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171A -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 - Google Patents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171A
KR20190028171A KR1020170115290A KR20170115290A KR20190028171A KR 20190028171 A KR20190028171 A KR 20190028171A KR 1020170115290 A KR1020170115290 A KR 1020170115290A KR 20170115290 A KR20170115290 A KR 20170115290A KR 20190028171 A KR20190028171 A KR 20190028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current
power
voltage
resistive
phas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현진
오학수
이현도
노국왕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주)토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즈테크 filed Critical (주)토즈테크
Priority to KR1020170115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8171A/ko
Priority to US16/117,716 priority patent/US10742009B2/en
Publication of KR20190028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01Measuring real or reactive component; Measuring apparent energy
    • G01R21/002Measuring real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01R31/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6Boxe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8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3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3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 H02H3/3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27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pulse modulation
    • G01R21/1271Measuring real or reactive component, measuring apparent ener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14Housing or casing lateral walls containing guiding grooves or special mounting facil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8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abnormal product of, or abnormal phase angle between, voltage and current, e.g. directional rela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3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for energy 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입전원선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각각의 부하로 연결되는 분기전원으로서 분배하여 공급하는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 누설전류에서 저항성 누설전류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추출하고, 그 추출결과에 따라 누전차단과 경보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은 상기 분기차단기에 연결되는 분기선로에서 합성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영상변류기와, 상기 분기선로에서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영상변류기의 합성누설전류와 상기 전압검출부의 전압을 이용해 전력을 연산하는 전력연산부와, 상기 전력연산부의 전력 성분을 이용해 위상차를 연산하는 위상차연산부와, 상기 위상차연산부의 위상차를 이용해 상기 영상변류기의 합성 누설전류에서 저항성 누설전류를 추출하는 저항성 누설전류 추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항성 누설전류 검출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력연산부는 상기 영상변류기의 합성누설전류의 (-)성분과 상기 전압검출부의 전압의 (-)성분을 각각 (+)성분으로 반전시킨 후에 곱하여 피상전력을 연산하고, 상기 영상변류기의 합성누설전류의 (-)성분과 상기 전압검출부의 전압의 (-)성분을 제거시킨 후에 곱하여 유효전력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Power distribution box equipped with leakage resistance type current detector}
본 발명은 인입전원선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각각의 부하로 연결되는 분기전원으로서 분배하여 공급하는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 누설전류에서 저항성 누설전류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추출하고, 그 추출결과에 따라 누전차단과 경보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건물로 인입되는 전기는 분전함을 통하여 옥내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는데, 배전반으로부터 소정의 전력공급을 받는 분전함은 옥내배선에 있어서 간선으로부터 각 분기회로로 갈라지는 곳에 각 분기회로마다의 스위치를 설치해 놓아 주택이나 빌딩 내의 각 사무실, 공장 등의 전등, 전열, 동력부하 등 각종 부하에 맞게 전력을 배분 및 차단하여 주는 장치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1486호 "분전반용 메인차단기", 등록특허 제10-1090558호 "분전반", 등록특허 제10-0779233호 "분전반"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전함은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인입전원선에 연결되는 메인차단기와, 각 부하로 전원을 분기하여 공급하는 분기전원선에 연결되는 다수의 분기차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분기차단기는 일정 크기 이상의 누설전류가 감지되면 전원을 차단하여 감전사고, 누전화재 등의 전기사고를 예방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상용전원으로 60Hz의 교류 전류를 사용하는데 교류 전류는 위상에 따라 저항성 전류와 용량성 전류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데에는 영상변류기(ZCT)를 사용하는데 영상변류기를 사용하면 대지절연저항을 통하여 대지로 흐르는 저항성 전류와 선로의 정전용량으로 인하여 대지로 흐르는 용량성 전류가 합쳐진 합성 누설전류의 형태로 측정된다.
이 중 저항성 누설전류가 과전류, 누전 등 전기 안전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분기차단기는 저항성 누설전류와 용량성 누설전류를 구분하지 않고 합성 누설전류의 크기를 기준으로 누설, 전류 과잉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전기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량성 누설전류는 많이 흐르나 저항성 누설전류는 적게 흐르는 경우에도 위험한 수준으로 오판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산업시설에서 사용하는 분기차단기의 경우, 누전 차단 시 산업시설의 가동 중단 후 안전 확인을 하여 재가동해야 하기 때문에 누전여부를 오판하는 경우 감수하여야 하는 비용이 굉장히 크다.
일부 분기차단기의 경우 분기선로에 누설전류와 전압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누설전류와 전압을 비교하여 위상차를 연산하고, 연산된 위상차를 이용해 저항상 누설전류를 추출하고 있는데, 비교과정에서 연산되는 위상차의 정확성이 그리 높지 않다. 그래서 전원을 차단해야할 수준의 저항성 누설전류가 실제 발생함에도 차단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분전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합성 누설전류에서 저항성 누설전류 성분을 추출하여 누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분기차단기(누전차단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되, 저항성 누설전류의 추출이 단순하면서 정확하게 행해지는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메인차단기, 분기차단기, 계량기 등을 함체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은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메인차단기;
각각의 부하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차단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해당하는 부하로 인가하는 다수의 분기차단기;
상기 분기차단기에 연결되는 분기선로에서 합성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영상변류기와,
상기 분기선로에서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영상변류기의 합성누설전류와 상기 전압검출부의 전압을 이용해 전력을 연산하는 전력연산부와,
상기 전력연산부의 전력 성분을 이용해 위상차를 연산하는 위상차연산부와,
상기 위상차연산부의 위상차를 이용해 상기 영상변류기의 합성 누설전류에서 저항성 누설전류를 추출하는 저항성 누설전류 추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항성 누설전류 검출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력연산부는
상기 영상변류기의 합성누설전류의 (-)성분과 상기 전압검출부의 전압의 (-)성분을 각각 (+)성분으로 반전시킨 후에 곱하여 피상전력을 연산하고,
상기 영상변류기의 합성누설전류의 (-)성분과 상기 전압검출부의 전압의 (-)성분을 제거시킨 후에 곱하여 유효전력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차단기, 분기차단기가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내장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도어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투시창을 포함하는 함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판과,
상기 케이싱의 양측 내벽에 결합되는 결합블럭과,
상기 결합블럭의 표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가면서 깊어지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결합볼과,
상기 결합블럭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결합판이 상기 결합블럭과 커버 사이로 진입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결합볼이 상기 결합판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후방으로 밀려 결합판의 전진을 허용하고,
상기 결합판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결합판에 접촉된 상기 결합볼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판의 표면을 가압하여 후진을 불허하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은 합성 누설전류에서 저항성 누설전류를 간단하면서 정확하게 추출하여 분기차단기가 누설전류를 과대 평가함에 따른 오동작과 과소 평가함에 따른 미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차단기, 분기차단기 등을 별도의 브라켓에 장착하고, 브라켓은 결합수단을 통해 합체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어서, 분전함의 설치와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의 구성도.
도 2 는 피상전력과 유효전력을 연산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의 사시도.
도 4 는 도3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결합수단을 요부로 하는 사시도.
도 6 은 결합수단에 의해 브라켓과 케이싱이 결합되는 과정과 분해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은 메인차단기(10), 분기차단기(20), 부스바(30), 계량기(40), 함체(50), 결합수단(60) 그리고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70)의 전기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70)은 전류검출부(71), 전압검출부(72), 전력연산부(73), 위상차연산부(74), 저항성 누설전류 추출부(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류검출부(71)는 분기차단기(20)가 연결되는 분기선로에 구비되는 영상변류기(ZCT)를 이용해 분기선로의 합성 누설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전압검출부(72)는 상기 분기선로에서 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전력연산부(73)는 상기 전류검출부(71)의 합성누설전류와 상기 전압검출부(72)의 전압을 이용해 전력 성분으로 피상전력과 유효전력을 연산한다.
상기 위상차연산부(74)는 상기 전력연산부(73)의 전력 성분을 이용해 누설전류와 전압의 위상차를 연산한다.
상기 저항성 누설전류 추출부(75)는 상기 위상차연산부(74)의 위상차를 이용해 상기 전류검출부(71)의 합성 누설전류에서 저항성 누설전류를 추출한다.
상기 저항성 누설전류 추출부(75)에서 검출된 저항성 누설전류의 크기가 기준 크기 보다 크면, 상기 분기차단기(20)는 트리거되어(즉, OFF) 전원을 분기선로를 차단한다.
상기 전류검출부(71)와 전압검출부(72)에서 각각 검출된 합성 누설전류와 전압은 A/D컨버터를 통해 샘플링되어 전력연산부(73)로 입력된다.
상기 전력연산부(73)는 생플링된 합성 누설전류와 전압을 곱하고, 적분하여 전력을 연산한다.
전력의 성분은 피상전력(S), 유효전력(P) 및 무효전력(Q)으로 구성되고, [S=P+jQ]의 관계를 갖는다.
상기 전력연산부(73)가 전력을 연산하는 방식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의 [A]에는 합성 누설전류(I)와 전압(V)의 파형의 일례가 한주기 도시되어 있다. 합성 누설전류(I)의 반주기 (+)성분을 기준으로 전압(V)의 (+)성분으로 같은 성분의 영역은 유효전력(P)에 해당하고, 전압(V)의 (-)성분으로 다른 성분의 영역은 무효전력(Q)에 해당한다.
도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전력연산부(73)는 합성 누설전류(I)의 (-)성분과 전압(V)의 (-)성분을 각각 (+)성분으로 반전시킨 후에 이들을 곱하고 적분한다. 적분한 값은 피상전력(S)에 해당한다.
도2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전력연산부(73)는 합성 누설전류(I)의 (-)성분과 전압(V)의 (-)성분을 제거시킨 후에 이들을 곱하고 적분한다. 적분한 값은 유효전력(P)에 해당한다. 참고로, (-)성분의 제거는 실제로 제겨할 수도 있고, 곱할 때 (-)성분은 무시되도록(즉, 0으로 취급되도록)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위상차연산부(74)는 P=S×COS(θ)의 수식에, 상기 전력연산부(73)에서 연산된 피상전력(S)과 유효전력(P)을 적용하여 누설전류(I)와 전압(V)의 위상차(θ)를 연산한다.
참고로, 도2에서 피상전력(S)은 한주기를 대상으로 연산되고, 유효전력(P)은 반주기를 대상으로 연산된 것이므로, 유효전력(P)은 두배 해준다.
상기 저항성 누설전류 추출부(75)는 I=Igr×COS(θ)의 수식에, 상기 위상차연산부(74)에서 연산된 위상차(θ)와 상기 전류검출부(71)에서 검출된 합성 누설전류(I)를 적용하여 저항성 누설전류(Igr)를 추출한다.
상기 저항성 누설전류 검출모듈(70)은 상기 분기차단기(20)에 내장되거나, 상기 개량기(40)에 내장될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메인차단기(10), 분기차단기(20), 함체(50) 등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메인차단기(10)의 입력측에는 인입전원선이 연결되어 상용전원을 공급받고, 출력측에는 부스바(30)가 연결되어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분기차단기(20)로 인가한다.
상기 메인차단기(10)는 인입전원선을 통해 서지전압과 같은 과전압이 공급되거나 부하측에 과부하거 걸리는 경우에 인입전원선을 차단하여 전기사고를 예방한다.
상기 분기차단기(20)의 출력측에는 분기전원선이 연결되어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고, 입력측에는 부스바(30)의 인입바(33)에 연결되어 부스바(30)로부터 분기된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분기차단기(20)는 해당하는 부하측에 과부하거 걸리거나 누전이 발생되면 분기전원선을 차단하여 전기사고를 예방한다.
상기 부스바(30)는 상기 메인차단기(10)에서 인출되는 인출바(31)와, 상기 인출바(31)에서 분기되어 각각 상기 분기차단기(20)로 인입되는 다수의 인입바(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계량기(40)는 각각의 분기차단기(20)를 통해 각 부하별로 소비되는 전력과, 전체 부하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계측하고, 누전을 검출하고, 전기요금을 연산한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상기 함체(50)는 케이싱(51), 도어(53), 브라켓(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51)은 내부에 상기 브라켓(57)과 메인차단기(10) 등을 내장하고, 상기 도어(53)는 상기 케이싱(51)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도어(53)에는 케이싱(51)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창(55)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싱(51)의 내부 공간은 그리 넓지 아니하여 내부 공간 안에 메인차단기(10), 다수의 분기차단기(20), 계량기(40) 등을 설치하고, 분해하는 작업은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브라켓(57)을 도입하여, 케이싱(51) 외부에서 브라켓(57)에 상기 메인차단기(10), 다수의 분기차단기(20), 계량기(40) 등을 설치하고, 브라켓(57)을 결합수단(60)을 통해 간편하게 케이싱(51) 내부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브라켓(57)은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메인차단기(10), 다수의 분기차단기(20), 계량기(40)가 설치되고, 메인차단기(10)와 다수의 분기차단기(20)는 부스바(30)로 연결된다.
상기 결합수단(60)은 드라이버와 볼트 등의 체결도구 없이 상기 브라켓(57)이 상기 케이싱(51)에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한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수단(60)은
상기 브라켓(57)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판(61)과,
상기 케이싱(51)의 양측 내벽에 결합되는 결합블럭(62)과,
상기 결합블럭(62)의 표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63)과,
상기 가이드홈(63)의 바닥에 배치되며, 가이드홈(63)이 후방으로 가면서 깊어질 수 있도록 깊이를 조절하는 깊이조절판(66)과,
상기 가이드홈(63)을 따라 이동하는 결합볼(64)과,
상기 결합블럭(62)을 덮는 커버(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홈(63)은 전방이 후방 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가이드홈(63)에 위치한 결합볼(64)은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려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65)에는 상기 결합판(61)이 투입되어 전후진하는 투입홀(65a)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65)는 상기 결합블럭(62)을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덮어 그 사이로 상기 결합판(61)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결합볼(64)이 상기 가이드홈(63)에서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깊이조절판(66)의 전방측 내면에는 경사진 경사부(66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66a)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블럭(67)이 상기 가이드홈(63)의 바닥에 형성된 전후진홈(63a)에 전후진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경사블럭(67)은 상기 전후진홈(63a) 내에서 후방이 스프링(68)으로 탄성지지되어 평상시에는 전진되어 상기 경사부(66a)를 민다. 그리하여 상기 깊이조절판(66)은 전방측이 가이드홈(63)의 바닥에서 들려, 상기 가이드홈(63)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깊이가 깊어진다.
상기 경사블럭(67)의 전방에는 레버(67a)가 연결되고, 상기 레버(67a)는 상기 결합블럭(62)과 커버(65)를 관통하여 노출된다. 노출된 상기 레버(67a)를 누르면 상기 경사블럭(67)은 전후진홈(63a) 내에서 후진하여 상기 깊이조절판(66)의 전방측에 바닥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볼(64)과 상기 결합판(61)은 마찰력이 강하도록 하여 결합볼(64)에 의한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결합수단(60)을 통해 상기 브라켓(57)과 케이싱(51)이 결합되는 과정과 분리되는 과정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브라켓(57)을 상기 케이싱(51)에 결합시킬 때에는 먼저, 상기 브라켓(57)의 결합판(61)을 상기 커버(65)의 투입홀(65a)로 투입시키고 민다.
도6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투입홀(65a)로 투입된 결합판(61)은 상기 결합블럭(62)과 커버(65) 사이로 진입하여 후방을 향해 이동하고, 후방으로 이동하는 결합판(61)의 단부는 상기 결합볼(64)을 접촉하여 후방으로 밀게되는데,
도6의 [B]를 참조하면, 가이드홈(63)은 후방으로 가면서 깊어지기에 결합봉은 별다른 저항 없이 가이드홈(63)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결합판(61)의 이동을 허용하게 된다.
상기 결합판(61)은 상기 결합볼(64)을 지나 후방으로 더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결합볼(64)은 상기 가이드홈(63)의 후방에 막힌다.
상기 결합판(61)의 후방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결합볼(64)은 자중에 의해 가이드홈(6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결합판(61)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도6의 [C]를 참조하면, 이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57)을 당기면, 즉, 상기 결합판(61)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결합볼(64)은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홈(63)을 따라 전방을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홈(63)은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낮아지게 되어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결합볼(64)은 상기 결합판(61)을 가압하여 밀고, 밀린 가압판은 상기 커버(65)를 가압하며 밀착된다. 상기 결합볼(64)이 가이드홈(63)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록 가압력은 강해진다.
이처럼, 상기 결합판(61)을 상기 투입홀(65a)을 통해 결합블럭(62)과 커버(65) 사이로 별다른 저항 없이 투입되어서 브라켓(57)과 케이싱(51)을 결합시키고,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결합판(61)이 투입홀(65a)에서 조금만 이탈하여도 결합볼(64)이 결합판(61)을 강력하게 가압하여 더 이상 분리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57)을 상기 케이싱(51)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레버(67a)를 누르고서 상기 브라켓(57)을 잡아당기면 된다.
도6의 [D]를 참조하면,상기 레버(67a)를 누르면 상기 깊이조절판(66)이 전방측에 내려가 가이드홈(63)의 전방측 깊이가 깊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결합홀이 가이드홈(63)으로 들어가 결합판(61)을 가압하지 않게 되면서 결합판(61)은 별다른 저항 없이 분리이탈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메인차단기 20 : 분기차단기
30 : 부스바 40 : 계량기
50 : 함체 51 : 케이싱
53 : 도어 57 : 브라켓
60 : 결합수단 61 : 결합판
62 : 결합블럭 63 : 가이드홈
64 : 결합볼 65 : 커버
66 : 깊이조절판 67 : 경사블럭
70 :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 71 : 전류검출부
72 : 전압검출부 73 : 전력연산부
74 : 위상차연산부 75 : 저항성 누설전류 추출부

Claims (3)

  1.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메인차단기;
    각각의 부하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차단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해당하는 부하로 인가하는 다수의 분기차단기;

    상기 분기차단기에 연결되는 분기선로에서 합성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분기선로에서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의 합성누설전류와 상기 전압검출부의 전압을 이용해 전력을 연산하는 전력연산부와,
    상기 전력연산부의 전력 성분을 이용해 위상차를 연산하는 위상차연산부와,
    상기 위상차연산부의 위상차를 이용해 상기 전류검출부의 합성 누설전류에서 저항성 누설전류를 추출하는 저항성 누설전류 추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항성 누설전류 검출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력연산부는
    상기 전류검출부의 합성누설전류의 (-)성분과 상기 전압검출부의 전압의 (-)성분을 각각 (+)성분으로 반전시킨 후에 곱하여 피상전력을 연산하고,
    상기 전류검출부의 합성누설전류의 (-)성분과 상기 전압검출부의 전압의 (-)성분을 제거시킨 후에 곱하여 유효전력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차단기와 분기차단기가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내장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도어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투시창을 포함하는 함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판과,
    상기 케이싱의 양측 내벽에 결합되는 결합블럭과,
    상기 결합블럭의 표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가면서 깊어지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결합볼과,
    상기 결합블럭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결합판이 상기 결합블럭과 커버 사이로 진입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결합볼이 상기 결합판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후방으로 밀려 결합판의 전진을 허용하고,
    상기 결합판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결합판에 접촉된 상기 결합볼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판의 표면을 가압하여 후진을 불허하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
KR1020170115290A 2017-09-08 2017-09-08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 KR20190028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90A KR20190028171A (ko) 2017-09-08 2017-09-08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
US16/117,716 US10742009B2 (en) 2017-09-08 2018-08-30 Power distribution box equipped with resistive leakage current de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90A KR20190028171A (ko) 2017-09-08 2017-09-08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171A true KR20190028171A (ko) 2019-03-18

Family

ID=6563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290A KR20190028171A (ko) 2017-09-08 2017-09-08 저항성 누설전류검출모듈을 갖는 분전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42009B2 (ko)
KR (1) KR201900281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287B1 (ko) * 2019-07-29 2020-01-0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전력 위상 측정과 아크 검출에 기초한 전원 차단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688B1 (ko) * 2017-09-08 2020-04-23 (주)토즈테크 부스바 일체형 계량기를 갖는 분전함
USD937784S1 (en) * 2019-06-14 2021-12-07 Shih-Lin Chang Plate of electrical control panel
CN117907729A (zh) * 2024-03-19 2024-04-19 湖南银远电气有限公司 高低压配电柜智能综合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063B1 (ko) 2001-05-17 2005-02-02 김광선 도면 및 서류 고정장치
KR100463605B1 (ko) 2002-07-08 2004-12-30 엘지산전 주식회사 주택용 분전반
CA2558793A1 (en) * 2005-09-22 2007-03-22 Veris Industries, Llc High-density metering system
KR200431486Y1 (ko) 2006-08-04 2006-11-23 주식회사 대륙 분전반용 차단기
KR100779233B1 (ko) 2007-06-07 2007-12-05 주식회사 대홍전기 분전반
KR101090558B1 (ko) 2009-06-16 2011-12-08 강영구 분전반
US9397484B2 (en) * 2009-12-09 2016-07-19 Veris Industries, Llc Method for mounting current sensors
KR101358050B1 (ko) 2013-08-20 2014-02-05 한국 전기안전공사 누설전류 분석방법
KR101517159B1 (ko) * 2013-11-13 2015-05-04 주식회사 에렐 감전보호 3상 누전차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287B1 (ko) * 2019-07-29 2020-01-0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전력 위상 측정과 아크 검출에 기초한 전원 차단 방법 및 장치
US11283256B2 (en) 2019-07-29 2022-03-22 Cheil Electric Wiring Devices Co., Ltd. Power interrup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phase measurement and arc detection of power le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81466A1 (en) 2019-03-14
US10742009B2 (en)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2009B2 (en) Power distribution box equipped with resistive leakage current detector
US8280653B2 (en) Zone selective interlocking test method and apparatus, and circuit interrupter apparatus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DE112013002126T5 (de) Umschlossene elektrische Zähl- und Schutzvorrichtung einschließlich eines externen Trennschalthebels
EP1876627A2 (de) Schutzschalter-Kurzschließer-Kombination
CN102035148B (zh) 用于具有测试位置的低压面板的功能单元
DE102006030671A1 (de) Schutzschalter-Kurzschließer-Kombination
US7544907B1 (en) Special provisions for network protector retrofits
CN203504040U (zh) 高压开关柜的防误操作装置
CN205645708U (zh) 漏电断路器
CN203415894U (zh) 一种低压抽出式开关设备
US20190081459A1 (en) Power distribution box equipped with busbar integrated electric meter
CN203242926U (zh) 一种具有剩余电流保护功能的低压配电柜
GB2466941A (en) Consumer unit for housing residual current devices and miniature circuit breakers
CN201118248Y (zh) 低压抽出式无功功率补偿装置
CN204142829U (zh) 通用可更换式带电指示装置
KR20060073182A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분배전반
CN103490320A (zh) 高压开关柜的防误操作装置
CN2927426Y (zh) 低压抽出式成套开关设备
KR102128744B1 (ko) 전력 제어 설비의 전력 모니터링 장치
CN203760894U (zh) 一种抽屉式低压开关柜
CN217087253U (zh) 一种组合式临时总配电箱
EP1318587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a distribution bus
KR102609244B1 (ko) 분전반에 설치되는 분전반용 누전경보기
CN220122404U (zh) 并网柜用开关装置
CN204130977U (zh) 一种手车式高压开关柜机械联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13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626

Effective date: 2020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