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176A -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 - Google Patents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176A
KR20190033176A KR1020170121634A KR20170121634A KR20190033176A KR 20190033176 A KR20190033176 A KR 20190033176A KR 1020170121634 A KR1020170121634 A KR 1020170121634A KR 20170121634 A KR20170121634 A KR 20170121634A KR 20190033176 A KR20190033176 A KR 20190033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electricity
heat collecting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준
장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리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리코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리코엠
Priority to KR1020170121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3176A/ko
Publication of KR20190033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30Thermophotovoltaic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본체의 내부를 분할벽에 의해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화장실본체의 내부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를 설치하여 변기에서 사용된 오수를 정화하여 변기의 세척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화장실본체의 내부에서 화장실바닥의 하측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의 저류조부를 설치하고, 화장실본체에서 지붕의 상측에는 집열된 태양열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는 태양열전기생산장치의 태양열집열장치를 설치하여서 된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이다.
본 발명은, 화장실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에 의해 세면대 및 변기에서 사용된 오수를 정화하여 변기의 세척수로 재활용하여 정수의 사용을 최대한 억제(절약)할 수 있고, 화장실본체의 내부에서 화장실바닥의 하측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의 저류조부를 설치하여 절수형 양변기의 적용이 가능하고 화장실본체의 전체적인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화장실본체에서 지붕의 상측에 설치되는 태양열집열장치에 의해 태양열을 집열하고 태양열전기생산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전기의 사용을 억제(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 A Movable Type Bathroom }
본 발명은 화장실에서 사용된 물(오수)을 정화하여 변기의 화장실물로 사용하고, 태양열을 이용한 전기를 태양광 전기시스템을 사용하도록 된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화장실본체의 내부를 분할벽에 의해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화장실본체의 내부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를 설치하여 변기에서 사용된 오수를 정화하여 변기의 세척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화장실본체의 내부에서 화장실바닥의 하측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의 저류조부를 설치하여 절수형 양변기의 적용이 가능하고, 화장실본체의 전체적인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화장실본체에서 지붕의 상측에는 집열된 태양열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는 태양열전기생산장치의 태양열집열장치를 설치하여 태양열전기를 생산하여 사용하도록 된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야외에 설치되는 이동식 화장실로서는 국내의 등록특허 제10-0514522호와 등록특허 제10-0649122호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등록특허 제10-0514522호와 등록특허 제10-0649122호의 이동식화장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이동식화장실(1)은 각종 설비(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가 설치되는 하단받침대(3)의 상측에는 화장실본체(2)가 설치되고, 상기 화장실본체(2)의 상측에는 지붕(6)이 덮어 씌워져 있다.
화장실본체(2)는 창문(12)(22)이 구비된 실내가 분할벽(2-1)에 의해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로 분할되어 각각의 출입문(11)(21)에 의해 외부에서 출입할 수 있다.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에는 방열기(17)(27)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칸막이벽체에 의해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각 개별화장실(15)(25)에는 양변기(16)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개별화장실은 출입문(15-1)(25-1)에 의해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남자화장실(10)에는 소변기(1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야외에 설치되는 이동식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분뇨 및 오수는 많은 비용을 들여 하수시설 및 급수시설을 설치하여 화장실을 운용하거나, 오수탱크 및 급수탱크를 설치하여 정기적으로 진공수거차량을 이용 오수탱크내의 오수를 수거하거나, 또는 자연 발효식 화장실 혹은 정화장치를 설치하여 일부의 오수를 방류하는 실정으로 운영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상/하수 시설에 따른 많은 비용 발생하고, 불안전한 정화 방출로 환경오염원인 제공하며, 정기적 수거에 따른 관리 비용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비위생적 상태에 따른 악취 및 해충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상/하수 시설이 어려운 지역, 자연통풍이 잘 안 되는 지역, 주변하천 오염의 엄격한 관리지역, 자연보호를 위해 토목공사 제한 지역 등에서 기존 화장실 운용하면서 더욱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는 실정이다.
또, 일부 무급수, 무방류 화장실이 설치되고 있으나, 공법 및 시스템상 초기에는 안정적으로 가동되고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여재의 재처리문제가 발생하고, 휠터방식에서의 막힘 등으로 인하여 효율성이 현격히 저하되기도 하며, 특히 주로 야외에 설치되는 화장실에 설치되는 수세식변기로부터 배출되는 오폐수는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물질인 질소와 인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악취가 극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에 포함된 질소와 인은 미생물의 활동 및 증식을 위한 단백질과 핵산합성의 필수 영양소로 작용하게 되고, 잔류분은 제거되거나 방류되며, 이와같이 잔류분의 질소와 인이 자연에 방류되어 수질 및 대지를 오염시키는 주범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야외에 설치되는 종래의 이동식 화장실은 세척수 또는 변기세척수로서 정수만을 사용하고 사용된 오수를 활용하지 못하고 버렸으므로 정수를 낭비하였고, 정수의 사용에 다른 비용도 많이 소요되었다.
뿐만 아니라, 전기는 일반적으로 상용전기를 사용하였으므로 상용전기의 낭비도 심하고 전기세도 많이 납부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오폐수처리 방식은 오수에 포함된 질소와 인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생물학적 정화처리공정 또는 화학적 정화처리공정을 실시하게 되지만,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정화하는 방법은 대체로 생물학적 정화처리공정을 채택하고 있다.
종래의 오폐수정화처리장치(또는 방법)로서는 국내의 , 등록특허 제10-0912603호(이동식 무방류 분뇨 및 오수 고도처리장치), 등록특허 제10-1049579호(화장실 자체 정화 및 살균 시스템)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에서 등록특허 제10-0912603호(이동식 무방류 분뇨 및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오 폐수를 조목 스크린, 고액분리기, 침전/여과저류조, 제1 호기반응조, 제2 호기반응조, 제1 고도처리조, 제1 유량조정조, 제1 우드칩 미생물반응조, 제2 고도처리조, 제2 유량조정조, 제2 우드칩 미생물반응조, 탈색여과조, 처리수 저장조 등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 등의 유기성 고형물 및 유기부유물질과 부영양화의 원인 물질인 질소와 인, 색도 및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하고, 또한 오·폐수처리 시스템에 고액분리기를 설치하여 음식물찌꺼기 및 오수 슬러지, 축산폐수 슬러지 등의 유기성 고형물을 처리하면서 고액분리기에서 발생된 배출수를 오·폐수처리시스템으로 처리함으로써 실용성, 안정성이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912603호(이동식 무방류 분뇨 및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오수가 제1 호기반응조, 제2 호기반응조, 제1 고도처리조, 제2 고도처리조, 유량조정조, 우드칩 미생물반응조, 탈색여과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처리수 저장조에 저장되도록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049579호(화장실 자체 정화 및 살균 시스템)은, 변기로부터 배출되어 유입되는 분뇨 및 오수를 침전시키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이송되는 오수를 기폭장치 및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분해시키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로부터 이송되는 오수를 탈색 및 탈취하는 탈색탈취조와, 상기 탈색탈취조로부터 이송되는 처리수를 내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처리수를 변기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변기로 순환시키는 처리수저장조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수저장조의 내부에 저장되는 처리수를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처리수저장조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외선램프와, 상기 처리수저장부의 내부에 저장되는 처리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와, 상기 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램프의 점등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살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처리시스템들은 저류조부가 화장실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화장실본체의 공간 즉,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의 내부 공간이 협소해져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화장실본체의 내부를 분할벽에 의해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화장실본체의 내부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를 설치하여 변기에서 사용된 오수를 정화하여 변기의 세척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화장실본체의 내부에서 화장실바닥의 하측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의 저류조부를 설치하고, 화장실본체에서 지붕의 상측에는 집열된 태양열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는 태양열전기생산장치의 태양열집열장치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실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에 의해 변기에서 사용된 오수를 정화하여 변기의 세척수로 재활용하여 정수의 사용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화장실본체의 내부에서 화장실바닥의 하측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의 저류조부를 설치하여 절수형 양변기의 적용이 가능하고, 화장실본체의 전체적인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화장실본체에서 지붕의 상측에 설치되는 태양열집열장치에 의해 태양열을 집열하고, 태양열전기생산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전기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은, 화장실본체의 내부를 분할벽에 의해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화장실본체의 내부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를 설치하여 변기에서 사용된 오수를 정화하여 변기의 세척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본체의 내부에서 화장실바닥의 하측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의 저류조부를 설치한 것과;
상기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의 내부에서 후측부에는 외부에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문이 각각 구비된 설비설치실을 각각 설치하여 물과 전기 절약형 이동식 화장실 및 변기세정수처리시스템의 운용에 필요한 각종 장비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화장실본체에서 지붕의 상측에는 집열된 태양열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는 태양열전기생산장치의 태양열집열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전기불요형 이동식화장실(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은, 화장실본체의 내부를 분할벽에 의해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화장실본체의 내부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를 설치하여 변기에서 사용된 오수를 정화하여 변기의 세척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화장실본체의 내부에서 화장실바닥의 하측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의 저류조부를 설치하고, 화장실본체에서 지붕의 상측에는 집열된 태양열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는 태양열전기생산장치의 태양열집열장치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실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에 의해 변기에서 사용된 오수를 정화하여 변기의 세척수로 재활용하여 정수의 사용을 최대한 억제(절약)할 수 있고, 화장실본체의 내부에서 화장실바닥의 하측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의 저류조부를 설치하여 절수형 양변기의 적용이 가능하고, 화장실본체의 전체적인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화장실본체에서 지붕의 상측에 설치되는 태양열집열장치에 의해 태양열을 집열하고, 태양열전기생산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전기의 사용을 억제(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 화장실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 화장실을 보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을 보인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을 보인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요형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의 배치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 화장실에 설치되는 변기세정수정화시스템계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 화장실에 설치되는 태양광 전기시스템의 설비설치실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 화장실에 설치되는 태양열집열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을 보인 배면도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의 배치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에 설치되는 변기세정수정화시스템계통도(30)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에 설치되는 태양광 전기시스템의 설비설치실(29)의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에 설치되는 태양열집열장치(40)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은, 각종 설비(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가 설치되는 하단받침대(3)의 상측에는 화장실본체(2)를 설치하였고, 상기 화장실본체(2)의 상측에는 지붕(6)을 덮어 씌워 주었다.
상기 화장실본체(2)는 창문(12)(22)이 구비된 실내를 분할벽(2-1)에 의해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로 분할하여 각각의 출입문(11)(21)에 의해 외부에서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지붕(6)에서 화장실본체(2)의 후면에는 길이가 긴 복수의 배수연통(7)을 배출구가 지상에 근접하도록 설치하여 지붕(6)으로 내리는 비 또는 눈이 녹은 물이 배수연통(7)을 통하여 지상으로 흘러 배출되도록 하였다.
또, 상기 지붕(6)의 모서리에는 걸이링(6-1)을 각각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을 크레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과 같은 이동장비를 이용하여 들어 이동시킬 때에 걸이링(6-1)에 와이어로프(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장착된 걸고리를 걸어 용이하게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에는 방열기(17)(27)를 기본적으로 설치하였고, 칸막이벽체에 의해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각 개별화장실(15)(25)에는 양변기(16)를 각각 설치하였으며, 각 개별화장실(15)(25)은 출입문(15-1)(25-1)에 의해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남자화장실(10)에는 소변기(18)를 별도로 설치하였다.
상기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의 내부에서 후측부에는 외부에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문(19-1)(29-1)이 각각 구비된 설비설치실(19)(29)을 각각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1)의 운용에 필요한 각종 장비와 장치 및 차후에 설명되는 변기세정수정화시스템(30)를 운용하는데 필요한 각종 장비와 장치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의 내부에서 후측부에 설치되는 설비설치실(19)(29)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으로 이격시켜 설치하거나, 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의 내부 후측부에서 중앙에 인접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설비설치실(19)(29)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물과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은 화장실바닥면(4)의 하측에는 변기세정수정화시스템(30)를 설치하여 양변기(16)(26) 및 소변기(18)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정화하여 양변기(16)(26) 및 소변기(18)의 세척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특히 오수탱크의 저류조(5)를 설치하여 절수형 양변기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 화장실본체(2)의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은 상기 화장실바닥면(4)의 하측에 설치(설비)되는 변기세정수정화시스템(30)를 보인 계통도이다.
상기 변기세정수정화시스템(30)는 양변기(16)(26) 및 소변기(18)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집수는 혐기소화저류조(31)에 집수되어 유량조정저류조(32) → 호기생물반응조(33) → 유기물소멸반응조(34) → 고도처리조(35) → 바이오반응조(36) → 탈색소독여과조(37)의 과정을 거친 후에 처리수저장조(38)에 저장되고 세정수재공급관(39)을 통하여 양변기(16)(26) 및 소변기(18)의 세척수로 공급되어 사용된다.
상기에서 혐기소화저류조(31)는 미생물에 의한 혐기성 소화작용을 통해 유기성 부유물질의 균질화 및 부하를 저감시키고, NH3 등의 악취 발생요인을 감소 및 제거시킨다.
유량조정저류조(32)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고형물질을 분리하고, 유입량 대비 일정량의 호기생물을 반응조로 이송시킨다.
호기생물반응조(33)는 바이오우드칩에 의한 활착에 의해 미생물, 오수, 공기(산소) 접촉 폭기를 통해 유기물을 분해한다.
유기물소멸반응조(34) 및 바이오반응조(36)는 미생물이 배양되고 활착된 바이오우드칩을 이용한 살수여상 - 부유유기물 침착 - 분해하여 소멸시킨다.
고도처리조(35)는 NPR-ball, 고도처리용 media 리엑터, 오수, 공기(산소)와의 접촉 폭기를 통한 잔류유기물질, 질소, 인, 색도, 유해균 등을 제거 처리하게 된다.
탈색소독여과조(37)는 입상활성탄, NPR-ball 등의 media를 이용하여 흡착여과하여 잔류유기물질, 색도, 유해균 등을 제거 처리한다.
처리수저장조(38)는 정화된 최종 처리수를 저장하며, 정화된 처리수는 세정수재공급관(39)을 통해 양변기(16)(26) 및 소변기(18)의 세척수로 공급(순환)시켜 재 사용한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실본체(2)에서 지붕(6)의 상측에는 집열된 태양열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시켜 주기 위한 태양열전기생산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태양열집열장치(40)를 설치하였다.
도 4는 지붕(6)의 상측에 설치되는 태양열집열장치(40)를 보인 예시도로서 다음과 같이 형성(구성)하였다.
받침대(41)의 상측에는 집열판설치대(42)를 구비하되 집열판설치대(42)의 선단에 형성된 선단축편(43)을 축봉(44)에 의해 받침대(41)의 선단부에 굴대 설치하였고, 집열판설치대(42)의 후단에는 축공(49-1)이 등간격으로 뚫어진 경사각도지지튜브(45)의 상단을 축봉(46)으로 굴대 설치하고 받침대(41)의 후단에는 축공(49-2)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경사각도지지암(47)의 하단을 후단축봉(48)으로 굴대 설치하되, 일치되는 경사각도지지튜브(45)와 경사각도지지암(47)의 축공(49-1)(49-2)에는 축핀(49-3)을 삽입하였다.
특히 상기 경사각도지지튜브(45)는 단면으로 보아 일면(전면 또는 배면)이 터진 "ㄷ"형으로 형성하여 경사각도지지암(47)을 경사각도지지튜브(45)의 내부에 히든시켜 결합하고,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받침대(41)와 집열판설치대(42)와의 사이에서 중간에는 집열판설치대(42)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태양열집열판경사조절장치(50)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집열판설치대(42)의 상면에는 태양열집열판(60)을 설치하였다.
상기 받침대(41)와 집열판설치대(42)와의 사이에서 중간에 설치되어 집열판설치대(42)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태양열집열판경사조절장치(50)는 다음과 같이 형성(구성)하였다.
집열판설치대(42)의 밑면 중앙에는 상단축블록(51)의 고정하였고, 받침대(41)의 상면 중앙에는 하단축블록(52)을 고정시켰으며, 상기 상단축블록(51)과 하단축블록(52)에는 한쌍 씩의 높낮이조절암(53-1)(53-2)의 상단과 하단을 상단축(54-1)과 하단축(54-2)으로 굴대 설치하였다.
상기 높낮이조절암(53-1)과 높낮이조절암(53-2)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높낮이조절암(53-1)의 하단과 높낮이조절암(53-2)의 상단은 전방지지블록(57)에 전방중간축(55)으로 굴대 설치하고 후방에 위치하는 높낮이조절암(53-1)의 하단과 높낮이조절암(53-2)의 상단은 후방너트블록(58)에 후방중간축(56)으로 굴대 설치하였으며, 이격되어 있는 전방지지블록(57)과 후방너트블록(58)은 후단에 핸들(59-1)이 구비된 높낮이조절스크류(59)에 이격시켜 나사 결합하였다.
아울러,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에 설치되는 태양광 전기시스템의 설비설치실(29)의 예시도로서, 상기 태양광 전기시스템의 설비설치실(29)의 일측에는 태양열집열장치(40)에서 공급받은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버터 및 콘트롤러(29-2)와 다수의 밧데리(29-3)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상기 지붕(6)에서 화장실본체(2)의 후면에는 길이가 긴 복수의 배수연통(7)을 배출구가 지상에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붕(6)으로 내리는 비 또는 눈이 녹은 물은 배수연통(7)을 통하여 지상으로 흘러 배출되므로 지붕(6)을 부식시키거나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을 크레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과 같은 이동장비를 이용하여 들어 이동시킬 때에 상기 지붕(6)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걸이링(6-1)에 와이어로프(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장착된 걸고리를 걸어 용이하게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의 내부에서 후측부에 설치된 설비설치실(19)(29)은 출입문(19-1)(29-1)을 통하여 외부에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고, 상기 설비설치실(19)(29)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물과 전기 절약형 이동식 화장실(1)과 변기세정수정화시스템(30)의 운용에 필요한 각종 장비와 장치를 정리 정돈하여 설치할 수 있고, 각종 장비와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에서 양변기(16)(26) 및 소변기(18)를 사용한 후에 물을 사용하게 되면 오수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에서 양변기(16)(26)와 소변기(18) 및 세면기(17)(27)의 사용에 관한 설명은 종래의 이동식화장실에서 남자화장실 및 여자화장실의 사용방법과 동일하므로 사용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남자화장실(10)과 여자화장실(20)에서 양변기(16)(26) 및 소변기(18)를 사용하여 물을 사용하여 발생되는 오수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저류조부(5)에 설치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변기세정수정화시스템(30)의 협기소화저류조(31)로 유입(집수)되어 유량조정저류조(32) → 호기생물반응조(33) → 유기물소멸반응조(34) → 고도처리조(35) → 바이오반응조(36) → 탈색소독여과조(37)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에 깨끗하게 세정된 후에 처리수저장조(38)에 저장되고 세정수재공급관(39)을 통하여 양변기(16)(26) 및 소변기(18)의 세척수로 공급되어 재 사용된다.
상기의 혐기소화저류조(31)는 미생물에 의한 혐기성 소화작용을 통해 유기성 부유물질의 균질화 및 부하를 저감시키고, NH3 등의 악취 발생요인을 감소 및 제거하여 준다.
유량조정저류조(32)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고형물질을 분리하고, 유입량 대비 일정량의 호기생물을 반응조로 이송시켜 준다.
호기생물반응조(33)는 바이오우드칩에 의한 활착에 의해 미생물, 오수, 공기(산소) 접촉 폭기를 통해 유기물을 분해시킨다.
유기물소멸반응조(34) 및 바이오반응조(36)는 미생물이 배양되고 활착된 바이오우드칩을 이용한 살수여상 - 부유유기물 침착 - 분해하여 소멸시켜 준다.
고도처리조(35)는 NPR-ball, 고도처리용 media 리엑터, 오수, 공기(산소)와의 접촉 폭기를 통한 잔류유기물질, 질소, 인, 색도, 유해균 등을 제거 처리하여 준다.
탈색소독여과조(37)는 입상활성탄, NPR-ball 등의 media를 이용하여 흡착여과하여 잔류유기물질, 색도, 유해균 등을 제거 처리하여 준다.
처리수저장조(38)는 정화된 최종 처리수(정화수)를 저장한다.
처리수저장조(38)에 정장된 정화된 처리수는 세정수재공급관(39)을 통해 양변기(16)(26) 및 소변기(18)의 세척수로 공급(순환)하여 재 사용하게 된다.
상기 협기소화저류조(31)로 유입(집수)되어 유량조정저류조(32) → 호기생물반응조(33) → 유기물소멸반응조(34) → 고도처리조(35) → 바이오반응조(36) → 탈색소독여과조(37)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에 깨끗하게 세정된 후에 처리수저장조(38)에 저장되는 공정은 기히 공지된 기술사상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은 지붕(6)의 상측에 설치된 태양열집열장치(40)에 의해 태양열을 집열하고, 집열된 태양열을 이용하는 태양열전기생산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에 충전시킨 후에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집열된 태양열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시켜 주기 위한 태양열전기생산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술사상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붕(6)의 상측에 설치되어 태양열을 집열하는 태양열집열장치(40)는 다음과 같이 작동시켜 집열판설치대(42)와 함께 태양열집열판(6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태양열을 집열하는데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경사각도지지튜브(45)와 경사각도지지암(47)의 일치된 축공(49-1)(49-2)에 삽입(결합)된 축핀(49-3)을 인출하여 경사각도지지튜브(45)와 경사각도지지암(47)의 결합상태를 분리하고, 핸들(59-1)에 의해 높낮이조절스크류(59)를 정방향 또는 회전시키게 되면 후방너트블록(58)이 높낮이조절스크류(59)를 따라 전후(또는 좌우)로 이동하면서 전방지지블록(57)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면서 높낮이조절암(53-1)(53-2)을 세워주거나 전개시켜 주게 되며, 따라서 집열판설치대(42)와 함께 태양열집열판(60)은 선단축봉(44)을 기준으로 하여 각도(∠Ø)가 커지거나 작아지게 도며, 결국 집열판설치대(42)와 함께 태양열집열판(60)의 각도(∠Ø)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을 크레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과 같은 이동장비를 이용하여 이동시에는 경사각도지지튜브(45)와 경사각도지지암(47)의 일치된 축공(49-1)(49-2)에 삽입(결합)된 축핀(49-3)을 인출하여 경사각도지지튜브(45)와 경사각도지지암(47)의 결합상태를 분리하고,
상기 경사각도지지튜브(45)를 집열판설치대(42)의 밑면으로 삽입한 후에 경사가동지지암(47)을 받침대(41)의 내부로 삽입하면 받침대(41)와 집열판설치대(42)가 평행하게 접히도록 하여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1)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물전기불필요형 이동식화장실 2: 화장실본체
3: 하단받침대 4: 화장실바닥면
5: 저류조부 6: 지붕
7: 배수연통 10: 남자화장실
15. 25: 개별화장실 16. 26: 양변기
17. 27: 방열기 18: 소변기
19. 29: 설비설치실 20: 여자화장실
30: 변기세정수정화시스템 40: 태양열집열장치
41: 받침대 42: 집열판설치대
43: 선단축편 44: 선단축봉
45: 경사각도지지튜브 47: 경사각도지지암
48: 후단축봉 50: 태양열집열판경사조절장치
51: 상단축블록 52: 하단축블록
57: 전방지지블록 58: 후방너트블록
59: 높낮이조절스크류 60: 태양열집열판

Claims (5)

  1.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은, 화장실본체의 내부를 분할벽에 의해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화장실본체의 내부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를 설치하여 변기에서 사용된 오수를 정화하여 변기의 세척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본체의 내부에서 화장실바닥의 하측에는 변기세척수정화장치의 저류조부를 설치한 것과;
    상기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의 내부에서 후측부에는 외부에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문이 각각 구비된 설비설치실을 각각 설치하여 물과 전기 절약형 이동식 화장실 및 변기세정수정화시스템의 운용에 필요한 각종 장비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화장실본체에서 지붕의 상측에는 집열된 태양열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는 태양열전기생산장치의 태양열집열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의 내부에서 후측부에 설치되는 설비설치실은;
    좌우 양측으로 이격시켜 설치한 것, 중앙에 인접하게 설치한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지붕의 상측에 설치되는 태양열집열장치는;
    상기 지붕에 장착되는 받침대의 상측에는 집열판설치대를 구비하되 집열판설치대의 선단에 형성된 선단축편을 축봉에 의해 받침대의 선단부에 굴대 설치한 것과;
    상기 집열판설치대의 후단에는 축공이 등간격으로 뚫어진 경사각도지지튜브의 상단을 축봉으로 굴대 설치하고, 받침대의 후단에는 축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경사각도지지암의 하단을 후단축봉으로 굴대 설치하며, 일치되는 경사각도지지튜브와 경사각도지지암의 축공에는 축핀을 삽입한 것과;
    상기 받침대와 집열판설치대와의 사이에서 중간에는 집열판설치대와 함께 태양열집열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태양열집열판경사조절장치를 설치한 것과;
    상기 집열판설치대의 상면에는 태양열집열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집열판설치대와 함께 태양열집열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태양열집열판경사조절장치는;
    집열판설치대의 밑면 중앙에는 상단축블록을 고정하고, 받침대의 상면 중앙에는 하단축블록을 고정한 것과;
    상기 상단축블록과 하단축블록에는 한쌍 씩의 높낮이조절암의 상단과 하단을 상단축과 하단축으로 굴대 설치한 것과;
    상기 높낮이조절암과 높낮이조절암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높낮이조절암의 하단과 높낮이조절암의 상단은 전방지지블록에 전방중간축으로 굴대 설치하고, 후방에 위치하는 높낮이조절암의 하단과 높낮이조절암의 상단은 후방너트블록에 후방중간축으로 굴대 설치한 것과;
    이격되어 있는 전방지지블록과 후방너트블록은 후단에 핸들이 구비된 높낮이조절스크류에 이격시켜 나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
  5. 청구항 3에 있어서, 경사각도지지튜브는;
    단면으로 보아 일면(전면 또는 배면)이 터진 "ㄷ"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
KR1020170121634A 2017-09-21 2017-09-21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 KR20190033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634A KR20190033176A (ko) 2017-09-21 2017-09-21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634A KR20190033176A (ko) 2017-09-21 2017-09-21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76A true KR20190033176A (ko) 2019-03-29

Family

ID=6589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634A KR20190033176A (ko) 2017-09-21 2017-09-21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31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102B1 (ko) 2019-04-02 2020-03-13 진춘권 이동식 화장실의 좌변기 개폐장치
CN112482832A (zh) * 2020-11-17 2021-03-12 重庆四通八达管业有限公司 一种新型frp一体化智能移动卫生间
CN115162779A (zh) * 2022-06-28 2022-10-11 象山电力实业有限公司 一种风光储式5g移动式柜员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102B1 (ko) 2019-04-02 2020-03-13 진춘권 이동식 화장실의 좌변기 개폐장치
CN112482832A (zh) * 2020-11-17 2021-03-12 重庆四通八达管业有限公司 一种新型frp一体化智能移动卫生间
CN112482832B (zh) * 2020-11-17 2022-02-15 重庆四通八达管业有限公司 一种frp一体化智能移动卫生间
CN115162779A (zh) * 2022-06-28 2022-10-11 象山电力实业有限公司 一种风光储式5g移动式柜员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67283A (zh) 适用于多户生活污水处理的污水处理设备
KR20190033176A (ko) 물과 전기의 공급이 불필요한 이동식 화장실
CN2900510Y (zh) 组合式曝气生物滤池
KR101132978B1 (ko) 여과 장치를 구비한 무급수 무방류 수세식 화장실
CN108069569A (zh) 组合式流动床净化器
AU20082716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grey water
CN209098452U (zh) 一体化生活污水处理装置
CN204224388U (zh) 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06645889U (zh) 一种污水处理一体化设备
CN107429508A (zh) 移动式冲水厕所系统
CN207713607U (zh) 一种太阳能微动力生活污水处置一体化设备
CN110713315A (zh) 一种乡镇污水厂专用污水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203783185U (zh) 生态公共厕所
KR101028516B1 (ko) 순환수세 발효식 화장실
CN109319926A (zh) 一种生活污水处理系统
CN205603432U (zh) 一种生活污水的一体化处理装置
CN211814060U (zh) 一种新型高效化粪池
KR20140117136A (ko) 중수도(재사용)시스템 화장실
CN2690390Y (zh) 一体化中水回用处理装置
KR101501615B1 (ko) 무방류 순환화장실의 미생물을 활용한 오폐수정화장치
CN205420101U (zh) 一种小型生活污水处理设备
CN205635253U (zh) 一种智能污水处理系统
RU114051U1 (ru) Комплектно-блочная модульная очистная установка завод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с подготовкой выделяемых осадков к утилизации
CN2603138Y (zh) 循环冲水式环保厕所
CN219950763U (zh) 一种农村生活污水一体化mbbr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