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789A - Method of preparing freestanding thin film - Google Patents

Method of preparing freestanding thin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789A
KR20190031789A KR1020170119666A KR20170119666A KR20190031789A KR 20190031789 A KR20190031789 A KR 20190031789A KR 1020170119666 A KR1020170119666 A KR 1020170119666A KR 20170119666 A KR20170119666 A KR 20170119666A KR 20190031789 A KR20190031789 A KR 20190031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ree
supporting thin
polymer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9985B1 (en
Inventor
이상현
박미나
이아람
배수강
전대영
김태욱
이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985B1/en
Publication of KR2019003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7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9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01L21/2850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 H01L21/28512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1/2855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by chemical means, e.g. CVD, LPCVD, PECVD, laser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9/1606Graph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free supporting thin film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two or more seed layer patterns and two or more electrode patterns on a substrate; a step of transferring a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having a polymer supporting layer attached thereto to the electrode pattern; and a step of manufacturing a free supporting thin film on an upper part of the electrode pattern by removing a part of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and the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and connecting an upper part of an adjacent electrode pattern.

Description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METHOD OF PREPARING FREESTANDING THIN FILM}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eparing a free-

본 발명은 새로운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다 간편하고도 경제적인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new free supporting thin fil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ree-supporting thin film which is simpler and more economical.

그래핀(graphene)은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도 높으면서, 전기전도성 및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휨 특성(flexibility)이 뛰어나 늘리거나 구부려도 전기적 성질을 잃지 않는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그래핀은 차세대 신소재로 각광받는 탄소나노튜브를 뛰어넘는 소재로 평가받으며 '꿈의 나노물질'이라 불린다. 그리하여 그래핀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나 전자종이, 착용식 컴퓨터(wearable computer), 초고속 트랜지스터 등을 만들 수 있는 전자정보 산업분야의 미래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Graphene has high physical and chemical stability, and is not only excellent i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trength, but also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does not lose its electrical properties even when stretched or bent. Because of these properties, graphene is regarded as a material that goes beyond carbon nanotubes, which are regarded as the next generation of new materials, and is called 'dream nanomaterial'. Thus, graphen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future-oriented new material in the electronic information industry that can produce bendable displays, electronic paper, wearable computers, and ultra-high-speed transistors.

일반적으로 이러한 그래핀은 기판(substrate)의 일면에 밀착되어 기판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제조된다. 그런데 이렇게 기판에 의해 지지되는 그래핀은 본래의 광학적, 물리적 특성이 매우 저하된다. 따라서 그래핀 자체의 우수한 물성 및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판을 제거한 자유지지 형태(기판으로부터 그래핀이 떠있는 형태)의 그래핀 구조물이 필수적이다. 이때, 이러한 자유지지 그래핀 구조물을 이용한 응용을 위해서는 자유지지된 그래핀의 면적이 매우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Generally, such graphenes are manufactured in such a manner that the graphenes adhere to one surface of a substrate and are supported by the substrate. However, the graphenes supported by the substrate in this way are very poor in inherent optical and physical properties.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nd properties of the graphene itself, a graphene structure in which a substrate is removed and in which free grains are floating from the substrate is essential.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free graphene is very wide for the application using such a free graphene structure.

그러나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으로 합성된 그래핀의 경우 결함(defect) 등의 영향으로 인해 대면적의 자유지지 그래핀 구조물을 제작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화학기상증착에 의해 제조된 자유지지 그래핀은 흑연으로부터의 박리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그래핀에 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 않으며, 기존의 화학기상증착에 의해 제조된 자유지지 그래핀은 크기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graphene synthesiz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it is very difficult to fabricate a large-area free supporting graphene structure due to defects and the like. The free graphene produced by the chemical vapor deposition has not been studied much in comparison with the graphene produced by the peeling method from the graphite, and the free graphene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chemical vapor deposition Is very limited in size.

아울러, 자유지지형 그래핀을 제조하기 위해서 그래핀 패터닝, 벌크 실리콘 기판의 에칭, 이빔(e-beam) 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고, 그래핀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임계점 건조 공정을 필수적으로 수행하는데, 이러한 공정들은 복잡하고 진공상태를 필요로 하거나, 고온 공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a critical-point drying process is performed to perform graphene patterning, bulk silicon substrate etching, e-beam lithography, and graphene formation in order to produce freely supporting graphenes, These processes are complicated, require a vacuum state, or require a high temperature process.

이에 따라, 자유지지형 박막(자유지지형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free supporting thin film (free supporting type graphene).

KR 10-2013-0078310 AKR 10-2013-0078310 A KR 10-1300014 B1KR 10-1300014 B1 KR 10-1587224 B1KR 10-1587224 B1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존의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간편하게 자유지지형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ree supporting thin film which can manufacture a free supporting thin film more easily than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상기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자유지지형 박막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hape of a free supporting thin film us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판상에 둘 이상의 시드층 패턴 및 둘 이상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고분자 지지층이 부착된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을 상기 전극 패턴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지지층 및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의 일부를 제거하여 전극 패턴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웃한 전극 패턴의 상부를 연결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ree supporting thin film, comprising: forming two or more seed layer patterns and two or more electrode patterns on a substrate; Transferring the preliminarily free supporting thin film having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to the electrode pattern; Forming a free supporting thin film on the electrode pattern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and the free free supporting thin film and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djacent electrode patter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ree-supporting thin film comprising the steps of: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자유지지형 박막의 길이(l)는 이웃한 전극 패턴의 간격(d)과 각 전극 패턴의 가로 길이(w)를 합한 값과 동일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ength l of the free-supporting thin film may be equal to the sum of the distance d between adjacent electrode patterns and the width w of each electrode pattern.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자유지지형 박막은 그래핀, 질화붕소, 이황화텅스텐, 이황화몰리브덴 및 금속 디칼코게니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ree-supporting thin film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phene, boron nitride, tungsten disulfide, molybdenum disulfide, and metal decalconeide.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은 화학기상증착공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고분자 지지층은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형성 후, 고분자 지지층용 물질을 코팅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is formed through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and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is formed by forming a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and coating the material for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As shown in FIG.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기판 상에 둘 이상의 시드층 패턴 및 둘 이상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기판 상에 시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시드층 상에 서로 이격되며 둘 이상으로 형성되는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을 매립하는 둘 이상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을 제거하고, 시드층의 일부를 식각하여 기판 상과 전극 패턴 사이에 시드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tep of forming two or more seed layer patterns and two or more electrode patterns on a substrate includes: forming a seed layer on the substrate; Forming a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 on the seed layer, the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in two or more layers; Forming two or more electrode patterns for embedding the photosensitive polymer pattern; Removing the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 and etching a part of the seed layer to form a seed layer pattern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pattern; . ≪ / RTI >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전극 패턴은 100nm ~ 60㎛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lectrode pattern may have a height of 100 nm to 60 占 퐉.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이웃한 전극 패턴은 1nm ~30㎛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neighboring electrode patterns may be spaced a distance of 1 nm to 30 μm.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고분자 지지층은,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타이렌(PS) 및 폴리우레탄(PU)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olymeric support layer may compris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thyl acrylate (PMMA), polycarbonate (PC), polystyrene (PS) and polyurethane (PU).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고분자 지지층을 제거할 때, 30mN/m이하의 표면장력을 갖는 유기용매를 통해 고분자 지지층을 제거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removing the polymer support layer, the polymer support layer can be removed through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urface tension of 30 mN / m or less.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유기 용매는 클로로폼(chloroform),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에탄올(ethanol), 아세톤(acetone) 및 이소프로필알콜(IPA)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organic solven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chlorobenzene, ethanol, acetone, and isopropyl alcohol (IPA) .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자유지지형 박막의 형상 조절 방법으로서, 기판상에 둘 이상의 시드층 패턴 및 둘 이상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고분자 지지층이 부착된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을 상기 전극 패턴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지지층 및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의 일부를 제거하여 전극 패턴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웃한 전극 패턴의 상부를 연결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전극 패턴 형성시 이웃한 전극 패턴의 간격을 조절하여, 자유지지형 박막의 형상을 조절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형상 조절 방법이 제공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djusting the shape of a free supporting thin film, comprising: forming two or more seed layer patterns and two or more electrode patterns on a substrate; Transferring the preliminarily free supporting thin film having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to the electrode pattern; Forming a free supporting thin film on the electrode pattern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and the free free supporting thin film and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djacent electrode pattern; The shape of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adjacent electrode patterns when the electrode pattern is formed.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전극 패턴 간의 거리(d)가 10㎛이하일 때는 자유지지형 박막이 필름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패턴 간의 거리(d)가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유지지형 박막이 섬유 필라멘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is 10 탆 or less,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may be formed into a film, and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exceeds 10 탆, Type thin film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fiber filament.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기존의 복잡했던 공정 과정과 달리, 고분자 지지층과 3차원 전극 구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자유지지형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이 경우 공정비용이 낮아 가격경쟁력도 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ee supporting thin film can be easily manufactured using a polymer supporting layer and a three-dimensional electrode structure unlike the conventional complicated process.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process cost is low and the price can be competitive.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또한, 자유지지형 박막을 구성하는 2차원 물질의 부가적인 패터닝 없이도 3차원 전극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2차원 물질의 두께를 제어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two-dimensional material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electrodes without additional patterning of the two-dimensional material constituting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Accordingly, it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도 1a 내지 1e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에 따른 각 단계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의 예시를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 3a 및 3b는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자유지지형 박막의 단면도로서, 이웃한 전극 패턴들의 간격 변화에 따른 자유지지형 박막의 형태 변화를 나타낸다(도 6a).
도 4a 및 4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자유지지형 박막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의 제조시 그래핀층의 적층 전/후의 SEM 사진이다.
도 6a은 전극 패턴의 거리 조절에 따른 자유지지형 박막의 두께 및 형상 변화를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도 6b는 전극 패턴의 거리 조절에 따른 자유지지형 박막의 두께 및 형상 변화에 따른 라만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자유지지형 그래핀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빛 발현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7b는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 영역에서의 대면적의 빛 발현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FIGS. 1A through 1E are cross-sectional views of respective step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ree-supporting thin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step of forming an electrode pattern.
FIGS.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free-supporting thin film produc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nd show a change in shape of a free-supporting thin film according to a change in spacing of neighboring electrode patterns (FIG.
4A and 4B each show a free supporting thin film produc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M photograph of the graphene layer before and after stacking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n SEM photo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thickness and shape of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distance of the electrode pattern. 6B is a graph showing Raman measurement result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thickness and shape of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according to the distance adjustment of the electrode pattern.
FIG. 7A is an optical microscope photograph of light emission in a visible light region of a free supporting type graph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B is an optical microscope photograph of light emission of a large area in the visible light reg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용어정의Term Definition

본 명세서에서, ‘자유지지형 박막’이란 기판으로부터 일부가 떠있는 구조를 갖는 박막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free supporting thin film " means a thin film having a structure partially floating from a substrate.

본 명세서에서, ‘2차원 물질’이란 그래핀, 이황화몰리브덴, 이황화텅스텐 등과 같이 단 한 층의 원자로 이루어지 물질을 의미하고, ‘3차원 구조’란 100nm이상의 높이를 가지는 구조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wo-dimensional material' means a material consisting of only one atom such as graphene, molybdenum disulfide, tungsten disulfide, etc.,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means a structure having a height of 100 nm or more.

본 명세서에서, 자유지지형 박막의 ‘길이(l)’란 가로 길이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length (l) " of the free-supporting thin film means a transverse length.

본 명세서에서, 전극 패턴 사이의 ‘간격(d)’이란 이웃한 전극 패턴 사이의 가로로 측정된 거리로서, 가장 작은 값으로 측정될 수 있는 간격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terval 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means a distance measured horizontally between neighboring electrode patterns, which can be measured as the smallest value.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ree-supporting thin film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판상에 둘 이상의 시드층 패턴 및 둘 이상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고분자 지지층이 부착된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을 상기 전극 패턴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지지층 및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의 일부를 제거하여 전극 패턴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웃한 전극 패턴의 상부를 연결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ree supporting thin film, comprising: forming two or more seed layer patterns and two or more electrode patterns on a substrate; Transferring the preliminarily free supporting thin film having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to the electrode pattern; Forming a free supporting thin film on the electrode pattern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and the free free supporting thin film and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djacent electrode patter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ree-supporting thin film comprising the steps of:

도 1a 내지 1e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의 각 단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1A to 1E are cross-sectional views of respective step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ree-supporting thin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a 내지 1e를 참조하여 상기 제조 방법을 자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E.

먼저, 기판상에 시드층 패턴(115) 및 전극 패턴(130)을 형성한다. 이때, 시드층 패턴(115) 및 전극 패턴(130)은 2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a seed layer pattern 115 and an electrode pattern 130 are formed on a substrate. At this time, the seed layer pattern 115 and the electrode pattern 130 may be formed of two or more.

기판(100) 상에 전극 패턴(130)을 형성하는 단계는,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을 형성하여 이를 이용한 후, 리프트 오프 하는 방법, 쉐도우 마스크를 이용하는 공정 등 다양한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기재된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을 이용하는 공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step of forming the electrode pattern 130 on the substrate 100 can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processes such as a method of forming a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 and using the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 followed by lift-off, a process using a shadow mask, and the like. Hereinafter,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ocess using the photosensitive polymer pattern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2를 살펴보면, 기판(100)상에 2(둘) 이상의 시드층 패턴(115) 및 전극 패턴(130)을 형성하는 단계는, 기판(100) 상에 시드층(110)을 형성하는 단계; 시드층(110) 상에 서로 이격되며 복수 개로 형성되는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125)을 형성하는 단계;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125)을 매립하는 전극 패턴(130)을 형성하는 단계;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125)을 제거하고, 시드층(110)을 식각하여 기판(100)과 전극 패턴(130) 사이에 시드층 패턴(115)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2, forming two or more seed layer patterns 115 and an electrode pattern 130 on a substrate 100 includes forming a seed layer 110 on a substrate 100; Forming a plurality of spaced-apart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s (125) on the seed layer (110); Forming an electrode pattern (130) for embedding the photosensitive polymer pattern (125); Removing the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 125 and etching the seed layer 110 to form a seed layer pattern 115 between the substrate 100 and the electrode pattern 130; . ≪ / RTI >

기판(100)은 세라믹, 금속, 반도체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불활성의 안정화된 상면이 평탄화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ubstrate 100 may include a ceramic, a metal, a semiconductor material, or the like, and a substrate having an inert, stabilized upper surface may be used.

일 구현예에서, 기판(10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탄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으로서 전도성/비전도성 구분없이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기판(100)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추후 전극 형성 공정에서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bstrate 100 may comprise silicon oxide, silicon carbide, or the like. As the substrate 100, various materials may be used without discrimination of conductivity and non-conductivity. However, if the substrate 100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it can easily work in the electrode formation process in the future.

한편 기판(100)에는 전극 패턴을 형성하기 이전에 시드층(11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시드층(110)은 구리, 크롬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시드층(110)은 5 내지 60n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시드층(110)은 기판(100) 상에 e-빔(e-beam)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ed layer 11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00 before the electrode pattern is formed. The seed layer 110 may include a metal such as copper, chromium, and the like. The seed layer 110 may have a height of 5 to 60 nm. The seed layer 110 may be formed by depositing metal on the substrate 100 through an e-beam lithography process.

이후, 시드층(110) 상에 광감응성 폴리머 막을 형성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서로 이격되며 복수 개로 형성되는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125)을 형성할 수 있다.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125)을 형성할 때는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a photoresponsive polymer film is formed on the seed layer 110 and then patterned to form a plurality of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s 125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photosensitive polymer pattern 125 is formed, a conventional photolithography process can be performed.

일 구현예에서,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125)은 페놀, o-크레졸, 3,5-키시레놀과 같은 노볼락계 수지, 폴리히드록시스티렌계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술포늄염, 요오드늄염 또는 유기계 화합물 등이 섞인 고분자를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 125 is formed from a mixture of a phenol, o-cresol, a novolac-based resin such as 3,5-chisilanol, a polyhydroxystyrene-based resin, a polymethacrylate- Such as a positive photosensitive resin containing a polymer mixed with an organic compound or the like.

이어서,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125)을 매립할 수 있도록 전극 패턴(130)을 형성한다.Subsequently, an electrode pattern 130 is formed so that the photosensitive polymer pattern 125 can be embedded.

구체적으로 시드층(110) 및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125) 상에 열증착(thermal evaporatorization), e-beam 증착(e-beam evaporatorization), 전기도금, 스퍼터링 공정 등을 수행하여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125)은 시드층(110) 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바, 전극 패턴(130)은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125)간의 간격을 매립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rmal evaporation, e-beam evaporation, electroplating, sputtering, and the like are performed on the seed layer 110 and the photosensitive polymer pattern 125, Thereby forming the same electrode pattern. At this time, the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s 12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eed layer 110, and the electrode patterns 130 may have a structure to fill the spaces between the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s 125.

도 1a에서는 전극 패턴(130)이 2개로 형성됨(즉, 135 및 137)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극 패턴(13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2개의 전극 패턴(135, 137)을 형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1A, two electrode patterns 130 are formed (i.e., 135 and 137).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the electrode patterns 130 may be plural, and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Hereinafter, a case where two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are form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전극 패턴(135, 137)은 100nm ~ 60㎛의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40 내지 55㎛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전극 패턴(135, 137)의 높이가 100nm 미만일 경우, 전극 패턴(135, 137)과 추후 형성되는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 도 1d 참조) 사이에 공극(140)이 생기지 않아 결점이 없이 전사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자유지지형 박막을 제조할 수 없다. 한편, 전극패턴(135, 137)의 높이가 60㎛ 을 초과하는 경우는 증착 소요 시간 등이 높아서 바람직하지 않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may have a height of 100 nm to 60 占 퐉, and may have a height of, for example, 40 to 55 占 퐉. When the heights of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are less than 100 nm, the gap 140 is not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and the preliminaril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see FIG. 1D) to be formed later,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produc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ight of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exceeds 60 탆, the time required for the deposition is high, which is not preferable.

한편, 전극 패턴(135, 137)은 3차원 전극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전극은 3차원 구조를 가지는 전극으로, 3차원 구조는 100nm이상의 높이를 가지는 구조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may be formed as three-dimensional electrodes. Here, the three-dimensional electrode is an electrode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means a structure having a height of 100 nm or more.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이웃한 전극 패턴(135, 137)은 1nm ~30㎛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30㎛를 초과하는 경우 이웃한 전극 패턴(135, 137) 사이의 기판(100)에 전사 필름(220, 도 1b참조)이 닿게 되어 자유지지형 박막(215, 도 1e참조)을 제조하기 어렵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neighboring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may be spaced a distance of 1 nm to 30 μm. The transfer film 220 (see FIG. 1B) contacts the substrate 100 between the adjacent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an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 (see FIG. 1E).

한편, 전극 패턴(135, 137)의 거리 조절을 통해 추후 형성되는 자유지지형 박막(215)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극 패턴(135, 137)의 거리(d)가 10㎛ 이하인 경우, 자유지지형 박막(215)이 필름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섬유 필라멘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및 3b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극 패턴(135, 137)의 거리(d)가 10㎛ 이하인 경우, 자유지지형 박막(215)이 일정한 너비를 가져 필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전극 패턴(135, 137)의 거리(d)가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유지지형 박막(215)의 너비가 매우 얇아져 섬유 필라멘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 to be formed later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is 10 탆 or less,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ilm, and when the distance d is in excess of 10 탆, hav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A and 3B,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is 10 μm or less,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 may have a certain width to have a film shape,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patterns 135 and 137 exceeds 10 mu m, the width of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 becomes very thin and can be made into a fiber filament form.

이와 같이 전극 패턴(130)이 제조되는 방법을 기술하였으나, 도 2에 기재된 바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공정을 통해 전극 패턴(130)이 제조될 수 있다.Although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pattern 130 has been described, the electrode pattern 130 can be manufactured through various processes without being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FIG.

이후, 광감응성 폴리머(125) 패턴을 제거한 후, 시드층(110)을 식각한다.After removing the photosensitive polymer 125 pattern, the seed layer 110 is etched.

먼저, 광감응성 폴리머(125) 패턴을 제거하는데, 이때 아세톤 등과 같은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암모늄펄설페이트용액, 크롬에칭용액 등과 같은 용매를 사용하여 시드층(110)을 식각한다. 이때, 시드층(110) 식각 시에는 시드층(110)의 전부가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전극 패턴(130)의 하부의 시드층(110)은 제거되지 않고 잔존하여 시드층 패턴(115)이 되도록 식각공정을 수행한다. First, the photoresponsive polymer (125) pattern is removed, and a solvent such as acetone or the like may be used. Then, the seed layer 110 is etched using a solvent such as an ammonium persulfate solution, a chromium etching solution, or the like. At this time, when the seed layer 110 is etched, not all of the seed layer 110 is removed, but the seed layer 110 under the electrode pattern 130 is not removed but remains to be the seed layer pattern 115 The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한편 도 1b를 살펴보면, 2차원 물질을 포함하는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 상에 고분자 지지층용 물질을 코팅하여,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 및 고분자 지지층(200)을 포함하는 전사 필름(220)을 제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B, a polymer supporting layer material is coated on a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including a two-dimensional material, and a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and a transfer film including a polymer supporting layer 200 220).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은 화학기상증착공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박리, 분산 공정 등을 통해 합성될 수 있다. The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can be synthesized through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peeling, dispersion, or the like.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은 2차원 물질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eliminary free-standing thin film 210 may be fabricated to include a two-dimensional material.

예를 들어,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 (210)은 그래핀, 질화붕소, 이황화텅스텐, 이황화몰리브덴 및 금속 디칼코게니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phene, boron nitride, tungsten disulfide, molybdenum disulfide, and metal decalconeide.

일 구현예에서,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은 2차원 물질인 그래핀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liminary free-standing thin film 210 may be fabricated to include graphene, which is a two-dimensional material.

한편, 고분자 지지층(200)은 고분자 지지층용 물질을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 상에 코팅 및 건조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고분자 지지층용 물질은 유리전이온도 이하에서 강도가 강하고 깨지기 쉬운 특성을 갖는 비결정질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lymer support layer 200 may be formed by coating a polymer support layer material on a preliminaril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and drying the polymer support layer 200. In this case, the polymer support layer material has a strong and fragile characteristic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morphous polymeric material.

일 구현예에서, 고분자 지지층(200)은 예컨대,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타이렌(PS) 및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lymeric support layer 200 may compris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 example, polymethyl acrylate (PMMA), polycarbonate (PC), polystyrene (PS) and polyurethane (PU).

이후, 형성된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이 전극 패턴(135, 137)에 접하도록 전사 필름(220)을 전극 패턴(135, 137)에 전사한다(도 1c및 도 1d). 상기 전사 공정은 통상의 전사 공정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공정을 통해, 전극 패턴(135, 137)과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이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극 패턴(135, 137)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 (210)의 일부분은 전극 패턴(135, 137)으로부터 지지되어 있지 않고 공중에 떠있을 수 있다.Thereafter, the transfer film 220 is transferred onto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so that the preliminaril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formed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FIGS. 1C and 1D). The transferring step may be carried out through a normal transferring step.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and the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can be formed to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a part of the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may not float in the air without being supported by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한편 이와 같이 고분자 지지층(200)을 이용한 전사 방법으로 전극 패턴(135, 137)이 형성된 기판(100) 위에 전사를 하게 되면, 전극 패턴(135, 137) 외측에서 기판(100)과 전사 필름(220) 일부가 접하게 되고, 이때 고분자 특성으로 인하여 전극 패턴(135, 137)에 전사 필름(220)이 완벽하게 밀착하지 못하고 전극 패턴(135, 137) 옆 쪽과 전극 패턴(135, 137) 간의 사이에 공극(140)이 형성된다(도 1d참조).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nsfer is performed on the substrate 100 on which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are formed by the transfer method using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200, the substrate 100 and the transfer film 220 The transfer film 220 may not completely adhere to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due to the polymer properties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and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The air gap 140 is formed (see FIG. 1D).

이어서, 고분자 지지층(200)와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의 일부를 제거하여 전극 패턴(135, 137)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웃한 전극 패턴(135, 137)의 상부를 연결하는 자유지지형 박막(215)을 제조한다(도 1e).The polymer support layer 200 and a part of the preliminaril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are removed to form a free supporting structure that is formed on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and connects the upper portions of the adjacent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 Type thin film 215 is manufactured (FIG. 1E).

구체적으로,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기판(100) 상에 형성된 고분자 지지층(200) 및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의 일부와 공극(140) 상에 위치한 고분자 지지층(200) 및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을 제거한다. Specifically, a wet 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remove the polymer support layer 200 and a portion of the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formed on the substrate 100,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200 positioned on the gap 140, The thin film 210 is removed.

이때, 도 1d에 도시된 공극(140)과 전극 패턴(135, 137)간의 거리조절이 자유지지형 박막(215)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큰 역할을 수행한다. 공극(140)과 관련해서 살펴보면, 고분자 지지층(200)을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제거할 때, 고분자 지지층(200)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공극(140)이 결점 역할을 하는데, 특히 전극 패턴(135, 137)의 측면에 존재하는 공극(140)을 중심으로 전사 필름(220)의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5)이 절단될 수 있다. 즉,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의 공극(140)이 형성된 전극 패턴(135, 137) 의 외측을 중심으로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이 절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gap 140 and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shown in FIG. 1D plays a large role in manufacturing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 When the polymer support layer 200 is removed using an organic solvent, not only the polymer support layer 200 is removed but also the void 140 serves as a defect. Particularly, when the electrode pattern 135 The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 of the transfer film 220 may be cut around the gap 140 existing on the sides of the transfer film 220 and 137. That is, the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can be cut around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where the voids 140 of the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are formed.

일 구현예에서, 자유지지형 박막(215)의 길이(l)는 이웃한 전극 패턴의 간격(d)과 각 전극 패턴의 가로 길이(w)를 합한 값과 동일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ength 1 of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 may be equal to the sum of the distance d between adjacent electrode patterns and the width w of each electrode pattern.

한편, 전극 패턴(135, 137)의 크기가 낮은 경우, 공극(140)의 영향을 받지 않아, 전사 필름(220)의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5)이 절단되지 않고 고분자 지지층(200)만이 제거될 수 있다. 전극 패턴(135, 137)간의 거리가 먼 경우, 전극패턴(135, 137) 사이의 거리(d)를 버티지 못하고 전극 패턴(135, 137) 사이의 기판(100)에 전사 필름(220)이 붙는 부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극 패턴(135, 137) 간격 상에 자유지지형 박막(215)이 형성되기 어렵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are small, the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 of the transfer film 220 is not cut and only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200 is removed .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is long, the distance 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can not be maintained and the transfer film 220 adheres to the substrate 100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 is hardly formed on the electrode patterns 135 and 137.

한편, 상기 습식 식각 공정시 표면 장력이 30mN/m 이하인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클로로폼(chloroform),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아세톤 (acetone) 및 이소프로필알콜(IPA)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용매를 통해 고분자 지지층(200)을 제거하고,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210)의 일부를 제거하여 자유지지형 박막(215)을 제조할 수 있다.An organic solvent having a surface tension of 30 mN / m or less may be used in the wet etching process. For example, an organic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chlorobenzene, acetone and isopropyl alcohol (IPA)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200 may be removed through the organic solvent including at least one organic solvent and a portion of the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0 may be removed to prepare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

한편, 자유지지형 박막(215)은 전극 패턴 상에 형성되며 전극 패턴으로부터 지지되는 제1영역과 전극 패턴에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서 형성되며 전극 패턴으로부터 지지되지 않는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 may be formed on the electrode pattern, and may include a first region supported by the electrode pattern and a second region formed as not formed on the electrode pattern and not supported from the electrode pattern.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2 영역의 두께는 제1 영역보다 두껍게 제조될 수 있다. 즉, 전극 패턴으로부터 지지 받지 않는 제2 영역은 전극 패턴의 지지를 받는 제1 영역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may be made thicker than the first region. That is, the second region that is not supported by the electrode pattern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first region that is supported by the electrode pattern.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형상 조절 방법으로서, 기판상에 2 이상의 시드층 패턴 및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고분자 지지층이 부착된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을 상기 전극 패턴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지지층을 및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의 일부를 제거하여 전극 패턴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웃한 전극 패턴의 상부를 연결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전극 패턴 형성시 이웃한 전극 패턴의 간격을 조절하여, 자유지지형 박막의 형상을 조절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형상 조절 방법이 제공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djusting the shape of a free supporting thin film, comprising: forming at least two seed layer patterns and electrode patterns on a substrate; Transferring the preliminarily free supporting thin film having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to the electrode pattern; Forming a free supporting thin film on the electrode pattern by removing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and a part of the free free supporting thin film and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adjacent electrode pattern; The shape of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adjacent electrode patterns when the electrode pattern is formed.

구체적으로 도 3a 및 3b를 살펴보면, 전극 패턴 간의 거리(d)가 10㎛이하 일 때는 유기 용매의 영향을 받는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필름이 말리지 않아, 자유지지형 박막이 필름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패턴 간의 거리(d)가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기 용매의 영향을 받는 면적이 커지고, 전단응력의 영향을 받아 자유지지형 박막이 섬유 필라멘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3A and 3B,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is 10 μm or less, the area affected by the organic solvent becomes small, so that the film is not curled, and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can be produced in a film form If the distance 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exceeds 10 mu m, the area affected by the organic solvent becomes large, and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fiber filament under the influence of shear stress.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자유지지형 박막은 전극 패턴 상에 형성된 제1영역과 전극 패턴에 형성되지 않은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ree-supporting thin film may consist of a first region formed on the electrode pattern and a second region not formed in the electrode pattern.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2영역의 두께는 제1 영역보다 두껍게 제조될 수 있다. 즉, 전극 패턴으로부터 지지 받지 않는 제2 영역은 기판의 지지를 받는 제1 영역보다 더 큰 두께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may be made thicker than the first region. That is, the second region not supported from the electrode pattern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larger thickness than the first region supported by the substr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유지지형 제조 방법에 따르면 간단한 공정으로 자유지지형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간편하고도 경제적으로 대면적의 자유지지형 박막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응용하여 어레이 형성을 할 수 있다(도 4a 및 4b 참조). 도 4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판(1000)상에 복수 개로 형성된 시드층(1150) 상에 형성된 전극 패턴(1310, 1330, 1350, 1370)에는 2 이상의 자유지지형 박막(2150, 217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유지지형 박막(2150)은 전극패턴(1310, 1330) 상부에 형성되어 이웃한 전극 패턴(1310,1330)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자유지지형 박막(2170)은 전극패턴(1350, 1370) 상부에 형성되어 이웃한 전극 패턴(1350,1370)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ree supporting typ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ee supporting thin film can be formed by a simple process. By using such a method, a free-supporting thin film having a large area can be manufactured easily and economically, and an array can be formed by applying the thin film (see FIGS. 4A and 4B). 4, two or more free supporting thin films 2150 and 2170 are formed on the electrode patterns 1310, 1330, 1350, and 1370 formed on the seed layer 1150 formed on the substrate 1000 . The first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0 may be formed on the electrode patterns 1310 and 1330 to connect the adjacent electrode patterns 1310 and 1330 and the second free supporting thin film 2170 may be formed on the electrode patterns 1310 and 1330, (1350, 1370), and may be formed to connect adjacent electrode patterns (1350, 1370).

아울러, 상기 자유지지형 박막은 일부가 기판으로부터 지지되지 않고 공중에 떠있는 자유지지형이기 때문에 기판의 영향을 벗어나 물질 고유의 특성들을 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초 박막형 기능성 반도체 소자, 전자소자, 광학소자, 센서 등에 널리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ee-supporting thin film is partially supported in the air without being supported by the substrate, it is free from influence of the substrate and can manifest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to the material.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tilized for ultra thin film type functional semiconductor devices, electronic devices, optical devices, sensors, and the lik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15 × 15 × 1mm 크기의 실리콘 기판을 준비한 후, 준비한 기판에 e-빔(e-beam)을 이용하여 Cu/Cr (50nm/5nm)의 시드층을 증착하였다. 그 후, 원하는 전극 모양으로 광감응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진행하여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을 제조하였다. 이후, 전기 도금법을 이용하여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간의 간격을 매립하여, 30μm 높이의 2개의 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전극 패턴간의 거리는 15μm로 조절하였다.A 15 × 15 × 1 mm silicon substrate was prepared and a seed layer of Cu / Cr (50 nm / 5 nm) was deposited on the prepared substrate using an e-beam. Thereafter, a photoresponsive polymer was used as a desired electrode shape, and then a photolithography process was carried out to prepare a photosensitive polymer pattern. Thereafter, the gap between the photosensitivity polymer patterns is filled with an electroplating method to form two electrode patterns having a height of 30 mu m.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was adjusted to 15 mu m.

그 후, 아세톤으로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을 제거하고, 시드층을 암모늄펄설페이트용액과 크롬에칭용액으로 제거하였다. 한편, CVD 공정을 통해 합성된 그래핀에 지지층에 PMMA를 코팅하여 (PMMA/그래핀층)의 구조를 제조하였다. 기판에 형성된 2개의 전극 패턴 상에 상기 그래핀층을 전사한 후, PMMA를 클로로벤젠, 이소프로필알코올 순으로 담궈 제거하여, 실리콘 기판에 형성된 전극 패턴 상에 자유지지형 그래핀박막을 제조하였다. The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 was then removed with acetone, and the seed layer was removed with an ammonium persulfate solution and a chromium etch solution.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PMMA / graphene layer was prepared by coating PMMA on the support layer of the graphene synthesized through the CVD process. After transferring the graphene layer onto two electrode patterns formed on a substrate, PMMA was immersed in order of chlorobenzene and isopropyl alcohol and removed to prepare a free supporting type graphene thin film on an electrode pattern formed on a silicon substrate.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에서, 전극 패턴 간의 길이를 5μm로 조절한 점 이외의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자유지지형 그래핀박막을 제조하였다.In Example 1, a free supporting graphene thin film was prepared by performing the same process except that the length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was adjusted to 5 탆.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에서, 전극 패턴 간의 길이를 10μm로 조절한 점 이외의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자유지지형 그래핀박막을 제조하였다.In Example 1, a free supporting graphene thin film was prepared by performing the same process except that the length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was adjusted to 10 μm.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에서, 전극 패턴 간의 길이를 20μm로 조절한 점 이외의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자유지지형 그래핀박막을 제조하였다.In Example 1, a free supporting graphene thin film was prepared by performing the same process except that the length between electrode patterns was adjusted to 20 μm.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1]에서, 전극 패턴 간의 길이를 25μm로 조절한 점 이외의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자유지지형 그래핀박막을 제조하였다.In Example 1, a free supporting type graphene thin film was manufactured by performing the same process except that the length between electrode patterns was adjusted to 25 탆.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15 × 15 × 1 mm의 실리콘 기판 위에 약 1080개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때, 모든 전극 패턴들은 글로벌 전극으로 연결되어 었으며, 전극 패턴간의 거리는 10μm로 조절하였다. PMMA/그래핀 필름을 상기 3차원 전극들 상에 필름형으로 전사한 후, PMMA를 클로로벤젠, 이소프로필알코올 순으로 담그어 3차원 전극들 상에 형성되며, 인접한 전극들을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자유지지형 그래핀 박막을 형성하였다.About 1080 electrode patterns were formed on a 15 × 15 × 1 mm silicon substrate using the method of Example 1. At this time, all the electrode patterns were connected to the global electro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was adjusted to 10 μm. The PMMA / graphene film is transferred onto the three-dimensional electrodes in a film form, and PMMA is immersed in the order of chlorobenzene and isopropyl alcohol to form a plurality of free supporting types Thereby forming a graphene thin film.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도 5는 실시예 4에 따른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의 제조시 그래핀층의 적층 전/후의 SEM 사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필름 및 섬유 필라멘트 형상을 갖는 자유지지형 그래핀 박막이 제조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5 is a SEM photograph of the graphene layer before and after lamination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according to Example 4. FIG.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a free supporting graphene thin film having a film and a fiber filament shape can be manufactured.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도 6a은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전극 간의 거리에 따른 형상에 관한 SEM 사진이다. 도 6b는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전극 간의 거리에 따른 형상에 대한 라만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6A is an SEM photograph of shapes according to distances between electrodes according to Examples 1 to 5. FIG. 6B is a graph showing Raman measurement results of the shap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according to Examples 1 to 5. FIG.

도 6a 및 6b를 살펴보면, 전극 패턴 간의 거리가 짧으면, 전극 패턴을 그래핀 박막이 연결하도록 제조되고, 전극 패턴 간의 거리가 길면 전극 패턴을 섬유형상의 그래핀이 연결하도록 제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전극 패턴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자유지지형 그래핀 박막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6A and 6B,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is short, it is confirmed that the electrode pattern is manufactured to connect the graphene thin film.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is long, it is confirmed that the electrode pattern is formed so as to connect the fibrous graphene.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shape of the free supporting type graphene thin film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실시예 1]을 통해 형성된 자유지지형 그래핀 박막의 전기적 성능을 살펴보기 위해, 높은 전압(2.5V이상 6V미만)을 인가하였다. 도 7a를 살펴보면, 줄히팅에 의해 자유지지형 그래핀 박막에 가시광 영역대의 빛이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order to examine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the free-supported graphene thin film formed through [Example 1], a high voltage (less than 2.5 V and less than 6 V) was applied. Referring to FIG. 7A, it can be confirmed that light of a visible light region is expressed on the free supporting type graphene thin film by row heating.

[실험예 4][Experimental Example 4]

[실시예 6]를 통해 형성된 자유지지형 그래핀 박막의 전기적 성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글로벌 전극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모든 자유지지형 그래핀 박막으로부터 가시광 영역대의 빛을 발현시켰으며, 다수의 어레이를 형성하여 대면적에서의 빛을 구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b).In order to examine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the free supporting type graphene thin film formed through Example 6, a high voltage was applied to the global electrode manufactured according to Example 2, and the light of the visible light region from all free supporting type graphene thin films And a large number of arrays were formed to realize light in a large area (Fig. 7B).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기판
110: 시드층
115: 시드층 패턴
125: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
135, 137: 전극 패턴
140: 공극
200: 고분자 지지층
210: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
215: 자유지지형 박막
1000: 기판
1150: 시드층 패턴
1310, 1330, 1350, 1370: 전극패턴
2150, 2170: 자유지지형 박막
100: substrate
110: Seed layer
115: seed layer pattern
125: Photosensitive polymer pattern
135, 137: electrode pattern
140: Pore
200: polymer support layer
210: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215: free supporting thin film
1000: substrate
1150: seed layer pattern
1310, 1330, 1350, 1370: electrode patterns
2150, 2170: free supporting thin film

Claims (12)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판상에 둘 이상의 시드층 패턴 및 둘 이상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고분자 지지층이 부착된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을 상기 전극 패턴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지지층 및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의 일부를 제거하여 전극 패턴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웃한 전극 패턴의 상부를 연결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free supporting thin film,
Forming two or more seed layer patterns and two or more electrode patterns on a substrate;
Transferring the preliminarily free supporting thin film having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to the electrode pattern; And
Forming a free supporting thin film on the electrode pattern by removing a part of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and the free free supporting thin film and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adjacent electrode pattern; Wherein the free-supporting thin film has a thickness of 100 n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지지형 박막의 길이(l)는 이웃한 전극 패턴의 간격(d)과 각 전극 패턴의 가로 길이(w)를 합한 값과 동일한,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1) of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is equal to the sum of the interval (d) of adjacent electrode patterns and the width (w) of each electrode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지지형 박막은 그래핀, 질화붕소, 이황화텅스텐, 이황화몰리브덴 및 금속 디칼코게니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e-supporting thin film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phene, boron nitride, tungsten disulfide, molybdenum disulfide and metal decalcogen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은 화학기상증착공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고분자 지지층은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의 형성 후, 고분자 지지층용 물질을 코팅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is formed through a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process,
Wherein the polymer support layer is formed through a process of coating a material for a polymer support layer after formation of a preliminary free supporting thin film.
제1항에 있어서,
기판 상에 둘 이상의 시드층 패턴 및 둘 이상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기판 상에 시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시드층 상에 서로 이격되며 둘 이상으로 형성되는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을 매립하는 둘 이상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감응성 폴리머 패턴을 제거하고, 시드층의 일부를 식각하여 기판 상과 전극 패턴 사이에 시드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forming two or more seed layer patterns and two or more electrode patterns on the substrate includes:
Forming a seed layer on the substrate;
Forming a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 on the seed layer, the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in two or more layers;
Forming two or more electrode patterns for embedding the photosensitive polymer pattern;
Removing the photoresponsive polymer pattern and etching a part of the seed layer to form a seed layer pattern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pattern; Wherein the free-supporting thin film has a thickness of 100 n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100nm ~ 60㎛의 높이를 갖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pattern has a height of 100 nm to 60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한 전극 패턴은 1nm ~30㎛의 거리로 이격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eighboring electrode patterns are spaced apart by a distance of 1 nm to 30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지지층은,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타이렌(PS) 및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support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thyl acrylate (PMMA), polycarbonate (PC), polystyrene (PS), and polyurethane (PU).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지지층을 제거할 때, 30mN/m이하의 표면장력을 갖는 유기용매를 통해 고분자 지지층을 제거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support layer is removed through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urface tension of 30 mN / m or less when removing the polymer support lay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클로로폼(chloroform),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에탄올(ethanol), 아세톤(acetone) 및 이소프로필알콜(IPA)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rganic solven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chlorobenzene, ethanol, acetone and isopropyl alcohol (IPA). .
자유지지형 박막의 형상 조절 방법으로서,
기판상에 둘 이상의 시드층 패턴 및 둘 이상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고분자 지지층이 부착된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을 상기 전극 패턴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지지층 및 예비 자유지지형 박막의 일부를 제거하여 전극 패턴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웃한 전극 패턴의 상부를 연결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전극 패턴 형성시 이웃한 전극 패턴의 간격을 조절하여, 자유지지형 박막의 형상을 조절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형상 조절 방법.
A method for adjusting the shape of a free supporting thin film,
Forming two or more seed layer patterns and two or more electrode patterns on a substrate;
Transferring the preliminarily free supporting thin film having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to the electrode pattern; And
Forming a free supporting thin film on the electrode pattern by removing a part of the polymer supporting layer and the free free supporting thin film and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adjacent electrode pattern; / RTI >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hape of a free supporting thin film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neighboring electrode patterns when forming an electrode pattern, and adjusting the shape of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 간의 거리(d)가 10㎛이하일 때는 자유지지형 박막이 필름 형태로 제조되고, 상기 전극 패턴 간의 거리(d)가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유지지형 박막이 섬유 필라멘트 형태로 제조되는, 자유지지형 박막의 형상 조절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is 10 μm or less,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is formed into a film form.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exceeds 10 μm, the free supporting thin film is formed into a fiber filament form Free thin film.
KR1020170119666A 2017-09-18 2017-09-18 Method of preparing freestanding thin film KR101989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66A KR101989985B1 (en) 2017-09-18 2017-09-18 Method of preparing freestanding thin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66A KR101989985B1 (en) 2017-09-18 2017-09-18 Method of preparing freestanding thin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89A true KR20190031789A (en) 2019-03-27
KR101989985B1 KR101989985B1 (en) 2019-06-18

Family

ID=6590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666A KR101989985B1 (en) 2017-09-18 2017-09-18 Method of preparing freestanding thin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98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262A (en) * 2011-10-27 2013-05-07 김진형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for esd protection
KR20130078310A (en) 2011-12-30 2013-07-10 그래핀스퀘어 주식회사 Radio frequancy device using suspended graphene
KR101300014B1 (en) 2012-09-19 2013-08-26 한국기계연구원 Fabri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freestanding nanofilm
KR20150133877A (en) * 2014-05-20 2015-1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Graphene touch sensor comprising contacted graphene pattern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s same
KR101587224B1 (en) 2008-03-26 2016-01-20 그래핀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Method of forming an ultra-thin sheet suspended on a support memb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224B1 (en) 2008-03-26 2016-01-20 그래핀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Method of forming an ultra-thin sheet suspended on a support member
KR20130046262A (en) * 2011-10-27 2013-05-07 김진형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for esd protection
KR20130078310A (en) 2011-12-30 2013-07-10 그래핀스퀘어 주식회사 Radio frequancy device using suspended graphene
KR101300014B1 (en) 2012-09-19 2013-08-26 한국기계연구원 Fabri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freestanding nanofilm
KR20150133877A (en) * 2014-05-20 2015-1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Graphene touch sensor comprising contacted graphene pattern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s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985B1 (en)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9798B2 (en) Fabricating arrays of metallic nanostructures
US6966997B1 (en) Methods for patterning polymer films, and use of the methods
KR101131178B1 (en) Novel conductor geometry for electronic circuits fabricated on flexible substrates
US741397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gap electrode device
CN103578923B (en) For patterning the self-assembled monolayer formed
WO2008068009A1 (en) A universal method for selective area growth of organic molecules by vapor deposition
KR20130044646A (en) Graphene-transferring member and method of transferring graphene and method of fabrication graphene device using the same
US20070140946A1 (en) Dispersed growth of nanotubes on a substrate
EP2231508A2 (en) Carbon nanotube patterning on a metal substrate
KR100951946B1 (en) Transparent and flexible thin film transistor having carbon nano tub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CN106044759B (en) A kind of regulation graphene band gap method
CN1961259B (en) Fabrication and use of superlattice
US20110268884A1 (en) Formation of nanoscale carbon nanotube electrodes using a self-aligned nanogap mask
KR101989985B1 (en) Method of preparing freestanding thin film
KR102143058B1 (en) Flexible device on which pattern of 2 dimensional material is form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794527B (en) Device comprising physical properties controlled by micro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2334733A (en) Pellicle for euv reflective mask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CN108735892A (en) A kind of Hall elem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618974B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ed by the same
Kubo et al. Embedding of a gold nanofin array in a polymer film to create transparent, flexible and anisotropic electrodes
KR20190063045A (en) Tansparent electrode using graphene and nanowi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80002275A (en) Vertically-suspended graphene structur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14613844B (en) Miniaturized array preparation method of nano air channel electronic device
US10370240B2 (en) Layer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layer structure
KR101043688B1 (en)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