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059A - 재구성가능한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를 이용한 에너지 재활용 전압 스케일러 및 전압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재구성가능한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를 이용한 에너지 재활용 전압 스케일러 및 전압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2059A KR20190032059A KR1020170120534A KR20170120534A KR20190032059A KR 20190032059 A KR20190032059 A KR 20190032059A KR 1020170120534 A KR1020170120534 A KR 1020170120534A KR 20170120534 A KR20170120534 A KR 20170120534A KR 20190032059 A KR20190032059 A KR 201900320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voltage
- capacitors
- capacitor array
- switched capaci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6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1에 도시된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와 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스케일러에 있어서, 충전모드일 경우 스위치드 커패시터의 소자간 접속관계를 단순화한 회로도이다.
도 4는 6개의 커패시터로 구성된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의 커패시터가 모두 병렬접속된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5는 6개의 커패시터로 구성된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의 커패시터가 2개씩 직렬접속되고, 2개씩 직렬접속된 3 개의 커패시터 브랜치가 상호 병렬접속된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6은 6개의 커패시터로 구성된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의 커패시터가 3개씩 직렬접속되고, 3개씩 직렬접속된 2 개의 커패시터 브랜치가 상호 병렬접속된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7은 6개의 커패시터로 구성된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의 커패시터가 모두 직렬접속된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스케일러에서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개수와 에너지 재활용 프로세스의 최대가능 회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300 제어부 400 비교기
111, 112, 113, 114, 115, 116, 117 커패시터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31, 132, 133, 134, 135, 141, 142, 143, 144, 145, 151a, 151b, 152, 161a, 161b, 162 스위치
Claims (8)
- 복수의 스위치와 복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충전모드, 전압공급모드, 에너지재활용모드의 3개 동작모드를 가지며,
부하가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거나 액티브 모드 중에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는 상기 충전모드와 상기 전압공급모드 사이를 반복적으로 서로 교대하면서 부하에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부하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슬립 모드로 전환되기 소정 시간 전에 상기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는 에너지재활용모드의 단계별 재활용 동작을 복수회 반복 수행하여 저장된 에너지를 부하에 최대치로 공급한 후 부하와 함께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전압 스케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는 상기 충전모드, 전압공급모드, 및 에너지재활용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서 전압 스케일러의 입출력 전압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커패시터간의 직렬접속 및 병렬 접속을 구성하되, 상기 복수의 커패시터간의 직렬접속은 적어도 하나의 직렬그룹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직렬그룹을 동일 길이로 하여 서로 병렬접속을 구성하고, 상기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 내의 모든 커패시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렬그룹에 모두 포함되도록 하여 모든 커패시터에서 전압 충전 또는 강압이 동일하게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구조를 갖는 전압 스케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모드에서 상기 각 직렬그룹 내의 커패시터 수를 1개로 구성하여 병렬 연결되는 직렬그룹의 개수가 최대가 되도록 구성한 후 외부전압을 상기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에 가하여 모든 커패시터를 동일한 전압으로 균등하게 충전하여 각 커패시터 상호간에 불필요한 전하이동(Charge Sharing)을 방지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전압 스케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모드에서 상기 전압공급모드로 전환시 부하가 요구하는 목표 출력전압 보다 높은 전압 중 최소의 전압을 출력전압으로 제공하도록, 모든 직렬그룹내의 커패시터를 최소한의 개수 만큼만 증가시키고 병렬 연결되는 직렬그룹의 개수를 최소한으로 감소시켜서 목표 출력전압에 가장 가까운 근사값을 제공하며,
상기 전압공급모드에서 출력전압이 부하가 허용하는 최대 리플전압(ripple voltage) 보다 감소한 것으로 비교기를 통해 감지되면 상기 충전모드로 전환하여 외부전원으로부터 상기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를 충전한 후 다시 상기 전압공급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전압공급모드에서 각 직렬그룹내의 커패시터 개수를 동일하게 구성하여 각 커패시터의 전압강하를 균등하게 하여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하는 전압 스케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기 소정 시간 전에 상기 충전모드 또는 상기 전압공급모드로부터 상기 에너지재활용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에너지재활용모드에서는 단계적으로 상기 직렬그룹의 수를 감소시키면서 각 직렬그룹내의 커패시터 수를 증가시키되 상기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 내의 모든 커패시터가 적어도 하나의 직렬그룹에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다음 단계의 에너지재활용모드의 출력전압이 목표 출력전압보다 높은 전압 중 최소값이 되도록 직렬그룹의 수와 각 직렬그룹 내의 커패시터 수를 결정하는 전압 스케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에 사용된 총 커패시터 수에 따라 결정되는 에너지재활용 단계의 횟수에 부하에서 측정되는 전류량에 따라 결정되는 각 에너지재활용 단계의 시간길이 값을 곱하여 결정되는 전압 스케일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재활용모드에서의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의 출력전압이 소정 값보다 작아지면, 다음 단계의 에너지재활용모드로 전환하여 직렬그룹의 수를 감소시키면서 각 직렬그룹 내의 커패시터 수를 증가시키며,
에너지재활용모드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직렬그룹의 개수가 1개이며 상기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 내의 모든 커패시터들이 직렬연결이 되는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마지막 단계 후에는 부하와 함께 슬립 모드로 전환되어 부하에 전압을 공급하는 메인 스위치를 차단하고 부하가 다음 활성모드로 전환될 때까지 슬립 모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스케일러. -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의 출력전압과 부하에 공급할 목표 출력전압 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비교기는 어레이 내의 커패시터 방전시간 보다 빠른 주기로 비교 결과를 반복적으로 감지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값을 확인하여 상기 비교 결과값이 부하가 허용하는 최대 전압강하범위를 넘는 경우 상기 스위치드 커패시커 어레이를 다음 단계의 동작 모드로 전환시키며,
상기 다음 단계의 동작 모드는, 전압공급모드의 경우 충전모드를 의미하고, 에너지재활용모드의 경우 직렬그룹내의 커패시터 수를 증가시겨 출력전압을 상승시키는 후속 단계를 의미하는, 전압스케일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0534A KR101997838B1 (ko) | 2017-09-19 | 2017-09-19 | 재구성가능한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를 이용한 에너지 재활용 전압 스케일러 및 전압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0534A KR101997838B1 (ko) | 2017-09-19 | 2017-09-19 | 재구성가능한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를 이용한 에너지 재활용 전압 스케일러 및 전압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2059A true KR20190032059A (ko) | 2019-03-27 |
KR101997838B1 KR101997838B1 (ko) | 2019-10-01 |
Family
ID=6590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0534A Active KR101997838B1 (ko) | 2017-09-19 | 2017-09-19 | 재구성가능한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를 이용한 에너지 재활용 전압 스케일러 및 전압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783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62113A (zh) * | 2020-12-07 | 2021-03-09 | 广东中质检测技术有限公司 | 一种用于现场电气检测的可编程电容阵列 |
KR20220021597A (ko) * | 2020-08-14 | 2022-02-22 | 한국전력공사 | 에너지 하베스터를 위한 전력 변환기 |
KR20230078082A (ko) | 2021-11-26 | 2023-06-02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재구성 가능한 스위치드 커패시터 직류-직류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 시스템 |
KR20240024570A (ko) * | 2022-08-17 | 2024-02-26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전력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68945A1 (en) * | 2013-03-15 | 2014-09-18 | Arctic Sand Technologies, Inc. | Reconfigurable switched capacitor power converter techniques |
US20150311783A1 (en) * | 2014-04-24 | 2015-10-29 | Qualcomm Incorporated | Charge-recycling circuits |
-
2017
- 2017-09-19 KR KR1020170120534A patent/KR10199783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68945A1 (en) * | 2013-03-15 | 2014-09-18 | Arctic Sand Technologies, Inc. | Reconfigurable switched capacitor power converter techniques |
US20150311783A1 (en) * | 2014-04-24 | 2015-10-29 | Qualcomm Incorporated | Charge-recycling circuits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M. Alioto et al. ""EChO" Reconfigurable Power Management Unit for Energy Reduction in Sleep-Active Transitions". IEEE. 2013. * |
김형원 외. "재구성 구조의 커패시터 어레이를 이용한 에너지 재순환 전압 스케일러". 대한전자공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6. *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1597A (ko) * | 2020-08-14 | 2022-02-22 | 한국전력공사 | 에너지 하베스터를 위한 전력 변환기 |
CN112462113A (zh) * | 2020-12-07 | 2021-03-09 | 广东中质检测技术有限公司 | 一种用于现场电气检测的可编程电容阵列 |
KR20230078082A (ko) | 2021-11-26 | 2023-06-02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재구성 가능한 스위치드 커패시터 직류-직류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 시스템 |
KR20240024570A (ko) * | 2022-08-17 | 2024-02-26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전력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7838B1 (ko) | 2019-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11491B2 (en) | Multiple output voltage conversion | |
US9893622B2 (en) | Multi-level step-up converter topologies, control and soft start systems and methods | |
US2013023478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forward Controlled Charge Pumps | |
JP4485366B2 (ja) | 多出力dc−dcコンバータ | |
EP1753117A2 (en) | Power supply apparatus | |
KR20190032059A (ko) | 재구성가능한 스위치드 커패시터 어레이를 이용한 에너지 재활용 전압 스케일러 및 전압제어방법 | |
EP3713064A1 (en) | Switching regul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1677705B1 (ko) | 다중 출력 스위치드 캐패시터 dc-dc 변환기 | |
CN104065263A (zh) | 电压转换电路 | |
US10069416B2 (en) | Buck-boost converter controller | |
US2016003627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an end of discharge for multiple batteries | |
EP2658110A2 (en) | Power supplying apparatus,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 |
US20050088160A1 (en) | Multi output DC-DC converter | |
EP3804110B1 (en) | Reconfigurable ladder switched-capacitor converter | |
US20050212493A1 (en) | Capacitor system | |
KR20220048732A (ko) | 단일 인덕터를 이용한 직류 대 직류 전압 변환기 회로 및 전압 변환 방법 | |
JP2009273236A (ja) | 降圧形コンバータ | |
KR101289958B1 (ko) | 스위치드-커패시터 직류-직류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
US20210203223A1 (en) | Pfm controller for a multi-level converter utilizing flying capacitor voltage monitors | |
US11880217B2 (en) | Power management circuit with constant time control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s | |
US20050248967A1 (en) | Use of charge pump active discharge | |
US11635780B2 (en) |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apparatus for energy harvesting system and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method | |
JP2009201260A (ja) | 多軸モータ駆動装置 | |
US10381966B2 (en) | PN-busbar common system, regenerative control device, and regenerative control method | |
JP2023044246A (ja) | 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