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269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269A
KR20190027269A KR1020170114119A KR20170114119A KR20190027269A KR 20190027269 A KR20190027269 A KR 20190027269A KR 1020170114119 A KR1020170114119 A KR 1020170114119A KR 20170114119 A KR20170114119 A KR 20170114119A KR 20190027269 A KR20190027269 A KR 20190027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vane
air
base pane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2956B1 (en
Inventor
조흠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4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956B1/en
Publication of KR20190027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2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9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for accommodating a blowing fan for forcing a flow of air and a heat exchanger in which air flowing by the blowing fan and a refrigerant exchange heat with each other; a base panel having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is sucked, and a discharge port which is opened downwards to discharge the heat-exchanged air from the heat exchanger; a first vane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 second vane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base panel to be rotatable; a first link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base panel to be rotatable; a motor rotating the first link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panel; a second link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base panel to be rotatable,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a third link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vane to be rotatable.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크로 연결되는 베인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vane connected by a link.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유동하며 냉방, 난방, 청정 또는 가습하여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계절에 따른 기후 조건과 실내 환경 등에 따라 최적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방 기능이나 난방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것으로서, 스탠드형과 벽걸이형 그리고 액자형과 천장 카세트형 등과 같이 실내기와 실외기가 서로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분리형과,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화된 창문형과 같은 일체형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군이 출시되고 있다.Th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changes the air conditioner into a pleasant environment by cooling, heating, cleaning or humidifying the air. The air conditioner mainly performs the cooling function and the heating function to maintai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the seasonal weather conditions and the indoor environment. The air conditioner has indoor and outdoor units such as a stand type and a wall type, and a frame type and a ceiling cassette type. Various types of product groups such as a detachable type which is install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n integral type such as a window type in which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re integrated are being released.

천장 카세트형의 경우, 토출구에 배치된 베인이 하우징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주로 천정면의 대각방향으로 토출된다. 이 경우, 해당공간에서 활동하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공기가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체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냉방병을 유발하거나,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In the case of the ceiling cassette type, a vane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is mainly discharg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ceiling surfac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air is directly discharged to a user who is active in the space, which causes discomfort to the user, directly affects the body temperature, causes air-cooling disorder, or causes dry eye syndrome.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04471호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거나, 토출구를 가리는 베인 이외에 별도의 바람가리개를 포함하여, 특정지역으로 공기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바람가리개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지역으로 공기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04471 disclose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flow direction of discharged air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or to prevent concentration of air to a specific area, including a windshield in addition to a vane for covering the discharge port . However, when such a wind shield is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centration of air to a specific area,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nd direction range of the air to be discharged is limi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특정 지역에 냉풍 또는 온풍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prevents cold wind or warm air from concentrating in a specific are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풍향조절범위를 극대화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maximizes a range of a wind direction control.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냉매가 서로 열교환되는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바디부; 상기 송풍 팬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측으로 개방된 토출구가 형성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베인;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베인; 상기 제1베인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제1베인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베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를 포함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를 넓힌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blowing fan for forcing a flow of air; a body accommodating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air and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blowing fan; A base panel having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is sucked and a discharge port which opens downward to discharge heat-exchanged air in the heat exchanger; A first vane for adjus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 second vane in which one side of the second vane is rotatably fixed to the base panel, the direction of the air being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being adjusted; A first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base panel; A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link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panel; A secon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base panel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a thir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vane to widen the airflow range of the air to be discharged.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기 제2링크가 연결되는 측면부에는, 상기 제2링크의 회전시 상기 제2링크의 길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링이 설치되어, 제2링크의 길이를 조절하여 베인을 수직풍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A guide lin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is formed at a side portion of the base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to which the second link is connected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second link, A guide ring that moves along the guide line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so that the vane may be arranged to discharge air in a vertical air flow.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와 다른 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를 넓힌다.The first link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to rotate on a different plane from the second link to widen the airflow range of the air to be discharged.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베인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1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천정면으로 토출할 수 있다.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vane is horizontally disposed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a horizontal wind, the first van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port, It can be ejected in fron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베인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2베인은 상기 제1베인의 내측단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천정면으로 토출할 수 있다.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vane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to a horizontal wind, the second vane is inclined so as to face the inner end of the first van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ceiling surface.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1베인의 일부는 상기 토출구 상측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베인의 일부는 상기 토출구 하측에 위치되게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천장 또는 지면에 수직하게 토출할 수 있다. Wherein wh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vertically arranged on the ceiling or the ground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vertical air, a part of the first vane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A part of the second vane may be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 to discharge the discharged air vertically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은 평행하게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천장 또는 지면에 수직하게 토출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vertically arranged on the ceiling or the ground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to vertical wind,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arranged in parallel, The air can be discharged vertically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어, 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vertically arranged on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to a vertical air flow,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arranged so as to cross each other,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상기 베이스패널은 상기 바디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1베인은 상기 토출유로의 내측방향에 배치된 토출가이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베인은 상기 토출유로의 외측방향에 배치된 토출가이드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Wherein the base panel includes a discharge guide which forms a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air flowing in the body portion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vertically arranged on the ceiling or the ground, Wherein the first van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e guide dispos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second van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e guide dispos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So that the vane can be placed perpendicular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상기 제1링크과 상기 제2링크의 이동으로 상기 제1베인은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으로 토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베인이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배치에서, 상기 제1링크의 중심을 따라 형성된 가상의 직선(CL1)과, 제1링크연결홀의 중심과 상기 제2링크연결홀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CC) 사이에 형성되는 제1링크경사각이 증가한다.The first vane can discharge the air to be discharged in a horizontal wind, a middle wind, and a vertical win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nd the first vane can blow air with a horizontal wind, a middle wind, A virtual straight line CL1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first link and an imaginary straight line CC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link connection hole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link connection hole, 1 Link inclination angle increases.

상기 제1링크경사각은 상기 제1베인이 수직풍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배치에서, 우각을 형성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천장 또는 지면에 수직하게 토출할 수 있다.The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may be a right angle in the arrangement in which the first vane discharges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ischarged air can be discharged vertically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3링크 사이에 배치되어, 제1링크, 제2링크 및 제3링크가 서로 회전시 간섭되지 않아, 제1베인과 제2베인의 이동반경이 넓어질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link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ink and the third link such that the first link, the second link, and the third link are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link, the second link, and the third link are rotated, Can b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1베인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베인판; 및 상기 제1베인판의 단부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가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는 상기 링크연결부와 상기 베이스패널의 측면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1베인이 토출구를 완전히 닫을 수 있다. The first van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ane plate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nd a first link connection part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vane plate and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wherei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connected to the link connection part and the base panel And the first vane can completely close the discharge port.

제1베인의 상기 제1링크연결부는 상기 제1베인판에서 내측과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 되어, 베인의 이동범위를 증가시킨다.The first link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vane is formed to project inwardly and upwardly from the first vane plate in an inclined manner to increase the moving range of the vane.

베인의 상기 제1링크연결부에는, 상기 제1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홀과 상기 제2링크와 연결되는 제2링크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연결홀은 상기 제1베인판의 내측단부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베인의 이동범위를 증가시킨다.Wherein the first link connection portion of the vane is formed with a first link connection hol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connection hole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So that the moving range of the vane is increased.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2베인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2베인판; 상기 제2베인판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패널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베인판을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회전부; 및 상기 제2베인판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3링크와 연결되는 제2링크연결부를 포함하여, 제2베인이 제1베인과 연계하여 회전할 수 있다. The second van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vane plate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 fixed rotation part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second vane plate toward the base panel and rotatably connecting the second vane plate to the base panel; And a second link connection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second vane plate and connected to the third link, so that the second vane can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vane.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은 회전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제1베인과 제2베인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arr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during rotation, so that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can stably move.

상기 제1링크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형성된 상기 제1링크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제1패널연결부; 일측에서 상기 제1패널연결부와 연결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3링크에 연결되는 제1링크바; 상기 제1링크바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베인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베인연결부; 및 상기 제1링크바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링크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연결부를 포함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를 넓힌다.The first link may include a first panel connecting portion disposed on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link formed on the base panel and connected to the motor; A first link bar connected to the first panel connecting portion at one side and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third link, respectively; A first vane connection portion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link ba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a third link connecting portion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ba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link to widen the airflow range of the air to be discharged.

상기 제1링크, 상기 제2링크 및 상기 제3링크의 이동으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은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으로 토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이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배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링크의 상기 제1패널연결부가 형성하는 회전축과 상기 제3링크연결부가 형성하는 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CL3)과 상기 제3링크의 중심을 따라 형성된 가상의 직선(CL4) 사이에 형성되는 제3링크경사각이 증가한다.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can discharge the air to be discharged in a horizontal wind, a middle wind, and a vertical win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link, the second link, and the third link, Wherein when the second vane moves in an arrangement for discharging air in a horizontal wind, a middle wind, and a vertical wind, a rotation axis formed by the first panel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link and a rotation axis formed by the third link connection portion The third link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the imaginary straight line CL3 and an imaginary straight line CL4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third link increases.

상기 제2링크는, 상기 베이스 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로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링크로드와 연결되며, 상기 제1베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링은 상기 링크실린더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2링크가 회전하면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The second link includes: a link ro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And a link cylinder connected to the link rod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wherein the guide ring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nk cylinder, Can be varied.

상기 제2링크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형성된 상기 제2링크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패널에 연결되는 제2패널연결부; 상기 제1베인에 형성된 상기 제2링크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베인과 연결되는 제2베인연결부; 및 상기 제2패널연결부와 상기 제2베인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링크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베인연결부는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링크바 사이에 상기 제1링크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2링크바를 상기 제1베인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하여, 제1베인의 이동범위와 회전반경을 넓힐 수 있다. The second link includes: a second panel connection part dispos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link formed on the base panel and connected to the base panel; A second vane connection portion disposed on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link formed in the first vane and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a second link bar connecting the second panel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van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vane connecting portion forms a space in which the first link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link bar The second link bar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vane to widen the range of movement and radius of rotation of the first van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 및 하측으로 형성된 토출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베인;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베인; 상기 제1베인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제1베인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베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를 포함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를 넓힌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formed at a lower side;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 blowing fan for sucking air from the suction por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to perform heat exchange,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discharge port; A first vane for adjus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 second vane in which one side of the second vane is rotatably fixed to the base panel, the direction of the air being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being adjusted; A first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base panel; A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link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panel; A secon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base panel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a thir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vane to widen the airflow range of the air to be discharg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베인은 베이스패널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2개의 링크를 통해 베이스 패널과 연결되어 천정면에 수평한 수평풍을 형성할 수 있어, 특정지역으로 토출공기가 집중됨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줄 수 있는 불쾌감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v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but can be connected to the base panel through two links to form a horizontal horizontal wind on the ceiling surface. As a result, To minimize the discomfort that can be given to the user.

둘째, 베인을 베이스패널에 연결하는 2개의 링크가 서로 다른평면상에서 회전하여 베인은 수직풍에서 수평풍까지 다양한 범위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Second, the two links connecting the vanes to the base panel rotate on different planes, and the vanes can also discharge air in various ranges from vertical to horizontal.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제1링크는 가이드라인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어, 베인이 배치되는 각도의 범위를 넓혀, 풍향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ird, the first l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is variable along the guide line, the range of angles where the vanes are arranged is widened, and the wind direction range is maximize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과 베이스패널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의 가이드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의 가이드라인과 제2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제2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중 정지상태의 베인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중 수평풍을 토출하는 베인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중 중간풍을 토출하는 베인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중 수직풍을 토출하는 베인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는 도 14b의 베인의 배치에 따른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 및 풍량을 나타낸 기류해석결과이다.
도 15b는 도 14c의 베인의 배치에 따른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 및 풍량을 나타낸 기류해석결과이다.
도 15c는 도 14d의 베인의 배치에 따른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 및 풍량을 나타낸 기류해석결과이다.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vane and a bas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lin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FIG. 4B.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v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v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guide line of a bas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guide line and a second link of a bas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econd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to 12C are views for explaining a second link having a variable l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A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vane in a stationary state in the drawing for explaining operation of a v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B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vanes for discharging horizontal win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C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vanes for discharging the intermediate wind in the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D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vanes for discharging vertical wind in the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A is a result of airflow analysis showing the wind direction and the air flow rate of the discharged ai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vanes in FIG. 14B.
Fig. 15B shows the results of the airflow analysis showing the wind direction and the wind amount of the discharged ai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vanes in Fig. 14C.
Fig. 15C shows the results of the airflow analysis showing the wind direction and the wind amount of the discharged ai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vanes in Fig. 14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조화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천장(1)과 그 하부에 배치된 천장 마감재(3) 사이에 배치되는 바디부(10)와, 바디부(10)의 저면 외관에 배치되는 베이스패널(1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100)은 바디부(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1 and 2,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10 disposed between a ceiling 1 and a ceiling finishing material 3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 And a base panel 100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The base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10 or may have a separate structure.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1개의 공기 흡입구(102)와 4개의 공기 토출구(104)를 갖는 4way 공기 조화기로 구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1개의 공기 흡입구(102)와 1개의 공기 토출구(104)를 갖는 1way 공기 조화기로 이루어지거나, 1개의 공기 흡입구(102)와 2개의 공기 토출구(104)를 갖는 2way 공기 조화기로 이루어지거나 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4-way air conditioner having one air inlet 102 and four air outlet 104. However, this is an example of a single air conditioner having one air inlet 102 and one air outlet 104, or one air inlet 102 and two air outlets 104 It may be a 2way air conditioner.

1way 공기 조화기로 이루어질 경우 송풍모듈(12)과 열교환기(18)는 바디부(10) 내부에 좌우 혹은 전후 배치되고, 4way 공기 조화기로 이루어질 경우 열교환기(18)가 송풍모듈(12)의 둘레 주변에 송풍모듈(12)을 둘러싸듯이 배치된다.Way air conditioner, the air blowing module 12 and the heat exchanger 18 are disposed inside the body 10 in the left or right or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the air conditioner is a 4way air conditioner, And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blow module 12 in the periphery.

바디부(10)는 대략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박스체이다. 바디부(10)는 내측에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모듈(12)과 송풍모듈(1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냉매가 서로 열교환되는 열교환기(18)를 수용한다. The body portion 10 is a box body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cubic shape. The body part 10 houses a blowing module 12 for forcing the flow of air inside and a heat exchanger 18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and refrigerant flowing by the blowing module 12.

송풍모듈(12)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기(18)를 거쳐 외부로 토출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12)은 바디부(10)의 상판부에 회전축이 하향 돌출되게 설치된 팬모터(14)와, 팬모터(14)의 회전축(Z-Z’)에 연결된 송풍팬(1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16)은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로 송풍하는 원심 송풍팬을 사용할 수 있다. The air blowing module (12) sucks the outside air and discharges the sucked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t exchanger (18). The blowing module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an motor 14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protruding downward from an upper plate of the body 10 and a blowing fan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Z- 16). The blowing fan 1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use a centrifugal blowing fan that sucks the lower air and blows it around.

열교환기(18)는 외부의 실외기에서 유입된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장소이다. 열교환기(18)는 배관에 의해 실외기에 연결되어 있고, 열교환기(18)의 내부에는 배관 내부의 냉매가 실내 공기와 효율적으로 열교환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된다.The heat exchanger 18 is a place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indoor air from the refrigerant flowing in from the outdoor unit. The heat exchanger 18 i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by a pipe and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r 18 is designed to have a structure for efficiently exchanging heat with the indoor air.

바디부(10)의 내측에는 열교환기(18)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받아주는 드레인팬(20)이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팬(20)은 열교환기(18)의 하측에 배치된다. A drain pan (20) for receiv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18)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10). The drain pan (20) is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r (18).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10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송풍모듈(12)로 안내하는 벨마우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벨마우스(22)는 바디부(10) 내측에 배치된다. 벨마우스(22)는 송풍모듈(12) 하측에 배치된다. 벨마우스(22)는 실내 공기가 흡입될 때 송풍팬(16)의 회전축으로 집중되도록 하여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조절하는 오리피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ell mouth 22 for guid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102 to the air blowing module 12. The bell mouth 22 is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10. [ The bell mouth 22 is disposed below the blow module 12. The bell mouth 22 functions as an orifice to control the flow rate or flow rate of the air by concentrating the indoor air on the rotary shaft of the blowing fan 16 when the indoor air is sucked.

벨마우스(22)는 내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링 형상이고, 축방향의 하향(D)에서 축방향의 상향(U)으로 진행될 수록 그 폭이 줄어들 수 있다. 벨마우스(22)의 중심축은 송풍팬(16)의 회전축과 중첩될 수 있다.The bell mouth 22 is ring-shaped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therein, and the width thereof can be reduced as it goes from the downward direction D toward the upward direction U in the axial direction. The center axis of the bell mouth 22 can overlap the rotational axis of the blowing fan 16. [

<베이스패널의 구성><Configuration of base panel>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100)은 토출구(104)의 상측에 바디부(10)의 공기를 토출구(104) 방향으로 유도하는 토출유로(10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유로(103)는 하측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100)은 토출구(104)의 상측에서 토출유로(105)를 형성하는 토출가이드(109a, 109b)를 포함한다. 토출가이드(109a, 109b)는 실내기의 내측(I)방향에 배치되는 내측토출가이드(109a)와 실내기의 외측(O)방향에 배치되는 외측토출가이드(109b)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토출가이드(109a, 109b)는 상측에서 직선의 토출유로(103)를 형성하고, 하측에서 외측(O)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각각의 토출가이드(109a, 109b)는 하측에서 외측(O)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한다. 내측토출가이드(109a)는 외측토출가이드(109b)에 비해 완만한 굴국면을 형성한다.The base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assage 103 for guiding the air of the body 10 toward the discharge port 104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04. The discharge passage 10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base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ejection guides 109a and 109b for forming the ejection flow path 105 on the upper side of the ejection opening 104. [ The discharge guides 109a and 109b can be divided into an inner discharge guide 109a arranged in the inner side I of the indoor unit and an outer discharge guide 109b arranged in the outer side O direction of the indoor unit. Each of the discharge guides 109a and 109b forms a straight discharge passage 103 from the upper side and is formed to bend from the lower side to the outer side O. [ Each of the discharge guides 109a and 109b forms a curved surface from the lower side to the outer side (O) direction. The inner discharge guide 109a forms a gentle oyster face compared to the outer discharge guide 109b.

베이스패널(100)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인 흡입구(102)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0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100)은 토출구(104)의 상측에 바디부(10)의 공기를 토출구(104) 방향으로 유도하는 토출유로(10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유로(103)는 하측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104)는 하측방향으로 형성된다. 베이스패널(100)은 송풍팬(16)의 하측에 실내 공기가 바디부(10)로 흡입되도록 개구된 흡입구(102)가 형성되고, 흡입구(102)의 주변인 흡입구(102)의 전,후,좌,우측에 토출구(104)가 각각 이격 형성된다.The base panel 100 is formed with a suction port 102,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sucked, and a discharge port 104 through which heat-exchanged air is discharged. The base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assage 103 for guiding the air of the body 10 toward the discharge port 104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04. The discharge passage 10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discharge port 10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The base panel 10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102 opened below the air blowing fan 16 so that the room air is sucked into the body portion 10 and the suction port 102, which is the periphery of the suction port 102, And a discharge port 104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100)에는 흡입구(102)와 토출구(104)가 함께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토출구(104)가 형성된 토출 패널(미도시)과 흡입구(102)가 형성된 흡입 패널(미도시)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base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uction port 102 and a discharge port 104 are formed together.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a discharge panel (not shown) in which the discharge port 104 is formed and a suction panel (not shown) in which the suction port 102 is formed may be combined as one embodiment.

흡입구(102)의 위치는 송풍팬(16)와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송풍팬(16)의 회전축(Z-Z’)과 흡입구(102)의 중심이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흡입구(102)는 송풍팬(16)보다 축방향의 하향(D)에 위치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102 is positioned so as to vertically overlap with the blowing fan 16. That is, the rotation axis (Z-Z ') of the blowing fan 16 and the center of the suction port 102 are vertically overlapped. The suction port 102 is loc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blowing fan 16.

베이스패널(100)에는 흡입구(102)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미도시)이 배치된다. 필터유닛은 베이스패널(100)의 상측에 배치된다. 필터유닛은 흡입구(102)의 상측에 위치되게 베이스패널(100)에 올려져 설치된다.The base panel 100 is provided with a filter unit (not shown)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02. The filter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nel 100. The filter unit is installed on the base panel 10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port 102.

베이스패널(100)에는 흡입구(102)를 가리는 그릴패널(26)이 배치된다. 그릴패널(26)은 흡입구(102)를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서, 흡입구(102)로 유입되는 먼지, 벌레 들을 1차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In the base panel 100, a grill panel 26 for covering the suction port 102 is disposed. The grill panel 26 divides the suction port 102 into a plurality of areas to primarily filter dust and worms that enter the suction port 102.

베이스패널(100)의 토출구(104)에는 토출구를 개폐하거나, 토출구(104)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2개의 베인(12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120)은 베이스패널(100)과 적어도 하나의 링크(130, 140)로 연결된다. 베인(120)과 베이스패널(100)의 구체적인 구조와 연결관계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100)은 4개의 토출구(104)가 형성되고, 각각의 토출구(104)에 2개의 베인(120)이 배치된다.Two vanes 120 are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04 of the base panel 100 to open or close the discharge port or to adjust the discharging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04. The van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by at least one link 130, 140. The specific structure and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vane 120 and the base pane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the base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ur discharge ports 104 are formed, and two vanes 120 are disposed at the respective discharge ports 104.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과 베이스패널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의 가이드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의 가이드라인과 제2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제2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vane and a bas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lin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FIG. 4B.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v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v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guide line of a bas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guide line and a second link of a bas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econd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link having a variable l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 링크, 베이스패널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Hereinafter, configurations and connection relationships of vanes, links, and base panel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3. FIG.

<베인 및 링크의 구성><Construction of Vane and Link>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베이스패널(100)의 하측으로 개방된 토출구(104)로 토출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제1베인(120), 토출구(104)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고, 일측이 베이스패널(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베인(170), 베이스패널(100)과 베인(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130), 제1링크(130)를 회전시키는 모터(160), 베이스패널(100)과 베인(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제2링크(140), 및 제1링크(130)와 제2베인(17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180)를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vane 120 for controlling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04 op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panel 100, a second vane 120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04, A first link 130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and the vane 120, a second link 130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30, A second link 140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and the vane 120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a second link 140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vane 170, And a third link 180 rotatably connected.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120)은 양단부에서 각각 2개의 링크(130, 140)로 베이스패널(10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170)은 일측이 베이스패널(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링크(180)로 베이스패널(100)과 연결된다. 베이스패널(100)의 토출구(104)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부(106)에는 제1베인(120)과 연결되는 링크(130, 140)가 연결된다. 베이스패널(100)의 토출구(104)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부(106)에는 제2베인(170)의 일측이 연결된다. 베이스패널(100)에는 토출구(104)를 형성하는 공간의 양측으로 제1베인(120)과 연결된 링크(130, 140)를 동작시키는 모터(160)가 배치되는 모터수용부(110)를 형성한다. 모터수용부(110)는 링크(130, 140)가 연결되는 측면부(106)의 반대면에 형성된다.The first van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by two links 130 and 140 at both ends. One side of the second vane 17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ane 170 is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through a link 180. Links 130 and 140 connected to the first vane 120 are connected to side surfaces 10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port 104 of the base panel 100. One side of the second vane 170 is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10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port 104 of the base panel 100. The motor housing part 110 in which the motor 160 for operating the links 130 and 140 connected to the first vane 12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pace for forming the discharge port 104 is formed in the base panel 100 . The motor receiving portion 11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portion 106 to which the links 130 and 140 are connected.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100)은 링크(130, 140)가 연결되는 측면부(106)에 이하에서 설명할 제2링크(140)의 가이드링(14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이 형성된다. 가이드라인(108)은 제2링크(140)의 가이드링(148)이 삽입되도록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에서 모터수용부(110) 방향으로 홈을 형성한다. 가이드라인(108)은 제2링크(140)가 회전할 때, 가이드링(148)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링(148)은 가이드라인(108)을 따라 이동하여, 제2링크(140)의 길이를 가변시킨다. 가이드라인(108)은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의 배치를 조절하여, 토출구(104)로 토출되는 공기를 이하에서 설명할 수평풍, 수직풍 또는 중간풍으로 유도한다. The base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with a guide lin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guide ring 148 of the second link 14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side portion 106 to which the links 130 and 140 are connected do. The guide line 108 defines a groove in the direction of the motor receiving portion 110 from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base panel 100 so that the guide ring 148 of the second link 140 is inserted. The guide 108 guides movement of the guide ring 148 as the second link 140 rotates. The guide ring 148 moves along the guide line 108 to vary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140. The guide line 108 adjusts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to guid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04 to a horizontal wind, a vertical wind, or a middle wind to be described below.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라인(108)은 내측최상지점(IU)에서 정지상태의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의 배치를 유도하고, 외측최상지점(OU)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하는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의 배치를 유도한다. 또한, 가이드라인(108)은 내측최하지점(ID)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하는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의 배치를 유도하고, 외측최하지점(OD)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중간풍으로 형성하는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의 배치를 유도한다. 도 3 내지 도 8, 도 13을 참조하면, 베인이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외측방향(O), 외측방향의 반대방향을 내측방향(I), 베인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하측방향(D), 하측방향(D)의 반대합향을 상측방향(U)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방향의 설정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과 베이스패널(100)의 구성 및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8, the guide line 10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duces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in a stationary state at the inner best point IU, OU to induce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which form the air to be bl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uide line 108 guides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that form the air blown from the innermost lowest point ID to the horizontal wind, Thereby induc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which form the air to be discharged in a middle wind. 3 to 8 and 13,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at a position where the vane forms a horizontal wind is referred to as an outward direction 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utward direction as an inner direction I,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air is formed is referred to as the downward direction D an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ownward direction D is referred to as the upward direction U. [ The setting of this direction is for illustrating the structure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vane and base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라인(108)은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 또는 중간풍으로 형성하는 지점에서 절곡되게 형성된다. The guide line 10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o as to be bent at a point where the discharged air is formed as a horizontal wind or a middle wind.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은 베이스패널(100)의 하측으로 개방된 토출구(104)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은 바디부(10) 내부에서 토출구(10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한다.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04 op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panel 100.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djust the air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ody 10 to the discharge port 104.

<제1베인의 구성>&Lt; Configuration of first vane >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120)은 베이스패널(100)과 2개의 링크(130, 140)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120)은 베이스패널(1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2개의 링크(130, 140)를 통해 베이스패널(10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은 2개의 링크(130, 140)를 통해 배치가 변경되므로, 천정(1)에 수직하거나,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베인(120)의 연결구조는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를 넓힌다. The first van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through two links 130 and 140. The first van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but is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through two links 130 and 140. [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a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nged through the two links 130 and 140, the first vane can be arrang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to the ceiling 1.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vane 120 widens the airflow rang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er.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120)은 토출구(104)를 개폐하는 제1베인판(122)과, 제1베인판(122)의 양 단부에 돌출형성되어,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와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부(124)를 포함한다. The first van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vane plate 12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104 and a second vane plate 122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vane plate 122, And a first link connection part 124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140.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판(122)은 베이스패널(100)의 토출구(104) 하측에 배치된다. 제1베인판(122)은 토출구(104)를 개폐하거나, 바디부(10) 내부에서 토출구(104)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한다. The first vane plate 12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 104 of the base panel 100. [ The first vane plate 122 opens or closes the discharge port 104 or adjusts the discharging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port 104 from inside the body portion 10.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120)은 제1베인판(122)의 양단부에 배치된 제1링크연결부(124)에서,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와 연결된다. 제1링크연결부(124)는 베인판(122)의 양단부에 한 쌍이 배치된다. 제1링크연결부(124)는 베인판(122)의 양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The first van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at a first link connection portion 124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 vane plate 122. The pair of first link connecting portions 124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vane plate 122. The first link connecting portion 124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vane plate 122.

제1링크연결부(124)는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가 연결되는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에 대향하게 형성된다. 제1링크연결부(124)는 베인판(122)의 양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링크연결부(124)와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 사이에는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1링크연결부(124)는 제1베인판(122)에서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가 배치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링크연결부(124)가 측면부(106)로부터 이격된 거리(D3)는 제1링크바(132)의 두께 및 제2링크바(142)의 두께를 포함한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The first link connection portion 124 is formed to face the sid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to which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are connected. The first link connecting portions 124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both ends of the vane plate 122.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nk connection part 124 and the side surface part 106 of the base panel 100. Accordingly, the first link connection part 124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ane plate 122 by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space where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are disposed. The distance D3 between the first link connection part 124 and the side part 106 is greater than the length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link bar 132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ink bar 142. [

도 6은 제1베인(120)이 수평풍을 형성할 때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 6을 따라 설명되는 상(U’)/하(D’)/내측(I’)/외측(O’)은 제1베인판(122)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되므로, 제1베인(120)의 배치가 달라질 경우에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6 illustrates the position of the first vane 120 when it forms a horizontal wind. Therefore, the phase U '/ the bottom D' / the inner side I '/ the outer side O'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6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vane plate 122 is horizontally arranged The direction of the first vane 120 may be changed.

제1링크연결부(124)는 제1베인판(122)의 상측(U’)으로 돌출형성된다. 제1링크연결부(124)는 제1베인판(122)의 내측(I’)부분에서 돌출형성된다. 제1링크연결부(124)는 제1베인판(122)의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상선의 수직선(Y1-Y1’, Y2-Y2’)보다 내측(I’)으로 연장된다. 제1링크연결부(124)는 제1베인판(122)의 상측과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 The first link connecting portion 124 is protruded to the upper side U 'of the first vane plate 122. The first link connecting portion 124 is protruded from the inner portion I 'of the first vane plate 122. The first link connection part 124 extends inwardly (I ') from the vertical lines (Y1-Y1', Y2-Y2 ') of the vertically formed imaginary line of the first vane plate 122. The first link connecting portion 124 is protruded upward and inward of the first vane plate 122.

제1링크연결부(124)에는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와 연결되기 위한 2개의 링크연결홀(126)이 형성된다. 링크연결홀(126)은 제1링크(130)가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홀(126a)과 제2링크(140)가 연결되는 제2링크연결홀(126b)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연결홀(126a)은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제1링크연결홀(126a)의 중심(C1)은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에 수직하게 형성된 가상의 선(Y1-Y1’)보다 내측에 형성된다. The first link connection part 124 is formed with two link connection holes 126 for connection with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The link connection hole 126 is divided into a first link connection hole 126a to which the first link 130 is connected and a second link connection hole 126b to which the second link 140 is connected. The first link connection hole 126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side the inner end of the first vane plate 122. [ 6, the center C1 of the first link connection hole 126a is formed inside the virtual line Y1-Y1 'perpendicular to the inner end of the first vane plate 122 .

<제2베인의 구성>&Lt; Configuration of second vane >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170)은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에 대향하는 일측이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에 연결되고,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에 대향하는 타측이 제3링크(180)로 베이스패널(10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170)은 베이스패널(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일측을 기준으로, 제3링크(180)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The second vane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second vane 170 facing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Is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by the third link 180. [ The second vane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otates as the third link 180 moves, with reference to one si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170)은 토출구(104)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2베인판(172)과, 제2베인판(172)의 단부에서 베이스패널(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베인판(172)을 베이스패널(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회전부(176)와, 제3링크(180)와 회전가능하게 연겨되고, 제2베인판(172)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링크연결부(174)를 포함한다. The second vane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cond vane plate 172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04 and a second vane plate 172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nd of the second vane plate 172 And a second vane plate 172 protruding from the first vane plate 172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link 180. The second vane plate 17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plate 172, And a second link connection portion 174 protru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second link portion 174.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170)의 제2링크연결부(174)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3링크(180)의 연결부(184)와 연결되는 제3링크연결홀(178)이 형성된다. 7, the second link connecting portion 174 of the second vane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hird link connecting hole 174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84 of the third link 180, 178 are formed.

도 7을 따라 설명되는 상(U’’)/하(D’’)/내측(I’’)/외측(O’’)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은 다르게 정의 될 수 있다. The expressions referring to the directions of the phases U '' / D '' / inner (I '') / outer (O ''), etc.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re defin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otherwise defined depending on where the criterion is set.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회전부(176)의 중심(C3)과 제3링크연결홀(178)의 중심(C4)은 설정간격(D5)으로 이격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링크연결홀(178)의 중심(C4)은 고정회전부(176)의 중심(C3)보다 외측(O’’)에 배치된다. 상기의 설정간격(D5)은 제3링크(180)의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170)은 고정회전부(176)를 기준으로 제3링크연결홀(178)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여, 제1베인(120)과 함께 수직풍, 수평풍 및 중간풍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enter C3 of the fixed rotation part 176 and the center C4 of the third link connection hole 17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etting interval D5. The center C4 of the third link connection hole 17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utside the center C3 of the fixed rotation portion 176 on the outer side O &quot; '. The setting interval D5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distance of the third link 180. [ The second vane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otates as the third link connection hole 178 moves with respect to the fixed rotation portion 176 to rotate the first vane 120 along with the vertical wind, Wind can be formed.

본 실시예에 따른 제3링크연결홀(178)의 중심(C4)은 고정회전부(176)의 중심(C3)보다 상측(U’’)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링크연결홀(178)의 중심(C4)의 높이(H2)는 고정회전부(176)의 중심(C3)의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된다. The center C4 of the third link connection hole 17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U '' of the center C3 of the fixed rotation portion 176. [ The height H2 of the center C4 of the third link connection hole 17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H1 of the center C3 of the fixed rotation portion 176. [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판(172)은 베이스패널(100)의 토출유로(103) 상에 배치된다. 제2베인판(172)은 토출구(104)를 개폐하거나, 바디부(10) 내부에서 토출구(104)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한다. The second vane plate 17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passage 103 of the base panel 100. [ The second vane plate 172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port 104 or adjusts the discharging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port 104 from inside the body portion 10.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170)은 제2베인판(172)의 양단부에 고정회전부(176)와, 제2링크연결부(174)가 배치된다. 고정회전부(176)와, 제2링크연결부(174)는 제2베인판(172)의 양단부에 각각 한 쌍이 배치된다. 한 쌍의 고정회전부(176)는 제2베인판(172)의 양단부에서 베이스패널(100)의 양 측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제2링크연결부(174)는 제2베인판(172)의 양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In the second vane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ed rotation portion 176 and the second link connection portion 174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vane plate 172. The fixed rotation portion 176 and the second link connection portion 174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vane plate 172, respectively. The pair of fixed rotation portions 176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vane plate 172 in the direction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base panel 100 and the second link connection portion 174 protrudes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vane plate 172 As shown in Fig.

제2링크연결부(174)는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에 대향하게 형성된다. 제2링크연결부(174)는 제2베인판(172)의 양단에 배치된다. 제2링크연결부(174)와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 사이에는 제1링크(130), 제2링크(140) 및 제3링크(180)가 배치된다. 제2링크연결부(174)는 제1링크연결부(124)보다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로부터 더 이격배치된다. 제2링크연결부(174)와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 사이에 제1링크연결부(124)가 배치된다. 제2링크연결부(174)는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로부터 제1링크(130), 제2링크(150) 및 제3링크(180)가 배치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second link connection portion 174 is formed to face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The second link connection portion 174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vane plate 172. The first link 130, the second link 140 and the third link 180 ar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ink connection portion 174 and the sid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 The second link connection portion 174 is disposed further away from the sid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than the first link connection portion 124. A first link connecting portion 124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ink connecting portion 174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The second link connection portion 174 is spaced from the sid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by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space where the first link 130, the second link 150, and the third link 180 are disposed .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120)은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로 베이스패널(10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170)은 제3링크(180)로 제1링크(130)에 연결된다. The first van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with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 The second vane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30 by the third link 180.

<제1링크의 구성>&Lt; Configuration of First Link >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130)는 일측이 베이스패널(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베인(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또 다른 타측이 제3링크(18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링크(130)는 일측이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에 연결된다. 제1링크(130)는 일측이 베이스패널(100)의 모터수용부(110)에 배치된 모터(160)와 연결된다. 제1링크(130)는 타측이 베인(120)의 링크연결부(124)에 연결된다. 제1링크(130)는 또 다른 타측이 제3링크(180)와 연결된다. 제1링크(130)는 모터(160)에 의해 회전하여,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의 배치를 변경시킨다. One end of the first link 13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13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vane 120.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130 is connected to the third link 180 And is rotatably connected. One side of the first link 130 is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The first link 130 is connected to the motor 160 having one side disposed in the motor receiving portion 110 of the base panel 100.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130 is connected to the link connection portion 124 of the vane 120.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130 is connected to the third link 180. The first link 130 is rotated by the motor 160 to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130)는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에 형성된 제1링크(130)의 회전축(X1-X1’) 상에 배치되어, 모터(160)와 연결되는 제1패널연결부(134), 일측에서 제1패널연결부(134)와 연결되고, 양단이 제1베인(120)과 제3링크(180)에 연결되는 제1링크바(132), 제1링크바(132)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제1베인(12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베인연결부(136), 및 제1링크바(132)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제3링크(18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연결부(138)를 포함한다. 제1베인연결부(136)에 형성되는 회전축(X2-X2’)을 기준으로 제1베인의 일측이 회전하고, 제3링크연결부(138)에 형성되는 회전축(X5-X5’)을 기준으로 제3링크(180)의 일측이 회전한다. The first link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rotation axis X1-X1 'of the first link 130 formed on the sid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and connected to the motor 160 A first link bar 132 connected to the first panel connection part 134 at one side and a first panel connection part 134 at both ends and connected to the first vane 120 and the third link 180, A first vane connection portion 136 disposed at one end of the bar 132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120 and a second vane connection portion 136 disposed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rst link bar 132, And a third link connection portion 138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portion. One side of the first vane is rotated on the basis of the rotation axis X2-X2 'formed on the first vane connection portion 136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axis X5-X5' formed on the third link connection portion 138 3 One side of the link 180 rotates.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바(132)는 제1패널연결부(134)와 제1베인연결부(136)를 연결하는 제1베인링크바(132a)와 제1패널연결부(134)와 제3링크연결부(138)를 연결하는 제2베인링크바(132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베인링크바(132a)와 제2베인링크바(132b)는 상기 제1패널연결부(134)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제1베인링크바(132a)와 제2베인링크바(132b)는 상기 제1패널연결부(134)의 단부로부터 서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베인링크바(132a)와 제2베인링크바(132b)는 대략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1베인링크바(132a)는 제2베인링크바(132b)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2베인링크바(132b)는 제3링크(180)보다 짧게 형성된다. The first link bar 13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vane link bar 132a connecting the first panel connection part 134 and the first vane connection part 136, a first panel connection part 134, And a second vane link bar 132b connecting the link connection unit 138. [ The first vane link bar 132a and the second vane link bar 132b extend from the end of the first panel connecting part 134. [ The first vane link bar 132a and the second vane link bar 132b extend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first panel connecting part 134. The first vane link bar 132a and the second vane link bar 132b are arranged substantially vertically. The first vane link bar 132a is longer than the second vane link bar 132b. The second vane link bar 132b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third link 180.

제1패널연결부(134)는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와 제1링크바(132) 사이에 제2링크(14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링크바(132)를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킨다. 이하에서 설명할 제2링크바(142)는 제1링크바(132)와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 사이에 배치된다. The first panel connecting part 134 is formed to have a first link bar 132 so a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econd link 140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part 106 of the base panel 100 and the first link bar 132,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of the panel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link bar 142 to be described below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nk bar 132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제1베인연결부(136)는 제1베인연결부바디(136a) 및 제1베인연결부후크(136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연결부바디(136a)는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연결부후크(136b)는 제1베인연결부바디(136a)의 단부에 배치되어, 제1링크(130)와 베인(120)을 연결한다. 제1베인연결부(136)는 제1베인연결부바디(136a)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제1베인연결부플랜지(136c)가 형성된다. 상기 제1베인연결부플랜지(136c)는 베인(120)의 링크연결부(124)의 일측면에 밀착된다.The first vane connection 136 includes a first vane connection body 136a and a first vane connection hook 136b. A plurality of first vane connection body bodies 136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The first vane coupling hook 136b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first vane coupling body 136a to connect the first link 130 and the vane 120. [ The first vane connection 136 is formed with a first vane connection flange 136c that limits the insertion depth of the first vane connection body 136a. The first vane connection flange 136c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ink connection 124 of the vane 120.

제3링크연결부(138)는 제3링크연결부바디(138a) 및 제3링크연결부후크(138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링크연결부바디(138a)는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링크연결부후크(138b)는 제3링크연결부바디(138a)의 단부에 배치되어, 제1링크(130)와 제3링크(180)를 연결한다. 제3링크연결부(138)는 제3링크연결부바디(138a)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제3링크연결부플랜지(138c)가 형성된다. 상기 제3링크연결부플랜지(138c)는 제3링크(180)의 일측면에 밀착된다.The third link connection portion 138 includes a third link connection body 138a and a third link connection hook 138b. A plurality of third link connecting body bodies 138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The third link linkage hook 138b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third link link body 138a to connect the first link 130 and the third link 180. [ The third link connecting portion 138 is formed with a third link connecting portion flange 138c that limits the insertion depth of the third link connecting portion 138a. The third link connection flange 138c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third link 180.

<제2링크의 구성>&Lt; Configuration of Second Link >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140)는 일단이 베이스패널(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베인(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링크(140)는 일단이 베이스패널의 토출구(104)의 측면부(106)에 연결된다. 제2링크(140)는 타단이 베인의 링크연결부(124)에 연결된다.The second link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vane 120. One end of the second link 140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of the discharge port 104 of the base panel.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140 is connected to the link connection portion 124 of the vane.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140)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140)는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댐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140)는 베이스패널(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로드(144),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링크로드와 연결되며, 베인(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실린더(146), 및 상기 링크실린더(146)의 일측에 배치되고, 베이스패널(10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라인(108)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링(148)을 포함한다.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variable. The second link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variable damper having a variable length. The second link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nk rod 144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a link rod 144 connected to the link rod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uide ring 148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nk cylinder 146 and moving along a guide line 108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se panel 100. [

링크로드(144)는 일부가 링크실린더(146)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링크실린더(146)의 일측에는 링크로드(144)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실린더홀(149)이 형성된다. 링크로드(144)의 이동에 따라 링크실린더(146)에 형성된 실린더홀(149)로 공기가 연통되어 링크로드(144)가 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ink rod 144 is partly inserted into the link cylinder 146. A cylinder hole 149 for adjusting the moving speed of the link rod 14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ink cylinder 146. The link rod 144 can be prevented from communicating with the cylinder hole 149 formed in the link cylinder 146 to accelerate the link rod 144 as the link rod 144 moves.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링크로드(144)는 링크실린더(146)와 직진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로드(144)는 링크실린더(146) 내부에서 상대적인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링크로드(144)는 일측에서 베이스패널(100)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12A to 12C, the link rod 144 is connected to the link cylinder 146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The link rod 144 is inserted in the link cylinder 146 so as to enable a relativ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e link rod 144 is rotatably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anel 100 at one side.

링크실린더(146)는 내측에 링크로드(144)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링크실린더(146)는 일측에서 베인(12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실린더(146)는 일측에서 베인(120)의 링크연결부(124)와 연결된다. 링크실린더(146)는 둘레면 중 일측에서 가이드링(148)이 돌출배치된다. 링크실린더(146)는 둘레면 중 측면부(106)와 대향하는 면에서 가이드링이 배치된다. The link cylinder 146 forms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link rod 144 is accommodated. The link cylinder 14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vane 120 at one side. The link cylinder 146 is connected to the link connection 124 of the vane 120 at one side. A guide ring 148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nk cylinder 146. The link cylinder 146 is provided with a guide ring on a surface thereof opposite to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of the peripheral surface.

가이드링(148)은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에 형성된 가이드라인(108)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링(148)이 가이드라인(108)을 따라 이동할 때, 제2링크(140)의 길이가 변경된다. The guide ring 148 moves along the guide line 108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When the guide ring 148 moves along the guide line 108,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140 is changed.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140)는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에 형성된 제2링크의 회전축(X3-X3’) 상에 배치되어,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에 연결되는 제2패널연결부(150), 제1베인(120)의 링크연결부(124)에 형성된 제2링크(140)의 회전축(X4-X4’) 상에 배치되어, 제1베인의 링크연결부(124)와 연결되는 제2베인연결부(152) 및 제2패널연결부(150)와 제2베인연결부(152)를 연결하는 제2링크바(142)를 포함한다. 제2패널연결부(150)는 제1베인(120)의 링크연결부(124)와 제2링크바(142) 사이에 제1링크(13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2링크바(142)를 제1베인(120)의 링크연결부(124)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킨다. 제1링크바(132)는 제2링크바(142)와 제1베인(120)의 링크연결부(124) 사이에 배치된다. The second link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rotation axis X3-X3 'of the second link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and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X4 'of the second link 140 formed on the link connecting portion 124 of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panel connecting portion 150 connected to the link connecting portion 124 of the first vane 120, And a second link bar 142 connecting the second panel connection part 150 and the second vane connection part 152. The second link connection part 152 connects the second panel connection part 150 and the second panel connection part 152 to each other. The second panel connecting part 150 is provided with a second link bar 142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first link 130 is disposed between the link connecting part 124 of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link bar 142, Is spaced apart from the link connection portion (124) of the first vane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link bar 132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ink bar 142 and the link connection 124 of the first vane 120.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바(142)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바(142)는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댐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바(142)는 베이스패널(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로드(144),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링크로드(144)와 연결되며, 베인(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실린더(146)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bar 14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variable. The second link bar 14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variable damper having a variable length. The second link bar 14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nk rod 144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0, a link rod 144 connected to the link rod 144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ink cylinder 146 rotatably connected.

제2패널연결부(150)는 제2패널연결부바디(150a) 및 제2패널연결부후크(15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패널연결부바디(150a)는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패널연결부후크(150b)는 제2패널연결부바디(150a)의 단부에 배치되어, 제2링크(130)와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를 연결한다. 제2패널연결부(150)는 제2패널연결부바디(150a)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제2패널연결부플랜지(150c)가 형성된다. 상기 제2패널연결부플랜지(150c)는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의 일측면에 밀착된다.The second panel connecting part 150 includes a second panel connecting part body 150a and a second panel connecting part hook 150b. A plurality of second panel connecting body bodies 15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The second panel connecting portion hook 15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second panel connecting body 150a and connects the second link 130 to the sid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 The second panel connecting part 150 is formed with a second panel connecting part flange 150c that limits the insertion depth of the second panel connecting part body 150a. The second panel connecting portion flange 150c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

제2베인연결부(152)는 제2베인연결부바디(152a) 및 제2베인연결부후크(152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연결부바디(152a)는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연결부후크(152b)는 제2베인연결부바디(152a)의 단부에 배치되어, 제2링크(130)와 베인(120)을 연결한다. 제2베인연결부(152)는 제2베인연결부바디(152a)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제2베인연결부플랜지(152c)가 형성된다. 상기 제2베인연결부플랜지(152c)는 베인(120)의 링크연결부(124)의 일측면에 밀착된다.The second vane connection 152 includes a second vane connection body 152a and a second vane connection hook 152b. A plurality of second vane connection body bodies 152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The second vane coupling hook 152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second vane coupling body 152a to connect the second link 130 and the vane 120. [ The second vane connection portion 152 is formed with a second vane connection portion flange 152c that limits the insertion depth of the second vane connection body 152a. The second vane connection portion flange 152c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ink connection portion 124 of the vane 120.

<제3링크의 구성>&Lt; Configuration of Third Link >

본 실시예에 따른 제3링크(180)는 일단에서 제1링크(13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서 제2베인(17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링크(180)는 제1링크(130)의 제3링크연결부(138)와 연결되는 일단에서 연결홀(182)을 형성하고, 제2베인(170)과 연결되는 타단에서 연결부(184)가 돌출형성된다. 제3링크(180)는 제1링크(130)의 회전으로 제2베인(170)을 회전시킨다. 제3링크(180)는 제1링크(130)와 제2베인(170)의 제2링크연결부(174) 사이에 배치된다. The third link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30 at one end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vane 170 at the other end. The third link 180 forms a connection hole 182 at one end connected to the third link connection portion 138 of the first link 130 and a connection portion 184 at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vane 170. [ Respectively. The third link 180 rotates the second vane 170 by rotation of the first link 130. The third link 18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connection 174 of the second vane 170.

<제1링크 내지 제3링크의 관계>&Lt; Relation of first link to third link >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130)는 제2링크(140)와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130)는 제2링크(140)와 다른 평면상에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150)는 제1링크(130) 및 제3링크(180)와 다른 평면상에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일부구간에서 제2링크(150)가 제1링크(130) 또는 제3링크(180)와 서로 중첩되는 범위에서 회전하더라도, 제2링크(150)는 제1링크(130) 또는 제3링크(180)와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The first link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to have a l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link 140. The first link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rranged to rotate on a different plane from the second link 140. [ The second link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rranged to rotate on the other plane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130 and the third link 180. [ Therefore, even if the second link 150 rotates in a range where the first link 130 or the third link 180 overlap with each other in a certain section, the second link 150 can be rotated in the range of the first link 130 or the third link 180, The link 180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도 5를 참조하면, 측면부(106)로부터 제1링크바(132)가 이격된 거리(D1)는 측면부(106)로부터 제2링크바(142)가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106)로부터 제2링크바(142)가 이격된 거리(D2)는 측면부(106)로부터 제1링크바(132)가 이격된 거리(D1)보다 크게 형성된다. 5, the distance D1 from the side portion 106 to the first link bar 132 is formed to be different from the distance D2 from the side portion 106 to the second link bar 142 . The distance D2 between the side portion 106 and the second link bar 14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larger tha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ide portion 106 and the first link bar 132.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연결부(124)와 제2링크연결부(174)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측면부(106)로부터 제1링크연결부(124)까지 이격된 거리(D3)는 측면부(106)로부터 제2링크연결부(174)까지 이격된 거리(D4)보다 작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측면부(106)로부터 제2링크연결부(174)까지 이격된 거리(D4)는 측면부(106)로부터 제1링크연결부(124)까지 이격된 거리(D3)와 제1링크연결부(124)의 두께를 합한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link connection part 124 and the second link connection part 17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arranged to move on different planes. 5, the distance D3 from the side surface 106 to the first link connection part 124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D4 from the side surface part 106 to the second link connection part 174. Specifically, the distance D4 between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and the second link connection portion 174 is a distance D3 from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to the first link connection portion 124 and a distance D3 from the first link connection portion 124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may be larg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130)는 제2링크(140)에 비해 내측방향에 배치된다.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가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에 연결되는 높이도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모터(160)에 의해 제1링크(130)가 회전하여, 베인(120)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제1링크(130)에 의해 제1베인(120)의 위치가 이동하면, 제2링크(140)가 베인(120)에 의해 회전한다. 제1링크(130)가 회전하면, 제1링크(130)의 단부에 연결된 제3링크(180)가 이동하여, 제2베인(170)이 고정회전부(176)를 축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120)은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에 의해 위치 및 각도가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120)은 제3링크(180)에 의해 각도가 변경된다.The first link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ward relative to the second link 140. The height at which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are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106 of the base panel 100 may be different.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link 130 is rotated by the motor 160 to move the position of the vane 120.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vane 120 is moved by the first link 130, the second link 140 is rotated by the vane 120. When the first link 130 rotates, the third link 18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link 130 moves, and the second vane 170 rotates about the fixed rotation portion 176.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first van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changed by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 The angle of the second van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nged by the third link 180.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베인(120)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2베인(170)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3링크(180)를 포함한다.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는 제1베인(120)의 양단에 한 쌍이 배치되는 바, 공기조화기에 복수의 베인(120)이 배치되는 경우, 복수 쌍의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링크(180)는 제2베인(170)의 양단에 한 쌍이 배치되는 바, 공기조화기에 복수의 제2베인(170)이 배치되는 경우, 복수 쌍의 제3링크(180)가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first links 130 and a second link 140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 vane 120.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third links 180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vane 170.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 vane 120. When a plurality of vanes 120 are disposed in the air conditioner, 130 and the second link 140 may be disposed. The third link 180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vane 170. When the plurality of second vanes 170 are disposed in the air conditioner, a plurality of pairs of the third links 180 are disposed .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160)는 제1링크(13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160)는 제1링크(130)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160)는 제1링크(130)를 회전시켜, 제1베인(120)의 배치를 변경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160)는 베이스패널(100)의 모터수용부(11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160)는 제1링크(130)의 일단이 연결되는 베이스패널(100)의 측면부(106)의 반대면에 배치된다. The motor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30. The motor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otates the first link 130. The motor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otates the first link 130 to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ane 120. The motor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 the motor receiving portion 110 of the base panel 100. The motor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portion 106 of the base panel 100 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link 130 is connected.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120)의 양단에는 한 쌍의 링크연결부(124)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링크(130) 각각과 연결되는 한 쌍의 모터(160)를 포함한다. The vane 120 includes a pair of motors 160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links 130 connected to the pair of link joints 124, respectively.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 및 제2링크가 회전하여 베이의 배치가 달라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he bays is changed by rotat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의 이동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ovement of the va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A to 14D.

<베인 및 링크의 작동><Operation of vane and link>

도 14a 참조하면, 공기조화기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하 ‘정지상태’)에서는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베이스패널(100)의 토출구(104)를 폐쇄하도록 배치된다. 정지상태는 모터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베이스패널(100)의 토출구(104)가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에 의해 닫혀진 상태이다. 제1베인(120)은 토출구(104)를 가리는 형태로 배치되고, 제2베인(170)은 제1베인의 상측에서 토출구(104)를 가리는 형태로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4A,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are arranged to close the discharge port 104 of the base panel 100 in a state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not opera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opped state'). The stop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ort 104 of the base panel 100 is closed by the first and second vanes 120 and 170 while the motor is not operated. The first vane 120 is disposed in a manner to cover the discharge port 104 and the second vane 170 is disposed in a manner to cover the discharge port 104 from above the first vane.

공기조화기의 정지상태에서는, 제1링크바(132)의 제1패널연결부(134)가 형성하는 회전축(X1-X1’)과 제1베인열결부(136)가 형성하는 회전축(X2-X2’)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CL1)과, 제1링크연결홀(126a)의 중심(C1)과 제2링크연결홀(126b)의 중심(C2)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CC)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각(이하 ‘제1링크경사각’, θ1)이 제2링크바(142)의 중심을 따라 형성된 가상의 직선(CL2)과, 제1링크연결홀(126a)의 중심(C1)과 제2링크연결홀(126b)의 중심(C2)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CC)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각(이하 ‘제2링크경사각’, θ2)보다 작게 형성된다. In the stopped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the rotation axis X1-X1 'formed by the first panel connection portion 134 of the first link bar 132 and the rotation axis X2-X2' formed by the first vane heat combination portion 136 Between the imaginary straight line CL1 connecting the center C1 of the first link connection hole 126a and the center C2 of the second link connection hole 126b, The first link link hole 126a has an inclination ang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1 and an imaginary straight line CL2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second link bar 142,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link inclination angle',? 2) formed between an imaginary straight line CC connecting the center C2 of the second link connection hole 126b.

구체적으로는, 제1링크경사각(θ1)은 수직보다 작은 예각을 형성하고, 제2링크경사각(θ2)은 수직보다 큰 둔각을 형성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theta] 1 forms an acute angle smaller than vertical, and the second link inclination angle [theta] 2 forms an obtuse angle larger than vertical.

또한, 제1링크바(132)의 제1패널연결부(134)가 형성하는 회전축(X1-X1’)과 제3링크연결부(138)가 형성하는 회전축(X5-X5’)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CL3)과 제3링크(180)의 중심을 따라 형성된 가상의 직선(CL4)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각(이하 ‘제3링크경사각’, θ3)은 공기조화기의 정지상태에서 예각을 형성한다. In addition, a virtual link connecting the rotational axis X1-X1 'formed by the first panel connecting portion 134 of the first link bar 132 and the rotational axis X5-X5' formed by the third link connecting portion 138 An angle of inclin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link inclination angle',? 3) formed between the straight line CL3 and an imaginary straight line CL4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third link 180 forms an acute angle in the stopped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

공기조화기의 정지상태에서, 제1베인판(122)의 경사각(θ4)은 토출구(104)가 형성하는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와 외측단부(129)를 연결하는 직선은 공기조화기의 토출구(104) 상에 배치된다. 공기조화기의 정지상태에서, 제1베인판(122)은 토출구(104)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토출구(104)가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제1베인판(122)도 토출구(104)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베인판(122)의 외측단부(129)는 토출유로(105)를 형성하는 외측토출가이드(109a)의 단부(107a)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정지상태에서, 제1베인판(122)은 토출구(104)의 외측부분을 가리도록 배치된다. In the stopped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the inclination angle [theta] 4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discharge port 104. [ That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inner end 128 and the outer end 129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port 104 of the air conditioner. In the stationary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the first vane plate 122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port 104. Therefore, when the discharge port 104 is formed to be inclin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ane plate 122 can also be arranged to be inclined as the discharge port 104. The outer end 129 of the first vane plate 122 can be disposed adjacent to the end 107a of the outer discharge guide 109a forming the discharge passage 105. [ In the stopped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the first vane plate 122 is arranged to cover the out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104. [

공기조화기의 정지상태에서, 제2베인판(172)은 하향(D)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2베인판(172)의 내측단부(179a)는 토출유로(105)를 형성하는 내측토출가이드(108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In the stopped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the second vane plate 172 is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D). The inner end 179a of the second vane plate 17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discharge guide 108b that forms the discharge passage 105. [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면, 모터(160)의 동작으로 제1링크(1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링크(130)의 회전으로 베인(120)에 연결된 제2링크(140)도 회전하며, 베인(120)의 배치가 변경된다. 또한, 제1링크(130)의 회전으로, 제1링크(130)에 연결된 제3링크(180)도 이동하여, 제2베인(170)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베인(170)은 제1링크(130)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링크(140)는 가이드링(148)이 가이드라인(108)을 따라 이동하여, 제2링크(140)는 회전과정에서 길이가 가변된다.14A to 14D, the operation of the motor 160 rotates the first link 130 counterclockwise. The rotation of the first link 130 also rotates the second link 140 connected to the vane 120 and the arrangement of the vane 120 is changed. Also,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link 130, the third link 180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30 also moves to rotate the second vane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vane 170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ink 130 rotates. The second link 140 moves along the guide line 108 while the guide ring 148 moves along the guide line 108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140 varies during the rotation process.

도 14b 내지 도 14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104)로 토출되는 공기를,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의 배치를 달리하여, 천정(1)에 수평한 수평풍, 천정면에 수직에 가까운 수직풍 또는 수직풍과 수평풍 사이의 경사각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중간풍으로 보낼 수 있다. 14B to 14D,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04 is separated from the ceiling 1 by different arrangements of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A horizontal wind which is horizontal in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wind which is vertical to the ceiling surface, or a middle wind which forms an inclination angle between vertical wind and horizontal wind.

도 14b를 참조하면,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의 회전으로, 베인(120)은 천정에 수평에 가깝게 배치된다. 제2베인(170)은 제1링크(130)와 연결된 제3링크(180)의 이동으로, 토출유로(103)로 토출되는 공기를 제1베인(120)으로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토출구(104)로 토출되는 공기는 제2베인(170)을 따라 제1베인(120)으로 유동하며, 제1베인(120)의 영향으로 천정면에 수평하게 토출된다. Referring to FIG. 14B,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the vane 120 is disposed horizontally close to the ceiling. The second vane 170 is disposed to guide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ssage 103 to the first vane 120 by the movement of the third link 180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30.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04 flows to the first vane 120 along the second vane 170 and is horizontally discharged to the ceiling surfac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irst vane 120.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링크경사각(θ1)과 제2링크경사각(θ2) 각각은 직각에 유사한 범위로 형성된다. 제1링크경사각(θ1)과 제2링크경사각(θ2)은 서로 유사한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링크경사각(θ1)과 제2링크경사각(θ2) 각각은 90°±10°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1 and the second link inclination angle? 2 are each formed in a similar range to the right angle at positions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horizontal winds. The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1 and the second link inclination angle? 2 may be formed in a similar range to each other. That is, each of the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1 and the second link inclination angle? 2 may be formed in a range of 90 ° ± 10 °.

또한,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3 링크경사각(θ3)도 90°±10°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horizontal wind, the third link inclination angle [theta] 3 may be formed in a range of 90 [deg.] + - 10 degrees.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120)은 천정면과 수평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2베인(170)은 토출유로(103)를 따라 하측(D)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천정면과 수평하게 배치된 제1베인(120)으로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In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horizontal wind, the first vane 120 is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ceiling face. The second vane 170 is arranged to guide the air flow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D along the discharge flow path 103 to the first vane 120 arranged horizontally with the ceiling surface.

제1베인(120) 및 제2베인(170)이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와 외측단부(129)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수평선(Z1-Z1’)과 가깝게 배치된다.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 의 내측단부(128)와 외측단부(129)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수평선(Z1-Z1’)과 같거나 일정각도 이하로 하향 배치된 경사각(θ4)을 형성할 수 있다.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은 정지상태에서의 제1베인판(122)보다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배치이다.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inner end 128 and the outer end 129 of the first vane plate 122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horizontal wind, (Z1-Z1 ') extending from the inner end 128 of the vane plate 122. As shown in FIG.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inner end 128 and the outer end 129 of the first vane plate 122 at a position to form a horizontal wind is defined as a virtual line extending from the inner end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4 that is equal to or less than a certain angle with the horizontal lines Z1-Z1 'of the first lens group. The first vane plate 122 at a position where the horizontal wind is formed is rotated clockwise than the first vane plate 122 at a stationary state.

제1베인(120) 및 제2베인(170)이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은 토출구(104)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는 내측토출가이드(109b)의 단부(107b)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제1베인(120) 및 제2베인(170)이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내측토출가이드(109b)의 단부(107b)로부터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가 하측(D)으로 이격된 거리(D7)는 최대일 수 있다. The first vane plate 122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 104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horizontal wind. The inner end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s disposed below the end 107b of the inner discharge guide 109b. The inner end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s moved downward from the end 107b of the inner discharge guide 109b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horizontal wind D may be the maximum distance D7.

제1베인(120) 및 제2베인(170)이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하측으로 형성된 토출유로(105)를 따라 유동하는 토출공기는, 토출유로(103)에 수직하게 배치된 베인판(122)에 의해 수평풍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air flowing along the discharge passage 105 formed at the lower side in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the horizontal wi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ane plate (122).

제1베인(120) 및 제2베인(170)이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2베인판(172)은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2베인판(182)의 외측단부는 토출구(10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베인(120) 및 제2베인(170)이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2베인판(172)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고정회전부(176)의 중심(C3)보다 제3링크연결홀(178)의 중심(C4)이 하측에 배치된다. 제1베인(120) 및 제2베인(180)이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2베인판(172)의 외측단부(179b)는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토출유로(103)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2베인(170)을 따라 제1베인(120)으로 안내되고, 제1베인(120)을 따라 수평풍으로 토출된다. The second vane plate 172 is disposed obliquely to face the inner end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n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horizontal wind. The outer end of the second vane plate 182 can be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 104. The center of the fixed vane 176 which forms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vane plate 172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the horizontal wind, And the center C4 of the lower portion 178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 outer end 179b of the second vane plate 172 is positioned at the inner end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80 form a horizontal wind Respectively. The air flowing in the discharge passage 103 is guided to the first vane 120 along the second vane 170 and is discharged in a horizontal wind along the first vane 120.

도 14d를 참조하면, 제2링크(140)는 가이드돌출부(138)에 의해 측면부(106)에 형성된 가이드라인(108)의 단부까지 회전한다. 가이드링(148)이 가이드라인(108)의 단부까지 이동하면, 제1베인(120)은 천정면에 수직에 가까운 배치를 한다. 제2베인(170)도 제1링크(130)와 연결된 제3링크(180)의 이동으로, 천정면에 수직에 가깝게 배치된다. 14D, the second link 140 rotates to the end of the guide line 108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106 by the guide projection portion 138. As shown in Fig. When the guide ring 148 is moved to the end of the guide line 108, the first vane 120 is arranged vertically close to the ceiling face. The second vane 170 is also disposed vertically close to the ceiling surface by the movement of the third link 180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30.

도 14d와 같은 배치에서, 토출구(10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의 영향으로 바닥면을 향해 토출된다.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되므로, 도 14d와 같이, 제1링크(130)와 제2링크(150)가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더라도 서로 겹치지 않는다. 14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4 is discharged toward the bottom surface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As shown in FIG.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are disposed on different planes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even if 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50 are arranged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천장 또는 지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는 교차되게 배치된다.The first link 130 and the second link 140 are arranged so as to intersect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are vertically arranged on the ceiling or the ground to form a vertical wind.

도 14d를 참조하면, 제1베인(13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링크경사각(θ1)은 180°보다 큰 우각을 형성한다. 제2링크경사각(θ2) 0°보다 더 회전한다. 따라서, 도 14d와 같이, 제1링크(130)의 제1베인연결부(136)는 제2링크(140)의 제2링크바(142)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베인(120)의 배치는 제1링크바(132)와 제2링크바(142)는 서로 다른 평면상을 이동하므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링크연결부(124)가 제1베인판(122)의 상측(U’)과 내측(I’)으로 돌출되고, 제1링크연결홀(126a)가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보다 내측(I’)으로 형성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3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vertical wind, the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1 forms a right angle greater than 180 degrees. The second link inclination angle? 2 rotates more than 0 °. 14D, the first vane connection 136 of the first link 130 is disposed on the second link bar 142 of the second link 140. As shown in FI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ane 120 may be possible because the first link bar 132 and the second link bar 142 move on different planes. The link connecting portion 124 is protruded to the upper side U 'and the inner side I' of the first vane plate 122 and the first link connecting hole 126a is protruded from the inner side end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 &apos;). &Lt; / RTI &gt;

또한, 제1베인(13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3링크경사각(θ3)은 우각을 형성할 수 있다. Further,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3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vertical wind, the third link inclination angle? 3 can form a right angle.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와 외측단부(129)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수평선(Z1-Z1’)과 수직에 가깝게 배치된다. 즉,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은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수평선(Z1-Z1’)과 사이에서 수직에 가깝운 경사각(θ4)을 형성할 수 있다.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inner end 128 and the outer end 129 of the first vane plate 122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vertical airflow, And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s Z1-Z1 'extending from the inner end 128 of the vane plate 122. [ That is, in the position to form the vertical wind, the first vane plate 122 has a virtual horizontal line Z1-Z1 'extending from the inner end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The inclination angle? 4 can be formed.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의 일부가 토출구(104) 상측에 배치된다. 즉,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가 토출구(104)의 상측에 형성된 토출유로(105) 상에 배치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는 토출구(104)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베인판(122)의 외측단부(129)는 토출구(104)의 하측에 배치된다. A portion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s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port 104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vertical wind. The inner end portion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ssage 105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04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vertical wind . The inner end portion 128 of the vane plate 12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04 and the first vane plate 122 is provided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vertical wind,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04. The discharge port 104,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는 내측토출가이드(109b)의 단부(107)보다 상측으로 일정간격(D7) 이격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는 내측토출가이드(109b)의 단부(107)에서 외측(O)으로 일정간격(D6) 이격배치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는 내측토출가이드(109b)의 단부(107)에서 외측방향(O)으로 최대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The inner end portion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s positioned above the end portion 107 of the inner discharge guide 109b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vertical wind (D7). The inner end portion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s located outside the end portion 107 of the inner discharge guide 109b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vertical wind O) at regular intervals (D6). The inner end portion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s located outside the end portion 107 of the inner discharge guide 109b in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vertical wind, (O). &Lt; / RTI &gt;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120)은 토출구(104)의 외측방향(O)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120)은 외측토출가이드(109a)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120)은 토출유로(103)의 중심(Y4-Y4’)보다 외측(O)에 배치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토출유로(103)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제1베인(120)을 따라 유동하여, 천정면 또는 지면에 수직하게 토출된다. 즉, 내측토출가이드(109b)에 의해 외측(O)방향으로 하향(D) 토출되는 공기가 천정 또는 지면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제1베인(120)을 거쳐 지면으로 수직하게 토출될 수 있다.The first vane 120 is disposed offset in the outward direction O of the discharge port 104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vertical win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vertical wind, the first vane 1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discharge guide 109a. The first vane 120 is disposed outside the center Y4-Y4 'of the discharge passage 103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vertical wind .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vertical air flow, the air flowing along the discharge passage 103 flows along the first vane 120 and flows vertically . That is, the air discharged downward (D) in the outer (O) direction by the inner discharge guide 109b can be discharged vertically through the first vane 120 arranged vertically to the ceiling or the ground have.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2베인판(170)의 내측단부(179a)와 외측단부(179b)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고정회전부(176)의 중심(C3)에서 형성되는 가상의 수평선(Z2-Z2’)과 수직에 가깝게 배치된다. 즉,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2베인판(172)은 제2베인판(172)의 내측단부(179a)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수평선(Z2-Z2’)과 사이의 경사각(θ5)이 대략 수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inner end 179a and the outer end 179b of the second vane plate 170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vertical wind, (Z2-Z2 ') formed at the center (C3) of the display panel (176). That is, at the position where the vertical wind is formed, the second vane plate 172 has a virtual horizontal line Z2-Z2 'extending from the inner end portion 179a of the second vane plate 172 and an inclination angle? Can be formed approximately perpendicularly.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2베인(170)은 토출구(104)의 내측방향(I)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2베인(170)은 내측토출가이드(109b)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2베인(170)은 토출유로(103)의 중심(Y4-Y4’)보다 내측(I)에 배치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토출유로(103)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제2베인(170)을 따라 유동하여, 천정면 또는 지면에 수직하게 토출된다. The second vane 170 is biased in the inward direction I of the discharge port 104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vertical win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vertical wind, the second vane 17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discharge guide 109b. The second vane 170 is disposed at the inner side I of the discharge passage 103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vertical winds .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vertical air flow, air flowing along the discharge passage 103 flows along the second vane 170 and flows vertically .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과 제2베인판(172)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수평선(Z1-Z1’)과 제1베인판(122) 사이에서 수직에 가깝운 경사각(θ4)은, 제2베인판(172)의 내측단부(179a)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수평선(Z2-Z2’)과 제2베인판(172) 사이에서 형성되는 경사각(θ5)과 동일하거나, ±10° 이내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vane plate 122 and the second vane plate 172 may b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in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vertical wind. That is, imaginary horizontal lines Z1-Z1 'extending from the inner end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vertical winds, The angle of inclination? 4 close to vertical between the first vane plates 122 is defined by imaginary horizontal lines Z2-Z2 'extending from the inner end 179a of the second vane plate 172, 5 that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72 and 172, or within a range of +/- 10 degrees.

도 14c를 참조하면,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은 제1링크(130)가 수평풍을 이루는 위치와 수직풍을 이루는 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천정면에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은 천정면에 30° 내지 60°의 각도로 배치되어 토출구(104)로 토출되는 공기를 천정면의 대각방향으로 유동시킨다. 하측으로 형성된 토출유로(103)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 따라 유동하며, 이경우, 토출되는 공기는 코안다 효과로 대각방향으로 멀리 유동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14C,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are disposed between a position where the first link 130 is horizontal and a position where the vertical wind is formed, .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are disposed at an angle of 30 ° to 60 ° on the ceiling surface to flow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04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ceiling surface. The air flowing along the discharge passage 103 formed on the lower side flows along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In this case, the discharged air can flow in the diagonal direction due to the Coanda effect .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중간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링크경사각(θ1)은 제2링크경사각(θ2)보다 큰 경사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링크경사각(θ1)은 둔각을 형성하고, 제2링크경사각(θ2)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1 forms an inclination angle larger than the second link inclination angle 2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n intermediate wind. Specifically, the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theta] 1 forms an obtuse angle, and the second link inclination angle [theta] 2 forms an acute angle.

또한,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중간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3링크경사각(θ3)은 둔각을 형성한다. Further,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n intermediate wind, the third link inclination angle? 3 forms an obtuse angle.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중간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와 외측단부(129)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수평선(Z1-Z1’)과 30° 내지 60°의 경사각(θ3)을 형성한다. 상기의 경사각(θ3)은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의 제1베인의 경사각과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의 제1베인의 경사각 사이의 각도를 형성한다.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inner end 128 and the outer end 129 of the first vane plate 122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n intermediate wind forms the first A virtual horizontal line Z1-Z1 'extending from the inner end portion 128 of the vane plate 122 and an inclination angle [theta] 3 of 30 [deg.] To 60 [deg.]. The inclination angle? 3 is set such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 horizontal wind, Thereby forming an angle betwe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vane at the position where the wind is formed.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중간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은 토출구(104)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중간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의 외측단부(129)는 내측토출가이드(109b)의 단부(107)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거리일 수 있다. 즉,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중간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의 외측단부(129)는 내측토출가이드(109b)의 단부(107)로부터 하측(D)으로 최대로 이격(D9)되고, 외측(O)으로 최대로 이격(D8)된다.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n intermediate wind, the first vane plate 122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 104. The outer end 129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107 of the inner discharge guide 109b to the maximum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n intermediate wind It may be a distance away. That is,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n intermediate wind, the outer end 129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s separated from the end 107 of the inner discharge guide 109b The maximum distance D9 to the lower side D and the maximum distance D8 to the outer side O are obtained.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중간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2베인(170)은 토출구(104)의 내측방향(I)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2베인(170)은 내측토출가이드(109b)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2베인(170)은 토출유로(103)의 중심(Y4-Y4’)보다 내측(I)에 배치된다.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중간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2베인판(172)의 내측단부(179a)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수평선(Z2-Z2’)과 제2베인판(172) 사이에서 형성되는 경사각(θ5)이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vane 170 is biased in the inward direction I of the discharge port 104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n intermediate win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vertical wind, the second vane 17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discharge guide 109b. The second vane 170 is disposed at the inner side I of the discharge passage 103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vertical winds .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Z2-Z2 'extending from the inner end 179a of the second vane plate 172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form an intermediate wind, The inclination angle [theta] 5 formed between the vane plates 172 can form an obtuse angle.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면, 제1베인(120)이 정지상태로부터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1링크경사각(θ1)은 90°보다 작은 예각에서부터 180°보다 큰 우각으로까지 각도가 증가한다. 반면에, 제2링크경사각(θ2)은 90°보다 큰 둔각에서부터 90°보다 작은 예각을 거쳐 0°를 지나는 범위까지 제2링크(140)가 회전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4A to 14D, as the first vane 120 moves from a stationary state to a position forming a horizontal wind, a middle wind and a vertical wind, the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1 is changed from an acute angle smaller than 90 degrees to 180 The angle increases to a right angle greater than 0 °.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ink inclination angle [theta] 2 can grasp that the second link 140 rotates from an obtuse angle larger than 90 degrees to a range passing 0 degrees through an acute angle smaller than 90 degrees.

또한, 제3링크경사각(θ3)은 제1링크경사각(θ1)과 유사하게 예각에서부터 우각으로 각도가 증가하게 된다. Also, the angle of the third link inclination angle? 3 increases from an acute angle to a right angle similar to the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1.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120)은 수직풍을 형성하는 배치를 위해, 제1링크경사각(θ1)이 우각을 형성할 수 있어, 베이스패널이 배치된 천정면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바닥면으로 직접적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120)의 링크연결부(124)의 제1링크연결홀(126a)은 베인(120)의 내측단부보다 내측(I’)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가 서로다른 평면상에서 이동하여, 제1링크경사각(θ1)이 우각을 형성할 수 있다. The van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form a right angle with the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1 for the arrangement for forming the vertical airflow,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eiling surface on which the base panel is disposed is directly As shown in FIG. The first link connection hole 126a of the link connection portion 124 of the van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to protrude inwardly from the inner end portion of the vane 120, And the second link 140 move on different planes, so that the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1 can form a right angle.

또한, 도 12b 내지 도 12d를 참조하면, 제1베인(120) 및 제2베인(170)이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1베인판(122)은 시계방향으로 배치가 변경된다. 즉, 제1베인(120)이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1베인판(122)이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수평선(Z1-Z1’) 사이에서 형성하는 각도(θ4)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12B to 12D, as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move to the positions forming the horizontal wind, the middle wind, and the vertical wind, the first vane plate 122 The arrangement is changed clockwise. That is, as the first vane 120 moves to a position forming a horizontal wind, a middle wind and a vertical wind, the first vane plate 122 extends from the inner end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And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ngle [theta] 4 formed between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s Z1-Z1 'increases.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면, 제1베인(120)이 정지상태로부터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는 외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베인(120)이 정지상태로부터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와 내측토출가이드(109b)의 단부(107)의 거리(D4)는 점점 증가한다.12A-12D, as the first vane 120 moves from a rest state to a position forming a horizontal wind, a middle wind and a vertical wind, the inner end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And moves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inner end portion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and the end portion of the inner discharge guide 109b (i.e., the first vane 120) are moved from the stopped state to the position forming the horizontal wind, 107 increases gradually.

도 12b 내지 도 12d를 참조하면, 제1베인(120) 및 제2베인(170)이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는 상측으로 이동한다. 즉, 수평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의 위치가 최하측에 배치되며, 수직풍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제1베인판(122)의 내측단부(128)의 위치가 최상측에 배치된다. 12B to 12D, as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move to the positions forming the horizontal wind, the middle wind and the vertical wind, the inner ends of the first vane plate 122, (128) moves upward. That is, the position of the inner end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is located at the lowermost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inner end 128 of the first vane plate 122 at the position where the vertical wind is formed, (128) is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도 15은 도 14b 내지 도 14d의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의 배치에 따른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 및 풍량을 나타낸 기류해석결과이다.FIG. 15 shows the results of air flow analysis showing the airflow direction and air flow rate of the discharged ai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in FIGS. 14B to 14D.

도 15a를 참조하면, 도 14b와 같은 수평풍을 토출하도록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배치되면, 토출구(104)로 토출되는 공기는 천정면에 가까이에서 유동함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도 14d와 같은 수직풍을 토출하도록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배치되면,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는 천정면에 수직하게 토출되며, 바닥면까지 공기가 유동함을 파악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A, when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are disposed to discharge the horizontal wind as shown in FIG. 14B,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04 flows close to the ceiling surface . Referring to FIG. 15C, when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are disposed to discharge the vertical air as shown in FIG. 14D,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perpendicularly to the ceiling surfac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flow of the fluid.

또한, 도 15b를 참조하면, 도 14c와 같은 중간풍을 토출하도록 제1베인(120)과 제2베인(170)이 배치되면, 토출구(104)로 토출되는 공기는 천정면에 대각방향으로 넓게 유동함을 파악할 수 있다. 15B, when the first vane 120 and the second vane 170 are disposed to discharge the intermediate wind as shown in FIG. 14C,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04 is spread in a diagonal direction Flow can be grasped.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을 사용하는 공기조화기의 경우, 넓은 범위의 각도록 효과적으로 공기가 토출됨을 파악할 수 있다. 15A to 15C, in the case of the air conditioner using the va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air is effectively discharged in a wide range of angles.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120), 제2베인(170) 및 3개의 링크(130, 140, 180) 구조는 토출구(104) 하측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다른 공기조화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즉, 흡입구 및 하측으로 형성된 토출구를 가지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베인;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베인; 상기 제1베인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제1베인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베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도 하측으로 토출구가 형성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first vane 120, the second vane 170 and the three links 130, 140, and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in other air conditioners having a structure formed below the discharge port 104. That is, a heat exchanger that has a housing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formed at a lower side, a heat exchanger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 fan that sucks air from the suction port, exchanges heat through the heat exchanger, A first vane for adjus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 second vane in which one side of the second vane is rotatably fixed to the base panel, the direction of the air being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being adjusted; A first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base panel; A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link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panel; A secon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base panel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first link and a thir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vane. It is applicable to a case where a wall-type air-conditioning duct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downwar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바디부 12 : 송풍모듈
18 : 열교환기 100 : 베이스패널
104 : 토출구 106 : 측면부
108 : 가이드라인 110 : 모터수용부
120 : 제1베인 130 : 제1링크
140 : 제2링크 144 : 링크로드
146 : 링크실린더 148 : 가이드링
160 : 모터 170 : 제2베인
180 : 제3링크
10: Body part 12: Air blowing module
18: heat exchanger 100: base panel
104: discharge port 106:
108: guideline 110: motor housing
120: first vane 130: first link
140: second link 144: link load
146: Link cylinder 148: Guide ring
160: motor 170: second vane
180: Third link

Claims (24)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냉매가 서로 열교환되는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바디부;
상기 송풍 팬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측으로 개방된 토출구가 형성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베인;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베인;
상기 제1베인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제1베인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베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 body portion for accommodating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and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blowing fan;
A base panel having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is sucked and a discharge port which opens downward to discharge heat-exchanged air in the heat exchanger;
A first vane for adjus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 second vane in which one side of the second vane is rotatably fixed to the base panel, the direction of the air being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being adjusted;
A first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base panel;
A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link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panel;
A secon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base panel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And a thir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va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기 제2링크가 연결되는 측면부에는, 상기 제2링크의 회전시 상기 제2링크의 길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링이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line for adjusting a length of the second link when the second link is rotated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se panel to which the second link is connected,
And a guide ring moving along the guide line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econd li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와 다른 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ink is arranged to rotate on a different plane than the second li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1베인은 상기 토출구에서 하측으로 이격배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vane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a horizontal wind,
Wherein the first vane is spaced downward from the discharge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2베인은 상기 제1베인의 내측단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vane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a horizontal wind,
Wherein the second vane is disposed obliquely to face an inner end of the first va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1베인의 일부는 상기 토출구 상측에 위치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arranged vertically on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vertical wind,
And a part of the first vane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2베인의 일부는 상기 토출구 하측에 위치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arranged vertically on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vertical wind,
And a part of the second vane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은 평행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arranged vertically on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vertical wind,
Wherei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disposed in parall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arranged vertically on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vertical wind,
Wherei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disposed so as to cross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은 상기 바디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이 천장 또는 지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직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제1베인은 상기 토출유로의 내측방향에 배치된 토출가이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베인은 상기 토출유로의 외측방향에 배치된 토출가이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panel includes a discharge guide for forming a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air flowing in the body portion to the discharge port,
Wh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arranged vertically on the ceiling or the ground an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vertical wind,
Wherein the first van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e guide dispos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second van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e guide dispos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과 상기 제2링크의 이동으로 상기 제1베인은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으로 토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베인이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배치에서, 상기 제1링크의 중심을 따라 형성된 가상의 직선(CL1)과, 제1링크연결홀의 중심과 상기 제2링크연결홀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CC) 사이에 형성되는 제1링크경사각이 증가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vane can discharge the discharged air in a horizontal wind, a middle wind, and a vertical win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he first vane discharging air in a horizontal wind direction, a middle wind direction and a vertical wind direction, an imaginary straight line CL1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first link and a straight line CL2 formed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link connection hole and the second link connection Wherein a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virtual straight lines (CC)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holes is increas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경사각은 상기 제1베인이 수직풍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배치에서, 우각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link inclination angle forms a right angle in an arrangement in which the first vane discharges air in a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3링크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ink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ink and the third li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베인판; 및
상기 제1베인판의 단부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가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는 상기 링크연결부와 상기 베이스패널의 측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vane comprises:
A first vane plate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nd
And a first link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vane plate and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Wherei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disposed between the link connection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base pane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연결부는 상기 제1베인판에서 내측과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공기조화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link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wardly and upwardly from the first vane plat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연결부에는,
상기 제1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홀과 상기 제2링크와 연결되는 제2링크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연결홀은 상기 제1베인판의 내측단부보다 내측에 형성된 공기조화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link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link connection hol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connection hole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are formed,
And the second link connection hole is formed inside the inner end of the first van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인은,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2베인판;
상기 제2베인판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패널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베인판을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회전부; 및
상기 제2베인판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3링크와 연결되는 제2링크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vane comprises:
A second vane plate for adjus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 fixed rotation part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second vane plate toward the base panel and rotatably connecting the second vane plate to the base panel; And
And a second link connection part protruded upward from an end of the second vane plate and connected to the third li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은 회전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during ro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형성된 상기 제1링크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제1패널연결부;
일측에서 상기 제1패널연결부와 연결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3링크에 연결되는 제1링크바;
상기 제1링크바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베인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베인연결부; 및
상기 제1링크바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링크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ink comprises:
A first panel connection part disposed on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link formed on the base panel and connected to the motor;
A first link bar connected to the first panel connecting portion at one side and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third link, respectively;
A first vane connection portion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link ba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And a third link connecting portion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ba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link.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상기 제2링크 및 상기 제3링크의 이동으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은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으로 토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이 수평풍, 중간풍 및 수직풍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배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링크의 상기 제1패널연결부가 형성하는 회전축과 상기 제3링크연결부가 형성하는 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CL3)과 상기 제3링크의 중심을 따라 형성된 가상의 직선(CL4) 사이에 형성되는 제3링크경사각이 증가하는 공기조화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can discharge the discharged air in a horizontal wind, a middle wind, and a vertical win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link, the second link, and the third link,
Wherein wh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move in an arrangement for discharging air in a horizontal wind, a middle wind and a vertical wind, the rotation axis formed by the first panel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link and the third link connection portion are formed Wherein a third link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an imaginary straight line CL3 connecting the rotational axis of the third link and an imaginary straight line CL4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third link is increas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베이스 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로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링크로드와 연결되며, 상기 제1베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링은 상기 링크실린더의 일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link comprises:
A link ro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And a link cylinder connected to the link rod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guide ring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nk cylin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형성된 상기 제2링크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패널에 연결되는 제2패널연결부;
상기 제1베인에 형성된 상기 제2링크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베인과 연결되는 제2베인연결부; 및
상기 제2패널연결부와 상기 제2베인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링크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베인연결부는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링크바 사이에 상기 제1링크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2링크바를 상기 제1베인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link comprises:
A second panel connection part disposed on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link formed on the base panel and connected to the base panel;
A second vane connection portion disposed on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link formed in the first vane and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And a second link bar connecting the second panel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vane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second vane connection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an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first link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link bar.
흡입구 및 하측으로 형성된 토출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베인;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베인;
상기 제1베인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제1베인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베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 housing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formed downward;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 blowing fan for sucking air from the suction por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to perform heat exchange,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discharge port;
A first vane for adjus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 second vane in which one side of the second vane is rotatably fixed to the base panel, the direction of the air being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being adjusted;
A first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base panel;
A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link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panel;
A secon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base panel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And a thir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vane.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기 제2링크가 연결되는 측면부에는, 상기 제2링크의 회전시 상기 제2링크의 길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링이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24. The method of claim 23,
A guide line for adjusting a length of the second link when the second link is rotated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se panel to which the second link is connected,
And a guide ring moving along the guide line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econd link.
KR1020170114119A 2017-09-06 2017-09-06 Air Conditioner KR1023929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19A KR102392956B1 (en) 2017-09-06 2017-09-06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19A KR102392956B1 (en) 2017-09-06 2017-09-06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269A true KR20190027269A (en) 2019-03-14
KR102392956B1 KR102392956B1 (en) 2022-04-29

Family

ID=6575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119A KR102392956B1 (en) 2017-09-06 2017-09-06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95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338A (en) * 2020-11-13 2022-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099U (en) * 1998-11-16 2000-06-15 구자홍 Vane removal prevention device of air conditioner
KR20050075832A (en) * 2004-01-17 2005-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JP2013057455A (en) * 2011-09-08 2013-03-28 Panasonic Corp Air conditioner
KR20150004471A (en) * 2013-07-02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wind-visor an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099U (en) * 1998-11-16 2000-06-15 구자홍 Vane removal prevention device of air conditioner
KR20050075832A (en) * 2004-01-17 2005-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JP2013057455A (en) * 2011-09-08 2013-03-28 Panasonic Corp Air conditioner
KR20150004471A (en) * 2013-07-02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wind-visor an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338A (en) * 2020-11-13 2022-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956B1 (en)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7335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249801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508191B1 (en) Air conditioner
CN110662923B (en) Air guide for ceiling-mounted air conditioning equipment and ceiling-mounted air conditioning equipment provided with same
CN107278255B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45476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8474581B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476795B1 (en) Air Conditioner
KR10242586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JP6776531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411441B1 (en) Air Conditioner
KR20190027269A (en) Air Conditioner
KR102451313B1 (en) Air Conditioner
KR102060713B1 (en) Air Conditioner
KR10205314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451314B1 (en) Air Conditioner
KR10245131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392957B1 (en) Air Conditioner
KR102454072B1 (en) Air Conditioner
KR10242586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WO2017134744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s
KR102476796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80037514A (en) An air conditioner
CN108474582B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90027272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