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472A -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1472A KR20190031472A KR1020190031507A KR20190031507A KR20190031472A KR 20190031472 A KR20190031472 A KR 20190031472A KR 1020190031507 A KR1020190031507 A KR 1020190031507A KR 20190031507 A KR20190031507 A KR 20190031507A KR 20190031472 A KR20190031472 A KR 201900314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nted circuit
- circuit board
- elastic
- jumper pin
- support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5—Arrangements wherein electric components are disposed between and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wo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e.g. Cordwood modu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22—Completing of printed circuits by adding non-printed jumper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인쇄회로기판에 압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탄성변형부재와 제 2인쇄회로기판에 압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탄성변형부재를 구비하는 점퍼핀, 제 1탄성변형부재와 제 2탄성변형부재가 각각 돌출되도록 점퍼핀을 삽입하기 위해 개구홀부를 통공한 절연재질의 서포트블록, 및 개구홀부의 내측에 돌출되어 개구홀부에 장착된 점퍼핀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양측으로 탄성변형부재를 연장 형성한 점퍼핀을 서포트블록에 삽입하여 보호한 채, 각각의 탄성변형부재를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스루홀(through hole)에 압입시 압입용 치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점퍼핀의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양측으로 탄성변형부재를 연장 형성한 점퍼핀을 서포트블록에 삽입하여 보호한 채, 각각의 탄성변형부재를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스루홀(through hole)에 압입시 압입용 치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점퍼핀의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으로 탄성변형부재를 연장 형성한 점퍼핀을 서포트블록에 삽입하여 보호한 채, 각각의 탄성변형부재를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스루홀(through hole)에 압입시 압입용 치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점퍼핀의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는 다양한 전장부품에 대한 전원공급과 제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전장부품에 대한 전원공급과 제어 등을 일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정션박스, 조인트박스, 배터리박스 등의 박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박스는 내부에 퓨즈나 릴레이와 같은 부품과 회로기판 등이 집적되어 구성된다.
최근에 하나의 박스 내부나 별도로 박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로 만들어진 기판블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기판블록은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박스와 거의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아울러, 기판블록은 내부에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되는데, 이들 인쇄회로기판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용된다.
인쇄회로기판들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전선이나 점퍼핀 등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
특히, 기존의 인쇄회로기판은 전자소자를 솔더링하여 실장 후, 마주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점퍼핀으로 솔더링하여 연결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소자는 점퍼핀의 솔더링 작업시 열변형이 발생하거나 오작동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점퍼핀의 양측에 바늘귀 형상의 탄성변형부재를 형성하여, 이를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스루홀(through hole)에 강제 삽입하여 통전 유도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9134호(공개일 : 2012.06.08.)인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한 차량용 기판블록"이 제안되었다.
기존 양측에 바늘귀 형상의 탄성변형부재를 형성하는 점퍼핀의 경우, 인쇄회로기판이 복수 개의 탄성변형부재에 삽입되는 깊이(높이)가 각각 달라서 조립 불량 또는 통전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탄성변형부재를 갖는 점퍼핀이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스루홀에 압입되도록 다양한 형상의 압입치구가 필요함에 따라, 조립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측으로 탄성변형부재를 연장 형성한 점퍼핀을 서포트블록에 삽입하여 보호한 채, 각각의 탄성변형부재를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스루홀(through hole)에 압입시 압입용 치구를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고,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점퍼핀의 조립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탄성변형부재를 인쇄회로기판의 스루홀에 압입 처리함에 따라 별도의 납땜 공정이 불필요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이 납땜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의 추가 영역(면적)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를 줄이고자 하는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는: 제 1인쇄회로기판에 압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탄성변형부재와, 제 2인쇄회로기판에 압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탄성변형부재를 구비하는 점퍼핀; 상기 제 1탄성변형부재와 상기 제 2탄성변형부재가 각각 돌출되도록 상기 점퍼핀을 삽입하기 위해 개구홀부를 통공한 절연재질의 서포트블록; 및 상기 개구홀부의 내측에 돌출되어, 상기 개구홀부에 장착된 상기 점퍼핀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한다.
상기 점퍼핀은 상기 제 1탄성변형부재와 상기 제 2탄성변형부재를 연결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일측이 상기 서포터에 접할 경우 타단이 상기 서포트블록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서포트블록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탄성변형부재가 상기 제 1인쇄회로기판에 삽입시, 상기 바디의 타측면과 상기 서포트블록의 타측면은 치구에 접하여 밀림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블록은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개구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탄성변형부재 또는 상기 제 2탄성변형부재의 측방향 휨에 대한 지지를 위해 이웃한 개구홀부 사이에 지지돌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프양측으로 탄성변형부재를 연장 형성한 점퍼핀을 서포트블록에 삽입하여 보호한 채, 각각의 탄성변형부재를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스루홀(through hole)에 압입시 압입용 치구를 용이하게 사용 가능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점퍼핀의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탄성변형부재를 인쇄회로기판의 스루홀에 압입 처리함에 따라 별도의 납땜 공정이 불필요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이 납땜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의 추가 영역(면적)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의 점퍼핀을 서포트블록에 압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의 점퍼핀을 서포트블록에 압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의 점퍼핀을 서포트블록에 압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100)는 점퍼핀(110) 및 서포트블록(120)을 포함한다.
점퍼핀(110)은 제 1인쇄회로기판(10)과 제 2인쇄회로기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통전)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점퍼핀(110)은 통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점퍼핀(110)은 전류량 확보를 위해 일정한 부피를 갖는 바디(112)를 포함한다. 편의상, 바디(11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한다.
아울러, 점퍼핀(110)은, 도 4에서 봤을 때, 바디(112)의 일측(하측)으로 제 1탄성변형부재(114)를 연장 형성하고, 바티의 타측(상측)으로 제 2탄성변형부재(116)를 연장 형성한다.
제 1탄성변형부재(114)는 점퍼핀(110)의 축 방향으로 장방형인 제 1통구홀(115)을 형성한다. 그래서, 제 1탄성변형부재(114)는 제 1통구홀(115)의 단지름(a) 방향으로 오므려지거나 펴지는 등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탄성변형부재(116)는 점퍼핀(110)의 축 방향으로 장방형인 제 2통구홀(117)을 형성한다. 그래서, 제 2탄성변형부재(116)는 제 2통구홀(117)의 단지름(a) 방향으로 오므려지거나 펴지는 등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 1탄성변형부재(114)는 제 1인쇄회로기판(10)에 통공된 제 1스루홀(12)에 억지 삽입되고, 제 2탄성변형부재(116)는 제 2인쇄회로기판(20)에 통공된 제 2스루홀(22)에 억지 삽입된다.
이때, 제 1탄성변형부재(114)는 대응되는 제 1스루홀(12)에 억지 삽입시 제 1통구홀(115)의 단지름(a) 방향으로 오므라들기 때문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 1스루홀(12)에 억지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제 2탄성변형부재(116)는 대응되는 제 2스루홀(22)에 억지 삽입시 제 2통구홀(117)의 단지름(a) 방향으로 오므라들기 때문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 2스루홀(22)에 억지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이에 따라, 제 1탄성변형부재(114)가 제 1인쇄회로기판(10)에 삽입 후 납땜 처리될 필요가 없고, 제 2탄성변형부재(116)가 제 2인쇄회로기판(20)에 삽입 후 납땜 처리될 필요가 없다.
특히, 기존에, 점퍼핀(110)이 제 1인쇄회로기판(10) 및 제 2인쇄회로기판(20)에 삽입되는 부위는 납땜시의 열기로부터 회로패턴(도시하지 않음)을 보호하기 위해 회로패턴과 평면상 설정거리만큼 유격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 1인쇄회로기판(10)과 제 2인쇄회로기판(20)의 평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제 1탄성변형부재(114)와 제 2탄성변형부재(116)가 대응되는 제 1스루홀(12)과 제 2스루홀(22)에 억지 삽입 후 고정됨에 따라, 별도의 납땜 처리가 불필요하여, 제 1인쇄회로기판(10)과 제 2인쇄회로기판(20)의 평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물론, 제 1탄성변형부재(114)와 제 2탄성변형부재(116)의 높이(길이) 및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서포트블록(120)은 점퍼핀(110) 특히 바디(112)를 내측에 수용하여 점퍼핀(110)을 보호하고, 하측면에 제 1인쇄회로기판(10)을 접하여 지지하며, 상측면에 제 2인쇄회로기판(20)을 접하여 지지한다.
이때, 서포트블록(120)은 내측에 수용된 점퍼핀(110)끼리의 통전 방지를 위해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서포트블록(120)은 내부의 공간을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하는 개구홀부(12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점퍼핀(110)의 바디(112)가 개구홀부(122)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해, 점퍼핀(110)의 제 1탄성변형부재(114)는 서포트블록(120)의 일측(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점퍼핀(110)의 제 2탄성변형부재(116)는 서포트블록(120)의 타측(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서포트블록(120)은 삽입된 점퍼핀(110)의 바디(112)를 하측에서 지지해야 한다.
그래서, 점핑장치(100)는 서포터(130)를 포함한다.
서포터(130)는 개구홀부(122)의 내측에 돌출되어, 개구홀부(122)에 장착된 점퍼핀(110)의 바디(11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바디(112)가 서포터(130) 내측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예로서, 서포터(130)는 바디(112)의 일측면(일단)을 접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바디(112)와 제 1탄성변형부재(114)의 연결부위가 취약할 수 있는 바, 서포트블록(120)이 바디(112)와 연결된 제 1탄성변형부재(114)의 일부를 내부에 위치하게 하도록, 개구홀부(122) 내측에 대한 서포터(130)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서포터(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점퍼핀(110)은 서포트블록(120)의 타측을 통해 개구홀부(122)에 조립된다.
이때, 바디(112)의 타측면(타단)은 서포트블록(120)의 타측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바디(112)는 타단이 서포트블록(120)의 타측면으로 노출된다.
이는, 점퍼핀(110)이 서포트블록(120)의 개구홀부(1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1탄성변형부재(114)가 제 1인쇄회로기판(10)의 제 1스루홀(12)에 압입시, 바디(112)가 서포트블록(120)의 타측면에서 지지됨에 따라 타측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세히, 제 1인쇄회로기판(10)이 바닥 또는 작업대(도시하지 않음)에 놓여진 상태에서, 점핑장치(100)를 수납한 서포트블록(120)이 제 1인쇄회로기판(10) 상에 놓여지게 된다. 이때, 제 1탄성변형부재(114)는 대응되는 제 1스루홀(12)에 일치된다.
이 후, 작업자는 치구(50)로써 서포트블록(120)의 타측면과 바디(112)의 타측을 동시에 접하여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탄성변형부재(114)는 대응되는 제 1스루홀(12)에 압입되고, 바디(112)는 축 방향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면서 서포트블록(120)의 개구홀부(122)에 수납된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치구(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바디(112)는 타측이 치구(50)와 접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112)는 타측(상측) 둘레면을 따라 숄더부재(113)를 연장 형성한다. 숄더부재(113)는 바디(112)와 일체로 성형 제작되고, 타측면이 바디(112)의 타측면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서포트블록(120)은 숄더부재(113)를 수용하기 위해 개구홀부(122)의 타측(내부 상측)이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는 등, 개구홀부(122)의 직경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블록(120)은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개구홀부(122)에 수납된 제 1탄성변형부재(114)와 제 2탄성변형부재(1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방향 휨에 대한 지지를 위해 이웃한 개구홀부(122) 사이에 지지돌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편의상, 지지돌부(124)는 서포트블록(120)의 타측면에서 이웃한 개구홀부(122)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서포트블록(120)의 타측에서는 지지돌부(124)가 제 2인쇄회로기판(20)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서포트블록(120)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제 1인쇄회로기판 12: 제 1스루홀
20: 제 2인쇄회로기판 22: 제 2스루홀
50: 치구 100: 점핑장치
110: 점퍼핀 112: 바디
114: 제 1탄성변형부재 116: 제 2탄성변형부재
120: 서포트블록 122: 개구홀부
124: 지지돌부 130: 서포터
20: 제 2인쇄회로기판 22: 제 2스루홀
50: 치구 100: 점핑장치
110: 점퍼핀 112: 바디
114: 제 1탄성변형부재 116: 제 2탄성변형부재
120: 서포트블록 122: 개구홀부
124: 지지돌부 130: 서포터
Claims (1)
- 제 1인쇄회로기판에 압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탄성변형부재와, 제 2인쇄회로기판에 압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탄성변형부재를 구비하는 점퍼핀; 상기 제 1탄성변형부재와 상기 제 2탄성변형부재가 각각 돌출되도록 상기 점퍼핀을 삽입하기 위해 개구홀부를 통공한 절연재질의 서포트블록; 및 상기 개구홀부의 내측에 돌출되어, 상기 개구홀부에 장착된 상기 점퍼핀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블록은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개구홀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탄성변형부재 또는 상기 제 2탄성변형부재의 측방향 휨에 대한 지지를 위해 이웃한 개구홀부 사이에 지지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점퍼핀은 상기 제 1탄성변형부재와 상기 제 2탄성변형부재를 연결하는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일측이 상기 서포터에 접할 경우, 타단이 상기 서포트블록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서포트블록에 장착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탄성변형부재가 상기 제 1인쇄회로기판에 삽입시, 상기 바디의 타측면과 상기 서포트블록의 타측면은 치구에 접하여 밀림 방지되며,
상기 제 1탄성변형부재는 상기 점퍼핀의 축 방향으로 장방형인 제 1통구홀을 형성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 2탄성변형부재는 상기 점퍼핀의 축 방향으로 장방형인 제 2통구홀을 형성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며,
상기 바디는 타측이 상기 치구와 접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타측 둘레면을 따라 숄더부재를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1507A KR101991107B1 (ko) | 2019-03-19 | 2019-03-19 |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1507A KR101991107B1 (ko) | 2019-03-19 | 2019-03-19 |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7034A Division KR101969993B1 (ko) | 2017-02-07 | 2017-02-07 |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1472A true KR20190031472A (ko) | 2019-03-26 |
KR101991107B1 KR101991107B1 (ko) | 2019-10-01 |
Family
ID=6594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1507A KR101991107B1 (ko) | 2019-03-19 | 2019-03-19 |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110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0805A (ko) * | 2008-06-25 | 2010-01-0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점퍼회로기판 |
KR101283508B1 (ko) * | 2013-03-25 | 2013-07-12 | 에스디(주) | 인쇄회로기판과 터미널 핀의 결합구조 |
-
2019
- 2019-03-19 KR KR1020190031507A patent/KR1019911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0805A (ko) * | 2008-06-25 | 2010-01-0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점퍼회로기판 |
KR101283508B1 (ko) * | 2013-03-25 | 2013-07-12 | 에스디(주) | 인쇄회로기판과 터미널 핀의 결합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1107B1 (ko) | 2019-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36999A (en) | Surface mounting type of connector for IC cards | |
US5382169A (en) | Electrical connectors | |
CN110301021B (zh) | 蓄电单元 | |
CN108496232B (zh) | 电源装置及其制造方法 | |
KR20170079582A (ko) |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 |
KR101969993B1 (ko) |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 |
KR0138885B1 (ko) | 전기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열프린트 헤드(electrical connector and thermal printhead using the same) | |
KR101991105B1 (ko) |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 |
KR20190031471A (ko) |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 |
US9203170B2 (en) | Pin header | |
JP2010033991A (ja) | 電子機器 | |
KR20190031472A (ko) |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 |
US6827606B2 (en) | Connector with mounting ribs for mounting to a circuit board | |
US8279028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JPH05283127A (ja) | 回路接続プラグ | |
JP6543020B2 (ja) | 電気回路端子装置 | |
KR101513280B1 (ko) |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 점핑장치 | |
KR101976695B1 (ko) | 인쇄회로기판에 압입 되는 형태의 전기 터미널 단자의 조립 구조 | |
JP2017084553A (ja) | 身体保護装置用ecu | |
KR102292756B1 (ko) | 전기 부품용의 하우징 및 하우징 커버에 하우징 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 |
KR20040003411A (ko) |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 |
KR100700051B1 (ko) | 차량용 정션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연결장치 | |
JP5236256B2 (ja) | 対のリード線短絡防止キャップおよび配線連結部短絡防止カバーからなる短絡防止具 | |
KR20180052376A (ko) | 포크 단자 및 이를 갖는 정션 박스 | |
JP7058089B2 (ja) | 基板実装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