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058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058A
KR20190028058A KR1020170115035A KR20170115035A KR20190028058A KR 20190028058 A KR20190028058 A KR 20190028058A KR 1020170115035 A KR1020170115035 A KR 1020170115035A KR 20170115035 A KR20170115035 A KR 20170115035A KR 20190028058 A KR20190028058 A KR 20190028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over unit
bonding portion
adhesive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1850B1 (en
Inventor
김재영
진미형
황준하
송켈리수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850B1/en
Publication of KR2019002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0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8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H01L51/501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G02F2001/13332
    • G02F2001/133325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4Materials and properties dy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comprises: 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a cover unit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panel; a gap hold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unit; and a bonding member located outside the gap holding member and bond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unit. The bonding member includes a first bonding portion and a second bonding portion outside the first bonding portion. The storage modulus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the elongation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and the strength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Therefore, the peeling of the bonding member can be prevented by relieving the warpag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unit by the first bonding portion. The second bonding portion can prevent the outer surface from being pressed and scratched. When the application failure occurs,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unit can be facilitated. Further, since the first bonding portion includes a pigment or a dye to form a specific color, various designs of display devices can be provided.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0001]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좁은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narrow bezel.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해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FPD)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나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ELD) 등이 개발되어 널리 적용되고 있다. In view of the information age, the display field has also been rapidly developed. A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FPD) having the advantages of thinning,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age, ) An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ELD)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과 같은 휴대용 기기나, 컴퓨터의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등에 널리 이용되는데, 각 평판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다양한 케이스나 커버 등의 기구물을 통해 모듈화되고 제품화되어 공급된다. 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is widely used in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monitor of a computer, or a television. The display panel of each flat panel display device is modularized, manufactured, and supplied through various devices such as a case or a cover .

이때, 평판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가지며, 표시패널의 전면(front surface)에 위치하는 케이스나 커버는 비표시 영역을 덮는다. 여기서, 비표시 영역을 덮는 케이스나 커버의 부분은 제품의 베젤(bezel) 영역이 된다. At this time, the display panel of the flat panel display has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non-display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and a case or a cover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covers the non-display area. Here, the case or the cover portion covering the non-display region is a bezel region of the product.

이러한 베젤 영역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제품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제품의 외관을 저하시킨다. This bezel area is an area where no image is displayed, which increases the size of the product and deteriorates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따라서, 최근에는 케이스 등의 기구물을 생략하거나 최소화함으로써, 두께 및 무게를 줄이고 베젤 영역을 감소시키며, 동일한 크기의 표시장치에서 표시영역의 크기를 최대로 하여, 기구물의 노출 없이 깔끔한 외관을 갖는 보더리스(borderless) 제품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by omitting or minimizing a mechanism such as a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and weight and reduce the bezel area, maximize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in the same size display device, borderless products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이를 위해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기구물 사이에 접착 테이프를 적용하는 구조가 제안되었으며, 접착 테이프는 강한 접착력에 의해 표시패널을 기구물 상에 고정시킨다.To this end, a structur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n adhesive tape is applied between a display panel and an instrument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adhesive tape fixes the display panel on the instrument by strong adhesive force.

그런데, 접착 불량이 발생할 경우, 표시패널과 기구물을 분리해야 하며, 분리를 위해 별도의 장비 등이 필요하여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접착 테이프의 강한 접착력으로 인해 표시패널과 기구물을 분리하기가 쉽지 않으며, 표시패널과 기구물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표시패널 등에 손상이 가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접착 불량이 발생된 표시장치는 재활용되지 못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비용을 증가시킨다. However, if adhesion failure occurs, the display panel and the structure mus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separate equipment is required for separation, which increases the cost.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display panel and the mechanism from each other due to the strong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display panel is damag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apparatus.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adhesion failure occurs can not be recycled, which lowers the productivity and increases the cos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표시장치의 접착 불량에 의한 생산성 저하 및 비용 증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a problem of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an increase in cost due to adhesion failure of a display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하부의 커버 유닛과, 표시패널과 커버 유닛 사이의 갭 유지 부재와, 갭 유지 부재 외측에 위치하고 표시패널과 커버 유닛을 접착시키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접착 부재는 제1 접착부와 제1 접착부 외측의 제2 접착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cover unit below the display panel, a gap holding member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unit, And a bonding member for bonding the panel and the cover unit, wherein the bonding member includes a first bonding portion and a second bonding portion outside the first bonding portion.

이때, 제1 접착부의 저장 모듈러스는 제2 접착부보다 작고, 제1 접착부의 연신율은 제2 접착부보다 크며, 제2 접착부의 강도는 제1 접착부보다 크다. At this time, the storage modulus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the elongation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and the strength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또한, 제1 접착부는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접착부는 투명하다.Further, the first bonding portion may include a pigment or a dye,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is transparent.

본 발명에서는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표시패널을 기구물에 고정함으로써, 표시장치의 무게 및 두께를 줄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nd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by fixing the display panel to the structure using the adhesive member.

또한, 베젤 영역을 감소시키고 보더리스 구조를 구현하여 디자인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zel area can be reduced and the borderless structure can be realiz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differentiate the design.

또한, 본 발명의 접착 부재는 접착 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는 종래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별도의 구성 요소 없이 접착 부재를 표시장치의 외관에 적용함으로써, 가볍고 얇으면서 기존과 차별화된 우수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adhesiv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adhesive resin, the cost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an adhesive tape. By applying the adhesive member to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display device without a separate component, Can achieve excellent desig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접착 불량이 발생할 경우, 손상 없이 표시패널을 기구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과 기구물을 재활용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dhesion failure occurs, the display panel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without damaging it, so that the productivity and the cost can be improved by recycl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panel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F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하부의 커버 유닛과,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 유닛 사이의 갭 유지 부재와, 상기 갭 유지 부재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 유닛을 접착시키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제1 접착부와 상기 제1 접착부 외측의 제2 접착부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cover unit under the display panel, a gap holding member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unit, And a bonding member for bond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unit, wherein the bonding member includes a first bonding portion and a second bonding portion outside the first bonding portion.

상기 제1 접착부의 저장 모듈러스는 상기 제2 접착부보다 작다.The storage modulus of the first adhesive por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상기 제1 접착부의 연신율은 상기 제2 접착부보다 크다.And the elongation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상기 제2 접착부의 강도는 상기 제1 접착부보다 크다.The strength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상기 제1 접착부는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부는 투명하다.The first bonding portion includes a pigment or a dye,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is transparent.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제1 접착부보다 두껍다.The second adhesive portion is thicker than the first adhesive portion.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하면 및 상기 커버 유닛의 상면과 접촉한다.The first adhesiv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unit.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 및 상기 커버 유닛의 상면과 접촉한다.The second adhesiv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unit.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에 사이드 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사이드 실링부와 이격되거나 상기 사이드 실링부의 일부와 중첩한다.A side sealing portion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first bond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sealing portion or overlaps with a part of the side sealing por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10)과, 표시패널(110) 배면(rear surface) 측에 위치하는 커버 유닛(120),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 사이의 갭 유지 부재(130), 그리고 갭 유지 부재(130) 외측의 접착 부재(140)를 포함한다. 1 and 2,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10, a cover unit 120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A gap holding member 130 between the cover 110 and the cover unit 120 and an adhesive member 140 outside the gap holding member 130.

표시패널(110)은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전면(front surface)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일례로, 표시패널(110)은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패널이거나 액정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패널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and displays an image through a front surface.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including a light emitting diode or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ing a liquid crystal capacit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표시패널(110)에 대해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로, 한 화소영역을 도시한다. Such a display panel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3A and 3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panel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one pixel region.

먼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패널(110)은 전계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3A, the display pane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즉, 상기 표시패널(110)은 기판(150)과, 상기 기판(150) 상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Tr)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D)와, 상기 발광다이오드(D)를 덮는 인캡슐레이션 필름(190)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a substrate 150, a thin film transistor Tr disposed on the substrate 150, a light emitting diode D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r, D of the encapsulation film 190.

보다 상세하게, 상기 기판(150) 상에는 반도체층(154)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150)은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가질 수도 있다. 기판(150)과 반도체층(154) 사이에는 버퍼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버퍼층은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more detail, a semiconductor layer 154 is formed on the substrate 150. The substrate 150 may be made of glass or plastic, and may have flexibility. A buffer layer (not shown) may be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150 and the semiconductor layer 154, and the buffer layer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or silicon nitride.

한편, 상기 반도체층(154)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semiconductor layer 154 may be formed of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or polycrystalline silicon.

상기 반도체층(154)이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반도체층(154) 하부에는 차광패턴(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광패턴은 반도체층(154)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도체층(154)이 빛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반도체층(154)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반도체층(154)의 양 가장자리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When the semiconductor layer 154 is made of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a light shielding pattern (not shown) may be formed under the semiconductor layer 154, and the light shielding pattern may prevent light from being incident on the semiconductor layer 154 Thereby preventing the semiconductor layer 154 from being deteriorated by light. Alternatively, the semiconductor layer 154 may be made of polycrystalline silicon. In this case, impurities may be doped on both edges of the semiconductor layer 154.

반도체층(154)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56)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56)은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 gate insulating layer 156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154. The gate insulating layer 156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or silicon nitride.

상기 게이트 절연막(156)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160)이 반도체층(154)의 중앙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A gate electrode 16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56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the semiconductor layer 154.

도 3a에서는, 게이트 절연막(156)이 기판(150) 전면(entire surface)에 형성되어 있으나, 게이트 절연막(156)은 게이트 전극(16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수도 있다. 3A, the gate insulating layer 156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150, but the gate insulating layer 156 may be pattern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gate electrode 160.

상기 게이트 전극(16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62)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62)은 산화 실리콘이나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형성되거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이나 포토 아크릴(photo-acryl)과 같은 유기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62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160.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or silicon nitride, or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benzocyclobutene or photo-acryl.

상기 층간 절연막(162)은 상기 반도체층(154)의 양측을 노출하는 제1 및 제2 콘택홀(164, 166)을 갖는다. 제1 및 제2 콘택홀(164, 166)은 게이트 전극(160)의 양측에 게이트 전극(16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62 has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64 and 166 that expose both sides of the semiconductor layer 154.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64 and 166 are spaced apart from the gate electrode 160 on both sides of the gate electrode 160.

여기서, 제1 및 제2 콘택홀(164, 166)은 게이트 절연막(166) 내에도 형성된다. 이와 달리, 게이트 절연막(166)이 게이트 전극(16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경우, 제1 및 제2 콘택홀(164, 166)은 층간 절연막(162) 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64 and 166 are also formed in the gate insulating film 166. Alternatively, when the gate insulating film 166 is patterned in the same shape as the gate electrode 160,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64 and 166 may be formed only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상기 층간 절연막(162) 상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소스 전극(170)과 드레인 전극(172)이 형성된다. A source electrode 170 and a drain electrode 172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 are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62.

소스 전극(170)과 드레인 전극(172)은 상기 게이트 전극(160)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164, 166)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154)의 양측과 접촉한다. The source electrode 170 and the drain electrode 17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gate electrode 160 and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emiconductor layer 154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64 and 166, / RTI >

상기 반도체층(154)과, 상기 게이트 전극(160), 상기 소스 전극(170), 상기 드레인 전극(172)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이루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구동 소자(driving element)로 기능한다.The semiconductor layer 154 and the gate electrode 160, the source electrode 170 and the drain electrode 172 constitute the thin film transistor Tr,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Tr includes a driving element ).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상기 반도체층(154)의 상부에 상기 게이트 전극(160), 상기 소스 전극(170) 및 상기 드레인 전극(172)이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를 가진다.The thin film transistor Tr has a coplanar structur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160, the source electrode 170, and the drain electrode 172 are positioned above the semiconductor layer 154.

이와 달리, 박막트랜지스터(Tr)는 반도체층의 하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고 반도체층의 상부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위치하는 역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thin film transistor Tr may have an inverted staggered structure in which a gate electrode is positioned below the semiconductor layer and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are located above the semiconductor layer. In this case, the semiconductor layer may be made of amorphous silicon.

도시하지 않았으나,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가 더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구동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다.Although not shown, a gate line and a data line cross each other to define a pixel region, and a switching element connected to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is further formed. The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r which is a driving element.

또한, 파워 배선이 상기 게이트 배선 또는 상기 데이터 배선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일 프레임(frame) 동안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더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orage capacitor is formed so that the power wiring is spaced apart in parallel to the gate wiring or the data wiring, and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r), which is a driving element during one frame, Lt; / RTI >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상기 드레인 전극(172)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176)을 갖는 보호층(174)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덮으며 형성된다.A protective layer 174 having a drain contact hole 176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172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r is formed to cover the thin film transistor Tr.

상기 보호층(174)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176)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상기 드레인 전극(172)에 연결되는 제1 전극(180)이 각 화소 영역 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전극(180)은 애노드(anode)일 수 있으며, 일함수 값이 상대적으로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170)은 인듐-틴-옥사이드 (indium-tin-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 (indium-zinc-oxide, I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 first electrode 180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72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r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176 is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174 for each pixel region. The first electrode 180 may be an anode and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arge work function valu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7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tin-oxide (ITO) or indium-zinc-oxide (IZO) .

한편, 본 발명의 표시패널(110)이 상부 발광 방식(top-emission type) 전계발광 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170) 하부에는 반사전극 또는 반사층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전극 또는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팔라듐-구리(aluminum-paladium-copper: APC)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isplay pane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p emission type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 reflective electrode or a reflective layer may be further formed under the first electrode 170. For example, the reflective electrode or the reflective layer may be formed of an aluminum-palladium-copper (APC) alloy.

또한, 상기 보호층(174) 상에는 상기 제1 전극(18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186)이 형성된다. 상기 뱅크층(186)은 상기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극(180)의 중앙을 노출한다.A bank layer 186 covering th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180 is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174. The bank layer 186 exposes the center of the first electrode 180 corresponding to the pixel region.

상기 제1 전극(180) 상에는 발광층(182)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층(182)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지는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의 단일층 구조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발광층(182)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제1 전극(180) 상에 순차 적층되는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물질층,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물질층의 발광물질은 유기발광물질이나 양자 점(quantum dot)과 같은 무기발광물질일 수 있다.A light emitting layer 182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80. The light emitting layer 182 may be a single layer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material layer made of a light emitting material. Alternatively, the light emitting layer 182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layer 182 may include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injection layer, and a hole injection layer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irst electrode 180. a transporting layer, a light emitting material layer,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Here, the light emitting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material layer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or an in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uch as a quantum dot.

상기 발광층(182)이 형성된 상기 기판(150) 상부로 제2 전극(18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전극(184)은 표시영역의 전면(entire surface)에 위치하며 일함수 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캐소드(cathode)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184)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lMg)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A second electrode 184 is formed on the substrate 150 on which the light emitting layer 182 is formed. The second electrode 184 is dispo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region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small work function value and can be used as a cathode.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184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luminum (Al), magnesium (Mg), and aluminum-magnesium alloy (AlMg).

상기 제1 전극(180), 상기 발광층(182) 및 상기 제2 전극(184)은 발광다이오드(D)를 이룬다.The first electrode 180, the light emitting layer 182, and the second electrode 184 form a light emitting diode (D).

상기 제2 전극(184) 상에는, 외부 수분이 상기 발광다이오드(D)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캡슐레이션 필름(encapsulation film, 190)이 형성된다.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90)은 제1 무기 절연층(192)과, 유기 절연층(194)과 제2 무기 절연층(196)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n encapsulation film 190 is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184 to prevent external moisture from penetrating the light emitting diode D. The encapsulation film 190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of a first inorganic insulating layer 192, an organic insulating layer 194, and a second inorganic insulating layer 196,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표시패널(110)이 상부 발광 방식 전계발광 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90) 상에는 외부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판은 원형 편광판일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p emission type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a polarizing plate (not shown) for reducing external light reflection may be attached on the encapsulation film 190. For example, the polarizer may be a circular polarizer.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패널(110)은 액정 표시패널일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B, the display pane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즉, 표시패널(110)은,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기판(210, 25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210, 250) 사이에 개재되며 액정분자(262)를 포함하는 액정층(260)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기판(210, 250)의 외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편광판(272, 274)이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strates 210 and 250 facing each oth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262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210 and 250, Layer 260 and the first and second polarizers 272 and 274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210 and 250, respectively.

상기 제1 기판(210)은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210) 상에는 버퍼층(도시하지 않음)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substrate 210 may be made of glass or plastic, and may have flexibility. In addition, a buffer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210.

상기 제1 기판(210) 상에는 게이트 전극(222)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222)을 덮으며 게이트 절연막(2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110) 상에는 상기 게이트 전극(222)과 연결되는 게이트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A gate electrode 222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210 and a gate insulating film 224 is formed to cover the gate electrode 222. A gate wiring (not shown)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222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0.

상기 게이트 절연막(224) 상에는 반도체층(226)이 상기 게이트 전극(222)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226)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도체층(226)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액티브층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오믹 콘택층을 포함할 수 있다.A semiconductor layer 226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224 in correspondence with the gate electrode 222. The semiconductor layer 226 may be made of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Meanwhile, the semiconductor layer 226 may include an active layer made of amorphous silicon and an ohmic contact layer made of impurity amorphous silicon.

상기 반도체층(226) 상에는 서로 이격하는 소스 전극(230)과 드레인 전극(2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스 전극(230)과 연결되는 데이터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형성된다.A source electrode 230 and a drain electrode 232 ar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226. In addition, a data line (not shown)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230 intersects the gate line to define a pixel region.

상기 게이트 전극(222), 상기 반도체층(226), 상기 소스 전극(230) 및 상기 드레인 전극(232)은 박막트랜지스터(Tr)를 구성한다.The gate electrode 222, the semiconductor layer 226, the source electrode 230, and the drain electrode 232 constitute a thin film transistor Tr.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 상에는, 상기 드레인 전극(232)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236)을 갖는 보호층(234)이 형성된다.A protective layer 234 having a drain contact hole 236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232 is form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Tr.

상기 보호층(234)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236)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232)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240)과, 상기 화소 전극(240)과 교대로 배열되는 공통 전극(242)이 형성된다.A pixel electrode 240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232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236 and a common electrode 242 alternately arranged with the pixel electrode 240 are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234, .

상기 제2 기판(250) 상에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와 상기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 등 비표시영역을 가리는 블랙매트릭스(254)가 형성된다. 또한,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컬러필터층(256)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기판(250)과 컬러필터층(256) 사이에는 버퍼층(도시하지 않음)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second substrate 250, a black matrix 254 covering the non-display regions such as the thin film transistor Tr,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is formed. Further, a color filter layer 256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ixel region. A buffer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250 and the color filter layer 256.

상기 제1 및 제2 기판(210, 250)은 액정층(260)을 사이에 두고 합착되며, 상기 화소 전극(240)과 상기 공통 전극(242)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해 상기 액정층(260)의 액정분자(262)가 구동된다. 상기 화소 전극(240)과 상기 공통 전극(242) 및 상기 액정층(260)은 액정 커패시터를 이루며, 상기 액정 커패시터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다.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210 and 250 are bonded together with the liquid crystal layer 26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260 is formed by an electric field generat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240 and the common electrode 242. [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262 are driven. The pixel electrode 240, the common electrode 242,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260 form a liquid crystal capacitor, and the liquid crystal capacitor is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r.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액정층(260)과 접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기판(210, 250) 각각의 상부에는 배향막이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n alignment layer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210 and 250 in contact with the liquid crystal layer 260.

한편, 제1 및 제2 기판(210, 250)의 외면에는 특정 방향의 선편광만을 투과시키는 제1 및 제2 편광판(272, 274)이 각각 부착되며, 제1 편광판(272)의 광투과축은 제2 편광판(274)의 광투과축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first and second polarizers 272 and 274, which transmit only linear polarized light in a specific direction,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210 and 250, respectively. Polarizing plate 274 and the light-transmitting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274.

여기서, 상기 공통 전극(242)은 상기 제1 기판(210) 상부에 상기 화소 전극(240)과 교대로 배열되는데, 이와 달리,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제2 기판(250) 전면(entire surface)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 전극(240)은 상기 화소영역에 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mmon electrode 242 is arranged on the first substrate 210 in an alternating manner with the pixel electrode 240. Alternatively, the common electrode 242 may be dispo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50 And the pixel electrode 24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in the pixel region.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10)의 측면에는 표시패널(11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빛샘을 막기 위한 사이드 실링부(112)가 형성된다. 표시패널(110)로부터 출력되는 빛 중 일부는 표시패널(110)의 측면으로 진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표시패널(110)의 측면에 사이드 실링부(112)를 구비함으로써, 표시패널(110)의 측면으로 진행하는 빛에 의한 빛샘을 억제한다. 또한, 사이드 실링부(112)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110)의 측면을 보호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gain, a side sealing part 112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to prevent light leakage generat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 A portion of the light output from the display panel 110 proceeds to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Suppresses light leakage due to light traveling to the side. Further,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protects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from an external impact.

사이드 실링부(112)는 빛을 흡수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패널(110)의 측면에 실링액을 도포 후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side sealing part 11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absorbs light, and may be formed by applying a sealing liqui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n curing the sealing liquid.

이러한 사이드 실링부(112)는 표시패널(110)의 측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이드 실링부(112)는 표시패널(110)의 측면을 일부만 덮을 수 있으며, 이때, 사이드 실링부(112)는 표시패널(110)의 측면 상하를 부분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 This side sealing portion 112 can completely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 Alternatively,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may cover only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may partially expos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다음, 표시패널(110)의 배면 측, 즉, 표시패널(110)의 하부에는 커버 유닛(120)이 위치한다. 이러한 커버 유닛(120)은 단부가 접힌 헤밍(hemming) 구조를 가질 수 있다. Next, the cover unit 120 is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that is, below the display panel 110. [ This cover unit 120 may have a hemming structure with its ends folded.

보다 상세하게, 커버 유닛(120)은 제1 부분(122)과 제2 부분(124)을 포함한다. 제1 부분(122)은 표시패널(110)의 배면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를 가지며, 제2 부분(124)은 제1 부분(122)과 연결되고, 그 내면이 제1 부분(122)의 내면과 마주하도록 접혀, 제2 부분(124)은 제1 부분(122)과 중첩한다. 이러한 헤밍 구조를 갖는 커버 유닛(120)은 측면이 곡면을 이룬다. 이에 따라, 별도의 구성 요소 없이 커버 유닛(120)을 외부로 노출함으로써, 차별화되고 우수한 디자인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각진 모서리에 의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cover unit 120 includes a first portion 122 and a second portion 124. The first part 122 has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second part 124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 122 and the inner surfac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art 122 And the second portion 124 overlaps with the first portion 122. In this way, The cover unit 120 having such a hemming structure has a curved side surface. Thus, by exposing the cover unit 120 to the outside without a separate compon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differentiated and excellent desig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by angled corners.

표시패널(110)이 전계발광 표시패널일 경우, 커버 유닛(120)은 백 커버(back cover)일 수 있다. 또는, 표시패널(110)이 액정 표시패널일 경우, 커버 유닛(120)은 버텀 커버(bottom cover)일 수 있으며, 이때, 표시패널(110)과 버터 커버 사이에는 광원으로 백라이트 유닛(도시하지 않음)이 더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110 is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the cover unit 120 may be a back cover. Alternatively, when the display panel 11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he cover unit 120 may be a bottom cover. In this case, a backlight unit (not shown) may be used as a light source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butter cover. ) Can be located.

이러한 커버 유닛(120)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stiffness)을 갖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커버 유닛(120)은 철(Fe)을 주성분으로 하는 전기아연도금강판(electrolytic galvanized iron: EGI)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ver unit 12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stiffn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ver unit 120 may be formed of an electrolytic galvanized iron (EGI) containing iron (Fe) as a main component.

이와 달리, 커버 유닛(120)은 백 커버와 표시패널(110) 사이 또는 버텀 커버와 표시패널(110) 사이의 미들 프레임(middle frame)일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cover unit 120 may be a middle frame between the back cover and the display panel 110 or between the bottom cover and the display panel 110.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의 제1 부분(122) 사이에는 구동부와 방열 부재 및/또는 보조 플레이트 등이 더 위치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first portion 122 of the cover unit 120, Plates and the like can be further positioned.

구동부는 표시패널(110)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어 표시패널(110)에 각종 신호를 인가한다. 구동부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과 인쇄회로기판 상의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를 포함할 수 있다. 집적 회로는 타이밍 콘트롤러(timing controller: T-Con)나 파워 IC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구동부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저항이나 커패시터 또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to apply various signals to the display panel 110.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at least one integrated circuit (IC) on a printed circuit board. The integrated circu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timing controller (T-Con) or a power IC. 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sistor, a capacitor, or a transistor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이러한 구동부는 매개수단을 통해 표시패널(110)과 연결되어 모듈화 과정에서 표시패널(110)의 배면에 놓인다. 이때, 인쇄회로기판은 표시패널(110)과 집적 회로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매개수단은 연성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나 테이프(tape) 또는 필름(film)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driving unit is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10 through an intermediate means and is plac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in the modularization process. At this time,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integrated circuit. Here, the intermediate means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a tape or a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방열 부재는 구동부의 집적 회로나 표시패널(110)과 접촉하여 구동부의 집적 회로나 표시패널(110)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전달함으로써, 열에 의해 소자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heat dissipat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integrated circuit of the driving unit or the display panel 110 to quickly transfer heat generated from the integrated circuit of the driving unit or the display panel 110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device from being deteriorated by heat.

보조 플레이트는 표시장치의 강성을 증가시켜 휨 발생을 방지한다. 즉, 화면의 크기가 큰 표시장치의 경우, 표시장치의 휨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보조 플레이트를 추가하여 표시장치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표시장치의 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uxiliary plate increases the rigidity of the display devic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warpage. That is, in the case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large screen size, warping of the display device may occur. By adding an auxiliary plate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device from warping.

한편,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의 제2 부분(124) 사이에는 갭 유지 부재(130)가 위치하여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여기서, 갭 유지 부재(130)는 일면에 접착성을 가지는 단면 테이프(single-sided tape)일 수 있으며, 갭 유지 부재(130)은 접착성을 갖는 면이 커버 유닛(120)과 접촉할 수 있다. The gap holding member 130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and more particularly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second portion 124 of the cover unit 120, The interval between the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is kept constant. Here, the gap holding member 130 may be a single-sided tape having adhesiveness on one side, and the gap holding member 130 may contact the cover unit 120 with a surface having adhesiveness .

이러한 갭 유지 부재(130)는 표시패널(110)에 구동부가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형성될 수 있다. 즉, 갭 유지 부재(130)는 표시패널(110)의 3면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ㄷ'자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gap holding member 130 may be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10 except for a portion to which the driving unit is connected. That is, the gap holding member 1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ree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may have a 'C'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갭 유지 부재(130)는 표시패널(11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d1)을 가지고 이격된다. 일례로, 갭 유지 부재(130)의 이격 간격(d1)은 0.5 mm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0.7 mm 내지 1.0 mm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gap holding members 130 ar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1. In one example, the spacing d1 of the gap retaining members 130 may be between 0.5 mm and 1.5 mm, preferably between 0.7 mm and 1.0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갭 유지 부재(130)의 외측에는 접착 부재(140)가 형성되어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20)은 접착 부재(140)를 통해 서로 고정된다. 접착 부재(140)는 제1 접착부(142)와 제1 접착부(142) 외측의 제2 접착부(144)를 포함한다. An adhesive member 14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gap holding member 130 so that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20 are fixed to each other via an adhesive member 140. [ The adhesive member 140 includes a first adhesive portion 142 and a second adhesive portion 144 outside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

여기서, 제1 접착부(142)는 갭 유지 부재(130)를 둘러싸고 실질적으로 사각 테 형상을 가진다. 제1 접착부(142)는 표시패널(110) 가장자리의 하면 및 커버 유닛(120)의 제2 부분(124)의 상면과 접촉한다. 이러한 제1 접착부(142)는 갭 유지 부재(13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접착부(142)는 갭 유지 부재(130)와 접촉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surrounds the gap holding member 130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hape.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24 of the cover unit 120.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gap holding member 130. Alternatively,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may be in contact with the gap holding member 130.

제1 접착부(142)의 제1 두께(t1)는 갭 유지 부재(130)의 두께에 대응한다. 일례로, 제1 접착부(142)의 제1 두께(t1)는 0.5 mm 내지 1mm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gap holding member 130. [ In one example,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may be 0.5 mm to 1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제1 접착부(142)는 표시패널(110) 측면의 사이드 실링부(112)와 이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접착부(142)는 사이드 실링부(112)의 일부와 접촉 및/또는 중첩할 수도 있다.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on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Alternatively,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may contact and / or overlap with a portion of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한편, 제2 접착부(144)는 제1 접착부(142)와 접촉하여 제1 접착부(142)를 둘러싸고 실질적으로 사각 테 형상을 가진다. 제2 접착부(144)는 사이드 실링부(112)가 위치하는 표시패널(110)의 측면 및 커버 유닛(120)의 제2 부분(124)의 상면과 접촉한다. 이러한 제2 접착부(144)는 사이드 실링부(112)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contacts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to surround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where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is locat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24 of the cover unit 120.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can completely cover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제2 접착부(144)의 제2 두께(t2)는 표시패널(110)의 두께에 대응하며, 제2 접착부(144)의 제2 두께(t2)는 제1 접착부(142)의 제1 두께(t2)보다 클 수 있다. 일례로, 제2 접착부(144)의 제2 두께(t2)는 1 mm 내지 3 mm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second adhering portion 144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second adhering portion 144 corresponds to the first thickness t2 of the first adhering portion 142 t2). In one example,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may be 1 mm to 3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접착부(142)는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의 접착 불량 발생 시 분리가 용이해야 하며, 환경 신뢰성 평가에 있어서 표시패널(110)의 휨에 대한 완충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1 접착부(142)는 상대적으로 소프트(soft)한 특성을 가진다. 반면, 제2 접착부(144)는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 눌림이나 스크래치(scratch) 방지를 위해 상대적으로 하드(hard)한 특성을 가진다.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should be easy to separate wh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are adhered to each other and serve as a buffer against warping of the display panel 110 in the environmental reliability evaluation. Accordingly,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has a relatively soft characteristic.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has a relatively hard characteristic in order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adhesive portion 144 and scratch.

따라서, 제1 접착부(142)의 저장 모듈러스(storage modulus)는 제2 접착부(144)보다 작고, 제2 접착부(144)의 강도(hardness)는 제1 접착부(142)보다 크며, 제1 접착부(142)의 연신율(elongation)은 제2 접착부(144)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orage modulus of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and the hardness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The elongation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elongation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일례로, 제1 접착부(142)의 저장 모듈러스는 105 Pa보다 작고, 제2 접착부(144)의 저장 모듈러스는 107 Pa보다 클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접착부(144)의 경도는 쇼어(Shore) D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접착부(142)의 연신율은 30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storage modulus of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may be less than 10 5 Pa and the storage modulus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may be greater than 10 7 Pa,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referable that the hardness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is not less than 30 and the elongation of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is not less than 300%.

한편, 제1 접착부(142)는 필요에 따라 안료 및/또는 염료를 포함하여 특정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반면, 제2 접착부(144)는 안료나 염료를 포함하지 않으며 투명하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접착부(142, 144)는 수지 조성물(resin compound)을 도포 후 UV를 이용하여 경화함으로써 형성되는데, 비교적 두꺼운 제2 접착부(144)는 불투명할 경우 완전히 경화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2 접착부(144)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접착부(144)가 안료나 염료를 포함할 경우, 환경 신뢰성 평가나 외부 접촉 등에 의해 색빠짐 현상이 발생하여 원하는 색상을 구현할 수 없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may include a pigment and / or a dye to realize a particular color.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does not include a pigment or a dye and is transparent.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ortions 142 and 144 are formed by applying a resin composition and then curing using UV. Since the relatively thick second adhesive portion 144 may not be completely cured when opaque,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is preferably transparent. In addition, when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includes a pigment or a dye, a color drop phenomenon occurs due to environmental reliability evaluation, external contact, or the like, and a desired color can not be realized.

제1 및 제2 접착부(142, 144)의 수지 조성물은 올리고머(oligomer)와 모노머(monomer), 광개시제(photo-initiator) 및 기타 첨가제(additives)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지 조성물은 20,000 cp 내지 40,000 cp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ortions 142 and 144 includes an oligomer and a monomer, a photo-initiator, and other additives. Here, the resin composition preferably has a viscosity of 20,000 cp to 40,000 cp.

올리고머로는 3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와 6 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2 관능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As the oligomer, trifunctional urethane acrylate, 6-functional urethane acrylate and bifunctional epoxy acrylate may be used,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3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는 지방족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triacrylate)가 사용될 수 있고, 6 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는 지방족 우레탄 헥사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hexaacrylate)가 사용될 수 있으며, 2 관능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로는 비스페놀 A 에폭시 디아크릴레이트(bisphenol A epoxy diacrylate)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s the trifunctional urethane acrylate, an aliphatic urethane triacrylate may be used. As the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an aliphatic urethane hexaacrylate may be used, and a bifunctional epoxy As the acrylate, bisphenol A epoxy diacrylate may be us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모노머로는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2-phenoxyethyl acrylate)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그리고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등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Examples of the monomer include 2-phenoxyethyl acrylate, isobornyl 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1,6-hexanediol diacrylate (1,6 -hexanediol diacrylate), and the lik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광개시제로는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나 비스(2,4,6-트리메틸 벤조일)-페닐-포스파인 옥사이드(bis(2,4,6-trimethyl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등이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s the photoinitiator,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or bis (2,4,6-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e oxide (bis (2 , 4,6-trimethylbenzoyl) -diphenyl-phosphine oxid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기타 첨가제로는 N,N-디메틸 아크릴아마이드(N,N-dimethyl acrylamide)나, 4-아크릴로일 모르포린(4-acryloyl morpholine), N-비닐카프로락탐(N-vinyl caprolactam), N-비닐피로리돈(N-vinylpyrrolidone),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exanediol diacrylate), 에톡실레이티드 (30)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ethoxylated(30) bisphenol A diacrylate), 옥타데실 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Other additives include N, N-dimethyl acrylamide, 4-acryloyl morpholine, N-vinyl caprolactam, N-vinyl acrylate, N-vinylpyrrolidone, hexanediol diacrylate, ethoxylated (30) bisphenol A diacrylate, octadecyl 3- (3,5-di Octadecyl-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which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And is not limited to these.

여기서, 제1 접착부(142)의 수지 조성물은 제2 접착부(144)의 수지 조성물에 비해 3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더 많이 포함하고, 6 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더 적게 포함한다. Here,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first adhering portion 142 contains more trifunctional urethane acrylate than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second adhering portion 144, and contains fewer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예를 들어, 제1 접착부(142)는 60wt%의 지방족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와 7wt%의 지방족 우레탄 헥사아크릴레이트, 5wt%의 비스페놀 A 에폭시 디아크릴레이트, 10wt%의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wt%의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3wt%의 N,N-디메틸 아크릴아마이드, 5wt%의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6.5wt%의 에톡실레이티드 (30)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그리고 0.5wt%의 옥타데실 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접착부(144)는 10wt%의 지방족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와 45wt%의 지방족 우레탄 헥사아크릴레이트, 20wt%의 비스페놀 A 에폭시 디아크릴레이트, 11.5wt%의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3wt%의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5wt%의 N,N-디메틸 아크릴아마이드, 5wt%의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그리고 0.5wt%의 옥타데실 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may be formed of a mixture of 60 wt% of aliphatic urethane triacrylate and 7 wt% of aliphatic urethane hexaacrylate, 5 wt% of bisphenol A epoxy diacrylate, 10 wt% of 2-phenoxyethyl acrylate, 3 wt% of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3 wt% of N, N-dimethylacrylamide, 5 wt% of hexanediol diacrylate, 6.5 wt% of ethoxylated (30) bisphenol A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and 0.5 wt% of octadecyl 3- Is a mixture of 10 wt% aliphatic urethane triacrylate, 45 wt% aliphatic urethane hexaacrylate, 20 wt% bisphenol A epoxy diacrylate, 11.5 wt% pentaerythritol triacrylate, 3 wt% 2,4,6-trimethylbenzoyl Diphenylphosphine oxide, 5 wt% N, N-dimethylarc Amide, 5 wt% of hexanediol diacrylate, and 0.5 wt% of octadecyl 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접착 부재(140)를 이용하여 표시패널(110)을 커버 유닛(120)에 고정함으로써, 표시장치의 무게 및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베젤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nd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by fixing the display panel 110 to the cover unit 120 using the adhesive member 140, Can be reduced.

이러한 본 발명의 접착 부재(140)는 물성이 다른 제1 접착부(142)와 제2 접착부(144)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접착부(142, 144)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접착 테이프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Since the adhesive member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ortions 142 and 144 are formed using the resin composition, The cost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adhesive tape.

또한, 별도의 구성 요소 없이 접착 부재(140)를 표시장치의 외관에 적용함으로써, 가볍고 얇으면서 기존과 차별화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제1 접착부(142)는 필요에 따라 안료 및/또는 염료를 포함하여 특정 색상을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pplying the adhesive member 14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without a separate componen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ight and thin design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At this time,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can provide a display device of various designs by implementing a specific color including pigments and / or dyes if necessary.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일정 온도 하에서의 환경 신뢰성 평가 시, 상대적으로 낮은 저장 모듈러스 및 높은 연신율을 갖는 제1 접착부(142)에 의해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의 휨을 완화함으로써, 접착 부재(140)의 박리(delamination)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are bonded together by the first bonding portion 142 having a relatively low storage modulus and a high elongation at the time of environmental reliability evaluation under a certain temperature, The delamination of the adhesive member 140 can be prevented.

또한, 접착 부재(140) 형성 시, 갭 유지 부재(130)와 인접한 부분에서 기포에 의한 도포 불량이 많이 발생하는데, 도포 불량 발생 시, 제1 접착부(142)만을 제거하면 되므로 분리 공정이 용이하다. Further, when the adhesive member 140 is formed, defective coating due to air bubbles occurs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gap holding member 130. In the case of defective coating, only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needs to be removed, .

한편,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접착부(144)는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가지므로, 외관 눌림이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exposed to the outside has a relatively high hardn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ppearance from being pressed or scratch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4A to 4F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분(122)과 제2 부분(124)을 포함하며 헤밍 구조를 갖는 커버 유닛(120)을 준비하고, 커버 유닛(120)의 제2 부분(124) 상부에 갭 유지 부재(130)를 배치한다. 갭 유지 부재(130)는 하면에 접착성을 가져 커버 유닛(120)의 제2 부분(124)에 접착된다. First, as shown in FIG. 4A, a cover unit 120 having a first portion 122 and a second portion 124 and having a hemming structure is prepared, and a second portion 124 of the cover unit 120 The gap holding member 130 is disposed. The gap holding member 130 has adhesion to the bottom surface and is adhered to the second portion 124 of the cover unit 120.

다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 사이드 실링부(112)가 형성된 표시패널(110)을 준비하고, 갭 유지 부재(130) 상에 표시패널(110)을 배치한다. Next, as shown in FIG. 4B, the display panel 110 having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formed on the side thereof is prepared, and the display panel 110 is arranged on the gap holding member 130. Next, as shown in FIG.

다음,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의 제2 부분(124) 사이에 갭 유지 부재(130)를 둘러싸도록 제1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UV를 이용하여 도포된 제1 수지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제1 접착부(142a)를 형성한다. 제1 접착부(142a)는 표시패널(110) 가장자리의 하면 및 커버 유닛(120)의 제2 부분(124)의 상면과 접촉하여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을 고정한다. Next, as shown in Fig. 4C, the first resin composition is appli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second portion 124 of the cover unit 120 so as to surround the gap holding member 130, and then UV And the first bonded portion 142a is formed by curing the applied first resin composition.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a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24 of the cover unit 120 to fix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이러한 제1 접착부(142a)는 표시패널(110) 측면의 사이드 실링부(112)와 이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접착부(142a)는 사이드 실링부(112)의 일부와 접촉 및/또는 중첩할 수도 있다.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on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 Alternatively,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a may contact and / or overlap with a portion of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그런데, 제1 수지 조성물 도포 시 기포가 발생하거나,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의 위치가 어긋날 수 있다. However, when applying the first resin composition, air bubbles may be generated, or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may be displaced.

따라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착부(도 4d의 142a)를 제거하여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을 분리한다. 이때, 제1 접착부(도 4d의 142a)는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특성을 가지며 연신율이 크므로,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은 불량 없이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접착부(도 4d의 142a)는, 일부를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으로부터 분리하여 잡아당김으로써 나머지 부분도 제거하게 되는데, 제1 접착부(도 4d의 142a)는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특성을 가지며 연신율이 크므로, 끊어짐 없이 제거되고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 상에는 제1 접착부(도 4d의 142a)의 잔사가 남지 않게 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4D, the first bonding portion (142a in FIG. 4D) is removed to separate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bonding portion (142a in FIG. 4D) has a relatively soft characteristic and a large elongatio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failures. In other words, the first bonding portion (142a in FIG. 4D) separates a part from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and removes the remaining portion. The first bonding portion (142a in FIG. 4D) So that the residue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142a in FIG. 4D) is not left o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As shown in FIG.

또한, 제1 접착부(도 4d의 142a)는 사이드 실링부(112)와 이격되거나 사이드 실링부(112)의 일부와 접촉 및/또는 중첩하므로, 사이드 실링부(112)의 손상 없이 제1 접착부(도 4d의 142a)만을 제거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bonding portion (142a in Fig. 4D) contacts and / or overlaps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or a portion of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the first bonding portion Only the 142a in Fig. 4D can be removed.

다음,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갭 유지 부재(130) 상에 표시패널(110)을 다시 배치하고, 제1 수지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하여 제1 접착부(142)를 다시 형성한다. 다시 형성된 제1 접착부(142)는 표시패널(110)의 하면 및 커버 유닛(120)의 제2 부분(124)의 상면과 접촉하여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을 고정한다. Next, as shown in Fig. 4E, the display panel 110 is again placed on the gap holding member 130, and the first resin composition is coated and cured to form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again. The re-formed first adhesive portion 142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24 of the cover unit 120 to fix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이어, 제1 접착부(142) 내의 기포 발생이나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의 위치 어긋남과 같은 불량은 발생하지 않을 경우,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착부(142)의 외측에 제2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UV를 이용하여 도포된 제2 수지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제1 접착부(142)와 접촉하는 제2 접착부(144)를 형성한다. 4F, when defects such as the generation of bubbles in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or the displacement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do not occur, The second resin composition is coated on the outer side and then the second resin composition coated with UV is cured to form a second adhesive portion 144 that contacts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

이때, 제2 접착부(144)는 사이드 실링부(112)가 위치하는 표시패널(110)의 측면 및 커버 유닛(120)의 제2 부분(124)의 상면과 접촉한다. 이러한 제2 접착부(144)는 사이드 실링부(112)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where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is locat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24 of the cover unit 120.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can completely cover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이러한 제2 접착부(144)는 외부에 노출되므로, 쇼어 D 30 이상의 경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외관 눌림이나 스크래치를 방지한다. Since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has a hardnes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hore D 30, thereby preventing the appearance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and scratching.

한편, 제2 수지 조성물 도포 시, 기포가 발생 등에 의해 접착 불량이 발생할 경우, 제2 접착부(144)와 함께 제1 접착부(142)를 제거하여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을 분리하고, 도 4e와 도 4f의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제1 및 제2 접착부(142, 144)를 다시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resin composition is applied, if the adhesion failure occurs due to the occurrence of bubbles or the like,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is removed together with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44 to separate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And the steps of Figs. 4E and 4F are performe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ortions 142 and 144 agai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물성이 다른 제1 및 제2 접착부(142, 144)를 이용하여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을 부착함으로써, 기포 등에 의한 도포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포 불량은 갭 유지 부재(130)에 인접하여 주로 발생하는데, 도포 불량 발생 시 제1 접착부(142)만을 제거하면 되므로,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이드 실링부(1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을 손상 없이 분리할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120)을 재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are attached to each other using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ortions 142 and 144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defective coating due to bubbles or the like . In addition, the coating failure mainly occurs adjacent to the gap holding member 130, but only the first bonding portion 142 needs to be removed when the coating failure occurs, so that the separation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is facilitat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de sealing portion 112 from being damaged.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can be separated without being damaged,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 120 can be recycl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reduce the cost.

앞선 실시예에서는 커버 유닛이 헤밍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커버 유닛은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커버 유닛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ver unit has a hemming structure. However, the cover unit may have a different structure. The structure of the cov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커버 유닛을 제외한 구조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5A to 5C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except for the cover uni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sam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Is abbreviated or abbreviated.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측면에 사이드 실링부(112)가 형성된 표시패널(110)과, 표시패널(110) 배면 측에 위치하는 커버 유닛(320, 420, 520),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320, 420, 520) 사이의 갭 유지 부재(130), 그리고 갭 유지 부재(130) 외측의 접착 부재(140)를 포함한다. 접착 부재(140)는 갭 유지 부재(130)를 둘러싸는 제1 접착부(142)와 제1 접착부(142) 외측의 제2 접착부(144)를 포함한다.5A to 5C,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10 having a side sealing portion 112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 display panel 110 disposed on a back surfac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A gap holding member 130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units 320, 420 and 520 and an adhesive member 140 outside the gap holding member 130 do. The adhesive member 140 includes a first adhesive portion 142 surrounding the gap holding member 130 and a second adhesive portion 144 outside the first adhesive portion 142.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유닛(320)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가 안쪽으로 구부러진 이너 벤딩(inner bending)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cover unit 3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inner bending structure in which the end portion is curved inward as shown in FIG. 5A.

보다 상세하게, 커버 유닛(320)은 제1, 제2, 제3 부분(322, 324, 326)을 포함한다. 제1 부분(322)은 표시패널(110)의 배면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를 가지며, 제2 부분(324)은 제1 부분(322)과 평행하면서 중첩하고, 제3 부분(326)은 제1 부분(322)과 제2 부분(324)을 연결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ver unit 320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portions 322, 324, and 326. The first portion 322 has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second portion 324 is parallel to and overlapped with the first portion 322 and the third portion 326 overlaps the first And connects the portion 322 and the second portion 324.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320)의 제1 부분(322) 사이에는 구동부와 방열 부재, 보조 플레이트 및/또는 백라이트 유닛 등의 구성요소가 위치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제3 부분(326)의 길이를 조절하여 표시패널(110)과 제1 부분(3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Components such as a driving unit, a heat dissipating member, an auxiliary plate and / or a backlight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first portion 322 of the cover unit 320. Depending on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first portion 322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hird portion 326.

여기서, 제3 부분(326)은 제1 부분(322)으로부터 상부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지고, 제2 부분(324)은 제3 부분(326)으로부터 안쪽으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진다. 이때, 제3 부분(326)과 제1 부분(322)이 만나는 부분 및 제3 부분(326)과 제2 부분(324)이 만나는 부분의 외측면은 곡면을 이룬다. 이에 따라, 별도의 구성 요소 없이 커버 유닛(320)을 외부로 노출함으로써, 차별화되고 우수한 디자인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각진 모서리에 의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third portion 326 is bent substantially vertically upward from the first portion 322, and the second portion 324 is bent substantially vertically inwardly from the third portion 326. At this time, the portion where the third portion 326 and the first portion 322 mee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third portion 326 and the second portion 324 meet form a curved surface. Accordingly, by exposing the cover unit 320 to the outside without a separate compon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differentiated and excellent desig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by angled corners.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유닛(420)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가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아웃터 벤딩(outer bending)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ver unit 4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outer bending structure in which the end portion is curved outward as shown in FIG. 5B.

보다 상세하게, 커버 유닛(420)은 제1, 제2, 제3 부분(422, 424, 426)을 포함한다. 제1 부분(422)은 표시패널(110)의 배면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를 가지며, 제2 부분(424)은 제1 부분(422)과 평행하면서 이격되고, 제3 부분(426)은 제1 부분(422)과 제2 부분(424)을 연결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ver unit 420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portions 422, 424, and 426. The first portion 422 has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second portion 424 is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rtion 422, And connects the portion 422 and the second portion 424.

표시패널(110)과 커버 유닛(420)의 제1 부분(422) 사이에는 구동부와 방열 부재, 보조 플레이트 및/또는 백라이트 유닛 등의 구성요소가 위치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제3 부분(426)의 길이를 조절하여 표시패널(110)과 제1 부분(4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Components such as a driving unit, a heat dissipating member, an auxiliary plate and / or a backlight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first portion 422 of the cover unit 420. Depending on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first portion 422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hird portion 426.

여기서, 제3 부분(426)은 제1 부분(422)으로부터 상부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지고, 제2 부분(424)은 제3 부분(426)로부터 바깥쪽으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진다. 이때, 제3 부분(426)과 제1 부분(422)이 만나는 부분 및 제3 부분(426)과 제2 부분(424)이 만나는 부분의 외측면은 곡면을 이룬다. 이에 따라, 별도의 구성 요소 없이 커버 유닛(420)을 외부로 노출함으로써, 차별화되고 우수한 디자인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각진 모서리에 의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third portion 426 is bent substantially vertically upward from the first portion 422, and the second portion 424 is bent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outwardly from the third portion 426. At this time, the portion where the third portion 426 and the first portion 422 mee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third portion 426 and the second portion 424 meet form a curved surface. Thus, by exposing the cover unit 420 to the outside without a separate compon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differentiated and excellent design, and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by the angled edge.

한편, 제2 부분(424)의 측면에는 완충부(42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428)는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에 의한 표시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노출된 제2 부분(424)의 모서리를 없앰으로써, 사용자가 각진 모서리에 의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buffer part 428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part 424. The cushioning portion 428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prevent damage to the display device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by angled corners by eliminating the edges of the exposed second portion 424 can do.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유닛(520)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522)와 프레임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ver unit 5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ver portion 522 and a frame portion 524, as shown in Fig. 5C.

보다 상세하게, 커버부(522)는 표시패널(110)의 배면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를 가지고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표시패널(110)과 커버부(522) 사이에는 사각 틀 형태의 프레임부(524)가 위치한다. 커버부(422)는 백 커버나 버텀 커버일 수 있으며, 프레임부(524)는 미들 프레임이나 미들 캐비닛일 수 있다. 커버부(522)는 평판 형태의 수평면 이외에 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524)는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하여 'ㄱ'자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The cover portion 522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with a flat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portion 522, Shaped frame portion 524 is located. The cover portion 422 may be a back cover or a bottom cover, and the frame portion 524 may be a middle frame or a middle cabinet. The cover portion 522 may further include a side surface in addition to the horizontal surfac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In addition, the frame portion 524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and may have an A-shaped cross-section.

표시패널(110)과 프레임부(524)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패널(110)과 프레임부(524)의 수평부 사이에는 제1 갭 유지 부재(130)가 위치하며, 표시패널(110)과 프레임부(524)는 제1 갭 유지 부재(130) 외측에 형성된 접착부재(140)를 통해 고정된다. 제1 갭 유지 부재(130)는 일면에 접착성을 가지는 단면 테이프일 수 있으며, 접착성을 갖는 면이 프레임부(524)와 접촉할 수 있다. The first gap holding member 130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frame portion 524 and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524, And the frame portion 524 are fixed through the adhesive member 140 formed outside the first gap holding member 130. [ The first gap holding member 130 may be a single-sided adhesive tape having an adhesive property on one side thereof, and the adhesive surface may contact the frame portion 524.

또한, 커버부(522)와 프레임부(524)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부(522)와 프레임부(524)의 수평부 사이에는 제2 갭 유지 부재(560)가 위치한다. 제2 갭 유지 부재(560)는 일면에 접착성을 가지는 단면 테이프일 수 있으며, 접착성을 갖는 면이 커버부(522)와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522)와 프레임부(524)는 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A second gap holding member 560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portion 522 and the frame portion 524 and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cover portion 522 and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524. The second gap retaining member 560 may be a single-sided tape having an adhesive property on one side, and a surface having adhesive property may contact the cover portion 522. [ In this case, the cover portion 522 and the frame portion 524 can be fixed using fixing means (not shown) such as screws.

이와 달리, 제2 갭 유지 부재(560)는 양면에 접착성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버부(522)와 프레임부(524)는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 고정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gap retaining member 560 may be a double-sided tape having adhesive properties on both sides. In this case, the cover portion 522 and the frame portion 524 may be fixed to each other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Can be fix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접착 부재(140)의 구성은 다양한 구조를 갖는 커버 유닛(320, 420, 520)에 적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adhesive member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over units 320, 420, 520 having various structur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12: 사이드 실링부 120: 커버 유닛
122: 제1 부분 124: 제2 부분
130: 접착 부재 140: 접착 부재
142: 제1 접착부 144: 제2 접착부
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112: side sealing portion 120: cover unit
122: first part 124: second part
130: Adhesive member 140: Adhesive member
142: first bonding portion 144: second bonding portion

Claims (9)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하부의 커버 유닛과;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 유닛 사이의 갭 유지 부재와;
상기 갭 유지 부재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 유닛을 접착시키는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제1 접착부와 상기 제1 접착부 외측의 제2 접착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cover unit under the display panel;
A gap holding member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unit;
An adhesive member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gap holding member and adheres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unit
Lt; / RTI >
Wherein the adhesive member includes a first adhesive portion and a second adhesive portion outside the first adhesiv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의 저장 모듈러스는 상기 제2 접착부보다 작은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torage modulus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의 연신율은 상기 제2 접착부보다 큰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longation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부의 강도는 상기 제1 접착부보다 큰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trength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는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부는 투명한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onding portion includes a pigment or a dye,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is transpar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제1 접착부보다 두꺼운 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is thicker than the first bond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하면 및 상기 커버 유닛의 상면과 접촉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dhesiv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 및 상기 커버 유닛의 상면과 접촉하는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is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에 사이드 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사이드 실링부와 이격되거나 상기 사이드 실링부의 일부와 중첩하는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side sealing portion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first bond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sealing portion or overlaps with a part of the side sealing portion.
KR1020170115035A 2017-09-08 2017-09-08 Display Device KR1023618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035A KR102361850B1 (en) 2017-09-08 2017-09-0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035A KR102361850B1 (en) 2017-09-08 2017-09-08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58A true KR20190028058A (en) 2019-03-18
KR102361850B1 KR102361850B1 (en) 2022-02-10

Family

ID=6594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035A KR102361850B1 (en) 2017-09-08 2017-09-08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85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154A (en) * 2013-09-23 2015-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150063783A (en) * 2013-12-02 2015-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154A (en) * 2013-09-23 2015-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150063783A (en) * 2013-12-02 2015-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850B1 (en)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3337B2 (en) Display device
US10908646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869246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804983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11283042B2 (en) Display apparatus with heat sink layers
US845606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082998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module
TWI665648B (en) Supporting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56852B1 (en) Display device
KR102361850B1 (en) Display Device
KR20170077903A (en) Display Device
KR102366943B1 (en) Display Device
KR102507761B1 (en) Display Device
KR102078640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90065611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524141B1 (en) Flexible device
US20220108635A1 (en) Display device
US20230209870A1 (en) Display device
KR20230102326A (en) A display panel and a produting method thereof
KR10182635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6390536A (en) Display panel
KR20190063157A (en) Display Device
KR2013006358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70098184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039770A (en) Liquid crystal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