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559A - 제동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차폐 장치 - Google Patents

제동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차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559A
KR20190032559A KR1020197005867A KR20197005867A KR20190032559A KR 20190032559 A KR20190032559 A KR 20190032559A KR 1020197005867 A KR1020197005867 A KR 1020197005867A KR 20197005867 A KR20197005867 A KR 20197005867A KR 20190032559 A KR20190032559 A KR 20190032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roller
wall
ge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토 야마기시
타카토시 우에마츠
다이스케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3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복수개의 승강 코드를 확실하게 협착하는 것이 가능한 제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드에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 장치로서, 상기 코드를 협착하는 협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협착체는 한 쌍의 협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착부재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협착부재의 다른 한쪽에 대향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제동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제동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차폐 장치
본 발명은, 제동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차폐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코드의 이동을 적절하게 감속하는데 사용 가능한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코드를 이동시킴으로써 차폐 부재를 개폐시키는 차폐 장치가 있다. 이러한 차폐 장치에는 코드(cord)의 이동을 감속시키는 제동 장치를 구비하고 차폐 부재가 개폐하는 힘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코드를 당김으로써 차폐 부재를 끌어 올리고, 차폐 부재의 자중에 의해 이 차폐 부재를 강하시키는 차폐 장치에 적용되며 가동 활차(협착체(挾着體))가 고정 활차에 근접함으로써 코드의 이동 속도를 억제하는 제동 장치(브레이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평 10-140950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1에 기재된 가동 활차는 그 외주면에 널링(knurling)이 각설(刻設)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널링에 의해 복수의 코드를 협착하는 구성에서는, 코드간의 직경의 치수 오차에 의해 적절하게 협착할 수 없는 코드가 생기고, 그 결과 차폐 부재가 기울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금속제의 널링에 의해 코드가 마모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실시된 것이며, 복수 개의 코드를 확실하게 협착하는 것이 가능한 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코드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드에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 장치로서, 상기 코드를 협착하는 협착체(挾着體)를 구비하고, 상기 협착체는 한 쌍의 협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착부재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협착부재의 다른 한쪽에 대향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제동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협착체에 탄성체를 사용함으로써 복수개의 코드를 확실하게 협착하면서 승강 코드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의 경도가 80도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의 경도가 90도 이상 95도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가 우레탄고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착부재의 적어도 한쪽은 축심과 상기 축심의 외주면을 덮는 피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피복 부재는 전체가 상기 탄성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심은 상기 협착부재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증강하는 마찰 증강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 증강부는 상기 축심 표층부가 조면(粗面)화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착부재의 적어도 한쪽은 축심과 상기 축심의 외주면을 덮는 피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피복 부재는 상기 축심의 외주면을 덮는 내측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내측부재의 외주면을 덮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부재는 수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협착부재는 한 쌍의 롤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적어도 한쪽은 축심과 고무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축심의 외주면을 덮는 원통 형상의 고무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심의 직경에 대한 상기 고무 롤러부의 직경의 비가 2.0~3.2가 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롤러의 다른 한쪽이 수지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제동 장치를 구비한 차폐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드의 이동을 회전 운동으로서 전달하는 장력전달 부재로서,
축심과, 해당 축심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코드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협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착부재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장력전달 부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가 우레탄고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심은 상기 협착부재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증강하는 마찰 증강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 증강부는 상기 축심의 표층부가 조면화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 증강부는 상기 축심의 원주면 상의 상기 협착부재가 설치되는 범위보다 짧은 범위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 증강부는 하기 (A)~(C)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A)상기 축심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이다,
(B)상기 마찰 증강부는 상기 축심의 원주면 상에 형성되는 홈이다,
(C)상기 축심의 축방향 중앙부 근방에 형성되는 팽경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의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홈은 상기 축심의 원주면 상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의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홈은 상기 축심의 원주면 상에 있어서 원주방향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착부재의 축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측에 마찰 저감 부재가 설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동 장치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버를 떼어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도 2와 같은 시점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브래킷을 떼어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장력전달 롤러, 아이들 롤러(Idle roller)를 떼어낸 모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제동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의 장력전달 롤러의 축심 및 고무 롤러를 나타내는 설명 도면이다.
도 11은 제1실시 형태의 일사차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이며, (a)는 전방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b)는 후방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000)의 조립도이며, (a)는 전방 사시도, (b)는 후방 사시도, (c)는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000)의 조립도이며,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000)로부터 케이스(10A)를 제거한 조립도이며, (a)는 전방 사시도, (b)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로부터 슬라이더(20)를 제외한 조립도이며, (a)는 전방 사시도, (b)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고무 롤러부(32), 슬라이더(20) 및 피니언 기어(5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동 장치(1000)의 좌측면으로부터 본 축심(31)의 대략 중심을 지나가는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케이스(10A)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전방 사시도, (b)은 후방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3(c)의 A-A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4(a)의 B-B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동 장치(1000)가 코드(CD)를 제동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코드(CD)에 아무런 장력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정상상태), (b)는 코드(CD)에 장력이 가해지며, 고무 롤러부(32) 및 롤러부(42)로 코드(CD)가 협착된 상태(협착상태), (c)는 (a)로부터 (b)로 상태 변화할 때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회전 방향을 정리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대응하는 슬라이더(20)의 이동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동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차폐 장치의 헤드 박스를 정면에서 본 모식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의 제동 장치의 원심조속기(Centrifugal Governor)의 내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동 장치의 장력전달 롤러(3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축심(31)의 마찰 증강부(31f)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제1실시 형태의 마찰 증강부, (b)은 변형예의 마찰 증강부를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의 축심(31)의 변형예의 마찰 증강부(31f)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축심(31)의 다른 변형예의 마찰 증강부(31f)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의 제동 장치의 축심(31), 고무 롤러부(32), 피니언 기어(50) 및 링 형상 부재(33, 34)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 및 그것을 채용한 일사차폐 장치의 호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제1실시 형태
<제동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제동 장치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BD)는 운동 변환부(DT)와 저항 부여부(RA)가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항 부여부(RA)로부터 운동 변환부(DT)에 이르는 방향을 전측이라고 하고,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서 좌우 방향(폭방향), 상하 방향을 정한다. 다만, 이 방향은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며, 제동 장치의 사용 상태가 이 방향대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1-2 <운동 변환부(DT)>
운동 변환부(DT)는 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70)와, 베이스(70)에 고정되어 하우징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커버(10)를 구비한다.
베이스(70)는 거의 평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외형이 거의 정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70)의 각부(귀퉁이부)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0)는 외형이 베이스(70)보다 작은 거의 정방형의 천벽부(11)와, 천벽부(11)의 외주 전체에 연결되며 천벽부(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벽부(12)와, 측벽부(12)의 천벽부(11) 측과 반대측인 하측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악부(鍔部)(13)와, 악부(13)에 연결되는 고정용 지주(18)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측벽부(12) 중 전방의 부위에는 복수의 가이드 구멍(14a~14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12) 중 후방의 부위에는 복수의 가이드 구멍(15a~15c)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 구멍(15a ~15c)은 복수의 가이드 구멍(14a~14c)과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이 가이드 구멍(14a~14c)및 가이드 구멍(15a~15c)은 코드(CD)가 전후 방향으로 삽통되기 위한 구멍이며, 가이드 구멍(14a)과 가이드 구멍(15a)에 코드(CD)가 삽통되어도 되고, 가이드 구멍(14b)과 가이드 구멍(15b)에 코드(CD)가 삽통되어도 되며 가이드 구멍(14c)과 가이드 구멍(15c)에 코드(CD)가 삽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구멍의 조합의 2개 이상의 각각에 코드(CD)가 삽통되어도 된다. 한편, 도 1, 도 2에서는, 가이드 구멍(14a)과 가이드 구멍(15a)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코드(CD)가 삽통되어 있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천벽부(11)에는 제1천벽홈(16)과 제2천벽홈(17)이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천벽홈(16) 및 제2천벽홈(17)은 홈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로 이루어진다. 제1천벽홈(16)과 제2천벽홈(17)은 각각 코드(CD)의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코드(CD)의 한쪽의 길이 방향인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제1천벽홈(16)과 제2천벽홈(17)의 거리가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제1천벽홈(16)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제2천벽홈(17)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천벽홈(17)의 형상은 직선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곡선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1천벽홈(16)과 거의 같은 형상으로 하고 서로 같은 방향으로 만곡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악부(13)는 측벽부(12)로부터 외주 측으로 연장되는 부위이며 외주의 형상 및 크기가 커버(10)의 베이스(70)의 외주의 형상 및 크기와 거의 일치하다. 또한 악부(13)의 각각의 각부에는 나사 구멍(13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악부(13)의 각각의 각부에는 고정용 지주(18)가 연결되어 있다. 고정용 지주(18)에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공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나사 구멍은 악부(13)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13H)과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용 나사(S1)가 베이스를 통해 고정용 지주(18)에 나합하고 있으며 커버(10)는 베이스(70) 상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운동 변환부(DT)와 저항 부여부(RA)는, 연결 플레이트(CP)가 운동 변환부(DT) 및 저항 부여부(RA)에 연결용 나사(S2)로 고정됨으로써, 서로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버(10)를 떼어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을 도 2와 거의 같은 시점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0) 내에는 한 쌍의 협착부재의 한쪽인 장력전달 롤러(30)와, 한 쌍의 협착부재의 다른쪽인 아이들 롤러(40)와,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를 유지하는 유지부재인 브래킷(20)(슬라이더(20)라고도 한다. 이하, 슬라이더(20)라고 하는 용어를 이용하여 설명한다)이 수납되어 있다. 한편,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협착부재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협착체가 형성된다.
도 5는 슬라이더(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20)는 천벽부(21)와, 천벽부(21)에 연결되는 안측벽부(22) 및 전측벽부(24)와, 안측벽부(22) 및 전측벽부(24)의 각각에 연결되는 저벽부(23)를 가진다.
천벽부(21)는 거의 직사각형의 형상에 한 쌍의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한 쌍의 홈은 각각 제1천벽홈(26) 및 제2천벽홈(27)으로 된다. 제1천벽홈(26) 및 제2천벽홈(27)은 각각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홈으로 되고 서로 직선 상으로 나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벽부(23)는 천벽부(21)와 거의 같은 형상으로 된다. 한편, 당연한 것으로서, 저벽부(23)와 천벽부(21)를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따라서, 저벽부(23)에도 폭방향으로 직선 상으로 나열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런 한 쌍의 홈은 각각 제1저벽홈(28) 및 제2저벽홈(29)으로 된다. 제1저벽홈(28)이 제1천벽홈(26)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고, 제2저벽홈(29)이 제2천벽홈(27)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한편, 제1천벽홈(26), 제2천벽홈(27), 제1저벽홈(28) 및 제2저벽홈(29)의 적어도 1개를 천벽부(21) 또는 저벽부(23)의 측면까지 절개되지 않는 구멍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축심(31) 또는 축심(41)을 그 구멍에 밀어넣도록 하여 부재를 조립하는 것으로 된다.
안측벽부(22)에는, 관통공(2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5)은, 안측벽부(22)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안측벽부(2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구멍(孔)의 형상은, 상하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25)의 양편에는, 안측벽부(22)의 외측면에서 형성되는 비관통공(22H)이 형성되어 있다. 비관통공(22H)은, 대략 원형의 형상으로 되어있다. 한편, 비관통공(22H)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코일 스프링(SP)을 삽입했을 때에 함몰되지 않는 것 같은 구조라면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각각의 비관통공(22H) 내에는, 코일 스프링(SP)이 삽입되어 있어, 코일 스프링(SP)의 일단은 비관통공(22H)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코일 스프링(SP)의 비관통공(22H)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생략하고 있다.
전측벽부(24)의 폭은 천벽부(21) 및 안측벽부(22)의 폭의 반 이하로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0)에 있어서의 천벽부(21)와 안측벽부(22)로 끼워져 있는 전측벽부(24)의 옆의 영역은 크게 개구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슬라이더(20)의 폭방향의 크기는, 커버(10)의 폭방향의 내벽간의 거리와 거의 같으며, 슬라이더(20)의 전후 방향의 크기는 커버(10)의 전후 방향의 내벽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0)가 커버(10)의 공간 내에 배치되면 슬라이더(20)의 천벽부(21) 및 저벽부(23)의 측면이 슬라이더(20)의 폭방향에 있어서 내벽면에 당접하고 슬라이더(20)는 커버(10)에 대해 폭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10)의 가이드 구멍(14a~14c) 및 가이드 구멍(15a~15c)과 관통공(25)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나열된다. 즉 관통공(25)은 코드(CD)를 슬라이더(20) 내에 삽통하기 위한 구멍이다. 한편, 슬라이더(20)가 커버(10)의 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0)와 커버(10)의 내벽면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극이 생기고 슬라이더(20)는 커버(1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20)가 커버(10)의 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0)의 안측벽부(22)의 비관통공(22H)으로부터 돌출하는 코일 스프링(SP)이 커버(10)의 후방의 내벽을 누른다. 따라서, 슬라이더(20)가 커버(10)의 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0)는 전방 측에 위치하고 측벽부(12)의 가이드 구멍(14a~14c)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내벽에 눌러진 상태로 된다.
1-2-2 <장력전달 롤러(30)>
도 6은 도 3의 슬라이더(20)를 떼어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6,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력전달 롤러(30)는 금속제의 축심(31)과 축심(31)의 외주면을 덮는 원통 형상의 고무 롤러부(32)(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피복 부재)를 갖는다. 여기에서, 축심(31)의 원주면에는 도 26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층부가 조면화(粗面化)된 마찰 증강부(31f)가 설치되며 고무 롤러부(42)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증강시키고 있다. 표층부를 조면화시키기 위해서는 블라스트 가공에 의해 흠을 냄으로써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세한 상처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지만,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층부를 다이마몬드 널링(diamond knurling)이나 그물코의 널링 형상으로 하거나 표층부를 스트라이프 형상, 점선 형상, 파선 형상, 이지(梨地) 형상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마찰 증강부(31f)는 고무 롤러부(32)를 배치하는 범위(도 26(a)의 L1참조)보다 짧은 범위(도 26(a)의 L2참조)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배치된 고무 롤러부(32)가 당접하는 축방향 양단부로부터 축방향의 약0.5mm 내측까지는 표층부를 조면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블라스트 가공이 실시된 축심(31)과 고무 롤러부(32)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감합된다. 다만, 축심(31)과 고무 롤러부(32)를 아웃서트(outsert) 성형에 의해 압입해도 되고 또는 임의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수법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무 롤러부(32)는 탄성체인 고무로 형성된다. 고무의 구체적인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다이엔고무(NBR), 수소화 니트릴고무 (HNBR),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PDM), 폴리염화비닐(PVC), 우레탄고무(PUR) 등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에서도 우레탄고무(PUR)가 호적하다.
또한, 고무 롤러부(32)의 대신에 널링 가공한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한 경우에는 널링이 코드(CD)를 마모시키기 때문에 코드(CD)의 내구성을 얻을 수 없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는 복수의 코드(CD)를 협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코드(CD)의 마모나 치수 오차에 의해 복수의 코드(CD)의 직경에 차이가 생기면 협착력에 차이가 생겨 버린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장력전달 롤러(30)가 고무 롤러부(32)를 구비하고 있고 고무의 탄성에 의해 코드(CD)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드(CD)를 협착할 경우에 코드(CD)의 직경의 치수 오차가 있었다고 해도 동일한 협착력으로 복수의 코드(CD)를 협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무의 경도는 8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의 경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95° 이하이다. 여기에서, 고무 경도는 듀로미터(스프링식 고무 경도계)에 의해 측정한 JIS K6253의 타입 A(쇼어A)에 준거한다.
또한, 고무 롤러부(32)의 직경φ1(도 10참조)은 바람직하게는 2.0mm~7.0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mm~6.0mm, 더 바람직하게는, 5.0mm~5.5mm이다. 그리고 고무 롤러부(32)의 직경이 5.5mm일 경우의 축심(31)의 직경φ2(도 10참조)는 2.0mm~2.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mm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축심(31)의 직경에 대한 고무 롤러부(32)의 직경의 비는 1.2~3.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2.9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2.4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축심(31)의 직경을 2.5mm, 고무 롤러부(32)의 직경을 5.5mm로 하면, 축심(31)의 직경에 대한 고무 롤러부(32)의 직경의 비는 2.2로 된다. 또한, 이 경우의 고무 롤러부(32)의 두께t(도 10참조)는 1.5mm이다. 한편, 고무 롤러부(32)의 두께를 확보하면서 축심(31)의 직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커버(10)의 제1천벽홈(16) 및 베이스(70)의 제1베이스 홈(76)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커버(10) 및 베이스(70)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축심(31)의 직경을 증가시키면 축심(31)과 고무 롤러부(32)의 접촉 면적도 증가하기 때문에 고무 롤러부(32)의 마모도 억제할 수 있다.
1-2-3 <아이들 롤러(40)>
아이들 롤러(40)는 장력전달 롤러(30)의 축심(31)과 평행되는 금속제의 축심(41)과 축심(41)의 외주면을 덮는 롤러부(42)를 갖는다. 따라서, 장력전달 롤러(30)의 회전축과 아이들 롤러(40)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으로 된다. 한편, 축심(41)의 원주면에도 축심(31)과 같이 마찰 증강부로서 블라스트 가공에 의해 미세한 흠이 내어져 표층부가 조면화된다. 또한, 축심(41)과 롤러부(42)도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감합된다. 다만, 축심(41)과 롤러부(42)를 아웃서트 성형에 의해 압입해도 되고 또는 임의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것들을 병용해도 된다. 아이들 롤러(40)의 롤러부(42)의 외경은 장력전달 롤러(30)의 고무 롤러부(32)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아이들 롤러(40)의 롤러부(42)의 외주면은 수지제로 되고 금속의 평탄한 면보다 마찰 계수가 높은 상태로 된다. 또한, 축심(41)의 양단부는 롤러부(42)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한편, 아이들 롤러(40)의 롤러부(42)도 장력전달 롤러(30)의 고무 롤러부(32)와 같이 고무로 형성해도 되고 고무의 종류로서도 고무 롤러부(32)와 같은 우레탄고무(PUR)가 호적하다. 또한, 롤러부(42)의 직경도 바람직하게는 2.0mm~6.5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mm~6.0mm, 더 바람직하게는 5.5mm이며, 또한 장력전달 롤러(30)의 고무 롤러부(32)와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4 <협착체>
또한,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협착체인 장력전달 롤러(30)의 고무 롤러부(32) 및 아이들 롤러(40)의 롤러부(42)는 슬라이더(20)에 수용된다. 즉, 고무 롤러부(32) 및 롤러부(42)는 슬라이더(20)의 천벽부(21)와 저벽부(23)에 의해 끼워져 있다. 이 상태에서 장력전달 롤러(30)의 축심(31)의 일단측은 슬라이더(20)의 제1천벽홈(26)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하는 동시에 슬라이더(20)의 천벽부(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축심(31)의 타단측은 슬라이더(20)의 제1저벽홈(28)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하는 동시에 슬라이더(20)의 저벽부(23)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 아이들 롤러(40)의 축심(41)의 일단측은 슬라이더(20)의 제2천벽홈(27)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하는 동시에 슬라이더(20)의 천벽부(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축심(41)의 타단측은 슬라이더(20)의 제2저벽홈(29)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하는 동시에 슬라이더(20)의 저벽부(23)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천벽홈(26), 제2천벽홈(27), 제1저벽홈(28), 제2저벽홈(29)은 폭방향으로 직선 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제1천벽홈(26)과 제1저벽홈(28)에 축심(31)이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하는 장력전달 롤러(30)는 슬라이더(20)에 대해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동일하게 제2천벽홈(27)과 제2저벽홈(29)에 축심(41)이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하는 아이들 롤러(40)는 슬라이더(20)에 대해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장력전달 롤러(30)의 고무 롤러부(32)와 천벽부(21)나 저벽부(23)의 사이, 아이들 롤러(40)의 롤러부(42)와 천벽부(21)나 저벽부(23)의 사이에는 마찰을 저감하기 위한 폴리스라이더(polyslider) 등이 개재되어도 된다.
또한, 장력전달 롤러(30)의 고무 롤러부(32) 및 아이들 롤러(40)의 롤러부(42)가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가 커버(10)의 공간 내에 수용되면,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력전달 롤러(30)의 축심(31)의 일단이 커버(10)의 천벽부(11)에 형성된 제1천벽홈(16) 내로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하고 아이들 롤러(40)의 축심(41)의 일단이 커버(10)의 천벽부(11)에 형성된 제2천벽홈(17) 내로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한다.
1-2-5 <피니언 기어(50)>
도 6,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력전달 롤러(30)의 축심(31)에 있어서의 타단측에는 피니언 기어(50)가 고정되어 있다. 해당 고정은 압입 등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50)는 장력전달 롤러(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장력전달 롤러(30)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피니언 기어(50)와 장력전달 롤러(30)의 사이는 슬라이더(20)의 저벽부(23)를 개재할 수 있는 정도로 떨어져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장력전달 롤러(30)의 고무 롤러부(32)가 슬라이더(20)에 수용된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50)는 슬라이더(20)의 밖에 위치한다. 한편,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피니언 기어(50)와 슬라이더(20)의 저벽부(23)의 사이에는 마찰을 저감하기 위한 폴리스라이더 등이 개재되어도 된다.
1-2-6 <베이스(70)>
도 8은 도 7의 상태로부터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를 떼어낸 모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70)에는 제1베이스 홈(76) 및 제2베이스 홈(77)이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베이스 홈(76) 및 제2베이스 홈(77)은 모두 홈 형상의 개구로 된다. 제1베이스 홈(76)은 커버(10)의 천벽부(11)에 형성되는 제1천벽홈(16)과 대향하고 제1천벽홈(16)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며 제2베이스 홈(77)은 커버(10)의 천벽부(11)에 형성되는 제2천벽홈(17)과 대향하고 제2천벽홈(17)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다.
1-2-7 <링 기어(60)>
베이스(70) 상에는 링 기어(60)가 배치된다. 베이스(70)에는 도시하지 않은 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링 기어(60)는 해당 원형의 홈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된다. 따라서, 링 기어(60)는 전후 방향이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해되고 있다. 또한, 링 기어(60)를 평면에서 보는 경우에, 링 기어(60)의 내주면은 커버(10)의 천벽부(11)에 형성된 제1천벽홈(16) 및 베이스(70)에 형성되는 제1베이스 홈(76)을 따르고 있다.
즉, 링 기어(60)를 평면에서 볼 경우에, 제1천벽홈(16) 및 제1베이스 홈(76)의 원호의 중심과 링 기어(60)의 내주면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다. 또한, 링 기어(60)의 내주면에는 내주 기어(61)이 설치되어 있고 링 기어(60)의 외주면에는 외주 기어(6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내주면은 내주 기어(61)의 기준원으로 된다.
또한, 베이스(70)의 각부(귀퉁이부)에는 나사 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구멍(73)에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용 나사(S1)가 나사 삽입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용 나사(S1)가 커버(10)의 고정용 지주(18)에 나사 결합하고, 커버(10)는 베이스(70) 상에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력전달 롤러(30)의 고무 롤러부(32) 및 아이들 롤러(40)의 롤러부(42)가 수용된 슬라이더(20)가 커버(10) 내에 수용되며, 커버(10)가 베이스(70) 상에 고정되면 피니언 기어(50)가 링 기어(60)의 내주 기어(61)에 치합(齒合)하는 동시에 장력전달 롤러(30)의 축심(31)의 타단이 베이스(70)에 형성된 제1베이스 홈(76)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아이들 롤러(40)의 축심(41)의 타단이 베이스(70)에 형성된 제2베이스 홈(77)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링 기어(60)의 내주가 커버(10)의 제1천벽홈(16) 및 베이스(70)의 제1베이스 홈(76)을 따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장력전달 롤러(30)의 축심(31)이 제1천벽홈(16)내 및 제1베이스 홈(76) 내를 이동할 경우에도 피니언 기어(50)와 링 기어(60)의 내주 기어(61)의 치합은 유지된다. 여기에서, 링 기어(60)의 내주가 커버(10)의 제1천벽홈(16) 및 베이스(70)의 제1베이스 홈(76)을 따르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링 기어(60)의 내주가 제1천벽홈(16) 및 제1베이스 홈(76)이 전체 범위에 걸쳐 따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9에서 적어도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가 근접했을 때에 피니언 기어(50)와 링 기어(60)가 치합하도록 링 기어(60)의 내주가 제1천벽홈(16) 및 베이스(70)의 제1베이스 홈(76)의 적어도 전방의 일부를 따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3 <저항 부여부(RA)>
저항 부여부(R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운동 변환부(DT)에 연결 플레이트(CP)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저항 부여부(RA)는 베이스(80)와 천판(天板)(83)과 베이스(80)와 천판 (83)의 사이에 배치되는 기어(82)를 구비한다. 또한, 저항 부여부(RA)는 베이스(80)와 천판(83)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토크(torque) 부여부가 설치되어 있고, 기어(82)에는 토크 부여부로부터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예를 들면 저항 부여부(RA)는 기어(82)에 항상 회전 저항이 부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회전 제동 장치로 이루어진다. 회전 제동 장치의 구성으로서는 기어(82)의 외주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에 점성 오일이 봉지(封止)되어 있고 기어(82)가 회전하면 해당 점성 오일의 전단 저항에 의해 회전 저항이 기어(82)에 부여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저항 부여부(RA)는 기어(82)의 회전속도가 소정치 이상으로 될 경우에 회전 저항이 부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원심 브레이크로 이루어진다. 원심 브레이크로서는 기어(82)의 외주 내에 기어(82)와 함께 회전하는 브레이크슈(brake shoe)가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기어(82)가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회전할 경우에 원심력으로 브레이크슈가 외주 측으로 이동하고, 브레이크슈와 다른 부재와의 마찰력 등에 의해 회전 저항이 부여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항 부여부(RA)와 운동 변환부(DT)가 연결된 상태에서 기어(82)와 링 기어(60)의 외주 기어(62)가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링 기어(60)가 회전할 경우, 저항 부여부(RA)의 기어(82)가 회전함으로써 기어(82)로부터 링 기어(60)에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제동 장치(BD)의 동작>
이어서 제동 장치(BD)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코드(CD)에 아무런 장력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SP)은 커버(10)의 후방의 내벽과 슬라이더(20)를 누르고 커버(10)에 대해 슬라이더(20)를 전방으로 부세(付勢)한다. 따라서, 슬라이더(20)는 커버(10)내의 전방에 위치한다. 슬라이더(20)가 커버(10)의 전방에 위치할 경우, 슬라이더(20)와 함께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도 커버(10) 내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천벽홈(16)과 제2천벽홈(17)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거리가 작게 되고, 제1베이스 홈(76)과 제2베이스 홈(77)은 제1천벽홈(16) 및 제2천벽홈(17)과 동일하게 전방을 향함에 따라 거리가 작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0)가 커버(10) 내의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축심(31)이 제1천벽홈(16) 및 제1베이스 홈(76)에 감합되는 장력전달 롤러(30)와, 축심(41)이 제2천벽홈(17) 및 제2베이스 홈(77)에 감합되어 있는 아이들 롤러(40)의 거리도 작게 된다. 즉, 제1천벽홈(16) 및 제1베이스 홈(76)은 장력전달 롤러(30)의 축심(31)이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되어 장력전달 롤러(30)의 홈에 따르지 않는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 홈으로 이해할 수 있고, 제2천벽홈(17) 및 제2베이스 홈(77)은 아이들 롤러(40)의 축심(41)이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되어 아이들 롤러(40)의 홈에 따르지 않는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 홈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제1천벽홈(16) 및 제1베이스 홈(76)은, 링 기어(60)의 내주면과 평면에서 볼 때 동심원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축심(31)이 각각의 홈 내를 이동해도 피니언 기어(50)는 링 기어(60)의 내주 기어(61)에 계속하여 치합할 수 있다.
이렇게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의 거리가 작아지면, 장력전달 롤러(30)는 아이들 롤러(40)에 가압되어 장력전달 롤러(30)의 고무 롤러부(32)와 아이들 롤러(40)의 롤러부(42)에 코드(CD)가 끼움 지지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SP)은 장력전달 롤러(30)가 아이들 롤러(40)에 가압되도록 장력전달 롤러(30)를 상시 부세하는 부세 부재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코드(CD)가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에 의해 끼움 지지된 상태에서 코드(CD)의 직경만큼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가 이격한다. 때문에 제1천벽홈(16) 및 제2천벽홈(17)의 구조 및 제1베이스 홈(76) 및 제2베이스 홈(77)의 구조에 의해 슬라이더(20)는 약간 후방에 위치한다.
한편, 코드(CD)가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에 끼움 지지되어 있지 않을 경우, 커버(10)의 가이드 구멍(14)으로부터 치구(治具)를 삽입하여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를 이격시키거나, 커버(10)의 제1천벽홈(16)이나 제2천벽홈(17) 및 베이스(70)의 제1베이스 홈(76)이나 제2베이스 홈(77)으로부터 노출하는 축심(31, 41)을 코일 스프링(SP)의 힘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를 이격시키고, 가이드 구멍(14a~14c)으로부터 가이드 구멍(15a~15c)에 코드(CD)를 삽입한다.
도 9는 제동 장치(BD)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코드(CD)에 아무런 장력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부터 코드(CD)에 장력을 가하고, 도 9에서 화살표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코드(CD)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코드(CD)를 전방으로 끌어당긴다. 그러면 코일 스프링(SP)의 가압력에 의해 코드(CD)를 끼움 지지하는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가 회전한다. 장력전달 롤러(30)가 회전하면 도 9에서 화살표B로 표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50)도 회전하고 피니언 기어(50)가 링 기어(60)의 내주를 따른 한쪽의 회전 방향(상기 피니언 기어(50)이 회전하는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다만, 코드(CD)에 아무런 장력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로 코드(CD)를 끼움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50)의 해당 이동량은 약간의 이동량이다. 장력전달 롤러(30)가 이동하면 제1천벽홈(16) 및 제2천벽홈(17)의 구조 및 제1베이스 홈(76) 및 제2베이스 홈(77)의 구조에 의해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가 서로 근접하여 보다 강고하게 코드(CD)를 끼움 지지한다. 이 때, 장력전달 롤러(30)가 전방으로 약간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가 전방으로 약간 이동할 경우에는, 아이들 롤러(40)가 제2천벽홈(17) 및 제2베이스 홈(77)을 따라 장력전달 롤러(30)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가 한계까지 근접하면 장력전달 롤러(30)의 회전은 계속되지만 장력전달 롤러(30)의 위치는 그대로 된다. 때문에 피니언 기어(50)의 화살표B 방향의 회전에 의해 링 기어(60)가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항 부여부(RA)의 기어(82)에 항상 회전 저항이 부여될 경우에는, 링 기어(60)가 회전하면 링 기어(60)에는 저항 부여부(RA)로부터 회전 저항이 부여되고 링 기어(60)로부터 피니언 기어(50)에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저항 부여부(RA)의 기어(82)의 회전속도가 소정치 이상으로 될 경우에 기어(82)에 회전 저항이 부여될 경우에는 링 기어(60)가 회전하기 시작해도 잠시는 링 기어(60)에 회전 저항은 부여되지 않지만, 코드(CD)가 빠르게 이동함으로써 장력전달 롤러(30)가 빠르게 회전하여 링 기어(60)의 회전속도가 소정치 이상으로 되면 기어(82)에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그 결과, 링 기어(60)에 해당 회전 저항이 부여되어 링 기어(60)로부터 피니언 기어(50)에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이렇게 하여 어느쪽의 경우에도 장력전달 롤러(30)에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때문에 코드(CD)에는 제동력이 부여된다.
한편, 코드(CD)를 후방을 향해 끌어당기면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는 상기와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50)도 화살표B 방향과는 반대측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때문에, 링 기어(60)의 내주 기어(61)에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50)는 링 기어(60)의 내주에 따른 다른쪽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한다. 때문에 장력전달 롤러(30)과 아이들 롤러(40)가 이격한다. 따라서 코드(CD)에 가해지는 제동력이 해제되어 코드(CD)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한편, 피니언 기어(50)의 다른쪽의 회전 방향에 따른 이동에 의해 장력전달 롤러(3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장력전달 롤러(30)의 후방에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더(20)도 후방으로 이동하고 아이들 롤러(40)도 후방으로 이동해도 된다. 이렇게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천벽홈(16) 및 제2천벽홈(17)의 구조 및 제1베이스 홈(76) 및 제2베이스 홈(77)의 구조에 의해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를 적절하게 이격할 수 있다.
1-5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BD)는, 아이들 롤러(40)와 아이들 롤러(40)의 사이에서 코드(CD)를 끼움 지지하는 동시에, 코드(CD)의 길이 방향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장력전달 롤러(30)와 장력전달 롤러(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장력전달 롤러(30)와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50)와 내주면에 피니언 기어(50)와 치합하는 내주 기어(61)가 형성되는 링 기어(60)와 링 기어(60)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여부(RA)를 구비하고, 피니언 기어(50)는 링 기어(60)의 내주면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되며, 장력전달 롤러(30)는 피니언 기어(50)가 링 기어(60)의 내주면의 한쪽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할 경우에 아이들 롤러(40)에 가압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BD)에 의하면, 코드(CD)가 한쪽의 방향에 끌리면, 장력전달 롤러(30)가 피니언 기어(50)와 함께 코드(CD)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고, 피니언 기어(50)의 링 기어(60)의 내주면에 따른 한쪽의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장력전달 롤러(30)가 아이들 롤러(40)에 가압된다. 즉, 코드(CD)에 장력이 가해져 코드(CD)가 한쪽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코드(CD)는 자신의 장력에 의한 힘에 의해 아이들 롤러(40)와 장력전달 롤러(30)에 강고하게 끼움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코드(CD)가 한쪽의 길이 방향으로 끌릴 경우에 코드(CD)가 끌리지 않을 경우보다 강한 힘으로 코드(CD)는 끼움 지지된다. 때문에 코드(CD)가 장력전달 롤러(30)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코드(CD)가 더 끌림으로써 피니언 기어(50)와 내주 기어(61)로 치합하는 링 기어(60)가 회전하고, 저항 부여부(RA)로부터 링 기어(60)에 부여되는 회전 저항이 장력전달 롤러(30)에 전해진다. 이와 같이, 코드(CD)가 장력전달 롤러(30)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이 억제되며 장력전달 롤러(30)에 피니언 기어(50)를 개재하여 링 기어(60)로부터 회전 저항이 부여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BD)는 코드(CD)에 대해 적절하게 제동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장력전달 롤러(30)가 탄성체인 고무로 이루어지는 고무 롤러부(32)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코드(CD)를 확실하게 협착하면서 코드(CD)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아이들 롤러(40)가 피니언 기어(50)의 링 기어(60)의 내주면의 한쪽의 회전 방향을 따른 이동과 함께 장력전달 롤러(30) 측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장력전달 롤러(30)의 이동량을 적게 하고 적절하게 코드(CD)를 끼움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코드(CD)를 협착하는 협착체인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가 슬라이더(20)에 지지되고 코드(CD)에 대해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롤러의 한쪽만이 이동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코드(CD)를 협착하기 위해 필요한 1개의 롤러당의 가동량을 작게 할 수 있고, 코드(CD)의 협착을 안정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BD)에서는 장력전달 롤러(30)가 아이들 롤러(40)에 가압되도록 장력전달 롤러(30)를 상시 부세하는 부세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SP)을 구비한다. 따라서, 코드(CD)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도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로 코드(CD)를 끼움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드(CD)를 당기는 초기 상태에서도 코드(CD)와 장력전달 롤러(30)가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고 코드(CD)의 장력을 적절하게 장력전달 롤러(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BD)에서는 링 기어(60)에는 외주면에 외주 기어(62)가 형성되고 외주 기어(62)가 저항 부여부(RA)의 기어(82)에 치합한다. 그리고, 외주 기어(62)가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회전 댐퍼 등에 치합할 경우에는 링 기어(60)의 회전 시에 항상 링 기어(60)에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이 경우, 코드(CD)를 당기기 시작해서부터 항상 코드(CD)에 제동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댐퍼를 교환함으로써 링 기어(60)에 부여되는 회전 저항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외주 기어(62)의 회전속도가 소정치 이상이 될 경우에 회전 저항이 부여되는 원심 브레이크 등에 치합할 경우에는, 링 기어(60)가 소정의 회전속도 이상으로 될 경우에 링 기어(60)에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따라서, 코드(CD)를 당기기 시작할 때에는 코드(CD)에 제동력이 가해지지 않지만 코드(CD)가 소정의 이동 속도로 끌릴 경우에 코드(CD)에 제동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원심 브레이크를 교환함으로써, 코드(CD)에 제동력이 부여되는 코드(CD)의 이동 속도나 링 기어(60)에 부여되는 회전 저항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동 장치(BD)에 대해 상기 실시 형태를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제동 장치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협착부재의 한쪽으로서 장력전달 롤러(30)를 이용할 수 있고, 협착부재의 다른 한쪽으로서 이동 가능하도록 유지되며 장력전달 롤러(30)의 회전축과 평행되는 회전축을 갖는 아이들 롤러(40)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협착부재의 다른 한쪽으로서는 장력전달 롤러(30)와의 사이에서 코드(CD)를 끼움 지지하고 코드(CD)가 이동 가능한 것이라면 아이들 롤러(40)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주는 표면이 미끌어지기 쉬운 구성으로 되고 회전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표면이 평활하게 가공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지주이어도 된다. 다만,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아이들 롤러(40)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코드(CD)에 요철이 있을 경우에도 아이들 롤러(40)의 회전에 의해 해당 요철을 아이들 롤러가 극복하여 해당 요철이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협착부재의 다른 한쪽은 이동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장력전달 롤러(30)의 이동에 의해 코드(CD)를 끼움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장력전달 롤러(30)가 아이들 롤러(40)에 가압되도록 슬라이더(20)를 개재하여 장력전달 롤러(30)를 상시 부세하는 부세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SP)이 배치되었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SP)은 예를 들면 장력전달 롤러(30)를 직접 부세해도 된다. 예를 들면, 자석을 사용하거나 판타(pantograph)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부세 부재는 코일 스프링(SP)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부세 부재가 없어도 된다. 다만, 코드(CD)를 당기기 시작할 때에 적절하게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로 코드(CD)를 끼움 지지하기 때문에 제동 장치(BD)는 부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링 기어(60)의 외주면에 외주 기어(62)가 형성되고 외주 기어(62)는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회전 댐퍼나 원심 브레이크 등에 치합하는 것으로 되었다. 그러나, 예를 들면 회전 댐퍼나 원심 브레이크 등과 같이 링 기어(60)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여부가 링 기어(60)와 베이스(70)의 사이 또는 링 기어(60)와 커버(10)의 사이에 설치되어도 된다. 즉, 저항 부여부가 링 기어(60)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저항 부여부가 링 기어(60)의 내주 기어(61)에 치합되어 링 기어(60)에 회전 저항을 부여해도 되고 링 기어(60)의 외주 기어(62)는 없어도 된다. 저항 부여부가 링 기어(60)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될 경우, 제동 장치(BD)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저항 부여부가 링 기어(60)와 커버(10)의 사이에 설치될 경우, 저항 부여부는 장력전달 롤러(30)나 아이들 롤러(40)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저항 부여부는 헤드 박스 내에 있어서 회전축을 연직·수평·경사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70)에 형성되는 제1베이스 홈(76) 및 커버(10)에 형성되는 제1천벽홈(16)에 장력전달 롤러(30)의 축심(31)이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되어 있고, 장력전달 롤러(30)와 회전축이 일치하는 피니언 기어(50)가 링 기어(6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장력전달 롤러(30) 및 피니언 기어(50)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수단은 다른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일사차폐 장치>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일사차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일사차폐 장치(100)는, 일사차폐 부재(101)와 승강 코드(CD2)와 로크부(104)와 제동 장치(BD)와 코드(CD)와 하우징(106)(헤드 박스)과 고정 부재(107)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하우징(106)은 거의 직방체의 형상을 하고 있고 고정 부재(107)에 의해 벽 등에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106) 내에는 로크부(104), 제동 장치(BD)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일사차폐 부재(101)는 접음 자국이 있는 생지(生地)이며 상단이 하우징(106) 내에 고정됨으로써 현수 지지되어 있다. 일사차폐 부재(101)의 하단인 보텀 레일(101a)에는 한 조의 승강 코드(CD2)의 각각의 한쪽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승강 코드(CD2)는 하우징(106) 내에 인입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승강 코드(CD2)가 하우징(106) 내에 더 인입됨으로써 각각의 승강 코드(CD2)의 한쪽의 단부가 상승하고 일사차폐 부재(101)의 보텀 레일(101a)이 상승하여 일사차폐 부재(101)는 전체가 접어지면서 상승한다.
조작 코드인 코드(CD)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104), 제동 장치(BD)에 삽통된 상태에서 각각의 승강 코드(CD2)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 코드(CD2)가 2개이기 때문에 코드(CD)는 2개로 되고 한쪽의 코드(CD)가 한쪽의 승강 코드(CD2)에 연결되며 다른 한쪽의 코드(CD)가 다른 한쪽의 승강 코드(CD2)에 연결된다. 또한, 이와 같이 코드(CD)가 2개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코드(CD)의 한쪽은 제동 장치(BD)의 커버(10)에 있어서의 가이드 구멍(14a) 및 가이드 구멍(15a)에 삽통되고 코드(CD)의 다른 한쪽은 제동 장치(BD)의 커버(10)에 있어서의 가이드 구멍(14c) 및 가이드 구멍(15c)에 삽통된다. 또한, 각각의 코드(CD)와 승강 코드(CD2)는 매듭이나 이음매가 없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쪽의 코드(CD)와 한쪽의 승강 코드(CD2)가 1개의 코드로 이루어지고 다른 한쪽의 코드(CD)와 다른 한쪽의 승강 코드(CD2)가 1개의 코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크부(104)는 코드(CD)의 동작에 의해 코드(CD)를 움직이거나 록(lock)하거나 한다. 예를 들면, 코드(CD)를 연직 아래방향으로 당긴 상태에서 해당 연직 아래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작게 하면 코드(CD)를 잠그고, 코드(CD)를 경사진 아래 방향으로 당긴 상태에서 해당 경사진 아래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작게 해도 코드(CD)를 잠그지 않는 구성으로 된다.
제동 장치(BD)는 하우징(106) 내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전방이 승강 코드(CD2) 측을 향하고 후방이 로크부(104) 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일사차폐 부재(101)가 끝까지 하강한 상태, 즉 일사차폐 장치(100)의 닫힌 상태에서 한 조의 코드(CD)를 하측으로 끌어당기면 코드(CD)는 도 1에 나타내는 후방으로 당겨진다. 이 때, 아이들 롤러(40)와의 사이에 코드(CD)를 끼움 지지하는 장력전달 롤러(30)는 코드(CD)와의 마찰력에 의해 도 9에서 화살표B로 나타내는 회전 방향과 반대측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50)는 링 기어(60)의 내주를 다른 한쪽의 회전 방향측으로 이동하고,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가 이격한다. 때문에 코드(CD)를 작은 저항력으로 당길 수 있다. 코드(CD)가 끌리면 코드(CD)에 접속되는 각각의 승강 코드(CD2)가 하우징 내에 인입되어 일사차폐 부재(101)는 상승한다.
한편, 일사차폐 부재(101)가 끝까지 하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로크부(104)에 의해 코드(CD)가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 코드(CD)를 이격한다. 그러면 일사차폐 부재(101)는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때문에 승강 코드(CD2)는 하우징(106) 내로부터 인출된다. 따라서, 승강 코드(CD2)에 접속되는 코드(CD)는 제동 장치(BD)의 전방을 향해 당겨진다. 그러면, 도 9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코드(CD)에는 제동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일사차폐 부재(101)의 하강 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일사차폐 부재(101)의 하강 속도가 초과하는 것에 의한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일사차폐 장치(100)에 의하면, 일사차폐 부재(101)를 승강 가능하도록 하는 코드(CD)의 길이 방향의 이동에 대해 제동 장치(BD)에 의해 적절하게 제동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일사차폐 부재(101)가 자중에 의해 하강할 경우에도 일사차폐 부재(101)의 하강 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저항 부여부(RA)가 링 기어의 회전 시에 항상 링 기어(60)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회전 댐퍼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일사차폐 부재(101)의 하강 속도를 하강 초기부터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저항 부여부(RA)가 링 기어(60)이 소정의 회전속도 이상으로 될 경우에 링 기어(60)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원심 브레이크 등으로부터 이루어질 경우에는 일사차폐 부재(101)의 하강 초기에는 하강 속도를 억제하지 않고 해당 하강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될 경우에 하강 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동 장치(BD)를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코드(CD)를 강하게 당겨도 코드(CD)가 세차게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고 일사차폐 부재(101)가 과도한 힘으로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로서 기능하는 기구를 복수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피니언 기어(50)를 2개 이용한 브레이크와 유성 기어를 사용한 브레이크를 겹치도록 이용해도 된다. 따라서 보다 강고하게 코드(CD)의 이동에 대해 제동을 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사차폐 장치(100)에 대해 상기 실시 형태를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일사차폐 장치는 상기 실시 형태의 일사차폐 장치(100)와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사차폐 장치는 커튼 천이 권취되는 롤 커튼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슬랫(slat)이 승강하는 블라인드로 이루어져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걷어 올림 커튼, 플리트 스크린(Pleated screen), 롤업 스크린, 종형 블라인드, 커튼 레일(curtain rail), 아코디언 커튼, 종형 플리트 스크린, 종형 롤 스크린, 패널 커튼 등 코드를 이동시킴으로써 차폐 부재를 개폐시키는 구성의 모든 차폐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작용·효과>
제1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BD)에 의해 이하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1)장력전달 롤러(30)가 탄성체인 고무로 이루어지는 고무 롤러부(32)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코드(CD)를 확실하게 협착하면서 코드(CD)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당김 조작 시에 조작력을 저감하고 자동동작(자동강하) 시에 확실하게 코드(CD)를 협착하고 의도하지 않는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든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이하에 나타내는 시험은 제동 장치(BD)를 상술한 바와 같은 일사차폐 장치(100)에 장입하고 일사차폐 부재(101)를 승강시킴으로써 코드(CD)에 대한 제동 장치(BD)의 작용을 측정하고 있다.
<경도선택 시험>
먼저, 장력전달 롤러(30)의 고무 롤러부(32)의 적절한 경도를 선택하기 위해 실시예1-1 및 실시예1-2로서, 경도 70°과 경도 90°의 우레탄고무(PUR)로 장력전달 롤러(30)를 포함하는 협착체의 협착력과, 고무 롤러부(32)의 내구성과, 코드(CD)의 내구성(내마모성)에 관한 시험을 실시했다(표 1 참조). 여기에서 고무 경도는 듀로미터(스프링식 고무 경도계)에 의해 측정한 JIS K6253의 타입A(쇼어A)에 준거한다. 또한, 시험에서 고무 롤러부(32) 및 아이들 롤러(40)의 롤러부(42)의 직경은 5.5mm, 축의 직경은 각각 2.5mm로 하고 있다. 또한, 협착하는 코드(CD)는 3개로 하기 때문에 도 11과 다르게 일사차폐 장치(100)의 승강 코드(CD2)도 3개 있다. 또한, 시험체의 일사차폐 부재(101)의 치수는 W2000mmХH3000mm로 하고 하우징(106)을 제외하는 제품 중량은 약 4kg으로 했다.
실시예1-1 실시예2-1 비교예
평가항목 PUR 70° PUR 90° SUS(널링)
협착력 ×
롤러의 내구성 ×
코드의 내구성 ×
표 1의 평가 항목 중 협착력은, 3개의 코드(CD)가 균등하게 협착되고 코드(CD)의 이동에 대해 장력전달 롤러(30)가 3개의 코드(CD)에 균등하게 제동력을 주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일사차폐 부재(101)의 보텀 레일(101a)을 상한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까지 강하시킬 때에 보텀 레일(101a)이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 강하되는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시험을 실시했다. 이 시험을 5대의 시험 제작기로 각각 100회씩 실시하고 이하의 기준을 따라 평가했다.
○: 모든 시험에서 보텀 레일(101a)이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 강하되었다.
×: 1회 이상의 시험에서 보텀 레일(101a)이 경사했다.
롤러의 내구성은, 장력전달 롤러(30)가 코드(CD)에 제동력을 부여할 때 코드(CD)뿐만 아니라 롤러 측에도 코드(CD)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생길 수 있지만, 일정 회수 제동력을 부여했을 경우에도 마모로 의한 협착력의 저하가 억제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일사차폐 부재(101)의 보텀 레일(101a)을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의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시험을 실시하고, 보텀 레일(101a)의 하강에 대해 제동력이 부여된 회수에 의해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 제동력이 부여된 회수가 2000회 이상
○: 제동력이 부여된 회수가 500회 이상 2000회 미만
×: 제동력이 부여된 회수가 500회 미만
코드의 내구성은 장력전달 롤러(30)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한 코드(CD)의 마모를 평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일사차폐 부재(101)의 보텀 레일(101a)을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의 사이에 승강시키는 시험을 300회 실시한 후의 코드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 코드(CD)에 보풀 일기가 생기지 않고 코드(CD)의 중심이 노출하지 않았다.
×: 코드(CD)에 보풀 일기가 생겼거나 또는 코드(CD)의 중심이 노출했다.
표 1의 시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협착력 및 코드의 내구성은, 실시예1-1과 실시예1-2의 임의의 경도로도 비교예의 SUS보다 향상하고 있다. 다만, 롤러의 내구성에 대해서는 경도가 70°의 PUR보다도 경도 90°의 PUR의 내구성이 높았다. 따라서, 경도 90°의 PUR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재질선택 시험>
이어서 장력전달 롤러(30)의 고무 롤러부(32)의 재질을 선택하기 위해 실시예2-1~실시예2-5로서의 아크릴로니트릴부다티엔고무(NBR), 수소화 니트릴고무(HNBR),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PDM), 폴리염화비닐(PVC), 우레탄고무(PUR) 및 비교예로서의 널링 가공한 스테인리스강(SUS)에 대해 상술한 협착력과 고무 롤러부(32)의 내구성과 코드(CD)의 내구성(내마모성)의 시험을 실시했다(표 2 참조). 한편, 실시예2-5의 PUR은 경도선택 시험에서의 경도 90°의 PUR(실시예1-2)과 동일하다. 또한, 시험에서 고무 롤러부(32) 및 아이들 롤러(40)의 롤러부(42)의 직경은 각각 5.5mm, 축의 직경은 각각 2.5mm, 협착하는 코드(CD)는 3개로 하고 이것은 경도선택 시험에서의 조건과 동일하다.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실시예2-5 비교예
평가항목 NBR HNBR EPDM PVC PUR SUS(널링)
협착력
롤러의
내구성
× × ×
코드의
내구성
×
표 2의 시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2-1~실시예2-5의 고무 롤러부(32)는 모두 널링이 형성된 SUS의 롤러보다도 협착력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코드의 내구성도 실시예2-1~실시예2-5의 고무 롤러부(32)에서 모두 SUS의 롤러보다 향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롤러의 내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1~3에 대해 실시예4의 PVC 및 실시예5의 PUR이 내구성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PUR의 내구성이 보다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1~실시예5 중에서는 실시예5의 PUR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제2실시 형태
이어서 도 12~도 2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000)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000)는 코드의 이동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인 점에 있어서는 제1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BD)와 공통되지만 그 기구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1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BD)에서는 운동 변환부(DT)와 저항 부여부(RA)가 거의 수평면 상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제2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000)에서는 운동 변환부(DT)에 상당하는 기구와 저항 부여부(RA)에 상당하는 기구가 거의 수직되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점이 다르다. 여기에서 제2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더(20), 코일 스프링(SP), 축심(31)과 고무 롤러부(32)로 이루어지는 장력전달 롤러(30), 축심(41) 및 롤러부(42)로 이루어지는 아이들 롤러(40), 내치(內齒)가 달린 캐리어(260), 유성 기어(280) 및 케이스(10A)의 일부가 운동 변환부(DT)를 구성하고 웨이트(340),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 워셔(washer)(241), 베이스(70) 및 케이스(10A)의 일부가 저항 부여부(RA)를 구성한다. 이하,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2-1 <제동 장치의 전체구성>
도 12는 제2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2실시 형태에서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협착부재가 코드를 협착하는 협착체에 해당한다. 또한, 슬라이더(20)가 제1실시 형태의 슬라이더(20)에 해당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시 형태에서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에 4개의 유성 기어(280)가 설치되며 선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에 8개의 웨이트(340)가 유지된다. 이하, 각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2-1-1 <정렬 부재(200)>
도 13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렬 부재(200)는 코드(CD)를 삽통하고 코드(CD)의 방향을 정리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코드(CD)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것이다. 정렬 부재(200)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의 방향을 각각 전후, 좌우, 상하로 한다. 즉, 제1천벽홈(16)과 제2천벽홈(17)의 거리가 좁아지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좌우 방향(폭방향), 상하 방향을 정한다.
정렬 부재(20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거의 직방체의 프레임(200a)의 전방 및 후방으로 코드(CD)를 삽입하는 거의 구형의 삽입부(201)가 2개씩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3개의 코드(CD)가 삽입부(201) 및 삽입부(201)의 상부로 통함으로 코드(CD)가 상하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한 쌍의 협착부재에 협착되게 된다.
2-1-2 <케이스(10A)>
이어서 도 12~도 14 및 도 18(a), (b)를 이용하여 케이스(10A)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스(10A)는 베이스(70)와 함께 하우징을 구성하고, 그 내부에 슬라이더(20), 코일 스프링(SP), 축심(31)과 고무 롤러부(32)로 이루어지는 장력전달 롤러(30), 축심(41) 및 롤러부(42)로 이루어지는 아이들 롤러(40), 피니언 기어(50), 축심(31), 워셔(241),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 유성 기어(280), 플레이트(300),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 및 웨이트(340)를 유지한다.
또한, 케이스(10A)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베이스(70)와 함께 제동 장치(1000)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 및 웨이트(340)와 함께 저항 부여부(RA)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A)는 외형이 거의 정방형의 천벽부(11)와 전측벽부(12f)와, 전측벽부(12f) 및 천벽부(11)에 연결되는 우측벽부(12r) 및 좌측벽부(12l)와, 우측벽부(12r) 및 좌측벽부(12l)에 각각 연결되는 후 측벽부(12b)와, 천벽부(11)에 대향하며 전측벽부(12f), 후측벽부(12b), 전측벽부(12f) 및 좌측벽부(12l)로부터 직경 방향 측을 향해 연장되는 악부(13)와, 악부(13)에 연결되는 원통부(13C)와, 원통부(13C)에 연결되는 커버부(112)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전측벽부(12f) 및 후측벽부(12b)에는 가이드 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가이드 홈(113)은 서로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이 가이드 홈(113)은 코드(CD)가 전후 방향으로 삽통되기 위한 홈이다. 여기에서 가이드 홈(113)에 삽통하는 코드(CD)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2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코드(CD)가 세로방향으로 삽통된 예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도 13 참조).
또한, 좌우의 측벽부(12r, 12l) 상방에는 지지홈(114)이 설치된다. 지지홈(114)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A)가 슬라이더(20)를 내부에 유지할 때 슬라이더(20)에 설치되는 돌기(230)를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더(20)를 그 저부를 띄운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천벽부(11)에는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천벽홈(16)과 제2천벽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제1천벽홈(16) 및 제2천벽홈(17)은 각각 코드(CD)의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코드(CD)의 한쪽의 길이 방향인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제1천벽홈(16)과 제2천벽홈(17)의 거리가 작아지게 되어 있다. 또한, 제1천벽홈(16)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협착 안내 사면(16a), 해제 안내 사면(16b), 협착측 규제면(16c) 및 해제측 규제면(16d)에 의해 내주면이 형성된다. 제1천벽홈(16)의 원호는, 도 16에 나타내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의 내주면과 평면에서 볼 때 동심원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된다(도 14참조). 한편, 제2천벽홈(17)은 완만한 커브를 그린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협착 안내 사면(17a), 해제 안내 사면(17b), 협착측 규제면(17c) 및 해제측 규제면(17d)에 의해 내주면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천벽홈(17)은 전방측이 거의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방을 향함에 따라 제1천벽홈(16)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다(도 14 참조). 이것은 제2천벽홈(17)을 거의 직선 형상으로 했을 경우, 제1천벽홈(16)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코드(CD)에 가까워지는 것과 같은 원호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축심(31) 및 축심(41)이 각각 제1천벽홈(16) 및 제2천벽홈(17)에 따라 이동할 때에 코드(CD)에 대한 수직방향의 변위가 축심(31)과 축심(41)에서 다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한쪽이 원호인 것에 비해 다른 한쪽이 거의 직선 형상이면 전후 방향에서 코드(CD)에의 수직거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축심(31) 및 축심(41)의 코드(CD)의 연직방향에 대한 변위를 근접시킴으로써, 고무 롤러부(32) 및 롤러부(42)가 적절하게 코드(CD)를 협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2천벽홈(17)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천벽홈(16)과 거의 동일한 형상의 홈을 코드(CD)측을 향해 만곡하는 배치로 해도 된다. 따라서, CD에 대한 연직방향의 변위를 축심(31)과 축심(41)에서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코드(CD)의 마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2실시 형태에서는 CD에 대한 연직방향의 변위를 축심(31)과 축심(41)에서 될수록 동일하게 하는 이외에 다른 부재의 이동 등에 의한 상호 작용 등을 고려하여 도 14(a)에 나타내는 형상을 사용했다.
제1천벽홈(16)의 가장자리에는 도 14(a), 도 18(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A)의 평면에서 볼 때 제1천벽홈(16)에 있어서의 케이스(10A)의 외측의 가장자리, 즉 협착 안내 사면(16a)에 따른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 제1천벽홈(1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제1가이드 벽(16A)이 설치된다. 제2실시 형태에서는 제1가이드 벽(16A)은 제1천벽홈(16)에 대해 거의 90도가 되도록 설치된다. 제1가이드 벽(16A)은 제1천벽홈(16)에 따라 이동하는 축심(31)의 면압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제1가이드 벽(16A)을 설치하고 축심(31)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축심(31)의 면압을 저감하는 것이다. 이것은 코드(CD)에 장력이 부여되어 제동 장치(1000)가 작용하고 있는 사이에는 축심(31)의 면압이 제1천벽홈(16)의 내면에 가해지고 있어, 이러한 면압에 의해 제1천벽홈(16)의 내면이 깎이면 고무 롤러부(32)와 롤러부(42)의 간격이 변화되고 코드(CD)의 협착이 불안정해져 고무 롤러부(32)에의 회전 전달이 불충분해지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제1가이드 벽(16A)을 설치함으로써 축심(31)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케이스(10A)가 깎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가이드 벽(16A)의 두께는 임의로 할 수 있지만 케이스(10A)의 소재, 축심(31)의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계하면 된다.
또한, 제2천벽홈(17)에 있어서의 케이스(10A)의 외측의 가장자리에 따른 위치에도 그 적어도 일부에 제2천벽홈(17)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제2가이드 벽(17A)이 설치된다. 제2가이드 벽(17A)은 제2천벽홈(17)에 대해 거의 90도가 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 제2가이드 벽(17A)에 의해, 축심(41)의 면압을 저감할 수 있고 따라서 축심(41)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케이스(10A)가 깎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2가이드 벽(17A)의 두께는 임의로 할 수 있지만 케이스(10A)의 소재, 축심(41)의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계하면 된다.
한편, 케이스(10A)를 금속 등의 강고한 재료로 성형했을 경우에는 제1가이드 벽(16A) 및 제2가이드 벽(17A)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은 케이스(10A)가 견고하기 때문에 축심(31) 및 축심(41)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케이스(10A)가 거의 깎이지 않기 때문이다.
악부(13)는, 도 13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벽부(11)에 대향하고 전측벽부(12f), 후측벽부(12b), 전측벽부(12f) 및 좌측벽부(12l)로부터 직경 방향 측을 향해 연장되는 부위이며, 제2실시 형태에서는 거의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원통부(13C)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악부(13)에 연결되며 내주 기어(115)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2실시 형태에서는 원통부(13C)는 거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버부(112)는 원통부(13C)에 연결되고 베이스(70)와 감합하는 부위이다. 제2실시 형태에서는 커버부(112)의 외연은 거의 정방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버부(112)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측면의 양단에 각각 2개의 제1계합홈(111A)이 설치된다. 그리고, 전단부의 양단에 2개의 제2계합홈(111B)이 설치되며 후단부의 거의 중앙에 1개의 제2계합홈(111B)이 설치된다. 제1계합홈(111A)은 도 15에 나타내는 베이스(70)의 제1계합판부(701A)와 계합하는 것이다. 또한, 제2계합홈(111B)는 베이스(70)의 제2계합판부(701B)와 계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스(10A)와 베이스(70)이 계합되어 하우징을 형성한다.
또한, 케이스(10A)의 내부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성 기어(280)와 치합하는 링 형상의 내주 기어(115)가 형성된다.
2-1-3 <슬라이더(20)>
이어서 도 15 및 도 22를 이용하여 슬라이더(20)에 대해 설명한다. 슬라이더(20)는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를 내부에 유지하는 동시에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와 함께 이동한다. 슬라이더(20)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 형태의 것과 거의 동일하며 천벽부(21), 후측벽부(22), 전측벽부(24) 및 저벽부(23)를 구비한다. 또한, 천벽부(21)에는 한 쌍의 홈인 제1천벽홈(26) 및 제2천벽홈(27)이 형성되고 천벽부(21)에는 이들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제1저벽홈(28) 및 제2저벽홈(29)이 형성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벽부(21)에는 그 네 모퉁이에 천벽부(21)의 좌우에 돌출하도록 돌기(230)가 설치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230)는 케이스(10A)의 지지홈(114)에 수납되며 케이스(10A)의 내부에 슬라이더(20)를 뜬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슬라이더(20)가 하방으로 위치하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와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슬라이더(20)를 케이스(10A) 내부에서 뜬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때문에, 슬라이더(20)와 다른 부품, 예를 들면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 등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저항력을 저감 또는 제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부재의 소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측벽부(24) 및 후측벽부(22)에는 각각 관통공(22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25)은 전측벽부(24) 및 후측벽부(22)의 폭방향의 거의 중앙에서 전측벽부(24) 및 후측벽부 (22)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구멍의 형상은 임의로 할 수 있지만 적어도 코드(CD) 1개가 삽통 가능한 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코드(CD)가 세로 방향으로 정렬한 상태에서 삽통 가능한 형상이다. 한편, 제2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긴 거의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측벽부(22)에는 관통공(225)의 양옆에 후측벽부(22)의 외측면으로부터 형성되는 요부(231, 凹部)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231)의 형상은 임의이며 같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225)으로부터 측면측에 걸쳐 노칭된 형상이어도 되고 거의 원형, 거의 구형의 요면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제2실시 형태에서는 좌측의 요부(231) 내에 코일 스프링(SP)이 배치되고 있고 코일 스프링(SP)의 일단은 요부(23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동 장치(1000)의 조립 시에 케이스(10A)의 후방의 내벽과 당접하고 슬라이더(20)를 전방으로 부세한다. 한편, 도 15(b)에서는 코일 스프링(SP)의 요부(23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생략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슬라이더(20)가 케이스(10A)의 공간 내에 배치되면, 슬라이더(20)의 천벽부(21) 및 저벽부(23)의 측면이 케이스(10A)의 폭방향에서 내벽면에 당접하고, 슬라이더(20)는 케이스(10A)에 대해 폭방향으로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10A)의 가이드 홈(113)과 슬라이더(20)의 관통공(225)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나열된다. 즉, 관통공(225)은 코드(CD)를 슬라이더(20) 내에 삽통하기 위한 구멍이다. 한편, 슬라이더(20)가 케이스(10A)의 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0)와 케이스(10A)의 내벽면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극이 생기고 슬라이더(20)는 케이스(10A)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20)가 케이스(10A)의 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0)의 후측벽부(22)의 요부(231)로부터 돌출하는 코일 스프링(SP)이 케이스(10A)의 후방의 내벽(15d)을 압압한다. 따라서, 슬라이더(20)가 케이스(10A)의 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0)는 전방 측에 위치하고 케이스(10A) 내에서 전방으로 압압된 상태로 된다.
2-1-4 <장력전달 롤러(30), 아이들 롤러(40) 및 피니언 기어(50)>
이어서 도 12, 도 16 및 도 20을 이용하여 한 쌍의 협착 부재의 한쪽인 장력전달 롤러(30), 한 쌍의 협착 부재의 다른 한쪽인 아이들 롤러(40) 및 피니언 기어(50)에 대해 설명한다. 아이들 롤러(40)는 롤러부(42) 및 축심(41)으로 구성된다. 아이들 롤러(40)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제1실시 형태에서 설명했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고무 롤러부(32)도 제1실시 형태의 고무 롤러부(32)와 동일한 것이고 고무 롤러부(32)의 중심에는 축심(31)의 일단이 삽입되며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감합된다. 다만 축심(31)과 고무 롤러부(32)를 아웃서트 성형에 의해 압입해도 되고 또는 임의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는 상기의 수법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2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의 원주면에는 표층부가 조면화된 마찰 증강부(31f)가 설치되고 고무 롤러부(42)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증강하고 있다. 표층부를 조면화하기 위해서는 블라스트 가공에 의해 미세한 흠을 냄으로써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세한 흠은 불규칙하게 형성되지만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층부를 다이아몬드 널링이나 그물코의 널링 형상으로 하는 것이나 표층부를 스트라이프 형상, 점선 형상, 파선 형상, 이지(梨地)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마찰 증강부(31f)는 고무 롤러부(32)를 배치하는 범위(도 26(a)의 L1참조)보다 짧은 범위(도 26(a)의 L2참조)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축심(31)의 타단에는 피니언 기어(50)가 삽입되어 있다. 고무 롤러부(32)의 재질로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수소화 니트릴고무(HNBR),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PDM), 폴리염화비닐(PVC), 우레탄고무(PUR)가 호적하고 우레탄고무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호적하다. 또한, 고무의 경도는 8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95° 이하이다.
제1실시 형태와 같이 장력전달 롤러(30)의 고무 롤러부(32) 및 아이들 롤러(40)의 롤러부(42)는 슬라이더(20)의 내부에 유지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50)는 슬라이더(20)의 외부에 유지된다. 여기에서, 도 17을 이용하여 고무 롤러부(32), 슬라이더(20) 및 피니언 기어(50)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제2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000)의 좌측면으로부터 본, 축심(31)의 거의 중심을 통하는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장치(1000)의 조립 시에 고무 롤러부(32)와 피니언 기어(50)로 슬라이더(20)의 저벽부(23)를 끼우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실시 형태에서는 피니언 기어(50)와 슬라이더(20)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기 위해 피니언 기어(50)에 단차(51)가 설치된다. 따라서, 축심(31)을 통하여 고무 롤러부(32) 및 피니언 기어(50)가 일체 회전할 때에 피니언 기어(50)와 슬라이더(20)의 사이의 접동(摺動)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동작을 순조롭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제2실시 형태에서는 피니언 기어(50)의 하측에 있어서, 워셔(241)(도 12 참조)를 축심(31)에 감합시키고 있다.
2-1-5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 및 유성 기어(280)>
이어서 도 16 및 도 19을 이용하여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 및 유성 기어(280)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 형태에서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는 평면에서 볼 때 거의 도넛(donut) 형상이다. 내치가 갈린 캐리어(260)는 원기둥부(264)로부터 평면시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262)를 구비한다.
원기둥부(264)의 내측의 내주면에는 피니언 기어(50)와 치합하는 내치 기어(261)가 형성된다. 내치 기어(261)는 제1실시 형태에서의 내주 기어(61)에 상당한다. 그리고 플랜지(262)에는 연직방향에서 아래로 향하여 돌출하는 지지축(263)이 형성된다. 지지축(263)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등간격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제2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지지축(263)이 4개 설치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축(263)에는 각각 유성 기어(28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유성 기어(280)는 후술하는 선 기어(323)와 케이스(10A)의 내부에 설치된 내주 기어(115)와 서로 치합한다. 그리고, 내치 기어(261)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공전(公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50)의 회전이 내치 기어(261)에 전달됨으로써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가 회전하고 거기에 따라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의 플랜지(262)에 설치된 지지축(263)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유성 기어(280)가 회전함으로써 피니언 기어(50)에 기인하는 회전을 증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1-6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 및 웨이트(340)>
이어서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 및 웨이트(340)에 대해 도 12 및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는 링 형상의 링부(324)의 외방을 향해 철부(321) 및 요부(322)가 번갈아 나열되어 형성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부(324)의 외측의 외주면에는 유성 기어(280)와 치합하는 선 기어(323)가 회전축이 철부(321)의 연장방향과 거의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요부(322)에는 웨이트(340)가 배치된다. 즉,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는 제동 장치(1000)의 조립 시에 있어서 철부(321)를 경계로서 각각의 요부 (322) 내에 웨이트(340)를 유지하는 부재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웨이트(340)의 개수는 임의이지만 회전 시에 있어서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등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8개의 웨이트(340)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철부 (321) 및 요부(322)도 각각 8개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웨이트(340)에는 베이스(70)측에 돌기(341)가 설치된다. 이러한 돌기(341)에 의해 베이스(70)와 당접할 때에 있어서의 저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돌기(341)의 개수는 임의이지만 제2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4개의 돌기(341)를 설치하고 있다.
웨이트(340)는 피니언 기어(50)에 기인하는 회전시에 원심력에 의해 내치 기어(261)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케이스(10A)의 내주벽과 당접함으로써 회전에 대해 원심 브레이크로서 저항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스(10A)의 내주벽,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 및 웨이트(340)에 의해 제1실시 형태의 저항 부여부(RA)와 동등한 작용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2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000)에서는 운동 변환부(DT)에 상당하는 기구와 저항 부여부(RA)에 상당하는 기구가 거의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된다.
한편, 제동 장치(1000)의 조립 시에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와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가 플레이트(300)를 통해 조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의 원기둥부(264)를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의 링부(324)에 삽입하도록 조립한다. 따라서, 원기둥부(264)의 직경은 링부(324)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 설계된다.
여기에서, 플레이트(300)는 유성 기어(280)의 경사를 방지하는 동시에 유성 기어(280)와 웨이트(340)의 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웨이트(340)는 제동 장치(1000)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될수록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레이트(300)는 얇개 형성하기 위해 금속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술적으로 가능할 경우에는 플레이트(300)를 수지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선 기어(323)와 일체 형성으로 해도 된다.
2-1-7 <베이스(70)>
이어서 도 12, 도 14(b) 및 도 15을 이용하여 베이스(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70)의 거의 중앙에는 주위보다 부피가 크게 되어 있고 하측이 오목하게 되어 있는 원기둥부(708)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기둥부(708)의 표면에 제1베이스 홈(706), 제1가이드 벽(706A), 제2베이스 홈(707), 제2가이드 벽(707A)이 설치된다.
제1베이스 홈(706) 및 제1가이드 벽(706A)은 각각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1천벽홈(16) 및 제1가이드 벽(16A)에 상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축심(31)의 하단이 제1베이스 홈(706)을 삽통하여 그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가이드 벽(706A)과 당접한다. 동일하게, 제2베이스 홈(707) 및 제2가이드 벽(707A)은 각각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2천벽홈(17) 및 제2가이드 벽(17A)에 상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축심(41)의 하단이 제2베이스 홈(707)을 삽통하여 그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가이드 벽(707A)과 당접한다.
한편, 원기둥부(708)는 필수적이지 않지만 원기둥부(708)를 설치하는 등으로 하측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축심(31) 및 축심(41)의 하단이 제동 장치(1000)를 재치하는 재치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축심(31) 및 축심(41)의 하단을 적절하게 삽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70)는 좌우의 측면의 양단에 각각 2개의 제1계합판부(701A)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의 측면의 양단에 2개의 제2계합판부(701B)가 설치되며 후방의 측면의 거의 중앙에 1개의 제2계합판부(701B)가 설치된다. 제1계합판부(701A)는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1계합홈(111A)과 계합하는 것이다. 또한, 제2계합판부(701B)는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2계합홈(111B)과 계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스(10A)와 베이스(70)가 계합되어 하우징을 형성한다.
또한,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70)의 저면의 외측에는 차폐 장치의 헤드 박스(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우징(106)에 상당) 내에 제동 장치(1000)를 배치할 때에 사용하는 설치통(702)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헤드 박스 내에 설치된 축 등의 부재에 설치통(702)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동 장치(1000)를 헤드 박스 내에서 안정하게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2 <조립구성>
이어서 이들의 각 부재를 조립한 상태에 대해 도 12~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이들 부재를 조합시켜 구성된 제동 장치(1000)의 조립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장치(1000)의 외관은 케이스(10A) 및 베이스(70)가 연결된 하우징과 케이스(10A)의 상방으로부터 씌우도록 하여 배치된 정렬 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립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부재끼리의 중심축을 상하 방향으로 겹치게 한 상태에서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와 웨이트(340)를 유지한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가 플레이트(300)를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에 설치된 유성 기어(280)와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에 설치된 선 기어(323)가 서로 치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슬라이더(20)의 제1천벽홈(26) 및 제1저벽홈(28)에 축심(31)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슬라이드시킨다. 이 때, 고무 롤러부(32)는 슬라이더(20)의 내부에, 피니언 기어(50)는 슬라이더(2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천벽홈(227) 및 제2저벽홈(229)에 축심(41)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슬라이드시킨다. 이 때, 롤러부(42)가 슬라이더(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에 설치된 내치 기어(261)와 피니언 기어(50)가 서로 치합하도록 슬라이더(20)와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가 서로 근접하도록 상대 이동시킨다.
그 후, 이 부재의 하측에 베이스(70)를 배치하고 케이스(10A)를 상방으로부터 씌운다. 그리고,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1계합홈(111A) 및 제2계합홈(111B)과, 베이스(70)에 설치된 제1계합판부(701A) 및 제2계합판부(701B)를 서로 계합시키고 케이스(10A)와 베이스(70)를 고정하고 마지막으로 케이스(10A) 및 베이스(70)로 구성되는 하우징의 상방으로부터 정렬 부재(200)를 씌운다. 정렬 부재(200)는 예를 들면 정렬 부재(200)에 설치된 클로부와 케이스(10A)에 설치된 계합공을 계합시킴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조립된 제동 장치(1000)를 도 13에 나타낸다. 그리고, 제동 장치(1000)의 조립이 완료한 후, 3개의 코드(CD)를 정렬 부재(200)의 삽입부(201)와 삽입부(201)의 상부, 케이스(10A)의 전후에 설치된 가이드 홈(113) 및 슬라이더(20)의 전후에 설치된 관통공(225)에 통과시킨다. 따라서, 도 13(a), (b)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도 13(c)는 제동 장치(1000)의 좌측면도, 즉 도 13(a)의 화살표X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장치(1000)는 측면시에서 상측으로부터 케이스(10A), 정렬 부재(200), 베이스(70)가 시인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지지홈(114)에 의해 돌기(230)가 지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장치(1000)는 그 평면에서 볼 때 중심으로부터 케이스(10A), 정렬 부재(200), 베이스(70)의 일부의 순서대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3(a), (b) 및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의 상단이 슬라이더(20)에 설치된 제1천벽홈(26)으로부터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1천벽홈(16)을 삽통하여 케이스(10A)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동일하게 축심(41)의 상단이 슬라이더(20)에 설치된 제2천벽홈(227)으로부터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2천벽홈(17)을 삽통하여 케이스(10A)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이렇게 축심(31, 41)이 커버(10)의 외부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축심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협착 부재인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가 코드(CD)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는 경우에도 코드(CD)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천벽홈(16)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1가이드 벽(16A)이 축심(31)과 당접하고 제2천벽홈(17)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2가이드 벽(17A)이 축심(41)과 당접하고 있다.
또한,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70)는 그 저면시에 있어서 제1베이스 홈(706)에 삽통된 축심(31)의 하단과 제2베이스 홈(707)에 삽통된 축심(41)의 하단을 시인할 수 있다. 한편, 설치통(702)이 설치되는 면에 있어서 원기둥부(708) 위를 면으로 씌움으로써 축심(31) 및 축심(41)의 하단이 외부로부터 씌워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2-2-2 <조립상태에서의 내부구조>
이어서 도 15, 도 16및 도 19를 이용하여 조립상태에서의 내부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도 13의 상태로부터 정렬 부재(200) 및 케이스(10A)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20)의 상방에 축심(31) 및 축심(41)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축심(31)은 제1천벽홈(26) 내에 있어서 슬라이더(20)의 폭방향으로 움직임이 규제된다. 동일하게 축심(41)은 제2천벽홈(227) 내에 있어서 슬라이더(20)의 폭방향으로 움직임이 규제된다. 한편,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코드(CD)는 슬라이더(20)의 관통공(225)에 세로로 정렬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0)의 전후 방향으로 삽통된다.
도 16은 도 15의 상태로부터 슬라이더(20)를 더 떼어낸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시를 생략한 코드(CD)는 고무 롤러부(32) 및 롤러부(42)에 협착된 상태에서 제동 장치(1000)의 전후에 삽통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50)와 내치 기어(261)는 서로 치합하고 있다. 그리고, 코드(CD)에 장력이 가해졌을 때에 코드(CD)와 고무 롤러부(32) 사이에 마찰력이 생기고 그것에 의해 고무 롤러부(32)와 일체로 되어 피니언 기어(50)가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50)의 회전이 내치 기어(261)에 전달된다. 결과, 내치 기어(261)가 자전함으로써,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와 함께 그 플랜지(262)에 설치되는 지지축(263)도 공전한다. 거기에 따라 지지축(263)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유성 기어(280)가 자전하면서 공전을 시작한다.
그리고,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성 기어(280)와 선 기어(323)는 서로 치합하고 있다. 따라서, 유성 기어(280)의 회전이 선 기어(323)에 전달되어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가 자전을 시작한다. 결과,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의 요부(322)에 유지된 웨이트(340)(도 12 참조)가 자전을 시작한다. 그리고, 회전속도가 어떤 일정 값을 초과하면 원심력에 의해 웨이트(340)가 케이스(10A)의 내벽과 당접한다. 따라서, 고무 롤러부(32)의 회전에 대해 저항력이 생긴다.
이어서 도 19 및 도 20을 이용하여 조립상태에서의 각 부재 사이의 상대 위치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9는 도 13(c)의 A-A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을 중심으로 하는 피니언 기어(50)와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에 설치되는 내치 기어(261)가 서로 치합하고 있다. 또한, 내치 기어(261)의 회전은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의 지지축(263)을 통하여 유성 기어(280)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280)는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에 설치된 선 기어(323) 및 케이스(10A)의 내부에 설치된 내주 기어(115)와 서로 치합한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50)에 기인하는 회전이 가해짐으로써, 유성 기어(280)는 선 기어(323)와 내주 기어(115)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를 내치 기어(261)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공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0은 도 14(a)의 B-B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시 형태에서는 B-B선 절단부 단면도는 설치통(702)을 중심으로 하여 거의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축심(31) 및 축심(41)이 케이스(10A)의 상단 및 베이스(7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한편, 제2실시 형태에서는 제1가이드 벽(16A) 및 제2가이드 벽(17A)의 상단이 각각 축심(31) 및 축심(41)의 상단과 거의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무 롤러부(32) 및 롤러부(42)가 슬라이더(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고무 롤러부(32)와 함께 슬라이더(20)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50)가 슬라이더(20)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50)와 내치 기어(261)가 서로 치합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10A)의 상측으로부터 악부(13)에 걸쳐 정렬 부재(200)로 씌워져 있다. 또한, 케이스(10A)는 그 하단에서 베이스(70)와 계합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70)의 상부에는 웨이트(340)가 유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2실시 형태에서는 웨이트(340)를 착탈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제동력을 웨이트(340)의 개수 또는 종류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큰 제동력이 요구될 경우에는 웨이트(340)의 개수를 늘리거나 다른 밀도가 보다 높은 웨이트를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에 유지하면 된다. 한편, 작은 제동력으로 충분할 경우에는 웨이트(340)의 개수를 절감하면 된다. 한편, 웨이트(340)는 회전 시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에 유지되는 면에 있어서 대칭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웨이트(340)에 설치된 돌기(341)와 베이스(70)의 저면이 당접함으로써, 회전 시의 웨이트(340)와 베이스(70)의 사이의 저항력을 저감하고 있다.
2-3 <동작>
이어서 도 21을 이용하여 제2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0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a)는 코드(CD)에 아무런 장력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정상(定常)상태), 도 21(b)는 코드(CD)에 장력이 가해져 고무 롤러부(32) 및 롤러부(42)로 코드(CD)가 협착된 상태(협착상태), 도 21(c)는 도 21(a)로부터 도 21(b)로 상태 변화할 때의 각 부재의 회전 방향을 정리한 도면이다. 한편, 도 21(a), (b)는 모두 도 19과 마찬가지로 도 13(c)의 A-A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설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단면도에는 나타내지 않은 롤러부(42)의 외주를 축심(41)의 주위에, 고무 롤러부(32)의 외주를 축심(31)의 주위에 겹쳐서 표시했다. 한편, 고무 롤러부(32)의 외주는 엄밀하게는 원형이 아니지만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원형에 근사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2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상태에서 상술한 것처럼 코일 스프링(SP)은 케이스(10A)의 후방의 내벽(도 30참조)과 당접하고 슬라이더(20)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슬라이더(20)는 케이스(10A)의 전방에 위치한다. 때문에, 슬라이더(20)의 제1천벽홈(26) 및 제1저벽홈(28)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어 있는 축심(31)과 제2천벽홈(227) 및 제2저벽홈(229)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어 있는 축심(41)이 슬라이더(2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더(20)의 상부에 유지되는 케이스(10A)에 설치된 제1천벽홈(16)과 제2천벽홈(17)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서로 거리가 작아지게 되어 있다. 동일하게, 베이스(70)에 설치된 제1베이스 홈(706) 및 제2베이스 홈(707)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거리가 작아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축심(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롤러부(42)와, 축심(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고무 롤러부(32)와의 거리도 작아진다. 즉, 제1천벽홈(16) 및 제1베이스 홈(706)은 고무 롤러부(32)의 축심(31)이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하고, 고무 롤러부(32)가 홈에 따르지 않는 움직임을 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홈으로서 기능한다. 동일하게, 제2천벽홈(17) 및 제2베이스 홈(707)은 롤러부(42)의 축심(41)이 이동 가능하도록 감합하고 롤러부(42)가 홈에 따르지 않는 움직임을 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홈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1천벽홈(16) 및 제1베이스 홈(706)은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의 내주면의 중심점과 평면시에 있어서 동심원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축심(31)이 각각의 홈 내를 이동해도 피니언 기어(50)는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에 설치된 내치 기어(261)에 계속하여 치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무 롤러부(32)와 롤러부(42)의 거리가 작아지면 고무 롤러부(32)는 롤러부(42)에 가압되어 고무 롤러부(32)와 롤러부(42)로 코드(CD)가 끼움 지지된다. 즉, 제2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SP)은 고무 롤러부(32)가 롤러부(42)에 가압되도록 슬라이더(20)를 통해 고무 롤러부(32)를 상시 부세하는 부세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한편, 코드(CD)가 고무 롤러부(32)와 롤러부(42)로 끼움 지지된 상태에서 코드(CD)의 직경만큼 고무 롤러부(32)와 롤러부(42)가 이격한다. 때문에, 제1천벽홈(16) 및 제2천벽홈(17)의 구조 및 제1베이스 홈(706) 및 제2베이스 홈(707)의 구조에 의해 케이스(10A)는 약간 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정상상태의 제동 장치(1000)에 있어서 코드(CD)에 화살표D1의 방향(전방)으로 장력을 부여했다고 하자. 그러면 코드(CD)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고무 롤러부(32)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롤러부(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고무 롤러부(32)를 구비한 장력전달 롤러(30) 및 롤러부(42)를 구비한 아이들 롤러(40)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코드(CD)에 당접함으로써 코드(CD)의 길이 방향의 이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고무 롤러부(32)의 회전에 의해 같은 축심(31)을 공유하여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50)도 고무 롤러부(32)와 같은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자전)한다. 이 경우,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 및 축심(41)은 평면에서 볼 때 전방으로 이동하고, 케이스(10A)의 제1천벽홈(16)의 협착 안내 사면(16a) 및 제2천벽홈(17)의 협착 안내 사면(17a)으로 각각 안내됨으로써 좌우 방향에서 서로 근접하고, 고무 롤러부(32)와 롤러부(42)에 의한 코드(CD)의 협착력이 강해져 코드(CD)의 이동에 따라 고무 롤러부(32)가 확실하게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피니언 기어(50)는 내치 기어(261)와 치합하고 있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50)의 치(?)로부터 부여되는 힘에 의해 내치 기어(26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자전)한다. 따라서, 내치 기어(261)와 함께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자전)하기 때문에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에 설치된 유성 기어(280)도 동일하게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공전)한다. 여기에서, 유성 기어(280)는 선 기어(323) 및 케이스(10A)에 의해 고정된 내주 기어(115)와 서로 치합하고 있기 때문에 공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자전하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유성 기어(280)의 내측에서 유성 기어(280)와 치합하는 선 기어(323)는 유성 기어(280)의 자전과 반대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자전)한다. 이 때, 유성 기어(280)에 의해 선 기어(323)의 회전은 증속된다. 따라서, 선 기어(323)와 함께 회전하는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에 유지되는 웨이트(340)도 회전을 시작한다. 한편, 이미 말한 바와 같이, 유성 기어(280)의 외측에서 유성 기어(280)와 치합하는 내주 기어(115)는 케이스(10A)와 베이스(70)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성 기어(280)의 회전 시에도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 롤러부(32)와 롤러부(42)가 한계까지 근접(협착상태)하면, 고무 롤러부(32)의 자전은 계속되지만 고무 롤러부(32)의 내치 기어(261)에 따른 이동이 정지한다. 이 때, 고무 롤러부(32)의 자전에 기인한 다른 부재의 회전은 계속된다. 그러면 원심력에 의해 웨이트(340)가 케이스(10A)의 내주벽에 당접함으로써 회전에 대해 저항력이 생긴다. 즉, 코드(CD)의 이동 속도가 상승함으로써 회전속도가 상승하고 따라서 원심력이 상승한다. 그리고, 원심력이 상승함으로써 웨이트(340)가 케이스(10A)의 내주벽에 의해 강하게 당접하게 되고 저항력이 상승한다. 따라서, 코드(CD)의 이동 속도(일사차폐 부재의 낙하 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코드(CD)에 가해지는 장력이 거의 일정한 경우(예를 들면, 제1실시 형태의 도 11에서 제동 장치(1000)의 전방 측의 코드(CD)에 승강 가능하도록 현수 지지되는 일사차폐 부재가 자유낙하할 경우)에는 코드(CD)에 가해지는 장력과 웨이트(340)와 케이스(10A)의 내주벽에 의한 저항력이 균형이 잡혀 코드(CD)의 이동 속도가 거의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동 장치(1000)는 코드(CD)의 이동에 대한 회전 댐퍼로서 기능하고 일사차폐 부재를 천천히 강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정상상태로부터 협착상태까지의 협착상태의 변화에 대해 각 부재의 회전 방향(피니언 기어(50)에 대해서는 평면에서 볼 때의 전후 방향 및 체결 방향도 포함)을 정리한 것이 도 21(c)이다.
한편, 코드(CD)에 화살표D1과 반대 방향(후방)으로 장력을 부여했을 경우에는 고무 롤러부(32) 및 롤러부(42)가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축심(31) 및 축심(41)이 제1천벽홈(16)의 해제 안내 사면(16b) 및 제2천벽홈(17)의 해제 안내 사면(17b)에 각각 안내됨으로써 서로 이간하도록 이동한다. 그러면 코드(CD)에 대한 고무 롤러부(32)의 협착력이 약해져 약한 힘으로 코드(CD)를 끌어당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박스 내에 제동 장치(1000)를 설치할 경우에는 도 21에서 전방으로 코드(CD)에 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일사차폐 부재의 하강하는 방향으로 하고 후방으로 코드(CD)에 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일사차폐 부재의 상승하는 방향으로 하면 호적하다.
이어서 도 22를 이용하여 정상상태 및 협착상태의 상태 변화 시에 있어서의 슬라이더(20)의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a)가 도 21(a)에, 도 22(b)가 도 21(b)에 각각 대응한다.
도 22(a)의 정상상태로부터 도 22(b)의 협착상태로 변화될 때, 축심(41)과 롤러부(42) 및 축심(31)과 고무 롤러부(32)는 코드(CD)와의 마찰력에 의해 도면 중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축심(41)이 제2천벽홈(227) 및 제2저벽홈(229)과 당접하고 있음으로써, 축심(41)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제2천벽홈(227) 및 제2저벽홈(229)에 대해 전방으로 힘이 가해진다. 또한, 축심(31)이 제1천벽홈(26) 및 제1저벽홈(28)과 당접하고 있음으로써, 축심(31)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제1천벽홈(26) 및 제1저벽홈(28)에 대해 전방으로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축심(31, 41)이 전방으로 Δ이동하면, 슬라이더(20)도 전방으로 Δ이동한다.
한편, 제2실시 형태에서는 웨이트(340)가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에 유지되는 것으로 했지만 웨이트(340)의 유지의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웨이트(340)가 내치가 달린 캐리어(260)에 유지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유성 기어(280), 플레이트(300) 및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는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유성 기어(280)를 생략함으로써, 선 기어(323), 선 기어가 달린 웨이트 홀더(320) 및 웨이트(340)의 회전에 대한 증속 효과는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세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SP)을 사용했지만 코일 스프링(SP)에 대신하여 자석을 사용해도 된다.
<작용·효과>
제2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000)에 의해 이하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1)장력전달 롤러(30)가 탄성체인 고무로 이루어지는 고무 롤러부(32)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코드(CD)를 확실하게 협착하면서 코드(CD)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당김 조작 시에 조작력을 저감하고 자동동작(자동강하) 시에 확실하게 코드(CD)를 협착하고 의도하지 않는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3)코드(CD)에 전방으로 장력이 부여될 경우에는 고무 롤러부(32) 및 롤러부(42)가 서로 근접하게 이동함으로써 코드(CD)를 강하게 협착할 수 있고, 고무 롤러부(32)를 확실하게 회전시켜 회전을 피니언 기어(50)에 전달할 수 있다.
(4)코드(CD)에 후방으로 장력이 부여될 경우에는 고무 롤러부(32) 및 롤러부(42)가 서로 이간하도록 이동함으로써 코드(CD)에의 협착력을 약화시키고 코드(CD)의 자유 이동을 허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의 방식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의 한 쌍의 협착부재로 이루어지는 협착체는 각각 천벽홈(16, 17) 및 베이스 홈(76, 706), (77, 707)에 따라 슬라이더(20)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코드(CD)의 이동 방향에 따라 협착력을 변화시키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력전달 롤러(30)의 축심(31)과 아이들 롤러(40)의 축심(41)을 축지하여 코드(CD)의 이동에 상관없이 협착력이 일정하게 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본 변형예의 제동 장치(2000)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 장치로서의 횡형 블라인드의 헤드 박스(106) 내에 배치되고 헤드 박스(106)로부터 안내 활차(124)를 통해 수하되는 승강 코드(CD)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한편, 도 23에서 부호 125는 래더 코드, 부호 126은 틸트 축을 나타내고 도시하지 않은 슬랫을 회전하기 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동 장치(2000)는 고무 롤러부(32) 및 축심(31)으로 이루어지는 장력전달 롤러(30), 롤러부(42) 및 축심(41)으로 이루어지는 아이들 롤러(40) 및 원심조속기(122)를 구비하고 이것들이 케이스(10A) 내에 설치된다.
고무 롤러부(32)는 축심(3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 코드(CD)와 고무 롤러부(32)의 접촉 저항이 커지고 승강 코드(CD)의 변위와 고무 롤러부(32)를 확실하게 동기시켜 승강 코드(CD)의 이동 속도를 확실하게 감속시킬 수 있다.
원심조속기(122)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속기 케이스(122d)를 구비하고 장력전달 롤러(30)와 아이들 롤러(40)는 조속기 케이스(122d)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원심조속기(122)는 조속기 케이스(122d) 내에 원웨이 클러치(One way clutch)(122a), 유성 기어기구(122b), 축(122e) 및 블레이드(22c)를 구비한다.
원웨이 클러치(122a)에는 축심(31)의 회전이 입력된다. 원웨이 클러치(122a)는 차폐 재료(보텀 레일)의 상승 방향으로 승강 코드(CD)가 변위할 때에는 고무 롤러부(32)의 축심(31)의 회전을 유성 기어기구(122b)를 통해 축(122e)에 전달할 수 없는 비전달 상태로 하고, 차폐 재료의 하강 방향으로 승강 코드(CD)가 변위할 때에는 고무 롤러부(32)의 축심(31)의 회전을 유성 기어기구(122b)를 통해 축(122e)에 전달 가능한 전달 상태로 한다. 블레이드(122c)는 원웨이 클러치(122a)에 관련된 전달 상태에 있어서 고무 롤러부(32)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그 회전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차폐 재료를 하강 조작할 시에, 차폐 재료의 자중에 의해 승강 코드(CD)가 변위하면 장력전달 롤러(30)의 축심(31)의 회전이 원심조속기(122)에 있어서의 축(122e)에 전달되어 원심조속기(122)가 승강 코드(CD)의 변위에 저항을 부여하고 승강 코드(CD)의 변위가 억제된다. 따라서, 차폐 재료의 하강 조작 시에 차폐 재료의 자중에 의해 가속도적으로 상승하는 변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 코드(CD)의 변위에 의해 고무 롤러부(32)(장력전달 롤러(30))가 회전하면, 원심조속기(122)에 있어서의 유성 기어기구(122b)가 이것을 증속하여 축(122e)에 전달하고 축(122e)의 회전에 따라 블레이드(122c)가 회전한다. 블레이드(122c)가 회전함으로써 원심력이 작용하여 블레이드(122c)가 원심조속기(122)의 조속기 케이스(22d)의 내벽과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고무 롤러부(32)의 회전이 억제된다. 때문에, 슬랫(3)의 하강에 따라 변위 속도가 가속도적으로 상승하여 승강 코드(CD)의 변위가 억제됨으로써, 차폐 재료의 하강 조작 시의 변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한편, 차폐 재료를 상승 조작할 시에 조작자가 승강 코드(CD)를 변위시키면, 고무 롤러부(32)의 축심(31)의 회전은 원웨이 클러치(122a)에 의해 축(122e)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승강 코드(CD)의 변위에 대해 승강 코드(CD)에 대한 조작자의 조작은 원심조속기(122)가 기능하지 않고 그대로 작용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차폐 재료의 상승 조작 시에 조작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조작할 수 있다.
아이들 롤러(40)는 장력전달 롤러(30)와 함께 코드(CD)를 가압함으로써 코드(CD)와 확실하게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코드(CD)와 장력전달 롤러(30)의 움직임을 동기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장력전달 롤러(30) 및 아이들 롤러(40)가 한 쌍의 협착부재를 구성하는 협착체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된다.
이상과 같을 경우에도 복수개의 승강 코드(CD)를 확실하게 협착하면서 코드(CD)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변형예에서는 양쪽의 롤러가 고정되는 구성이었지만 한쪽의 롤러만을 가동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장력전달 롤러(30)의 회전이 저항 부여부(RA)에 전달되어, 저항 부여부(RA)로부터 회전 저항이 부여되는 구성이었지만, 특허문헌1에 개시된 구성과 같이 코드(CD)의 이동에 따라 롤러가 이동함으로써 코드(CD)가 굴곡하고 굴곡 저항에 의해 코드(CD)에 제동력을 주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장력전달 롤러(3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과 축심(31)의 외주면을 덮는 원통 형상의 고무 롤러부(32)(피복 부재)의 2부재로 형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을 덮는 피복 부재(32)를 고무가 아닌 내측부재(32a)와 고무제의 표면부재(32b)의 2층 구성으로 하여 3부재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여기에서, 내측부재(32a)는 수지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장력전달 롤러(30)의 표면만을 고무로 덮는 것에 의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롤러부(32)를 3층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장력전달 롤러(30)를 구성하는 축심(31)과 고무 롤러부(32)는 축심(31)의 원주면에 고무 롤러부(42)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증강하는 마찰 증강부(31f)로서 블라스트 가공에 의해 표층부를 조면화하고 인서트 성형에 의해 감합되어 있었다. 그러나, 마찰 증강부(31f)로서는 표층부를 조면화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것에 대신하여 또는 이것과 병용하여 축심(31)과 고무 롤러부(32)에 철부 또는 요부를 설치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31p)를 설치하는 구성이나, 도 2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의 원주면 위로 복수개의 홈(31g1)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홈(31g)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축심(31)에 대한 고무 롤러부(32)의 축방향의 엇갈림을 특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의 축방향 중앙부분에 팽창부(31e)를 설치하거나, 도 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31)의 축방향 중앙부에 둘레방향에 걸쳐 형성되는 홈(31g2)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축심(31)에 대한 고무 롤러부(32)의 원주 방향의 엇갈림을 특히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도 27, 도 28에 기재되는 철부나 요부로서의 돌기(31p), 홈(31g1, 31g2), 팽창부(31e)의 개수 및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개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아이들 롤러(40)의 축심(41)과 롤러부(42)의 감합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슬라이더(20)의 천벽부(21)의 하표면(21a)과 고무 롤러부(32)의 표면(32a)의 사이, 저벽부(23)의 표면(23a)과 고무 롤러부(32)의 하표면(32b)의 사이(도 17참조)의 적어도 한쪽에 마찰 저감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마찰 저감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축심(31)에 통과된 링 형상 부재(33, 34)를 배치하는 것이 생각된다. 링 형상 부재(33, 34)는 박(薄)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 롤러부(32)보다 미끄러지기 쉬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고무 롤러부(32)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수지제나 금속제의 워셔(washer)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 저감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장력전달 롤러(30)(고무 롤러부(32))가 슬라이더(20)에 대하여 회전 및 상대 이동할 때의 고무 롤러부(32)와 슬라이더(20)의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여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드에 대하여 적절하게 제동력을 가할 수 있는 제동 장치, 운동 변환부 및 그것을 이용한 일사차폐 장치가 제공되어 생활필수품 등의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30: 장력전달 롤러(협착부재), 32: 고무 롤러부, 40: 아이들 롤러(협착부재), 42: 롤러부, BD: 제동 장치, CD: 코드(승강 코드)

Claims (22)

  1. 코드에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 장치로서, 상기 코드를 협착하는 협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협착체는 한 쌍의 협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착부재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협착부재의 다른 한쪽에 대향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경도가 80도 이상인 제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경도가 90도 이상 95도 이하인 제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우레탄고무로 형성되는 제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부재의 적어도 한쪽은 축심과 상기 축심의 외주면을 덮는 피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피복 부재는 전체가 상기 탄성체로 구성되는 제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심은 상기 협착부재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증강하는 마찰 증강부를 구비하는 제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증강부는 상기 축심의 표층부가 조면화된 것인 제동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부재의 적어도 한쪽은 축심과 상기 축심의 외주면을 덮는 피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피복 부재는 상기 축심의 외주면을 덮는 내측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내측부재의 외주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제동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는 수지로 구성되는 제동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협착부재는 한 쌍의 롤러인 제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적어도 한쪽은 축심과 고무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축심의 외주면을 덮는 원통 형상의 고무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심의 직경에 대한 상기 고무 롤러부의 직경의 비가 2.0~3.2이 되도록 구성되는 제동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의 다른 한쪽이 수지제인 제동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동 장치를 구비한 차폐 장치.
  14. 코드의 이동을 회전 운동으로서 전달하는 장력전달 부재로서,
    축심과, 해당 축심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코드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협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착부재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장력전달 부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우레탄고무로 형성되는 장력전달 부재.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축심은 상기 협착부재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증강하는 마찰 증강부를 구비하는 장력전달 부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증강부는 상기 축심의 표층부가 조면화된 것인 장력전달 부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증강부는 상기 축심의 원주면 상의 상기 협착부재가 설치되는 범위보다 짧은 범위에 형성되는 장력전달 부재.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증강부는 하기 (A)~(C)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장력전달 부재.
    (A)상기 축심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이다,
    (B)상기 마찰 증강부는 상기 축심의 원주면 상에 형성되는 홈이다,
    (C)상기 축심의 축방향 중앙부 근방에 형성되는 팽경부이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의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홈은 상기 축심의 원주면 상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장력전달 부재.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의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홈은 상기 축심의 원주면 상에 있어서 원주방향에 걸쳐 형성되는 것인 장력전달 부재.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부재의 축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측에 마찰 저감 부재가 설치되는 장력전달 부재.
KR1020197005867A 2016-07-29 2017-07-27 제동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차폐 장치 KR201900325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0802 2016-07-29
JPJP-P-2016-150802 2016-07-29
JPJP-P-2016-256490 2016-12-28
JP2016256490 2016-12-28
PCT/JP2017/027247 WO2018021475A1 (ja) 2016-07-29 2017-07-27 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遮蔽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559A true KR20190032559A (ko) 2019-03-27

Family

ID=6101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867A KR20190032559A (ko) 2016-07-29 2017-07-27 제동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차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18881B2 (ko)
KR (1) KR20190032559A (ko)
CN (1) CN109790739B (ko)
AU (1) AU2017301336A1 (ko)
WO (1) WO2018021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0115A (ja) * 2018-02-28 2019-09-12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たくし上げカーテン及び遮蔽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950A (ja) 1996-11-12 1998-05-26 Tachikawa Blind Mfg Co Ltd 横型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3901B2 (ko) * 1972-04-12 1977-08-31
JPS5940493U (ja) * 1982-09-08 1984-03-15 岡山シンコ−株式会社 ストツパ−
US8271014B2 (en) 2008-08-11 2012-09-18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ed parameter adjustment to compensate self adjusting transmit power and sensitivity level at the node B
JP5233901B2 (ja) 2009-08-07 2013-07-1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曲げ加工方法
JP4897907B2 (ja) * 2010-06-07 2012-03-14 株式会社サンエイ 商品の盗難防止装置
CA2990993A1 (en) * 2015-06-05 2016-12-08 Tachikawa Corporation Braking device, and shielding device using same
JP6438918B2 (ja) * 2016-07-28 2018-12-19 株式会社Tok 制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日射遮蔽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950A (ja) 1996-11-12 1998-05-26 Tachikawa Blind Mfg Co Ltd 横型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21475A1 (ja) 2019-05-23
CN109790739A (zh) 2019-05-21
CN109790739B (zh) 2023-10-03
WO2018021475A1 (ja) 2018-02-01
JP7018881B2 (ja) 2022-02-14
AU2017301336A1 (en)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7985B2 (ja) 制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遮蔽装置
CN108397487B (zh) 用于减小电动机组件中的噪声的方法和设备
KR20190032559A (ko) 제동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차폐 장치
JP6799944B2 (ja) 遮蔽装置
JP2016056870A (ja) ロック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JP6815144B2 (ja) 制動装置及び遮蔽装置
JP2018053587A (ja) 制動装置
WO2018051883A1 (ja) 制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遮蔽装置
JP2003082922A (ja) 自閉式引戸装置及び自閉引戸ユニット
JP2018091106A (ja) 遮蔽装置
JP7083462B2 (ja) 遮蔽装置
JP2018053600A (ja) 組立構造体、及びこれを備えた制動装置
JP6441164B2 (ja) 日射遮蔽装置の速度調整装置
JP6789358B1 (ja) ベルト駆動機構および自動ドア装置
JP6983376B2 (ja) ベルト駆動機構および自動ドア装置
JP2018071087A (ja) 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遮蔽装置
JP7018802B2 (ja) 遮蔽装置
JP6817036B2 (ja) 遮蔽装置
JP2022009536A (ja) 速度調整装置及び遮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