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737A - 심혈관 질환개선 및 피로감소 보충제인 d-리보오스를 함유한 gi 저감 감미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심혈관 질환개선 및 피로감소 보충제인 d-리보오스를 함유한 gi 저감 감미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737A
KR20190031737A KR1020170119518A KR20170119518A KR20190031737A KR 20190031737 A KR20190031737 A KR 20190031737A KR 1020170119518 A KR1020170119518 A KR 1020170119518A KR 20170119518 A KR20170119518 A KR 20170119518A KR 20190031737 A KR20190031737 A KR 20190031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gar
ribose
glucose
weight
sweeten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명옥
서승우
조성은
정상원
최근범
Original Assignee
대한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9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1737A/ko
Publication of KR2019003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26Rib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28Saccharose, sucro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D-리보오스(D-Ribose) 및 설탕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은 충분한 단맛을 나타내면서도 Cmax(maximal postprandial glucose rise) 및 GI(glycemic index)가 일반 설탕보다 낮아, 설탕 섭취로 말미암은 체내 혈당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혈관 질환개선 및 피로감소 보충제인 D-리보오스를 함유한 GI 저감 감미료 조성물 {A sweetener composition having a GI reduction effect containing D-ribose}
본 발명은 감미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D-리보오스(D-Ribose) 및 설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상승 억제 효능이 있는 감미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고지방 및 당분을 과잉 섭취하고 신체활동이 부족하여 비만, 당뇨병, 고혈압 및 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단백질이나 지방 위주의 식사를 주로 하는 서구의 식습관과 달리, 우리나라 사람들은 당질 위주의 식사를 많이 하므로 당질 섭취 조절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식사 중 탄수화물의 섭취를 조절하는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었으며, 설탕 등의 감미료 섭취 조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당류 섭취 기준을 보면 총 당류는 1일 열량의 10~20%이고, 가공식품으로 섭취하는 첨가당은 하루 열량의 10% 이내로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성인이 하루에 총 2,000 kcal를 섭취하는 경우 당류 섭취 기준은 200 kcal로 이를 당으로 환산하면 50 g으로 무게가 3 g인 각설탕 16~17개에 해당한다.
가공식품으로부터 당류 섭취량이 하루 열량의 10%를 초과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비만 위험이 39%, 고혈압은 66%, 당뇨병 위험은 41%씩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패스트푸드, 인스턴트 식품을 비롯한 가공식품 섭취의 증가는 건강을 위협하는 만성질환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므로 최근에는 식품으로부터 영양소와 맛의 충족뿐만 아니라 건강의 유지와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기대하는 식품의 기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Choi EH, Kim HY, Kim YH, Kim WK, Oh SJ, Kim SH. Effects of selected oligosaccharides on fecal microflora and lipid constitution in rats. Korean J Nutr 1999; 32(3): 221-229).
한편, 최근 들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올리고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등 대체 감미료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설탕 대체 감미료는 칼로리가 낮고, 소량으로도 설탕의 단맛을 대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적용하는 식품에 따라서는 설탕에 비해 기호성이 떨어질 수 있어 다양한 식품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D-리보오스는 유전자 (DNA, RNA)를 구성하는 물질로 체내 세포의 활성 및 합성 등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만성 심장 동맥질환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D-리보오스를 하루에 5 g씩 3주 동안 섭취시킨 결과 심장 이완기 기능 및 좌심실 기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Ribose improves diastolic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congestive heart failure patients: a prospective feasibility study. EUR J HEART FAIL 2003; 5: 615-619), 안정형 관상동맥 질환자에서의 D-리보오스 사용은 운동 유발성 협심증 및 심전도 변화에 대한 증상을 개선시키고, 심근 허혈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켰다 (D-Ribose as a Supplement for Cardiac Energy Metabolism. J CARDIOVASC PHARM T 2000; 5(4): 249-258). 또한, 섬유 조직염 또는 만성 피로증후군 진단을 받은 환자들과 두 증상을 모두 진단받은 환자들에게 D-리보오스를 하루에 15 g씩 섭취하도록 한 후 에너지, 수면, 정신 선명도, 통증, 전반적인 삶의 질 등을 평가한 결과 약 66%의 환자가 D-리보오스를 사용하는 동안 상당한 개선을 보였고, 섬유 근육통 및 만성 피로증후군의 임상 증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Use of D-Ribose in Chronic Fatigue Syndrome and Fibromyalgia: A Pilot Study. J ALTERN COMPLEM MED 2006; 12(9): 857-862). 최근 D-리보오스는 격한 운동 후 피로감소 및 손상된 근육의 회복, 심장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밝혀져 건강기능 보충제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혈당지수(glycemic index, GI)는 식품에 포함된 당질의 흡수속도를 반영하여 식후 혈당상승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식품 섭취 시 혈당반응과 참고식품(포도당 혹은 식빵) 섭취 시 혈당반응을 비교한 지수이다.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은 혈당의 변동이 크고, 인슐린 분비량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I 값이 높은 식품을 섭취하였을 경우 식욕이 촉진되고 인슐린의 분비량이 많아져서 식욕 조절과 체내 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체지방 증가를 초래할 수 있으며, 낮은 GI 식품의 섭취는 혈액 내 혈당 및 인슐린의 농도를 낮게 유지시키게 되어 비만, 당뇨 및 심혈관질환의 예방과 증상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설탕의 GI는 68로 중 GI (55 < GI < 70)에 해당하는 식품으로 비만, 당뇨 등 대사질환자들에게 섭취를 제한하고 있다. 설탕의 과잉 섭취에 대한 우려와 더불어 좀 더 건강한 당을 섭취하려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5725호(등록일자: 2013.06.11)에는, 트레할로스 7 내지 15중량%, 프락토올리고당 35 내지 60중량%, D-소르비톨 0.5 내지 1.2중량%, D-말티톨 5 내지 12중량%, 자일리톨 0.5 내지 1.2중량%, 아세설팜K 0.5 내지 1.2중량%를 함유하고 잔여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5-0016572호(공개일자: 1995.07.20)에는, 70.0~99.0중량%의 말토덱스트린 또는 결정형 당류 및 1.0~30.0중량%의 아스파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밀도(bulk density)가 0.1~0.5 g/㎖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로리 감미료 조성물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D-리보오스(D-Ribose) 및 설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리보오스(D-Ribose) 및 설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D-리보오스(D-Ribose) 5~14중량% 및 설탕 86~95중량%로 조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설탕 섭취로 말미암은 체내 혈당 상승 억제용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Cmax(maximal postprandial glucose rise) 값이 설탕보다 낮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GI(glycemic index) 값이 설탕보다 낮다.
본 발명의 D-리보오스(D-Ribose) 및 설탕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은 충분한 단맛을 나타내면서도 Cmax(maximal postprandial glucose rise) 및 GI(glycemic index)가 설탕보다 낮아, 설탕 섭취로 말미암은 체내 혈당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설탕, RB5, RB10, RB14 섭취 후 혈당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RB5는 D-리보오스가 5중량% 함유된 설탕, RB10는 D-리보오스가 10중량% 함유된 설탕, RB14는 D-리보오스가 14중량% 함유된 설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D-리보오스(D-Ribose) 및 설탕(sucros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D-리보오스(D-Ribose) 5~14중량% 및 설탕 86~95중량%로 조성되는 것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은 Cmax(maximal postprandial glucose rise) 및 GI(glycemic index)가 설탕보다 낮아, 설탕 섭취로 말미암은 체내 혈당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식품첨가물공전의 천연첨가물인 D-리보오스(D-Ribose)를 5~14중량% 함유하는 설탕의 섭취가 일반 설탕 대비 혈당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기능성 설탕으로서의 활용가능성과 D-리보오스의 적정 혼합비율을 도출하였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건강한 성인남녀 14명을 대상으로 포도당, 설탕, D-리보오스 함유 설탕(RB5, RB10, RB14) 섭취 후의 혈당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식품섭취 후 산출한 GI 값은 설탕 67.4, RB5 67.1, RB10 47.6, RB14 45.6으로 나타났으며, 설탕과 RB5는 중 혈당지수 식품(Medium GI)에 해당하였고, RB10과 RB14은 일반 설탕 대비 혈당상승 저감효과가 탁월한 저 혈당지수 식품(Low GI)에 해당하였다.
식후 최대 혈당상승 값(Cmax)을 보면 포도당 61.7 mg/dL, 설탕 58.1 mg/dL, RB5 49.4 mg/dL, RB10 37.3 mg/dL, RB14 35.2 mg/dL으로 나타났고, RB10와 RB14의 Cmax는 일반 설탕의 Cmax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D-리보오스(D-ribose) 함유 설탕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D-리보오스(D-ribose) 첨가량별 설탕을 제조하고자, 아래 표 1과 같이 설탕과 D-리보오스 5, 10, 14중량% 함유 설탕을 제조하였다.
이때, 표준식품으로 포도당을 준비하였으며,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포도당, 설탕, D-리보오스는 모두 순도 98% 이상 제품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1) RB5: D-리보오스가 5중량% 함유된 설탕
2) RB10: D-리보오스가 10중량% 함유된 설탕
3) RB14: D-리보오스가 14중량% 함유된 설탕
한편, 아래 실시예 2에서는 본 실시예 1의 시료(포도당, 설탕, RB5, RB10, RB14)를 이용하여 D-리보오스 함유 설탕 섭취가 섭취 후 GI 및 혈당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2: 실험 준비(피험자 선정 및 임상시험식품 섭취방법 설정]
(1) 피험자 선정
국제 임상시험기준에 준하여 IRB 승인(국민대학교 임상시험 실시기관)을 받은 후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피험자를 모집하였다. 피험자 선정의 절차는 1차적으로 본인과 직계 부모, 조부모의 각종 병력 및 약물 복용, 여성의 경우 임신 또는 임신가능성 등의 제외 기준을 조사하였다. 그 후 해당이 되지 않는 경우 키와 체중의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한 BMI(body mass index)를 기준으로 저체중, 비만인 대상자는 제외하였고, 남성은 체지방률이 25% 이상인 경우, 여성은 체지방률이 32% 이상인 경우 역시 제외하였다. 1차에서 선정된 피험자는 혈액검사를 통해서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 혈당(Fasting blood glucose, FBS) 검사 후 정상 범위에 해당하는 14명을 최종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피험자에게 상기 표 1과 같은 표준식품 (포도당)과 비교식품 (설탕, RB5, RB10, RB14)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2) 임상시험식품 섭취방법 설정
무작위 배정, 공개, 2회 반복 섭취시험으로 디자인한 후 피험자는 포도당, 설탕, RB5(D-Ribose 5% 함유 설탕), RB10(D-Ribose 10% 함유 설탕), RB14(D-Ribose 14% 함유 설탕)을 1주일에 한 가지씩 섭취하였다. 표준식품 (포도당)과 비교식품 (설탕, RB5, RB10, RB14)의 섭취 순서는 아래 표 2와 같았다.
Figure pat00002
1) RB5: D-리보오스가 5중량% 함유된 설탕
2) RB10: D-리보오스가 10중량% 함유된 설탕
3) RB14: D-리보오스가 14중량% 함유된 설탕
[ 실험예 1: 리보오스 함유 설탕이 GI( Glycemic index) 및 혈당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리보오스 함유 설탕이 GI(Glycemic index) 및 혈당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 실험방법
피험자 선정기준을 통과한 대상자는 72시간 금주 및 12시간 금식 후 다음날 아침 시료 섭취 전 30분과 0분에 혈당을 측정하여 차이가 5 mg/dL 미만인 경우 실험을 실시하였다. 혈당측정은 임상시험식품 섭취 후 15, 30, 45, 60, 90, 120분에 혈당측정기로 동일 시간대에 2번 반복 측정하였다.
GI의 계산은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에서 권유하는 방법인 IAUC(Incremental Area Under the Curve)를 사용하였다. IAUC는 혈당 측정 후 0분대의 혈당 수치를 기준으로 반응 곡선의 기준선 위 영역만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GI의 표준편차가 가장 낮은 것으로 검증되어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
(2) 실험결과
<IAUC 값 측정 결과>
피험자들이 섭취한 포도당, 설탕, RB5, RB10, RB14의 IAUC값은 아래 표 3과 같았다.
Figure pat00003
1) IAUC: Incremental area under the curve
2) CV: Coefficient of variation
3) Mean±SD
4) RB5: Sucrose with 5% D-ribose
5) RB10: Sucrose with 10% D-ribose
6) RB14: Sucrose with 14% D-ribose
a, b, c: Values not sharing the same superscript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Repeated Measures ANOVA test followed by Duncan's test.
표준식품과 비교식품 섭취 후의 IAUC 값을 보면 포도당 3729.9, 설탕 2435.2, RB5 2387.7, RB10 1758.7, RB14 1673.6으로 설탕, RB5, RB10, RB14의 IAUC 값이 포도당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또한, RB10과 RB14의 IAUC값은 포도당, 설탕, RB5의 IAUC 값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 섭취 후 120분 동안 혈당상승 범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GI 값 산출 결과>
피험자들이 섭취한 표준식품 (포도당)과 비교식품 (설탕, RB5, RB10, RB14)의 혈당변화값을 활용하여 GI 값을 산출한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았다.
Figure pat00004
1) GI: Glycemic index
2) CV: Coefficient of variation
3) Mean±SD
4) RB5: Sucrose with 5% D-ribose
5) RB10: Sucrose with 10% D-ribose
6) RB14: Sucrose with 14% D-ribose
a, b, c: Values not sharing the same superscript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Repeated Measures ANOVA test followed by Duncan's test.
표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비교식품별 GI를 보면 설탕 67.4, RB5 67.1, RB10 47.6, RB14 45.6으로 나타나 설탕과 RB5의 GI가 RB10, RB14의 GI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설탕에 D-리보오스를 10중량%, 14중량% 첨가할 경우 GI가 각각 55 이하로 낮아질 뿐 아니라 설탕의 GI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설탕에 5중량%의 D-리보오스를 첨가한 RB5의 GI는 67.1로 설탕 67.4와 유사한 GI 값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GI가 70 이상이면 고혈당 지수(High GI), 56~69이면 중혈당 지수(Medium GI), 55 이하이면 저혈당 지수(Low GI)로 분류하는데, 설탕과 RB5은 68 미만의 GI 값을 보여 중혈당 지수 식품에 해당하고, RB10과 RB14는 50 미만의 GI 값을 보여 저혈당 지수 식품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당 변화 확인 결과>
표준식품 및 비교식품을 섭취한 후의 혈당 변화는 아래 표 5 및 도 1과 같았다.
Figure pat00005
1) Mean±SD
2) NS: Not significant at α=0.05
3) RB5: Sucrose with 5% D-ribose
4) RB10: Sucrose with 10% D-ribose
5) RB14: Sucrose with 14% D-ribose
6) Cmax: Maximal postprandial glucose rise
a, b, c, d: Values not sharing the same superscript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Repeated Measures ANOVA test followed by Duncan's test
기준치(Baseline) 혈당은 포도당 88.4 mg/dL, 설탕 89.0 mg/dL, RB5 86.9 mg/dL, RB10 88.3 mg/dL, RB14 86.3 mg/dL으로 표준식품과 비교식품 모두 정상 혈당의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준식품과 비교식품 섭취 후 15분 지점에서 혈당 상승은 포도당 38.8 mg/dL, 설탕 36.9 mg/dL, RB5 34.0 mg/dL, RB10 26.8 mg/dL, RB14 25.5 mg/dL로 RB14와 RB10가 포도당, 설탕 및 RB5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 초기 혈당상승을 저감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표준식품과 비교식품 섭취 후 30분대 혈당 상승 값은 포도당이 55.0 mg/dL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설탕 52.7 mg/dL, RB5 47.1 mg/dL, RB14 33.0 mg/dL, RB10 31.9 mg/dL의 순이었고, 30분대와 45분대의 경우도 RB10과 RB14의 혈당 상승 값은 설탕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 섭취 후 혈당상승을 저감하는 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도 1은 설탕, RB5, RB10, RB14 섭취 후 혈당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RB10과 RB14는 설탕과 비교하여 섭취 후 120분 동안 지속적으로 혈당 상승 저감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당 상승의 값을 기준으로 하여 혈당 상승의 Cmax 값을 산출한 결과 포도당 61.7 mg/dL, 설탕 58.1 mg/dL, RB5 49.4 mg/dL, RB10 37.3 mg/dL, RB14 35.2 mg/dL로 RB5, RB10, RB14의 Cmax는 포도당의 Cmax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RB10, RB14의 Cmax 값이 포도당, 설탕 및 RB5의 Cmax값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 포도당, 설탕, RB5에 비해 혈당이 급격하게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5)

  1. D-리보오스(D-Ribose) 및 설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D-리보오스(D-Ribose) 5~14중량% 및 설탕 86~95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설탕 섭취로 말미암은 체내 혈당 상승 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Cmax(maximal postprandial glucose rise) 값이 설탕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GI(glycemic index) 값이 설탕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

KR1020170119518A 2017-09-18 2017-09-18 심혈관 질환개선 및 피로감소 보충제인 d-리보오스를 함유한 gi 저감 감미료 조성물 KR20190031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18A KR20190031737A (ko) 2017-09-18 2017-09-18 심혈관 질환개선 및 피로감소 보충제인 d-리보오스를 함유한 gi 저감 감미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18A KR20190031737A (ko) 2017-09-18 2017-09-18 심혈관 질환개선 및 피로감소 보충제인 d-리보오스를 함유한 gi 저감 감미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37A true KR20190031737A (ko) 2019-03-27

Family

ID=6590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518A KR20190031737A (ko) 2017-09-18 2017-09-18 심혈관 질환개선 및 피로감소 보충제인 d-리보오스를 함유한 gi 저감 감미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17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725B1 (ko) 2011-03-04 2013-06-17 정창휘 감미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725B1 (ko) 2011-03-04 2013-06-17 정창휘 감미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5-0016572호(공개일자: 1995.07.20)에는, 70.0~99.0중량%의 말토덱스트린 또는 결정형 당류 및 1.0~30.0중량%의 아스파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밀도(bulk density)가 0.1~0.5 g/㎖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로리 감미료 조성물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756763T3 (en) Sweetener composition for the relief of diabetes, containing slowly digestible ingredient
Nishimura et al. Effects of the extract from roasted chicory (Cichorium intybus L.) root containing inulin-type fructans on blood glucose, lipid metabolism, and fecal properties
Wolever Carbohydrate and the regulation of blood glucose and metabolism
Roberts High–glycemic index foods, hunger, and obesity: is there a connection?
CN103998051A (zh) 桑属浆果及其避免血糖峰值的用途
JP2006314240A (ja) 血糖値上昇抑制低カロリー甘味料
Talbot et al. The need for special foods and sugar substitutes by individuals with diabetes mellitus
EP2294932B1 (en) Carbohydrate mixture and the use thereof for preparing a product for oral or enteral nutrition
Seewi et al. Effects on parameters of glucose homeostasis in healthy humans from ingestion of leguminous versus maize starches
Venhaus et al. Self-selected unrefined and refined carbohydrate diets do not affect metabolic control in pump-treated diabetic patients
JP2006223224A (ja) エネルギー代謝持続食品
KR20190031737A (ko) 심혈관 질환개선 및 피로감소 보충제인 d-리보오스를 함유한 gi 저감 감미료 조성물
Sharma et al. Evaluation of fiber enriched biscuits as a healthy snack
KR101749763B1 (ko) 케톤체 축적 억제제
WO2021060430A1 (ja) 慢性腎疾患の改善用糖質制限高脂肪食
Bray Soft drinks and obesity: the evidence
WO2010132774A1 (en) L-arabinose plus chromium for controlling the metabolization of sucrose
Dyson Nutrition and diabetes control: advice for non-dietitians
Chatzipapa et al. The effect of fructose on NAFL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narrative review
CN113974056A (zh) 一种调理血糖平衡的冲调燕麦代餐粥
do Socoro Ramos de Queiroz et al. Effect of the yellow passion fruit peel flour (Passiflora edulis f. flavicarpa deg.) in insulin sensitivity i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Dammann et al. Sweet slow digestible carbohydrates: effects on the postprandial glycaemic response and putative health benefits
Traver The clinical utility of glycemic index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Wood et al. Glycemic Index (GI) Score for the USANA Peanut Butter Nutrition Bar
JP2010013395A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症状の予防又は改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