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807A - 채권 관리 장치 및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 Google Patents

채권 관리 장치 및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807A
KR20190030807A KR1020170118016A KR20170118016A KR20190030807A KR 20190030807 A KR20190030807 A KR 20190030807A KR 1020170118016 A KR1020170118016 A KR 1020170118016A KR 20170118016 A KR20170118016 A KR 20170118016A KR 20190030807 A KR20190030807 A KR 20190030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
information
creditor
default
credit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176B1 (ko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주) 더존비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더존비즈온 filed Critical (주) 더존비즈온
Priority to KR102017011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1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 실시예는 채권 관리 장치 및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권 관리 장치가 관리하는 채권자의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된 채권에 대한 제재를 수행하는 것에 관한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및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을 수행하는 채권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제 1 측면에 따르면 채권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이 개시된다. 이때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은 채권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것으로서, 회원채권자의 채권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된 채권을 검색하고,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상기 회원채권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회원채권자로부터 제재 채권을 선택 받는 단계 및 상기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제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권 관리 장치 및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RECEIVABLES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SANCTIONS ON DEFAUL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 실시예는 채권 관리 장치 및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무불이행 제재를 신청하는 신청자의 채권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채무불이행에 대한 제재를 수행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채권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업 내 생산, 물류, 재무 회계, 영업, 구매, 및 재고와 같은 회사의 경영, 관리에 필요한 수많은 데이터를 취급함에 따라, 기업의 경영 및 관리 업무를 위한 전사적 자원 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솔루션 시스템을 이용하는 기업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ERP 솔루션 시스템은 기업에서 발생되는 정보들을 공유하고, 새로운 정보의 생성과 빠른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기존의 ERP 시스템에서는 영수증이나 세금 계산서와 같은 각종 거래 증빙자료를 처리하여 전표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7-0071945호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내부거래 회계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 단위 조직 측으로부터 일련의 내부거래 분개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처리하는 기술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술은 회계 정보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데에 그칠 뿐, 변제 받지 못한 채권을 회수하는 등 회계 정보를 널리 이용하는 데 있어서는 미흡하였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실시예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 실시예는 채권자의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된 채권의 채무자에 대하여 일정한 제재를 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실시예는 불이행된 채권의 채무자에 대하여 일정한 제재를 취함으로써 채권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실시예는 채권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채무불이행 제재를 위한 관련 서류를 생성하고, 필요에 따라 관련 기관에 전송하는 등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채권자로 하여금 채무불이행 제재의 신청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실시예는 채권자가 직접 작성해야 하는 서류를 줄여 서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채무불이행 제재에 대한 신청이 심사에서 반려되는 일을 최소화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실시예는 채무불이행 제재에 대한 심사에 있어서 정확도 및 신속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실시예는 채무불이행 제재를 신청한 신청자의 부인을 방지하고, 제3자에 의한 위조를 방지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즉, 실시예는 채무를 불이행한 채무자에 대한 제재를 수행함에 있어서 비용을 절감하고 기간을 단축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제 1 측면에 따르면 채권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이 개시된다. 이때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은 채권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것으로서, 회원채권자의 채권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된 채권을 검색하고,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상기 회원채권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회원채권자로부터 제재 채권을 선택 받는 단계 및 상기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제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측면에 따르면,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이때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은 채권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것으로서, 회원채권자의 채권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된 채권을 검색하고,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상기 회원채권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회원채권자로부터 제재 채권을 선택 받는 단계 및 상기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제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측면에 따르면, 채권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이때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은 채권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것으로서, 회원채권자의 채권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된 채권을 검색하고,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상기 회원채권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회원채권자로부터 제재 채권을 선택 받는 단계 및 상기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제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측면에 따르면, 채권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이때, 채권 관리 장치는 회원채권자의 채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된 채권을 검색하고,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회원채권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회원채권자로부터 선택 받은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제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 실시예는 채권자의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된 채권의 채무자에 대하여 일정한 제재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불이행된 채권의 채무자에 대하여 일정한 제재를 취함으로써 채권의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채권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채무불이행 제재를 위한 관련 서류를 생성하고, 필요에 따라 관련 기관에 전송하는 등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채권자로 하여금 채무불이행 제재의 신청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채권자가 직접 작성해야 하는 서류를 줄여 서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채무불이행 제재 대한 신청이 심사에서 반려되는 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채무불이행 제재에 대한 심사에 있어서 정확도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채무불이행 제재를 신청한 신청자의 부인을 방지하고, 제3자에 의한 위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는 채무를 불이행한 채무자에 대한 제재를 수행함에 있어서 비용을 절감하고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권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채권 관리 장치의 각 구성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권 관리 장치(1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채권 관리 장치(100)는 채권자의 채권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기업 내 생산, 물류, 재무 회계, 영업, 구매, 및 재고와 같은 회사의 경영, 관리에 필요한 수많은 데이터를 취급하여 기업의 경영 및 관리 업무를 위한 전사적 자원 관리를 수행하거나, 전사적 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회계 관리 장치로부터 필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채권 관리 장치(1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각 구성과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채권 관리 장치(100)는 채권자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채권자단말(200)은 채권자와 인터랙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전자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채권 관리 장치(100)는 신용평가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신용평가서버(300)'는 개인 또는 법인의 경제분야 상의 신용을 평가하고, 평가한 신용 정보를 신용정보망을 통해 제공하는 장치로서, 신용평가사에서 운영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채권 관리 장치(100)는 금융 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금융 서버(400)는 은행 등과 같은 금융 기관에서 운용하는 서버로서, 채권자 명의 계좌의 입출금 내역 등 금융 거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채권 관리 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단말기로 구현되거나 서버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채권 관리 장치(100)가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때, 채권 관리 장치(100)의 관리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단말기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채권 관리 장치(100)가 서버로 구현될 때, 서버는 채권 관리 장치(100)의 관리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제 3 의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채권 관리 장치(100)의 각 구성부를 도시한 블록도인 도 2 를 참조하여 채권 관리 장치(100)의 각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채권 관리 장치(100)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또는 서버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저장부(110)는 채권 관리 및 채무불이행 제재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채권 관리 장치(100)의 관리를 위한 데이터 등 채권 관리 및 채무불이행 제재를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10)는 회원채권자에 대응하는 채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회원채권자'란, 채권 관리 장치(100)가 수행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서비스를 제공 받는 회원인 채권자를 말한다.
또한 '채권 정보'는 채권의 발생과 소멸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채권 정보는 채권의 발생에 대한 정보인 '채권 발생 정보' 및 채권의 변제에 대한 정보인 '채권 변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채권 발생 정보는 거래처, 금액, 이행예정일자, 거래내용 및 계정과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권 변제 정보는 입금자, 금액 등을 포함하는 입금 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거래처는 상거래 또는 금융 거래 상의 상대방을 말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원채권자의 거래처는 채무자이므로 채권 발생 정보에 포함된 거래처 정보는 채무자 정보를 말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채권 정보는 금융 서버(400)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권 변제 정보가 포함하는 입금 내역 정보는 금융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는 채권 관리를 위한 거래처원장, 세금계산서, 계약서 등의 채권 채무 증빙서류, 채권자 사업자등록증, 채권자 신분증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채권자가 사용하는 전자단말기, 신용평가서버(300)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채권 관리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회원채권자의 채권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채권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110)가 저장하도록 제어하거나 저장부(110)에 저장된 채권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금융 서버(400)로부터 입금 내역 등 금융 거래 정보를 스크래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금융 거래 정보를 채권 발생 정보와 비교하여 채권 발생 정보와 매칭되는 금융 거래 정보가 검색되면, 채권 발생 정보와 매칭되는 금융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채권 변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채권 발생 정보에 포함된 거래처 및 금액과 동일한 거래처에서 동일한 금액이 입금된 경우 상기 채권 발생 정보에 대응하는 채권 변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된 채권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권 발생 정보 및 채권 변제 정보를 매칭하여 불이행된 채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매칭되는 채권 변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채권 발생 정보의 경우 채권이 불이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이행 채권 목록의 생성은 회원채권자의 제재 신청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불이행 채권 목록을 회원채권자에게 제공하고, 회원채권자로부터 불이행 채권 중 제재를 가하기를 원하는 채권을 선택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회원채권자로부터 선택된 채권에 대한 제재를 신청 받을 수 있다. 이때, 회원채권자로부터 제재를 가하도록 선택 받은 채권을 '제재 채권'이라고 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회원채권자로부터 제재를 신청 받음에 있어서 공인인증서 서명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공인인증서 서명에 의해 제재를 신청한 회원채권자의 사업자번호 및 공인인증서 상의 사업자번호를 상호 체크할 수 있다. 공인인증서 서명을 첨부함에 따라 신청자 부인 방지를 하고, 제3자에 의한 위조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회원채권자로부터 제재 채권에 대한 제재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재 방식은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 및 채무불이행 등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채무불이행 등록'이란, 신용정보망에 채무자의 채무불이행 사실을 게재하는 것이다. 이때 채무불이행 등록이 된 채무자는 금융기관 거래, 기업간 상거래 등에 있어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란, 채무불이행 등록을 실시하기 소정 기간 이전에 채무자에 대하여 채무불이행 등록을 예고하는 것으로서, 채무자로 하여금 채무불이행 등록 전에 채무를 변제하도록 독려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제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회원채권자가 선택한 제재 방식에 따라 채무불이행 제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은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를 수행하고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채무불이행 등록을 수행하거나 신용평가서버(300)로 채무불이행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를 수행한 후 채권 변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제재 채권의 변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를 수행한 후 소정 기간이 도과하기 전 제재 채권의 변제가 이루어졌다면, 제어부(130)는 채무불이행 등록을 수행하지 않고, 제재 채권의 변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소정 기간이 도과하였다면 채무불이행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채무불이행 제재의 수행으로서,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제재를 신용평가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회원채권자로부터 선택 받은 제재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를 신용평가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등록을 신용평가서버(300)에 요청하거나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 및 채무불이행 등록을 신용평가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를 수행한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등록을 신용평가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어부(130)는 채무불이행 제재를 신용평가서버(300)로 요청하되, 제재 채권에 대한 정보를 신용평가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재 채권에 대한 정보는, 제재 채권에 대응하는 채권 정보에 기초하는 것으로서, 회원채권자 정보, 제재 채권의 채무자 정보, 이행예정일자 정보 및 관련 서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련 서류는 거래처원장, 세금계산서, 계약서 등의 채권 채무 증빙서류, 채권자 사업자등록증, 채권자 신분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련 서류는 저장부(110)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채권자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제재 채권에 대한 채권 변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제재 채권에 대한 채권 변제 정보가 수집되어 제재 채권이 변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30)는 채무불이행 제재의 요청에 대한 철회를 신용평가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용평가서버(300)는 채권 관리 장치(100)로부터 채무불이행 제재의 요청 및 제재 채권의 채권 정보를 수신하고, 제재 채권의 채무불이행 등록 요건을 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평가서버(300)는 거래처원장, 세금계산서, 계약서 등의 채권 채무 증빙서류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용평가서버(300)는 제재 채권이 채무불이행 등록 요건을 만족하면, 제재 채권에 대하여 제재를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제재는 회원채권자로부터 선택 받은 제재 방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회원채권자로부터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를 선택 받은 경우, 신용평가서버(300)는 제재 채권의 채무자에 대하여 채무불이행 등록을 사전 통보할 수 있다.
그리고 신용평가서버(300)는 채무불이행 등록의 사전 통보 이후 소정 기간 경과하면, 채무불이행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채무자의 채무불이행 사실을 게재할 수 있다.
한편, 회원채권자로부터 채무불이행 등록을 선택 받은 경우, 이행예정일자가 경과하면 채무불이행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용평가서버(300)는 채권 관리 장치(100)로부터 제재 요청의 철회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신용평가서버(300)는 제재 채권에 대한 제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는 채권 관리 서버가 수행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은 도 2 에 도시된 채권 관리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에 도시된 채권 관리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채권 관리 장치(100)는 회원채권자의 채권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1). 이때 채권 정보는 회원채권자에 대응하는 채권 발생 정보 및 채권 변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권 관리 장치(100)는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된 채권을 검색하고,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S32). 예를 들어, 변제되지 않고 채무에 대한 이행예정일이 도과한 채권에 대한 채권 정보를 추출하여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채권 관리 장치(100)는 불이행 채권 목록을 회원채권자에게 제공하고, 회원채권자로부터 제재 채권을 선택 받을 수 있다(S33). 이때 채권 관리 장치(100)는 회원채권자로부터 제재 방식을 선택 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채권 관리 장치(100)는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제재를 수행할 수 있다(S34).
예를 들어, 채권 관리 장치(100)는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채권 관리 장치(100)는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를 수행한 후 채권 변제 정보를 수집하여 제재 채권의 변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재 채권이 변제되지 않고,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의 수행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채권 관리 장치(100)는 채무불이행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채권 관리 장치(100)는 채무불이행 제재를 수행함에 있어서(S34),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제재를 신용평가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S41).
이때 채권 관리 장치(100)는 제재 채권에 대한 정보를 신용평가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재 채권에 대한 정보로서, 채권 관리 장치(100)는 제재 채권에 대응하는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채권자 정보, 제재 채권의 채무자 정보, 이행예정일자 정보 및 관련 서류 중 적어도 하나를 신용평가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고하면, 채권 관리 장치(100)는 채무불이행 제재를 신용평가서버(300)로 요청한 이후, 채권 변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51).
또한 채권 관리 장치(100)는 수집한 채권 변제 정보에 기초하여 제재 채권의 변제 여부를 판단하고(S52), 제재 채권이 변제되었다면, 채무불이행 제재의 요청에 대한 철회를 신용평가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53).
반면, 채권 관리 장치(100)는 제재 채권이 변제되지 않았다면, 다시 채권 변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채권 변제 정보의 수집(S51)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채권 관리 장치 200: 채권자단말
300: 신용평가서버 400: 금융 서버
110: 저장부 120: 통신부
130: 제어부

Claims (17)

  1. 채권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에 있어서,
    회원채권자의 채권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된 채권을 검색하고,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상기 회원채권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회원채권자로부터 제재 채권을 선택 받는 단계; 및
    상기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제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채권자의 채권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채권자에 대응하는 채권 발생 정보 및 채권 변제 정보를 포함하는 채권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채권 정보에 포함된 상기 채권 발생 정보 및 상기 채권 변제 정보를 매칭하여 불이행된 채권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불이행된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무불이행 제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채무불이행 제제를 신용평가서버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무불이행 제제를 신용평가서버로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재 채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신용평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재 채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신용평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재 채권에 대응하는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채권자 정보, 상기 제재 채권의 채무자 정보, 이행예정일자 정보 및 관련 서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신용평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재 채권에 대응하는 채권 변제 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채무불이행 제재의 요청에 대한 철회를 상기 신용평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채권자로부터 제재 채권을 선택 받는 단계는,
    상기 회원채권자로부터 제재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재 방식은,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 및 채무불이행 등록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9.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채권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1항에 기재된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회원채권자의 채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된 채권을 검색하고,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회원채권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회원채권자로부터 선택 받은 제재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 제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채권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채권자의 채권 정보는,
    상기 회원채권자에 대응하는 채권 발생 정보 및 채권 변제 정보를 포함하는, 채권 관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하되, 상기 채권 정보에 포함된 상기 채권 발생 정보 및 상기 채권 변제 정보를 매칭하여 불이행된 채권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불이행된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행 채권 목록을 생성하는, 채권 관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채무불이행 제재를 신용평가서버로 요청하되, 상기 제재 채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신용평가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채권 관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재 채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신용평가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제재 채권에 대응하는 채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채권자 정보, 상기 제재 채권의 채무자 정보, 이행예정일자 정보 및 관련 서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신용평가서버로 전송하는, 채권 관리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재 채권에 대응하는 채권 변제 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채무불이행 제재의 요청에 대한 철회를 상기 신용평가서버로 전송하는, 채권 관리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회원채권자로부터 제재 채권을 선택 받되, 상기 회원채권자로부터 선택한 제재 채권에 대한 제재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재 방식은,
    채무불이행 사전 통보 및 채무불이행 등록을 포함하는, 채권 관리 장치.
KR1020170118016A 2017-09-14 2017-09-14 채권 관리 장치 및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KR10207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16A KR102079176B1 (ko) 2017-09-14 2017-09-14 채권 관리 장치 및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16A KR102079176B1 (ko) 2017-09-14 2017-09-14 채권 관리 장치 및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07A true KR20190030807A (ko) 2019-03-25
KR102079176B1 KR102079176B1 (ko) 2020-02-20

Family

ID=6590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016A KR102079176B1 (ko) 2017-09-14 2017-09-14 채권 관리 장치 및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32B1 (ko) 2022-12-18 2023-04-03 백용수 부실채권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815A (ko) * 2004-01-09 2004-01-31 주식회사 우리은행 연체 관리 방법
KR101165062B1 (ko) * 2009-11-03 2012-07-12 주식회사 하나은행 개인자산관리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8090A (ko) * 2011-11-01 2013-05-09 한신평신용정보 주식회사 선택적 채권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권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815A (ko) * 2004-01-09 2004-01-31 주식회사 우리은행 연체 관리 방법
KR101165062B1 (ko) * 2009-11-03 2012-07-12 주식회사 하나은행 개인자산관리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8090A (ko) * 2011-11-01 2013-05-09 한신평신용정보 주식회사 선택적 채권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권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176B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6844A1 (en) Blockchains for facilitating decentralized fund transfer
US20170323378A1 (en) System for triggering of living option resource allocation
US8407142B1 (en) Managing a universal payment account
US11271962B2 (en) Information security vulnerability assessment system
US82856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udgeting recommendations based on financial data from similarly situated individuals
US8380590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recurring income from financial transaction data
US9189789B1 (en) Methods, system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fulfilling a loan request of a business entity
US8660945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small businesses and small business operators
US20150112854A1 (en) Method of Automating a Business Loan Life Cycle
US11270313B2 (en) Real-time resource account verification processing system
US20220237598A1 (en) Efficient, accurate, and secure digital asset conversions for real-time funding of merchant transactions
US20130073462A1 (en) Processing a Payment Transaction From a Mobile Device
US1117037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payment card acceptance quality
KR101730474B1 (ko)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US20200302407A1 (en) Real-time resource split distribution network
US116050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pedited resource issue notification and response
US11979402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xchanging messages across a network
US20200242509A1 (en) System for event data extraction for real-time event modeling and resolution
US20200226558A1 (en) Real-time resource reconciliation system
KR102079176B1 (ko) 채권 관리 장치 및 채무불이행 제재 방법
US11741036B2 (en) Unified smart connector
US11811944B2 (en) Electronic system for resource origination tracking
US201301912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cure loan-based transactions
US784452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llers access to business managing consumers
EP42395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based on return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