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185A - 투영 장치 및 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투영 장치 및 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185A
KR20190028185A KR1020170115318A KR20170115318A KR20190028185A KR 20190028185 A KR20190028185 A KR 20190028185A KR 1020170115318 A KR1020170115318 A KR 1020170115318A KR 20170115318 A KR20170115318 A KR 20170115318A KR 20190028185 A KR20190028185 A KR 20190028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lay lens
led
lens
optic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택
김진호
최현우
윤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to KR102017011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8185A/ko
Publication of KR2019002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5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색보정 및 밝기 유지가 가능한 프로젝터에 연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는, LED를 구비하고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광학계; 조명광학계로부터 조명광을 수신하여 이미지 소자로 전달하고 상기 이미지 소자로부터 이미지광을 수신하여 투사 광학계로 전달하는 광경로 변환부; 복수의 사각 형상의 마이크로렌즈로 구성되고, 크로스톡 광을 제공하는 플라이아이렌즈; 상기 크로스톡 광을 수신하는 광검출소자; 및 상기 광검출소자가 수신하는 크로스톡 광을 분석하여 조명광학계의 LED의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투영 장치 및 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제공 방법{PROJECTION DEVICE AND IMAGE PROVIDING METHOD BY USING IT}
영상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미지 제공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자동차의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에 있어서 색 보정 및 밝기 유지가 가능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기술은 최근 들어 주행 중 정보 습득을 위한 운전자의 시각적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차 산업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미 HUD 기술이 탑재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으며 국내 주요 자동차제조사, 전장품 개발사 등 산업계와 관련 연구기관에서 기술개발과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는 운전자의 시각적 주의 분산을 최소화하고 빠른 정보 획득을 가능케 하는 장점이 있으나 아직까지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에 다양한 정보를 왜곡 없이 출력하기 위한 기술적 한계와 자동차 안전 관련 법제도적인 문제 등으로 인하여 본격적인 산업 활성화는 아직 미진한 상황이다.
한국 등록특허 10-1659898호 (공고일자 2016년09월30일)는 광검출소자를 포함하는 프로젝터를 제시한다. 조명광학계의 렌즈 각도에 의한 전반사를 활용하여 광검출소자로 광을 전달하는 내용에 관한 발명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각 형상의 마이크로렌즈를 구비한 플라이아이렌즈로부터 크로스톡 광을 수신하는 광검출소자; 및 상기 광검출소자가 수신하는 크로스톡 광을 분석하고, 조명광학계의 LED의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제어하여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색 및 밝기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가 개시된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플라이아이렌즈와 제1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1 릴레이렌즈와 제2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2 릴레이렌즈와 프리즘 사이 및 상기 프리즘과 이미지 소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프로젝터도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LED를 구비하고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광학계; 조명광학계로부터 조명광을 수신하여 이미지 소자로 전달하고 상기 이미지 소자로부터 이미지광을 수신하여 투사 광학계로 전달하는 광경로 변환부; 복수의 사각 형상의 마이크로렌즈로 구성되고, 크로스톡 광을 제공하는 플라이아이렌즈; 상기 크로스톡 광을 수신하는 광검출소자; 및 상기 광검출소자가 수신하는 크로스톡 광을 분석하여 조명광학계의 LED의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가 개시된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LED는 적색 LED, 녹색 LED 및 청색 LED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적색 LED, 녹색 LED 및 청색 LED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제어하는 프로젝터가 개시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플라이아이렌즈와 제1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1 릴레이렌즈와 제2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2 릴레이렌즈와 프리즘 사이 및 상기 프리즘과 반사식 이미지 소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플라이아이렌즈와 제3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3 릴레이렌즈와 폴드미러 사이, 상기 폴드미러와 필드렌즈 사이 및 상기 필드렌즈와 반사식 이미지 소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소자는, LCD, GLV, SOM, DMD 및 AMA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프로젝터가 개시된다.
일측에 따르면 조명광학계가 LED를 구비하고 조명광을 제공하는 단계; 광경로 변환부가 조명광학계로부터 조명광을 수신하여 이미지 소자로 전달하고 상기 이미지 소자로부터 이미지광을 수신하여 투사 광학계로 전달하는 단계; 플라이아이렌즈가 복수의 사각 형상의 마이크로렌즈로 구성되고, 크로스톡 광을 제공하는 단계; 광검출소자가 상기 크로스톡 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광검출소자가 수신하는 크로스톡 광을 분석하여 조명광학계의 상기 LED의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LED는 적색 LED, 녹색 LED 및 청색 LED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LED의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제어하는 단계는, 적색 LED, 녹색 LED 및 청색 LED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제어하는 이미지 제공 방법도 개시된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플라이아이렌즈와 제1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1 릴레이렌즈와 제2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2 릴레이렌즈와 프리즘 사이 및 상기 프리즘과 반사식 이미지 소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이미지 제공 방법도 가능하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플라이아이렌즈와 제3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3 릴레이렌즈와 폴드미러 사이, 상기 폴드미러와 필드렌즈 사이 및 상기 필드렌즈와 반사식 이미지 소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이미지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소자는, LCD, GLV, SOM, DMD 및 AMA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이미지 제공 방법도 제시된다.
도 1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식 프로젝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b는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식 프로젝터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아이렌즈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도시한다.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아이렌즈를 수직이 아닌 각도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도시한다.
도 3는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식 프로젝터에 광검출소자가 배치되는 위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필드렌즈식 프로젝터에 광검출소자가 배치되는 위치를 도시한다.
도 5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아이렌즈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도시한다.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아이렌즈에 수직이 아닌 각도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식 프로젝터의 구성을 도시한다. 프리즘식 프로젝터(10)는 조명광학계(100), 광경로 변환부(200), 이미지 소자(300), 투사광학계(4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광학계(100)는 프로젝터로부터 이미지 생성에 필요한 조명광을 생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3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3개의 LED는 적색 LED(111), 녹색 LED(112) 및 청색 LED(113)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개의 LED(111, 112, 113)의 전방에는 각 LED로부터 출광하는 빛을 수렴시키기 위한 콜리메이션 렌즈부(121, 122, 123)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부는 2매의 렌즈가 쌍을 이루어 각 LED로부터 출광되는 빛을 다이크로익 필터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다이크로익 필터부(130)는 두 장의 다이크로익 미러(131, 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다이크로익 미러를 제1 다이크로익 미러(13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132)라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는 서로 교차 배치된다. 예시적으로 제1 다이크로익 미러(131)는 적색광을 반사하며 녹색광 및 청색광은 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다이크로익 미러(132)는 청색광을 반사하며 적색광 및 녹색광을 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LED로부터 출광되는 빛은 다이크로익 필터부(130)를 통해 합성되며, 플라이아이 렌즈(140)로 입사된다. 상기 플라이아이 렌즈(140)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로 형성되며, 복수의 LED로부터 방출되는 조명광의 조도를 균일하게 만든다. 또한 상기 플라이아이 렌즈(140)의 마이크로 렌즈는 이미지 소자로 사용되는 DMD의 사각 미러에 사각 형상의 광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라이아이 렌즈(140)를 통과한 사각 형상의 광프로파일을 갖는 조명광은 광경로상의 후단에 위치하는 릴레이 렌즈를 통하여 광경로 변환부(200)로 입사된다.
광경로 변환부(200)는 한장의 릴레이 렌즈와 전반사면을 구비한 하나의 삼각 프리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명광학계(100)로부터 입사되는 조명광의 경로를 순서대로 살펴보면, 조명광은 먼저 조명광학계(100)의 광축(Z1)을 따라 릴레이 렌즈로 입사되고 릴레이 렌즈를 통해 삼각 프리즘의 전반사면(221)을 통해 반사식 이미지 소자(300)로 입사되고 난 후, 이미지 소자(300)로부터 반사된 이미지 광은 삼각 프리즘의 이미지광 입사면으로 입사된 후 삼각 프리즘의 전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이미지광 출사면을 통해 투사광학계(400)로 입사될 수 있다. 여기서 반사식 이미지 소자는 예시적으로 DMD 이미지 소자 또는 반사식 LCD의 이미지 소자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미지 소자(300)로부터 생성된 이미지 광을 투사 광학계(400)의 광축 Z2에
평행하게 입사하기 위해 이미지 소자(300)가 온 상태일 때, 조명광이 이미지 소자(300)로 입사되도록 프리즘의 재질에 따른 굴절율을 고려하여 릴레이 렌즈의 경사도를 조절한다.
투사 광학계(400)는 상기 이미지 소자(300)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광축Z2의 최종 경로에 있는 스크린(미도시)에 투사한다.
복수의 LED로부터 출광되는 빛이 광축 Z1 및 Z2를 따라 이동하면서 일련의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빛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여 크로스톡(Cross Talk) 광이 발생하는 위치에 광검출소자를 위치시킨다. 도 1a에서는 예시적으로 조명광학계에 포함되는 제1 릴레이 렌즈와 광경로 변환부에 포함되는 제2 릴레이 렌즈 사이에 광검출소자를 위시키신다. 상기 광검출소자는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크로스톡 광을 제어부로 전달한다.
광검출소자는 수광 센서를 이용하여 크로스톡 광을 직접 검출할 수 있으며, 도 1b에서와 같이 반사 미러를 더 포함하여 크로스톡 광의 경로를 변환하여 검출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라 반사 미러를 더 포함하는 경우는 도 1b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광검출소자는 광경로상에 발생하는 크로스톡 광을 검출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크로스톡 광을 전달받아 분석하여 색을 보정하고 밝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로스톡 광은 전체 광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유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크로스톡 광을 분석함으로써 스크린에 투사되는 이미지의 색 및 밝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상기 크로스톡 광을 분석하여 색 및 밝기를 파악하고, 의도하는 색과 밝기로 스크린에 투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LED의 밝기를 조절한다. 즉, 제어부(600)는 적색 LED, 청색 LED 및 녹색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b는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식 프로젝터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a와 마찬가지로, 프리즘식 프로젝터(10)는 조명광학계(100), 광경로 변환부(200), 이미지 소자(300), 투사광학계(4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식 프로젝터(10)는 광검출소자가 크로스톡 광을 검출하는 것은 동일하나, 특정 위치에 반사 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서는 광검출소자가 직접 크로스톡 광을 수신하여 검출하였으나, 도 1b에서는 상기 크로스톡 광의 이동 경로에 반사 미러를 위치시킨 후, 반사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크로스톡 광을 검출한다. 상기 반사 미러를 이용하여 광검출소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아이렌즈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도시한다.
이상적인 경우, 플라이아이렌즈(140)에 광이 수직으로 입사하기 때문에 모든 광은 이미지 소자(예시적으로, DMD일 수 있다)로 투사된다. 또한 플라이아이렌즈(140)에 수직으로 입사하기 때문에 크로스톡 광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이상적인 경우에 한정되며, 실제로는 플라이아이렌즈(140)에 광이 수직으로 입사하지 않기 때문에 크로스톡 광이 발생하게 된다. 크로스톡 광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2b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아이렌즈(140)를 수직이 아닌 각도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도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제의 경우, 플라이아이렌즈(140)에 광이 수직으로 입사하지 못한다. 따라서 플라이아이렌즈를 통과하는 빛이 모두 이미지 소자(DMD)로 투사되는 것은 아니며, 크로스톡 광(700)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크로스톡 광(700)은 전체 광 경로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며, 수직으로 입사되지 못한 일부 광이 다른 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톡 광은 이미지 소자(DMD)로 투사되는 빛과 정확하게 동일한 빛이며, 단지 방향이 적절하지 않은 방향으로 굴절되는 광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크로스톡 광을 이용하면 정확한 색과 밝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LED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색 보정 및 밝기 유지가 가능하다.
도 3는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식 프로젝터에 광검출소자가 배치되는 위치를 도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검출소자는 조명광학계(100) 내부, 광경로 변환부 내부 또는 이미지 소자(3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플라이아이렌즈와 제1 릴레이렌즈 사이(510)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1 릴레이렌즈와 제2 릴레이렌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릴레이렌즈와 프리즘 사이, 상기 프리즘과 이미지 소자 사이(540)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시되는 위치는 예시적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렌즈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광검출소자가 위치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상기 광검출소자를 배치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시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에 광검출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시되는 위치에 광검출소자가 직접 배치되지 않고 반사미러를 배치하여 외부에 배치되는 광검출소자로 크로스톡 광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필드렌즈식 프로젝터에 광검출소자가 배치되는 위치를 도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필드렌즈식 프로젝터(20)는 조명광학계(21)는 복수의 LED(210, 211, 212) 및 다이크로익 필터(213)를 포함할 수 있다. LED로부터 출광되는 빛은 다이크로익 필터(213)를 거쳐 복수의 렌즈부(214)를 통해 색 및 밝기가 균일하게 된다. 색 및 밝기가 균일화된 빛(P1)은 반사미러(215)에서 반사되어 광 변조기(22)로 입사되고, 상기 광 변조기(22)는 입사되는 빛을 투사하려는 영상으로 변조하여 투사 광학계(23)로 전달한다. 반사 미러(215)에서 반사되는 빛은 광 변조기(22)로 입사되기 전에 필드렌즈(216)에 의해 집광될 수 있다. 상기 필드렌즈(216)는 상기 반사미러(215)에서 반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광 변조기(22)로 입사시킨다.
투사광학계(23)는 복수의 렌즈 및 조리개(2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리개(230)는 스크린(24)에 투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필드렌즈식 프로젝터의 경우에도 다양한 위치에 광검출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광검출소자는 플라이아이렌즈와 릴레이렌즈 사이(550), 상기 릴레이렌즈와 폴드미러 사이(56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드미러와 필드렌즈 사이 또는 상기 폴드미러와 투사계렌즈 사이(57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필드렌즈와 이미지소자 사이(580)에도 광검출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크로스톡 광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아이렌즈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도시한다.
조명이 플라이아이렌즈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경우(조명 입사각=0도)에는 상기 플라이아이렌즈를 통과하더라도 굴절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사한 그대로 투과하여 출광된다. 그러나 플라이아이렌즈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광은 이상적인 경우에만 가능하며, 실제로는 정확하게 조명 입사각이 0도가 되지 않기 때문에 크로스톡 광이 발생한다. 크로스톡 광이 발생하는 경우는 도 5b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아이렌즈에 수직이 아닌 각도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도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조명이 플라이아이렌즈에 수직이 아닌 각도로 입사하는 경우(조명 입사각≠0도)에는 상기 플라이아이렌즈를 통과하는 경우에 굴절이 발생한다. 따라서 입사한 광은 꺾여서 출광되며, 이 때 크로스톡 광이 발생한다. 도 5b에서 길게 표시되는 빛은 플라이아이렌즈를 통과하여 다소 꺾이더라도, 이미지 소자로 투사되는 빛이다. 반면에 가장 우측의 짧게 표시되는 광의 경우 이미지 소자로 투사되지 못하며 크로스톡 광에 해당하게 된다.
상기 크로스톡 광은 빛의 이동 경로가 변함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게 되는 빛이며, 이미지 소자로 투사되는 빛과 성질이 동일하다. 즉, 이미지 소자로 투사되는 빛과 크로스톡 광은 색과 밝기가 동일한 빛이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톡 광을 분석하는 경우에 정확한 색보정 및 밝기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복수의 사각 형상의 마이크로렌즈를 구비한 플라이아이렌즈로부터 크로스톡 광을 수신하는 광검출소자; 및
    상기 광검출소자가 수신하는 크로스톡 광을 분석하고, 조명광학계의 LED의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제어하여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색 및 밝기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플라이아이렌즈와 제1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1 릴레이렌즈와 제2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2 릴레이렌즈와 프리즘 사이 및 상기 프리즘과 이미지 소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프로젝터
  3. LED를 구비하고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광학계;
    조명광학계로부터 조명광을 수신하여 이미지 소자로 전달하고 상기 이미지 소자로부터 이미지광을 수신하여 투사 광학계로 전달하는 광경로 변환부;
    복수의 사각 형상의 마이크로렌즈로 구성되고, 크로스톡 광을 제공하는 플라이아이렌즈;
    상기 크로스톡 광을 수신하는 광검출소자; 및
    상기 광검출소자가 수신하는 크로스톡 광을 분석하여 조명광학계의 LED의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적색 LED, 녹색 LED 및 청색 LED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색 LED, 녹색 LED 및 청색 LED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제어하는 프로젝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플라이아이렌즈와 제1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1 릴레이렌즈와 제2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2 릴레이렌즈와 프리즘 사이 및 상기 프리즘과 이미지 소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프로젝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플라이아이렌즈와 제3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3 릴레이렌즈와 폴드미러 사이, 상기 폴드미러와 필드렌즈 사이 및 상기 필드렌즈와 반사식 이미지 소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프로젝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소자는,
    LCD, GLV, SOM, DMD 및 AMA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프로젝터.
  8. 조명광학계가 LED를 구비하고 조명광을 제공하는 단계;
    광경로 변환부가 조명광학계로부터 조명광을 수신하여 이미지 소자로 전달하고 상기 이미지 소자로부터 이미지광을 수신하여 투사 광학계로 전달하는 단계;
    플라이아이렌즈가 복수의 사각 형상의 마이크로렌즈로 구성되고, 크로스톡 광을 제공하는 단계;
    광검출소자가 상기 크로스톡 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광검출소자가 수신하는 크로스톡 광을 분석하여 조명광학계의 상기 LED의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적색 LED, 녹색 LED 및 청색 LED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LED의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제어하는 단계는, 적색 LED, 녹색 LED 및 청색 LED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제어하는 이미지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플라이아이렌즈와 제1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1 릴레이렌즈와 제2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2 릴레이렌즈와 프리즘 사이 및 상기 프리즘과 반사식 이미지 소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이미지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플라이아이렌즈와 제3 릴레이렌즈 사이, 상기 제3 릴레이렌즈와 폴드미러 사이, 상기 폴드미러와 필드렌즈 사이 및 상기 필드렌즈와 반사식 이미지 소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이미지 제공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소자는,
    LCD, GLV, SOM, DMD 및 AMA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이미지 제공 방법.
KR1020170115318A 2017-09-08 2017-09-08 투영 장치 및 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제공 방법 KR20190028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318A KR20190028185A (ko) 2017-09-08 2017-09-08 투영 장치 및 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318A KR20190028185A (ko) 2017-09-08 2017-09-08 투영 장치 및 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185A true KR20190028185A (ko) 2019-03-18

Family

ID=6594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318A KR20190028185A (ko) 2017-09-08 2017-09-08 투영 장치 및 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81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308A (ko) * 2021-06-07 2022-12-15 한국광기술원 노광장치의 광학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898B1 (ko) 2015-12-04 2016-09-30 주식회사 세코닉스 광검출소자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898B1 (ko) 2015-12-04 2016-09-30 주식회사 세코닉스 광검출소자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308A (ko) * 2021-06-07 2022-12-15 한국광기술원 노광장치의 광학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4157B2 (en) 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KR102370002B1 (ko) Tir 프리즘을 포함하는 dmd 프로젝터
JPH1090795A (ja) 画像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焦点合わせ方法
US8287140B2 (en) Projector having a shiftable mounted lens
US8277057B2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CN108873327B (zh) 头戴式显示装置
TWI452341B (zh) 立體顯示裝置
US20180217490A1 (en) 3d projection system
WO2020166268A1 (ja) 虚像表示装置
JP5217630B2 (ja) プロジェクタ及び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KR20190028185A (ko) 투영 장치 및 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제공 방법
US20230388460A1 (en) Digital display system and method
US7216991B2 (en) Lighting unit and projector including the same
JP7287394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90106976A (ko) 영상 투사 장치
EP4078290B1 (en)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adjustable angle illumination using lens decentration
JP2016057363A (ja) 投影装置
KR102022599B1 (ko) 영상 투사 장치
EP16130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contrast in a projection system
JP2003021868A (ja) 投射型表示装置
WO2019039619A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230393452A1 (en)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fold mirror and integrating rod adjustment
US7458688B2 (en) Prism
KR20190020900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220307821A1 (en) Detection apparatus, detection method, and spatial projec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