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903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903A
KR20170077903A KR1020150187386A KR20150187386A KR20170077903A KR 20170077903 A KR20170077903 A KR 20170077903A KR 1020150187386 A KR1020150187386 A KR 1020150187386A KR 20150187386 A KR20150187386 A KR 20150187386A KR 20170077903 A KR20170077903 A KR 20170077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main fram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3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9042B1 (en
Inventor
황재철
장원봉
신성의
박혜란
손아람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7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042B1/en
Publication of KR2017007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9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0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H01L51/56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상면에 홈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홈 내에 위치하는 수리 수단과,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며 상기 홈을 덮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여, 접착 불량이 발생할 경우, 수리 수단을 이용하여 접착부재를 절단함으로써 표시패널과 프레임을 분리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frame supporting an edge of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 groove on an upper surface; repair means located in the groove;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fixing member to the frame and covering the groove, wherein when the bonding failure occurs, the bonding member is cut by using the repairing means to separate the display panel and the frame.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0001]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좁은 베젤을 갖는 보더리스 구조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of a borderless structure having a narrow bezel.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해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FPD)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 등이 개발되어 널리 적용되고 있다. In view of the information age, the display field has also been rapidly developed. A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FPD) having the advantages of thinning,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age, )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OLED)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과 같은 휴대용 기기나, 컴퓨터의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등에 널리 이용되는데, 각 평판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다양한 케이스나 커버 등의 기구물을 통해 모듈화되고 제품화되어 공급된다. 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is widely used in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monitor of a computer, or a television. The display panel of each flat panel display device is modularized, manufactured, and supplied through various devices such as a case or a cover .

이때, 평판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가지며, 표시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는 케이스나 커버는 비표시 영역을 덮는다. 여기서, 비표시 영역을 덮는 케이스나 커버의 부분은 제품의 베젤(bezel) 영역이 된다. At this time, the display panel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has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non-display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and the case or the cover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covers the non-display area. Here, the case or the cover portion covering the non-display region is a bezel region of the product.

이러한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uch a bezel reg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20), 탑 케이스(30), 메인 프레임(40), 그리고 버텀 프레임(50)을 포함한다. 1,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10, a backlight unit 20, a top case 30, a main frame 40, and a bottom frame 50.

액정패널(10)은 하부기판(12)과 상부기판(14)을 포함하며, 두 기판(12, 14) 사이에는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한다. 하부기판(12) 아래에는 하부 편광판(18)이 배치되고, 상부기판(14) 위에는 상부 편광판(19)이 배치된다.The liquid crystal panel 10 includes a lower substrate 12 and an upper substrate 14 and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is disposed between the two substrates 12 and 14. A lower polarizer 18 is disposed under the lower substrate 12 and an upper polarizer 19 is disposed on the upper substrate 14.

액정패널(10) 하부에는 백라이트 유닛(20)이 위치하며, 백라이트 유닛(20)은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 반사시트(22)와 도광판(24) 그리고 광학시트(26)를 포함한다. 한편, 도광판(24)의 일측에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어셈블리(28)가 광원으로 배치된다. LED 어셈블리(28)는 LED 인쇄회로기판(28a)과 LED 패키지(28b)를 포함한다. A backlight unit 20 is disposed under the liquid crystal panel 10. The backlight unit 20 includes a reflective sheet 22 and a light guide plate 24 and an optical sheet 26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bottom. On the other h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ssembly 28 is disposed as a light source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24. The LED assembly 28 includes an LED printed circuit board 28a and an LED package 28b.

메인 프레임(40)이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20)의 측면을 둘러싸고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40)은 액정패널(10) 전면의 탑 케이스(30) 및 백라이트 유닛(20) 배면의 버텀 프레임(50)과 함께 결합되어 모듈을 이룬다.The main frame 40 surrounds the side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0 and the backlight unit 20. The main frame 40 is combined with the top case 30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0 and the bottom frame 50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cklight unit 20 to form a module.

이때, 탑 케이스(30)는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하며, 수평부는 액정패널(10)의 비표시 영역을 덮는다. 또한, 탑 케이스(30)의 수평부 하부에는 메인 프레임(40)과 LED 어셈블리(28) 등이 위치한다. At this time, the top case 30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covers the non-display reg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0. The main frame 40, the LED assembly 28, and the like are positioned below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top case 30.

이러한 탑 케이스(30)의 수평부는 제품의 베젤 영역이 되는데, 베젤 영역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불필요한 영역이 된다. 이러한 베젤 영역은 표시 영역에 비해 제품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제품의 외관을 저하시킨다.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top case 30 serves as a bezel region of the product, which is substantially unnecessary since the image is not displayed. Such a bezel area increases the size of the product compared to the display area and deteriorates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또한, 이러한 탑 케이스(30) 등의 기구물은 제품의 두께 및 무게를 증가시키게 된다. Further, the equipment such as the top case 30 increases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product.

따라서, 최근에는 탑 케이스(30) 등의 기구물을 생략하거나 최소화함으로써, 두께 및 무게를 줄이고 베젤 영역을 감소시키며, 동일한 크기의 표시장치에서 표시영역의 크기를 최대로 하여, 기구물의 노출 없이 깔끔한 외관을 갖는 보더리스(borderless) 제품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by omitting or minimizing the equipment such as the top case 3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and weight, reduce the bezel area, maximize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in the same size display device,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이를 위해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기구물 사이에 접착부재를 적용하는 구조가 제안되었으며, 접착부재는 강한 접착력에 의해 표시패널을 기구물 상에 고정시킨다.To this end, a structure is proposed in which an adhesive member is applied between a display panel and an instrument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adhesive member fixes the display panel on the instrument by a strong adhesive force.

그런데, 접착 불량이 발생할 경우, 접착부재의 강한 접착력으로 인해 표시패널과 기구물을 분리하기가 쉽지 않으며, 표시패널과 기구물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표시패널이나 백라이트 유닛의 광학시트 등에 손상이 가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접착 불량이 발생된 표시장치는 재활용되지 못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비용을 증가시킨다.
However, when the adhesion failure occurs,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display panel and the structure due to the strong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and the problem of damaging the optical sheet of the display panel or the backlight unit, etc., Occurs.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adhesion failure occurs can not be recycled, which lowers the productivity and increases the cos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표시장치의 접착 불량에 의한 생산성 저하 및 비용 증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a problem of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an increase in cost due to adhesion failure of a display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상면에 홈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홈 내에 위치하는 수리 수단과,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며 상기 홈을 덮는 접착부재를 포함하여, 접착 불량이 발생할 경우, 수리 수단을 이용하여 접착부재를 절단함으로써 표시패널과 프레임을 분리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frame supporting an edge of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 groov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bonding member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panel and the frame and fixes the display panel to the frame and covers the groove. When a bonding failure occurs, the bonding member is cut using a repairing means to separate the display panel and the frame.

이때, 홈의 단면은 사각형이나 곡면 모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 of the groove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shape or a curved shape.

본 발명에서는 탑 프레임을 생략하여 표시장치의 무게 및 두께를 줄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nd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by omitting the top frame.

또한, 베젤 영역을 감소시키고 보더리스 구조를 구현하여 디자인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zel area can be reduced and the borderless structure can be realiz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differentiate the desig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접착 불량이 발생할 경우, 손상 없이 표시패널과 기구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표시패널과 기구물을 재활용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dhesion failure occurs, separation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structure can be facilitated without any damage, and the display panel and the structure can be recycled,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reducing the cost.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배치된 메인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배치된 메인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재작업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의 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frame in which wires are arr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frame in which wires are arr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work proces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w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D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groove structure of a mai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상면에 홈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홈 내에 위치하는 수리 수단과,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며 상기 홈을 덮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frame supporting an edge of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 groove on an upper surface; repair means located in the groove; And an adhesive member for fixing the display panel to the frame and covering the groove.

상기 홈은 실질적으로 'P'자 모양을 가진다.The grooves have a substantially " P " shape.

상기 홈은 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홈은 적어도 일 측면이 경사질 수 있다.The groove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wherein at least one side of the groove may be inclined.

이와 달리, 상기 홈은 곡선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grooves may have a curved cross-section.

한편,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버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cklight unit for supplying light to the display panel, and a bottom frame on which the backlight unit is mounted and which is coupled with the frame, 1 and a second substrate, a liquid crystal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nd first and second polarizers respective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메인 프레임(140), 버텀 프레임(150), 접착부재(160), 그리고 와이어(170)를 포함한다.2 and 3,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110, a backlight unit 120, a main frame 140, a bottom frame 150, (160), and a wire (170).

액정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하며, 하부의 제1 기판(112)과, 상부의 제2 기판(114), 제1 및 제2 기판(112, 114)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제1 및 제2 기판(112, 114)의 외면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편광판(118, 119)을 포함한다.The liquid crystal panel 110 displays an image and includes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12 and the second substrate 114 a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2 and 114, And first and second polarizers 118 and 119,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2 and 114, respectively.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기판(112)의 내면에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고,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은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각 화소 영역에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전극이 위치한다.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gate wirings and data wiring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2, and gate wirings and data wirings are crossed to define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A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gate wiring and the data wiring and 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are disposed in each pixel region.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기판(114)의 내면에는 블랙 매트릭스와 컬러필터층이 형성된다. 블랙 매트릭스는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블랙 매트릭스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컬러필터층의 적, 녹, 청 컬러필터패턴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Although not shown, a black matrix and a color filter layer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114. The black matrix has openings corresponding to the pixel regions, and the red, green, and blue color filter patterns of the color filter layer are sequentially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openings of the black matrix.

이와 달리, 컬러필터층 또는 블랙 매트릭스와 컬러필터층은 제1 기판(112)의 내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lor filter layer or the black matrix and the color filter layer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2.

한편, 공통 전극이 제1 기판(112) 또는 제2 기판(114)에 형성되어 화소 전극 및 액정층과 함께 액정 커패시터를 이룬다. 예를 들어, 공통 전극은 화소 전극과 함께 제1 기판(112)의 화소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은 막대 형상 등으로 패턴되어 번갈아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통 전극은 제2 기판(114) 내면의 실질적으로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common electrode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2 or the second substrate 114 to form a liquid crystal capacitor together with the pixel electrode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For example, the common electrode may be formed in the pixel region of the first substrate 112 together with the pixel electrode. In this case, the common electrode and the pixel electrode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a pattern of a rod shape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common electrode may be formed on substantially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114.

제1 및 제2 편광판(118, 119)은 제1 기판(112) 및 제2 기판(114) 각각의 외면에 부착되어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킨다. 제1 편광판과 제2 편광판(118, 119)은 각각의 광투과축에 평행한 선편광만을 투과시키며, 제1 편광판(118)의 광투과축과 제2 편광판(119)의 광투과축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first and second polarizers 118 and 119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substrate 112 and the second substrate 114 to selectively transmit only specific light. The first polarizing plate 118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18 transmit only linearly polarized light parallel to the respective light transmission axes and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118 and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19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액정패널(110)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에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나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과 같은 연결부재(115)를 매개로 구동집적회로(driver integrated circuit: driver IC)가 부착되며, 구동집적회로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117)과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117)은 모듈화 과정에서 젖혀져 메인 프레임(140)의 측면 또는 버텀 프레임(150)의 배면에 놓인다.A driver integrated circuit (driver IC)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edg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via a connection member 115 such as a tape carrier package (TCP)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the driving integrated circuit is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PCB) 117. The printed circuit board 117 is folded in the modularization process and placed on the side of the main frame 140 or the back side of the bottom frame 150.

액정패널(110)의 하부에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배치되고, 백라이트 유닛(120)은 액정패널(110)에 빛을 공급한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반사시트(122)와, 도광판(124), 광학시트(126), 그리고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어셈블리(128)를 포함한다. A backlight unit 120 is disposed below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a backlight unit 120 supplies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he backlight unit 120 includes a reflective sheet 122, a light guide plate 124, an optical sheet 126,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ssembly 128.

LED 어셈블리(128)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으로서, 이러한 LED 어셈블리(128)는 LED 인쇄회로기판(128a)과 다수의 LED 패키지(128b)를 포함한다. LED 패키지(128b) 각각은 백색광을 방출하고, LED 인쇄회로기판(128a)의 일면에 장착되며, LED 인쇄회로기판(128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한다. 여기서는 LED 패키지(128b)가 한 줄로 배치된 구조를 제시하였으나, LED 패키지(128b)는 두 줄 또는 그 이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LED assembly 128 is a light source of the backlight unit 120. The LED assembly 128 includes an LED printed circuit board 128a and a plurality of LED packages 128b. Each of the LED packages 128b emits white ligh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LED printed circuit board 128a, and i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D printed circuit board 128a. He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LED packages 128b are arranged in one line is shown, but the LED packages 128b may be arranged in two or more lines.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으로 LED 어셈블리(128)를 예로 들었으나,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를 광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Here, the LED assembly 128 is used as a light source of the backlight unit 120, but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or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may be used as a light source.

LED 어셈블리(128)는 도광판(124)의 일측에 배치되는데, 도광판(124)의 장변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LED 어셈블리(128)는 도광판(124)의 단변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도 있다. 도광판(124)은, 다수의 LED 패키지(128a) 각각으로부터 출사되어 도광판(124)의 일측면을 통해 내부로 입사된 빛을 반사 및 굴절을 통해 전면(前面)으로 전달함으로써, LED 패키지(128a)로부터의 빛을 면광원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빛이 입사되는 도광판(124)의 일측면은 입광면이라 일컬어진다. The LED assembly 128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24, and may correspond to a long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24. Alternatively, the LED assembly 128 may be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ort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24. The light guide plate 124 transmits light that is emit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LED packages 128a through the one side 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4 to the inside thereof through reflection and refraction, As a surface light source. Here,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24 on which light is incident is referred to as a light incidence surface.

이러한 도광판(124)은 균일한 면광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면에 특정 형상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124)은, 도광판(124) 내부로 입사된 빛을 액정패널(110)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타원형 패턴(elliptical pattern), 다각형 패턴(polygon pattern), 홀로그램 패턴(hologram patter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은 도광판(124)의 배면에 인쇄방식 또는 사출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guide plate 124 may include a pattern of a specific shape on the back surface to supply a uniform surface light source. For example, the light guide plate 124 may have an elliptical pattern, a polygon pattern, a hologram pattern, or the like in order to guide light incident into the light guide plate 124 towar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 And the like. Such a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4 by a printing method or an injection method.

반사시트(122)는 도광판(124)의 배면에 위치하여, 도광판(124)의 배면을 통과한 빛을 액정패널(110)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빛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The reflective sheet 122 is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4 and reflects light passing through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4 towar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o improve the brightness of light.

도광판(124) 상부에는 광학시트(126)가 위치한다. 광학시트(126)는 확산시트와 적어도 하나의 집광시트 등을 포함하며, 도광판(124)을 통과한 빛을 확산 또는 집광하여 액정패널(110)로 보다 균일한 면광원이 입사 되도록 한다. 광학시트(126)는 도광판(124) 상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3 광학시트(126a, 126b, 126c)를 포함할 수 있다.An optical sheet 126 is positioned above the light guide plate 124. The optical sheet 126 includes a diffusion sheet and at least one light collecting sheet and diffuses or condenses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124 to allow a more uniform surface light source to be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he optical sheet 126 may include first to third optical sheets 126a, 126b, and 126c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light guide plate 124. [

일례로, 제1 및 제2 광학시트(126a, 126b) 각각은 집광시트이고, 제3 광학시트(126c)는 확산시트일 수 있다. 집광시트는 프리즘 패턴 또는 렌티큘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광학시트(126a)는 렌티큘러 패턴을 포함하고, 제2 광학시트(126b)는 프리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sheets 126a and 126b may be a light collecting sheet, and the third optical sheet 126c may be a diffusing sheet. The light condensing sheet may include a prism pattern or a lenticular pattern, the first optical sheet 126a including a lenticular pattern and the second optical sheet 126b including a prism pattern.

한편, 제3 광학시트(126c)는 휘도향상필름일 수도 있다. 휘도향상필름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층이 번갈아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optical sheet 126c may be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layer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re alternately laminated.

이러한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은 메인 프레임(140)과 버텀 프레임(150), 그리고 접착부재(160)를 통해 모듈화 된다.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the backlight unit 120 are modularized through the main frame 140, the bottom frame 150, and the adhesive member 160.

메인 프레임(140)은 사각의 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백라이트 유닛(120)의 측면을 둘러싸며, 메인 프레임(140)의 상부에는 액정패널(110)이 위치한다. 메인 프레임(140)의 단면은 역'L'자 모양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main frame 140 has a square shape and surrounds the side surface of the backlight unit 120.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s disposed on the main frame 140. [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frame 140 may be inverted 'L' shap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메인 프레임(140)은 상면에 홈(groove)(142)을 가진다. 홈(142) 내에는 와이어(170)가 위치하며, 와이어(170)는 메인 프레임(140)의 상면 위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와이어(170)의 직경은 약 0.3 mm일 수 있다. The main frame 140 has a groove 142 on its upper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 170 is located in the groove 142 and the wire 170 does not protrud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40. Here, the diameter of the wire 170 may be about 0.3 mm.

메인 프레임(140)과 액정패널(110) 사이에는 접착부재(160)가 위치한다. 접착부재(160)는 사각의 테 형상을 가지며, 액정패널(110)을 메인 프레임(140) 상에 고정한다. An adhesive member 160 is positioned between the main frame 14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he adhesive member 16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fixes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on the main frame 140.

여기서, 접착부재(160)는 액정패널(110)의 하면,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편광판(118)의 하면과 접촉한다. 이와 달리, 접착부재(160)는 액정패널(110)의 제1 기판(112)의 하면과 접촉할 수도 있으며, 접착부재(160)는 제1 기판(112)의 하면 및 제1 편광판(118)의 하면과 동시에 접촉할 수도 있다. Here, the adhesive member 16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more specifically,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118. The adhesive member 160 may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2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the adhesive member 160 may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olarizer 118. [ I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또한, 접착부재(160)는 메인 프레임(140)의 상면과 접촉하고, 홈(142) 및 와이어(170)를 덮는다. 이때, 와이어(170)는 접착부재(160)의 중심보다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와이어(170)를 기준으로 접착부재(160)의 외면까지의 거리는 접착부재(160)의 내면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Further, the adhesive member 16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40, and covers the groove 142 and the wire 170. At this time, the wire 170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center of the adhesive member 160. 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wire 17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160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160.

이와 달리, 와이어(170)는 접착부재(160)의 중심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도 있으며, 접착부재(160)에 대한 와이어(17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lternatively, the wire 170 may b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adhesive member 160, and the position of the wire 170 relative to the adhesive member 160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접착부재(160)는 탄성 접착제나 폼 패드(foam pad) 또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The adhesive member 160 may be an elastic adhesive, a foam pad, or a double-sided tape.

보다 상세하게, 접착부재(160)는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low modulus)과 높은 접착력(high adhesion)을 갖는 탄성 접착제일 수 있다. 탄성 접착제는 아크릴계 물질이나, 우레탄계 물질, 실리콘계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접착제의 접착력은 10kgf/cm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계수는 2.5 MPa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접착제의 폭은 2 mm이하이고 두께는 1 mm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탄성 접착제의 폭은 0.5 mm 내지 2 mm이하일 수 이고, 두께는 0.3 mm 내지 1 mm이하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dhesive member 160 may be an elastic adhesive having a relatively low modulus and high adhesion. The elastic adhesive may include an acrylic material, a urethane material, a silicone material, or a mixture thereof. The adhesive force of the elastic adhesive is preferably 10 kgf / cm 2 or more, and the elastic modulus is preferably 2.5 MPa or less. The width of the elastic adhesive is preferably 2 mm or less and the thickness is 1 mm or less. Preferably, the width of the elastic adhesive may be 0.5 mm to 2 mm, and the thickness may be 0.3 mm to 1 mm or less.

또한, 폼 패드와 양면 테이프는 베이스 기재와 베이스 기재 양면의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Further, the foam pad and the double-sided tape include a base material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of the base material.

폼 패드의 베이스 기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일례로, 베이스 기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나, 폴리아크릴(polyacryl),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폼 패드는 2.5 mm 내지 5 mm의 폭을 가지며, 0.8 mm 내지 1.5 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The base substrate of the foam pa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For example, the base substrate may be made of polyethylene, polyacryl, or polyurethane. These foam pads have a width of 2.5 mm to 5 mm and can have a width of 0.8 mm to 1.5 mm.

한편, 양면 테이프의 베이스 기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면 테이프의 점착층은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base material of the double-sided tape may be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the adhesive layer of the double-sided tape may be made of an acrylic material or a silicon material.

버텀 프레임(150)은 백라이트 유닛(120)이 안착되는 수평면과 이에 수직한 측면을 포함한다. 버텀 프레임(150)의 일 측면의 안쪽에는 LED 어셈블리(128)가 위치한다. The bottom frame 150 includes a horizontal surface on which the backlight unit 120 is mounted and a side surface perpendicular thereto. An LED assembly 128 is positioned inside one side of the bottom frame 150.

버텀 프레임(150)은 메인 프레임(140)과 결합되어, 액정표시장치를 모듈화한다. The bottom frame 150 is coupled with the main frame 140 to modulate the liquid crystal display.

여기서, 메인 프레임(140)은 가이드 패널이나 메인 서포트라 일컬어지기도 하며, 버텀 프레임(150)은 버텀 케이스 또는 버텀 커버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Here, the main frame 140 may be referred to as a guide panel or main support, and the bottom frame 150 may be referred to as a bottom case or a bottom cover.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접착부재(160)를 통해 액정패널(110)과 메인 프레임(140)을 고정하므로, 탑 프레임을 생략하여 베젤 영역을 감소시키고 보더리스(borderless)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the main frame 140 through the adhesive member 160 so that the top frame is omitted to reduce a bezel area and a borderless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접착 불량이 발생할 경우, 메인 프레임(140)의 홈(142) 내에 위치하는 와이어(170)에 의해 손상 없이 액정패널(170)과 메인 프레임(140)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dhesion failure occurs, the liquid crystal panel 170 and the main frame (not shown) are damaged by the wire 170 positioned in the groove 142 of the main frame 140, 14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cycled.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4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140)은 사각의 테 형상을 가지며, 상면에 홈(142)을 가진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main frame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quare tee shape and has grooves 142 on its upper surface.

홈(142)은 제1, 제2, 제3, 제4 부분(142a, 142b, 142c, 142d)을 포함한다. 제1, 제2, 제3, 제4 부분(142a, 142b, 142c, 142d)은 시계방향을 따라 메인 프레임(140)의 네 변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제1 부분(142a)은 제3 부분(142c)과 마주 대하고, 제2 부분(142b)은 제4 부분(142d)과 마주 대하며, 제2 부분(142b)과 제4 부분(142d)은 제1 및 제3 부분(142a, 142c) 사이에 위치한다. The groove 142 include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ortions 142a, 142b, 142c and 142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ortions 142a, 142b, 142c, and 142d correspond to the four sides of the main frame 140 along the clockwise direction. The first portion 142a faces the third portion 142c and the second portion 142b faces the fourth portion 142d while the second portion 142b and the fourth portion 142d face each othe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portions 142a, 142c.

여기서, 제1 부분(142a)의 길이는 제3 부분(142c)의 길이보다 길고, 제2 부분(142b)의 길이는 제4 부분(142d)의 길이와 같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제4 부분(142a, 142b, 142c, 142d)은 실질적으로 'P'자 모양을 이룰 수 있다. Here, the length of the first portion 142a is longer than that of the third portion 142c,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142b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fourth portion 142d. Thu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ortions 142a, 142b, 142c, and 142d may be substantially 'P' shaped.

이러한 홈(142)을 갖는 메인 프레임(14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ain frame 140 having the grooves 142 may be made of polycarbonate.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배치된 메인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배치된 메인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5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frame in which wires are arr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frame in which wires are arr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170)가 메인 프레임(140)의 홈(142) 내에 배치된다. As shown in Figs. 5A and 5B, a wire 170 is disposed in the groove 142 of the main frame 140. Fig.

여기서, 와이어(170)는 홈(142)의 제1 내지 제4 부분(도 4a의 142a, 142b, 142c, 142d)을 따라 실질적으로 'P'자 모양을 배치된다. 이때, 제1 부분(도 4a의 142a)에 대응하는 와이어(170)는 제1 부분(도 4a의 142a)의 길이보다 길며, 메인 프레임(14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진다. Here, the wire 170 is arranged substantially in a 'P' shape along the first to fourth portions of the groove 142 (142a, 142b, 142c and 142d in FIG. 4A). At this time, the wire 170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rtion (142a in FIG. 4A)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portion (142a in FIG. 4A) and ha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main frame 140.

이러한 와이어(170)의 돌출부는 추후 접착 불량 검사 후 접착부재(도 3의 160) 제거에 사용되거나 제거된다.
The protrusion of the wire 170 is used or removed to remove the adhesive member (160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재작업(rework)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work proces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w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홈(도 5a의 142)을 갖는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을 준비한다(st1). 홈(도 5a의 142)은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을 형성 시 함께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을 형성 후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6, a main frame (140 in Fig. 5A) having grooves (142 in Fig. 5A) on the upper surface is prepared (st1). The groove (142 of FIG. 5A)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main frame (140 of FIG. 5A)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fter forming the main frame (140 of FIG. 5A).

이어,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의 홈(도 5a의 142) 내에 와이어(도 5a의 170)를 실장한다(st2). 이때, 와이어(도 5a의 170)는 일단에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진다. Next, a wire (170 in Fig. 5A) is mounted in the groove (142 in Fig. 5A) of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st2). At this time, the wire (170 in Fig. 5A) ha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at one end.

다음,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의 상면에 접착부재(도 3의 160)를 형성한다(st3). 접착부재(도 3의 160)는 홈(도 5a의 142)과 와이어(도 5a의 170)을 덮으며,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의 상면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Next, an adhesive member (160 in Fig. 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st3). The adhesive member 160 (Fig. 3) covers the groove (142 in Fig. 5A) and the wire (170 in Fig. 5A) and may have a width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top surface of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여기서, 접착부재(도 3의 160)는 탄성 접착제나 폼 패드 또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접착부재(도 3의 160)가 탄성 접착제일 경우,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의 상면을 따라 접착 수지를 도포하고 경화하여 접착부재(도 3의 160)를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adhesive member (160 in Fig. 3) may be an elastic adhesive, a foam pad, or a double-sided tape. When the adhesive member (160 in Fig. 3) is a resilient adhesive, adhesive resin may be applied and cur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to form an adhesive member (160 in Fig. 3).

다음, 접착부재(도 3의 160) 상부에 액정패널(도 3의 110)을 배치하고 접착부재(도 3의 160)를 통해 액정패널(도 3의 110)을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에 부착한다(st4). 이때,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의 하부 또는 내측에는 백라이트 유닛(도 3의 120)이 배치될 수 있다.Next, a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3) is disposed on the adhesive member (160 in Fig. 3)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3) (St4). At this time, a backlight unit (120 of FIG. 3)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or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다음, 액정패널(도 3의 110)과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의 접착이 불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t5).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adhesion between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3) and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is defective (st5).

액정패널(도 3의 110)과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의 접착이 불량으로 판단될 경우, 와이어(도 5a의 170)를 이용하여 접착부재(도 3의 160)를 절단(st6)하여 액정패널(도 3의 110)과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을 분리한다. 이때, 와이어(도 5a의 170)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와이어(도 5a의 170)를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의 외측으로 당겨 접착부재(도 3의 160)를 끊어낸다. 여기서, 접착부재(160)의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와이어(도 5a의 170)는 접착부재(도 3의 160)의 중심보다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adhesion between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3) and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is judged to be defective, the bonding member (160 in FIG. 3) is cut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3) and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are separated. At this time, the wire (170 in Fig. 5A) is pulled out of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using the protrusion of the wire (170 in Fig. Here, the wire (170 in Fig. 5A) may be located inside the center of the adhesive member (160 in Fig. 3) so that the adhesive member 160 can be easily cut.

따라서, 액정패널(도 3의 110)이나 백라이트 유닛에 손상을 주지 않고 손쉽게 접착부재(도 3의 160)를 절단하여 액정패널(도 3의 110)과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을 분리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dhesive member (160 in Fig. 3) can be easily cut without damaging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3) or the backlight unit to separate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3) and the main frame .

한편, 분리된 액정패널(도 3의 110)이나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에 남아있는 접착부재(도 3의 160)는 힘을 가하는 물리적인 방법이나 용제를 이용한 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Meanwhile, the adhesive member (160 in FIG. 3) remaining on the separated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3) or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is removed by a physical method of applying a force or a chemical method using a solvent .

이어, 다시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의 상면에 접착부재(도 3의 160)를 형성(st3)하여 추후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달리, 다시 와이어(도 5a의 170)를 실장(st2)하여 추후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Subsequently, an adhesive member (160 in Fig. 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to perform a subsequent step (st3). Alternatively, the wire may be mounted (st2 in FIG. 5A) again to perform a later step.

반면, 액정패널(도 3의 110)과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의 접착이 불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와이어(도 5a의 170)의 돌출부를 절단한다(st7).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dhesion between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3) and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is not bad, the protrusion of the wire (170 in FIG. 5A) is cut off (st7).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접착 불량이 발생할 경우, 메인 프레임(도 5a의 140)의 홈(도 5a의 142) 내에 위치하는 와이어(도 5a의 170)에 의해, 액정패널(도 3의 110)이나 백라이트 유닛(도 3의 120)의 손상 없이 접착부재(도 3의 160)를 쉽게 제거하여, 액정패널(도 3의 110)이나 백라이트 유닛(도 3의 120)을 재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5A) by the wire (170 in FIG. 5A) located in the groove (142 in FIG. 5A) of the main frame (140 in FIG. 5A) in the case of adhesion failu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member (160 in FIG. 3)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damaging the backlight unit (110 in FIG. 3) or the backlight unit (120 in FIG. 3)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3) or the backlight unit (120 in FIG. 3) can be recycled. As a result, the productiv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be increas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이때, 접착부재(도 3의 160)의 전단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와이어(도 5a의 170)의 직경은 접착부재(도 3의 160)의 폭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 접착부재(도 3의 160)의 폭을 2 mm로 하였을 때, 와이어(도 5a의 170)의 직경은 1 mm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m이고, 이 경우 접착부재(도 3의 160)의 전단 접착력은 약 35 kgf/cm2로 와이어(도 5a의 170)가 없는 경우와 비슷한 접착력을 나타낸다.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wire (170 in Fig. 5A) is preferably not more than 1/2 of the width of the adhesive member (160 in Fig. 3) so that the shear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160 in Fig. 3) When the width of the member (160 in Fig. 3) is set to 2 mm, the diameter of the wire (170 in Fig. 5A) is 1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5 mm. In this case, The shear adhesive force is about 35 kgf / cm < 2 > and exhibits an adhesive force similar to that in the case of no wire (170 in Fig. 5A).

여기서, 와이어(도 5a의 170)가 액정표시장치의 재작업을 위해 사용되었으나, 접착부재(도 3의 160)를 절단할 수 있는 다른 수리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Here, although the wire (170 in Fig. 5A) is used for rework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other repair means capable of cutting the adhesive member (160 in Fig. 3) may be used.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의 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와이어를 함께 도시한다.7A to 7D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groove structure of a mai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wires together.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40)의 홈(142)은 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와이어(170)가 메인 프레임(140)의 상면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홈(142)의 깊이는 와이어(170)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7A, the groove 142 of the main frame 14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At this time, the depth of the groove 142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170 so that the wire 170 does not protrud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40.

또는,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40)의 홈(142)은 적어도 일 측면, 바람직하게는, 메인 프레임(140)의 외측을 향하는 측면이 경사진 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40)의 홈(142)은 양 측면이 경사진 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7B, the groove 142 of the main frame 14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at least on one side, preferably on the side facing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140.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7C, the groove 142 of the main frame 14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in both sides.

이때, 홈(142)의 하단 폭은 와이어(17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고, 상단 폭은 와이어(170)의 직경보다 클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width of the groove 142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170, and the upper end width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170.

또는,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40)의 홈(142)은 곡선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7D, the groove 142 of the main frame 140 may have a curved cross-section.

메인 프레임(140)의 홈(142)의 단면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와이어(170)가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142 of the main frame 14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in which the wire 170 can be disposed.

앞선 실시예에서는 메인 프레임이 상면에 홈을 가지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접착부재를 통해 표시패널을 고정시키는 어떠한 기구물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때, 표시패널을 고정시키는 기구물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구물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main frame has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ny apparatus for fixing the display panel through the adhesive member. At this time, the fixture for fixing the display panel may be made of aluminum, and the material of the fixture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조는 다른 표시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일례로, 본 발명의 구조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나 퀀텀 로드 표시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lthough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been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other display devices. For example,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r a quantum rod display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10: 액정패널 112: 제1기판
114: 제2기판 118: 제1편광판
119: 제2편광판 115: 연결부재
117: 인쇄회로기판 120: 백라이트 유닛
122: 반사시트 124: 도광판
126: 광학시트 128: LED 어셈블리
140: 메인 프레임 142: 홈
150: 버텀 프레임 160: 접착부재
170: 와이어
110: liquid crystal panel 112: first substrate
114: second substrate 118: first polarizer
119: second polarizing plate 115: connecting member
117: printed circuit board 120: backlight unit
122: reflective sheet 124: light guide plate
126: optical sheet 128: LED assembly
140: Main frame 142: Home
150: bottom frame 160: adhesive member
170: wire

Claims (9)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상면에 홈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홈 내에 위치하는 수리 수단과;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며 상기 홈을 덮는 접착부재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frame supporting an edge of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 groov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Repair means located in said groove;
An adhesive member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frame and fixes the display panel to the frame and covers the groov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서로 연결된 제1, 제2, 제3, 제4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3 부분과 마주 대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4 부분과 마주 대하며, 상기 제1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3 부분의 길이보다 긴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ooves includ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ortion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portion facing the third portion, the second portion facing the fourth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first por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hird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일끝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과 일치하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one end of the first portion coincides with one side of the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4 부분의 길이와 같은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fourth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갖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oove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적어도 일 측면이 경사진 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갖는 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groove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t least one side inclin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곡선 형태의 단면을 갖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oove has a curved cross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실질적으로 'P'자 모양을 갖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oove has a substantially " P " shap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버텀 프레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외면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backlight unit for supplying light to the display panel;
The backlight unit is seated, and a bottom frame
Further comprising: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each other, a liquid crystal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first and second polarizing plates disposed respectively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
KR1020150187386A 2015-12-28 2015-12-28 Display Device KR1024590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86A KR102459042B1 (en) 2015-12-28 2015-12-2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86A KR102459042B1 (en) 2015-12-28 2015-12-28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903A true KR20170077903A (en) 2017-07-07
KR102459042B1 KR102459042B1 (en) 2022-10-26

Family

ID=5935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386A KR102459042B1 (en) 2015-12-28 2015-12-28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04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6979A (en) * 2019-09-29 2020-01-0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Display device
CN114527590A (en) * 2022-03-03 2022-05-24 安徽世阳光电有限公司 Assembling and laminating equipment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backlight module
US11561422B2 (en) * 2019-11-29 2023-01-24 Hefei Xinsheng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module and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831U (en) * 1997-01-23 1998-10-15 김광호 LCD Display
KR20030006103A (en) * 2001-07-11 2003-01-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Structure for installing backlight lamp wire in liquid cristal display(LCD)
KR20050088626A (en) * 2004-03-02 2005-09-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60012202A (en) * 2004-08-02 2006-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Flat panel display device
KR20070068120A (en) * 2005-12-26 2007-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mold frame
KR20090103576A (en) * 2008-03-28 2009-10-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30021201A (en) * 2011-08-22 2013-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40022154A (en) * 2012-08-13 2014-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831U (en) * 1997-01-23 1998-10-15 김광호 LCD Display
KR20030006103A (en) * 2001-07-11 2003-01-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Structure for installing backlight lamp wire in liquid cristal display(LCD)
KR20050088626A (en) * 2004-03-02 2005-09-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60012202A (en) * 2004-08-02 2006-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Flat panel display device
KR20070068120A (en) * 2005-12-26 2007-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mold frame
KR20090103576A (en) * 2008-03-28 2009-10-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30021201A (en) * 2011-08-22 2013-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40022154A (en) * 2012-08-13 2014-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6979A (en) * 2019-09-29 2020-01-0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Display device
CN110646979B (en) * 2019-09-29 2022-02-1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Display device
US11561422B2 (en) * 2019-11-29 2023-01-24 Hefei Xinsheng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module and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CN114527590A (en) * 2022-03-03 2022-05-24 安徽世阳光电有限公司 Assembling and laminating equipment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backlight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042B1 (en)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670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933644B2 (en) Display module and multi-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792252B2 (en) Display apparatus
US8253887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04676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50449B1 (en) Borderless-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477124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US8508687B2 (en) Display device
US11181762B2 (en) Display device
KR10195083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KR101797001B1 (en) Acf, fabricating method of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fpd module inculding the display panel
KR20170077903A (en) Display Device
JP2015084001A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9939695B2 (en) Display device
KR20130035120A (en) Backlight unit and lcd moudule inclulding the same
KR10180391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3276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95553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dhesive Patter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791538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11637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cklight unit assembly and a bottom cover
KR102328942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069145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50000186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90055206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KR101830442B1 (en) Backlight unit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