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255A -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255A
KR20190030255A KR1020170117081A KR20170117081A KR20190030255A KR 20190030255 A KR20190030255 A KR 20190030255A KR 1020170117081 A KR1020170117081 A KR 1020170117081A KR 20170117081 A KR20170117081 A KR 20170117081A KR 20190030255 A KR20190030255 A KR 20190030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sonant
vowel
region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943B1 (ko
Inventor
권혁규
권순찬
유재민
송형우
Original Assignee
권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규 filed Critical 권혁규
Priority to KR1020170117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9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과 표시가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은, 주 획 영역을 포함하는 모음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주 획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주 획 영역에 상응하는 주 획에 연관된 둘 이상의 1차 모음을 포함하는 1차 모음 영역을 상기 선택된 주 획 영역 주변에, 선택되지 않은 주 획 영역에 상응하는 1차 모음 영역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입력에 상응하는 1차 모음 영역의 1차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1차 모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편리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PUTING CHARACTER}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입력과 표시가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등 입력과 표시가 연동되는 전자 장치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여러 가지 방식들이 알려져 있다. 과거 휴대 전화기는 물리적 버튼을 통하여 문자 입력을 수신하였다. 입력 방식이 터치스크린으로 전환되면서, 물리적 버튼 방식을 응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가상 버튼 또는 소프트 키(soft key)를 구현하여 물리적 버튼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가상 버튼 방식은 터치 스크린 기타 이와 유사한 방식 입력장치의 장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물리 버튼은 단순히 누르는 입력만을 처리할 수 있으나 터치스크린은 입력상태를 유지하면서 입력지점을 바꿀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소프트 키를 생성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문자 입력 체계를 편리하게 바꿀 필요가 있다.
KR 10-0647827B1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편리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과 표시가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은, 주 획 영역을 포함하는 모음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주 획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주 획 영역에 상응하는 주 획에 연관된 둘 이상의 1차 모음을 포함하는 1차 모음 영역을 상기 선택된 주 획 영역 주변에, 선택되지 않은 주 획 영역에 상응하는 1차 모음 영역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입력에 상응하는 1차 모음 영역의 1차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1 차 모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과 표시가 연동되는 전자적 문자 입력 장치는, 주 획 영역을 포함하는 모음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표시부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주 획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주 획 영역에 상응하는 주 획에 연관된 둘 이상의 1차 모음을 포함하는 1차 모음 영역을 상기 선택된 주 획 영역 주변에, 선택되지 않은 주 획 영역에 상응하는 1차 모음 영역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입력에 상응하는 1차 모음 영역의 1차 모음을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1 차 모음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과 표시가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은, 자음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자음 입력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자음과 주 획 모음이 결합된 1차 문자를 포함하는 1차 문자 영역을 상기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문자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입력에 상응하는 1차 문자 영역의 1차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1 차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과 표시가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문자 입력 장치는, 자음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부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자음 입력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자음과 주 획 모음이 결합된 1차 문자를 포함하는 1차 문자 영역을 상기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문자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입력에 상응하는 1차 문자 영역의 1차 문자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1 차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편리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모음 입력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자음 입력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명세서의 도 11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문자 입력 장치(100)는 제어부(110), 표시부(120) 및 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전자기기에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제어부(110)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여 표시부(120)에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문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전자적 신호 또는 이와 유사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제어부(110)에게 전달한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문자를 표시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부(120) 및 입력부(130)는 터치스크린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터치센서가 부착된 디스플레이(LCD, OLED 등)로서 구현되고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부(120)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LCD, OLED 등)로서 구현되고 입력부(130)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등)로서 구현될 수 있다. 호버링 입력은 디스플레이와 접촉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내에 입력 수단(손가락, 펜 등)을 위치시키는 입력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부(120)는 홀로그램 기타 빈 공간에 상이 투사되는 방식으로 구현되고, 입력부(130)는 투사된 상 근처 3차원 적 영역에서의 입력수단(손가락, 펜 등)을 위치시키는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등)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추로 터치스크린 방식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호버링 입력이나 홀로그램 방식 기타 표시와 입력이 연동되는 장치에 대해서 본 명세서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의 각 구성부의 구체적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글은 한국어의 표현을 위해 사용되는 문자이다. 한글 음절은 주로 초성, 중성의 결합이나.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초성과 종성은 자음이고, 중성은 모음이다. 일반적으로, 입력 장치는 자음인 초성을 먼저 입력하고 모음인 중성을 입력한 후 자음인 종성을 입력하도록 설계돼 있는 경우가 많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문자 입력 장치(100)도 이러한 순서에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다른 순서의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설계하여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한글 자음 및 모음의 입력을 위한 과정을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언어 문자의 입력에 대해서도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가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모음 입력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자음 입력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표현의 편의를 위해 제어부(110)가 입력을 처리하고, 제어부(110)가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단순화하여 표시부(120)가 입력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표현한다. 개념적으로 제어부(110)가 표시부(1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는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제어부(110)가 입력을 처리하여 제어부(110)가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도 미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표시부(120)는 주 획 영역(520)을 포함하는 모음 입력 영역(510)을 표시한다. 모음 입력 영역(510)에는 모음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주 획 영역(520)은 예를 들어 세로선 'ㅣ'의 영역(520a)과 가로선 'ㅡ'의 영역(520b)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제어부(110)는 주 획 영역(520) 중 어느 하나(520a, 520b)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주 획 영역(520) 중 어느 하나(520a, 520b)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지 못하고 종료 상태가 되는 경우 도 2 내지 도 3의 모음 입력 과정은 종료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서 손가락이 떨어진 경우 종료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변형 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 입력 위치의 변화가 없는 경우 종료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조건이 종료 상태의 판단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종료 상태의 판단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220의 판단 이후 바로 종료되는 경우 모음은 입력되지 않는다.
입력부(130)가 주 획 영역(520) 중 어느 하나(520a, 520b)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면 과정은 단계 230으로 진행한다.
단계 230에서 표시부(120)는 선택된 주 획 영역(520a 또는 520b)에 해당하는 주 획 모음(선택된 주 획 모음)을 조합 영역(530)에 표시할 수 있다. 조합 영역(530)은 모음과 자음이 조합된 문자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주 획 영역(520b)이 선택된 경우 조합 영역(530)에는 'ㅣ'가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이전에 입력된 자음이 있는 경우 그 자음과 'ㅣ'가 조합된 글자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선택된 모음이 조합 영역(530) 표시되는 점 자체는 변함이 없으므로, 이후에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이전에 입력된 자음과의 조합 여부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선택된 모음이 표시된다고 표현한다.
변형 예에 따르면, 표시부(120)는 선택된 주 획 모음을 곧바로 조합 영역(530)에 표시하는 대신, 도 2 내지 도 3의 모음 입력 과정이 종료된 후에 선택된 모음(주 획 모음, 1차 모음, 2차 모음 중 어느 하나)을 조합 영역(53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 예는 단계 260, 단계 34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표시부(120)는 선택된 주 획 모음에 연관된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들을 선택된 주 획 영역(520a, 520b)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ㅣ'와 연관된 1차 모음은 'ㅏ', 'ㅑ', 'ㅓ', 'ㅕ'를 포함할 수 있고, 'ㅡ'와 연관된 1차 모음은 'ㅗ', 'ㅛ', 'ㅜ', 'ㅠ'를 포함할 수 있다. 주 획 영역(520b)의 'ㅣ'가 선택됐다면, 'ㅣ'와 연관된 1차 모음들 'ㅏ', 'ㅑ', 'ㅓ', 'ㅕ' 각각에 대한 1차 모음 영역(540b)이 주 획 영역(520b) 주변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모음은 주 획 모음과 수직한 방향의 획을 주 획 모음에 추가한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모음 영역은 주 획 모음의 선택 이전에는 전혀 드러나 있지 않다가 주 획 영역(520)이 선택된 이후에 선택된 주 획 영역(520)에 상응하는 1차 모음 영역이 표시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주 획 영역(520)이 선택되기 전에 1차 모음 영역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표시부(120)는 주 획 영역(520)이 선택되면 선택된 주 획 영역(520)에 상응하는 1차 모음 영역은 더 선명히 표시되거나 색을 달리하는 등의 방식으로 선택되지 않은 주 획 영역에 상응하는 1차 모음 영역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제어부(110)는 단계 220의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1차 모음 영역(540a, 540b)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 및 표시부(12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입력의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로 터치 지점이 슬라이드하여 1차 모음 영역(540a, 540b)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될 때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1차 모음 영역(540a, 540b)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30)가 호버링 입력을 처리하도록 구현된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입력 이후 입력 수단(손가락 등)과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유지하면서 입력 수단이 이동되어 1차 모음 영역(540a, 540b)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될 때 1차 모음 영역(540a, 540b)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부(120)가 표시한 홀로그램 등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3차원적 범위 이내로 입력 수단(손가락 등)의 유지한 상태로 입력 수단의 입력 위치가 1차 모음 영역(540a, 540b)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될 때 1차 모음 영역(540a, 540b)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슬라이드 입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는 입력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330, 단계 450에 대해서도 단계 250 와 유사한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단계 250으로 돌아와서, 입력부(130)가 제1 입력 상태를 유지하며 어느 하나의 1차 모음 영역(540a, 540b)으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한 경우, 과정은 단계 260으로 진행한다. 제1 입력 상태를 유지하며 어느 하나의 1차 모음 영역(540a, 540b)으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과정은 종료된다. 단계 250의 판단 뒤 곧바로 과정이 종료되는 경우 단계 220에서 선택된 주 획 모음(예를 들어, 'ㅣ' 또는 'ㅡ')이 선택된다. 단계 250의 종료 상태 판단을 위해 단계 220의 종료 상태 판단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260에서 표시부(120)는 단계 250에서 선택된 1차 모음 영역의 1차 모음(선택된 1차 모음)을 조합 영역(530)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주 획 모음이 조합 영역(530)에 표시된 경우, 표시부(120)는 표시된 주 획 모음을 단계 250에서 선택된 1차 모음으로 대체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주 획 영역(520b)의 선택 이후 1차 모음 영역(540b) 중 'ㅑ'의 영역이 선택된 경우 조합 영역(530)에 표시된 'ㅣ'가 'ㅑ'로 대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단계 23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계 260의 표시 과정은 생략되고, 모음 입력의 종료 시점에 이르러서야 그 시점에 선택돼 있는 모음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단계 260 이후의 과정은 도 3의 단계 310으로 진행한다.
단계 310에서 제어부(110)는 선택된 1차 모음에 상응하는 2차 모음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1차 모음이 'ㅛ', 'ㅠ'인 경우 이에 기반한 확장 모음(2차 모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 외의 1차 모음들 ('ㅏ', 'ㅑ', 'ㅓ', 'ㅕ', 'ㅗ', 'ㅜ')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2차 모음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1차 모음 'ㅏ'에 대응하는 2차 모음은 'ㅐ'이다.
단계 310에서 선택된 1차 모음에 상응하는 2차 모음이 존재하면 과정은 단계 320으로 진행한다. 선택된 1차 모음에 상응하는 2차 모음이 존재하지 않으면 ('ㅜ', 'ㅠ') 과정은 종료된다.
단계 320에서 표시부(120)는 선택된 1차 모음에 상응하는 2차 모음의 2차 모음 영역을 1차 모음 영역 주변에 표시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5의 경우와 비슷하게 도 6에서는 주 획 모음 영역(520b)이 선택된 뒤(제1 입력)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ㅕ'에 해당하는 1차 모음 영역(610)으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7에서는 'ㅕ'에 해당하는 1차 모음 영역(610) 주위에 'ㅕ'에 상응하는 2차 모음인 'ㅖ'에 해당하는 2차 모음 영역(710)이 표시된다. 도 7의 실시 예에서는 1차 모음 영역의 일부가 'ㅖ'에 해당하는 2차 모음 영역(710)으로 전환되었다.
도 8에 따른 변형 예에 따르면, 주 획 영역(520b)을 2차 모음 영역으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주 획 영역(520b) 및 1차 모음 영역의 일부가 각기 다른 2차 모음을 위한 2차 모음 영역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도 7의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르면, 주 획 영역(520b)에서 1차 모음 영역(610)으로 이동한 뒤 주 획 영역(520b)으로 돌아오는 입력은 1차 모음 영역(610)으로 이동한 것을 취소하는 입력으로 취급될 수 있다. 즉 입력부(130)가 주 획 영역(520b)에서 1차 모음 영역(610)으로 이동한 뒤 주 획 영역(520b)으로 돌아오는 입력을 수신하면 주 획 영역(520b)에 해당하는 입력만 받은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 예에서는 'ㅡ'에 해당하는 주 획 영역(520a)이 선택된 뒤 'ㅗ'에 해당하는 1차 모음 영역(910)이 선택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1차 모음영역(540a)중 'ㅗ'에 해당하는 1차 모음 영역(9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각각 'ㅘ','ㅚ','ㅙ'에 해당하는 2차 모음 영역으로 전환된다.
단계 330에서 제어부(120)는 단계 250의 제2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2차 모음 영역(710)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3 입력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단계 250의 슬라이딩 입력 등에 대한 판단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2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2차 모음 영역(710)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3 입력을 수신한 경우 과정은 단계 340으로 진행한다. 제3 입력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과정은 종료된다.
단계 340에서 표시부(120)는 선택된 2차 모음 영역의 2차 모음을 조합 영역에 표시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연속된 슬라이드 입력 또는 이와 유사한 입력으로 모음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
도 4의 단계 410에서 표시부(120)는 기본 자음 영역(1020)을 포함하는 자음 입력 영역(1010)을 표시한다. 기본 자음은 예를 들어 예사소리 자음 중 'ㅎ'을 제외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ㅈ'과 'ㅇ'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기본 자음은 예사소리 자음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ㅈ', 'ㅎ'과 'ㅇ'을 포함할 수 있다. 'ㅎ'을 예사소리로 취급하지 않는 견해를 고려하느냐에 따라 실시 예가 달라질 수 있다.
단계 420에서 제어부(110)는 입력부(130)가 기본 자음 영역(10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제4 입력을 수신하지 못하면 과정은 종료한다. 입력부(130)가 기본 자음 영역(10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하면 과정은 단계 430으로 진행한다.
단계 430에서 표시부(120)는 선택된 기본 자음을 조합 영역(530)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23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계 430의 표시 과정은 생략되고, 자음 입력의 종료 시점에 이르러서야 그 시점에 선택돼 있는 모음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단계 440에서 표시부(120)는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1020)에 상응하는 기본 자음에 연관된 2차 자음을 포함하는 2차 자음 영역(1030, 1040)을 상기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1020) 주변에, 선택되지 않은 다른 기본 자음 영역에 상응하는 2차 자음 영역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2차 자음 영역(1030, 1040)은 기본 자음의 선택 이전에는 전혀 드러나 있지 않다가 기본 자음 영역(1020)이 선택된 이후에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1020)에 상응하는 2차 자음 영역이 표시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기본 자음 영역(1020)이 선택되기 전에 2차 자음 영역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표시부(120)는 기본 자음 영역(1020)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1020)에 상응하는 2차 자음 영역(1030, 1040)은 더 선명히 표시되거나 색을 달리하는 등의 방식으로 선택되지 않은 기본 자음 영역에 상응하는 2차 자음 영역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부(120)는 선택된 기본 자음('ㄱ')에 연관된 거센소리 자음('ㅋ')의 2차 자음 영역(1030)은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1020)의 왼쪽에 표시하고, 상기 기본 자음('ㄱ')에 연관된 된소리 자음('ㄲ')의 2차 자음 영역(1040)은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1020)의 오른쪽에 표시할 수 있다. 상당수의 거센 소리 자음(ㅊ, ㅋ, ㅌ)을 손 글씨로 쓸 때 예사소리 자음을 쓴 뒤 왼쪽으로 돌아가서 추가 획을 더하는 방식으로 쓸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거센소리 영역이 왼쪽에 배치된 것이다. 된소리 자음(ㄲ, ㄸ, ㅃ, ㅆ, ㅉ)의 경우 예사소리 자음을 하나 쓴 뒤 오른쪽에 추가로 예사소리 자음을 하나 더 써야 완성되므로 오른쪽에 표시될 수 있다.
자음 'ㅎ'에 해당하는 2차 자음 영역은 기본 자음 'ㅇ'이 선택된 경우 기본 자음 'ㅇ'의 기본 자음 영역의 왼쪽에 표시할 수 있다. 이 역시 'ㅎ'을 쓰기 위해 'ㅇ'을 쓴 뒤 왼쪽으로 돌아가서 추가 획을 더하는 방식으로 쓸 수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단계 450에서 제어부(110)는 입력부(130)가 상기 제4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자음 영역(1030, 1040)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5 입력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는 입력의 판단은 도 2의 단계 250의 판단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5 입력이 수신되면 과정은 단계 460으로 진행된다. 제5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과정은 종료되고 단계 420에서 선택된 기본 자음이 입력된다.
단계 460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제5 입력에 상응하는 2차 자음 영역의 2차 자음을 선택하고, 선택된 2차 자음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가 기본 자음 영역(1020)으로부터 2차 자음 영역(1030)으로 슬라이드 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110)는 'ㅋ'을 선택하고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각종 영역의 크기나 모양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영역 구분 표시가 생략될 수도 있고, 입력의 이동에 반응하는 민감도도 조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명세서의 도 11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이다.
단계 1110에서 표시부(120)는 자음 입력 영역(1210)을 표시한다. 자음 입력 영역(1210)에는 자음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자음 입력 영역(1210)은 예를 들어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자음뿐만 아니라 'ㅇ', 문장부호, 띄어쓰기 부호 등을 위한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1120에서 제어부(110)는 자음 입력 영역(1210) 중 어느 하나(1220)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자음 입력 영역(1210) 중 어느 하나(1220)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지 못하고 종료 상태가 되는 경우 문자 입력 과정은 종료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서 손가락이 떨어진 경우 종료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변형 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 입력 위치의 변화가 없는 경우 종료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조건이 종료 상태의 판단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종료 상태의 판단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1120의 판단 이후 바로 종료되는 경우 문자는 입력되지 않는다.
입력부(130)가 자음 입력 영역(1210) 중 어느 하나(1220)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면 과정은 단계 1130으로 진행한다.
단계 1130에서 표시부(120)는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1220)에 해당하는 자음을 도 5의 조합 영역(530)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1140에서 표시부(120)는 선택된 주 획 모음에 연관된 둘 이상의 1차 문자 영역들(1310, 1320)을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1220)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의 실시 예에서는 1차 문자 영역들(1310, 1320) 중 선택된 자음 'ㄱ'과 모음 'ㅡ'가 결합된 1차 문자 영역들(1310)은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1220)의 왼쪽과 오른쪽에 배치되었다. 또한 1차 문자 영역들(1310, 1320) 중 선택된 자음 'ㄱ'과 모음 'ㅣ'가 결합된 1차 문자 영역들(1320)은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1220)의 위쪽과 아래쪽에 배치되었다. 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1차 문자 영역들(1310)이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1220)의 왼쪽과 오른쪽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1차 문자 영역들(1320) 또한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1220)의 위쪽과 아래쪽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표시부의 영역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표시부가 표시할 수 없는 영역이 아닌 반대쪽 방향에만 1차 문자 영역들(1310)이 표시될 수도 있다.
세로획에 해당하는 'ㅣ'가 결합된 문자는 세로축에 배치하고 가로획에 해당하는 'ㅡ'가 결합된 문자는 가로축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다른 실시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이후 'ㅣ'와 연관된 1차 모음 'ㅏ', 'ㅑ', 'ㅓ', 'ㅕ'나, 'ㅡ'와 연관된 1차 모음 'ㅗ', 'ㅛ', 'ㅜ', 'ㅠ', 또는 2차 모음들의 입력은 도 2 내지 도 10의 과정과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걔'의 입력은 '기' 선택 이후 '갸'를 선택하고(도 14), '걔'를 선택하는 과정(도 15)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단계 1120에서 선택된 자음이 결합된 문자가 표시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510: 모음 입력 영역
520: 주 획 영역
530: 조합 영역
540, 610, 910: 1차 모음 영역
710: 2차 모음 영역
1010: 자음 입력 영역
1020: 기본 자음 영역
1030, 1040: 2차 자음 영역
1210, 1220: 자음 입력 영역
1310, 1320: 1차 문자 영역

Claims (19)

  1. 입력과 표시가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주 획 영역을 포함하는 모음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주 획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주 획 영역에 상응하는 주 획에 연관된 둘 이상의 1차 모음을 포함하는 1차 모음 영역을 상기 선택된 주 획 영역 주변에, 선택되지 않은 주 획 영역에 상응하는 1차 모음 영역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입력에 상응하는 1차 모음 영역의 1차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1 차 모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1차 모음에 상응하는 2차 모음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선택된 1차 모음에 상응하는 2차 모음이 존재하면, 선택된 1차 모음의 1차 모음 영역에 인접한 1차 모음 영역 또는 상기 주 획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선택된 1차 모음에 상응하는 2차 모음을 포함하는 2차 모음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3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3 입력에 상응하는 2차 모음 영역의 2차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2차 모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은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과 상기 전자 장치 간 접촉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입력이고,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3 입력은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과 상기 전자 장치 간 접촉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은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과 상기 전자 장치 간 거리를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호버링 입력이고,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3 입력은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과 상기 전자 장치 간 거리를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호버링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은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을 미리 설정된 3차원적 범위 이내로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입력이고,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3 입력은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을 미리 설정된 3차원적 범위 이내로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기본 자음 영역을 포함하는 자음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기본 자음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에 상응하는 기본 자음에 연관된 2차 자음을 포함하는 2차 자음 영역을 상기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 주변에, 선택되지 않은 기본 자음 영역에 상응하는 2차 자음 영역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4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자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5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5 입력에 상응하는 2차 자음 영역의 2차 자음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2차 자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에 상응하는 기본 자음은 'ㅎ'을 제외하거나 포함한 한글 예사소리 자음이고,
    기본 자음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에 상응하는 기본 자음에 연관된 2차 자음을 포함하는 2차 자음 영역을 상기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자음에 연관된 거센소리 자음의 2차 자음 영역은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의 왼쪽에 표시하고, 상기 기본 자음에 연관된 된소리 자음의 2차 자음 영역은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의 오른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입력과 표시가 연동되는 전자적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주 획 영역을 포함하는 모음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표시부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주 획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주 획 영역에 상응하는 주 획에 연관된 둘 이상의 1차 모음을 포함하는 1차 모음 영역을 상기 선택된 주 획 영역 주변에, 선택되지 않은 주 획 영역에 상응하는 1차 모음 영역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입력에 상응하는 1차 모음 영역의 1차 모음을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1 차 모음을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1차 모음에 상응하는 2차 모음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선택된 1차 모음에 상응하는 2차 모음이 존재하면,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1차 모음의 1차 모음 영역에 인접한 1차 모음 영역 또는 상기 주 획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선택된 1차 모음에 상응하는 2차 모음을 포함하는 2차 모음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3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입력에 상응하는 2차 모음 영역의 2차 모음을 선택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된 2차 모음을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은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과 상기 전자 장치 간 접촉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입력이고,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3 입력은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과 상기 전자 장치 간 접촉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은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과 상기 전자 장치 간 거리를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호버링 입력이고,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3 입력은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과 상기 전자 장치 간 거리를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호버링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은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을 미리 설정된 3차원적 범위 이내로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입력이고,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3 입력은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수단을 미리 설정된 3차원적 범위 이내로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모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기본 자음 영역을 포함하는 자음 입력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가 기본 자음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4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에 상응하는 기본 자음에 연관된 2차 자음을 포함하는 2차 자음 영역을 상기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 주변에, 선택되지 않은 기본 자음 영역에 상응하는 2차 자음 영역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4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2차 자음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5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5 입력에 상응하는 2차 자음 영역의 2차 자음을 선택하고, 선택된 2차 자음을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에 상응하는 기본 자음은 'ㅎ'을 제외하거나 포함한 한글 예사소리 자음이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본 자음에 연관된 거센소리 자음의 2차 자음 영역은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의 왼쪽에 표시하고, 상기 기본 자음에 연관된 된소리 자음의 2차 자음 영역은 선택된 기본 자음 영역의 오른쪽에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5. 입력과 표시가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자음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자음 입력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자음과 주 획 모음이 결합된 1차 문자를 포함하는 1차 문자 영역을 상기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문자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입력에 상응하는 1차 문자 영역의 1차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1 차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자음 입력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자음과 주 획 모음이 결합된 1차 문자를 포함하는 1차 문자 영역을 상기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는,
    선택된 자음과 'ㅡ'가 결합된 1차 문자는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의 왼쪽 또는 오른쪽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선택된 자음과 'ㅣ'가 결합된 1차 문자는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7. 입력과 표시가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자음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부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자음 입력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자음과 주 획 모음이 결합된 1차 문자를 포함하는 1차 문자 영역을 상기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 주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입력 위치를 상기 둘 이상의 1차 문자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입력에 상응하는 1차 문자 영역의 1차 문자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1 차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자음과 'ㅡ'가 결합된 1차 문자는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의 왼쪽 또는 오른쪽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표시하고, 선택된 자음과 'ㅣ'가 결합된 1차 문자는 선택된 자음 입력 영역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9.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7항, 제15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117081A 2017-09-13 2017-09-13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2017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081A KR102017943B1 (ko) 2017-09-13 2017-09-13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081A KR102017943B1 (ko) 2017-09-13 2017-09-13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255A true KR20190030255A (ko) 2019-03-22
KR102017943B1 KR102017943B1 (ko) 2019-09-04

Family

ID=6594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081A KR102017943B1 (ko) 2017-09-13 2017-09-13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9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27B1 (ko) 2006-08-04 2006-11-23 주식회사 모비스 터치식 문자입력장치
KR20110103265A (ko) * 2010-03-12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55171A (ko) * 2010-11-23 2012-05-31 권지원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KR20140115060A (ko) * 2013-03-20 2014-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27B1 (ko) 2006-08-04 2006-11-23 주식회사 모비스 터치식 문자입력장치
KR20110103265A (ko) * 2010-03-12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55171A (ko) * 2010-11-23 2012-05-31 권지원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KR20140115060A (ko) * 2013-03-20 2014-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943B1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87889B (zh) 显示器便捷式文本输入和编辑
US9176668B2 (en) User interface for text input and virtual keyboard manipulation
KR102413461B1 (ko) 제스쳐들에 의한 노트 필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9740399B2 (en) Text entry using shapewriting on a touch-sensitive input panel
KR101824855B1 (ko) 가상 페이지 넘기기
US94543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windows
EP2543971B1 (en) A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40189569A1 (en) User interface for text input on three dimensional interface
US20130080979A1 (en) Explicit touch selection and cursor placement
US20150149947A1 (en) Character deletion during keyboard gesture
WO2014116323A1 (en) User interface for text input
CN101382869A (zh) 使用触摸屏输入韩文字符的方法和设备
CN108700996A (zh) 用于多输入管理的系统和方法
US201501239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for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112965B2 (en) Advanced methods and systems for text input error correction
BE1026977B1 (nl) Werkwijze en inrichting en systeem voor het verschaffen van dubbele muis ondersteuning
JP2018068813A (ja) ゲーム方法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2017943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10809794B2 (en) 3D navigation mode
US20200341607A1 (en) Scrolling interface control for computer display
CN115176224A (zh) 文本输入方法、移动设备、头戴式显示设备以及存储介质
KR102065532B1 (ko) 한글 입력용 안구인식 키보드
JP2017174201A (ja) 電子書籍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15704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577138B1 (ko) 3차원 공간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