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328A -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328A
KR20190029328A KR1020170116731A KR20170116731A KR20190029328A KR 20190029328 A KR20190029328 A KR 20190029328A KR 1020170116731 A KR1020170116731 A KR 1020170116731A KR 20170116731 A KR20170116731 A KR 20170116731A KR 20190029328 A KR20190029328 A KR 20190029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4k2a
protein
expression
gene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047B1 (ko
Inventor
남도현
신용재
사경하
김미숙
이예리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70116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047B1/ko
Priority to PCT/KR2018/010679 priority patent/WO2019054744A1/ko
Publication of KR2019002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는 in vivo RNAi 스크리닝 기법을 통해 도출되어, 암 치료에 유용한 새로운 타겟이 될 수 있어 암 진단, 치료 및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 및 그의 용도{Tumor suppressor gene PIP4K2A and uses thereof}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신경교종(glioma)은 원발성 뇌종양(primary brain tumor)의 60%를 차지하는 종양으로서, 발생빈도가 높고 치료가 어려워서, 현재까지도 방사선 치료 외엔 특별한 치료법이 없는 악성 종양이다. 교모세포종은 전체 뇌종양의 12~15%를 차지하고, 뇌 교종의 50~60%를 차지하는 뇌에 발생하는 단일 종양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종양이다. 또한, 뇌압이 급속히 상승하여 두통(아침에 심함), 메슥거림(오심), 구토, 경련, 뇌 부종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저하, 사지 운동 또는 감각 저하, 얼굴마비, 언어장애, 인지기능 저하, 좌-우 구분장애 등의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교모세포종(glioblastoma, GBM)의 경우, 다른 암과 비교하였을때 방사선 및 항암제 치료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높아 일단 진단되면 기대 생존기간이 단 1년에 불과하다. 또한 이와 같은 뇌종양의 경우, 뇌혈관 장벽이 있어 치료를 위한 약물의 전달이 쉽지 않다. 특히 상대적으로 뇌신경 생물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그에 대한 치료제 개발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더욱이, 교모세포종은 다른 뇌종양과 비교해볼 때 공격적 변이(aggressive variant)를 나타내어, 이를 빠른 시일 내에 치료하지 않으면 몇 주 이내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교모세포종이 발병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는, 환자의 유전적, 생리적 및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교모세포종의 진행수준에 맞추어, 화학적 요법, 방사선 요법, 외과적 요법, 면역세포치료법 등의 다양한 치료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는 내성 변이주의 발생, 종양줄기세포에 의한 재발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한계에 다다른 상황이므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양상은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 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PIP4K2A 유전자 또는 단백질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포함하는 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PIP4K2A를 이용한 암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PIP4K2A를 이용한 암 치료제 후보물질을 스크리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PIP4K2A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증가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PIP4K2A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증가제는 PIP4K2A 단백질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치료하다(treat)"는 질병을 앓거나 또는 질병을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게, 상기 개체의 상태(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증상)의 개선, 질병 진행의 지연, 증상 발생의 지연 또는 증상 진행의 둔화 등을 포함한 효과를 제공하는 임의의 형태의 치료 또는 예방을 의미한다. 따라서, 용어 "치료(treatment)"는 또한 증상의 발생을 예방하는 개체의 예방적 치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치료(treatment)" 및 "예방(prevention)"은 증상의 치유 또는 완전한 제거를 의미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들은 환자의 상태(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증상)의 개선, 질병의 진행의 지연 등을 포함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효과를 제공하는 임의의 형태의 치료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치료적 유효량(treatment-effective amount)"은 교모세포종과 같은 암에 걸린 환자에서, 환자의 상태(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증상)의 개선, 질병의 진행의 지연 등을 포함한 원하는 효과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암은 교모세포종, 뇌척수종양, 두경부암, 폐암, 유방암, 흉선종, 식도암, 취암, 대장암, 간암, 췌장암, 담도암, 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고환암, 생식세포종,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 내막암, 림프종, 급성 백혈병, 만성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육종, 악성 흑색종 또는 피부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IP4K2는 PTEN이 결실된 암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암은 PTEN이 결실된 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모세포종은 전통적(classical) 교모세포종, 전신경(proneural) 교모세포종, 신경(neural) 교모세포종, 간엽(mesenchymal) 교모세포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아형(subtype)인 것일 수 있다.
상기 PIP4K2A((Phosphatidylinositol-5-phosphate 4-kinase type-2 alpha) 단백질 또는 그의 단편은 천연형 또는 재조합 PIP4K2A 단백질 또는 이들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생리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말한다. 실질적으로 동등한 생리 활성을 갖는 단백질에는 천연형/재조합 PIP4K2A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과 그 기능적 동등물(functional equivalent) 및 기능적 유도체(functional derivative)가 포함된다.
상기 "기능적 동등물"에는 천연형 단백질 아미노산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되거나, 아미노산의 일부가 결실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 변형체로서 천연형 PIP4K2A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을 말한다. 상기 "기능적 유도체"는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변형을 가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으로서 천연형 PIP4K2A 단백질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생리 활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PIP4K2A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은 포유동물로부터 유래된 것일수 있으며, 상기 포유동물은 인간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PIP4K2A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한, 상기 PIP4K2A의 활성 단편은 서열번호 2 내지 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IP4K2A 유전자의 발현 증가제는 PIP4K2A 단백질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또는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세포일 수 있다.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는 단일가닥 또는 이중가닥 형태로 존재하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이다. RNA 게놈 서열, DNA(gDNA 및 cDNA) 및 이로부터 전사되는 RNA 서열을 포괄하며, 특별하게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천연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PIP4K2A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뿐만 아니라, 그 서열에 상보적인(complementary) 서열도 포함한다. 상기 상보적인 서열은 완벽하게 상보적인 서열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서열도 포함하며,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엄격 조건(stringent conditions) 하에서, 예를 들어, 상기 융합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혼성화될 수 있는 서열을 의미한다.
용어 "벡터(vector)"는 숙주 세포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및 박테리오파지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렌티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와 같은 바이러스 벡터를 포함한다. 상기 재조합 벡터로 사용될 수 있는 벡터는 예를 들면, pSC101, pGV1106, pACYC177, ColE1, pKT230, pME290, pBR322, pUC8/9, pUC6, pBD9, pHC79, pIJ61, pLAFR1, pHV14, pGEX 시리즈, pET 시리즈 및 pUC19 등과 같은 당업계에서 종종 사용되는 플라스미드, λgt4λB, λ-Charon, λΔz1 및 M13 등과 같은 파지 또는 SV40 등과 같은 바이러스를 조작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에서 상기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프로모터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용어 "작동적으로 연결된(operatively linked)"은 프로모터 서열과 같은 뉴클레오티드 발현 조절 서열과 다른 뉴클레오티드 서열 사이의 기능적인 결합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상기 조절 서열은 상기 다른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전사 및/또는 해독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숙주 세포 내에서 안정적으로 상기 PIP4K2A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발현용 벡터일 수 있다. 상기 발현용 벡터는 당업계에서 식물, 동물 또는 미생물에서 외래의 단백질을 발현하는 데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원핵 세포 또는 진핵 세포를 숙주로 하여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벡터가 발현 벡터이고, 원핵 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전사를 진행시킬 수 있는 강력한 프로모터 (예를 들어, pLλ프로모터, trp 프로모터, lac 프로모터, tac 프로모터, T7 프로모터 등), 해독의 개시를 위한 리보좀 결합 자리 및 전사/해독 종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진핵 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벡터에 포함되는 진핵 세포에서 작동하는 복제원점은 f1 복제원점, SV40 복제원점, pMB1 복제원점, 아데노 복제원점, AAV 복제원점 및 BBV 복제원점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유동물 세포의 게놈으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예를 들어, 메탈로티오닌 프로모터) 또는 포유동물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예를 들어, 아데노바이러스 후기 프로모터, 백시니아 바이러스 7.5K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프로모터 및 HSV의 tk프로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전사 종결 서열로서 폴리아데닐화 서열을 일반적으로 갖는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세포 투과 펩티드가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그의 활성 단편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세포 투과 펩티드는 양이온성 세포 투과 펩티드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세포 투과 펩티드는 아르기닌, 라이신 및 히스티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전체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70% 이상, 80% 이상, 예를 들면, 70 내지 90%, 또는 70 내지 90%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 투과 펩티드는 아미노산은 체내에서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L-형 또는 D-형으로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포 투과펩티드는 아르기닌, 라이신, 및 히스티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10 내지 40 아미노산 잔기의 길이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포 투과 펩티드는 TAT(서열번호 6: YGRKKRRQRRR), 페너트라틴(Penetratin; 서열번호 7:RQIKIWFQNRRMKWKK), 폴리아르기닌(polyarginine)(서열번호 8:RRRRRRR), 폴리라이신(polylysine)(서열번호 9:KKKKKKKKKK), LMWP(low molecular weight protamine; 서열번호 10: VSRRRRRRGGRRRR), 프로타민(protamine) 절편 및 안테나페디아(Antennapedia, ANT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다면 전술한 펩티드 이외의 다른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사체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인 항암제와 병용 투여 될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예를 들면, 표적항암제 일 수 있다. 표적항암제는 특정 암세포에만 많이 나타나는 특정 단백질이나 특정 유전자 변화를 표적으로 암의 성장과 발생에 관여하는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항암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은 PI3K의 p85와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은 p85와 p110의 분해를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표적 기관에 특이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표적 기관 특이적 항체 또는 기타 리간드를 상기 담체와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해 기술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국소, 비경구, 비 내, 정맥 내, 근육 내, 피하, 안 내, 경피 등의 투여를 목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사 가능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특히 처리될 영역으로는 직접적인 주입을 위하여 주사 가능한 조성물을 위한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매개체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등장 멸균 용액 또는 멸균수 또는 적절한 생리 식염수의 첨가에 따라 주사 가능한 용액의 조성을 가능케 하는 동결건조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의 종양으로의 직접적인 주입은 치료 효율을 감염된 조직에 집중시키도록 하므로 유리하다. 사용되는 투여량은 다양한 파라미터, 특히 단백질, 유전자, 벡터, 사용되는 투여 방식, 문제시되는 질병 또는 대안적으로 요구되는 치료기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은 약 0.0001 내지 10 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 mg/kg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PIP4K2A를 이용한 암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진단"이란 생물학적 시료 또는 조직 샘플에서 본 발명의 PIP4K2A 단백질 및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존재 또는 부재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과 관련된 질환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실험군으로서 피검체 유래 시료에서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을 정상 대조군의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우, 암에 걸릴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진단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단백질 또는 유전자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PIP4K2A 단백질의 활성은 항체를 통해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PIP4K2A 유전자의 발현은 상기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mRNA 발현수준 측정"이란 암을 진단하기 위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암 마커 유전자의 mRNA 존재 여부와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mRNA 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이를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RT-PCR, 경쟁적 RT-PCR (Competitive RT-PCR), 실시간 RT-PCR (Real-tim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 (RPA; RNase protection assay), 노던 블랏팅 (Northern blotting), DNA 칩 등이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 수준 측정"이란 암을 진단하기 위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암 마커 유전자에서 발현된 단백질의 존재 여부와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상기 유전자의 단백질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단백질의 양을 확인한다. 이를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웨스턴 블랏,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ay), 방사선면역분석 (RIA: Radioimmunoassay), 방사면역확산법 (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 (Ouchterlony) 면역 확산법, 로케트 (rocket)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고정분석법 (Complement Fixation Assay), FACS, 단백질 칩 (protein chip)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양상은 후보물질을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에 처리하는 단계;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물질을 무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을 증가시킨 후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제 후보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 수준의 측정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후보 화합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펩티드, 단백질, 비펩티드성 화합물, 합성 화합물, 발효 생산물, 세포 추출물, 식물 추출물, 또는 동물 조직 추출물 일 수 있으며, 신규한 물질뿐 아니라 널리 알려진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후보물질의 처리는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가 발현된 세포에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포는 상기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로 형질 전환된 세포일 수 있으며, 이러한 형질 전환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상기 유전자의 발현 정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현에 따른 단백질의 양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항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표적 단백질에 특이적이고 검출 가능한 표지에 연결된 제2항체를 첨가할 수 있으며, 검출은 또한 제2항체를 첨가한 후, 제2항체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가지며, 검출 가능한 표지에 연결된 제3항체를 첨가할 수도 있다. 제 2항체 또는 제3항체에 검출될 수 있는 표지는 적절한 발색성 기질과 배양시 발색을 나타내는 효소가 사용될 수 있다. 검출 가능한 부분은 분광학적, 효소적, 광화학적, 생화학적, 생체전자공학적, 면역화학적, 전기적, 광학적 또는 화학적 수단으로 검출가능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형광 마커 및 염료, 자성 표지, 연결된 효소, 질량 분광 태그, 스핀 표지, 전자 전달 공여자 및 수용자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보 화합물을 처리한 세포에서의 상기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후보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한 경우, 상기 후보 화합물은 암 치료제로서 선별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빠른 시간에 상기 메카니즘에 관여하는 치료제를 선별하고, 이를 입증하는 실험을 통하여 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용한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는 in vivo RNAi 스크리닝 기법을 통해 도출되어, 암 치료에 유용한 새로운 타겟이 될 수 있어 암 진단, 치료 및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양 억제 유전자를 스크리닝 하기 위해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세포를 이용한 in vivo RNAi 스크리닝 기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A: 암 억제유전자 후보자중 가장 높게 증폭된 유전자 후보를 선별하는 도면이다; B: GBM1 종양에 투입되 증폭된 shRNA 후보 중 PIP4K2A 유전자가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 3개의 뇌종양 환자유래세포와 LN428이란 세포중 PIP4K2A shRNA의 유전자 증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D: 3개의 뇌종양 환자유래세포에서 증폭된 shRNA후보중 PIP4K2A 유전자 shRNA가 공통적으로 모든 세포에서 증폭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A: Oncomine dataset을 이용하여 교모세포종 환자와 정상 뇌조직에서 PIP4K2A 발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B 및 C: Phillips data set (mRNA)과 TCGA dataset CNA에서 PIP4K2A 발현 또는 복제수(copy number)가 낮은 환자군에서 생존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D: RNAseq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세포와 정상 신경전구세포 (neural progenitor cell: NPC)에서 PIP4K2A의 발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교모세포종 환자조직(Tissue microarrays)에서 Immunohistochemistry(IHC)를 이용한 PIP4K2A의 발현을 확인한 도면이다; A: TissueFAX를 통해 각 환자 조직의 종양 부분과 종양이 아닌 부분에서 PIP4K2A의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한 도면이다; B: 도면 A에서 측정한 PIP4K2A 단백질의 발현량을 정량화 한 도면이다; C: 대표적으로 202환자의 조직에서 종양부분과 종양이 아닌 부분에서 PIP4K2A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한 도면이다; D: 68개의 환자 조직에서 종양과 조양이 아닌 부분에서 PIP4K2A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한 도면이다.
도 4는,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세포에서 PIP4K2A를 과발현 시켜 세포성장과 줄기세포성(stemness)가 유의성 있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한 도면이다; A: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세포에서 PIP4K2A를 과발현 시킨 후 세포성장을 비교한 결과 PIP4K2A가 과발현 된 세포에서 세포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B: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세포에서 PIP4K2A를 과발현 시킨 후 줄기세포성을 비교한 결과 PIP4K2A 유전자가 과발현 된 세포에서는 줄기세포성 특징이 억제 되는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C: 도면 B에서 측정된 줄기세포성을 수치화해 비교한 결과이다; D: 도면 C에서 나타난 줄기세포성 수치화 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이다 .
도 5은,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동물모델(in vivo competition assay)를 이용하여 PIP4K2A를 과발현시 암 성장이 유의성 있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한 도면이다. A: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세포에 PIP4K2A를 과발현 시킨 세포는 빨간색으로, 그렇지 아니한 세포는 초록색으로 만들어서 동물모델에 1:1로 injection한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B: 웨스턴블롯을 이용해 PIP4K2A 단백질 과발현 실험을 한 결과를 기재한 도면이다; C: 동물모델 실험 후 얻은 종양세포 색깔을 비교한 결과 PIP4K2A 유전자가 과발현 되지 않은 세포 (초록색)의 분포가 더 많은 것을 확인한 도면이다; D: 도면 C에서 나온 결과를 정량 하여 측정한 도면이다; E: 동물모델에서 나온 조직의 직접 색깔을 비교한 결과 PIP4K2A를 과발현 시키지 않은 세포 (초록색)의 분포가 더 높은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F: 도면 E에서 나온 결과에 대한 동물모델 조직에서 세포의 분포를 확인한 도면이다.
도 6은,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세포에 PIP4K2A를 과발현 시 AKT, S6K의 인산화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A: 면역 형광 어세이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B: 웨스턴 블롯팅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C: 웨스턴 블롯팅 결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세포에 PIP4K2A를 과발현 시 PI3K의 regulatory (p85)와 catalytic (p110) subunit의 발현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한 도면이다; A: 웨스턴 블롯팅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B: 웨스턴 블롯팅 결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C: 면역형광 어세이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A: 프로테아좀 억제제인 MG-132를 이용하여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세포에서 p85 발현감소는 단순히 발현 감소가 아니라 단백질 분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B 내지 E는 p85의 shRNA, Cbl의 shRNA, 또는 MG-132를 이용하여 PIP4K2A 과발현으로 인한 p85 분해는 cbl 의존적임을 상대적 세포의 수(B)와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9은,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동물모델과 PIK3CA activating mutations (E545K) 를 이용하여 PIP4K2A가 동물모델에서 암 성장을 저해 하는 것을 상대적 세포의 수(A)와 생존일 수(B), 및 조직 검사(C)로 확인한 도면이다.
도 10은, 교모세포종 환자조직(Tissue microarrays)에서 Immunohistochemistry(IHC)를 이용하여 PIP4K2A의 발현에 따른 PI3K의 regulatory (p85)와 catalytic (p110) subunit의 발현을 확인한 도면(A)이다; B: 68명의 교모세포종 환자 조직에서 PIP4K2A의 발현에 따른 PI3K의 regulatory (p85)와 catalytic (p110) subunit의 발현을 수치화 한 도면이다.
도 11은, PIP4K2A가 PI3K의 regulatory (p85)와 catalytic (p110) subunit의 분해를 촉진하는 현상은 특징적으로 PTEN유전자가 delete된 교모세포종 환자유래에서만 발견되는 것을 검증한 결과이며, PTEN유전자가 wild-type인 교모세포종에서는 PIP4K2A를 발현하여도 AKT, S6K의 인산화와 p85, p110의 단백질 변화가 없음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12는, 공동 면역침강법(co-Immunoprecipitation)을 사용하여 PIP4K2A가 p85가 결합하며 PTEN이 이러한 결합을 방해(A 및 B)하며, TCGA dataset (copy number)에서 PTEN 이 없으면서 PIP4K2A 발현이 높은 환자는 PTEN 이 없으면서 PIP4K2A 발현이 적은 환자군보다 생존율이 높음을 보임(C)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PIP4K2A의 mimic TAT-peptide(A)가 PI3K의 regulatory (p85) subunit에 결합하여 분해를 촉진함을 웨스턴 블랏팅을 통해 나타낸 도면(B)이다.
도 14는, 도 13의 PIP4K2A mimic TAT-peptide를 이용하여 세포성장과 AKT의 인산화를 저해하는 것을 규명한 도면이다: A: PIP4K2A의 mimic TAT-peptide를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세포에 투입한 결과 p85, pAKT, pS6K의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면역형광을 통해 검증한 도면이다; B: pAKT 단백질의 감소를 웨스턴 블랏팅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C: 펩티드가 세포성장 및 줄기세포성 특징을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D: 펩티드가 세포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수치화한 도면이다.
도 15는, A: 교모세포종 환자 중 PIP4K2A 유전자의 발현이 낮은 환자군과 높은 환자군의 Gene Set Enrichment Analysis (GSEA) 분석을 통하여 EGFR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PIP4K2A 발현이 낮은 환자군에서 더 높게 나오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B, C: 교모세포종 환자에서 PIP4K2A 유전자와 EGFR 유전자의 상관분석 결과를 확인한 도면이다.
도 16은, A: 교모세포종 환자의 4가지 Subtype에서의 PIP4K2A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한 결과 Classical 환자그룹에서 제일 낮게 발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B: 교모세포종 환자에서 PIP4K2A 발현과 Classical subtype의 점수의 상관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C: 교모세포종 환자에서 PIP4K2A유전자 발현량이 높은 환자군과 낮은 환자군의 전제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하였을 경우, Classical subtype 점수가 PIP4K2A 발현이 적은 환자군에서 높게 나온 것을 확인한 도면이다; D: 교모세포종 환자에서 PIP4K2A와 발현이 Classical 점수와 반대로 나오는 상관분석을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교모세포종 환자의 4가지 Subtype에서의 PIP4K2B 유전자의 발현이 Subtype과 상관이 없다는 것 나타낸 도면이다; A: 교모세포종 환자의 4가지 Subtype에서 PIP4K2B의 유전자의 RNA 발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B: 교모세포종 환자의 4가지 Subtype에서 PIP4K2B의 유전자의 DNA 발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in vivo RNAi 스크리닝 기법을 통한 신규 종양 억제 유전자 선별
신규 종양 억제 유전자를 선별하기 위해, in vivo RNAi 스크리닝 기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Public database에서 교모세포종 환자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23개의 암억제유전자 후보를 선택을 하여 이에 대한 RNAi pool을 제작 하였다. 제작된 pool을 다종류의 뇌종양 환자유래세포에 투입을 하였고, 투입된 세포를 in vivo 마우스 모델에서 injection을 하여 종양모델에서의 shRNA 증폭성을 비교하였다. 이후에, 가장 증폭이 높은 shRNA을 통해 신규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를 선별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규 종양 억제 후보자로서, PIP4K2A 및 MXI1을 선별하였고, 이후의 실험에서 PIP4K2A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 교모세포종 환자 유래 세포에서의 PIP4K2A의 발현 분석
교모세포종 환자 유래 세포에서 PIP4K2A의 발현을 분석하기 위해, Oncomine dataset, Philips data set, TCGA dataset CNA, 및 RNA seq data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Public database에서 나온 PIP4K2A의 유전자의 발현량이 수치화 되어 있어 이것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PIP4K2A의 발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추가적으로, IHC 방법을 통해 PIP4K2A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환자 조직에서 PIP4K2A 타겟 하는 항체를 통해 그 항체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PIP4K2A의 발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PIP4K2A의 과발현과, 세포성장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IP4K2A 유전자 서열이 들어간 vector를 제작한 후, 이것을 직접 세포에 투입하여 각 세포에서의 PIP4K2A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세포성장은 PIP4K2A 유전자 서열이 들어간 vector를 투입한 후 5~7일 내에 세포를 배양한 후 ATPLite란 물질을 사용 하여 세포의 성장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P4K2A 발현 또는 복제수가 낮은 환자군에서 생존율이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세포와 정상 신경전구세포 (neural progenitor cell: NPC)에서 PIP4K2A 발현을 나타내며 환자 암세포에서 발현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P4K2A의 발현이 암조직에서 정상 조직보다 발현이 유의성 있게 적게 나타났으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P4K2A를 과발현 시킨 결과, 세포성장과 줄기세포성(stemness)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PIP4K2A는 종양 억제 유전자로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교모세포종 환자 유래 세포에서의 PIP4K2A의 과발현을 통한 작용 메카니즘 분석
교모세포종 환자 유래 세포에서의 PIP4K2A의 과발현시 나타나는 현상을 웨스턴 블랏팅과 IHC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웨스턴 블랏팅 과 IHC 방법은 세포의 단백질을 축척한 후 PIP4K2A 유전자를 타겟 하는 항체를 사용하여 PIP4K2A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6 내지 8, 도 10, 및 도 11 및 12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P4K2A를 과발현 시에, AKT, 및 S6K의 인산화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P4K2A를 과발현 시에, PI3K의 regulatory (p85)와 catalytic (p110) subunit의 발현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p85의 발현 감소가 단순 발현 감소가 아니라, 단백질에 분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PIP4K2A 과발현으로 인한 p85의 분해는 cbl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P4K2A의 발현이 높은 환자 조직에서는 p85와 p110 단백질 레벨이 줄어들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P4K2A가 PI3K의 regulatory (p85)와 catalytic (p110) subunit의 분해를 촉진하지만 일부 교모세포종 환자유래에 PIP4K2A를 발현하여도 AKT, S6K의 인산화와 p85, p110의 단백질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P4K2A와 p85가 결합하며 PTEN이 이러한 결합을 방해하여, PTEN이 없으면서 PIP4K2A 발현이 높은 환자는 PTEN이 없으면서 PIP4K2A 발현이 적은 환자군 보다 생존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동물모델에서의 PIP4K2A의 과발현을 통한 암성장 저해능 확인
동물모델에서의 PIP4K2A의 과발현을 통한 암성장 저해능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동물 모델은 intracranial injection으로 직접 마우스의 뇌에 세포를 투입하는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PIP4K2A를 과발현 시키기 위해 앞에서와 같이 PIP4K2A 서열이 들어간 벡터를 세포에 투입한 후에 세포를 직접 마우스 뇌에 투입하는 방법을 수행하였다. 이후에 마우스의 생존율 기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암 세포 정장 저해능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5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동물모델(in vivo competition assay)을 이용하여 PIP4K2A를 과발현 시 암 성장이 유의성 있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활성 단편과 세포 투과 펩티드를 이용한 암 성장 저해능 확인
PIP4K2A의 활성 단편으로서 서열번호 2 내지 5를 이용하였고, 세포 투과 펩티드로서, TAT를 사용하였다.
이후에, 이들을 교모세포종 환자 유래 세포에 처리하여, 이들이 p85 subunit과 결합하는 여부와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앞에서와 같이 PIP4K2A나 p85 subunit을 타겟 하는 항체를 사용하여 그 결과 나타나는 발현량을 측정한 방법으로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P4K2A의 mimic TAT-peptide가 PI3K의 regulatory (p85) subunit에 결합하여 분해를 촉진하며, 세포성장과 AKT의 인산화를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교모세포종 환자에서의 PIP4K2A 유전자 발현 분석
교모세포종 환자에서 실제적으로 PIP4K2A의 유전자 발현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GSEA 분석을 PIP4K2A RNA 발현량을 측정하여 GSEA에서 사용되는 algorithm을 통해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또한, 교모세포종 환자의 4가지 서브타입에서 PIP4K2A의 발현 분석을 기존에 TCGA에서 기재된 교모세포종 환자의 서브타입을 정하여 각 그룹의 환자에서 발현되는 PIP4K2A 발현량 은 이미 TCGA에서 기재된 유전자의 수치화 된 발현량을 같고 비교하여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EGFR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PIP4K2A 발현이 낮은 환자군에서 더 높게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6 및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모세포종 환자에서 PIP4K2A유전자 발현량이 높은 환자군과 낮은 환자군의 전제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하였을 경우, Classical 아형 점수가 PIP4K2A 발현이 적은 환자군에서 높게 나온 것을 확인하였고, 교모세포종 환자의 4가지 아형에서의 PIP4K2B 유전자의 발현이 아형과 상관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10>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120> Tumor suppressor gene PIP4K2A and uses thereof <130> PN119066 <160> 10 <170> KopatentIn 2.0 <210> 1 <211> 406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Met Ala Thr Pro Gly Asn Leu Gly Ser Ser Val Leu Ala Ser Lys Thr 1 5 10 15 Lys Thr Lys Lys Lys His Phe Val Ala Gln Lys Val Lys Leu Phe Arg 20 25 30 Ala Ser Asp Pro Leu Leu Ser Val Leu Met Trp Gly Val Asn His Ser 35 40 45 Ile Asn Glu Leu Ser His Val Gln Ile Pro Val Met Leu Met Pro Asp 50 55 60 Asp Phe Lys Ala Tyr Ser Lys Ile Lys Val Asp Asn His Leu Phe Asn 65 70 75 80 Lys Glu Asn Met Pro Ser His Phe Lys Phe Lys Glu Tyr Cys Pro Met 85 90 95 Val Phe Arg Asn Leu Arg Glu Arg Phe Gly Ile Asp Asp Gln Asp Phe 100 105 110 Gln Asn Ser Leu Thr Arg Ser Ala Pro Leu Pro Asn Asp Ser Gln Ala 115 120 125 Arg Ser Gly Ala Arg Phe His Thr Ser Tyr Asp Lys Arg Tyr Ile Ile 130 135 140 Lys Thr Ile Thr Ser Glu Asp Val Ala Glu Met His Asn Ile Leu Lys 145 150 155 160 Lys Tyr His Gln Tyr Ile Val Glu Cys His Gly Ile Thr Leu Leu Pro 165 170 175 Gln Phe Leu Gly Met Tyr Arg Leu Asn Val Asp Gly Val Glu Ile Tyr 180 185 190 Val Ile Val Thr Arg Asn Val Phe Ser His Arg Leu Ser Val Tyr Arg 195 200 205 Lys Tyr Asp Leu Lys Gly Ser Thr Val Ala Arg Glu Ala Ser Asp Lys 210 215 220 Glu Lys Ala Lys Glu Leu Pro Thr Leu Lys Asp Asn Asp Phe Ile Asn 225 230 235 240 Glu Gly Gln Lys Ile Tyr Ile Asp Asp Asn Asn Lys Lys Val Phe Leu 245 250 255 Glu Lys Leu Lys Lys Asp Val Glu Phe Leu Ala Gln Leu Lys Leu Met 260 265 270 Asp Tyr Ser Leu Leu Val Gly Ile His Asp Val Glu Arg Ala Glu Gln 275 280 285 Glu Glu Val Glu Cys Glu Glu Asn Asp Gly Glu Glu Glu Gly Glu Ser 290 295 300 Asp Gly Thr His Pro Val Gly Thr Pro Pro Asp Ser Pro Gly Asn Thr 305 310 315 320 Leu Asn Ser Ser Pro Pro Leu Ala Pro Gly Glu Phe Asp Pro Asn Ile 325 330 335 Asp Val Tyr Gly Ile Lys Cys His Glu Asn Ser Pro Arg Lys Glu Val 340 345 350 Tyr Phe Met Ala Ile Ile Asp Ile Leu Thr His Tyr Asp Ala Lys Lys 355 360 365 Lys Ala Ala His Ala Ala Lys Thr Val Lys His Gly Ala Gly Ala Glu 370 375 380 Ile Ser Thr Val Asn Pro Glu Gln Tyr Ser Lys Arg Phe Leu Asp Phe 385 390 395 400 Ile Gly His Ile Leu Thr 405 <210> 2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ragments of PIP4K2A <400> 2 Gly Ser Ser Val Leu Ala Ser Lys Thr Lys Thr Lys Lys Lys His Phe 1 5 10 15 Val Ala Gln Lys Val 20 <210> 3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ragments of PIP4K2A <400> 3 Thr His Pro Val Gly Thr Pro Pro Asp Ser Pro Gly Asn Thr Leu Asn 1 5 10 15 Ser Ser Pro Pro Leu 20 <210> 4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ragments of PIP4K2A <400> 4 Val Glu Arg Ala Glu Gln Glu Glu Val Glu Cys Pro Leu Ala Pro Gly 1 5 10 15 Glu Phe <210> 5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ragments of PIP4K2A <400> 5 Lys Val Asp Asn His Leu Phe Asn Lys Glu Asn 1 5 10 <210> 6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TAT <400> 6 Tyr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1 5 10 <210> 7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Penetratin <400> 7 Arg Gln Ile Lys Ile Trp Phe Gln Asn Arg Arg Met Lys Trp Lys Lys 1 5 10 15 <210> 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polyarginine <400> 8 Arg Arg Arg Arg Arg Arg Arg 1 5 <210> 9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polylysine <400> 9 Lys Lys Lys Lys Lys Lys Lys Lys Lys Lys 1 5 10 <210> 10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LMWP(low molecular weight protamine) <400> 10 Val Ser Arg Arg Arg Arg Arg Arg Gly Gly Arg Arg Arg Arg 1 5 10

Claims (13)

  1. PIP4K2A(Phosphatidylinositol-5-phosphate 4-kinase type-2 alpha) 단백질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IP4K2A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 단편은 서열번호 2 내지 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세포 투과 펩티드가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그의 활성 단편에 연결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포 투과 펩티드는 TAT(서열번호 6: YGRKKRRQRRR), 페너트라틴(Penetratin; 서열번호 7:RQIKIWFQNRRMKWKK), 폴리아르기닌(polyarginine)(서열번호 8:RRRRRRR), 폴리라이신(polylysine)(서열번호 9:KKKKKKKKKK), LMWP(low molecular weight protamine; 서열번호 10: VSRRRRRRGGRRRR), 프로타민(protamine) 절편 및 안테나페디아(Antennapedia, ANT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은 교모세포종 또는 PTEN(Prime Time Entertainment Network)이 결실된 암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교모세포종은 전통적(classical) 교모세포종, 전신경(proneural) 교모세포종, 신경(neural) 교모세포종, 중간엽(mesenchymal) 교모세포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아형(subtype)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적인 항암제와 병용 투여 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은 PI3K의 p85와 결합하여 p85와 p110의 분해를 촉진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0. PIP4K2A(Phosphatidylinositol-5-phosphate 4-kinase type-2 alpha) 단백질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또는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선형 DNA, 플라스미드 DNA 또는 재조합 바이러스성 벡터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실험군으로서 피검체 유래 시료에서 PIP4K2A(Phosphatidylinositol-5-phosphate 4-kinase type-2 alpha)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을 정상 대조군의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우, 암에 걸릴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진단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단백질 또는 유전자 검출 방법.
  13. 후보물질을 PIP4K2A(Phosphatidylinositol-5-phosphate 4-kinase type-2 alpha) 단백질 또는 유전자에 처리하는 단계;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물질을 무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기 PIP4K2A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을 증가시킨 후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제 후보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20170116731A 2017-09-12 2017-09-12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 및 그의 용도 KR10214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731A KR102146047B1 (ko) 2017-09-12 2017-09-12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 및 그의 용도
PCT/KR2018/010679 WO2019054744A1 (ko) 2017-09-12 2018-09-12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731A KR102146047B1 (ko) 2017-09-12 2017-09-12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328A true KR20190029328A (ko) 2019-03-20
KR102146047B1 KR102146047B1 (ko) 2020-08-19

Family

ID=6572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731A KR102146047B1 (ko) 2017-09-12 2017-09-12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6047B1 (ko)
WO (1) WO20190547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359A1 (ko) * 2021-11-30 2023-06-08 광주과학기술원 Pip4k2c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32737C (en) * 2008-07-24 2019-03-05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Cancer peptide therapeutic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ebank NP_005019.2(2017.07.10.)* *
Lima et al., Atlas of Genetics and Cytogenentics in Oncology and Haematology, 2016, 20(7), pp.380-384 (201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359A1 (ko) * 2021-11-30 2023-06-08 광주과학기술원 Pip4k2c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4744A1 (ko) 2019-03-21
KR102146047B1 (ko)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081586T3 (en) RSPONDINES AS MODULATORS OF ANGIOGENESE AND VASCULOGENESES
Nieto-Sampedro et al. Inhibitors of glioma growth that reveal the tumour to the immune system
AU2003237347A1 (en) Treatment of cell proliferative disorders with chlorotoxin
JP6523910B2 (ja) 腫瘍幹細胞におけるeph受容体発現
Yang et al. Suppression of TRPM7 Inhibited Hypoxia‐Induced Migration and Invasion of Androgen‐Independent Prostate Cancer Cells by Enhancing RACK1‐Mediated Degradation of HIF‐1α
CN112168969B (zh) Ddit4l及其功能小肽对胶质母细胞瘤的抑制作用
Yehezkely et al. Intracellular role for the matrix-modifying enzyme lox in regulating transcription factor subcellular localization and activity in muscle regeneration
Wang et al. Cancer‐derived IgG involved in cisplatin resistance through PTP‐BAS/Src/PDK1/AKT signaling pathway
CN113769063B (zh) 一种多肽ptpr在制备肿瘤免疫治疗药物中的应用
US11628206B2 (en) Method for inhibiting STAT3 activity comprising administering Ssu72
Yin Pericyte-derived heme-binding protein 1 promotes angiogenesis and improves erectile function in diabetic mice
CN111850126B (zh) 溶瘤病毒在葡萄膜黑色素瘤治疗上的应用、治疗效果的标记物及其检测试剂
KR102146047B1 (ko) 종양 억제 유전자 pip4k2a 및 그의 용도
US10889819B2 (en) Visceral adipose tissue macrophage-targeted gene/carrier complex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induced type II diabetes
US7638489B2 (en) Modulation of angiogenesis by Bartonella henselae
CN115381949A (zh) 靶向抑制色素上皮衍生因子在促进肝脏再生及改善肝损伤中的应用
KR20170020696A (ko) Fgf12를 이용한 혈관 평활근세포 증식성 질환의 진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99471A (ko) Ptk7 단백질의 기능 저해를 통한 세포의 이동, 침윤 또는 혈관신생 억제제
KR101774465B1 (ko) 암 치료 표적 Sirt2 및 그를 사용하여 암 치료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CN111148752A (zh) 肽衍生物和包含其的药物组合物
CN111139299B (zh) Josd2蛋白在制备治疗恶性肿瘤药物中的应用
CN109022462B (zh) 一种PTEN基因的上游开放阅读框31aa-uORF核苷酸及其编码的多肽的应用
Guo REGULATION OF RIBOSOME BIOGENESIS AND
US10201610B2 (en) Interference peptides and use thereof
US6558912B1 (en) NRAGE nucleic acids and polypeptides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