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046A -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046A
KR20190034046A KR1020170161027A KR20170161027A KR20190034046A KR 20190034046 A KR20190034046 A KR 20190034046A KR 1020170161027 A KR1020170161027 A KR 1020170161027A KR 20170161027 A KR20170161027 A KR 20170161027A KR 20190034046 A KR20190034046 A KR 20190034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witch
disposed
condu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915B1 (ko
Inventor
차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133,85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04673B2/en
Priority to DE202018006489.0U priority patent/DE202018006489U1/de
Priority to EP18195334.0A priority patent/EP3460817B1/en
Publication of KR20190034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046A/ko
Priority to US16/680,661 priority patent/US1076305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46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three operative positions, e.g. off/star/delt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13Combined operation of electric switch and variable impedance, e.g. resistor,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60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no contacts
    • H01H19/63Contacts actuated by axial 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제1스위치와;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3블레이드와 제4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제3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제2스위치와;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설치되어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는,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면과 동일면에 형성된 지지구조물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서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SWITCH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본 발명은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는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회전 가능한 회전자를 갖는 전기 스위치는, 다양한 조리기기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한 회전자를 갖는 전기 스위치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조리기기의 버너 점화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리기기의 스위치로 사용되는 전기 스위치는, 가스 밸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밸브 스템에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전기 스위치의 회전자는, 밸브 스템과 연결된 노브의 회전 조작이 이루어질 때 회전되는 밸브 스템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밸브 스템이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고 이에 따라 가스의 공급이 시작되면, 버너 점화회로가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해 활성화된다. 이때 전기 스위치의 회전자가 밸브 스템을 따라 회전되고, 전기 스위치는 회전자의 회전시 버너 점화회로의 활성화에 관여하도록 동작된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이 조리기기의 버너 점화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로 사용되는 전기 스위치는, 캠 형태로 마련된 회전자와 한 쌍의 접촉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따르면, 한 쌍의 접촉 블레이드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분리된 한 쌍의 접촉 블레이드가 서로 연결되면 버너 점화회로가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자는, 밸브 스템이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었을 때 밸브 스템을 따라 회전하여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접촉 블레이드를 연결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때 한 쌍의 접촉 블레이드 간의 연결은, 한 쌍의 접촉 블레이드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접촉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전기 스위치는 오직 단일 회로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회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 회로의 스위칭을 위해 복수 개의 전기 스위치가 필요하게 된다.
기기의 안전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기 전기 스위치가 사용되는 기기에는 동일한 회전축의 작용에 의해 여러 회로가 스위칭되는 멀티 스위칭 기능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이 조리기기에 마련된다면, 사용자는 표시등을 통해 밸브가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표시등의 동작 여부는 밸브 개방 여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표시등의 점등을 위한 회로의 스위칭은 밸브 스템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리기기에는 밸브 스템의 회전에 의해 버너 점화회로의 스위칭과 표시등 점등회로의 스위칭이 함께 이루어지는 멀티 스위칭 기능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 스위치를 이용하여 멀티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버너 점화회로의 스위칭을 위한 전기 스위치와 표시등 점등회로의 스위칭을 위한 전기 스위치가 각각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 스위치를 이용하여 멀티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위칭 대상이 되는 회로가 증가되는 만큼 기기에 설치되어야 하는 전기 스위치의 개수가 증가되어야만 한다.
이는, 스위치와 연결되는 배선의 수를 증가시켜 스위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스위치의 전체 부피를 증가시키며 스위치가 설치되는 기기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적은 제조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컴팩트한 크기로 제공되면서도 멀티 스위칭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위치장치는: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제1스위치와;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3블레이드와 제4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면과 동일면에 형성된 지지구조물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서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스위치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를 가압하는 제1돌기와; 상기 제2스위치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스위치를 가압하는 제2돌기; 및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3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공통 컨덕터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공통 컨덕터와 동일한 공간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제1컨덕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공통 컨덕터 및 상기 제1컨덕터와 동일한 공간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제2컨덕터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통 컨덕터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 연결되는 제1공통 컨덕터, 및 상기 제2블레이드와 연결되는 제2공통 컨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통 컨덕터 및 상기 제1컨덕터는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통 컨덕터 및 상기 제2컨덕터는 제1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 및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제2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는 하나의 상기 공통 컨덕터에 함께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컨덕터는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통 컨덕터 및 상기 제2컨덕터는 제1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가 상기 공통 컨덕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는 상기 제3블레이드와 "ㄱ"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통 컨덕터는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컨덕터 및 상기 제2컨덕터는 제1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가 상기 공통 컨덕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는, 상기 제3블레이드와 "?"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통 컨덕터는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제1컨덕터 및 상기 제2컨덕터는 제1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1컨덕터는, 상기 제2컨덕터보다 상기 공통 컨덕터부터 먼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블레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접촉면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본체, 및 상기 블레이드 본체를 상기 제1컨덕터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본체가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상기 제2컨덕터의 높이 이상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 본체가 "+"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블레이드가 상기 제4블레이드보다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제3블레이드보다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는, 상기 제1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와 상기 제3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가 상기 공통 컨덕터와 연결되는 하나의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와 상기 제3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는,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가 상기 제1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절개부가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와 상기 제3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는,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 간의 이격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는, 상기 제3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를 상기 제1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로부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시키며 상기 결합부와 연결하는 절곡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복수개로 분리된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단부에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방향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 및 상기 제4블레이드가 모두 배치되고, 상기 제2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가로면 및 상기 가로면을 측부에서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는, 상기 측벽부를 이루는 복수개의 세로면 중 상기 제2방향의 타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와 상기 액추에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중 상기 액추에이터에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돌기의 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 중 상기 액추에이터에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돌기의 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중 상기 액추에이터에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 어느 하나는, 상기 제3블레이드 및 상기 제4블레이드보다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2돌기보다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중 상기 액추에이터에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 어느 하나는, 상기 제2돌기의 이동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돌기보다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 중 상기 액추에이터에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돌기의 이동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돌기보다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 내지 상기 제4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슬롯에 끼워져 상기 지지블록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3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공통 컨덕터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공통 컨덕터와 동일한 공간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제1컨덕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공통 컨덕터 및 상기 제1컨덕터와 동일한 공간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제2컨덕터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구조물에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상기 공통 컨덕터와 상기 제1컨덕터와 상기 제2컨덕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지지블록 내부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지지블록에 형성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슬롯에 끼워져 상기 지지블록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지지블록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가 상기 지지블록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공통 컨덕터와 상기 제1컨덕터와 상기 제2컨덕터 중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어느 하나와 상기 통과홀에서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는, 상기 공통 컨덕터와 상기 제1컨덕터와 상기 제2컨덕터 중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어느 하나가 상기 블레이드 본체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회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구조물에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상기 통과홀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통과홀 중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먼 곳에 배치된 어느 하나에 상기 결합부가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 상기 회피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피부는, 한 쌍의 상기 통과홀 중 상기 액추에이터와 가까운 곳에 배치된 다른 하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위치장치는: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제1스위치와;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3블레이드와 제4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공통 컨덕터와 제1컨덕터와 제2컨덕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각각 연결되고, 상기 공통 컨덕터와 상기 제1컨덕터와 상기 제2컨덕터는, 상기 하우징의 동일면을 관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동일한 공간 내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가로면 및 상기 가로면을 측부에서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컨덕터와 상기 제1컨덕터와 상기 제2컨덕터가 상기 하우징 내부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노치가 상기 측벽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회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액추에이터가 동작되도록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스위치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개폐되어 버너로의 가스 공급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 및 상기 버너로 공급된 가스를 점화시키도록 동작되는 점화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가스 밸브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을 때 닫히고, 상기 점화장치는, 상기 제1스위치의 닫힘으로 인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스 밸브가 개방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가스 밸브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을 때 닫히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제2스위치의 닫힘으로 인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컴팩트한 크기를 가지면서도 적은 제조비용으로 제조된 하나의 스위치장치만으로 멀티 스위칭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장치가 설치되는 기기의 제조비용의 상승과 기기에서 스위치가 차지하는 부피의 증가 및 스위치장치의 추가로 인한 기기의 제조비용 상승을 억제하면서도, 기기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다양한 기능의 동작 제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구성에 필요한 컨덕터의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컴팩트한 크기를 가지면서도 적은 제조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스위치장치가 설치되는 기기에서의 배선이 좀 더 심플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장치가 4개의 컨덕터가 아닌 3개의 컨덕터와 연결되는 구성, 제1블레이드와 제3블레이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연결체를 이루는 구성, 제1블레이드와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가 하나의 결합부를 공유하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스위치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화되고, 블레이드의 탈거 가능성을 낮춰 제품 불량 발생 위험을 감소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제2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제2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제2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액추에이터 분해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가 위치한다.
쿡탑부(2)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상판(3)이 제공된다.
이러한 상판(3)의 상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일 수 있으며, 상판(3)의 하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너(90)가 위치된다.
그리고 쿡탑부(2)의 하측에는 오븐부(4)가 설치된다. 오븐부(4)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5)이 위치한다.
조리실(5)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5)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5)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오븐부(4)에서는 조리실(5)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실(5)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5)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5)의 하측에도 조리실(5)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5)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5)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가 제공될 수 있다. 컨벡션부는 조리실(5) 내부공간의 공기를 가열하여 강제로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오븐부(4)에는, 조리실(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6)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6)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6)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7)이 설치된다. 핸들(7)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도어(6)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쿡탑부(2)의 전면 즉, 도어(6)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8)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8) 상에는 각각의 버너(90)의 점화와 화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노브(10)가 복수 개 설치된다. 노브(10)는 그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노브의 작동 방식이 반드시 회전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버너(90)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각각 5개의 노브(10)와 5개의 밸브(40)가 구비됨이 예시된다. 도 1에 도시된 5개의 노브(10)는, 컨트롤패널(8)을 관통하는 상기 밸브(40)의 회전축(50)에 끼워져 고정된다. 노브(10)를 회전시키면 회전축(50)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밸브(40)의 개폐 여부와 개방 정도가 결정된다.
상기 컨트롤패널(8)의 안쪽에서, 상기 회전축(50)에는 스위치장치(100)가 외삽된다. 이러한 스위치장치(100)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쿡탑부(5)에는 각 버너(90)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일측 단부가 외부의 가스 배관과 연결되는 입력배관(94)이 내장되며, 상기 입력배관(94)의 타측 단부는 분배관(96)에 연결된다. 상기 입력배관(94) 상에는 거버너 밸브(80)가 마련되어 있어, 쿡탑부(5)에 전체적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여부를 제어한다. 도 2에는 입력배관(4)의 타측 단부 쪽에 거버너 밸브(80)가 개재된 상태가 개시되어 있으나, 설치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배관(96)에는 5개의 밸브(40)의 제1연결구(41)가 모두 연결되어 있어서, 입력배관(94)으로부터 분배관(96)에 공급된 가스를 공급받는다. 밸브(40)의 제2연결구(42)에는 각각 개별배관(98)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개별배관(98)의 타측 단부에는 버너(90)가 연결된다.
제어부(9)에는 상기 오븐부(4)와 쿡탑부(2)의 작동, 전원 공급, 작동 정보의 표시 등을 제어하는 전장품들이 내장된다.
[스위치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제1스위치(120)와 제2스위치(130) 및 액추에이터(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스위치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1스위치(120)와 제2스위치(130) 및 액추에이터(1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하우징(110a)과 제2하우징(110b)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하우징(110a)과 제2하우징(110b) 각각은 사각 형상의 가로면(111), 및 상기 가로면(111)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가로면(111)을 측부에서 둘러싸는 측벽(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제1하우징(110a)의 개방된 상부에는 제2하우징(110b)이 결합되어 제1하우징(110a)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그리고 가로면(111)의 중앙 부분에는 중앙홀(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홀(112)이 형성된 가로면(111)의 중앙 부분에는 후술할 액추에이터(14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하우징(110)에는, 컨덕터들(150,155,160,165)이 설치될 수 있다. 컨덕터들(150,155,160,165)은,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의 도선이 절연성 재질의 피복에 둘러싸인 전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측벽부(113)를 관통하는 형태로 하우징(110)에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컨덕터들(150,155,160,165)은 하우징(110) 내부를 통과하되, 서로 동일한 공간을 통과하며, 후술할 제1스위치(120) 및 제2스위치(130)와 동일한 공간 내에서 제1스위치(120) 및 제2스위치(130)와 각각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스위치장치(100)에 4개의 컨덕터(150,155,160,165)가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한 쌍의 공통 컨덕터(150,155)와 하나의 제1컨덕터(160) 및 하나의 제2컨덕터(165)가 하우징(110)의 내부를 통과하는 형태로 스위치장치(100)에 설치된다.
일례로서, 액추에이터(140)가 설치되는 가로면(111)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제1방향(y) 일측에는 한 쌍의 공통 컨덕터(150,155) 중 어느 하나, 즉 제1공통 컨덕터(150)와 제1컨덕터(16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방향(y) 타측에는 한 쌍의 공통 컨덕터(150,155) 중 다른 하나, 즉 제2공통 컨덕터(155)와 제2컨덕터(165)가 배치된다.
즉 액추에이터(140)를 사이에 두고 제1공통 컨덕터(150) 및 제1컨덕터(160)와 제2공통 컨덕터(155) 및 제2컨덕터(165)가 제1방향(y)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컨덕터들(150,155,160,165)의 배치가 이루어진다.
제1스위치(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스위치(120)는,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된다. 예를 들어 제1스위치(120)는,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때 닫히고,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가 서로 접촉되지 않을 때 열리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 중 어느 하나는 제1공통 컨덕터(150)와 연결되며,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 중 다른 하나는 제1컨덕터(16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블레이드(121)가 제1공통 컨덕터(150)와 연결되고 제2블레이드(123)가 제1컨덕터(160)와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스위치(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스위치(130)는,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된다. 예를 들어 제2스위치(130)는,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때 닫히고,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가 서로 접촉되지 않을 때 열리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 중 어느 하나는 제2공통 컨덕터(155)와 연결되며,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 중 다른 하나는 제2컨덕터(165)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블레이드(131)가 제2공통 컨덕터(155)와 연결되고 제4블레이드(133)가 제2컨덕터(165)와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액추에이터(140)는,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제1스위치(120)와 제2스위치(1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140)는, 회전본체(141)와 제1돌기(143) 및 제2돌기(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본체(14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홀(112)이 형성된 가로면(111)의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돌기(143)는, 회전본체(141)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돌기(143)는, 회전본체(141)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스위치(12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회전본체(141)의 회전에 연동되어 그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제1돌기(143)는, 제1스위치(120)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가 서로 연결되도록 제1스위치(120)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위치(120)에서 제2블레이드(123)는 제1블레이드(121)보다 액추에이터(140)에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블레이드(123)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1돌기(143)의 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2블레이드(123)는, 제1하우징(110a)의 개방된 상부측에서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을 향해 내려다봤을 때, 회전본체(141)의 외주면과 그로부터 돌출된 제1돌기(143)의 단부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의 배치가 이루어지면, 회전본체(141)의 회전에 의해 제1스위치(120)와 접촉되는 위치로 이동한 제1돌기(143)는 제2블레이드(123)와 접촉하며 제2블레이드(123)를 제1블레이드(121)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블레이드(121)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지면, 제1블레이드(121) 측으로 밀려난 제2블레이드(123)와 제1블레이드(121)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로써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 간의 연결이 이루어져 제1스위치(120)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제2돌기(145)는, 제1돌기(143)와 마찬가지로 회전본체(141)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돌기(145)는 회전본체(141)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스위치(13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2스위치(130)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가 서로 연결되도록 제2스위치(130)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위치(120)에서 제2블레이드(123)는 제1블레이드(121)보다 액추에이터(140)에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스위치(130)에서 제3블레이드(131)는 제4블레이드(133)보다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의 배치가 이루어지면, 회전본체(141)의 회전에 의해 제2스위치(130)와 접촉되는 위치로 이동한 제2돌기(145)는 제3블레이드(131)와 접촉하며 제3블레이드(131)를 제4블레이드(133)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3블레이드(131)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지면, 제4블레이드(133) 측으로 밀려난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로써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 간의 연결이 이루어져 제2스위치(130)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돌기(143)와 제2돌기(145)는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돌기(143)와 제2돌기(145)는 각 스위치(120,130)와의 거리에 따라 그 돌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140)의 회전 정도에 따라 각 스위치(120,130)와의 접촉 위치 또는 접촉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하우징(110a)의 개방된 상부측에서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을 향해 내려다봤을 때, 제1스위치(120)가 제2스위치(130)보다 액추에이터(140)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되고, 제1돌기(143)가 제2돌기(145)보다 회전본체(141)의 외측으로 더 돌출된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제2돌기(145)는 제2스위치(130)와의 접촉은 가능하면서도 제1스위치(120)와의 접촉은 이루어지지 않는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돌기(143)가 제2돌기(145)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140)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제1돌기(143)와 제1스위치(12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보다 제2돌기(145)와 제2스위치(13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이 더 넓게 된다.
아울러, 제1돌기(143)와 제2돌기(145)는 회전본체(141)의 길이방향에 따른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돌기(143)와 제2돌기(145)는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돌기(143)가 제2돌기(145)보다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 중 액추에이터(140)에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 어느 하나는, 제3블레이드(131) 및 제4블레이드(133)보다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 이하,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으로부터의 거리를 "높이"라고 표현한다.
이에 따라, 제1돌기(143)와 제1스위치(12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지점과 제2돌기(145)와 제2스위치(13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지점이, 회전본체(141)의 길이방향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대적으로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과 가까운 지점에서는 제1스위치(120)를 개폐하기 위한 제1돌기(143)와 제1스위치(120) 간의 접촉,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돌기(143)와 제1블레이드(121)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으로부터 먼 지점에서는 제2스위치(130)를 개폐하기 위한 제2돌기(145)와 제2스위치(130) 간의 접촉,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돌기(145)와 제4블레이드(133)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의 구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에는 지지구조물이 마련된다. 지지구조물은 제1스위치(120)와 제2스위치(130)를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 구조물로서, 하우징(110)의 가로면(111)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구조물이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지지구조물은 제2하우징의 가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지지구조물이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지지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구조물은 지지블록(115) 및 슬롯(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블록(115)은,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블록(115)은 하우징(110) 내에서 제1스위치(120)와 컨덕터들(150,16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위치와 제2스위치(130)와 컨덕터들(155,165)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각각의 지지블록(115)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롯(116)은, 지지블록(115)의 내부에 형성되되, 지지블록(115)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각각의 지지블록(115)에는 지지블록(115)에 고정되는 블레이드의 개수만큼의 슬롯(1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슬롯(116)에는 블레이드가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제1블레이드(121) 내지 제4블레이드(1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슬롯(116)에 끼워져 지지블록(115)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지지블록(115)에 한 쌍의 슬롯(116)이 형성되고, 이들은 제1방향(x)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여기서, 제1방향(x)은 컨덕터들(150,155,160,165)이 하우징(110)의 내부를 통과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것으로 정의되며, 제1방향(y)은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과 나란한 평면 상에서 제1방향(x)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인 것으로 정의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구조물에는, 하우징(110)을 관통하는 공통 컨덕터(150,155)와 제1컨덕터(160)와 제2컨덕터(1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지지블록(115) 내부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지지블록(115)에 형성하는 통과홀(117)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스위치(120) 측에 형성된 지지구조물에는 제1공통 컨덕터(150)와 제1컨덕터(160)를 통과시키기 위한 한 쌍의 통과홀(117)이 형성되며, 제2스위치(130) 측에 형성된 지지구조물에는 제2공통 컨덕터(155)와 제2컨덕터(165)를 통과시키기 위한 한 쌍의 통과홀(117)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각 지지구조물에 형성되는 한 쌍의 통과홀(117)은 제1방향(y)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아울러 하우징(110)의 측벽부(113)에는, 노치(Notch; 114)가 형성될 수 있다.
노치(114)는, 측벽부(113)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공통 컨덕터(150,155)와 제1컨덕터(160) 및 제2컨덕터(165)가 하우징(110) 내부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벽부(113)를 형성하는 4개의 벽면 중 어느 하나에 컨덕터의 개수만큼의 노치(114)가 형성되고, 그 벽면과 마주보는 다른 벽면에 컨덕터의 개수만큼의 노치(114)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측벽부(113)를 형성하는 4개의 벽면 중 어느 하나에 4개의 노치(114)가 형성되고, 그 벽면과 마주보는 다른 벽면에도 4개의 노치(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노치(114)를 통해 컨덕터들(150,155,160,165)이 하우징(110)의 측벽부(113)를 관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측벽부(113)에 노치(114)가 형성되는 구조에서 주목할 점은, 노치(114)들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벽면 상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컨덕터들(150,155,160,165)도 하나의 측벽부(113) 상에 배치된다는 점이다.
즉 모든 컨덕터들(150,155,160,165)이 동일한 측벽부(113)를 관통하여 서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컨덕터들(150,155,160,165)과 연결되는 블레이드들(121,123,131,133)도 모두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된다.
[블레이드의 구조 및 블레이드의 설치 구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블레이드(121) 내지 제4블레이드(133) 중 적어도 하나는, 블레이드 본체(a)와 결합부(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블레이드들(121,123,131,133)이 블레이드 본체(a)와 결합부(b)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하, 제1블레이드(121) 및 제2블레이드(123)의 구조를 예로 들어 블레이드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블레이드 본체(a)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되, 제1방향(y)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블레이드 본체(a)는, 슬롯(116)에 끼워져 지지블록(115)에 고정되며 지지블록(115)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결합부(b)는, 블레이드 본체(a)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결합부(b)는, 블레이드 본체(a)가 슬롯(116)에 끼워져 지지블록(115)에 결합되었을 때, 지지구조물에 형성된 한 쌍의 통과홀(117)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부(b)의 내측에는 슬릿(Slit)이 형성되며, 슬릿이 형성된 결합부(b)의 내측에 컨덕터(150,155,160,165)가 끼워져 결합부(b)와 컨덕터(150,155,160,165)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결합부(b)는 컨덕터(150,155,160,165)의 피복을 파고들어 피복 내부의 도선과 접촉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컨덕터(150,155,160,165)와 블레이드(121,123,131,133)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블레이드 본체(a)에는, 공통 컨덕터(150,155)와 제1컨덕터(160)와 제2컨덕터(165) 중 통과홀(117)을 통과하는 어느 하나가 블레이드 본체(a)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회피부(c)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액추에이터(140)로부터 먼 곳에 배치되는 제1공통 컨덕터(150) 및 제2컨덕터(165)와 연결되는 제1블레이드(121) 및 제4블레이드(133)에 회피부(c)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제1블레이드(121)와 제4블레이드(133)는, 각 지지구조물에 형성된 한 쌍의 통과홀(117) 중 액추에이터(140)로부터 먼 곳에 배치된 통과홀(117)에 결합부(b)가 배치되도록 설치되는데, 회피부(c)는 이러한 제1블레이드(121)와 제4블레이드(133)의 블레이드 본체(a)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회피부(c)는, 한 쌍의 통과홀(117) 중 액추에이터(140)와 가까운 곳에 배치된 통과홀(117)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블레이드(121)의 통과홀(117)은 제1컨덕터(160)가 통과하는 통과홀(117)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제4블레이드(133)의 통과홀(117)은 제2공통 컨덕터(155)가 통과하는 통과홀(117)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제1컨덕터(160)에 비해 액추에이터(14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곳에 배치된 제1공통 컨덕터(150)와 연결되어야 하는 제1블레이드(121)는, 그 연결 경로 사이를 통과하는 제1컨덕터(160)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제2블레이드(123)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컨덕터(165)에 비해 액추에이터(14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곳에 배치된 제2공통 컨덕터(155)와 연결되어야 하는 제3블레이드(131)는, 그 연결 경로 사이를 통과하는 제1컨덕터(160)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제4블레이드(133)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액추에이터(140)의 동작에 의해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 간의 접촉,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고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다른 컨덕터에 비해 액추에이터(14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곳에 배치된 컨덕터와 연결되어야 하는 제1블레이드(121)에 제3블레이드(131)에 회피부(c)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블레이드(121)가 제2블레이드(123)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고, 제3블레이드(131)가 제4블레이드(133)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각 블레이드들(121,123,131,133)이 액추에이터(140)가 설치되는 면과 동일면에 형성된 지지구조물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한편, 서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블레이드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게 되므로, 액추에이터(140)와 제1스위치(120) 및 제2스위치(130)가 하우징(110) 내부의 동일한 공간 내에 설치된 상태로 스위치장치(100)가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스위치장치의 작용, 효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장치(100)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들은 하나의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 내부의 중앙 부분에는 액추에이터(1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스위치(120)와 제2스위치(130)는 그 주변에 배치된다. 이때 제1스위치(120)와 제2스위치(130) 모두, 액추에이터(140)와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된다.
스위치장치(100)에는, 제1스위치(120)와 연결되는 제1공통 컨덕터(150) 및 제1컨덕터(160), 그리고 제2스위치(130)와 연결되는 제2공통 컨덕터(155) 및 제2컨덕터(165)가 결합된다.
이 컨덕터들(150,155,160,165)은. 동일한 측벽부(113)를 관통하여 서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되, 제1스위치(120) 및 제2스위치(130)와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각 블레이드들(121,123,131,133)과 연결된다.
물론, 제1스위치(120)를 구성하는 제1블레이드(121) 및 제2블레이드(123)와 제2스위치(130)를 구성하는 제3블레이드(131) 및 제4블레이드(133) 간에 어느 정도 높이 차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러한 높이차는, 하우징(110)의 전체 높이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므로, 제1스위치(120)와 제2스위치(130)가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에 영향을 미칠만한 요소는 아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제2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노브의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면, 노브와 연결된 밸브 스템이 함께 회전되어 가스 밸브가 개방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버너로의 가스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스 밸브를 개방시키는 밸브 스템의 회전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40)의 회전도 함께 이루어진다.
제2돌기(145)와 제2스위치(13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까지 액추에이터(14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제2돌기(145)가 제3블레이드(131)를 제4블레이드(133) 측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제3블레이드(131)가 제4블레이드(133) 측으로 휘어지면서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 간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제2스위치(130)가 닫히고, 제2스위치(130)와 연결된 제2공통 컨덕터(155)와 제2컨덕터(165)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스위치(130)는 제2공통 컨덕터(155)와 제2컨덕터(165)를 통해 표시장치(20)와 연결되고, 표시장치(20)는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점등되는 표시등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밸브 스템이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고 이에 따라 가스의 공급이 시작되면, 제2스위치(130)가 닫혀 표시장치(20)가 활성화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밸브가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장치(20)를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만약 표시장치(20)가 표시등 형태로 구비된다면, 사용자는 밸브가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점등된 표시등을 통해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스위치(130)가 닫힌 상태에서 버너의 점화를 위해 노브의 회전이 계속되고,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기(143)와 제1스위치(12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까지 액추에이터(14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제1돌기(143)가 제1블레이드(121)를 제2블레이드(123) 측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제1블레이드(121)가 제2블레이드(123) 측으로 휘어지면서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 간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제1스위치(120)가 닫히고, 제1스위치(120)와 연결된 제1공통 컨덕터(150)와 제1컨덕터(16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스위치(120)는 제1공통 컨덕터(150)와 제1컨덕터(160)를 통해 점화장치(30)와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버너로의 가스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버너의 점화를 위해 노브를 거의 끝까지 회전시키면, 노브와 연결된 스템을 따라 회전된 액추에이터(140)의 작용에 의해 제1스위치(120)가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30)가 활성화되고, 이로써 버너의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스위치(130)는 노브의 회전이 이루어진 동안, 즉 버너로의 가스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 계속해서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비교하여 제1스위치(120)는 노브의 회전 중 일부 영역에서만 닫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밸브 개방을 위해 노브의 회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표시등의 점등이 계속해서 유지되고, 버너의 점화를 위한 제2스위치(130)의 닫힘은 특정 영역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스위치장치(100)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돌기(143)의 형성 영역과 제2돌기(145)의 형성 영역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돌기(145)는 액추에이터(140)의 둘레방향을 따라 구분된 영역 중 거의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비해 제1돌기(143)는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돌기(143)는, 제2돌기(145)보다는 높은 위치에 배치되되, 제1하우징(110a)의 개방된 상부측에서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을 향해 내려다봤을 때, 제2돌기(145)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노브(10)의 회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제2스위치(130)가 닫힌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어 표시등의 점등이 유지될 수 있고, 제1스위치(120)가 닫혀 버너의 점화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도 표시등의 점등이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하나의 스위치장치(100)를 통해 여러 기능의 동작이 각각 제어될 수 있으며, 이때 스위치장치(100)를 통해 제어되는 기능의 동작은 여러 기능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무방하고, 각 기능의 동작이 각각 다른 시기에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장치(100)에 두 개의 스위치(120,130)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스위치장치(100)가 두 개의 기능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장치(100)가 세 개 이상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세 개 이상의 기능을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100)는, 동일한 회전축, 즉 노브 및 이에 연결된 밸브 스템의 작용에 의해 여러 회로가 스위칭되는 멀티 스위칭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여러 개의 스위치장치가 아닌 하나의 스위치장치만으로 멀티 스위칭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100)에 따르면, 복수개의 스위치들(120,130)이 하나의 하우징(110) 내부에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멀티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스위치들(120,130)이 높이방향으로 적층될 필요가 없다.
만약 각 스위치들(120,130)이 높이방향으로 적층되어야 한다면, 적층된 각 스위치들(120,130)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추가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하우징(110)에는 하우징(110) 내부를 높이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 구조물이 스위치(120,130)가 추가되는 개수만큼 추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에 하우징(110)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 구조물이 추가된다면, 스위치장치(100)의 내부 구조가 그만큼 복잡해지고, 구획 구조물이 차지하는 두께, 스위치들(120,130)이 적층되는 높이만큼 스위치장치(100)의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100)는, 복수개의 스위치들(120,130)이 하나의 하우징(110) 내부에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멀티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스위치들(120,130)이 높이방향으로 적층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하우징(110) 내부를 높이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 구조물 없이 심플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100)는, 하우징(110) 내부를 높이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 구조물 없이 심플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으므로, 컴팩트한 크기를 가지면서도 적은 제조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100)는, 컴팩트한 크기를 가지면서도 적은 제조비용으로 제조된 하나의 스위치장치만으로 멀티 스위칭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장치(100)가 설치되는 기기의 제조비용의 상승과 기기에서 스위치가 차지하는 부피의 증가 및 스위치장치의 추가로 인한 기기의 제조비용 상승을 억제하면서도 기기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다양한 기능의 동작 제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장치의 제2실시예]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스위치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제2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제2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200)는, 4개의 컨덕터가 아닌 3개의 컨덕터와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즉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200)는 이전 실시예에 예시된 것보다 하나가 감소된 3개의 컨덕터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홀(112)이 형성된 가로면(111)의 중앙 부분에는 액추에이터(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액추에이터(140)가 설치되는 가로면(111)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제1방향(y) 일측에는 하나의 컨덕터(160)가 배치되며, 제1방향(y) 타측에는 한 쌍의 컨덕터(150,165)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140)가 설치되는 가로면(111)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제1방향(y) 일측에는 제1컨덕터(160)가 배치되고, 제1방향(y) 타측에는 공통 컨덕터(150) 및 제2컨덕터(165)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200)에는 하나의 공통 컨덕터(150)만이 설치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1스위치(120; 도 5 참조) 및 제2스위치(130; 도 5 참조)와 마찬가지로, 제1스위치(220)는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2스위치(230)는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예시된 제1스위치(220) 및 제2스위치(230)가 이전 실시예에 예시된 제1스위치(120) 및 제2스위치(130)와 다른 점은, 제1스위치(220)의 구성인 제1블레이드(121)와 제2스위치(230)의 구성인 제3블레이드(131)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200)에서는, 공통 컨덕터(150)와 연결되는 구성인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의 연결체는 하나의 공통 컨덕터(150)에 함께 연결되는 형태로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다.
일례로서,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의 연결체는 제1하우징(110a)의 개방된 상부측에서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을 향해 내려다봤을 때,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가 "ㄱ" 형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블레이드(121)는 제1방향(x)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3블레이드(131)는 제1방향(y)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의 연결체에서, 결합부(b)는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 중 어느 하나에만 마련되어도 충분하다.
즉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 중 어느 하나만 공통 컨덕터(150)와 연결되기만 하면,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 모두가 공통 컨덕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블레이드(131)에 마련된 결합부(b)와 공통 컨덕터(150) 간의 결합을 통해 공통 컨덕터(150)와 제3블레이드(131)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면, 제1블레이드(121)는 제3블레이드(131)와 별개로 공통 컨덕터(150)와 결합되지 않아도 제3블레이드(131)를 통해 공통 컨덕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블레이드(121)가 제2블레이드(123)보다 상대적으로 액추에이터(14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제3블레이드(131)가 제4블레이드(133)보다 액추에이터(140)에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하나로 연결된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액추에이터(140)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블레이드(123)보다 액추에이터(140)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1블레이드(121)는, 제1돌기(143)와 제1스위치(22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때 제1돌기(143)와 직접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4블레이드(133)보다 액추에이터(140)에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배치되는 제3블레이드(131)는, 제2돌기(145)와 제2스위치(23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때 제2돌기(145)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만약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 모두가 액추에이터(140)와 직접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면, 제1스위치(220)와 제2스위치(230)의 동시 작동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블레이드(131)와 액추에이터(14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제3블레이드(131)는 제2돌기(145)에 의해 가압되고, 이에 따라 제3블레이드(131)가 제4블레이드(133) 측으로 밀려나는 형태로 제3블레이드(131)의 형상이 변화된다.
이와 같이 제3블레이드(131)의 형상이 변화되면, 제3블레이드(131)와 연결된 제1블레이드(121)의 위치가 변화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제1돌기(143)가 제1블레이드(121)를 제대로 가압하지 못하거나 제1돌기(143)가 제1블레이드(121)를 가압하더라도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 간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제1스위치(220)의 닫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로 연결된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액추에이터(140)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두 블레이드가 하나로 연결된 조건에 영향 받지 않고 제1스위치(220)와 제2스위치(230)의 동시 작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위치장치(200)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들은 하나의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 내부의 중앙 부분에는 액추에이터(1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스위치(220)와 제2스위치(230)는 그 주변에 배치된다. 이때 제1스위치(220)와 제2스위치(230) 모두, 액추에이터(140)와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된다.
스위치장치(200)에는, 제1스위치(220)와 연결되는 제1컨덕터(160), 제2스위치(230)와 연결되는 제2컨덕터(165), 그리고 제1스위치(220) 및 제2스위치(230) 모두와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공통 컨덕터(150) 및 제2컨덕터(165)가 결합된다.
이 컨덕터들(150,155,160,165)은. 동일한 측벽부(113)를 관통하여 서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되, 제1스위치(220) 및 제2스위치(230)와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각 블레이드들(121,123,131,133)과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200)는, 복수개의 스위치들(220,230)이 하나의 하우징(110) 내부에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멀티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스위치들(220,230)이 높이방향으로 적층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하우징(110) 내부를 높이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 구조물 없이 심플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200)는, 복수개의 스위치들(220,230)이 하나의 하우징(110) 내부에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하나의 공통 컨덕터(150)만으로 복수개의 스위치(220,230) 모두를 구성할 수 있다.
만약, 멀티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스위치들(220,230)이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스위치장치가 구성된다면, 각 스위치들(220,230)과 연결되기 위한 컨덕터들이 각 층에 한 쌍씩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각 스위치들(220,230)에 연결되는 각 한 쌍의 컨덕터들 중 하나씩은 동일한 전위와 연결된 공통 컨덕터라고 할지라도, 스위치장치의 각 층에는 각 스위치들(220,230)에 연결되기 위한 한 쌍씩의 컨덕터들의 설치가 요구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200)는, 하나의 하우징(110) 내부에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위치들(220,230)이 하나의 공통 컨덕터(150)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공통 컨덕터(150)만으로 복수개의 스위치(220,230) 모두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200)는, 스위치 구성에 필요한 컨덕터의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컴팩트한 크기를 가지면서도 적은 제조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스위치장치(200)가 설치되는 기기에서의 배선이 좀 더 심플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스위치장치의 제3실시예]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300)는 이전 실시예에 예시된 스위치장치(200; 도 10 참조)와 마찬가지로 3개의 컨덕터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140)가 설치되는 가로면(111)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제1방향(y) 일측에는 공통 컨덕터(150)가 배치되고, 제1방향(y) 타측에는 제1컨덕터(160) 및 제2컨덕터(165)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스위치(320)는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2스위치(330)는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공통 컨덕터(150)와 연결되는 구성인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되,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의 연결체는 제1하우징(110a)의 개방된 상부측에서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을 향해 내려다봤을 때,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가 "┤" 형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123)는 제1컨덕터(160)와 연결되며, 제4블레이드(133)는 제2컨덕터(165)와 연결된다. 이때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는 제1방향(y)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는 제1방향(x)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또한 제2블레이드(123)는, 제1블레이드(121)보다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으로부터 먼 위치, 즉 제1블레이드(12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블레이드(121)는 제2블레이드(123)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제3블레이드(131)는 제4블레이드(133)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의 연결체는, 공통 컨덕터(150,155)와 결합되는 하나의 결합부(b)를 공유하고, 블레이드 본체(a)가 두 갈래로 갈라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 본체(a)의 상반부와 하반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갈라진 형태로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본체(a) 중 제1방향(y)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반부가 제3블레이드(131)가 되고, 제1방향(x)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반부가 제1블레이드(121)가 되는 형태로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의 연결체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 본체(a)의 일부분을 절개하고 절개된 상반부를 하반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하는 단순한 성형 작업만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서 제1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3) 간의 접촉과 제3블레이드(131)와 제4블레이드(133)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의 연결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블레이드(123)는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블레이드(123)는, 제1방향(y) 타측에서 제1컨덕터(160)와 연결되며, 제1방향(y) 일측에 배치된 제1블레이드(121)와 접촉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도록 "┌"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4블레이드(133)는, 제1방향(y) 타측에서 제2컨덕터(165)와 연결되며, 제1방향(y) 일측에 배치된 제3블레이드(131)와 접촉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도록 제1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스위치(320)와 제2스위치(330)를 구성하고 있는 각 블레이드들(121,123,131,133)의 배치 구조를 살펴보면,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의 연결체는 각각 별개로 마련된 제2블레이드(123) 및 제4블레이드(133)보다 상대적으로 액추에이터(140)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의 연결체는 제1돌기(143)와 제1스위치(32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때 제1돌기(143)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제2돌기(145)와 제2스위치(33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때 제2돌기(145)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르면, 액추에이터(140)에 의한 가압이 제1블레이드(121)와 제3블레이드(131)의 연결체에 가해지지 않는 형태로 제1스위치(320)의 닫힘 및 제2스위치(330)의 닫힘이 이루어지므로, 두 블레이드가 하나로 연결된 조건에 영향 받지 않고 제1스위치(320)와 제2스위치(330)의 동시 작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스위치장치의 제4실시예]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400)는 이전 실시예에 예시된 스위치장치(300; 도 15 참조)와 마찬가지로 3개의 컨덕터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홀(112)이 형성된 가로면(111)의 중앙 부분에는 액추에이터(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액추에이터(140)가 설치되는 가로면(111)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제1방향(y) 일측에는 제1컨덕터(160)와 제2컨덕터(165)가 배치되며, 제1방향(y) 타측에는 하나의 공통 컨덕터(150)가 배치된다.
이때 제1컨덕터(160)는 제2컨덕터(165)보다 액추에이터(140) 및 공통 컨덕터(150)로부터 먼 거리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공통 컨덕터(150)와 제1컨덕터(160) 및 제2컨덕터(165)는 각각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과 동일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공통 컨덕터(150)와 제1컨덕터(160) 및 제2컨덕터(165)는 모두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든 컨덕터들(150,160,165)이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다면, 컨덕터들이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컨덕터들의 설치에 필요한 하우징(110)의 높이를 그만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좀 더 컴팩트한 크기의 스위치장치(4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모든 컨덕터들(150,160,165)이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기 위해서는, 이들과 연결되는 블레이드들(421,423,431,433)의 배치 구조를 그에 맞게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하, 블레이드들(421,423,431,433)의 배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400)는 제1스위치(420)와 제2스위치(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스위치(420)는 제1블레이드(421)와 제2블레이드(4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2스위치(430)는 제3블레이드(431)와 제4블레이드(4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블레이드(421)는, 하우징(110)의 제1방향(y) 타측에 배치된 공통 컨덕터(150)와 연결되며, 제1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블레이드(423)는, 하우징(110)의 제1방향(y) 일측에 배치된 제1컨덕터(160)와 연결되며, 제1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블레이드(431)는, 제1블레이드(421)와 함께 공통 컨덕터(150)와 연결되며, 제1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위치(420)의 구성인 제1블레이드(421)와 제2스위치(430)의 구성인 제3블레이드(431)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스위치장치(400)에서는, 공통 컨덕터(150)와 연결되는 구성인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는 하나의 공통 컨덕터(150)에 함께 연결되는 형태로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다.
제1블레이드(431)와 제3블레이드(433)의 연결체는, 하우징(110)의 제1방향(y) 타측에 배치된 공통 컨덕터(15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1블레이드(431)와 제3블레이드(433)의 연결체는, 제1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블레이드(423) 및 제4블레이드(433)와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는 제2블레이드(423)와 제4블레이드(433) 모두와 접촉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는 하우징(110)의 측부에서 봤을 때,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가 "凸" 형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는 제1방향(y)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되, 제1블레이드(421)가 제3블레이드(431)보다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으로부터 먼 거리에 배치되도록, 즉 제1블레이드(421)가 제3블레이드(43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에서, 결합부(b)는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 중 어느 하나에만 마련되어도 충분하다.
즉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 중 어느 하나만 공통 컨덕터(150)와 연결되기만 하면,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 모두가 공통 컨덕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블레이드(431)에 마련된 결합부(b)와 공통 컨덕터(150) 간의 결합을 통해 공통 컨덕터(150)와 제3블레이드(431)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면, 제1블레이드(421)는 제3블레이드(431)와 별개로 공통 컨덕터(150)와 결합되지 않아도 제3블레이드(431)를 통해 공통 컨덕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가 하나의 결합부(b)를 공유하고, 이와 같이 공유된 하나의 결합부(b)를 공통 컨덕터(150)와 연결시키는 한 번의 작업만으로 두 블레이드(421,431)와 공통 컨덕터(150) 간의 전기적인 연결 작업이 단번에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제4블레이드(433)는, 하우징(110)의 제1방향(y) 일측에 배치된 제2컨덕터(165)와 연결되며, 제1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컨덕터(160)가 제2컨덕터(165)보다 액추에이터(14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따라서 제2블레이드(431)는 제4블레이드(421)보다는 좀 더 긴 길이로 형성된다.
제2블레이드(423)와 제4블레이드(433) 간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하우징(110)의 측부에서 바라봤을 때, 제4블레이드(433)는 대략 직선 형상으로 보여지지만, 제2블레이드(423)는 "┌" 형상으로 보여진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컨덕터(160)가 제2컨덕터(165)보다 액추에이터(14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1컨덕터(160)와 연결되어야 하는 제2블레이드(423)는 그 연결 경로 사이를 통과하는 제2컨덕터(165)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형상을 포함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제2블레이드(423)는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블레이드(423)에서는 제1컨덕터(160) 및 하우징(110)의 지지구조물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부(b)가 제2컨덕터(165)의 높이 이상의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부(b)로부터 연장되는 블레이드 본체(a)는, 상기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으로부터 제2컨덕터(165)의 높이 이상 이격됨으로써, 제2컨덕터(165)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2블레이드(423)는, 하우징(110)의 측부에서 봤을 때 결합부(b)와 블레이드 본체(a)가 "┌" 형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처럼 제2블레이드(423)는 블레이드 본체(a)가 제2컨덕터(165)를 상부에서 통과할 수 있게 마련되고, 이로써 하우징(110) 내부의 동일한 공간 내에 각 블레이드들(421,431,431,433)이 효율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스위치장치(400)가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제1스위치(420)와 제2스위치(430)를 구성하고 있는 각 블레이드들(421,423,431,433)의 배치 구조를 살펴보면, 액추에이터(140)와 가장 먼 위치에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3)의 연결체가 배치되고,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3)의 연결체와 액추에이터(140) 사이에 제2블레이드(423) 및 제4블레이드(433)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블레이드들(421,423,431,433)은, 제1방향(x)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되,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블레이드(421)와 제2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 및 제4블레이드(433)는 액추에이터(140)를 중심으로 제2방향(x)을 따라 구분된 두 영역 중에서 어느 한 영역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는 측벽부(113)를 이루는 복수개의 세로면 중 제2방향(x)의 타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제2블레이드(423)와 제4블레이드(433)는,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와 액추에이터(140) 사이의 영역, 즉 제2방향(x)의 타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들(421,423,431,433)을 어느 한 영역에 몰아서 배치할 수 있다면, 블레이드들(421,423,431,433)이 설치되지 않는 다른 영역의 크기만큼 하우징(11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400)는, 줄어든 하우징(110)의 사이즈만큼 더욱 컴팩트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스위치장치(400)가 설치되는 기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고, 스위치장치(400)가 설치되는 기기에 좀 더 높은 설계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치장치의 제5실시예]
도 18 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500)는 이전 실시예에 예시된 스위치장치(400; 도 17 참조)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전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제1스위치(420)의 구성인 제1블레이드(421)와 제2스위치(430)의 구성인 제3블레이드(431)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는 하우징(110)의 측부에서 봤을 때,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가 "凸" 형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에서, 결합부(b)는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 중 어느 하나에만 마련되어도 충분하다.
즉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 중 어느 하나만 공통 컨덕터(150)와 연결되기만 하면,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 모두가 공통 컨덕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블레이드(431)에 마련된 결합부(b)와 공통 컨덕터(150) 간의 결합을 통해 공통 컨덕터(150)와 제3블레이드(431)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면, 제1블레이드(421)는 제3블레이드(431)와 별개로 공통 컨덕터(150)와 결합되지 않아도 제3블레이드(431)를 통해 공통 컨덕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가 하나의 결합부(b)를 공유하고, 이와 같이 공유된 하나의 결합부(b)를 공통 컨덕터(150)와 연결시키는 한 번의 작업만으로 두 블레이드(421,431)와 공통 컨덕터(150) 간의 전기적인 연결 작업이 단번에 완료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500)와 이전 실시예에 예시된 스위치장치(400) 간의 차이점은, 스위치장치(500)에서 제1스위치(520)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제1블레이드(421)와 제2스위치(530)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에 절개부(525)가 형성된다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제1방향(y) 일측에서는 제2블레이드(423)가 제4블레이드(433)보다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제1방향(y) 타측에서는 제1블레이드(421)가 제3블레이드(431)보다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써 제1블레이드(421)와 제2블레이드(423) 간의 접촉이 제3블레이드(431) 및 제4블레이드(433)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루어지고, 제3블레이드(431)와 제4블레이드(433) 간의 접촉이 제1블레이드(421) 및 제2블레이드(423)보다 제1하우징(110a)의 가로면(111)에 근접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블레이드들(421,423,431,433)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에는,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일부분을 분리시키는 절개부(525)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525)는 서로 연결된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 사이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로써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는, 제1블레이드(421)의 일부분과 제3블레이드(431)의 일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는, 제1블레이드(421)가 상부에 배치되고 제3블레이드(431)가 제1블레이드(421)의 하부, 즉 제1블레이드(42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절개부(525)가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 사이에 형성된 "コ"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와 같은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의 형상은, 제1블레이드(421)와 제2블레이드(423) 간의 접촉과 제3블레이드(431)와 제4블레이드(433) 간의 접촉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두 지점에서의 접촉이 모두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설계의 결과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절개부(525)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가 형성되면, 제1블레이드(421)와 제2블레이드(423) 간의 접촉이 이루질 때 제2블레이드(423)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1블레이드(421)가 밀려나게 되더라도, 단지 제1블레이드(421)의 휨 변형만이 발생될 뿐, 이러한 영향이 제3블레이드(431)에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제3블레이드(421)와 제4블레이드(423) 간의 접촉이 이루질 때 제2블레이드(423)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3블레이드(421)가 밀려나게 되더라도, 단지 제3블레이드(431)의 휨 변형만이 발생될 뿐, 이러한 영향이 제1블레이드(433)에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즉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 사이에 형성된 절개부(525)에 의해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가 각각 독립적으로 휨 변형될 수 있으므로,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를 형성하는 두 블레이드가 하나로 연결된 조건에 영향 받지 않고 제1스위치(520)와 제2스위치(530)의 동시 작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5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500)는, 복수개의 스위치들(520,530)이 하나의 하우징(110) 내부에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하나의 공통 컨덕터(150)만으로 복수개의 스위치(520,530) 모두를 구성할 수 있다.
만약, 멀티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스위치들(520,530)이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스위치장치가 구성된다면, 각 스위치들(520,530)과 연결되기 위한 컨덕터들이 각 층에 한 쌍씩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각 스위치들(520,530)에 연결되는 각 한 쌍의 컨덕터들 중 하나씩은 동일한 전위와 연결된 공통 컨덕터라고 할지라도, 스위치장치의 각 층에는 각 스위치들(520,530)에 연결되기 위한 한 쌍씩의 컨덕터들의 설치가 요구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500)는, 하나의 하우징(110) 내부에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위치들(520,530)이 하나의 공통 컨덕터(150)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공통 컨덕터(150)만으로 복수개의 스위치(520,530) 모두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위치장치(500)는, 기존에 4개가 설치되던 컨덕터의 개수를 3개로 줄임으로써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컨덕터의 연결에 소요되는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고, 컨덕터의 개수가 감소된 만큼 하우징(11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좀 더 컴팩트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500)는,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가 하나의 결합부(b)를 공유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공유된 하나의 결합부(b)를 공통 컨덕터(150)와 연결시키는 한 번의 작업만으로 두 블레이드(421,431)와 공통 컨덕터(150) 간의 전기적인 연결 작업이 단번에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멀티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스위치들(520,530)이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스위치장치가 구성된다면, 각 스위치들(520,530)과 연결되기 위한 컨덕터들이 각 층에 한 쌍씩 배치되어야 하고, 이들 컨덕터들과 연결되어야 하는 각각의 블레이드들을 하우징(110)에 각각 끼워 고정시키는 작업 및 블레이드들을 컨덕터들에 각각 연결하는 작업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스위치가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스위치장치가 구성된다면, 총 4개의 컨덕터를 설치하는 작업, 이들과 연결되기 위한 4개의 블레이드를 하우징(110)에 각각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4번의 고정 작업, 그리고 각 블레이드를 각 컨덕터에 연결시키는 4번의 연결 작업이 각각 필요하게 된다.
이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하우징(110) 내부에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위치들(520,530)이 하나의 공통 컨덕터(150)를 공유하고,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가 하나의 결합부(b)를 공유하는 구성이 개시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한 작업의 회수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500)의 제조를 위해서는, 총 3개의 컨덕터(150,160,165)를 설치하는 작업, 이들과 연결되기 위한 블레이드(421,423,431,433)를 하우징(110)에 각각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3번의 고정 작업, 그리고 각 블레이드를 각 컨덕터에 연결시키는 3번의 연결 작업만이 각각 필요하게 된다.
이는,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500)의 특징적인 구성, 즉 스위치장치(500)가 4개의 컨덕터가 아닌 3개의 컨덕터(150,160,165)와 연결되는 구성,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연결체를 이루는 구성, 제1블레이드(421)와 제3블레이드(431)의 연결체가 하나의 결합부(b)를 공유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업의 횟수가 감소됨으로써, 스위치장치(500)를 제조하는 공정이 매우 효과적으로 단순화될 수 있게 될 있게 되고, 블레이드(421,423,431,433)가 고정되는 부위가 감소된 만큼 블레이드(421,423,431,433)가 탈거될 위험이 적어 제품 불량 발생 위험이 감소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500)는 공유된 하나의 결합부(b)를 공통 컨덕터(150)와 연결시키는 한 번의 작업만으로 두 블레이드(421,431)와 공통 컨덕터(150) 간의 전기적인 연결 작업이 단번에 완료될 수 있게 되는 구성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컨덕터와 블레이드 간의 결합 개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컨덕터와 블레이드 간의 결합 개소가 감소된 만큼 하우징(1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좀 더 컴팩트한 크기의 스위치장치(500)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스위치장치의 제6실시예]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의 액추에이터 분해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600)에서의 스위치들(620,630) 및 이들 스위치(620,630)들을 구성하는 블레이드들(621,623,631,633)의 배치 구조는 기본적으로 이전 실시예에 예시된 스위치장치(500; 도 18 참조)에서의 스위치들(420,430; 도 18 참조) 및 블레이드들(421,423,431,433)의 배치 구조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의 스위치장치(600)와 이전 실시예의 스위치장치(500) 간의 주된 차이점은, 지지구조물의 위치 및 각 블레이드들(621,623,631,633)의 구체적인 형상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하우징(110a)과 제2하우징(110b)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하우징(110a)과 제2하우징(110b) 각각은 사각 형상의 가로면(111), 및 상기 가로면(111)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가로면(111)을 측부에서 둘러싸는 측벽(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제1하우징(110a)과 제2하우징(110b) 간의 결합은 결합후크(168)와 걸림돌기(169)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a)과 제2하우징(110b)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맞대어질 때 제1하우징(110a)에 마련된 결합후크(168)가 제2하우징(110b)에 마련된 걸림돌기(169)에 걸려 결합후크(168)와 걸림돌기(169)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결합후크(168)와 걸림돌기(169) 간의 결합에 의해 제1하우징(110a)과 제2하우징(110b)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1하우징(110a)과 제2하우징(110b)을 서로 맞대며 끼우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하우징(11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으며, 이로써 스위치장치(600)의 제조가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구조물은, 하우징(110)에 마련되되, 하우징(110) 중 상부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110b)에 마련된다. 즉 지지구조물이 제1하우징(110a)이 아닌 제2하우징(110b)에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구조물은, 제2하우징(110b)의 가로면(111)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지지블록(115) 및 슬롯(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조물에는, 하우징(110)을 관통하는 공통 컨덕터(150)와 제1컨덕터(160) 및 제2컨덕터(1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지지블록(115) 내부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지지블록(115)에 형성하는 통과홀(117)이 형성된다.
이하, 제1스위치(620) 및 제2스위치(63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위치(620)는 제1블레이드(621)와 제2블레이드(6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2스위치(630)는 제3블레이드(631)와 제4블레이드(6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중 제2블레이드(623) 및 제4블레이드(633)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2블레이드(423; 도 18 참조) 및 제4블레이드(433; 도 18 참조)와 각각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2블레이드(623) 및 제4블레이드(633)가 이전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2블레이드(423) 및 제4블레이드(433)와 다른 점은, 각각의 블레이드(623,633)에 접촉부(d)가 형성된다는 점이다.
접촉부(d)는, 제2블레이드(623) 및 제4블레이드(633)의 각 블레이드 본체(a)에 형성되되, 각 블레이드 본체(a) 중 제1블레이드(621)와 제3블레이드(631)의 연결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 즉 각 블레이드 본체(a)의 길이방향 단부 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부(d)는, 제2블레이드(623) 및 제4블레이드(633)의 각 블레이드 본체(a)의 길이방향 단부가 복수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부(d)는 블레이드 본체(a)의 길이방향 단부 부분이 두 갈래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 일례로서, 접촉부(d)는 블레이드 본체(a)의 단부가 두 갈래로 갈라진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접촉부(d)는, 제2블레이드(623)와 제1블레이드(621)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 제4블레이드(633)가 제3블레이드(631)와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해당된다.
제2블레이드(623)와 제4블레이드(633) 각각에 이러한 접촉부(d)가 형성되면, 제2블레이드(623)와 제4블레이드(633)가 액추에이터(140)에 의해 가압되어 제1블레이드(621)와 제2블레이드(623)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거나 제3블레이드(631)와 제4블레이드(633)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때, 제2블레이드(623)와 제4블레이드(633)의 길이방향 단부가 제1블레이드(621)와 제3블레이드(631)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좀 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블레이드(623)와 제4블레이드(633)의 길이방향 단부가 제1블레이드(621)와 제3블레이드(631)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좀 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게 되면, 제1블레이드(621)와 제2블레이드(623) 간의 접촉, 제3블레이드(631)와 제4블레이드(633)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접촉면들 간의 밀착이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블레이드들 간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접촉 불량 문제가 효율적으로 해결될 수 있게 되므로, 더욱 향상된 성능을 갖는 스위치장치(600)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블레이드(621)와 제3블레이드(631)의 연결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블레이드(621)와 제3블레이드(631)의 연결체는, 제1블레이드(621)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본체(a)와 제3블레이드(631)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본체(a)가 하나의 결합부(b)와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블레이드(621)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본체(a)는 제3블레이드(631)보다 제2하우징(110b)의 가로면(111)에 가깝게 위치되고, 제3블레이드(631)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본체(a)는 제1블레이드(621)보다 제2하우징(110b)의 가로면(111)에 먼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블레이드(623)와 제4블레이드(633)는 제2방향(x)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블레이드(621)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본체(a)와 제3블레이드(631)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본체(a)는 제2블레이드(623)와 제4블레이드(633) 간의 이격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블레이드(621)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본체(a)와 제3블레이드(631)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본체(a) 간의 이격을 위해, 제1블레이드(621)와 제3블레이드(631)의 연결체에는 절곡연결부(635)가 마련된다.
절곡연결부(635)는, 제1블레이드(621)와 제3블레이드(631)의 연결체에 마련된 결합부(b)와 제3블레이드(631)의 블레이드 본체(a) 사이에 마련되어 제1블레이드(621)와 제3블레이드(631)의 연결체에 마련된 결합부(b)와 제3블레이드(631)의 블레이드 본체(a)를 절곡된 형태로 연결한다.
일례로서, 절곡연결부(635)는 제2하우징(110b)의 개방된 하부측에서 제2하우징(110b)의 가로면(111)을 향해 올려다봤을 때, 제1블레이드(621)와 제3블레이드(631)의 연결체에 마련된 결합부(b)와 제3블레이드(631)의 블레이드 본체(a)를 "┌┘"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블레이드(621)와 제3블레이드(631)의 연결체에서, 결합부(b)와 제1블레이드(621)의 블레이드 본체(a) 및 제3블레이드(631)의 블레이드 본체(a)는, 제2하우징(110b)의 개방된 하부측에서 제2하우징(110b)의 가로면(111)을 향해 올려다봤을 때, 절곡연결부(d)에 의해 "├┘"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블레이드(621)와 제3블레이드(631)의 연결체의 형상이 결정됨으로써, 제1블레이드(621)와 제2블레이드(623) 간의 접촉과 제3블레이드(631)와 제4블레이드(633) 간의 접촉이 제2방향(x) 상에서의 다른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제1스위치(620)의 개폐와 제2스위치(630)의 개폐가 서로의 동작에 영향 받지 않게 됨으로써, 동작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 스위치장치(600)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본체
2 : 쿡탑부
3 : 상판
4 : 오븐부
5 : 조리실
6 : 도어
7 : 핸들
8 : 컨트롤패널
9 : 제어부
10 : 노브
20 : 표시장치
30 : 점화장치
40 : 밸브
41 : 제1연결구
42 : 제2연결구
50 : 회전축
80 : 거버너 밸브
90 : 버너
94 : 입력배관
96 : 분배관(매니폴드)
98 : 개별배관
100,200,300,400,500,600 : 스위치장치
110 : 하우징
110a : 제1하우징
110b : 제2하우징
111 : 가로면
112 : 중앙홀
113 : 측벽부
114 : 노치
115 : 지지블록
116 : 슬롯
117 : 통과홀
120,220,320,420,520,620 : 제1스위치
121,421,621 : 제1블레이드
123,423,623 : 제2블레이드
130,230,330,430,530,630 : 제2스위치
131,431,631 : 제3블레이드
133,433,633 : 제4블레이드
140 : 액추에이터
141 : 회전본체
143 : 제1돌기
145 : 제2돌기
150 : 제1공통 컨덕터
155 : 제2공통 컨덕터
160 : 제1컨덕터
165 : 제2컨덕터
425 : 절개부
618 : 결합후크
619 : 걸림돌기
635 : 절곡연결부
a : 블레이드 본체
b : 결합부
c : 회피부
d: 접촉부
x : 제2방향
y : 제1방향

Claims (29)

  1.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제1스위치;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3블레이드와 제4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제2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면과 동일면에 형성된 지지구조물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서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는 스위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스위치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를 가압하는 제1돌기;
    상기 제2스위치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스위치를 가압하는 제2돌기; 및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본체;를 포함하는 스위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3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공통 컨덕터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공통 컨덕터와 동일한 공간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제1컨덕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공통 컨덕터 및 상기 제1컨덕터와 동일한 공간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제2컨덕터와 연결되는 스위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컨덕터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 연결되는 제1공통 컨덕터, 및 상기 제2블레이드와 연결되는 제2공통 컨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통 컨덕터 및 상기 제1컨덕터는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통 컨덕터 및 상기 제2컨덕터는 제1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 및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제2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는 스위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는 하나의 상기 공통 컨덕터에 함께 연결되는 스위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덕터는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통 컨덕터 및 상기 제2컨덕터는 제1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가 상기 공통 컨덕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는 상기 제3블레이드와 "ㄱ"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스위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컨덕터는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컨덕터 및 상기 제2컨덕터는 제1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가 상기 공통 컨덕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는, 상기 제3블레이드와 "┤"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스위치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컨덕터는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제1컨덕터 및 상기 제2컨덕터는 제1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2컨덕터는, 상기 제1컨덕터보다 상기 공통 컨덕터부터 먼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블레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접촉면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본체, 및 상기 블레이드 본체를 상기 제1컨덕터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본체가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상기 제2컨덕터의 높이 이상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 본체가 "┌"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스위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가 상기 제4블레이드보다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제3블레이드보다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는, 상기 제1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와 상기 제3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가 상기 공통 컨덕터와 연결되는 하나의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와 상기 제3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스위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는,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가 상기 제1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절개부가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위치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와 상기 제3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는,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 간의 이격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위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는, 상기 제3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를 상기 제1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로부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시키며 상기 결합부와 연결하는 절곡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복수개로 분리된 접촉부가 형성되는 스위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단부에 "⊂"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위치 장치.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방향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 및 상기 제4블레이드가 모두 배치되고,
    상기 제2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는 스위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가로면 및 상기 가로면을 측부에서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는, 상기 측벽부를 이루는 복수개의 세로면 중 상기 제2방향의 타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3블레이드의 연결체와 상기 액추에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중 상기 액추에이터에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돌기의 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 중 상기 액추에이터에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돌기의 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스위치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중 상기 액추에이터에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 어느 하나는, 상기 제3블레이드 및 상기 제4블레이드보다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2돌기보다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는 스위치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중 상기 액추에이터에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 어느 하나는, 상기 제2돌기의 이동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돌기보다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4블레이드 중 상기 액추에이터에 좀 더 근접하게 배치된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돌기의 이동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돌기보다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스위치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하우징의 가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 내지 상기 제4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슬롯에 끼워져 상기 지지블록에 고정되는 스위치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3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공통 컨덕터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공통 컨덕터와 동일한 공간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제1컨덕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4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공통 컨덕터 및 상기 제1컨덕터와 동일한 공간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제2컨덕터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구조물에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상기 공통 컨덕터와 상기 제1컨덕터와 상기 제2컨덕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지지블록 내부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지지블록에 형성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스위치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슬롯에 끼워져 상기 지지블록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지지블록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가 상기 지지블록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공통 컨덕터와 상기 제1컨덕터와 상기 제2컨덕터 중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어느 하나와 상기 통과홀에서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스위치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는, 상기 공통 컨덕터와 상기 제1컨덕터와 상기 제2컨덕터 중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어느 하나가 상기 블레이드 본체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회피부가 형성되는 스위치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에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상기 통과홀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통과홀 중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먼 곳에 배치된 어느 하나에 상기 결합부가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 상기 회피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피부는, 한 쌍의 상기 통과홀 중 상기 액추에이터와 가까운 곳에 배치된 다른 하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장치.
  25.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제1스위치;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3블레이드와 제4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제2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공통 컨덕터와 제1컨덕터와 제2컨덕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각각 연결되고,
    상기 공통 컨덕터와 상기 제1컨덕터와 상기 제2컨덕터는, 상기 하우징의 동일면을 관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동일한 공간 내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각각 연결되는 스위치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가로면 및 상기 가로면을 측부에서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컨덕터와 상기 제1컨덕터와 상기 제2컨덕터가 상기 하우징 내부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노치가 상기 측벽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스위치장치.
  27. 회전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브;
    상기 노브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액추에이터가 동작되도록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스위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장치는,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제1스위치;
    서로 분리되게 마련된 제3블레이드와 제4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 간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제2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면과 동일면에 형성된 지지구조물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서로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개폐되어 버너로의 가스 공급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 및 상기 버너로 공급된 가스를 점화시키도록 동작되는 점화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가스 밸브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을 때 닫히고,
    상기 점화장치는, 상기 제1스위치의 닫힘으로 인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동작되는 조리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밸브가 개방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가스 밸브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을 때 닫히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제2스위치의 닫힘으로 인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동작되는 조리기기.
KR1020170161027A 2017-09-22 2017-11-28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224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33,852 US10504673B2 (en) 2017-09-22 2018-09-18 Switch device comprising two switches which share a common conductor
DE202018006489.0U DE202018006489U1 (de) 2017-09-22 2018-09-19 Schaltvorrichtung und Kochgerät mit einer Schaltvorrichtung
EP18195334.0A EP3460817B1 (en) 2017-09-22 2018-09-19 Switch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a switch device
US16/680,661 US10763058B2 (en) 2017-09-22 2019-11-12 Switch device comprising two switches which share a common condu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22449 2017-09-22
KR1020170122449 2017-09-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719A Division KR20210027334A (ko) 2017-09-22 2021-03-02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046A true KR20190034046A (ko) 2019-04-01
KR102224915B1 KR102224915B1 (ko) 2021-03-09

Family

ID=6610456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027A KR102224915B1 (ko) 2017-09-22 2017-11-28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0210027719A KR20210027334A (ko) 2017-09-22 2021-03-02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0210151759A KR102404431B1 (ko) 2017-09-22 2021-11-05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719A KR20210027334A (ko) 2017-09-22 2021-03-02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0210151759A KR102404431B1 (ko) 2017-09-22 2021-11-05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224915B1 (ko)
DE (1) DE202018006489U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4729A1 (en) * 2009-12-21 2011-07-14 Illinois Tool Works Inc. Lighting control switch harness for gas taps of for cooking appliances with optical indication of opening of the gas tap
US8173924B2 (en) * 2006-06-26 2012-05-08 Illinois Tool Works Inc. Dual function switch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5132U (ja) * 1991-06-10 1992-12-16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ロ−タリ−パルススイツ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3924B2 (en) * 2006-06-26 2012-05-08 Illinois Tool Works Inc. Dual function switch assembly
WO2011084729A1 (en) * 2009-12-21 2011-07-14 Illinois Tool Works Inc. Lighting control switch harness for gas taps of for cooking appliances with optical indication of opening of the gas t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334A (ko) 2021-03-10
DE202018006489U1 (de) 2020-10-13
KR102224915B1 (ko) 2021-03-09
KR20210135464A (ko) 2021-11-15
KR102404431B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0817B1 (en) Switch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a switch device
US3299226A (en) Electrical switch for food blender with improved contact detent structure
US10788217B2 (en) Lighting control switch harness for gas taps with optical indication of opening of the gas tap, for cooking appliances
US11846431B2 (en) Cooking apparatus
US10458656B2 (en) Switch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5525771A (en) Spark ignition switch and valve assembly for gas burners including external detent assembly
US11852347B2 (en) Cooking appliance having cooling system
KR102404431B1 (ko) 스위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20060042925A1 (en) Stackable switch
KR100232093B1 (ko) 가스버너 메니포올드용 스위치 조립체
KR101898776B1 (ko) 노브 감지 가능한 스위치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조리기기
KR102385367B1 (ko) 내열 성능이 향상되도록 구성된 음식물 조리용 인덕션 렌지
JP7345426B2 (ja) 扉開閉検知ユニットおよび加熱調理器
EP3839351A1 (en)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of gas burners of a cooking appliance
KR102619116B1 (ko) 커넥터 연결구
KR102252922B1 (ko) 조리기기
KR100826713B1 (ko) 가스오븐레인지
US20230296255A1 (en) Cooktop appliance with alignment bracket
JP6864130B2 (ja) 配線器具
KR101297992B1 (ko) Pcb 모듈
US1100505A (en) Electric outlet-fitting.
EP4053455A1 (en) Control unit for an electromechanical oven and oven
KR100627586B1 (ko) 가스렌지용 릴레이
KR20020007536A (ko) 방폭 구조를 갖는 분전반
US20160198526A1 (en) Cooking appliances having improved heating element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