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409A - Aquarium apparatus having auto cleaning function - Google Patents

Aquarium apparatus having auto clean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409A
KR20190030409A KR1020170117812A KR20170117812A KR20190030409A KR 20190030409 A KR20190030409 A KR 20190030409A KR 1020170117812 A KR1020170117812 A KR 1020170117812A KR 20170117812 A KR20170117812 A KR 20170117812A KR 20190030409 A KR20190030409 A KR 20190030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receiving
vortex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주원
Original Assignee
이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원 filed Critical 이주원
Priority to KR102017011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409A/en
Publication of KR2019003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4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animals, e.g. poultry, fish,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An aquarium device with an automatic cleaning function is disclosed. The disclosed aquarium apparatus comprises: a water tank unit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having a space in which water can be accommodated and aquarium fish can live; a vortex jetting unit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unit to jet vortex air into the water tank unit to separate contaminant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unit; and a purifying uni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ter tank unit to receive and purify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unit and discharge the water back into the water tank unit.

Description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수족관장치 {AQUARIUM APPARATUS HAVING AUTO CLEANING FUNC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rium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물에 관상어를 넣고 기르면서 관상할 수 있도록 하는 수족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족관 내벽 및 물을 자동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수족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rium apparatus for allowing an ornamental fish to be placed in a water contained in an aquarium and to be tubularized while being raise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quarium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cleaning function for automatically cleaning an aquarium inner wall and water.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투명한 수조내에 물을 넣은 후 열대어 등의 관상어를 물에 넣어 키우면서 관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수족관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하고 있다. Generally, an aquarium is designed to allow water to be put into a transparent water tank, and then to put the ornamental fish such as tropical fish into water to grow it. These aquariums are used as interior decorations for homes and offices.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수족관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물이 오염되어, 관상어들이 죽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기적으로 물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aquarium, water may be contamina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resulting in death of ornamental fishes. Therefore, it is troublesome to periodically replace the water.

또한, 일정 시간이 흐르면 수족관 내벽면에는 물때 등의 오염물질이 고착되어 외부에 수족관내부가 잘 보이지 않아 관상어들을 볼 수 없고, 이에 따라 인테리어 기능이 저하될 뿐 아니라, 보는 사람들에게 청결하지 못한 수족관을 보여줌으로써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Also,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contaminants such as water are adhered to the inner wall of the aquarium and the inside of the aquarium is not visible to the outside, so that the aquarium fish can not be seen and the interior function is deteriorated accordingly. I had a problem that caused discomfort by showing.

공개실용신안 20-1994-0025829호Open Utility Model No. 20-1994-0025829 공개실용신안 20-1994-0019909호Open utility model 20-1994-0019909 공개실용신안 20-1995-0031841호Published Utility Model No. 20-1995-0031841 등록실용신안 20-0312454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1245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수족관 수조 내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뿐 아니라, 수조 내에 담긴 물을 정화하도록 하여 수족관으로 자동을 청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형태의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수족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aquariu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not only removes foreign matters on the inner surface of an aquarium water tank, but also purifies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quarium device having a function of an aquariu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족관장치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관성어가 살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수조부; 상기 수조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부 내부로 와류공기를 분출하게 하여 상기 수조부의 내면에 고착된 오염물질을 분리시키는 와류분출유닛; 상기 수조부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부 내부의 물을 공급받아 정화하여 다시 상기 수조부 내부로 배출하는 정화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quarium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receiving unit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having a space in which water can be received and an artificial fish can live; A vortex jetting unit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to jet vortex air into the water receiving unit to separate contaminants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And a purifying uni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for purifying the water received in the water receiving unit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상기 와류분출유닛은 상기 수조부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1케이싱; 상기 제1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와류공기를 발생시키는 와류팬모터; 상기 와류팬모터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조부의 벽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류팬모터에서 발생된 와류공기를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배출하는 와류분출노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vortex generating unit comprises: a first casing formed at a lower side of a side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A vortex fan motor installed in the first casing for generating vortex air; A connection pipe installed in the first casing to be connected to the vortex fan motor; And a vortexing nozzl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nd installed to pass through a wall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art and to discharge vortex air generated in the vortex fan motor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part.

상기 와류분출노즐의 끝단부 상에는 주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주름부를 통해 상기 와류분출노즐의 끝단부가 각도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corrugation is formed on the end of the vortex spray nozzle so that the angle of the end of the vortex spray nozzle can be adjusted through the corrugation.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수조부의 내부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다단의 필터메디아를 통해 물이 정화된 후 상기 수조부 내부로 정화된 물이 재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urifying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ater is supplied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and purified water is purified through the multi-stage filter media, and then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again to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수조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필터챔버, 제2필터챔버 및 제3필터챔버가 형성된 제2케이싱; 상기 수조부 벽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조부 내부와 상기 제1필터챔버를 연결시켜 상기 수조부 내부의 물이 상기 제1필터챔버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 상기 제1필터챔버, 상기 제2필터챔버 및, 상기 제3필터챔버에 채워져 상기 물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제1필터메디아, 제2필터메디아 및 제3필터메디아; 상기 유입구의 끝단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조부 내부의 물이 상기 제1필터챔버로 유입되기 전에 큰 입자의 오염물을 걸러주는 거름망부; 상기 제3필터챔버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2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펌프; 및, 상기 수조부의 벽면을 관통하며, 상기 펌프와 상기 수조부 내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정화된 물을 상기 수조부 내부로 배출하게 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urify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casing having a first filter chamber, a second filter chamber, and a third filter chamber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An inlet that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connects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with the first filter chamber to allow water in the receiving portion to flow into the first filter chamber; A first filter medium, a second filter medium and a third filter medium which are filled in the first filter chamber and the third filter chamber to filter out foreign matter from the water; A filtering unit remov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inlet to filter contaminants of large particles before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unit flows into the first filter chamber; A pump installed in the second casing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filter chamber; And a discharge port which penetrates a wall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art and connects the pump and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part to discharge purified water from the pump into the water receiving part.

상기 제1필터메디아는 요오드 필터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필터메디아는 멤브레인 필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필터메디아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filter medium may be made of iodine filter charcoal, the second filter medium may be a membrane filter, and the third filter medium may be made of activated carbon.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와류분출유닛에 의해 수조부 내의 물에 와류가 분사됨으로써, 물이 이 와류에 의해 급격한 유체흐름이 발생하여 수조부 내벽면과 바닥면에 고착된 이끼, 물때 등의 이물질이 분리되고, 이렇게 분리된 이끼, 물때 등의 이물질과 물의 여타 오염물질을 정화유닛을 통해 다단의 필터를 통과하면서 깨끗하게 정화되어 정화된 물이 다시 수조부에 재공급되는 방식이므로, 자동적으로 수조부를 청소해주어 사용자가 번거롭게 관리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rtex is injected into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by the vortex jetting unit, so that water flows into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to generate a sudden fluid flow, Since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and the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ss, water and so on and other contaminants of water are cleanly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multi-stage filter through the purification unit, and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again to the receiving uni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ecause the user does not have to manage troublesome by cleaning the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수족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와류분출유닛과 정화유닛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와류분출노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정화유닛의 유입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5의 유입구에 설치된 거름망 수단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수족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수족관장치의 와류분출유닛과 정화유닛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수족관장치와 다른 형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수족관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의 수족관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8의 수족관장치와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8의 수족관장치와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quarium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ortex-blowing unit and the purifying unit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the vortical jet nozzle of FIG. 2 in detail,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inlet of the purifying unit of FIG. 2,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ed state of the filtering means installed at the inlet of FIG. 5,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quarium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ortex generating unit and a purification unit of the aquarium apparatus of FIG. 6,
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7,
9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aquarium apparatus of FIG. 8, and FIG.
Fig.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quarium apparatus of Fig. 8,
FIG.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quarium apparatus of FIG. 8,
FIG. 12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quarium apparatus of FIG. 8,
FIG.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quarium apparatus of FIG. 8. FIG.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Further,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etched area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with a certain curvature. Thus,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attribut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forms of regions of the ele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have only been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also include their complementary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greater detail and to assist in understanding it.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such specific details. In some instances, it should be noted that portions of the invention that are not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do not describe confusing reasons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수족관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quarium device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본 발명의 수족관장치(1)는 수조부(10), 와류분출유닛(20), 정화유닛(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aquarium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water receiving unit (10), a vortex ejection unit (20), and a purification unit (30).

수조부(10)는 내부에 물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의 관상어를 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수조부(10)는 사각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수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a space in which water can be filled therein is formed and the ornamental fish of the inside can be seen. Although the water collecting part 10 shown in FIG. 1 is formed in a square shap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water tank shapes.

와류분출유닛(20)은 수조부(1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와류분출유닛(20)은 2개로 구성되어 수조부(10)의 양측면에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vortex ejection unit 2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In this embodiment, the vortex-blowing unit 20 may be provided in two opposing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water receiving unit 10.

와류분출유닛(20)은 제1케이싱(20), 와류팬모터(24), 연결배관(23), 와류분출노즐(22)을 포함한다. The vortex ejection unit 20 includes a first casing 20, a vortex fan motor 24, a connection pipe 23, and a vortex ejection nozzle 22.

제1케이싱(20)은 수조부(10)의 하부측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제1케이싱(20)은 수조부(10)의 하부측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구성되어수조부(10)의 하부 측면에 부착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casing (2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a lower side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The first casing 2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and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attached to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와류팬모터(24)는 구동모터와 팬이 조합된 팬모터로 구성되며, 이때,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팬이 와류팬으로 이루어져,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와류팬모터로 구성된다. 와류팬모터(24)는 제1케이싱(20) 내부에 장착되도록 설치되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류팬모터(24)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vortex fan motor 24 is constituted by a fan motor in which a driving motor and a fan are combined. In this case, the fan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is constituted by a vortex fan, which can form a vortex. The vortex fan motor 24 is installed to be mounted inside the first casing 2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a controller (not shown). The vortical fan motor 24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periodical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연결배관(23)은 제1케이싱(20)에 내부에 설치되며, 와류팬모터(24)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와류팬모터(24)에서 배출되는 와류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The connection pipe 23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casing 20 and connected to the vortex fan motor 24 so that vortex discharged from the vortex fan motor 24 is discharged.

와류분출노즐(22)을 복수개로 구성되어 연결배관(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A plurality of vortical spray nozzles 22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ipe 23.

와류분출노즐(22)은 연결배관(23)과 연결되며, 수조부(10)의 벽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와류분출노즐(22)은 와류팬모터(24)에서 발생되어 연결배관(23)을 거친 와류가 수조부(10) 내부로 분출되도록 한다. The vortex ejection nozzle 2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23 and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wall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The vortex ejection nozzle 22 is generated in the vortex fan motor 24 so that vortices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ipe 23 are ejected into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이와 같이, 와류팬모터(24)가 구동되어 와류분출노즐(22)을 통해 수조부(23)의 내부에 와류공기가 분출되게 되면, 이 와류에 의해 수조부(10) 내의 물에도 와류 등의 소용돌이가 발생됨으로써 수조부(10)의 내벽면 및 바닥면에 고착된 물때, 이끼 등의 오염물질이 내벽면 및 바닥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내벽면 및 바닥면의 모서리 부분에 고착된 오염물질도 분리되어 제거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ortex fan motor 24 is driven so that vortex air is blown into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3 through the vortex jet nozzle 22, the vortex flows into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Contaminants such as water, moss and the like adhering to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can be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due to the occurrence of swirling. Particularly, contaminants adhering to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corner portions of the bottom surface are also separated and removed.

이렇게 수조부(10)의 내벽면 및 바닥면에서 분리된 오염물질은 수조부(10) 내의 물에 떠다니게 되는데, 이 오염물질은 정화유닛(30)을 통해 정화될 수 있다. The pollutants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are floated in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pollutant can be purified through the purifying unit 30.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와류분출노즐(22)은 수조부(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끝단부 상에 주름부(22a)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와류분출노즐(22)은 플라스틱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플라스틱 관체의 끝단부 상에 주름부(22a)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와류분출노즐(22)의 끝단부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히 구부려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vortex jetting nozzle 2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wrinkle portion 22a on the end portion located inside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The vortical spray nozzle 22 may be formed of a plastic tube and a corrugation 22a may be formed on the end of the plastic tube so that the end of the vortex spray nozzle 22 bends against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Respectively.

따라서, 사용자가 와류분출노즐(22)의 끝단부의 각도를 꺽어 와류가 분출되는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adjust the direction in which the eddy current is ejected by reducing the angle of the end of the vortex nozzle 22 to a desired direction.

정화유닛(30)은 수조부(10)의 하부측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정화유닛(30)은 2개로 구성되어, 와류분출유닛(20)이 설치되지 안은 수조부(10)의 양측면에 설치되도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urifying unit (3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The purifying unit 30 is composed of two units and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receiving unit 10 without the vortexing unit 20 installed therein.

정화유닛(30)은 수조부(10)의 내부로부터 물이 공급되고, 이 공급된 물이 다단의 필터메디아를 거쳐 정화되도록 구성되고, 정화된 물은 수조부(10) 내부로 다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The purifying unit 30 is configured such that water is supplied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supplied water is purified through the filter medium of multiple stages and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again into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do.

구체적으로 정화유닛(30)은 제2케이싱(31), 유입구(33), 거름망부(34), 펌프(35), 배출구(3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purifying unit 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casing 31, an inlet port 33, a filtering section 34, a pump 35, and an outlet port 36.

제2케이싱(31)은 수조부(10)의 측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수조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되어 수조부(10)의 측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housing 31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

제2케이싱(31)에는 복수의 구획벽(32a)에 의해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제1필터챔버(s1), 제2필터챔버(s2) 및 제3필터챔버(s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구획벽(32a)에는 연결공(32a)이 형성되어 있어, 제1필터챔버(s1), 제2필터챔버(s2) 및 제3필터챔버(s3)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casing 31 is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2a so that the first filter chamber s1, the second filter chamber s2 and the third filter chamber s3 are formed. At this time, the partition wall 32a is formed with a connection hole 32a so that the first filter chamber s1, the second filter chamber s2 and the third filter chamber s3 are sequentially connected.

제1필터챔버(s1) 내에는 제1필터메디아로서 요오드 필터탄이 채워지도록 구성되며, 제2필터챔버(s2) 내에는 제2필터메디아로서 멤브레인 필터가 채워지도록 구성되며, 제3필터챔버(s3) 내에는 제3필터메디아로서 활성탄이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필터메디아는요오드 필터탄, 멤브레인 필터, 활성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단 방식으로 물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통상의 필터메디아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The first filter chamber s1 is configured to be filled with the iodine filter charcoal as the first filter medium and the second filter chamber s2 is configured to be filled with the membrane filter as the second filter media, s3 may be configured to be filled with activated carbon as a third filter medium. The filter medi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odine filter, the membrane filter, and the activated carbon, and may be applied to conventional filter media capable of filtering water in a multistage manner.

유입구(33)는 "ㄴ"자 형태의 배관으로 이루어지며, 수조부(10)의 벽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수조부(10) 내부와 제1필터챔버(s1)를 연결되어 상기 수조부 내부(10)의 물이 제1필터챔버(s1)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inlet 33 is formed of a pipe having a shape of a letter C and is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wall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so that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chamber s1, So that water in the first filter chamber (10)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er chamber (s1).

거름망부(34)는 유입구(33)의 끝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수조부(10) 내부의 물이 제1필터챔버(s1)로 유입되기 전에 큰 입자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도록 구성된다. 즉, 와류분출유닛(20)에 의해 수조부(10) 내면에서 분리된 이끼, 물대 등의 각종 큰 입자의 오염물질이 거름망부(34)에 1차적으로 걸리진 후, 유입구(33)를 통해 제1필터챔버(s1)로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The filtering unit 34 is install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inlet 33 so as to filter contaminants of large particles before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unit 10 flows into the first filter chamber s1 do. That is, contaminants of various large particles such as moss and water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by the vortex jetting unit 20 are firstly taken up by the sieve portion 34 and then passed through the inlet 33 And is configured to enter the first filter chamber s1.

거름망부(34)는 컵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유입구(33)의 끝단에 설치되는 거름망본체(34a)와, 상기 거름망본체(34a) 내에 설치되어 거름망본체(34a)를 지나는 물에서 큰 입자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망부재(34a)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sieve portion 34 has a cup shape and includes a sieve main body 34a whose lower end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inlet 33 and a sieve main body 34b provided in the sieve main body 34a, And a net member 34a for filtering contaminants of the fuel cell.

거름망본체(34a)의 하단 내주면에는 암나사산(34aa)이 형성되고, 유입구(33)의 상단 외주면에는 수나사산(33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거름망부(34)를 유입구(33)의 끝단에 나사체결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A male screw thread 34aa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ieve main body 34a and a male screw thread 33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inlet port 33. The sieve thread 34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inlet 33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by a screw fastening method.

거름망부(34)의 사용에 따라 거름망본체(34a) 내에 오염물질이 쌓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거름망부(34)를 유입구(33)로부터 해제방향으로 돌려 분리한 후, 외부에 손쉽게 버릴 수 있게 된다. Contaminants may accumulate in the sieve main body 34a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the sieve portion 34 and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sieve portion 34 after separating the sieve portion 34 by turning it in the release direction from the inlet 33 .

펌프(35)는 제3필터챔버(s3)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2케이싱(31) 내부에 설치된다. The pump 35 is installed in the second casing 3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filter chamber s3.

배출구(36)는 펌프(35)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수조부(10)를 관통하여 수조부(10)의 내부와 펌프(35)의 배출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The discharge port 36 is connected to the pump 35 and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to connect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pump 35.

상기의 구성에 따라, 펌프(35)의 구동에 따라 유입구(33)에 흡입력이 발생하여 수조부(10) 내의 물이 흡입되어 제1필터챔버(s1), 제2필터챔버(s2), 제3필터챔버(s3)를 거쳐 이동되면, 각 필터챔버(s1,s2,s3) 내에 수용된 필터메디아(요오드 필터탄, 멤브레인 필터, 활성탄)에 의해 필터링 된 후, 정화된 물이 배출구(36)를 통해 수조부(10) 내부로 재공급될 수 있다.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inlet port 33 by the driving of the pump 35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section 10 is sucked into the first filter chamber s1, the second filter chamber s2, 3 filter chamber s3, the filtered water is filtered by the filter media (iodine filter charcoal, membrane filter, activated charcoal) contained in each of the filter chambers si, s2 and s3, To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본 발명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와류팬모터(24) 및 펌프(35)가 주기적이고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vortex fan motor 24 and the pump 35 are periodically and sequentially driven by a control unit (not shown).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와류팬모터(24)를 구동하여, 수조부(10) 내벽면 및 바닥면의 고착된 오염물을 분리해 낸 후, 와류팬모터(24)의 구동을 정지 한 다음, 펌프(35)를 구동하여 수조부(10) 내부의 물을 정화하여 재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한 사이클의 청소동작이 소정주기간격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drives the vortex fan motor 24 to separate the adhered contaminants from the wal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10, stop driving the vortex fan motor 24, 35 to purify and re-supply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unit 10, and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one cycle can be controlled to be periodically per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한편, 본 발명의 수족관장치는 수조부(10), 와류분출유닛(20), 정화유닛(30)의 하면에 배선판(p)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선판(p)은 수조부(10)의 충격완화를 위해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의 바닥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배선판(p)에는 와류팬모터(24) 및 펌프(35)의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선 배선라인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quarium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wiring board p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water receiving unit 10, the vortex generating unit 20, and the purification unit 30. The wiring board p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ttom made of silicon or rubber for relieving the impact of the water receiving unit 10. The wiring board p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for the vortex fan motor 24 and the pump 35 May be formed.

이하,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수족관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quarium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3. Fig.

제 1 실시 예의 수족관장치는 일반적인 어항이나 수족관처럼 장식가구나 테이블 등에 올려 놓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나, 제 2 실시 예에서는 천장에 설치되는 천정전등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aquarium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decorative furniture or a table, such as a common fish tank or an aquarium, but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it is integrated with a ceiling lamp installed on a ceiling.

제 2 실시 예의 수족관장치(1')는 제 1 실시예의 수조부(10), 와류분출유닛(20), 정화유닛(30)이 원형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 그리고, 조명램프(45)를 구비한 램프모듈(40)이 수조부(10)의 상부 외측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와류분출유닛(20), 정화유닛(30)의 구성 및 동작은 동일하다. The aquarium apparatus 1 'of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aquarium apparatus 1'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water collecting section 10, the vortex ejection unit 20 and the purification unit 30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vortex generating unit 20 and the purifying unit 30 are the same only in that one lamp module 40 is formed outside the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unit 10. [

즉, 제 2 실시 예의 설명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In other words, for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nly the configuration tha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의 수족관장치(1')는 수조부(10)의 외주면 상부 외측으로 조명램프(45)를 구비하는 램프모듈(40)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7 and 8, the aquarium apparatus 1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amp module 40 having the illumination lamp 45 is formed outsid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10 .

이러한 수족관장치(1')는 천장에 설치되어 조명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수족관장치(1)는 사용자가 수조부(10)의 저면을 통해 관상어를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명램프(45)에서의 빛이 수조부(10) 내부를 은은하게 비추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게 된다. This aquarium apparatus 1 'can be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can function as a lighting unit. That is, not only can the aquarium apparatus 1 allow the user to view the ornamental fish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section 10, but also the light from the illumination lamp 45 is reflected in the water receiving section 10 to create a luxurious atmosphere .

본 발명의 수족관장치(1')는 도 8과 같이, 램프모듈(40)을 천장(c)에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46)를 통해 근접한 상태로 이격되게 고정함으로써 설치될 수도 있고, 도 9와 같이, 별도의 연장바(47)를 개재시켜, 상당히 큰 거리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The aquarium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by fixing the lamp module 40 to the ceiling c in a state of being closely spaced via the fixing portion 46 such as a bolt or the like as shown in Fig.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siderably large distance apart through a separate extension bar 47 as shown in Fig.

아울러, 본 발명은 수조부(10)에 수용된 물이 기화되어 실내를 가습해 줌으로써, 실내환경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is vaporized and humidifies the room, so that the humidity of the indoor environment can be appropriately maintained and health can be maintained.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수조부(10)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공급관(48)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조부(10)에 물어 넣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족관장치(1')를 천정(c)에서 분리하여 아래로 내릴 필요가 없이 천정에 설치된 상태에서 호스(미도시)를 물공급관(48)에 연결하여 수조부(2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48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detach the aquarium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ceiling (c) to lower the water tub to incinerate the water receiving unit (10), and a hose (not shown)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

한편, 본 발명에서 조명램프(45)의 열이 수조부(10) 내에 전달되어, 열에 의해 물의 온도가 높게 상승해 관상어(f)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도 11에 보시된 바와 같이 조명램프(45)에서 발생된 열이 수조부(10) 내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램프모듈(40)에는 열차단판(5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열차단판(50)은 단열재와 같은 열차단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열차단판(50)은 4개의 조명램프(45)에 대해 각각 대응되게 4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열차단판(50)은 조명램프(45)와 수조부(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열차단판(50)은 조명램프(45)에서 발생된 열이 수조부(1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만 하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설치위치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of the illumination lamp 45 is transmitted to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rises by the heat to adversely affect the growth of the ornamental fish f. As shown in FIG. 11, the lamp module 40 may be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plate 50 so that the heat generated in the illumination lamp 45 is not transferred to the interior of the hatching part 10. Here, the heat insulating plate 50 may be made of a heat shield material such 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Each of the train end plates 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illumination lamps 45 and the receiving unit 10, . The heat insulating plate 5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nly by prevent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illumination lamp 45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water receiving unit 10,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variously designed.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가습효율을 높여주기 위하여 수조부(10) 내에는 물을 흡수하여 기화시키는 가습부재(5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umidifying member 55 for absorbing and vaporizing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in order to increase the humidifying efficiency.

이 가습부재(55)는 부직포, 펄프시트, 섬유시트와 같이 물을 잘 흡수하여 흡수된 물이 기화(증발)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에서 가습부재(55)의 원리는 통상의 향수병에 담겨져 사용되는 섬유스틱이나 패브릭 재질의 발향도구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원리는 생략하도록 한다. The humidifying member 55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a pulp sheet, and a fiber sheet, which absorbs water to absorb the absorbed water. The fabric is the same as the fabric stick or fabric-type smell-forming tool used therein, so the detailed principle is omitted.

가습부재(55)는 수조부(10) 내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가습부재(55)의 좌우양단은 수조부(10)의 내측벽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가습부재(55)의 하단부는 수조부(10)에 수용된 물에 담겨진 형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수조부(10) 내의 물이 가습부재(55)를 통해 외부에 용이하게 기화됨으로써 가습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humidifying members (55)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At this time,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respective humidifying members 55 may b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water receiving unit 10, and the lower end of the humidifying member 55 may be formed to be contain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unit 10 .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is easily vaporiz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umidifying member 55, so that the humidify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램프모듈(40)의 하면에 수조부(10)의 외주면을 따라 링형의 LED나 네온사인과 같은 발광수단(60)이 구비될 수 있다. 12, a light emitting unit 60 such as a ring-shaped LED or a neon sign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amp module 4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pipe 10.

이러한 발광수단(60)은 특정 색상을 띠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수조부(10)의 테두리를 따라 불빛을 형성해 줌으로써, 수조부(10)를 주위로부터 더욱 부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light emitting means 6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pecific hue. By forming a light along the rim of the hatching portion 10, the hatching portion 10 can be made more visible from the surroundings.

또한, 본 발명은 램프모듈(40)의 하면 일측에 습도센서(65) 및 온도센서(66)가 설치되어, 실내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고, 스마트폰 어플로 실내 습도 및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ty sensor 65 and the temperature sensor 66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amp module 40 to measure the humidity and the temperature of the room, and to check the room humidity and the temperature in real time with the smartphone application Or < / RTI >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수조부(10) 하면에는 관상어가 유영하는 영상 등의 수족관 영상이 출력되는 투명디스플레이패널(70)이 설치될 수 있다. 투명디스플레이패널(70)은 투명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투명 OLED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투명디스플레이패널(50)에는 홀로그램 형태 또는 일반 영상이미지 형태로 수족관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a transparent display panel 7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10, where an aquarium image such as an image of a swimming fish swimming in an aquarium is output.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70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hologram display panel or a transparent OLED display panel, and the aquarium image may be output to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50 in the form of a hologram or a general image.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천정설치형 전등장치에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투명디스플레이패널(70)에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ceiling-mounted typ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so as to control the display of the image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70.

투명디스플레이패널(70)에 수족관 영상이 출력되게 제어할 경우, 수조부(10)에 관상어는 넣지 않고 물만 채워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투명디스플레이패널(70)에 출력되는 수족관영상을 감사할 수 있으며, 수조부(10)의 물은 가습용도로만 사용되게 된다. The user can audit the image of the aquarium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70 by using only the water without using the ornamental fish in the receiving unit 10 when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aquarium image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70,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0 is used only for humidifying purposes.

반면, 투명디스플레이패널(70)에 영상을 출력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조부(10)에 물과 관상어를 채워서, 투명한 투명디스플레이패널(70)을 통해 수조부(10) 내의 실제 관상어를 감상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no image is output to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70, water and an aquarium fish are filled in the water receiving unit 10 and the actual aquarium fish in the water receiving unit 10 is viewed through the transparent transparent display panel 70 Can be us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수조부
20...와류분출유닛
21...제1케이싱
22...와류분출노즐
22a...주름부
23...연결배관
24...와류팬모터
30...정화유닛
31...제2케이싱
32...구획벽
33...유입구
34...거름망부
35...펌프
36...배출구
10 ... water
20 ... vortex ejection unit
21 ... first casing
22 ... vortex jet nozzle
22a ... corrugated portion
23 ... connection piping
24 ... swirl fan motor
30 ... purifying unit
31 ... second casing
32 ... compartment wall
33 ... Inlet
34 ... feed section
35 ... pump
36 ... outlet

Claims (6)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관성어가 살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수조부;
상기 수조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부 내부로 와류공기를 분출하게 하여 상기 수조부의 내면에 고착된 오염물질을 분리시키는 와류분출유닛;
상기 수조부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부 내부의 물을 공급받아 정화하여 다시 상기 수조부 내부로 배출하는 정화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장치.
A water receiving portion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having a space in which water can be received and an artificial fish can live;
A vortex jetting unit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to jet vortex air into the water receiving unit to separate contaminants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And a purifying uni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to purify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unit and supply the purified water to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분출유닛은,
상기 수조부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1케이싱;
상기 제1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와류공기를 발생시키는 와류팬모터;
상기 와류팬모터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조부의 벽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류팬모터에서 발생된 와류공기를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배출하는 와류분출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ortex ejection unit includes:
A first casing formed at a side lower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A vortex fan motor installed in the first casing for generating vortex air;
A connection pipe installed in the first casing to be connected to the vortex fan motor;
And a vortex jet nozzl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nd installed to penetrate a wall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and to discharge the vortex air generated in the vortex fan motor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분출노즐의 끝단부 상에는 주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주름부를 통해 상기 와류분출노즐의 끝단부가 각도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corrugation is formed on an end of the vortex spray nozzle so that an angle of an end of the vortex spray nozzle is adjustable through the corrug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수조부의 내부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다단의 필터메디아를 통해 물이 정화된 후 상기 수조부 내부로 정화된 물이 재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rifying unit includes:
Wherein water is supplied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and water is purified through the multi-stage filter media, and then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again to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수조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필터챔버, 제2필터챔버 및 제3필터챔버가 형성된 제2케이싱;
상기 수조부 벽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조부 내부와 상기 제1필터챔버를 연결시켜 상기 수조부 내부의 물이 상기 제1필터챔버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
상기 제1필터챔버, 상기 제2필터챔버 및, 상기 제3필터챔버에 채워져 상기 물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제1필터메디아, 제2필터메디아 및 제3필터메디아;
상기 유입구의 끝단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조부 내부의 물이 상기 제1필터챔버로 유입되기 전에 큰 입자의 오염물을 걸러주는 거름망부;
상기 제3필터챔버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2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펌프; 및,
상기 수조부의 벽면을 관통하며, 상기 펌프와 상기 수조부 내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정화된 물을 상기 수조부 내부로 배출하게 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urifying unit includes:
A second casing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 first filter chamber, a second filter chamber, and a third filter chamber sequentially formed therein;
An inlet that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connects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with the first filter chamber to allow water in the receiving portion to flow into the first filter chamber;
A first filter medium, a second filter medium and a third filter medium which are filled in the first filter chamber and the third filter chamber to filter out foreign matter from the water;
A filtering unit remov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inlet to filter contaminants of large particles before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unit flows into the first filter chamber;
A pump installed in the second casing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filter chamber; And
And a discharge port that penetrates a wall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art and connects the pump and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part to discharge purified water from the pump into the water receiving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메디아는 요오드 필터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필터메디아는 멤브레인 필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필터메디아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filter medium is made of iodine filter charcoal,
Wherein the second filter media comprises a membrane filter,
And the third filter media is made of activated carbon.



KR1020170117812A 2017-09-14 2017-09-14 Aquarium apparatus having auto cleaning function KR201900304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812A KR20190030409A (en) 2017-09-14 2017-09-14 Aquarium apparatus having auto clean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812A KR20190030409A (en) 2017-09-14 2017-09-14 Aquarium apparatus having auto clean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409A true KR20190030409A (en) 2019-03-22

Family

ID=6594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812A KR20190030409A (en) 2017-09-14 2017-09-14 Aquarium apparatus having auto clean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409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909U (en) 1993-02-05 1994-09-15 김상윤 fishbowl
KR940025829U (en) 1993-05-11 1994-12-08 황인환 Portable prefab fish tank
KR950031841U (en) 1994-05-25 1995-12-14 이승우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aquarium
KR200312454Y1 (en) 2003-02-05 2003-05-12 천종배 Aquarium for Enjoy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909U (en) 1993-02-05 1994-09-15 김상윤 fishbowl
KR940025829U (en) 1993-05-11 1994-12-08 황인환 Portable prefab fish tank
KR950031841U (en) 1994-05-25 1995-12-14 이승우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aquarium
KR200312454Y1 (en) 2003-02-05 2003-05-12 천종배 Aquarium for Enjoy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216B2 (en) Spa with waterfall
KR101018677B1 (en) Air cleaner
BRPI0604465A (en) road cleaning unit and the like
KR101611871B1 (en) Air cleaner using plate air purification
KR20160024507A (en) Air cleaning system
CN107806677A (en) A kind of new and effective air purifier
CN104913263A (en) Street lamp capable of eliminating dust and haze
KR20190030409A (en) Aquarium apparatus having auto cleaning function
CN100362283C (en) Water spraying type air purifier
KR100841428B1 (en) Foam filter for aquarium
KR101667951B1 (en) Multi-purpose air purifier
KR101049063B1 (en) Filter for utilizing water and air cleaner and heat exchanger by using thereof
WO2008010116A3 (en) A water purifier system and a filter element for such system
KR20200060798A (en) An aquarium device with a ceiling fan, a lifting frame and an automatic cleaning device
CN206522867U (en) A kind of air purifier of displays temperature and humidity
KR102570337B1 (en) Plant cultivation type air cleaning apparatus with fog sterilizing device
CN111132861A (en) Ventilation device and motor vehicle
KR101877911B1 (en) Multi air cleaning system
CN213453997U (en) Air corpuscle purifier of toilet
KR100791056B1 (en) Contaminat elminating apparatus for aquarium
CN204756743U (en) Can eliminate street lamp of raise dust, haze
CN207975795U (en) A kind of indoor air cleaning system
CN207207671U (en) Car air-conditioner clarifier
KR102257502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air cleanse
CN216171117U (en) Integral deodorization adsorption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