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835A -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835A
KR20190029835A KR1020170116246A KR20170116246A KR20190029835A KR 20190029835 A KR20190029835 A KR 20190029835A KR 1020170116246 A KR1020170116246 A KR 1020170116246A KR 20170116246 A KR20170116246 A KR 20170116246A KR 20190029835 A KR20190029835 A KR 20190029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electromagnetic wave
bridge
damage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949B1 (ko
Inventor
이지영
김홍삼
유병옥
김인수
배인철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70116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9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11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attenuation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슬래브를 가진 교량에 대하여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단계, 송수신된 전자기파의 세기를 시간에 대하여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전자기파의 에너지 손실에 의하여 전도성 매질 유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전도성 매질 유무에 따라 콘크리트 슬래브의 손상 깊이에 대한 선형회귀 분석에 있어서 비전도성 매질에 따른 전자기파의 감쇠량을 소거하여 선형회귀 분석을 적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The method of damage depth analysis in the bridge by GPR}
본 발명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가진 교량에 있어서 전자기파를 송수신하여 수신되는 전자기파의 감쇠량를 분석하여 교량의 손상 깊이와 콘크리트에 침투한 염화물의 함량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교량의 유지관리 업무에서 가장 심각하게 대두되는 문제 중 하나는 아스팔트 교면포장의 손상과 이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의 열화손상이다. 아스팔트 포장은 평탄성과 주행성이 뛰어나 국내의 교면포장 형식으로 선호되고 있으나, 교면이 양호하게 보이는 경우에도 내부에서는 손상이 광범위하게 발생된 경우가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다. 이렇듯 교면포장이 있는 경우, 포장 내부 슬래브 콘크리트의 상태를 일반 육안점검으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다른 비파괴 점검방법에 의해서도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손상이 발생된 교량 슬래브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먼저 ① 포장층(방수층 포함)을 제거하고 ② 손상된 슬래브 콘크리트를 제거한 뒤, ③ 동종의 콘크리트로 단면을 복구하고 ④ 방수층을 시공한 다음 ⑤ 별도의 교면포장을 실시하는 것이 원칙(단면복구 및 재포장 공사)이다. 그러나, 여러 단계를 거쳐 보수를 실시하는 경우 단계별 시공 및 양생을 위한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며, 보수기간 동안의 교통통제가 불가피하여 이용객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교통량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교면포장과 손상부 콘크리트를 콘크리트계 재료 하나만으로 보수를 실시하는 단일 시공법이 많이 개발되어 실무(교면개량)에 적용되고 있다.(LMC, 초속경 LMC 등)
이러한 콘크리트계 유지보수공법들은 기존에 비해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으나 기존 보수비용에 비해 5배~20배 정도 높은 가격으로 거래가 되므로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의 예산운용에 부담을 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다양한 콘크리트 교량의 손상을 파악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특허 공개공보 제10-2009-82613호에 의하면, PSC 거더 교량으로부터 취득된 가속도 신호 특성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전역적인 손상의 발생을 경보하고, 이후 텐던 정착부에서 취득된 임피던스 신호 특성의 변화로부터 손상의 유형을 판별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가속도계 센서를 이용함과 동시에 임피던스 신호의 입력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가속도 센서의 오차와 임피던스 신호의 정확성의 한계로 인하여 정확하게 손상 위치를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손상의 깊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교량의 전반적인 손상 여부와 그 손상의 위치에 따른 손상의 깊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 손상의 위치와 깊이에 있어서 기존에는 코어 채취 등의 샘플링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나, 코어 채취를 요하지 않고 데이터 분석에 따라 교량의 손상 정도와 깊이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교량에 있어서 교량 슬래브의 손상 정도와 깊이를 비파괴 분석을 통하여 분석할 수 있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량의 비파괴 분석시에 손상 정도와 깊이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슬래브를 가진 교량에 대하여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단계, 송수신된 전자기파의 세기를 시간에 대하여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전자기파의 에너지 손실에 의하여 전도성 매질 유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전도성 매질 유무에 따라 콘크리트 슬래브의 손상 깊이에 대한 선형회귀 분석에 있어서 비전도성 매질에 따른 전자기파의 감쇠량을 소거하여 선형회귀 분석을 적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콘크리트를 전파하는 전자기파의 에너지 손실은 전자기파의 전파 및 회귀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감쇠량과 콘크리트 열화의 원인이 되는 물과 염소이온의 침투로 인한 전도도 변화에 따른 감쇠량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Figure pat00001
은 포장층의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02
는 광속,
Figure pat00003
는 입사 전자기파의 진폭이라 할 때, 슬래브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igure pat00006
는 전도도(S/m),
Figure pat00007
는 각주파수(rad/s),
Figure pat00008
은 유전율(F/m)라 할 때,
Figure pat00009
인 비전도성 매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한 손실탄젠트(감쇠계수)는
Figure pat00010
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igure pat00011
는 전도도(S/m),
Figure pat00012
는 각주파수(rad/s),
Figure pat00013
은 유전율(F/m),
Figure pat00014
는 전파속도(m/s),
Figure pat00015
는 투자율(H/m),
Figure pat00016
는 자유공간에서의 투자율(H/m),
Figure pat00017
는 상대투자율,
Figure pat00018
은 자유공간에서의 유전율(F/m),
Figure pat00019
은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20
는 진공상태에서의 광속(m/s)이며,
Figure pat00021
,
Figure pat00022
라 할 때,
Figure pat00023
인 전도성 매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한 손실탄젠트(감쇠계수)는
Figure pat00024
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손상깊이
Figure pat00025
는 염화물 함량
Figure pat00026
에 대하여 선형회귀 분석에 따라
Figure pat00027
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체의 깊이에 따른 감쇠량을 제거하여 전도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감쇠량
Figure pat00028
는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29
에 대하여 선형회귀 분석에 따라
Figure pat00030
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량의 슬래브를 이루는 콘크리트의 손상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의 변화와 전자기파의 감쇠량은 콘크리트의 손상깊이와 염화물의 함량에 대하여 선형관계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염화물과 관련되어 콘크리트의 손상깊이
Figure pat00031
에 대한 선형회귀에 따른 전자기파의 감쇠량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형회귀에 따른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34
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콘크리트 슬래브를 가진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에 있어서, 염화물에 의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손상깊이는 염화물 함량과 상대유전율의 데이터 표본에 따른 선형회귀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손상깊이, 염화물 함량 및 상대유전율의 데이터 표본에 따른 선형회귀식에 의한 상관관계에 따라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손상깊이와 그에 대한 염화물 함량을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 공개공보 제10-2009-82613호에 따른 콘크리트 손상을 파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에 있어서 교량 표면으로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손상깊이에 대한 염화물 함량의 데이터 표본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에 있어서, 총 발생되는 감쇠량 합계에서 반사체의 깊이에 따른 감쇠량(감쇠량①)을 제거하여 전도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감쇠량(감쇠량②)을 구한 결과에 대한 콘크리트 손상깊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반사체의 깊이에 따른 감쇠량(감쇠량①)을 제거하여 전도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감쇠량(감쇠량②)과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콘크리트의 손상깊이에 대한 감쇠량(감쇠량②)과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의 데이터 표본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에 의하면, 교량의 표면 상에 전자기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자기파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상태에서 송수신되는 전자기파의 진폭 세기에 따른 계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여기서,
Figure pat00037
은 반사계수,
Figure pat00038
은 매질의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39
는 입사 전자기파의 진폭(강판으로부터의 반사파의 진폭),
Figure pat00040
는 공기/콘크리트 경계면에서의 반사파 진폭이다.
한편,
Figure pat00041
은 포장층의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42
는 광속,
Figure pat00043
는 입사 전자기파의 진폭이라 할 때, 슬래브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44
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45
한편, 콘크리트 슬래브와 같이 약전도성을 갖는 매질에서의 전자기파의 속도와 손실탄젠트(즉, 감쇠계수)는 다음 식(1)과 식(2)와 같이 간소화할 수 있다.
즉,
Figure pat00046
인 비전도성 매질의 경우
Figure pat00047
......(1)
Figure pat00048
.........(2)
여기서
Figure pat00049
는 전도도(S/m),
Figure pat00050
는 각주파수(rad/s),
Figure pat00051
은 유전율(F/m),
Figure pat00052
는 전파속도(m/s),
Figure pat00053
는 투자율(H/m),
Figure pat00054
는 자유공간에서의 투자율(H/m),
Figure pat00055
는 상대투자율,
Figure pat00056
은 자유공간에서의 유전율(F/m),
Figure pat00057
은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58
는 진공상태에서의 광속(m/s),
Figure pat00059
는 손실탄젠트이며,
Figure pat00060
,
Figure pat00061
이다.
교량 슬래브를 구성하고 있는 콘크리트는 동종의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타설하여 시공되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균질한 매질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슬래브 콘크리트는 동일한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62
과 전도도
Figure pat00063
를 가지게 되므로 손실탄젠트
Figure pat00064
는 상수값
Figure pat00065
가 된다. 다시 말하면, 슬래브가 건전한 경우에, 전자기파의 감쇠는 콘크리트 내를 전파하는 시간(깊이)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가지는 것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이때, 비전도성 매질인 콘크리트에서 전도도는 무시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 배합에 사용되는 골재(굵은골재와 잔골재) 및 결합재(시멘트, 실리카품, 고로슬래그 등)의 종류와 배합비(재료의 구성비)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유전율은 전자파의 속도와 손실계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계수로, 전파손실은 해당 콘크리트에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해안가 또는 동절기 제설염화물의 살포가 이루어지는 콘크리트는 내부 철근의 부식손상을 유발하는 염소이온의 침투가 예상되며, 그에 따라 염소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활발할수록) 콘크리트의 전도성은 높아지며, 이러한 콘크리트를 통과하는 전자기파의 에너지 손실(감쇠)는 커지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를 전파하는 전자기파의 속도 및 손실탄젠트는 다음 식(3) 및 식(4)와 같다.
즉,
Figure pat00066
인 전도성 매질의 경우
Figure pat00067
......(3)
Figure pat00068
......(4)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콘크리트를 전파하는 전자기파의 에너지 손실은 전자기파의 전파 및 회귀 시간(수신파의 전달시간 또는 반사체의 깊이)에 따라 발생하는 감쇠량(감쇠량①)과 콘크리트 열화의 원인이 되는 물과 염소이온의 침투로 인한 전도도 변화에 따른 감쇠량(감쇠량②)으로 구분된다.
한편, 본 발명자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교량의 주부재 중에서 슬래브 콘크리트의 손상 발생 여부는 교면포장과 콘크리트 슬래브 구체 사이에 발생하는 들뜸과 방수기능의 손상에 의해 판단되고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상깊이는 상부철근의 피복 콘크리트에 침투한 염화물 함량과 밀접한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면포장과 콘크리트 슬래브 구체 사이에 발생하는 들뜸과 방수기능의 손상의 경우, 교면포장과 슬래브 콘크리트의 들뜸이 발생하면 공기층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우수가 유입되면 체수가 발생한다. 이때 동결융해를 겪은 콘크리트는 열화되어 공극율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은 표준값에 비해 커지거나 작아지게 된다. 한편,
상부철근의 피복 콘크리트에 침투한 염화물에 의한 손상의 경우 염화물 함량이 많은 곳은 물과 염소이온이 침투한 곳으로 콘크리트의 전도도가 높아지게 되며 전자기파의 감쇠는 반사체의 깊이에 따른 감쇠량에 비해 커지게 된다. 식(2)를 이용하면 총 발생되는 감쇠량 합계에서 반사체의 깊이에 따른 감쇠량(감쇠량①)을 제거하여 전도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감쇠량(감쇠량②)을 구한 결과에 대하여 콘크리트 손상깊이와 비교한 결과는 도 4와 같다.
콘크리트의 손상깊이
Figure pat00069
는 염화물 함량
Figure pat00070
에 대하여 선형회귀 분석에 따라
Figure pat00071
로 주어짐을 알게 되었다. 이 때, 반사체의 깊이에 따른 감쇠량(감쇠량①)을 제거하여 전도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감쇠량(감쇠량②)과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과의 관계는 도 5와 같이 나타났다. 즉, 반사체의 깊이에 따른 감쇠량(감쇠량①)을 제거하여 전도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감쇠량(감쇠량②)
Figure pat00072
는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73
에 대하여 선형회귀 분석에 따라
Figure pat00074
로 주어짐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에 의한 실험 결과에 있어서, 교량의 슬래브를 이루는 콘크리트의 손상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 변화와 전자기파의 감쇠량은 콘크리트의 손상깊이와 염화물 함량과 정량적인 관계에 있음이 밝혀졌다.
그에 따른 콘크리트의 손상깊이에 대한 감쇠량과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의 데이터 표본은 도 6과 같이 주어짐을 알 수 있다. 도 6의 데이터 표본에 있어서, 염화물과 관련되어 콘크리트의 손상깊이
Figure pat00075
에 대한 선형회귀에 따른 감쇠량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로 주어지며, 선형회귀에 따른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78
로 주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손상깊이, 염화물 함량 및 상대유전율의 데이터 표본에 따른 선형회귀식에 의한 상관관계에 따라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손상깊이와 그에 대한 염화물 함량을 분석할 수 있다.

Claims (18)

  1. 콘크리트 슬래브를 가진 교량에 대하여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단계;
    송수신된 전자기파의 세기를 시간에 대하여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전자기파의 에너지 손실에 의하여 전도성 매질 유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전도성 매질 유무에 따라 콘크리트 슬래브의 손상 깊이에 대한 선형회귀 분석에 있어서 비전도성 매질에 따른 전자기파의 감쇠량을 소거하여 선형회귀 분석을 적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를 전파하는 전자기파의 에너지 손실은 전자기파의 전파 및 회귀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감쇠량과 콘크리트 열화의 원인이 되는 물과 염소이온의 침투로 인한 전도도 변화에 따른 감쇠량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Figure pat00079
    은 포장층의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80
    는 광속,
    Figure pat00081
    는 입사 전자기파의 진폭이라 할 때, 슬래브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82

    Figure pat00083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Figure pat00084
    는 전도도(S/m),
    Figure pat00085
    는 각주파수(rad/s),
    Figure pat00086
    은 유전율(F/m)라 할 때,
    Figure pat00087
    인 비전도성 매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한 손실탄젠트(감쇠계수)는
    Figure pat00088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Figure pat00089
    는 전도도(S/m),
    Figure pat00090
    는 각주파수(rad/s),
    Figure pat00091
    은 유전율(F/m),
    Figure pat00092
    는 전파속도(m/s),
    Figure pat00093
    는 투자율(H/m),
    Figure pat00094
    는 자유공간에서의 투자율(H/m),
    Figure pat00095
    는 상대투자율,
    Figure pat00096
    은 자유공간에서의 유전율(F/m),
    Figure pat00097
    은 상대유전율,
    Figure pat00098
    는 진공상태에서의 광속(m/s)이며,
    Figure pat00099
    ,
    Figure pat00100
    라 할 때,
    Figure pat00101
    인 전도성 매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한 손실탄젠트(감쇠계수)는
    Figure pat00102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손상깊이
    Figure pat00103
    는 염화물 함량
    Figure pat00104
    에 대하여 선형회귀 분석에 따라
    Figure pat00105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사체의 깊이에 따른 감쇠량을 제거하여 전도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감쇠량
    Figure pat00106
    는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
    Figure pat00107
    에 대하여 선형회귀 분석에 따라
    Figure pat00108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교량의 슬래브를 이루는 콘크리트의 손상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의 변화와 전자기파의 감쇠량은 콘크리트의 손상깊이와 염화물 함량에 대하여 선형관계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염화물과 관련되어 콘크리트의 손상깊이
    Figure pat00109
    에 대한 선형회귀에 따른 전자기파의 감쇠량
    Figure pat00110
    Figure pat00111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선형회귀에 따른 상대유전율
    Figure pat00112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손상깊이에 대한 염화물 함량의 데이터 표본과 관련하여 염화물과 관련된 콘크리트의 손상깊이
    Figure pat00113
    에 대한 선형회귀에 따른 염화물 함량
    Figure pat00114
    Figure pat00115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12. 콘크리트 슬래브를 가진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에 있어서,
    염화물에 의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손상깊이는 염화물 함량과 상대유전율의 데이터 표본에 따른 선형회귀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손상깊이
    Figure pat00116
    는 염화물 함량
    Figure pat00117
    에 대하여 선형회귀 분석에 따라
    Figure pat00118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반사체의 깊이에 따른 감쇠량을 제거하여 전도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감쇠량
    Figure pat00119
    는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
    Figure pat00120
    에 대하여 선형회귀 분석에 따라
    Figure pat00121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교량의 슬래브를 이루는 콘크리트의 손상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상대유전율의 변화와 전자기파의 감쇠량은 콘크리트의 손상깊이와 염화물 함량에 대하여 선형관계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염화물과 관련되어 콘크리트의 손상깊이
    Figure pat00122
    에 대한 선형회귀에 따른 전자기파의 감쇠량
    Figure pat00123
    Figure pat00124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선형회귀에 따른 상대유전율
    Figure pat00125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손상깊이에 대한 염화물 함량의 데이터 표본과 관련하여 염화물과 관련된 콘크리트의 손상깊이
    Figure pat00126
    에 대한 선형회귀에 따른 염화물 함량
    Figure pat00127
    Figure pat00128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KR1020170116246A 2017-09-12 2017-09-12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KR101962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246A KR101962949B1 (ko) 2017-09-12 2017-09-12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246A KR101962949B1 (ko) 2017-09-12 2017-09-12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835A true KR20190029835A (ko) 2019-03-21
KR101962949B1 KR101962949B1 (ko) 2019-03-28

Family

ID=6590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246A KR101962949B1 (ko) 2017-09-12 2017-09-12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9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0208A (zh) * 2021-08-11 2021-11-12 中国人民解放军海军航空大学青岛校区 一种海洋环境下含涂层金属结构腐蚀损伤多尺度仿真方法
CN114018698A (zh) * 2021-10-20 2022-02-08 北京卫星制造厂有限公司 一种利用可控加工损伤测算复合材料本征强度的方法
KR102516411B1 (ko) * 2022-12-27 2023-03-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상투과레이더를 활용한 교량상판 내부체수를 계측하는 방법 및 이의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157B1 (ko) * 2021-01-12 2021-07-30 (주)콘텍이엔지 교량 슬래브 검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4941A (ja) * 2005-02-04 2006-08-17 Kri Inc コンクリート含有成分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JP2010014472A (ja) * 2008-07-02 2010-01-21 Shogo Tanaka 非破壊検査装置、非破壊検査システム及び非破壊検査用車両
KR100972563B1 (ko) * 2009-08-14 2010-07-28 한국도로공사 유전율을 이용한 교량 슬래브의 상태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KR101136295B1 (ko) * 2011-09-14 2012-04-19 한국도로공사 교량 슬래브의 상태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4941A (ja) * 2005-02-04 2006-08-17 Kri Inc コンクリート含有成分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JP2010014472A (ja) * 2008-07-02 2010-01-21 Shogo Tanaka 非破壊検査装置、非破壊検査システム及び非破壊検査用車両
KR100972563B1 (ko) * 2009-08-14 2010-07-28 한국도로공사 유전율을 이용한 교량 슬래브의 상태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KR101136295B1 (ko) * 2011-09-14 2012-04-19 한국도로공사 교량 슬래브의 상태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0208A (zh) * 2021-08-11 2021-11-12 中国人民解放军海军航空大学青岛校区 一种海洋环境下含涂层金属结构腐蚀损伤多尺度仿真方法
CN113640208B (zh) * 2021-08-11 2024-04-26 中国人民解放军海军航空大学青岛校区 一种海洋环境下含涂层金属结构腐蚀损伤多尺度仿真方法
CN114018698A (zh) * 2021-10-20 2022-02-08 北京卫星制造厂有限公司 一种利用可控加工损伤测算复合材料本征强度的方法
CN114018698B (zh) * 2021-10-20 2024-03-15 北京卫星制造厂有限公司 一种利用可控加工损伤测算复合材料本征强度的方法
KR102516411B1 (ko) * 2022-12-27 2023-03-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상투과레이더를 활용한 교량상판 내부체수를 계측하는 방법 및 이의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949B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949B1 (ko) 전자기파를 이용한 교량의 손상깊이 분석 방법
Sbartaï et al. Using radar direct wave for concrete condition assessment: Correlation with electrical resistivity
Verma et al. Review of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s for condition monitoring of concrete structures
Sbartaï et al. Ability of the direct wave of radar ground-coupled antenna for NDT of concrete structures
Rhee et al. Evaluation of the depth of deteriorations in concrete bridge decks with asphalt overlays using air-coupled GPR: A case study from a pilot bridge on Korean expressway
JP2010014472A (ja) 非破壊検査装置、非破壊検査システム及び非破壊検査用車両
KR100972563B1 (ko) 유전율을 이용한 교량 슬래브의 상태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Glinicki et al. Diagnosis of ASR damage in highway pavement after 15 years of service in wet-freeze climate region
Mitchell et al. An evaluation of millimeter-wave radar sensing for civil infrastructure
Rhee et al. Seasonal variation and age-related changes in the relative permittivity of concrete bridge decks on Korea expressways
Kang et al. Rapid damage assessment of concrete bridge deck leveraging an automated double-sided bounce system
Rhazi et al. Non destructive health evaluation of concrete bridge decks by GPR and half cell potential techniques
JP6614889B2 (ja) Aeを利用した床版劣化範囲あるいは床版劣化状況の検知方法
Bachiri et al. Bridge deck condition assessment by using GPR: a review
Rhee et al.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radar signal attenuation depending on concrete condition of bare bridge deck
Gucunski et al. Complementary impact echo and ground penetrating radar evaluation of bridge decks on I-84 interchange in Connecticut
Arndt et al. MONITORING OF REINFORCED CONCRETE CORROSION AND DETERIORATION BY PERIODIC MULTI‐SENSOR NON‐DESTRUCTIVE EVALUATION
Ervin et al. Estimation of general corrosion damage to steel reinforced mortar using frequency sweeps of guided mechanical waves
Azari et al. Performance of concrete bridge decks of similar construction and environment, but different traffic loads
Shamsudin et al. Concrete delaminations location and its severity detection by visual inspection and ground penetrating radar
Di Graziano et al. Using non-destructive test to validate and calibrate smart sensors for urban pavement monitoring
Qiao et al. Material property assessment and crack identification of recycled concrete with embedded smart cement modules
Grantham Diagnosis, inspection, testing and repair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Marrocchino et al. Case study on the mineralogical and petrophysical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slabs of a highway viaduct of the SGC Orte-Ravenna
Amos et al. Bridge deck assessment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