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359A - 추모 시스템 - Google Patents

추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359A
KR20190030359A KR1020170117702A KR20170117702A KR20190030359A KR 20190030359 A KR20190030359 A KR 20190030359A KR 1020170117702 A KR1020170117702 A KR 1020170117702A KR 20170117702 A KR20170117702 A KR 20170117702A KR 20190030359 A KR20190030359 A KR 20190030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user
pets
registered us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창규
장덕진
Original Assignee
지창규
장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창규, 장덕진 filed Critical 지창규
Priority to KR1020170117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359A/ko
Publication of KR20190030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출고 당시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NFC 칩이 부착 또는 내장되어 있고,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 또는 납골당에 구비되어 있는 추모용 매개체;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 상기 추모용 매개체에 근접 시켰을 때 NFC 칩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 받고,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 한해 상기 서버로부터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송 받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추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NFC 칩을 통해 인증을 받은 시점부터 GPS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 또는 납골당의 위치로부터 등록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거리보다 멀리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추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추모 시스템{System for Memorial}
본 발명은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서버 접속을 위한 인증을 하고,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추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의 여러 나라에는 그 나라만의 고유의 추모 문화가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는 예로부터 고인의 기일이나 명절 때 고인이 안장되어 있는 묘지를 찾아가 성묘를 하는 것이 대표적인 추모 행사이다. 다만, 최근 들어서는 우리나라에서도 화장(火葬)을 통한 장례방식의 비중이 늘고 있어, 납골당을 이용한 추모 문화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오랫동안 같이 지내 온 애완동물도 가족의 일원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어, 애완동물이 죽은 경우에도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묘지나 납골당을 마련하여 추모하는 문화도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성묘 문화나 납골당 문화의 경우 유족들이 세월이 흐를수록 고인에 대한 기억이 흐릿해 지고, 감정이 무뎌지게 됨에 따라 고인에 대한 추억을 되새기고 고인에 대한 향수를 제대로 느끼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고인의 생전 모습이나 고인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고인, 나아가서는 죽은 애완동물을 추모하고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향수를 보다 현실적으로 느낄 수 있는 추모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유족들이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나 납골당에 방문하였을 때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이나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을 추모하고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향수를 보다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추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불특정 타인에게 유출 및 유포되어 악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추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추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출고 당시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NFC 칩이 부착 또는 내장되어 있고,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 또는 납골당에 구비되어 있는 추모용 매개체;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 상기 추모용 매개체에 근접 시켰을 때 NFC 칩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 받고,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 한해 상기 서버로부터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송 받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추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NFC 칩을 통해 인증을 받은 시점부터 GPS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 또는 납골당의 위치로부터 등록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거리보다 멀리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추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추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출고 당시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NFC 칩이 부착 또는 내장되어 있고,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 또는 납골당에 구비되어 있는 추모용 매개체;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 상기 추모용 매개체에 근접 시켰을 때 NFC 칩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 받고,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 한해 상기 서버로부터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송 받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추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NFC 칩을 통해 인증을 받은 시점부터 등록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추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모 시스템에 의하면, 유족들이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나 납골당에 방문하였을 때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이나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정보를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어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향수를 보다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모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추모 공간으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를 벗어나거나, 사용자 단말기가 서버에 접속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서버에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기가 분실 또는 도난당했을 때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불특정 타인에게 유출 및 유포되어 악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모 시스템에 대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추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출고 당시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NFC 칩이 부착 또는 내장되어 있고,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 또는 납골당에 구비되어 있는 추모용 매개체;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 상기 추모용 매개체에 근접 시켰을 때 NFC 칩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 받고,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 한해 상기 서버로부터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송 받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추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모용 매개체는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을 추모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종류가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묘지나 납골당 등에 배치하는 추모석, 추모패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NFC 칩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 기능이 탑재된 칩을 의미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약 10cm 이내의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비접촉식 무선통신 기술로서, 스마트폰 등에 내장되어 교통카드, 신용카드, 멤버십카드, 쿠폰, 신분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상기 NFC칩은 통신 거리가 짧은 단점이 있지만, 통신 거리가 짧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고,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통신 대상 기기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직접 터치해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NFC 칩은 출고 당시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등록된 사용자는 본인의 인증 정보가 저장된 NFC 칩이 내장된 추모용 매개체를 구입할 수 도 있고, 상기 NFC 칩만 따로 구입하여 원하는 곳에 부착 또는 내장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NFC칩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 한해 서버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하게 되며, 이 경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사진자료,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생전 촬영된 영상자료, 고인이 좋아하는 음악, 추모 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인 소유의 사용자 단말기가 NFC 칩의 인증을 통해 상기 서버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 받은 경우에 한해 상기 서버의 추모 게시판에 글을 남길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일 양태로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NFC 칩을 통해 인증을 받은 시점부터 GPS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 또는 납골당의 위치로부터 등록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거리보다 멀리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NFC 칩에 등록된 사용자가 묘지나 납골당 등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을 추모하는 장소에 방문한 경우에 한해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지속적으로 전송하기 위함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NFC 칩을 통해 인증을 거쳐 상기 서버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 받은 채로 분실되거나 도난당한 경우 불특정 타인에게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유출 및 유포되어 악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다른 양태로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NFC 칩을 통해 인증을 받은 시점부터 등록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NFC 칩에 등록된 사용자가 묘지나 납골당 등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을 추모하는 장소에 방문한 후 돌아가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동안만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지속적으로 전송하기 위함이며, 역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NFC 칩을 통해 인증을 거쳐 상기 서버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 받은 채로 분실되거나 도난당한 경우 불특정 타인에게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유출 및 유포되어 악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추모를 위한 공간이 실내 납골당과 같이 실내인 경우에는 GPS 송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 거리를 기준으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제어할지, 아니면 시간을 기준으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제어할지 여부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추모 시스템을 운영하는 서비스 업체에 최초로 서비스를 신청할 때 옵션 항목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추후에 옵션 변경을 원하는 경우에는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NFC 칩을 통해 인증을 받아 상기 서버에 대한 접속 권한을 얻은 후, 등록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패스워드를 입력한 경우에 한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등록된 사용자에 한해 NFC 칩을 통한 인증 여부와 상관 없이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추모 일정 등 관련 부가 정보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추모용 매개체에 근접 시켰을 때 NFC 칩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 받고,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 한해 상기 서버로부터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송 받아 재생하는 것으로서, 휴대성이 좋고, NFC 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서버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진, 영상, 음악, 게시글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단말기라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NFC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 테블릿 PC,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추모용 매개체에 근접 시켰을 때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될 경우,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인증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인증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NFC 칩을 통해 서버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유족 중 NFC 칩의 출고 당시에 등록된 사용자가 장남, 차남 등 유족을 대표하는 일부 인 경우나, NFC 칩의 출고 당시에 유족의 구성원 전원을 등록하였다고 하더라도 자녀의 출생, 결혼 등으로 인해 가족 구성원이 추가된 경우에 NFC 칩에 등록되지 않은 유족들에 대해서도 서버로부터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기존의 등록된 사용자는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인증정보 요청이 왔을 때 단말기를 통해 인증정보의 공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유족 또는 관련자와 무관한 타인에게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의 도면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모 시스템에 대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모 시스템은 추모용 매개체(10),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린하는 서버(20) 및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기(3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추모용 매개체(10)는 추모석으로서, 출고 당시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NFC 칩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에 비치되어 있다.
도 1에서 사용자 단말기(30)는 NFC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유족 중 등록된 사용자가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에 방문하여 사용자 단말기(30)를 상기 추모용 매개체(10)에 근접시키면, 상기 추모용 매개체(10)에 내장되어 있는 NFC 칩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인증되며, 이와 같은 인증 결과는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자동으로 서버(20)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20)에서는 저장되어 있는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게 된다.
도 1에서 상기 서버(20)는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NFC 칩을 통해 인증을 받은 시점부터 GPS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의 현재 위치가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로부터 설정된 거리보다 멀리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등록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추모용 매개체
20 : 서버
3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3)

  1. 출고 당시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NFC 칩이 부착 또는 내장되어 있고,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 또는 납골당에 구비되어 있는 추모용 매개체;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
    상기 추모용 매개체에 근접 시켰을 때 NFC 칩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 받고,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 한해 상기 서버로부터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송 받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추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NFC 칩을 통해 인증을 받은 시점부터 GPS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 또는 납골당의 위치로부터 등록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거리보다 멀리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추모 시스템.
  2. 출고 당시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NFC 칩이 부착 또는 내장되어 있고,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의 묘지 또는 납골당에 구비되어 있는 추모용 매개체;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
    상기 추모용 매개체에 근접 시켰을 때 NFC 칩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 받고,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 한해 상기 서버로부터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자동으로 전송 받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추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NFC 칩을 통해 인증을 받은 시점부터 등록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고인이나 죽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추모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추모용 매개체에 근접 시켰을 때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될 경우,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인증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인증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NFC 칩을 통해 서버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 받는 추모 시스템.
KR1020170117702A 2017-09-14 2017-09-14 추모 시스템 KR20190030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702A KR20190030359A (ko) 2017-09-14 2017-09-14 추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702A KR20190030359A (ko) 2017-09-14 2017-09-14 추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359A true KR20190030359A (ko) 2019-03-22

Family

ID=6594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702A KR20190030359A (ko) 2017-09-14 2017-09-14 추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3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271B1 (ko) 2020-05-22 2020-12-17 배진욱 온라인 추모관 및 온라인 유서, 유언 생성방법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271B1 (ko) 2020-05-22 2020-12-17 배진욱 온라인 추모관 및 온라인 유서, 유언 생성방법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495341B (zh) 访客管理方法、设备、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492168B (zh) 一种基于云服务的小区门禁系统及开门方法
ES2931988T3 (es) Programación remota para sistema de control de acceso con tarjeta de datos virtual
US8693988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based authentication for managing personal data
KR101507594B1 (ko) 식별 수단을 이용한 안전 출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9202322B2 (en) Distribution of premises access information
CN108171841A (zh) 一种可实现预约拜访的门禁开锁方法及系统
US20140266590A1 (en) Reconfigurable Smart Identification Badges
US10089485B2 (en) Mobile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WO2016063554A1 (ja) 拡張現実システム
KR20080094117A (ko)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150129B2 (ja) 薬歴管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2848569A1 (en) Electric lock arrangement
US9860746B2 (e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control system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KR102325686B1 (ko) 제사식장을 이용한 제사 대행 시스템
CN110992556A (zh) 门禁开启方法、系统、控制中心、被访端和可读存储介质
US202001788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writing into the memory of an active medical device implantable by telemetry
KR20190030359A (ko) 추모 시스템
JP2019085761A (ja) 開閉制御システム
CN107045684B (zh) 身份识别系统及其识别方法
KR20180024390A (ko)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03374A1 (en)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device, utilization control device, utilization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program
CA3198995A1 (en) Identification tag, identification tag accessory, and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n identification tag and identification tag accessory
KR20140132457A (ko) 고인 관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장치
KR102303793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