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893A -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 Google Patents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893A
KR20190033893A KR1020170122603A KR20170122603A KR20190033893A KR 20190033893 A KR20190033893 A KR 20190033893A KR 1020170122603 A KR1020170122603 A KR 1020170122603A KR 20170122603 A KR20170122603 A KR 20170122603A KR 20190033893 A KR20190033893 A KR 2019003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dust
air
axial flow
swirl 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396B1 (ko
Inventor
현기탁
어수한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396B1/ko
Priority to PCT/KR2017/011381 priority patent/WO2019059446A1/ko
Priority to EP17925755.5A priority patent/EP3685724B1/en
Priority to US15/941,181 priority patent/US10799887B2/en
Publication of KR2019003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7/00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4C1/00, B04C3/00, or B04C5/00; Multiple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of the groups B04C1/00, B04C3/00, or B04C5/00; Combinations of apparatus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B04C1/00, B04C3/00, or B04C5/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5Means for the mechanical control of flow of air, e.g. deflectors, baffles or labyrin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3/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flow following a screw-thread type line remains unchanged ; Devices in which one of the two discharge ducts returns centrally through the vortex chamber, a reverse-flow vortex being prevented by bulkheads in the central discharge duct
    • B04C3/0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3/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flow following a screw-thread type line remains unchanged ; Devices in which one of the two discharge ducts returns centrally through the vortex chamber, a reverse-flow vortex being prevented by bulkheads in the central discharge duct
    • B04C3/06Construction of inlets or outlets to the vortex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2Construction of inlets by which the vortex flow is generated, e.g. tangential admission, the fluid flow being forced to follow a downward path by spirally wound bulkheads, or with slightly downwardly-directed tangential admission
    • B04C5/04Tangential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2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external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집진장치는, 집진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선회류를 일으키는 사이클론; 상기 사이클론을 통과한 공기와 미세먼지를 공급받으며,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분리하도록 선회류를 일으키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 및 상기 사이클론과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외측을 감싸는 메쉬를 포함하고,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네 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가상의 사분면 위에 다단으로 적층되고, 동일한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끼리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서로 다른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끼리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DUST COLLECTO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여 먼지를 집진하며, 깨끗한 공기만 배출하는 진공 청소기와 상기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와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캐니스터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스틱 청소기, 핸디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로 구분된다. 캐니스터 청소기의 경우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이 청소기 본체와 별도로 구비되며, 연결장치에 의해 청소기 본체와 흡입 노즐이 서로 연결된다. 업라이트 청소기의 경우 흡입 노즐이 청소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틱 청소기와 핸디 청소기의 경우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사용된다. 다만, 스틱 청소기의 경우 흡입 모터가 흡입 노즐에 가깝게 배치되고(하중심), 핸디 청소기의 경우 흡입 모터가 파지부에 가깝게 배치된다(상중심). 로봇 청소기는 자율 주행 시스템을 통해 스스로 주행하면서 스스로 청소를 수행한다.
현재 멀티 사이클론을 채택한 청소기들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사이클론이란 유체에 선회류를 형성하고, 공기와 먼지의 무게 차이로부터 비롯되는 원심력 차이를 이용하여 공기와 먼지를 서로 분리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멀티 사이클론이란 1차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공기와 먼지를 서로 분리하고, 다수의 2차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공기와 미세먼지를 서로 분리하는 구조를 가리킨다. 여기서 먼지와 미세먼지는 크기를 기준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1304호(2015.03.23)에는 멀티 사이클론을 채택한 청소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공기와 함께 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먼지와 미세먼지는 1차 사이클론과 2차 사이클론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사이클론을 채택한 청소기는 별도의 교체형 먼지 봉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멀티 사이클론 중 특히 2차 사이클론의 바디(실린더)에는 콘(cone)이라는 구조가 형성된다. 콘은 일측으로 갈수록 2차 사이클론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을 의미한다. 2차 사이클론으로 유입된 공기와 미세먼지는 2차 사이클론에서 서로 분리된다. 미세먼지는 콘을 따라 미세먼지 출구로 배출되며, 공기는 미세먼지의 출구와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공기 출구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유동 손실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공기의 유동 방향이 자주 변경될수록 유동 손실이 발생하는데, 2차 사이클론의 입구와 공기 출구는 서로 같은 쪽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공기는 2차 사이클론의 입구로 유입되고, 2차 사이클론 내에서 방향을 유동 바꾸어 다시 공기 출구로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유동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고효율 축류식 스월 튜브(axial inlet type swirl tube)를 이용하여, 공기의 유동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의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축류식 스월 튜브의 최적 배치를 통해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축류식 스월 튜브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개선하고, 축류식 스월 튜브의 개수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배치 등을 최적화한 구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집진장치는, 사이클론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을 포함한다.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네 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가상의 사분면 위에 다단으로 적층되고, 동일한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끼리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서로 다른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끼리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집진장치는, 집진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선회류를 일으키는 사이클론; 및 상기 사이클론과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외측을 감싸는 메쉬를 포함한다.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상기 사이클론을 통과한 공기와 미세먼지를 공급받으며,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분리하도록 선회류를 일으킨다.
각각의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는, 상기 메쉬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공기와 미세먼지를 공급받는 입구; 및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해 개구된 공기 출구와 미세먼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는 상기 공기 출구와 상기 미세먼지 출구의 반대 방향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미세먼지 출구는 상기 공기 출구의 둘레에 환형(ring shape)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는, 원통형의 바디; 상기 바디의 입구측에 배치되고, 원통형의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바디의 출구측을 향해 돌출되는 콘(cone) 형상의 제2 부분을 구비하는 볼텍스 파인더(vortex finder); 상기 제1 부분의 외주면과 상기 바디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며, 나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인; 및 상기 바디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공기 출구와 상기 공기 출구의 둘레에 형성되는 미세먼지 출구를 구획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출구 구획부를 포함한다.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는 각 축류식 스월 튜브의 상기 바디, 상기 볼텍스 파인더 및 상기 베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부재는 각 축류식 스월 튜브의 상기 출구 구획부를 형성하고, 상기 출구 구획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디의 출구측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부재는 곡면 또는 평면의 바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 베이스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부재는 곡면 또는 평면을 갖는 출구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구 베이스에는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에 대응되는 수의 공기 배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출구 구획부는 상기 공기 배출 구멍의 둘레로부터 상기 바디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 베이스를 기준으로 입구측과 출구측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바디의 출구측을 감싸도록 상기 바디 베이스에서 상기 출구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에 결합되면,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출구 베이스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를 실링하도록 상기 출구 베이스에 밀착된다.
상기 제2 부재의 중앙에는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상승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상승 유로는 상기 사분면의 좌표축에 해당하는 십(十)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집진장치의 출구로 통한다.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상기 사분면 중 제1 사분면에 배치되는 제 1군; 상기 사분면 중 제2 사분면에 배치되는 제 2군; 상기 사분면 중 제3 사분면에 배치되는 제 3군; 및 상기 사분면 중 제4 사분면에 배치되는 제 4군을 포함하고,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각각 상기 제1 군 내지 제4 군에 대응되는 네 개의 상기 제1 부재와 하나의 상기 제2 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군 내지 제4 군의 출구 베이스들은 서로 다른 사분면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열된다.
상기 네 개의 제1 부재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상기 제2 부재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 영역에 상기 메쉬가 배치되고, 상기 메쉬의 내측 영역에 상기 제1 군 내지 제4 군의 축류식 스월 튜브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1 군 내지 제4 군의 축류식 스월 튜브들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에 상기 상승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상기 사분면의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군 내지 제4 군의 출구 베이스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네 개의 측벽; 및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벽의 외곽과 상기 출구 베이스의 외곽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사분면의 좌표축을 가로지르는 네 개의 연결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출구 베이스, 상기 네 개의 측벽, 상기 네 개의 연결벽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십자 형상의 상기 상승 유로를 형성된다.
각 군의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상기 메쉬, 상기 출구 베이스 및 상기 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각 군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측벽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길어진다.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클론에서 낙하하는 먼지를 집진하도록 형성되는 제1 집진부; 및 상기 제1 집진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에서 낙하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도록 형성되는 제2 집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집진부에 집진된 미세먼지가 상기 상승 유로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집진부와 상기 상승 유로를 구획하는 하부 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차단부는 상기 출구 베이스, 상기 측벽 및 상기 연결벽의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메쉬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메쉬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출구 베이스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 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차단부는 상기 메쉬 지지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원형의 외곽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상승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입구와 상기 상승 유로의 하류측을 구획한다.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집진부 탑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집진부 탑 커버는 상기 제2 집진부에 집진된 미세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입구측과 상기 제2 집진부를 구획하며, 상기 제2 집진부 탑 커버에는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낙하를 위한 네 개의 구멍들이 형성되며, 상기 네 개의 구멍들은 서로 다른 사분면에 형성된다.
상기 바디의 출구측 단부와 상기 출구 베이스는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제2 집진부로 통하는 미세먼지 낙하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 출구와 상기 미세먼지 낙하 유로는 상기 출구 베이스를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각 축류식 스월 튜브의 축방향 길이는 각 축류식 스월 튜브의 출구로부터 상기 하우징까지의 거리에 비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축류식 스월 튜브는 순방향 다이렉트 인렛(direct inlet) 구조와 순방향 다이렉트 아웃렛(direct outlet) 구조를 갖는다.
이를테면 축류식 사이클론의 입구는 메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므로, 메쉬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 방향의 변화 없이 곧바로 축류식 스월 튜브의 입구로 유입된다. 또한 축류식 스월 튜브의 입구와 출구는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므로,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 방향의 변화 없이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공기가 축류식 스월 튜브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축류식 스월 튜브의 구조와 배열을 이용하면 공기의 유동 손실(압손)을 억제할 수 있으며, 집진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축류식 스월 튜브들이 다단으로 적층되므로 제한된 공간 내에서 그 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축류식 스월 튜브는 사이클론에 비해 소형화에 유리하다. 따라서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다단 배치에 따른 수의 증가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최적 배치를 통해 축류식 스월 튜브들이 차지하는 공간의 확대를 억제하며, 이를 통해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의 용량을 확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청소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사시도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상부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다.
도 4는 축류식 스월 튜브의 사시도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집진장치를 라인 A-A를 따라 자르고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집진장치를 라인 B-B를 따라 자르고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도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집진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도면에서는 캐니스터 타입의 진공 청소기(1)에 적용된 집진장치(100)를 보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집진장치(100)가 반드시 캐니스터 타입의 진공 청소기(1)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집진장치(100)는 업라이트 타입의 진공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집진장치는 구비하는 모든 종류의 청소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청소기(1)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 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 흡입 노즐(20), 연결 유닛(30), 휠 유닛(40), 그리고 집진장치(100)를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1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유닛(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흡입 유닛은 흡입 모터 및 상기 흡입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한다.
흡입 노즐(20)은 흡입 노즐(20)에 인접한 공기와 이물질 등을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이물질이란 공기를 제외한 나머지 물질을 가리키며, 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는 크기를 기준으로 구분되며, 미세먼지는 먼지보다 작고 초미세먼지보다 크다.
연결 유닛(30)은 흡입 노즐(20)과 집진장치(100)에 각각 연결되어, 흡입 노즐(20)을 통하여 흡입된 이물, 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이 포함된 공기를 집진장치(100)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연결 유닛(30)은 호스,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휠 유닛(40)은 청소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청소기 본체(10)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회전 가능하게 한다.
일 예로, 휠 유닛(40)은 주 바퀴 및 보조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주 바퀴는 청소기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보조 바퀴는 주 바퀴와 함께 청소기 본체(10)를 지지하며, 주 바퀴에 의한 청소기 본체(10)의 이동을 보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흡입 노즐(20), 연결 유닛(30), 휠 유닛(40)은 기존의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해당 구성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집진장치(100)는 청소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집진장치(100)는 흡입 노즐(20)을 통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고,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기존의 진공 청소기는 연결 유닛이 청소기 본체에 형성된 흡입부에 연결되고, 흡입부에서 집진장치로 이어지는 유동 가이드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집진장치로 다시 유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흡입된 공기는 흡입 유닛의 흡입력에 의해 집진장치로 유입되는데, 청소기 본체의 유동 가이드를 거침에 따라 흡입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유닛(30)이 집진장치(100)에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따르면, 흡입 노즐(20)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집진장치(100)로 바로 유입되므로 기존보다 흡입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10) 내부에 유동 가이드의 형성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디(실린더)에 콘 구조가 형성되는 2차 사이클론은 유동 손실을 유발한다. 이하에서는 2차 사이클론의 유동 손실을 억제하기 위해 축류식 스월 튜브(axial inlet type swirl tube)를 갖는 집진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진장치(100)의 사시도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장치(100)의 상부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다.
집진장치(100)란 흡입 노즐(20)을 통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흡입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는 집진장치(100) 내부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게 되며, 이물질은 유동 과정에서 집진장치(100)의 구조에 의해 공기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집진장치(100)의 외관은 하우징(110), 상부 커버(120), 하부 커버(130)에 의해 형성된다.
하우징(110)은 집진장치(1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110)은 후술하게 될 사이클론(150),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 도 4 참조) 및 메쉬(mesh)(170) 등 집진장치(100)의 내부 구성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 커버(120)는 힌지(125)에 의해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커버(120)를 개방하고 집진장치(100)의 내측을 청소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힌지(125)를 중심으로 상부 커버(120)를 회전시켜 하우징(110)의 상측 개구부를 개방시키면 된다.
상부 커버(120)에는 집진장치(100)의 입구(121)와 출구(12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집진장치(100)의 입구(121)는 상부 커버(1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집진장치(100)의 출구(123)는 상부 커버(12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집진장치(100)의 입구(121)는 연결 유닛(30)에 의해 흡입 노즐(20)과 연결된다. 따라서 흡입 노즐(20)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이물질은 상기 연결 유닛(30)을 통해 집진장치(1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집진장치(100)의 출구는 청소기 본체(10)의 내부 유로와 연결된다. 따라서 집진장치(100)에 의해 이물질로부터 분리된 공기는 청소기 본체(10)의 내부 유로를 따라 흡입 노즐(20)을 통과하게 되고, 청소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부 커버(120)에는 흡기 가이드(122)와 배기 가이드(12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흡기 가이드(122)는 입구(121)의 하류측에 형성되며, 집진장치(100)의 내측으로 연결된다. 흡기 가이드(122)는 상부 커버(120)의 중심에서 나선 방향을 따라 하우징(110)의 내주면까지 하향 연장된다. 따라서 흡기 가이드(122)에 의해 가이드 되는 공기는 하우징(110)의 내주면을 향해 접선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에는 자연스럽게 선회류가 형성된다.
배기 가이드(124)는 흡기 가이드(122)의 주변에 형성된다. 상부 커버(120)의 구조물에 의해 흡기 가이드(122)와 배기 가이드(124)는 서로 구획되어 있다. 배기 가이드(124)는 흡기 가이드(122)의 양측에 형성되는 두 갈래(124a, 124b)에서 하나로 합쳐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배기 가이드(124)의 하류측에는 집진장치(100)의 출구(123)가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먼지를 집진하는 제1 집진부(141)와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제2 집진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집진부(141)와 상기 제2 집진부(142)는 하우징(110)과 하부 커버(130) 등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제1 집진부(141)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환형으로 형성된다. 제1 집진부(141)는 후술하게 될 사이클론(150)에서 낙하는 먼지를 집진하도록 형성된다. 제1 집진부(141)에는 구획판(111)이 형성될 수 있다. 구획판(111)은 하우징(110)의 내주면으로부터 집진부 바운더리(183)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집진부(142)는 제1 집진부(141)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제1 집진부(141)와 제2 집진부(142)를 구획하는 원기둥 형상의 집진부 바운더리(1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 바운더리(183)의 외측은 제1 집진부(141)에 해당하고, 상기 집진부 바운더리(183)의 내측은 제2 집진부(142)에 해당한다. 제2 집진부(142)는 후술하게 될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에서 낙하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도록 형성된다.
하부 커버(130)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된다. 하부 커버(130)는 제1 집진부(141)와 제2 집진부(142)의 바닥을 형성한다.
하부 커버(130)는 힌지(125)에 의해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130)를 개방하고 제1 집진부(141)에 집진된 먼지와 제2 집진부(142)에 집진된 미세먼지를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결 부재(132)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있는 하우징(110)과 하부 커버(130)의 체결을 해제하고, 힌지(125)를 중심으로 하부 커버(130)를 회전시켜 하우징(110)의 하측 개구부를 개방시키면 된다. 제1 집진부(141)에 집진된 먼지와 제2 집진부(142)에 집진된 미세먼지는 각각 자중에 의해 한번에 아래로 배출된다.
메쉬(17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된다. 메쉬(170)는 하우징(110)보다 작은 원주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쉬(170)에는 다수의 구멍(171)이 형성되며, 아무리 가벼운 물질이라도 메쉬(170)의 구멍(171)보다 크다면 메쉬(170)에 의해 여과된다.
메쉬(170)의 아래에는 스커트(181)가 형성될 수 있다. 스커트(181)는 하부 커버(130)에 가까워질수록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가까워지는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스커트(181)는 제1 집진부(141)에 집진된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커트(181)의 외주면에는 나선 방향을 따라 리브(182)가 돌출될 수 있다. 리브(182)는 메쉬(170)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의 자연스러운 낙하를 유도하여 제1 집진부(141)에 집진되도록 한다. 스커트(181)의 아래에는 앞서 설명된 집진부 바운더리(183)가 형성된다.
상기 스커트(181), 리브(182), 집진부 바운더리(183)는 일체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부재는 이너 하우징(inner housing)(180)으로 명명될 수 있다.
사이클론(150)은 하우징(110)의 내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론(150)은 하우징(110)과 메쉬(170)에 의해 형성된다.
사이클론(150)은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선회류를 일으킨다. 청소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된 흡입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이 집진장치(100)의 내측에까지 영향력을 미치게 되면, 공기와 이물질이 사이클론(150) 내에서 선회 운동을 하게 된다.
흡기 가이드(122)에 의해 사이클론(150)의 접선 방향으로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에 선회류가 형성되면, 상대적으로 가벼운 공기와 미세먼지는 메쉬(170)의 구멍을 통과해 메쉬(170)의 내측으로 흐르게 된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무거운 먼지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고, 제1 집진부(141)로 낙하하게 된다.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은 메쉬(170)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축류식 스월 튜브(160a) 하나의 구조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고, 이어서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배치와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축류식 스월 튜브(160a)의 사시도다.
축류식 스월 튜브(160a)는 넓은 의미의 사이클론에 포함되는 개념이다. 사이클론은 공기의 유입 구조에 따라 축류식(axial inlet type)과 접선 유입식(tangential inlet type)으로 구분된다. 축류식 사이클론의 경우 공기가 사이클론의 축 방향을 따라 유입되며, 접선 유입식 사이클론의 경우 공기가 사이클론의 접선 방향을 따라 유입된다.
축류식 사이클론은 다시 구조에 따라 콘(cone) 타입과 튜브(tube) 타입으로 구분된다. 콘 타입은 내경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구조를 갖는 반면, 튜브 타입은 내경의 크기가 일정한 구조를 갖는다.
콘 타입은 역방향 유동 구조만 가질 수 있는 반면, 튜브 타입은 역방향과 순방향 유동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역방향 유동 구조란 공기의 입구와 공기의 출구가 같은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어 공기의 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 방향을 반전시켜 공기의 출구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리킨다. 이와 달리 순방향 유동 구조란 공기의 입구와 공기의 출구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어 공기의 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 방향을 유지한 채 공기의 출구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축류식 스월 튜브(160a)는 축류식, 튜브 타입에 해당하며, 순방향 유동 구조를 갖는다.
축류식 스월 튜브(160a)는 사이클론(150)과 메쉬(170)를 통과한 공기와 미세먼지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분리하도록 선회류를 일으킨다.
축류식 스월 튜브(160a)는 축 방향을 따라 공기(A)와 미세먼지(F)를 공급받는다. 축 방향이란 축류식 스월 튜브(160a)의 입구(I)와 출구(O1, O2)를 향해 연장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축 방향을 따라 공기와 미세먼지를 공급받으면 360°(도)에서 균일하게 대칭적으로 유동이 형성되므로, 어느 한 영역으로 유동이 집중되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축류식 스월 튜브(160a)는 바디(161a), 볼텍스 파인더(vortex finder)(161b), 베인(vane)(161c) 및 출구 구획부(162a)를 포함한다.
바디(161a)는 축류식 스월 튜브(160a)의 외관을 형성하고, 축류식 스월 튜브(160a)의 내측과 외측의 경계를 형성한다. 바디(161a)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바디(161a)의 내경은 일정하다. 바디(161a)의 일측(위쪽, 161a1)과 타측(아래쪽, 161a2)은 개구된다. 도 4에서 개구된 위쪽(161a1)이 바디(161a)의 입구(I)에 해당하고, 개구된 아래쪽(161a2)이 바디(161a)의 출구(O1, O2)에 해당한다. 따라서 바디(161a)의 입구(I)와 출구(O1, O2)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개구된다.
볼텍스 파인더(161b)는 바디(161a)의 입구측(161a1)에 배치된다. 볼텍스 파인더(161b)는 제1 부분(161b1)과 제2 부분(161b2)을 포함한다. 제1 부분(161b1)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부분(161b2)은 제1 부분(161b1)에서 바디(161a)의 출구(O1, O2)측을 향해 돌출되며, 콘(cone) 형상을 갖는다.
축류식 스월 튜브(160a)의 제2 부분(161b2)은 막혀 있다. 따라서 공기가 볼텍스 파인더(161b)의 내측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공기가 볼텍스 파인더(161b)의 내측으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공기는 바디(161a)의 내측에서 유동 방향을 바꾸지 않는다.
베인(161c)은 제1 부분(161b1)의 외주면과 바디(161a)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다. 베인(161c)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나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볼텍스 파인더(161b)와 베인(161c)에 의해 상기 볼텍스 파인더(161b)의 외주면과 바디(161a)의 내주면 사이에서 공기와 미세먼지의 선회류가 형성된다.
축류식 스월 튜브(160a)의 출구(O1, O2)는 공기 출구(O1)와 미세먼지 출구(O2)를 포함한다. 공기 출구(O1)와 미세먼지 출구(O2)는 서로 같은 방향{바디(161a)의 출구측(161a2))을 향해 개구된다. 출구 구획부(162a)는 바디(161a)의 출구측(161a2)에 배치되고, 공기 출구(O1)와 미세먼지 출구(O2)를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미세먼지 출구(O2)는 공기 출구(O1)의 둘레에 환형(ring shape)으로 형성된다. 출구 구획부(162a)에 의해 정의되는 내측 영역이 공기 출구(O1)에 해당한다. 그리고 출구 구획부(162a)의 외주면과 바디(161a)의 내주면 사이의 영역이 미세먼지 출구(O2)에 해당한다. 출구 구획부(162a)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공기 출구(O1)와 미세먼지 출구(O2)를 구획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61a)와 볼텍스 파인더(161b)는 베인(161c)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161a), 볼텍스 파인더(161b) 및 베인(161c)은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하나의 부재는 제1 부재(161)로 명명될 수 있다. 반면, 출구 구획부(162a)는 바디(161a)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출구 구획부(162a)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별도의 부재는 제2 부재(162)로 명명될 수 있다.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은 제1 부재(161)와 제2 부재(16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제1 부재(161)와 제2 부재(162)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집진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다.
집진장치(100)는 다수의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을 포함한다.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은 제1 부재(161)와 제2 부재(16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16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부재(162)는 단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부재(161)는 곡면 또는 평면의 바디 베이스(161d)를 포함한다. 축류식 스월 튜브의 바디(161a)는 바디 베이스(161d)의 양측으로 돌출된다. 바디(161a)의 입구측(161a1)은 바디 베이스(161d)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바디(161a)의 출구측(161a2)은 바디 베이스(161d)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다. 바디(161a)의 입구측(161a1)과 출구측(161a2)은 바디 베이스(161d)를 기준으로 구분된다.
각각의 제1 부재(161)마다 하나의 바디 베이스(161d)와 다수의 바디(161a)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부재(161)마다 다수의 바디(161a)들은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각 단마다 다수의 바디(161a)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각각의 제1 부재(161)마다 바디(161a)들이 4단으로 적층되고, 각 단마다 3개의 바디(161a)들이 형성되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
각 축류식 스월 튜브(160)의 외관은 각 바디(161a)에 의해 형성된다. 바디(161a)가 가상의 사분면 위에 다단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므로, 축류식 스월 튜브(160) 또한 가상의 사분면 위에 다단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각 단에 배치된 바디(161a)들은 서로 다른 축 방향 길이를 갖는다. 축 방향 길이란 바디의 입구측(161a1) 단부와 출구측(161a2) 단부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어느 일측으로 갈수록 바디(161a)의 축 방향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느 일측이란 하우징(110)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후술하게 될 상승 유로(R)가 형성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바디(161a)의 길이는 축류식 스월 튜브(160)의 분리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바디(161a)의 길이가 길수록 축류식 스월 튜브(160)의 분리 성능이 증가한다. 따라서 바디(161a)의 길이는 길수록 바람직하다.
그러나 하우징(110)의 크기와 모양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바디(161a)의 길이가 무한정 커질 수는 없다. 특히 하우징(110)의 모양이 원통형이기 때문에, 바디(161a)의 축 방향 길이는 하우징(110)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커질 수 있다.
바디(161a)의 길이가 각 단의 중심에 배치된 축류식 스월 튜브(160)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커지면, 하우징(110) 내에 사공간(dead zone)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제한된 크기와 모양 안에서 축류식 스월 튜브(160)의 분리 성능이 극대화 될 수 있다. 여기서 사공간이란 바디(161a)의 축 방향 길이 증가를 통한 축류식 스월 튜브(160)의 분리 성능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공간을 의미한다.
각 바디(161a)의 내측에는 볼텍스 파인더(161b)와 베인(161c)이 형성된다. 볼텍스 파인더(161b)와 베인(161c)은 바디(161a)의 입구측(161a1)에 형성된다. 베인(161c)은 볼텍스 파인더(161b)의 외주면과 바디(161a)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부재(161)를 테두리부(161e)를 포함한다. 테두리부(161e)는 바디(161a)들의 출구측(161a2)을 감싸도록 바디 베이스(161d)의 테두리에서 출구측(161a2)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디 베이스(161d)는 사각 기둥의 어느 한 측면에 해당하고, 테두리부(161e)는 사각 기둥의 어느 두 측면과 상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부재(161)가 제2 부재(162)에 결합되면, 테두리부(161e)는 출구 베이스(162b)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를 실링하도록 출구 베이스(162b)에 밀착된다. 출구 베이스(162b)의 하부는 축류식 스월 튜브(160)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낙하 유로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개방되어야 한다. 그래야 미세먼지가 제2 집진부(142)로 낙하될 수 있다.
반대로 출구 베이스(161b)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는 실링되어야 한다. 만일 나머지 테두리가 실링되지 않으면, 축류식 스월 튜브(160)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먼지가 다시 축류식 스월 튜브(160)의 입구로 유입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제1 부재(161)는 네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네 개의 제1 부재(161)는 서로 동일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하게 될 십(十)자 형상의 상승 유로(R)를 사분면의 좌표축이라고 한다면, 제1 부재(161)는 제1 내지 제4 사분면 위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각 사분면에 하나씩 배치된 제1 부재(161)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분면에 배치되는 제1 부재는 3시 방향, 제2 사분면에 배치되는 제1 부재는 12시 방향, 제3 사분면에 배치되는 제1 부재는 9시 방향, 제4 사분면에 배치되는 제1 부재는 6시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각 제1 부재는 인접한 다른 제1 부재와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바디(161a)는 축류식 스월 튜브(160)의 배치와 배열을 결정한다. 동일한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서로 다른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끼리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예컨대 제1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을 제1 군, 제2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을 제2 군, 제3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을 제3 군, 및 제4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을 제4 군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군에 속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끼리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반대로 서로 다른 군에 속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끼리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제2 부재(162)는 출구 베이스(162b), 공기 배출 구멍(162c), 출구 구획부(162a), 상부 차단부(162d), 측벽(162f) 및 연결벽(162g)을 포함한다.
제2 부재(162)의 중앙에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상승 유로(R)가 형성된다. 상기 상승 유로(R)는 상부 커버(120)에 형성되는 배기 가이드(124) 및 집진장치(100)의 출구(123)로 통한다. 따라서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상승 유로(R), 상기 배기 가이드(124) 및 출구(123)를 통해 집진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상승 유로(R)는 사분면의 좌표축에 해당하는 십(十)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출구 베이스(162b), 측벽(162f) 및 연결벽(162g)은 상기 상승 유로(R)의 외벽을 형성한다. 상승 유로(R)가 십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므로 출구 베이스(162b), 측벽(162f) 및 연결벽(162g)은 십자 기둥의 측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출구 베이스(162b)는 곡면 또는 평면을 갖는다. 출구 베이스(162b)는 바디(161a)의 출구측(161a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161a)의 출구측(161a2)을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부재(162)의 출구 베이스(162b)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군과 동일한 수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네(4) 군에 대응되도록 네 개의 출구 베이스(162b)가 구비되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
각 출구 베이스(162b)는 각 사분면마다 하나씩 배치된다. 제1 군의 출구 베이스는 제1 사분면에 배치되고, 제2 군의 출구 베이스는 제2 사분면에 배치되며, 제3 군의 출구 베이스는 제3 사분면에 배치되고, 제4 군의 출구 베이스는 제4 사분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군 내지 제4 군의 축류식 스월 튜브들을 형성하는 출구 베이스(162b)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열된다.
측벽(162f)은 사분면의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위치에서 출구 베이스(162b)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측벽(162f)은 출구 베이스(162b)에 대응되도록 네 개가 구비되며, 각 사분면마다 하나씩 배치된다.
제1 사분면에 배치되는 측벽은 제4 사분면에 배치되는 출구 베이스를 마주본다. 제2 사분면에 배치되는 측벽은 제1 사분면에 배치되는 출구 베이스를 마주본다. 제3 사분면에 배치되는 측벽은 제2 사분면에 배치되는 출구 베이스를 마주본다. 제4 사분면에 배치되는 측벽은 제3 사분면에 배치되는 출구 베이스를 마주본다.
연결벽(162g)은 서로 마주보는 측벽(162f)의 외곽과 출구 베이스(162b)의 외곽을 서로 연결하도록 사분면의 좌표축을 가로지른다. 두 측벽은 X축을 가로지르고, 나머지 두 측벽은 Y축을 가로지른다. 따라서 측벽(162f), 출구 베이스(162b) 및 연결벽(162g)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측벽(162f), 출구 베이스(162b) 및 연결벽(162g)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공기의 상승 유로(R)가 형성된다.
각 출구 베이스(162b)에는 공기 배출 구멍(162c)들이 형성된다. 공기 배출 구멍(162c)들은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과 동일한 수만큼 형성된다. 또한, 공기 배출 구멍(162c)들은 바디(161a)들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갖는다. 이를테면 공기 배출 구멍(162c)들은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각 단마다 다수의 공기 배출 구멍(162c)들이 형성될 수 있다.
출구 구획부(162a)는 각 공기 배출 구멍(162c)의 둘레로부터 바디(161a)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다. 공기 배출 구멍(162c)은 출구 베이스(162b)에 형성되기 때문에, 출구 구획부(162a)는 출구 베이스(162b)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출구 구획부(162a)들도 공기 배출 구멍(162c)들과 마찬가지로 바디(161a)들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갖는다. 도 5에서는 각 사분면마다 출구 구획부(162a)들이 4단으로 적층되고, 각 단마다 3개의 출구 구획부(162a)가 형성되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
상부 차단부(162d)는 상승 유로(R)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승 유로(R)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차단부(162d)가 원형의 테두리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상부 차단부(162d)는 상승 유로(R)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차단한다.
제2 집진부 탑 커버(163)는 제1 부재(161)와 제2 부재(162)의 하측에 배치된다.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이 제1 부재(161)와 제2 부재(16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므로, 제2 집진부 탑 커버(63)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제2 집진부 탑 커버(163)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제2 집진부 탑 커버(163)가 후술하는 지지 부재(190)에 삽입되면, 제2 집진부 탑 커버(163)는 지지 부재(19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지지 부재(190)와 접촉하게 된다. 제2 집진부 탑 커버(163)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입구측과 제2 집진부(142)를 서로 구획하며, 제2 집진부(142)에 집진된 미세먼지의 비산을 방지한다.
제2 집진부 탑 커버(163)에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미세먼지 출구(O2, 도 7 참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낙하를 위한 구멍(H)이 형성된다.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로 유입된 공기와 미세먼지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내측에서 선회 운동하게 되고, 서로 분리된다. 공기는 공기 출구(O1, 도 7 참조)를 통해 배출되고, 미세먼지는 미세먼지 출구(O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미세먼지 출구(O2)를 통해 배출된 미세먼지는 상기 구멍(H)을 통해 낙하하여 제2 집진부(142)에 집진된다.
미세먼지의 낙하를 위한 구멍(H)은 바디(161a)들의 출구측(161a2) 아래에 형성된다. 미세먼지의 낙하를 위한 구멍(H)은 네 개가 형성된다. 각 구멍(H)들은 서로 다른 사분면에 형성된다.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은 제1 군 내지 제4 군에 대응되는 네 개의 제1 부재(161)와 하나의 제2 부재(16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네 개의 제1 부재(161)가 제2 부재(162)에 결합되면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이 형성된다. 네 개의 제1 부재(161)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제2 부재(162)에 결합된다.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은 지지 부재(19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190)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 중 아래쪽 단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90)는 수용부(191), 경사부(192) 및 집진 가이드(193)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90)의 외주면에는 실링 부재(194)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190)의 각 구성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집진장치(100)를 라인 A-A를 따라 자르고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다.
네 개의 제1 부재(161)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제2 부재(162)에 결합되면, 출구 베이스(162b)로부터 돌출된 각 출구 구획부(162a)의 적어도 일부는 각 바디(161a)의 출구측(161a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이 형성된다.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은 다단으로 적층된다.
제2 부재(162)는 하부 차단부(162e)를 더 포함한다. 하부 차단부(162e)는 출구 베이스(162b), 측벽(162f) 및 연결벽(162g)의 하단에 형성된다. 제2 부재(162)의 출구 베이스(162b), 측벽(162f 및 연결벽(162g)이 다각 기둥의 측면에 해당한다면, 하부 차단부(162e)는 상기 다각 기둥의 밑면에 해당한다. 상기 다각 기둥의 윗면은 상승 유로(R)를 통한 공기의 배출을 위해 개구되어 있다.
하부 차단부(162e)는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제2 집진부(142)에 집진된 미세먼지에까지 미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승 유로(R)와 제2 집진부(142)를 구획한다. 따라서 하부 차단부(162e)는 제2 집진부(142)에 집진된 미세먼지가 공기의 상승 유로(R)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일 하부 차단부(162e)가 없다면,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미세먼지 출구(O2)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먼지는 제2 집진부(142)로 집진되지 못하고 상승 유로(R)를 따라 상승하여 공기와 다시 혼합되어 버린다.
상부 차단부(162d)는 출구 베이스(162b)의 상단, 측벽(162f)의 상단, 및 연결벽(162g)의 상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향해 확장된다. 각 축류식 스월 튜브의 미세먼지 출구(O2)는 공기 출구(O1)의 둘레에 형성되므로, 미세먼지는 공기 출구(O1)의 둘레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후술하게 될 미세먼지 낙하 유로(D1, D2)를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은 출구 베이스(162b), 측벽(162f) 그리고 상부 차단부(162d)에 의해 막혀있다. 따라서 상부 차단부(162d)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미세먼지의 혼합을 방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내측 영역에 메쉬(170)가 배치된다. 메쉬(170)는 사이클론(150)과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외측을 감싼다. 메쉬(170)의 내측 영역에 제1 군 내지 제4 군의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1 군 내지 제4 군의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에 공기의 상승 유로(R)가 형성된다.
상기 메쉬(170)를 지지하기 위해 집진장치(100)는 메쉬 지지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쉬 지지부(112)는 메쉬(170)의 원주에 대응되는 원주를 가지며, 메쉬(170)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메쉬 지지부(112)는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제2 부재(162)의 상부 차단부(162d)는 상승 유로(R)의 둘레에 배치되어 원형의 외곽 테두리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부 차단부(162d)는 메쉬 지지부(112)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차단부(162d)는 상승 유로(R)의 하류측인 배기 가이드(124)와 축류식 스월 튜브(160)의 입구(I, 도 7 참조)를 구획한다. 상부 차단부(162d)는 상승 유로(R)를 통과하여 배기 가이드(124)로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축방향 스월 튜브들(160)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호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차단부(162d)의 상단에는 프리 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프리 필터는 상승 유로(R)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초미세먼지를 여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리 필터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흡입 모터의 상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프리 필터라고 명명된다.
이하에서는 공기와 이물질의 분리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공 청소기(1)의 흡입 모터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와 이물질은 흡입 노즐(20), 연결 유닛(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집진장치(100)의 입구를 통해 집진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집진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선회 운동하게 된다. 공기보다 무거운 먼지의 원심력은 공기의 원심력보다 크다. 따라서 먼지는 하우징(11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 운동하다가 먼지는 낙하하여 제1 집진부(141)에 집진된다.
공기는 메쉬(170)를 통과해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로 유입되고, 가이드 베인(161c)에 의해 바디(161a)의 내측에서 선회 운동하게 된다. 공기보다 무거운 미세먼지의 원심력은 공기의 원심력보다 크다. 따라서 미세먼지는 바디(161a)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 운동하다가 미세먼지 출구(O2)로 배출되고, 미세먼지 낙하 유로(D1, D2, 도 7 참조)를 따라 낙하하여 제2 집진부(142)에 집진된다. 공기는 공기 출구(O1)로 배출되고, 상승 유로(R), 배기 가이드(124) 및 집진장치(100)의 출구(123)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집진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지지 부재(190)는 수용부(191), 경사부(192), 집진 가이드(193)를 포함한다. 수용부(191)는 지지 부재(190)의 가장 윗 부분에 해당하고, 집진 가이드(193)는 지지 부재(190)의 가장 아래 부분에 해당한다. 경사부(192)는 수용부(191)와 집진 가이드(193) 사이에 형성된다. 수용부(191)와 집진 가이드(19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수용부(191)는 집진 가이드(193)에 비해 큰 단면적을 갖는다.
수용부(191)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 중 아래쪽 단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다만,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로 유입되는 공기와 미세먼지의 유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수용부(191)의 내주면은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입구(I)로부터 이격되어야 한다. 제2 집진부 탑 커버(163)는 수용부(191)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경사부(192)는 지지 부재(190)의 아래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먼지는 경사부(192)를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된다.
집진 가이드(193)는 경사부(192)로부터 하부 커버(130)를 향해 돌출되며, 집진부 바운더리(183)의 내측에 삽입된다. 따라서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먼지는 집진 가이드(193)에 의해 제2 집진부(142)로 가이드 된다.
이너 하우징(inner housing)(180)의 상단에는 메쉬(170)가 거치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180)은 지지 부재(19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너 하우징(180)의 상부에는 앞서 설명된 스커트(181)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너 하우징(180)의 하부에는 집진부 바운더리(183)가 형성된다. 집진부 바운더리(183)는 하부 커버(130)에 밀착되어 집진부(140)를 제1 집진부(141)와 제2 집진부(142)로 구획한다. 스커트(181)와 집진부 바운더리(183) 사이에는 지지 부재(190)의 안착을 위한 안착부(184)가 형성된다. 안착부(184)는 지지 부재(190)의 경사부(192)와 마찬가지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180)의 내주면과 지지 부재(190)의 외주면 사이에는 환형의 실링 부재(194)가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194)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부재(190)가 이너 하우징(180)에 삽입되면, 실링 부재(194)는 이너 하우징(180)과 지지 부재(190) 사이를 실링한다. 이에 따라 제2 집진부(142)에 집진된 미세먼지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집진장치(100)를 라인 B-B를 따라 자르고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도다.
각 군의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메쉬(170), 출구 베이스(162b) 및 측벽(162f)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메쉬(170), 출구 베이스(162b) 및 측벽(162f)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이란 곧 가상의 제1 내지 제4 사분면을 의미한다.
제1 군(1601)의 축류식 사이클론들은 제1 사분면, 제2 군(1602)의 축류식 사이클론들은 제2 사분면, 제3 군(1603)의 축류식 사이클론들은 제3 사분면, 제4 군(1604)의 축류식 사이클론들은 제4 사분면에 배치된다.
각 군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의 축 방향 길이는 측벽(162f)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길어진다. 도 7을 참조하면 측벽에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의 축 방향 길이가 L3이고, 측벽(162f)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의 축 방향 길이가 L1이다. 그리고 중간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의 축 방향 길이는 L2다. 도 7에서 L1>L2>L3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공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앞서 설명하였다.
동일한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끼리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이것은 곧 같은 군에 속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끼리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서로 다른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끼리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이것은 곧 서로 다른 군에 속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끼리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은 다단으로 적층된다. 그리고 각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출구는 상승 유로(R)를 향하도록 배열된다.
바디(161a)의 출구측(161a2) 단부와 출구 베이스(162b)는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제2 집진부(142)로 통하는 미세먼지 낙하 유로(D1, D2)를 형성한다.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각 단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미세먼지 낙하 유로(D1, D2)는 제2 집진부(142)를 향해 아래로 연장된다.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바디(161a)의 출구측(161a2) 단부끼리는 서로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그리고 서로 접촉하는 두 바디(161a)의 각 출구측(161a2) 단부와 출구 베이스(162b)는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미세먼지 낙하 유로(D1, D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공기 출구(O1)와 미세먼지 낙하 유로(D1, D2)는 출구 베이스(162b)를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수가 증대될수록 그리고 길이가 길어질수록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가급적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수가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길이는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한된 공간 내에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수와 길이를 무한정 늘릴 수는 없기 때문에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효율적인 배열을 통해 그 수와 길이를 최대화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이 다단으로 적층되면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수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각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의 축 방향 길이가 일정하지 않고 각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출구로부터 상기 하우징(110)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길어지면,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 전체의 평균 길이도 더욱 길어질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유동 손실(압손)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공기의 유동 방향 변화를 최소화해야 한다. 공기의 압손은 집진장치(100)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류식 스월 튜브들(160)이 메쉬(170)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고, 각 축류식 스월 튜브의 입구가 메쉬(170)를 마주보게 되면, 사이클론(150)과 메쉬(170)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 방향의 변화 없이 그대로 축류식 스월 튜브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축류식 스월 튜브는 사이클론(150)과 다르게 입구와 출구가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축류식 스월 튜브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유동 방향의 변화 없이 그대로 출구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축류식 스월 튜브의 구조와 배치를 통해 공기의 압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집진장치와 청소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집진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선회류를 일으키는 사이클론;
    상기 사이클론을 통과한 공기와 미세먼지를 공급받으며,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분리하도록 선회류를 일으키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 및
    상기 사이클론과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외측을 감싸는 메쉬를 포함하고,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네 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가상의 사분면 위에 다단으로 적층되고, 동일한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끼리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서로 다른 사분면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들끼리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는,
    상기 메쉬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공기와 미세먼지를 공급받는 입구; 및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해 개구된 공기 출구와 미세먼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는 상기 공기 출구와 상기 미세먼지 출구의 반대 방향을 향해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출구는 상기 공기 출구의 둘레에 환형(ring shape)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는,
    원통형의 바디;
    상기 바디의 입구측에 배치되고, 원통형의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바디의 출구측을 향해 돌출되는 콘(cone) 형상의 제2 부분을 구비하는 볼텍스 파인더(vortex finder);
    상기 제1 부분의 외주면과 상기 바디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며, 나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인; 및
    상기 바디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출구와 상기 공기 출구의 둘레에 형성되는 상기 미세먼지 출구를 구획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출구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는 각 축류식 스월 튜브의 상기 바디, 상기 볼텍스 파인더 및 상기 베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부재는 각 축류식 스월 튜브의 상기 출구 구획부를 형성하고,
    상기 출구 구획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디의 출구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곡면 또는 평면의 바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 베이스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부재는 곡면 또는 평면을 갖는 출구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구 베이스에는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에 대응되는 수의 공기 배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출구 구획부는 상기 공기 배출 구멍의 둘레로부터 상기 바디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 베이스를 기준으로 입구측과 출구측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바디의 출구측을 감싸도록 상기 바디 베이스에서 상기 출구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에 결합되면,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출구 베이스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를 실링하도록 상기 출구 베이스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중앙에는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상승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상승 유로는 상기 사분면의 좌표축에 해당하는 십(十)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집진장치의 출구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상기 사분면 중 제1 사분면에 배치되는 제 1군;
    상기 사분면 중 제2 사분면에 배치되는 제 2군;
    상기 사분면 중 제3 사분면에 배치되는 제 3군; 및
    상기 사분면 중 제4 사분면에 배치되는 제 4군을 포함하고,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각각 상기 제1 군 내지 제4 군에 대응되는 네 개의 상기 제1 부재와 하나의 상기 제2 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군 내지 제4 군의 출구 베이스들은 서로 다른 사분면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제1 부재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상기 제2 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영역에 상기 메쉬가 배치되고,
    상기 메쉬의 내측 영역에 상기 제1 군 내지 제4 군의 축류식 스월 튜브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1 군 내지 제4 군의 축류식 스월 튜브들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에 상기 상승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상기 사분면의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군 내지 제4 군의 출구 베이스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네 개의 측벽; 및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벽의 외곽과 상기 출구 베이스의 외곽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사분면의 좌표축을 가로지르는 네 개의 연결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출구 베이스, 상기 네 개의 측벽, 상기 네 개의 연결벽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십자 형상의 상기 상승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각 군의 축류식 스월 튜브들은 상기 메쉬, 상기 출구 베이스 및 상기 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각 군에 배치되는 축류식 스월 튜브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측벽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클론에서 낙하하는 먼지를 집진하도록 형성되는 제1 집진부; 및
    상기 제1 집진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에서 낙하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도록 형성되는 제2 집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집진부에 집진된 미세먼지가 상기 상승 유로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집진부와 상기 상승 유로를 구획하는 하부 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차단부는 상기 출구 베이스, 상기 측벽 및 상기 연결벽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메쉬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메쉬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출구 베이스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 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차단부는 상기 메쉬 지지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원형의 외곽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상승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입구와 상기 상승 유로의 하류측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클론에서 낙하하는 먼지를 집진하도록 형성되는 제1 집진부;
    상기 제1 집진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에서 낙하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도록 형성되는 제2 집진부; 및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집진부에 집진된 미세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의 입구측과 상기 제2 집진부를 구획하는 제2 집진부 탑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집진부 탑 커버에는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낙하를 위한 네 개의 구멍들이 형성되며, 상기 네 개의 구멍들은 서로 다른 사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클론에서 낙하하는 먼지를 집진하도록 형성되는 제1 집진부; 및
    상기 제1 집진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축류식 스월 튜브들에서 낙하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도록 형성되는 제2 집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출구측 단부와 상기 출구 베이스는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제2 집진부로 통하는 미세먼지 낙하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출구와 상기 미세먼지 낙하 유로는 상기 출구 베이스를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각 축류식 스월 튜브의 축방향 길이는 각 축류식 스월 튜브의 출구로부터 상기 하우징까지의 거리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KR1020170122603A 2017-09-22 2017-09-22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KR10202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603A KR102023396B1 (ko) 2017-09-22 2017-09-22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PCT/KR2017/011381 WO2019059446A1 (ko) 2017-09-22 2017-10-16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EP17925755.5A EP3685724B1 (en) 2017-09-22 2017-10-16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same
US15/941,181 US10799887B2 (en) 2017-09-22 2018-03-30 Dust collecto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603A KR102023396B1 (ko) 2017-09-22 2017-09-22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893A true KR20190033893A (ko) 2019-04-01
KR102023396B1 KR102023396B1 (ko) 2019-09-20

Family

ID=6580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603A KR102023396B1 (ko) 2017-09-22 2017-09-22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99887B2 (ko)
EP (1) EP3685724B1 (ko)
KR (1) KR102023396B1 (ko)
WO (1) WO2019059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77227A1 (en) * 2018-03-07 2019-09-12 Kros-Wise, Inc. Air filtration device
IT201800003381A1 (it) * 2018-03-08 2019-09-08 Hsd Holding Smart Device S R L Un assieme di ventilazione
CN114557630B (zh) * 2018-10-22 2023-12-29 奥马克罗知识产权有限公司 空气处理装置
JP6818808B2 (ja) * 2019-05-17 2021-01-2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集塵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621B1 (ko) * 2005-09-16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KR20100093446A (ko) * 2009-02-16 2010-08-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150109045A (ko) * 2014-03-19 2015-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3175A (en) * 1949-02-01 1951-05-15 Beaumont Birch Company Apparatus for collecting ash and dust
US3074218A (en) * 1961-02-16 1963-01-22 American Air Filter Co Gas cleaner
NL294380A (ko) * 1962-06-28
NL6704815A (ko) * 1966-04-08 1967-10-09
US3386588A (en) * 1966-10-14 1968-06-04 Sundstrand Corp Coolant filter
US3425192A (en) * 1966-12-12 1969-02-04 Mitchell Co John E Vacuum cleaning system
BE756804A (fr) * 1969-09-29 1971-03-01 Wikdahl Nils Anders Lennart Groupement de separateur a cyclone
US3915679A (en) * 1973-04-16 1975-10-28 Pall Corp Vortex air cleaner array
FI65920C (fi) * 1983-01-21 1984-08-10 Nobar K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separering av ett medium i olika komponenter
US4537608A (en) * 1983-11-16 1985-08-27 Pall Corporation System for removing contaminant particles from a gas
JPH0744913B2 (ja) * 1989-10-30 1995-05-17 小松ゼノア株式会社 遠心分離装置
ZA931264B (en) * 1992-02-27 1993-09-17 Atomic Energy South Africa Filtration.
US5681450A (en) * 1995-06-07 1997-10-28 Chitnis; Girish K. Reduced chaos cyclone separation
DE10142701A1 (de) * 2001-08-31 2003-04-03 Mann & Hummel Filter Vielzellenzyklo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7770256B1 (en) 2004-04-30 2010-08-10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multiple cyclonic dirt separators and bottom discharge dirt cup
KR100622550B1 (ko) * 2005-03-29 2006-09-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사이클론집진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GB2426726B (en) * 2005-05-27 2008-11-05 Dyson Technology Ltd Cyclonic separating apparatus
DE102005031059A1 (de) * 2005-07-02 2007-01-04 Mahle International Gmbh Als Vorfilter dienender Gaseintrittsbereich eines Gasfiltergehäuses
KR100623916B1 (ko) 2005-07-12 2006-09-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먼지 분리장치
WO2007008772A2 (en) * 2005-07-12 2007-01-18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dirt separation and vortex stabilizer
CN100376191C (zh) * 2005-10-09 2008-03-26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吸尘器的旋风分离装置
GB2436281B (en) * 2006-03-24 2011-07-20 Hoover Ltd Cyclonic vacuum cleaner
KR20070101056A (ko) * 2006-04-10 2007-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및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ATE491383T1 (de) * 2006-10-31 2011-01-15 Lg Electronics Inc Staubsauger
KR100776402B1 (ko) * 2007-02-05 2007-11-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필터조립체를 구비한 멀티 사이클론 분리장치
KR100776403B1 (ko) * 2007-02-14 2007-11-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879123B2 (en) * 2007-09-27 2011-02-01 Pall Corporation Inertial separator
GB2453949B (en) * 2007-10-23 2012-03-28 Hoover Ltd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EP2247362B1 (de) * 2008-02-26 2014-04-23 Mann + Hummel GmbH Luftfilter mit vorabscheider
KR101524791B1 (ko) * 2008-11-07 2015-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US8262761B2 (en) * 2009-04-21 2012-09-11 Mann + Hummel Gmbh Modular cyclone precleaner system and method
DE102010014278A1 (de) * 2010-04-08 2011-10-13 Mann + Hummel Gmbh Zyklonabscheider
KR20120052692A (ko) * 2010-11-16 201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EP2581013B1 (en) * 2011-10-12 2016-11-23 Black & Decker Inc. Hand-holdable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GB2503252B (en) 2012-06-20 2014-12-17 Dyson Technology Ltd A self righting cleaning appliance
DE102012020134A1 (de) * 2012-10-15 2014-04-17 Mann + Hummel Gmbh Zyklonabscheider
KR101622726B1 (ko) * 2014-09-30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
KR102319174B1 (ko) * 2015-01-19 2021-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집진장치
US9885196B2 (en) * 2015-01-26 2018-02-06 Hayward Industries, Inc. Pool cleaner power coupl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621B1 (ko) * 2005-09-16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KR20100093446A (ko) * 2009-02-16 2010-08-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150109045A (ko) * 2014-03-19 2015-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446A1 (ko) 2019-03-28
US10799887B2 (en) 2020-10-13
KR102023396B1 (ko) 2019-09-20
US20190091702A1 (en) 2019-03-28
EP3685724A1 (en) 2020-07-29
EP3685724A4 (en) 2021-06-23
EP3685724B1 (en)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5725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same
US7309368B2 (en)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KR102021860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US10799887B2 (en) Dust collecto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JP2006320713A (ja) マルチサイクロン集塵装置
AU2018254196B2 (en) Suction cleaner
CN102319043A (zh) 旋风分离装置及装有该装置的旋风吸尘器
US11147423B2 (en) Dust collecto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5180319A1 (zh) 旋风分离装置、吸尘器、表面清洁装置和旋风分离方法
KR100606795B1 (ko)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617093B1 (ko)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556443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617131B1 (ko) 청소기의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