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176A - Feed reservoir of feeder - Google Patents

Feed reservoir of fee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176A
KR20190032176A KR1020180086838A KR20180086838A KR20190032176A KR 20190032176 A KR20190032176 A KR 20190032176A KR 1020180086838 A KR1020180086838 A KR 1020180086838A KR 20180086838 A KR20180086838 A KR 20180086838A KR 20190032176 A KR20190032176 A KR 20190032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lower cap
feed reservoir
ho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5642B1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ublication of KR2019003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6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storage container for a feed supply device, which is to easily perform cleaning and maintenance of a lower cap and the feed storage container as the lower cap and the feed storage container are formed to be connected and separated in a one-touch typ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ap including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feed is connected to be separa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eed storage container. An insertion unit i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feed storage container across a hanging rim. At least a hanging groove unit is formed in the insertion unit. A guide rim is installed across a protrus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an upper end of the lower cap. A guide hol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p and the guide rim, and the insertion unit of the feed storag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he protrusion is hung on the hanging groove unit of the insertion unit, and the feed storage container and the lower cap are separately fixed.

Description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저장통{Feed reservoir of feeder}Feed reservoir of feeder < RTI ID = 0.0 >

본 발명은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저장통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료저장통과 하부캡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료저장통과 하부캡의 청소 및 유지 관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저장통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storage container of a feed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eed storage container that can be combined and detached in a one-touch manner to facilitate the cleaning and maintenance of a feed storage bottom cap To a feed reservoir of a feeder.

일반적으로, 돼지, 소, 개 등과 같은 가축은 각 개체별로 사료를 먹는 양이 다르고 또, 체격조건이나 체중 등, 성장시기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다르며, 이에 상응하도록 적정량의 사료를 급여하게 된다. 특히, 돼지의 경우 임신 초기 내지는 중기, 말기, 분만 전/후, 비유기, 비유말기, 임신대기기간 등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연령별, 산차별, 임신 기간별로 체중을 조절함으로써, 건강한 새끼 돼지를 많이 생산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적정량의 사료 및 식수를 인위적으로 조절하게 된다.Generally, livestock such as pigs, cows, dogs, etc. differ in the amount of feed consumed by each individual, and the amount of feed varies depending on the growth period, such as physique conditions and body weight,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feed is fed correspondingly. In particular, the amount of dietary feed varies considerably in the case of pigs depending on the initial or middle pregnancy period, terminal period, pre / post, non - lactation period, non - lactation period, and pregnancy waiting period. Thus, by controlling the weight by age, mountain discrimination, and pregnancy period,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ot of healthy piglets. For this purpose, an appropriate amount of feed and drinking water are artificially controlled.

종래의 선행기술에 따른 사료공급장치로는 평판 위에 쌓인 사료를 스크레이퍼로 긁어서 사료받침대로 추락시키는 방식 또는, 스크류를 따라 이송 공급하는 방식 등이 있으나, 사료의 이송 및 공급량이 불균일하여 비효율적이다.Conventional prior art feed devices include a method of scraping feed accumulated on a flat plate with a scraper to fall into a feed support, or a method of feeding and feeding along a screw. However, feeding and feeding amounts of feed are uneven and inefficien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2013년 01월 07일자로 출원하여 2014년 07월 17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4-0090350 호(명칭: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ese problems,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4-0090350, filed on Jan. 07, 2013 and published on Jul. 17, 2014 (title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feed and drinking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

상기 선행기술은 사료저장통에 담긴 사료가 하부 사료공급관체를 통해 먹이통에 제한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사료 및식수의 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 배출구에 개폐구가 결합되며 개폐구의 내측에 축 결합된 계량컵이 외측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간 회전하면서 사료를 정량씩 제한적으로 방출시켜 상기의 먹이통에 공급하게 되는 사료공급수단이 구비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In the prior art, there is provided a feed device for feeding feed and drinking water, which feeds the feed stored in the feed storage container to the feed hopper through a lower feed feed pipe, wherein a door is coupled to a lower outlet of the feed hopper, And the feeder is provided with a feeder for feeding the feeder to the feeder bottle by limitingly discharging the feeder in a fixed amount while the feeder is rotated by the external driving means.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사료저장통과 배출구가 구비된 하부캡이 나사 방식으로 체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료저장통의 청소 작업시에는 일일이 나사 체결을 해지한 후, 하부캡을 분리한 다음, 사료저장통의 내부 그리고 하부캡의 내부를 청소하여야 하고, 청소후에는 다시 조립한 후 나사로 고정시켜야 함으로서, 이러한 불편한 이유로 청소 작업을 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인 바, 가축은 항상 오염된 사료를 먹게 됨으로서 질병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s the lower cap having the feed storage outlet is fastened by screwing, the screw is unscrewed at the time of cleaning the feed storage container, and then the lower cap is separated, Since the inside of the lower cap needs to be cleaned, it needs to be reassembled after being cleaned and fixed with screws. For this inconvenience, the catheter is always used without being cleaned. Since the cattle always eat contaminated feed, I can not help it.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4-0090350 호Document 1: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4-0090350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저장통과 하부캡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료저장통과 하부캡의 청소 및 유지 관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저장통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eed storage bottom cap which can be combined and separated in a one- And to provide a feed reservoir for the feed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료저장통에 하부캡이 외부의 충격 등에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핀이나 스토퍼가 구성된 사료공급장치의 사료 저장통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reservoir of a feed device having a pin or a stopper so that the lower cap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an external impact to the feed reservoi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료저장통에 제어 컨트롤의 부착시 제어 컨트롤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놓이도록 하여 조작 및 제어가 쉽도록 한 사료공급장치의 사료 저장통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eed reservoir for a feeder which is easy to operate and control by placing a direction of control control in a direction desired by a user when attaching a control control to a feed reservoir.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저장통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아래에는 사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구비된 하부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에는 걸림테를 사이에 두고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캡의 상단 외측 둘레면에는 돌기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테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테와 상기 하부캡의 상단 외측 둘레면 사이에는 상기 사료저장통의 삽입부가 끼워지는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걸림홈부에 걸려지며 상기 사료저장통과 상기 하부캡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eed reservoir of a feed device, wherein a lower cap having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fee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eed reservoir below the feed reservoir, At least one latching groove is formed in the inserting portion, and a guiding frame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p with a projec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 guide hol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eed reservoir and the protrusion to engage with the engagement groove of the insert to detachably fix the feed reservoir and the lower cap.

상기 걸림홈부는 유도홈부와, 상기 유도홈부의 일측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홈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latching groove portion comprises a guide groove portion and a horizontal groove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portion.

상기 수평홈부의 하면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And a step portion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groove portion.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 내면에는 상기 하부캡의 상단이 끼움 조립되기 위한 단차부가 마련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And a step for assembling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p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feed reservoir.

상기 사료저장통 및 하부캡에는 서로 연결하여 통하는 연결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멍으로는 핀이 체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eed reservoir and the lower cap are formed with at least one or more connection hol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hole is formed with a pin.

상기 가이드테에는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스토퍼핀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부에 끼워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guide frame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stopper pin is fitted, and the stopper pin is fitted into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상기 가이드테에는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의 일측에는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에는 스토퍼의 일단이 핀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의 타단에는 상기 핀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토퍼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부에 끼워지는 돌출핀이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Wherein a hole is formed in the guide frame, a ring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le, one end of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pin shaft, and the stopper is rotated at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about the pin shaft And a projecting pin inserted through the hole and fitted in the engaging groove is protruded.

본 발명은 사료저장통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캡을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따라 사료저장통의 걸림홈부에서 하부캡의 돌기가 걸림 및 걸림해지되도록 함으로서 사료저장통과 하부캡을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에 번거로움 없이 사료저장통과 하부캡의 청소 및 유지 관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of the lower cap is hooked and latched in the latching groove portion of the feed reservoir by rotating the lower cap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 reservoir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the cleaning and maintenance of the feed storage bottom cap without inconveniencing the use.

또한 사료저장통에 결합된 하부캡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핀이나 스토퍼핀 돌출핀이 구성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lower cap coupled to the feed reservoir can be safely used by preventing the pin or the stopper pin projecting pin from being separated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또한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컨트롤을 사료저장통의 하부캡에 부착시 관리자가 관리하기에 용이하도록 컨트롤 화면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관리를 편리하게 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for automatically feeding the feed is attached to the lower cap of the feed reservoir, the direction of the control screen can be arbitrarily adjusted in a desired direction so that the manager can easily manage th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료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사료공급장치에서 사료저장통 및 하부캡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사료저장통 및 하부캡의 결합에 따른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사료저장통 및 하부캡을 분리시키기 위한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저장통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스토퍼핀 대신에 다른 구조의 스토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스토퍼 동작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ee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eed reservoir and a lower cap in the feed apparatus of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feed reservoir and the lower cap in FIG. 2; FIG.
FIG.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for separating the feed reservoir and the lower cap of FIG. 2; FIG.
5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eed reservoir of a feed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opper of another structure is installed instead of the stopper pin in Fig.
Fig. 7 is a state diagram of the stopper in Fig. 6.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두 개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nly tw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embodiments which may be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by descriptions in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료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사료공급장치에서 사료저장통 및 하부캡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사료저장통 및 하부캡의 결합에 따른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사료저장통 및 하부캡을 분리시키기 위한 동작 상태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feed reservoir and a lower cap in the feed apparatus of FIG. 1, and FIG. 2 is a cross- FIG. 3 is a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feed reservoir and the lower cap in FIG. 2, and FIG.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for separating the feed reservoir and the lower cap of FIG.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공급장치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 받침대(40)로 사료를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공급시키는 유닛으로서 사료저장통(10), 하부캡(30), 사료공급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fee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t that feeds the feed to the feed support 4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amount, and includes a feed reservoir 10, a lower cap 30), and a feeder (50).

상기 사료저장통(10)은 원통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그 상, 하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1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The feed reservoir 10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a space 12 capable of storing feed can be formed therein.

상기 하부캡(30)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의 개방된 하단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통과시키는 통로부(31)가 형성되고 그 하단은 배출관(32)을 연장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통로부(31)를 통과한 사료를 상기 배출관(32)을 거쳐 사료공급관을 통해 아래의 사료받침대(40)로 배출시키도록 한다.The lower cap 30 is inserted into the open lower end of the feed reservoir 10 and a passage 31 for passing the feed stored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feed reservoir 10 is formed therein And the lower end of the feed pipe 32 extends through the passage 31 in the state of extending the discharge pipe 32 through the feed pipe 32 to the lower feed support 40 through the feed pipe.

상기 사료공급수단(50)은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로 구성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사료저장통(10)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하부캡(30)의 배출관(32)으로 통과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사료공급수단(50)은 언급한 구조 외에 개폐추나 개폐판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함은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The feeding means 50 comprises a motor driven by an externally applied power source, at least one blade coupled to a shaft of the motor and rotated by the power of the motor, The feed stored in the feed storage container 10 is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2 of the lower cap 30.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eed supply means 50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open / close chute or an open / close plate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한편, 상기 사료저장통(10)과 하부캡(30)은 서로 나사로 체결되는 구조가 아니라, 원터치 방식으로 사료저장통(10)에 결합된 하부캡(30)을 정, 역방향으로 회전(돌려)시키는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료저장통(10)과 하부캡(30)의 청소 및 유지 관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30 are not screwed to each other but the lower cap 30 connected to the feed reservoir 10 is rotated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by a one- So that cleaning and maintenance of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30 can be easily performed.

첨부된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료저장통(10)의 하단 둘레면은 걸림테(14)를 사이에 두고 삽입부(16)가 구획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6)는 하부캡(30)의 상단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홀(38)에 끼워지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eed reservoir 10 is partitioned by an insertion portion 16 with a stopper 14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insertion portion 16 And is fitted in the guide hole 38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cap 30.

상기 삽입부(16)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부(18)가 마련된다. 상기 걸림홈부(18)는 상기 삽입부(16)가 하부캡(30)의 안내홀(38)에 끼워지고 나면 상기 안내홀(38)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34)가 걸려지도록 하여 하부캡(30)을 사료저장통(10)에 고정시키게 된다.The insertion portion 16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latching groove portion 18. When the insertion portion 16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8 of the lower cap 30, the latching groove portion 18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34 formed in the guide hole 38, 30 to the feed reservoir 10.

상기 걸림홈부(18)는 돌기(34)가 끼워지기 위한 유도홈부(20), 상기 유도홈부(20)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도홈부(20)를 통과한 돌기(34)가 걸려지기 위한 수평홈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홈부(22)의 바닥면에는 단턱부(24)가 마련되고, 상기 단턱부(24)는 상기 수평홈부(22)에 끼워진 돌기(34)가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The engaging groove portion 18 has a guide groove 20 in which the projection 34 is inserted and a projection 34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guide groove 20 and passing through the guide groove 20, And a horizontal trench 22 for the trench. A step portion 24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groove portion 22 and the step portion 24 is fixed to prevent the projection 34 inserted in the horizontal groove portion 22 from coming off.

상기 하부캡(30)의 상단 외측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3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34)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캡(30)의 외측에는 링 형상의 가이드테(36)가 마련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테(36)와 상기 하부캡(30)의 사이에는 상기 돌기(34)를 통한 안내홀(38)이 형성되어 진다.At least one protrusion 34 protrudes from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ap 30 and a ring-shaped guide frame 36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cap 30 with the protrusion 34 interposed therebetween. A guide hole 38 is formed through the protrusion 34 between the guide frame 36 and the lower cap 30.

상기 하부캡(30)의 안내홀(38)에는 전술한 사료저장통(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16)가 끼워지게 되고, 또한 상기 안내홀(38) 사이 사이에 형성된 돌기(34)는 상기 삽입부(16)에 형성된 걸림홈부(18)의 유도홈부(20)를 통과한 후, 하부캡(30)을 위로 들면서 한쪽으로 돌려주는 동작에 따라 걸림홈부(18)의 수평홈부(22)에 걸려지지도록 하여 사료저장통(10)과 하부캡(30)을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1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eed reservoir 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8 of the lower cap 30 and the protrusion 34 formed between the guide holes 38 Passes through the guide groove portion 20 of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8 formed in the inserting portion 16 and then is guided to the horizontal groove portion 18 of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8 22 so that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30 can be easi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one-touch manner.

또한, 사료저장통(10) 및 하부캡(30)의 청소 작업시에는 다시 하부캡(30)을 반대 방향으로 돌려주면 하부캡(30)의 돌기(34)는 사료저장통(10)의 삽입부(16)에 형성된 걸림홈부(18)의 수평홈부(22)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하부캡(10)을 내려주면 돌기(34)는 삽입부(16)의 유도홈부(20)를 통해 걸림홈부(18)에서 빠져나오게 됨으로서 사료이송라인에 고정된 사료저장통(10)에서부터 하부캡(30)의 분리 작업 역시 간편하게 수행하여 청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feed cap 10 and the lower cap 30 are cleaned again, the lower cap 3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gain so that the protrusion 34 of the lower cap 30 is inserted into the feed port 10 of the feed reservoir 10 When the lower cap 10 is lowered in this state, the projections 34 are caught by the guide grooves 20 of the insertion portion 16,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lower cap 30 from the feed reservoir 10 fixed to the feed conveyance line can be performed easily and the clea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한편, 상기 사료저장통(10) 및 하부캡(30)의 가이드테(36)에는 서로 연결하여 통하는 연결구멍(70, 72)이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멍(70, 72)은 사료저장통(10) 및 하부캡(30)을 서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연통한 상태가 되고, 상기 연통하는 연결구멍(70, 72)으로 핀(74)을 체결하여 사료저장통(10) 및 하부캡(30)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한다.At least one or more connecting holes 70 and 72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guiding frame 36 of the feed container 10 and the lower cap 30,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in 74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ng connection holes 70 and 72 to connect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30 30 are not easily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한편, 상기 삽입부(16)가 형성되어 있는 사료저장통(10)의 하부 내면 둘레에는 단차부(26)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26)에 하부캡(30)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료저장통(10)과 하부캡(30)의 사이에 틈새 발생을 차단하여 사료가 사료저장통의 외측으로 누출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A step 26 is formed aroun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feed reservoir 10 in which the insert 16 is formed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p 30 is fitted to the step 26 This prevents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30 so that the risk of leakage of the feed to the outside of the feed reservoir can be prevented.

즉, 하부캡(30)의 상단 내측면이 사료저장통(10)의 내측면과 같거나 사료저장통(10)의 내측면 보다 더 안쪽으로 삽입되어야 사료의 누출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p 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feed reservoir 1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feed reservoir 10 to prevent leakage of the feed.

{실시 예 2}{Example 2}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저장통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eed reservoir of a feed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사료공급장치는 사료저장통(10), 하부캡(30), 사료공급수단(50)으로 구성하고, 또한 사료저장통(10)의 아래에 하부캡(3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또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단에는 걸림테(14)를 사이에 두고 삽입부(16)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16)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부(18)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캡(30)의 상단 외측 둘레면에는 돌기(34)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테(36)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테(36)와 상기 하부캡(30)의 상단 외측 둘레면 사이에는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삽입부(16)가 끼워지는 안내홀(38)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34)는 상기 삽입부(16)의 걸림홈부(18)에 걸려지며 상기 사료저장통(10)과 상기 하부캡(30)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사료저장통(10) 및 하부캡(30)의 가이드테(36)에 서로 연결하여 통하는 연결구멍(70, 72) 그리고 상기 연결구멍(70, 72)에 끼워져 체결되는 핀(74)과 같은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하부캡(30)의 가이드테(36)에 구멍(170)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170)으로 스토퍼핀(180)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핀(180)이 삽입부(16)의 걸림홈부(18)에 끼워지도록 하여 사료저장통(10) 및 하부캡(30)이 외부의 충격 등에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As shown in FIG. 5, the feed device of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eed reservoir 10, a lower cap 30 and a feeder 50, And the insertion portion 16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engagement grooves (not shown) at the lower end of the feed reservoir 10, And a guide frame 36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p 30 with a protrusion 34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guide frame 36 and the upper end A guide hole 38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eed reservoir 10 to receive the insertion portion 16 of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projection 34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groove 18 of the insertion portion 16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30 are detachably fixed to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30, The connection holes 70 and 72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frame 36 of the lower cover 30 and the pin 74 fitted into the connection holes 70 and 72 are not used, The stopper pin 180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groove 18 of the insertion portion 16 in a state where the stopper pin 180 is passed through the hole 170, So that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30 are not easily separated from external impacts or the like.

즉, 사료저장통(10) 및 하부캡(30)을 보다 견밀히 고정하기 위해 전술한 1실시 예와 같이 가이드테(36) 및 삽입부(16) 주위면을 따라 다수개의 연결구멍(70, 72)을 천공할 필요없이 가이드테(36)에 구멍(170)을 천공하고 또한 삽입부(16)에는 별도의 연결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이미 삽입부(26)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부(18)에 스토퍼핀(180)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최소한의 구성만으로 사료저장통(10) 및 하부캡(30)의 견밀한 고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스토퍼핀(180)은 걸림홈부(18)의 유도홈부(20) 및 수평홈부(22) 사이 경계지점에 끼워져 돌기(34)에 간섭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more rigidly secure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30,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70 and 72 are formed along the peripheral surfaces of the guide frame 36 and the insertion portion 16 as in the above- The hole 170 is pierced in the guide frame 36 without drilling any other connection hole in the insertion portion 16 and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18 The stopper pin 180 is inserted into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30, so that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30 can be firmly fixed with minimum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per pin 180 is fitted at a boundary between the guide groove 20 and the horizontal groove 22 of the latching groove 18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rotrusion 34.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토퍼핀을 사용하지 않고 도 6과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구조의 스토퍼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may be replaced with a stopper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s. 6 and 7 without using the stopper pin.

상기 가이드테(36)에는 구멍(17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170)의 일측에는 고리부(280)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부(280)에는 스토퍼(290)의 일단이 핀축(292)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290)의 타단에는 돌출핀(294)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돌출핀(294)은 상기 핀축(292)을 중심으로 상기 스토퍼(29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멍(170)을 관통하여 삽입부(16)의 걸림홈부(18)를 형성하는 유도홈부(20) 및 수평홈부(22) 사이 경계지점에 끼워지며 사료저장통(10) 및 하부캡의 견밀한 고정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A hole 170 is formed in the guide frame 36 and a ring 28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le 170. One end of the stopper 290 is connected to the pin shaft 292 And a protruding pin 294 is protru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290. The protruding pin 294 protrudes from the hole 294 while the stopper 290 is rotated about the pin shaft 292, Is fit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guide groove 20 and the horizontal groove 22 which form the engaging groove 18 of the insertion portion 16 through the guide groove 170 and firmly fix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

또한 상기 가이드테(36)에는 구멍(17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170)의 일측에는 고리부(280)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280)에는 스토퍼(290)의 일단이 핀축(292)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290)의 타단에는 돌출핀(294)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돌출핀(294)은 상기 핀축(292)을 중심으로 상기 스토퍼(29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멍(170)을 관통하여 삽입부(16)에 별도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구멍(72)에 끼워지며 사료저장통(10) 및 하부캡(30)의 견밀한 고정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A hole 170 is formed in the guide frame 36 and a ring 28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le 170. One end of the stopper 290 is connected to the pin shaft 292 And a protruding pin 294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290. The protruding pin 294 protrudes from the hole 170 during the rotation of the stopper 290 about the pin shaft 292 So that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feed reservoir 10 and the lower cap 30 by being inserted into one or more connection holes 72 separately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16.

10: 사료저장통 16: 삽입부
18: 걸림홈부 20: 유도홈부
22: 수평홈부 30: 하부캡
32: 배출관 34: 돌기
36: 가이드테 38: 안내홀
10: Feed storage container 16:
18: engaging groove portion 20: guide groove
22: horizontal groove portion 30: bottom cap
32: discharge pipe 34: projection
36: Guide frame 38: Guide frame

Claims (7)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저장통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아래에는 사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구비된 하부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에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캡의 상단 외측 둘레면에는 돌기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테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테와 상기 하부캡의 상단 외측 둘레면 사이에는 상기 사료저장통의 삽입부가 끼워지는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걸림홈부에 걸려지며 상기 사료저장통과 상기 하부캡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저장통.
In a feed reservoir of a feeder,
A lower cap having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fee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eed reservoir;
Wherein the feed reservoir has an insertion portion at a lower end thereof, and at least one engagement groove i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Wherein a guide frame is provided on an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cap with a projection therebetween;
A guide hole is formed between the guide frame and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cap to receive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feed container;
And the protrusion is caught by the latching groove of the insertion portion to detachably fix the lower storage cap to the feed storage pass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는 유도홈부와, 상기 유도홈부의 일측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홈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장치의 사료 저장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tching groove portion comprises a guide groove portion and a horizontal groove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홈부의 하면에는 단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장치의 사료 저장통.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tep portion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groov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 내면에는 상기 하부캡의 상단이 끼움 조립되기 위한 단차부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장치의 사료 저장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end inner surface of the feed reservoir is provided with a step for fitting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 및 하부캡의 가이드테에는 서로 연결하여 통하는 연결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멍으로는 핀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장치의 사료 저장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eed reservoir and the lower cap have at least one conn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and connected to the guide frame,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hole is fastened with a p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테에는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스토퍼핀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부에 끼워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장치의 사료 저장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ole is formed in the guide frame, and the stopper pin is inserted into the hole when the stopper pin is inser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테에는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의 일측에는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에는 스토퍼의 일단이 핀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의 타단에는 상기 핀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토퍼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부에 끼워지는 돌출핀이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장치의 사료 저장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ole is formed in the guide frame, a ring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le, one end of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pin shaft, and the stopper is rotated at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about the pin shaft And a protruding pin inserted through the hole and fitted in the latching groove is protruded.
KR1020180086838A 2017-09-19 2018-07-25 Feed reservoir of feeder KR1020956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20716 2017-09-19
KR1020170120716 2017-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176A true KR20190032176A (en) 2019-03-27
KR102095642B1 KR102095642B1 (en) 2020-03-31

Family

ID=6590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838A KR102095642B1 (en) 2017-09-19 2018-07-25 Feed reservoir of fee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64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025A (en) * 2000-12-18 2001-07-12 문영준 A manhole formed connecting tool for preventing of cover separating
KR20140090350A (en) 2013-01-07 2014-07-17 이창현 The standard capacity of feed and water supply apparatus
KR20150138617A (en) *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연합축산 Feeding device
KR20160055409A (en) * 2014-11-10 2016-05-18 주식회사 연합축산 Feeding device for livestock farm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025A (en) * 2000-12-18 2001-07-12 문영준 A manhole formed connecting tool for preventing of cover separating
KR20140090350A (en) 2013-01-07 2014-07-17 이창현 The standard capacity of feed and water supply apparatus
KR20150138617A (en) *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연합축산 Feeding device
KR20160055409A (en) * 2014-11-10 2016-05-18 주식회사 연합축산 Feeding device for livestock far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642B1 (en)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667B1 (en) device of supply pig feed
KR101288012B1 (en) Automatic grains provider for a pet
JP6392472B2 (en) Feed volume measuring device using weight sensor
KR101693466B1 (en) Fence-type automatic feed and water feeding system
CN114051947A (en) Automatic feeder for companion animal feed
KR101739584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fixed quantity food
KR20140136550A (en) water and dry combined feeder
KR100868582B1 (en) Pig feeding system having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preventing a bottle-neck
KR20190032176A (en) Feed reservoir of feeder
KR101465935B1 (en) water supply device for automatic meal supply equipment
KR20160080882A (en) device of supply pig feed
KR20160055409A (en) Feeding device for livestock farming
KR102012081B1 (en) Liquid feed grade excitation
CN107155996A (en) A kind of cultivation greenhouse spreads feed robot
JP6670330B2 (en) Liquid feed dispenser
CN207125124U (en) One kind raising supplies foodstuff integrated device
KR20170075217A (en) Provender provision construct for domestic animals
KR101963542B1 (en) A liquid feed bowl
KR101609844B1 (en) Auto Feeding Apparatus for Sows
KR101818821B1 (en) Feed suppling apparatus for livestock
WO2020133295A1 (en) Fully automatic pet feeding device
KR20130119638A (en) Structure of transfer screw for automatic meal supply equipment
KR101923115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fixed quantity food
JP2016042795A (en) Waterer for pet
CN211211393U (en) Feed mechanism is used in feed enzyme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