으로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유로(712)는 상기 제1입구공(712a)과 상기 제1출구공(712b)의 사이에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이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유입유로(712)는 상기 제1입구공(712a)에서 상기 제1출구공(712b) 쪽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제2유입유로(713)는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2입구공(713a, 도 11에 도시됨), 및 상기 개폐유로(711)로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제2출구공(713b, 도 1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출구공(713b)은 상기 제2입구공(713a)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721)의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상기 개폐부재(721) 및 상기 제2출구공(713b) 간의 크기 차이가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721)가 상기 제2출구공(713b)을 폐쇄하는 밀폐력이 증대됨으로써,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개폐유로(711)를 더 강한 밀폐력으로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유로(713)는 상기 제2입구공(713a)과 상기 제2출구공(713b)의 사이에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이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유입유로(713)는 상기 제2입구공(713a)에서 상기 제2출구공(713b) 쪽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유출유로(714)는 상기 개폐유로(711)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3입구공(714a, 도 11에 도시됨), 및 상기 배출부(30)로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제3출구공(714b, 도 1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입구공(714a)은 상기 제3출구공(714b)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721)의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상기 개폐부재(721) 및 상기 제3입구공(714a) 간의 크기 차이가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721)가 상기 제3입구공(714a)을 폐쇄하는 밀폐력이 증대됨으로써,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개폐유로(711)를 더 강한 밀폐력으로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714)는 상기 제3출구공(714b)과 상기 제3입구공(714a)의 사이에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이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유출유로(714)는 상기 제3출구공(714b)에서 상기 제3입구공(714a) 쪽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기구(72)는 체결부재(722,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22)는 상기 개폐부재(721)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722)는 상기 개폐배관(715)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배관(715)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715a, 도 1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22)는 상기 체결공(715a)에 삽입되어서 상기 체결공(715a)을 통해 상기 개폐배관(715)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22)는 상기 개폐배관(715)에 대해 체결 및 체결 해제되도록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721)는 상기 체결부재(722)에 결합되어서 상기 체결부재(722)와 함께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721) 및 상기 체결부재(72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개폐기구(72)는 파지부재(723, 도 1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723)는 상기 본체(1a)의 외부에 위치한 것이다. 상기 파지부재(72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폐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작업자가 상기 본체(1a)의 외부에 위치한 파지부재(723)를 회전시켜서 상기 개폐기구(72)를 통해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동유체로 인한 오염 및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기구(72)는 수동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723)는 상기 체결부재(7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723) 및 상기 개폐부재(721)는 상기 체결부재(722)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부재(7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72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722)를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부재(722)는 상기 개폐배관(715)에 대해 체결 및 체결 해제됨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7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721)는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723), 상기 체결부재(722), 및 상기 개폐부재(7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거부(7)는 제1제거유로(73), 제2제거유로(74), 및 제3제거유로(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거유로(73)는 상기 제1유로부(4)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1제거유로(73)는 상기 제1연결부(2)와 상기 전환부(6)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로부(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제거유로(73)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결합된 배관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가공된 홈 또는 구멍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제거유로(73)는 일측이 상기 제1유로부(4)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거본체(7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제거유로(73)는 상기 제1유입유로(712)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유입배관(71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제거유로(74)는 상기 제2유로부(5)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2제거유로(74)는 상기 제2연결부(3)와 상기 전환부(6)의 사이에서 상기 제2유로부(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제거유로(74)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결합된 배관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가공된 홈 또는 구멍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제거유로(74)는 일측이 상기 제2유로부(5)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거본체(7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제거유로(74)는 상기 제2유입유로(713)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유입배관(717)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제거유로(75)는 상기 제거본체(71) 및 상기 배출부(30) 각각에 연결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거본체(71)를 통과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3제거유로(75)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제거유로(75)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결합된 배관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가공된 홈 또는 구멍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제거유로(75)는 일측이 상기 배출부(3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거본체(7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제거유로(75)는 상기 유출유로(714)에 연결되도록 상기 유출배관(71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거부(7)는 제1체크밸브(76, 도 7에 도시됨) 및 제2체크밸브(77,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크밸브(76)는 상기 제1제거유로(73)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체크밸브(76)는 상기 제1유로부(4)에서 상기 제1유입유로(712)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유입유로(712)에서 상기 제1유로부(4)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체크밸브(76)는 상기 제1연결부(2)와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가 역류하여 다시 상기 제1유로부(4)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2) 쪽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크밸브(77)는 상기 제2제거유로(74)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체크밸브(77)는 상기 제2유로부(5)에서 상기 제2유입유로(713)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유입유로(713)에서 상기 제2유로부(5)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체크밸브(77)는 상기 제1연결부(2)와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가 역류하여 다시 상기 제2유로부(5)를 통해 상기 제2연결부(3) 쪽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파일럿체크밸브(Pilot Check Valve, 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는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2유로부(5) 각각을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는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2유로부(5)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는 상기 제1유로부(4)에서 작동유체가 상기 제1연결부(2)에서 상기 전환부(6) 쪽으로 역류하여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2유로부(5)에서 작동유체가 상기 제2연결부(3)에서 상기 전환부(6) 쪽으로 역류하여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는 상기 구동부재(112)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력 및 상기 구동부재(112)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유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재(112)가 유압력에 의해 이동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는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제거유로(73)는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와 상기 제1연결부(2)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로부(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제거유로(74)는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와 상기 제2연결부(3)의 사이에서 상기 제2유로부(5)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2)와 상기 제2연결부(3)에 작동유체로 인해 형성된 밀폐압력이 증대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1)는 상기 제거부(7)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금형 교체 등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동유체로 인한 오염 및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는 제1체크밸브모듈(81), 제2체크밸브모듈(82), 제1연동유로(83), 및 제2연동유로(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은 상기 제1유로부(4)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은 상기 제1유로부(4)에 결합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은 상기 전환부(6)에서 상기 제1연결부(2)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연결부(2)에서 상기 전환부(6)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는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과 상기 제1유로부(4)를 연결하는 제1연결유로(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유로(85)는 상기 전환부(6)와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의 사이에 위치한 제1유로부(4)의 부분, 및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와 상기 제1연결부(2)의 사이에 위치한 제1유로부(4)의 부분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은 상기 제1연결유로(8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제거유로(73)는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 및 상기 제1연결부(2)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로부(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은 상기 제2유로부(5)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은 상기 제2유로부(5)에 결합된다.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은 상기 전환부(6)에서 상기 제2연결부(3)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연결부(3)에서 상기 전환부(6)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는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과 상기 제2유로부(5)를 연결하는 제2연결유로(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유로(86)는 상기 전환부(6)와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의 사이에 위치한 제2유로부(5)의 부분, 및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와 상기 제2연결부(3)의 사이에 위치한 제2유로부(5)의 부분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은 상기 제2연결유로(8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제거유로(74)는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 및 상기 제2연결부(3)의 사이에서 상기 제2유로부(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동유로(83)는 상기 제1연결유로(85) 및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을 연결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로부(4)가 상기 공급부(20)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2유로부(5)가 상기 배출부(30)에 연결되도록 전환된 경우, 상기 공급부(20)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전환부(6)에서 상기 제1유로부(4) 쪽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이 상기 제1연결유로(85)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동유로(83)는 상기 제1연결유로(85)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은 상기 제1연동유로(83)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연결유로(86)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 및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은 각각 상기 제2연결유로(86) 및 상기 제1연결유로(85)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유압실(111b)에 위치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연결유로(86)를 따라 역류하면서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을 통과하여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20)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연결유로(85)를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을 통과하여 상기 제1유압실(111a)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연동유로(83)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의 내부에 결합된 배관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의 내부에 가공된 홈 또는 구멍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연동유로(84)는 상기 제2연결유로(86) 및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을 연결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로부(4)가 상기 배출부(30)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2유로부(5)가 상기 공급부(20)에 연결되도록 전환된 경우, 상기 공급부(20)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전환부(6)에서 상기 제2유로부(5) 쪽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이 상기 제2연결유로(86)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연동유로(84)는 상기 제2연결유로(86)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은 상기 제2연동유로(84)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연결유로(85)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 및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은 각각 상기 제1연결유로(85) 및 상기 제2연결유로(86)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압실(111a)에 위치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연결유로(85)를 따라 역류하면서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을 통과하여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20)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연결유로(86)를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을 통과하여 상기 제2유압실(111b)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연동유로(84)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의 내부에 결합된 배관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의 내부에 가공된 홈 또는 구멍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이 상기 제1연결유로(85)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이 상기 제2연결유로(86)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2유로부(5)가 모두 상기 배출부(30)에 연결되도록 전환되면, 작동유체는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되다가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와 상기 전환부(6) 사이 부분의 압력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되지 못하고 차단된다.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와 상기 전환부(6) 사이 부분의 압력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제1체크밸브모듈(81)과 상기 제2체크밸브모듈(82)이 상기 제1연결유로(85)와 상기 제2연결유로(86)를 폐쇄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상기 제거부(7)를 이용하여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금형 교체 등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를 상기 구동장치(11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작동유체로 인한 오염 및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1a : 본체
2 : 제1연결부 3 : 제2연결부
4 : 제1유로부 5 : 제2유로부
6 : 전환부 7 : 제거부
8 : 파일럿체크밸브 10 : 사출성형기
20 : 공급부 30 : 배출부
61 : 제1전환부재 62 : 제2전환부재
63 : 제3전환부재 64 : 전환본체
65 : 제1전환모듈 66 : 제2전환모듈
71 : 제거본체 72 : 개폐기구
73 : 제1제거유로 74 : 제2제거유로
75 : 제3제거유로 76 : 제1체크밸브
77 : 제2체크밸브 81 : 제1체크밸브모듈
82 : 제2체크밸브모듈 83 : 제1연동유로
84 : 제2연동유로 85 : 제1연결유로
86 : 제2연결유로 110 : 구동장치

Claims (17)

  1. 사출성형기(10)가 갖는 구동장치(110)의 제1유압실(111a)에 연결된 제1연결부(2);
    상기 구동장치(110)의 제2유압실(111b)에 연결된 제2연결부(3);
    상기 제1유압실(111a)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위해 상기 제1연결부(2)에 연결된 제1유로부(4);
    상기 제2유압실(111b)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위해 상기 제2연결부(3)에 연결된 제2유로부(5);
    상기 제1유로부(4)와 상기 제2유로부(5)가 각각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20)와 작동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부(3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전환하는 전환부(6); 및
    상기 제1연결부(2)와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7)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7)는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N개(N은 2보다 큰 정수)의 유로가 형성된 제거본체(71), 및 상기 유로들 전부에 연통된 개폐유로(711)를 개폐(開閉)하도록 상기 제거본체(7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기구(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제1연결부(2) 및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가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되도록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시켜서 상기 유로들을 서로 연통시키고, 상기 개폐유로(711)를 폐쇄하여 상기 유로들 간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7)는
    상기 제1연결부(2)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입유로(712);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입유로(713); 및
    작동유체가 상기 배출부(30)로 유출되는 유출유로(7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제1유입유로(712)와 상기 제2유입유로(713)에서 상기 유출유로(714)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거본체(71)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유로(711)를 폐쇄하고, 상기 제1유입유로(712)와 상기 제2유입유로(713)에서 상기 유출유로(714)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키도록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본체(71)는 상기 개폐유로(711)가 형성된 개폐배관(715), 상기 제1유입유로(712)가 형성된 제1유입배관(716), 상기 제2유입유로(713)가 형성된 제2유입배관(717), 및 상기 유출유로(714)가 형성된 유출배관(718)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개폐배관(715)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유로(711)를 폐쇄하고,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폐배관(71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배관(715)은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715a)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체결공(715a)을 통해 상기 개폐배관(715)에 체결되는 체결부재(722), 및 상기 체결부재(722)가 상기 개폐배관(715)에 대해 체결 및 체결 해제되도록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7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7)는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2)와 상기 전환부(6)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로부(4)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유입유로(712)에 연결된 제1제거유로(73);
    일측이 상기 제2연결부(3)와 상기 전환부(6)의 사이에서 상기 제2유로부(5)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유입유로(713)에 연결된 제2제거유로(74); 및
    일측이 상기 배출부(3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유출유로(714)에 연결된 제3제거유로(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7)는
    상기 제1유로부(4)에서 상기 제1유입유로(712)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유입유로(712)에서 상기 제1유로부(4)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1제거유로(73)에 결합된 제1체크밸브(76); 및
    상기 제2유로부(5)에서 상기 제2유입유로(713)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유입유로(713)에서 상기 제2유로부(5)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2제거유로(74)에 결합된 제2체크밸브(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2유로부(5) 각각을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유로부(4) 및 상기 제2유로부(5) 각각에 결합된 파일럿체크밸브(8)(Pilot Check Valve)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거유로(73)는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와 상기 제1연결부(2) 사이에서 상기 제1유로부(4)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제거유로(74)는 상기 파일럿체크밸브(8)와 상기 제2연결부(3) 사이에서 상기 제2유로부(5)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유로(712)는 상기 제1연결부(2)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1입구공(712a) 및 상기 개폐유로(711)로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제1출구공(712b)을 포함하되, 상기 제1출구공(712b)이 상기 제1입구공(712a)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유입유로(713)는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2입구공(713a) 및 상기 개폐유로(711)로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제2출구공(713b)을 포함하되, 상기 제2출구공(713b)이 상기 제2입구공(713a)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출유로(714)는 상기 개폐유로(711)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3입구공(714a) 및 상기 배출부(30)로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제3출구공(714b)을 포함하되, 상기 제3입구공(714a)이 상기 제3출구공(714b)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부(4), 상기 제2유로부(5), 및 상기 전환부(6)가 결합된 본체(1a)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부(4), 상기 제2유로부(5), 및 상기 전환부(6)는 상기 본체(1a)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본체(1a)의 외부에 위치한 파지부재(723)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재(72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폐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6)는
    상기 공급부(20)와 상기 제1유로부(4)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배출부(30)와 상기 제2유로부(5)를 연결하는 제1전환부재(61);
    상기 공급부(20)와 상기 제2유로부(5)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배출부(30)와 상기 제1유로부(4)를 연결하는 제2전환부재(62);
    상기 공급부(20)에 대한 상기 제1유로부(4)와 상기 제2유로부(5) 모두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3전환부재(63); 및
    상기 제1전환부재(61), 상기 제2전환부재(62) 및 상기 제3전환부재(63)가 결합되고, 상기 제1전환부재(61), 상기 제2전환부재(62) 및 상기 제3전환부재(63)의 위치가 변동되도록 이동하는 전환본체(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13. 사출성형기(10)가 갖는 구동장치(110)의 제1유압실(111a)에 연결된 제1연결부(2)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입유로(712)가 형성된 제1유입배관(716);
    상기 구동장치(110)의 제2유압실(111b)에 연결된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입유로(713)가 형성된 제2유입배관(717);
    상기 제1연결부(2)와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제거된 작동유체가 상기 사출성형기(10)가 갖는 배출부(30)로 배출되도록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유출유로(714)가 형성된 유출배관(718);
    상기 제1유입유로(712), 상기 제2유입유로(713), 및 상기 유출유로(714) 전부에 연통된 개폐유로(711)가 형성된 개폐배관(715); 및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폐배관(71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기구(72)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제1유입유로(712)와 상기 제2유입유로(713)에서 상기 유출유로(714)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개폐유로(711)를 폐쇄하고, 상기 제1유입유로(712)와 상기 제2유입유로(713)에서 상기 유출유로(714)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키도록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개폐배관(715)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유로(711)를 폐쇄하고,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배관(715)은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715a)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체결공(715a)을 통해 상기 개폐배관(715)에 체결되는 체결부재(722), 및 상기 체결부재(722)가 상기 개폐배관(715)에 대해 체결 및 체결 해제되도록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7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72)는 상기 체결부재(722)에 결합된 파지부재(723)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721)는 상기 파지부재(72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폐유로(711)를 개폐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유로(712)는 상기 제1연결부(2)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1입구공(712a) 및 상기 개폐유로(711)로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제1출구공(712b)을 포함하되, 상기 제1출구공(712b)이 상기 제1입구공(712a)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유입유로(713)는 상기 제2연결부(3)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2입구공(713a) 및 상기 개폐유로(711)로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제2출구공(713b)을 포함하되, 상기 제2출구공(713b)이 상기 제2입구공(713a)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출유로(714)는 상기 개폐유로(711)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3입구공(714a) 및 상기 배출부(30)로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제3출구공(714b)을 포함하되, 상기 제3입구공(714a)이 상기 제3출구공(714b)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KR1020170123411A 2017-09-25 2017-09-25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및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KR102278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11A KR102278492B1 (ko) 2017-09-25 2017-09-25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및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11A KR102278492B1 (ko) 2017-09-25 2017-09-25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및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865A true KR20190034865A (ko) 2019-04-03
KR102278492B1 KR102278492B1 (ko) 2021-07-15

Family

ID=6616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411A KR102278492B1 (ko) 2017-09-25 2017-09-25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및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4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745438U (zh) * 2016-05-21 2016-11-30 浙江三樱流体设备股份有限公司 取样隔膜阀
JP2017155931A (ja) *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ユーテック 油圧装置及び該油圧装置の油圧シリンダ内の異物を除去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5931A (ja) *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ユーテック 油圧装置及び該油圧装置の油圧シリンダ内の異物を除去する方法
CN205745438U (zh) * 2016-05-21 2016-11-30 浙江三樱流体设备股份有限公司 取样隔膜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492B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501B2 (en) Nozzle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WO2010038321A1 (ja) ダイカスト装置における射出シリンダの油圧回路
TW201821212A (zh) 冷卻液聯結裝置
KR20190034865A (ko)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의 작동유체 제거장치 및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WO2007030725A1 (en) Actuator system for an injection molding system
WO2020179209A1 (ja) 射出装置及び成形機
KR20190034959A (ko) 사출성형기용 유압장치
US6422852B1 (en) Filter device for extruders and injection moulding machines
WO2004028771A1 (en) Vacuum and vent block for use with molding and casting systems
JP7098051B2 (ja) ランナーを用いたマルチモールドシステム
KR101597717B1 (ko) 분사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EP1378333A1 (en) Shut-off nozzle
JP6422027B2 (ja) 無電源流体間欠供給装置
JPS59144566A (ja) 真空鋳造装置
US8640881B2 (en) Screen changer
CN113464510A (zh) 液压装置及注射成型机
KR101360714B1 (ko) 고압의 유압펌프에서의 유압필터
US20240009889A1 (en) Plasticizing unit for a molding machine
US20240009902A1 (en) Filter device
CN216279562U (zh) 一种用于气体换向的换向阀门
US11813556B2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filtration of molten plastic material
JP2006347015A (ja) 射出成形機
KR101193840B1 (ko) 에어밸브용 개폐속도 조절장치
JP2004195880A (ja) 型締シリンダのエア抜き機構およびエア抜き方法
CA2545283A1 (en) Valve pin cross over nozzle for stack mou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