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153A -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153A
KR20190032153A KR1020170170656A KR20170170656A KR20190032153A KR 20190032153 A KR20190032153 A KR 20190032153A KR 1020170170656 A KR1020170170656 A KR 1020170170656A KR 20170170656 A KR20170170656 A KR 20170170656A KR 20190032153 A KR20190032153 A KR 20190032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irculation device
booster pump
wat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김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우 filed Critical 김성우
Publication of KR20190032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03B5/02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rranged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수조 겸용 상수도용 저수조의 내부의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저수조의 외부에 하부 흡입관을 장착하여 수돗물이 순환되도록 하는 물순환 장치로써, 저수조 내부에서 공급대기중인 수돗물이 장시간 고이지 않도록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저수조와 소화수조를 함께 사용하는 저수조의 내부의 부스터펌프 공급관의 흡입구에 물순환 장치를 장착하거나, 저수조의 외부에 물순환 장치를 장착하여서, 아래 부분에 가라앉은 수돗물이 고이지 않도록 부스터펌프(가압송수펌프)의 흡입력으로 위측의 부스터펌프 공급관의 흡입구나 부스터펌프 공급관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저수조내의 물이 순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소화수조로서의 기본적인 저수량은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돗물의 상부 측에도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저수조를 청소할 때 퇴수량을 획기적으로 줄여서 많은 량의 수돗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WATER CIRCULATION DEVICE OF WATER TANK FOR WATERWORKS}
본 발명은 소화수조 겸용 상수도용 저수조의 내부의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저수조의 외부에 하부 흡입관을 장착하여 수돗물이 순환되도록 하는 물순환 장치로써, 저수조 내부에서 공급대기중인 수돗물이 장시간 고이지 않도록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저수조와 소화수조를 함께 사용하는 저수조의 내부의 부스터펌프 공급관의 흡입구에 물순환 장치를 장착하거나, 저수조의 외부에 물순환 장치를 장착하여서, 아래 부분에 가라앉은 수돗물이 고이지 않도록 부스터펌프(가압송수펌프)의 흡입력으로 위측의 부스터펌프 공급관의 흡입구나 부스터펌프 공급관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저수조내의 물이 순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소화수조로서의 기본적인 저수량은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돗물의 상부 측에도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저수조를 청소할 때 퇴수량을 획기적으로 줄여서 많은 량의 수돗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소화수조와 겸용으로 사용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내부나 외부에 장착하는 물순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장치가 몸체부와 중상부 흡입구와 하부 흡입관 및 하부 흡입구로 구성되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물순환 장치에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를 장착시키거나, 상하이동식 상부 흡수구를 장착시킨 것에도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수도용 저수조는 지하 1층~지하 4층에 설치되어 소화수조 겸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소화수조와 겸용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건물 내에 소화수조 설치공간이 부족하고, 소화수조를 별도로 설치하여 관리할 경우 소화용수가 부패하지 않도록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소화용수를 교체를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용수관리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수조와 소화수조를 겸용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6월 4일 "소화수조 및 저수조의 화재안전기준"이란 법을 제정하여 소화수조와 겸용으로 사용하는 저수조에는 항상 일정량의 수돗물을 저수조에 저장하여 화재진압에 대비하도록 하게 되어 있다.
상기의 사유 등으로, 부스터펌프 공급관의 위치가 저수조의 바닥으로부터 전체 저수조 높이의 40%~70%높이에 주로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일부의 수돗물이 장시간 고여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국가별로 지역별로 지형별로 기후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 서울·경기 지역을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자체 조사한 데이타에 의하면, 소화수조 겸용 저수조 내의 수돗물은 하절기에는 원수관에서 금방 떨어진 수돗물보다 0.2℃~2℃ 정도 낮고, 봄과 가을철에는 거의 같거나 비슷하며, 동절기에는 0.2℃~2℃ 정도 높다.
[ 실제 조사 데이터: ① 2017. 10. 14. 10시 서초구 상지리츠빌 10차, 원수 20℃/저수조 19℃ ② 2017. 10. 16. 14시 서초구 쉴러하우스, 원수 20.8℃/저수조 20.8℃ ③ 2017. 10. 17. 11시 강남구 강변 상지빌, 원수 19.8℃/저수조 20℃ ④ 2017. 10. 27. 강남구 선데일 빌라, (기온 최저 11℃ ~ 최고 21℃, 측정시간 11시) 원수 17.8℃/저수조 18.5℃ ⑤ 2017. 11. 29. 서초구 방배동 상지빌라 (기온 최저 1℃ ~ 최고 4℃, 측정시간 14시) 원수 9.5 ℃/ 저수조 11도℃ ⑥ 2017. 11. 30. 안양시 관양동 파크 에비뉴 (기온 최저 -5℃ ~ 최고 1℃, 측정시간 13시) 원수 9.5 ℃/ 저수조 11도℃ ]
상기와 같이 원수관의 수돗물의 온도와 저수조의 수돗물의 온도가 차이가 나는 이유는 수도원수관이 지나는 지하 2m의 지온은 지표 온도의 영향을 다소 받고, 지하 10m ~ 20m 사이의 지온은 계절과 관계없이 10℃ 안팍으로 일정하기 때문이다.
수도 원수관의 수돗물의 온도가 저수조에 담겨 있는 수돗물보다 높거나 거의 같은 계절에는 수돗물이 선입선출이 제대로 되지 못하여서 고여 있는 수돗물의 량이 상당히 발생하게 된다.
수개월 고여 있던 수돗물을 일부 섞어서 장기간 마시게 되변 인체에 좋지 않는 영향력을 미칠 수도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00년도의 암발생자 수가 약 10만 2천명이었으며, 2010년도 암발생자수가 20만 2천명으로 발표되었는데, 같은 기간 인구수가 약 43,410,000명에서 49,810,000명으로 10년동안 12.8% 증가한데 비하여 암환자 발생수는 98.5%로 폭증하였다. 상기의 데이터가 2004년 6월 4일 "소화수조 및 저수조의 화재안전기준" 법 제정에 의하여 공급관이 강제적으로 높아진 싯점과 공교롭게도 유사하고, 국민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깊이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고 추정된다. 또한, 부스터펌프 공급관의 위치가 저수조의 바닥으로부티 전체 저수조 높이의 40%~70%높이로 높아짐에 따라, 저수조 청소시에 퇴수시키는 수돗물의 량이 국내 기준으로 연간 1,000만톤 ~ 2,000만톤 정도로 매우 많다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예를 들면, 2개 저수조가 1쌍인 100톤 용량의 저수조에 양측 저수조에 40톤씩 즉, 80톤이 저수되어 있고, 부스터펌프 공급관의 위치가 저수조의 바닥으로부터 전체 저수조 높이의 70%높이 이상에 위치해 있을 경우, 거의 전량인 80톤을 퇴수로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또한, 수도송수관의 노후화로 점점 갈수록 녹물이 많아지고 있다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상기의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보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도의 저수조 관련법에 저수조 설치시에 물칸막이를 설치하도록 규정하였으나, 물칸막이를 설치하여도 위측의 수도원수관에서 떨어지는 수돗물이 저수조에 저수되어 있는 수돗물보다 수온이 높거나 비슷한 계절에는 물칸막이의 설치효과가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그리고, 상기의 문제점들을 대폭 개선한 제안으로써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7-0103754호(발명의 명칭: 물넘김장치가 장착된 상수도용 저수조, 2017년 8월 16일 출원)에 저수조의 외면의 일측에 펌프를 장착시켜 측면 저수조로 물을 넘겨서, 저수조를 청소할 때 상당량의 수돗물을 절약하고, 평상시에는 펌프를, 가동하여 물을 순환시키는 장치가 장착된 저수조가 제안되었으나, 펌프 장착 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문헌1) KR특허출원번호 제 10-2017-0103754호(발명의 명칭: 물넘김장치가 장착된 상수도용 저수조, 2017년 8월 16일 출원)
본 발명은 소화수조와 겸용으로 사용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내부에서 대기중인 수돗물이 오랫동안 고여 있지 않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저수조 청소시에 상당량의 수돗물을 절약하도록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화수조와 겸용으로 사용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내부나 외부에 장착하는 물순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장치가 몸체부와 중상부 흡입구와 하부 흡입관 및 하부 흡입구로 구성되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물순환 장치에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를 장착시킨 것에도 특징이 있다.
그리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저수조 내부의 수돗물의 상부 측에 수돗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는 상하 이동식 상부 흡입구를 장착시킨 것에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수조 겸용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를 사용할 경우, 저수조에 수돗물이 먼저 입조한 수돗물이 먼저 공급되게 하여, 수돗물이 저수조 내에 오랫동안 고여 있지 않도록 하여서, 항상 신선한 수돗물을 공급함으로써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물순환 장치에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를 장착시킴으로써, 저수조 청소시에 약 50%~80%의 수돗물을 퇴수시키지 않고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돗물 순환장치를 장착함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펌프를 선치하지 않고서도, 소화수조 겸용 저수조의 인근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부스터펌프의 흡입력을 활용하여 저수조 내의 수돗물 순환과 수돗물 절약을 시킴으로써, 부품구입비와 인건비 등의 물순환 장치 장착비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1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지붕 부분이 생략된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2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지붕 부분이 생략된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도 2의 저수조의 지붕부분을 복원시킨 상태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3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4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5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6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7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8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 저수조
201, 301, 401, 501, 601, 701, 801 ; 부스터펌프 공급관
102, 202, 302 ;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
203, 303, 403, 503, 603, 703 ; 부스터펌프 공급관 밸브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 물순환 장치
111, 211, 311, 411, 511, 611, 711 ; 몸체부
112, 212, 312a, 312b, 612a, 612b, 712a, 712b, 712c, 812 ; 결합부재
113, 213, 313, 413, 513, 613, 713, 813 ; 중상부 흡입구
115, 215, 315, 415, 515, 615, 715, 815 ; 하부 흡입관
116, 216, 316, 416, 516, 616, 716, 816 ; 하부 흡입구
240, 440, 540, 640, 740, 840 ;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
241 ; 밸브 손잡이
342, 442, 542, 642a, 642b, 742a, 742b ; 중상부 관통구
343, 443 ; 하부 관통구
817 ; 상부 흡입관
818 ; 상하 이동식 상부흡입구
819 ; 부력부재
820 ; 상부흡수구 개폐용 밸브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올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1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지붕부분이 생략된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저수조(100) 내부의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102)에 몸체부(111)와 중상부 흡입구(113)와 하부 흡입관(115)과 하부 흡입구(116)로 구성된 물순환 장치(110)가 결합부재(112)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다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몸체부(111)에 형성된 하부 결합구(114)에 결합된 하부 흡입관(115)은 필요에 따라서 저수조 바닥 부분의 반대 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순환 장치(11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화용수 흡입구(172)와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102)가 동시에 장착되어 있는 소화수조 겸용 저수조(100)의 내부에는 항상 수돗물(130)의 수위가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102)보다 높게 유지되고 있으며,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102)보다 수돗물(130)의 수위가 낮으면 수돗물(130)의 공급이 중단되고 세대단수가 되도록 되어 있으며, 항상 일정량의 소화용수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102)의 위측으로 적정한 수면이 유지되고 있을 때, 부스터펌프(미도시)가 가동을 하면 물순환 장치(110)의 중상부 흡입구(113)와 하부 흡입구(116)로 동시에 수돗물(130)이 흡입되어 부스터펌프 공급관(미도시)을 경유하여 부스터펌프(미도시)의 가압송수에 의하여 각 수용가로 공급되는데, 중상부 흡입구(113) 측으로는 저수조(100)의 중상층의 수돗물(130)이 흡입되어 순환되고, 하부 흡입구(116) 측으로는 저수조(100)의 하부 층의 수돗물(130)이 흡입되어 물이 순환된다.
동시에 흡입되는 원리는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102)의 지름보다 중상부 흡입구(113)의 지름이 작기 때문에, 하부 흡입구(116) 측으로 흡입력이 발생하는 원리로 중상부 흡입구(113)와 하부 흡입구(116) 측으로 동시에 수돗물(130)이 흡입이 된다.
그리고,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102)의 아래 측으로 수면이 내려갈 때에는, 부스터펌프(미도시)가 가동하여도 중상부 흡입구(113) 측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102)와 하부 흡입구(116)의 수돗물(130) 흡입이 동시에 중단되어 적정량의 소화용수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즉, 중상부 흡입구(113)의 내측 횡단면 면적이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102)의 내측 횡단면 면적의 10%~90%가 되게 함으로써, 하부 흡입구(116)에 흡입력이 생기도록 하는 원리이다.
이때, 하부 흡입구(116)의 횡단면 면적과 중상부 흡입구(113)의 횡단면 면적을 합하면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102)의 횡단면 면적과 넓이가 같지만, 부스터펌프가 가동될 때 중상부 흡입구(113)와 하부 흡입구(116) 측으로 동시에 흡입력이 생기는 범위 내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12)는 결합부재이고, (150)은 저수조 받침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2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지붕 부분이 생략된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도 2의 저수조의 지붕부분을 복원시킨 상태에서의 A-A'선 단면도이며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소화용수관 흡입구(272)가 장착된 소화수조 겸용 저수조(200)의 부스터펌프 공급관(201)과 연결된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202)에 몸체부(211)와 중상부 흡입구(213)와 하부흡입관(215)과 하부 흡입구(216)로 구성된 물순환 장치(210)가 결합부재(212)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다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도 1의 내용과 다른 점은 밸브손잡이(241)와 밸브손잡이 지지대(242)가 장착된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240)가 몸체부(211)에 장착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240)의 역할은 저수조(200) 청소 시에 수돗물(230)의 수위를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202) 보다 훨씬 아래로 낮추어서 수돗물(230)을 절약하는 것이다.
즉, 저수조(200)의 청소를 시작할 때, 지붕(260)에 뚫린 밸브손잡이 지지대 관통구(243)로 관통된 밸브손잡이 지지대(242)에 장착된 밸브손잡이(241)를 돌려서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240)를 잠그면 중상부 흡입구(213)가 닫히고, 중상부 흡입구(213)보다 수위가 내려가도 공기가 차단되어, 부스터펌프가 가동되면 하부 흡입관(215)으로만 지속적으로 수돗물(230)이 올라가게 되어 퇴수시킬 수돗물(230)의 량이 초기 청소 이전의 30% 이하로 되어 상당한 수돗물(230)을 절약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건물의 저수조 관리자가 저수조 청소 1~3일 전부터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240)를 닫고 수돗물관리를 하여, 저수조(200) 내의 수돗물(230)의 수위를 이전 수돗물 물량의 30%이하로 낮춰 놓으면 그만큼 청소 시의 퇴수 물량이 적어져서 상당한 량의 수돗물이 절약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정규모 이상의 상수도용 저수조 관리자는 전반기 1회와 후반기 1회를 합쳐 년 2회 의무적으로 저수조 청소를 하고 관련 기관에 보고를 하도록 되어 있으며, 의무적으로 청소를 하는 과정에서 매우 많은 물이 퇴수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저수조 청소를 할 때, 남은 용수를 최대한 재활용하고자 먼저 청소하는 측의 저수조에 담긴 용수를 나중에 청소하는 측의 저수조로 용수를 펌핑하여 넘길 때, 일일이 저수조 내에 양수기와 호스를 설치하여 넘겨야 하는 데, 양수기 1대의 무게가 10kg~40kg정도 되고, 이렇게 무거운 양수기를 1대~3대 정도를 설치해야 되며, 호스의 무게와 부피도 만만하지 않기 때문에, 양수기와 호스를 설치하여 물넘김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먼저 청소하는 측의 저수조에 남은 물을 그냥 퇴수시키고, 나중에 청소하는 측의 저수조에 남은 물도 상당부분을 퇴수시키는 경우가 매우 많아 수자원낭비의 커다란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부스터펌프 공급관(201)에 형성된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202)의 위치가 저수조의 바닥으로부터 70%이상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면, 물넘김작업을 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1회 청소시 100톤 이상을 퇴수시키는 경우도 일부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도면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부 흡수구(216)를 부스터펌프(미도시)의 위치보다 더 높게 위치시켜서 부스터펌프의 가동이 멈추어도 수돗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03)은 부스터펌프 공급관 밸브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3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소화용수관 흡입구(미도시)가 장착된 소화수조 겸용 저수조(300)의 부스터펌프 공급관(301)에 몸체부(311)와 중상부 흡입구(313)와 하부흡입관(315)과 하부 흡입구(316)로 구성된 물순환 장치(310)가 장착되어 있으며, 저수조(300)의 상부 관통구(342)와 하부 관통구(343)에 관통되고 결합부재(312a, 312b) 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부스터펌프 공급관(301)에 장착된 부스터펌프 공급관 밸브(303)는 2개가 1쌍으로 구성된 저수조(300)의 1측 저수조의 전체 수돗물을 처단시킬 때 사용되며, 주로 저수조 청소시에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4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몸체부(411)와 중상부 흡입구(413)와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440)와 하부 흡입관(415)과 하부 흡입구(416)로 구성된 물순환 장치(410)가 저수조(400)의 중상부 관통구(442)와 하부 관통구(443)에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물순환 장치(410)는 부스터펌프 공급관 밸브(403)가 장착된 부스터펌프 공급관(401)에 결합되어 있는 내용도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내용과 다른 점은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440)와 하부 흡입관(415)이 저수조(400)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며, 수분으로 인한 부품의 부식을 억제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신규 저수조의 설치시에 많이 활용될 수 있는 실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5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몸체부(511)와 중상부 흡입구(513)와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540)와 하부 흡입관(515)과 하부 흡입구(516)로 구성된 물순환 장치(510)가 저수조(500)의 중상부 관통구(542)와 하부 흡입관 관통구(543)에 관통되어 고정되고, 물순환 장치(510)는 부스터펌프 공급관 밸브(503)가 장착된 부스터펌프 공급관(501)에 결합되어 있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6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결합부재(612a)로 저수조(600)에 고정된 몸체부(611)와 중상부 흡입구(613)와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640)와 하부 흡입관(615)과 하부 흡입구(616)로 구성된 물순환 장치(610)가 저수조(600)의 중상부 관통구(642a, 642b)에 관통되어 고정되고, 물순환 장치(610)는 부스터펌프 공급관 밸브(603)가 장착된 부스터펌프 공급관(601)에 결합되어 있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으며,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640)를 저수조(600)의 외부에서 콘트롤하기 위하여 중상부 흡입관(617)의 일부를 중상부 관통구(642b)에 장착된 결합부재(612b)에 2중으로 관통시킨 경우의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7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결합부재(712a)로 저수조(700)에 고정된 몸체부(711)와 중상부 흡입구(713)와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740)와 하부 흡입관(715)과 하부 흡입구(716)로 구성된 물순환 장치(710)가 저수조(700)의 중상부 관통구(742a, 742b, 742c)에 관통되어 고정되고, 물순환 장치(710)는 부스터펌프 공급관 밸브(703)가 장착된 부스터펌프 공급관(701)에 결합되어 있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으며,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740)를 저수조(700)의 외부에서 콘트롤하기 위하여 중상부 흡입관(717)의 일부를 별도의 중상부 관통구(742b, 742c)에 관통시켜 결합부재(712b, 712c)로 고정시키고, 몸체부(711)에 수돗물의 정수를 위한 필터(750)를 장착시킨 경우의 예이다. 그리고, 몸체부(711)는 중상부 관통구(742a)에 장착된 결합부재(712a)에 장착되어 있다는 내용도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발명 도 7과 도 8의 경우는 저수조를 청소하기 전에 수돗물의 수위를 최대한 낮추기 위하여, 중상부 흡입구(613 또는 713)를 중상부 흡입관(617 또는 717)으로 연장시키고, 중상부 흡입관(617 또는 717)을 결합부재(612b 또는 712b, 712c)에 결합시킨 후, 중상부 흡입관(617 또는 717)의 중간 부분 일부를 외부로 돌출시켜, 돌출된 중상부 흡입관(617 또는 717)에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640 또는 740)를 장착시킨 경우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 8 실시 예에 의한 물순환 장치가 저수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결합부재(812)로 저수조(800)에 고정된 몸체부(811)와 중상부 흡입구(813)와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840)와 하부 흡입관(815)과 하부 흡입구(816)와 상하 이동식 상부흡입구(818)가 장착된 상부흡입관(817)으로 구성된 물순환 장치(810)가 저수조(800)의 중상부 관통구(842)에 관통되어 고정되고, 물순환 장치(810)는 부스터펌프 공급관 밸브(803)가 장착된 부스터펌프 공급관(801)에 결합되어 있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도 9의 내용과 같은 실시예는 아파트에 설치된 대형 저수조에 주로 활용되는 예로서, 부스터펌프 공급관(801)의 위치가 비교적 낮고 저장된 수돗물의 위측에 물고임 현상이 발생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경우의 예이다.
물순환장치(810)의 하부 흡입관(815)에 상부 흡수구 개폐용 밸브(820)와 수위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부력부재(819)가 장착된 상하 이동식 상부 흡입구(818)로 구성된 상부 물순환 장치부(850)가 결합되어, 저수조(800)에 저장된 수돗물의 상부층에 수돗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하절기에는 저수조의 수온이 0.2℃~2℃ 정도 낮고, 봄과 가을철에는 같거나 거의 비슷하며, 동절기에 0.2℃~2℃ 정도 높기 때문에 하절기에는 수돗물의 상부층에 수돗물 고임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부스터펌프의 공급관이 비교적 낮고 유효수량 500톤 이상인 대형 저수조들은 청소시에 퇴수량은 크기에 비하여 많지 않으나, 하절기에 수돗물의 상부층에 물고임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이상으로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에 관하여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적 범위 안에서 변환 및 치환이 가능하다.

Claims (8)

  1. 소화수조와 겸용으로 사용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에 장착하는 물순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장치(110)를 몸체부(111)와 중상부 흡입구(113)와 하부 흡입관(115) 및 하부 흡입구(116)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장치를 저수조 내부의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에 장착시키거나, 저수조 외부의 부스터펌프 공급관에 연결시켜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장치의 중상부 흡입구의 내측 횡단면 면적이 부스터펌프 공급관 흡입구의 내측 횡단면 면적의 10%~90%가 되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장치의 몸체부에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를 장착시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장치의 하부 흡입관을 저수조 벽면의 하부 관통구나 하부 흡입관 관통구에 장착된 결합부재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장치의 중상부 흡입구를 중상부 흡입관으로 연장시키고,
    중상부 흡입관을 중상부 관통구에 장착된 결합부재에 결합시키고, 중상부 흡입관의 중간부분 일부를 저수조의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돌출된 중상부 흡입관에 중상부 흡입구 개폐용 밸브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장치의 몸체부에 수돗물을 정수시키는 필터를 장착시켜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장치의 하부 흡입관에 상부 흡입관과 부력부재와 상하 이동식 상부 흡수구로 구성된 상부 물순환 장치부를 결합시켜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
KR1020170170656A 2017-09-18 2017-12-12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 KR201900321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19768 2017-09-18
KR1020170119768 2017-09-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153A true KR20190032153A (ko) 2019-03-27

Family

ID=6590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656A KR20190032153A (ko) 2017-09-18 2017-12-12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21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956B1 (ko) 2019-06-11 2020-07-20 주식회사 서준바이오 수조순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754A (ko) 2015-01-08 2017-09-13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754A (ko) 2015-01-08 2017-09-13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956B1 (ko) 2019-06-11 2020-07-20 주식회사 서준바이오 수조순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90707A1 (en) Gray water recycling system
EA200801707A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втор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оды для бытового потребления
WO2009002062A3 (en) Toilet stool having supporting water tank for preventing overflowing
CN207376690U (zh) 一种基于高层建筑的给排水系统
CN202577499U (zh) 防臭地漏
US20150361648A1 (en) Accumulator for water management
CN202227456U (zh) 绿色环保变电站雨水收集回用系统
US20110265880A1 (en) Water-conserving fire protection systems
KR20190032153A (ko) 상수도용 저수조의 물순환 장치
Greeno Building services, technology and design
CN211547900U (zh) 一种建筑消防水池系统
GB2475923A (en) A rainwater harvesting system comprising an auxiliary water storage tank and float valve
GB2436851A (en) Water recycling system
CN207567855U (zh) 一种一体化地埋式供水泵站
GB2527277A (en) Hydro-powered water distribution system
CN208733738U (zh) 一种屋顶消防稳压设备
CA2832531C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storing water
CN208523434U (zh) 一种具有自清洗功能的外墙绿化供水机构
CN202466689U (zh) 一种家庭用自动储水箱
CN206941765U (zh) 一种自清洁且防异味的地漏
CN102518182A (zh) 建筑同层排水技术系统及公式应用
US20140290967A1 (en) Water-conserving fire protection systems
CN101818516B (zh) 家庭污水二次回收利用系统
CN205444324U (zh) 自来水补水装置
CN204080921U (zh) 雨水收集重力冲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