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514A - An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n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514A
KR20180037514A KR1020160127778A KR20160127778A KR20180037514A KR 20180037514 A KR20180037514 A KR 20180037514A KR 1020160127778 A KR1020160127778 A KR 1020160127778A KR 20160127778 A KR20160127778 A KR 20160127778A KR 20180037514 A KR20180037514 A KR 20180037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discharge port
main body
wing port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본창
오동익
서범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7514A/en
Publication of KR2018003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5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ir conditioner to discharge air in various directions with a minimum motor. To achieve thi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comprises: a body in which a discharge port is formed; a first vane installed in the bod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and adjus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 second vane installed in the bod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along with the first vane, and adjus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 link member individually and rotational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nd a vane motor of which a rotating shaft is coupled to a first van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vane.

Description

공기조화기{AN AIR CONDITIONER}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a ceiling of a room.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밸브 및 실내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즉,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로 구성될 수 있고,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겸용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the room by using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 expansion valve,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That is,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radiator for cooling the room, a radiator for heating the room, and a cooling and heating radiator for cooling or heating the room.

상기 공기조화기는 중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가 천장에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열교환기를 통과시켜서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door unit on a ceiling, an indoor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blow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for sucking indoor air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

상기 본체는 하측이 개구되고, 상기 본체의 개구된 하측에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흡토출 유닛이 결합된다. 상기 본체는 천장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보이지 않게 되고, 상기 흡토출 유닛은 천장 외부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보이게 된다. The main body is opened at the lower side, and the absorber unit having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lower open side of the main body is coupled.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side the ceiling and is invisible in the room, and the absorber unit is installed outside the ceiling and is visible in the room.

상기 흡토출 유닛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베인을 포함한다. 상기 베인에는 일측에 모터의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베인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한다. The suction and discharge unit includes a van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The vane is coupled to one side of a rotary shaft of a motor, and the vane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port by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그런데, 종래의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단순히 베인의 각도를 변경하여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어렵고, 베인이 토출구 중앙에 위치하여 베인에 의한 유로 저항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air in various directions because the angle of the vane is simply changed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van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ort and the flow resistance by the vane is also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최소한의 모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discharging air in various directions using a minimum of motors.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베인에 의한 유로 저항이 저감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passage resistance by the vane is reduced.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 베인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인과 함께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2 베인과, 상기 제1 베인 및 상기 제2 베인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베인의 제1 베인 회전축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베인 모터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discharge port; a main body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and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 second vane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together with the first vane and adjus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a vane motor in which a rotary shaft is coupled to a first vane rotary shaft of the first vane.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베인과, 상기 베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베인 모터와, 상기 베인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베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베인의 회전축이 삽입되고, 상기 베인 모터의 구동시 상기 베인의 회전축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a vane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and adjusting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a link membe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vane moto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vane, wherein the rotating shaft of the vane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when the vane motor is driven, A sliding groove is formed in which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housing part is slid.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최소한의 모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discharging air in various directions by using a minimum motor.

또한, 베인의 유로 저항이 저감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vane is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시 제1 베인 및 제2 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시 제1 베인 및 제2 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1 베인 및 제2 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1 베인 및 제2 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시 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시 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opened in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opened whe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6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ned,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ane during cooling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ane is opened during heating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van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ne of the air condition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천장(1)과 그 하부에 배치된 천장 마감재(2)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10)와, 본체(10) 내에 설치된 송풍기(12)와, 본체(10) 내부의 송풍기(12) 주위에 설치된 열교환기(14)를 포함한다. 1 to 3,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disposed between a ceiling 1 and a ceiling finishing material 2 disposed thereunder, And a heat exchanger 14 provided around the blower 12 inside the main body 10. The blower 12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of the main body 10,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박스체이다. 다른 예를 들면, 본체(10)는 저면이 개방되고, 본체(10)의 저면 외관을 프론트 패널(110)이 형성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is a box body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cubic shape. 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may be opened, and the front panel 110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본체(10)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인 흡입구(105)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0)의 일면이 개구되어 흡입구(105)와 토출구(11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흡입구(105)와 토출구(112)는 본체(10)의 저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110)에 형성된다. 흡입구(105)와 토출구(112)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suction port 105,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sucked, and a discharge port 112 through which heat-exchanged air is discharged. Specifically,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opened, and a suction port 105 and a discharge port 112 are formed. The suction port 105 and the discharge port 112 are formed in the front panel 110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The suction port 105 and the discharge port 112 will be described later.

본체(10)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송풍기(12)와,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4)가 배치된다. Inside the main body 10, there is disposed a blower 12 for sucking indoor air and discharging it, and a heat exchanger 14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sucked air.

열교환기(14)는 외부의 실외기에서 냉각된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장소이다. 열교환기(14)는 배관에 의해 실외기에 연결되어 있고, 열교환기(14)의 내부는 배관 내부의 냉매가 실내 공기와 효율적으로 열교환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된다. The heat exchanger 14 is a place where the refrigerant cooled in the outdoor unit in the outside exchanges heat with the room air. The heat exchanger 14 i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by a pipe, and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r 14 is designed to have a structure for efficiently exchanging heat with the indoor air.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1개의 흡입구(105)와 1개의 토출구(112)를 갖는 1way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1개의 흡입구(105)와 4개의 토출구(112)를 갖는 4way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1개의 흡입구(105)와 2개의 토출구(112)를 갖는 2way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1way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질 경우 송풍기(12)와 열교환기(14)는 본체(10) 내부에 좌우 혹은 전후 배치되고, 4way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질 경우 열교환기(14)가 송풍기(12)의 둘레 주변에 송풍기(12)를 둘러싸듯이 배치되며, 2way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질 경우 열교환기(14)가 송풍기(12)의 좌우 혹은 전후에 배치된다. 이하, 4way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mposed of a one-way air conditioner having one suction port 105 and one discharge port 112, and can be a four-way air conditioner having one suction port 105 and four discharge ports 112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two-way air conditioner having one suction port 105 and two discharge ports 112. In the case of a one-way air conditioner, the blower 12 and the heat exchanger 14 are disposed right and left or front and rear in the main body 10, and when the air conditioner is a 4way air conditioner, the heat exchanger 14 surrounds the blower 12, (12), and when the air conditioner is a 2way air conditioner, the heat exchanger (14) is disposed on the left or right or front or rear of the blower (12). Hereinafter, a 4way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체(10)에는 열교환기(14)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받아주는 드레인 팬(18)이 형성된다. A drain pan (18) for receiv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14)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

송풍기(12)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기(14)를 거쳐 토출구(112)로 토출한다. 송풍기(12)는 하측의 공기를 흡인하여 둘레로 송풍하는 원심 송풍기(12)로 이루어지고, 본체(10)의 상판부에 회전축(151)이 하향 돌출되게 설치된 팬 모터(15)와, 팬 모터(15)의 회전축(151)에 연결된 원심 팬(16)을 포함한다. The blower 12 sucks the outside air and discharges it to the discharge port 112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 [ The fan 12 is composed of a centrifugal blower 12 for sucking the lower air and blowing it around the fan 10 and a fan motor 15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10 with the rotary shaft 151 protruded downward, And a centrifugal fan 16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151 of the rotary shaft 15.

벨마우스(17)는 상기 흡입구(10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송풍기(12)로 안내한다. 즉, 실내 공기가 흡입될 때 송풍기(12)의 회전축으로 집중되도록 하여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조절하는 오리피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bell mouth 17 guides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05 to the blower 12. That is, when the indoor air is sucked, the air is concentrated on the rotary shaft of the blower 12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orifice to adjust the flow rate or the flow rate of the air.

벨마우스(17)는 내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링 형상이고, 축방향의 전방(F)에서 축방향의 후방(R)으로 진행될수록 그 폭이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벨마우스(17)의 중심축은 송풍기(12)의 회전축과 중첩될 수 있다. The bell mouth 17 is in the form of a ring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nd its width can be reduced as it goes from the front F in the axial direction to the rear R in the axial direction. The central axis of the bell mouth 17 can be overlapped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blower 12.

열교환기(14)는 송풍기(12)의 둘레를 둘러싸는 전,후,좌,우측부로 이루어진다. The heat exchanger 14 is composed of front, rear, left, and right portions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blower 12.

본체(10)의 하부는 천장 마감재(2)에 형성된 본체(10) 설치홀을 덮고 공기조화기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110)이 설치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front panel 110 covering the installation holes of the main body 10 formed on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2 and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프론트 패널(110)은 송풍기(12)의 하측에 실내 공기가 본체(10)로 흡입되게 개구된 흡입구(105)가 형성되고, 흡입구(105)의 주변인 흡입구(105)의 전,후,좌,우측에 토출구(112)가 각각 이격 형성된다. The front panel 11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105 opened to suck indoor air into the main body 10 at a lower side of the blower 12 and has a front, And a discharge port 112 is formed separately on the right side.

프론트 패널(110)은 흡입구(105)와 토출구(112)가 함께 형성될 수 있고, 토출구(112)가 형성된 토출 패널(미도시)과 흡입구(105)가 형성된 흡입 패널(미도시)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ront panel 110 may include a suction port 105 and a discharge port 112 and may include a discharge panel (not shown) having a discharge port 112 and a suction panel (not shown) formed with a suction port 105 It is also possible.

흡입구(105)의 위치는 송풍기(12)와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심 팬(16)의 회전축(151)과 흡입구(105)의 중심이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흡입구(105)는 원심 팬(16) 보다 축방향의 전방(F)(도 2기준으로 아래)에 위치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105 is positioned so as to vertically overlap with the blower 12. That is, the rotation axis 151 of the centrifugal fan 16 and the center of the suction port 105 are vertically overlapped. The suction port 105 is located forward of the centrifugal fan 16 in the axial direction F (downward in FIG. 2).

프론트 패널(110)에는 흡입구(105)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유닛(미도시)이 배치된다. 정화유닛은 흡입구(105)의 상측에 위치되게 프론트 패널(110)에 올려져 설치된다. The front panel 110 is provided with a purifier unit (not shown)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05. The purifier unit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11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port 105.

한편, 프론트 패널(110)에는 토출구(112)를 개폐하고 토출구(112)의 개방시 토출구(112)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베인(115)과, 베인(115)을 회전 동작시키는 베인 구동기구(미도시)가 설치된다. The front panel 110 is provided with a vane 1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112 and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12 when the discharge port 112 is opened and a vane 115 for rotating the vane 115 A driving mechanism (not shown) is provided.

베인(115)은 토출구(112) 각각에 회전되게 위치되고, 상기 베인 구동기구는 베인(115)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베인(115)을 회전 동작시킨다. 베인(115)은 토출구(112) 하나당 두 개 씩 배치된다. 즉, 베인(115)은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을 포함한다. 제1 베인(115A)은 제2 베인(115B)보다 프론트 패널(110)의 둘레로부터 멀게 배치된다.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은 함께 토출구(112)를 개폐하며, 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한다. 상기 베인 구동기구는 후술하는 베인 모터(150)일 수 있다. The vane 115 is positioned to rotate in each of the discharge ports 112, and the vane drive mechanism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vane 115 to rotate the vane 115. The vanes 115 are arranged two by two for each discharge port 112. That is, the vane 115 includes a first vane 115A and a second vane 115B. The first vane 115A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periphery of the front panel 110 than the second vane 115B.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together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12 and adjust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2. [ The vane drive mechanism may be a vane motor 150 described later.

그리고, 프론트 패널(110)에는 흡입구(105)를 가리는 그릴 패널(130)이 배치된다. The front panel 110 is provided with a grill panel 130 for covering the suction port 105.

그릴 패널(130)은 흡입구(105)를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서, 흡입구(105)로 유입되는 먼지, 벌레 들을 1차적으로 걸러내게 된다. The grill panel 130 divides the suction port 105 into a plurality of areas to primarily filter dust and worms that enter the suction port 105.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시 제1 베인 및 제2 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시 제1 베인 및 제2 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1 베인 및 제2 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1 베인 및 제2 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opened whe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ole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closed.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vane and a second van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ned.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140)와, 제1 베인(115A)의 제1 베인 회전축(165)에 결합되는 베인 모터(150)를 더 포함한다. 4 to 7,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k member 140 in which a first vane 115A and a second vane 115B are rotatably connected, And a vane motor 150 coupled to the first vane rotational shaft 165 of the vane 115A.

링크부재(140)는 절곡부가 없이 곧게 형성되어, 일단이 제1 베인(11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베인(115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 베인 회전축(165)은 베인 모터(150)의 회전축과 축방향으로 일치되어 베인 모터(165)의 회전축에 고정된다. The link member 140 is formed to be straight without a bent portion,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vane 115A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vane 115B. The first vane rotating shaft 165 is axially aligned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vane motor 150 a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vane motor 165.

제1 베인(115A)은 토출구(112)를 개폐하며 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 날개부(161)와, 제1 날개부(161)의 내측면인 상측면에서 프론트 패널(110)의 둘레 내측을 향하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1 연결부(162)와, 제1 연결부(162)에서 프론트 패널(110)의 둘레 외측을 향하는 타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2 연결부(163)를 포함한다. The first vane 115A includes a first vane portion 161 that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port 112 and adjusts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2, A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which is inclinedly protruded toward one side of the front panel 110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63 which is inclinedly protrud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toward the outside of the front panel 110 ).

그리고, 제2 베인(115B)은 제1 날개부(161)와 함께 토출구(112)를 개폐하며 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2 날개부(171)와, 제2 날개부(171)의 내측면인 상측면에서 프론트 패널(110)의 둘레 내측을 향하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3 연결부(172)를 포함한다. The second vane 115B includes a second wing portion 17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112 together with the first wing portion 161 and adjusting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2, And a third connection part 172 projecting obliquely to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0 which faces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urface.

제1 연결부(162)에는 링크부재(14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축(164)이 형성되고, 제2 날개부(171)에는 링크부재(14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축(173)이 형성된다. 제2 연결축(173)은 제2 날개부(171) 중 제1 연결부(162) 및 제3 연결부(172)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A first connecting shaft 164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art 162 to allow one end of the link member 140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art 162.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14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wing part 171 A second connection shaft 173 is formed. The second connection shaft 173 is formed at a por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72 of the second wing portion 171.

그리고, 제2 연결부(163)에는 베인 모터(15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베인 회전축(165)이 형성되며, 제3 연결부(174)에는 프론트 패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베인 회전축(174)이 형성된다.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63 is formed with a first vane rotating shaft 165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vane motor 15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74 is provided with a second vane rotating shaft 165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63, A vane rotating shaft 174 is formed.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이 토출구(112)를 닫은 상태에서, 베인 모터(150)가 구동되면, 제2 연결부(163)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 연결부(163)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연결부(162) 및 제1 날개부(161)도 제2 연결부(163)와 함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제1 베인(115A)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제1 연결부(162) 및 제2 날개부(171)에 연결된 링크부재(140)가 제2 베인(115B)을 당기게 되므로, 제2 베인(115B)은 제2 베인 회전축(174)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When the vane motor 150 is driven in a state where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close the discharge port 112,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63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and the first wing portion 161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3 are also rotated clockwise together with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63 in the drawing. Since the first vane 115A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link member 14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71 pulls the second vane 115B, And the second vane 115B is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second vane rotating shaft 174 as viewed in the drawing.

이와 같이,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은 베인 모터(150)의 구동력에 의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토출구(112)를 개방할 수 있고,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토출구(112)를 닫을 수 있다. 즉,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can b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vane motor 150 to open the discharge port 112, The discharge port 112 can be closed while being rotated. That is,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are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냉방시에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은 난방시에 비해 토출구(112)를 조금 개방하고, 난방시에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은 냉방시에 비해 토출구(112)를 많이 개방한다.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slightly open the discharge port 112 during the cooling and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at the time of cooling, The discharge port 112 is opened a lot.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이 토출구(112)를 개방하는 경우, 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 사이와, 프론트 패널(110) 및 제1 베인(115A) 사이와, 프론트 패널(110) 및 제2 베인(115B) 사이로 토출된다. 이 때, 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제1 날개부(161) 및 제2 날개부(171)에 부딪쳐 프론트 패널(110)의 둘레 외측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즉, 열교환기(14)를 통과한 공기는 본체(10) 내에서 아래를 향하여 이동되다가, 공기토출구(112)를 통과하면서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에 부딪쳐 프론트 패널(110)의 둘레 외측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에 부딪쳐 방향이 전환되기 때문에,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 부근에서 유동저항이 발생된다. When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open the discharge port 112,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2 flows between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Between the panel 110 and the first vane 115A and between the front panel 110 and the second vane 115B. 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2 strikes the first wing portion 161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71, and the direction of the air is changed to the outer side of the front panel 110. That is,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 is moved downward in the main body 1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air outlet 112 to hit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110). ≪ / RTI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2 is converted into a direction by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so that a flow resistance i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

상기 유동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 제1 날개부(161)의 폭이 제2 날개부(17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제1 베인(115A)이 제2 베인(115B)보다 프론트 패널(110)의 둘레로부터 멀게 배치되고, 제2 베인(115B)이 제1 베인(115A)보다 프론트 패널(110)의 둘레로부터 가깝게 배치되기 때문에, 프론트 패널(110)의 둘레로부터 가까운 제2 날개부(171)의 폭이 제1 날개부(16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유동저항을 저감시키는데 유리하다. The width of the first wing portion 16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wing portion 171 in order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The first vane 115A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periphery of the front panel 110 than the second vane 115B and the second vane 115B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periphery of the front panel 110 than the first vane 115A. The width of the second wing portion 171 near the periphery of the front panel 11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wing portion 161, which is advantageous for reducing the flow resistanc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베인 모터(150) 및 하나의 링크부재(140)을 이용하여, 두 개의 베인(115A,115B)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인(115A,115B) 부근에서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two vanes 115A and 115B using one vane motor 150 and one link member 140. [ In addition,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near the vanes 115A and 115B can be reduc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시 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시 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ane during cooling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ne is opened during heating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n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vane of the air condition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t points will be described.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패널(110)에 두 개의 베인(115A,115B)이 토출구(112)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었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패널(110)에 하나의 베인(115)이 토출구(112)를 개폐하도록 설치된다.8 to 11,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lthough two vanes 115A and 115B are provided on the front panel 110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12, in the second embodiment, one vane 115 ar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12.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링크부재(140)가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었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링크부재(140)는 베인 모터(150)의 회전축(151)에 결합되고, 베인(1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제2 실시예의 링크부재(140)는 일단이 베인 모터(150)의 회전축(151)에 고정되고, 타단은 베인(1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본 제2 실시예의 링크부재(140)는 베인 모터(150)가 구동되어 베인 모터(150)의 회전축(151)이 회전되는 경우, 베인 모터(150)의 회전축(151)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link member 14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respectively. 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link member 140 is connected to the vane motor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vane 115. The vane 115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51 of the vane 115 by a rotation shaft 151, One end of the link member 14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151 of the vane motor 150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vane 115. Therefore, when the vane motor 150 is driven and the rotating shaft 151 of the vane motor 150 is rotated, the link member 140 of the second embodiment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ng shaft 151 of the vane motor 150 As shown in FIG.

또한, 프론트 패널(110)에는 베인(115)의 회전축(194)이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180)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베인 모터(150)의 구동시 베인(115)의 회전축(194)은 슬라이딩 홈(18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된다.The front panel 110 is formed with a sliding groove 180 into which the rotating shaft 194 of the vane 115 is inserted. The rotating shaft 194 of the vane 115 slides up and down along the sliding groove 180 when the vane motor 150 is driven.

베인(115)은, 토출구(112)를 개폐하며 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날개부(191)와, 날개부(191)의 내측면인 상측면에서 프론트 패널(110)이 둘레와 반대방향인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연결부(192)를 포함한다.The vane 115 includes a wing portion 19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112 and regulating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2, And a connecting portion 192 projecting obliquely to one side opposite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연결부(192)에는 링크부재(14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축(193)이 형성되고, 날개부(191)에는 베인(115)의 회전축(194)이 형성된다. 베인(115)의 회전축(194)은 날개부(191) 중 연결부(192)가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에 형성된다. The connecting portion 192 is formed with a connecting shaft 193 to which the link member 140 is rotatably connected and the rotating shaft 194 of the vane 115 is formed in the blade portion 191. The rotating shaft 194 of the vane 115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wing portion 191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192 protrudes.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이 개방되었을 때, 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제1 베인(115A) 및 제2 베인(115B) 사이와, 제1 베인(115A) 및 프론트 패널(110) 사이와, 제2 베인(115B) 및 프론트 패널(110) 사이를 통해 토출되었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베인(115)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토출된다.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are opene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2 flows between the first vane 115A and the second vane 115B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2 in the second embodiment is discharg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vane 115A and the front panel 110 and between the second vane 115B and the front panel 110, And is discharged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vane 115 as a reference.

또한, 베인(115)이 토출구(112)를 개방하였을 때, 날개부(191)는 토출구(112)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베인(115)에 부딪치면서 발생되는 유동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When the vane 115 opens the discharge port 112, the wing portion 191 protrudes downward from the discharge port 112. [ Accordingly, the flow resistance generated whe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2 hits the vane 115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베인 모터(150) 및 하나의 링크부재(140)을 이용하여, 베인(115)을 개폐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유동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n and close the vane 115 using one vane motor 150 and one link member 140 as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flow resistance can be reduc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every respec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본체 105: 흡입구
110: 프론트 패널 112: 토출구
115: 베인 115A: 제1 베인
115B: 제2 베인 140: 링크부재
150: 베인 모터 151: 베인 모터의 회전축
161: 제1 날개부 162: 제1 연결부
163: 제2 연결부 164: 제1 연결축
165: 제1 베인 회전축 171: 제2 날개부
172: 제3 연결부 173: 제2 연결축
174: 제2 베인 회전축 180: 슬라이딩 홈
191: 날개부 192: 연결부
193: 연결축 194: 베인의 회전축
10: main body 105: inlet
110: front panel 112: outlet
115: Vane 115A: First vane
115B: second vane 140: link member
150: Vane motor 151: Vane motor rotation axis
161: first wing portion 162: first connection portion
163: second connecting portion 164: first connecting shaft
165: first vane rotating shaft 171: second wing portion
172: third connecting part 173: second connecting shaft
174: second vane rotating shaft 180: sliding groove
191: wing portion 192: connection portion
193: connecting shaft 194: rotational axis of the vane

Claims (13)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 베인;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인과 함께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2 베인;
상기 제1 베인 및 상기 제2 베인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제1 베인의 제1 베인 회전축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베인 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 main body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A first van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opening / closing the discharge port and adjus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 second van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together with the first vane and adjus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 link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respectively; And
And a vane motor coupled to the first vane rotary shaft of the first va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인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 날개부와, 상기 제1 날개부의 내측면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인은, 상기 제1 날개부와 함께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2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의 내측면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에는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날개부에는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에는 상기 베인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상기 제1 베인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연결부에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베인 회전축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vane may include a first wing portion that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port and adjusts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 first connection portion that projects obliquely from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projecting obliquely toward the other side,
The second vane may include a second wing portion that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port together with the first wing portion and adjusts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a third wing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ing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A first connection shaft to which one end of the link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 second w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connection shaft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with the first vane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vane motor,
And a second vane rotation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축은 상기 제2 날개부 중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3 연결부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connection shaft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second w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의 폭이 상기 제2 날개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width of the first w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w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인이 상기 제2 베인보다 상기 본체의 둘레로부터 멀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vane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than the second va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인 및 상기 제2 베인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1 베인 및 상기 제2 베인 사이와,
상기 본체 및 상기 제1 베인 사이와,
상기 본체 및 상기 제2 베인 사이로 토출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Betwe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rst vane,
And is discharged to the spa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va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고, 중앙에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의 외측에 적어도 2개의 상기 토출가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front panel that forms an outer surface of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 suction port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at least two discharges formed outside the suction port.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베인;
상기 베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베인 모터; 및
상기 베인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베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베인의 회전축이 삽입되고, 상기 베인 모터의 구동시 상기 베인의 회전축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A main body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A van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opening / closing the discharge port and adjusting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 vane motor for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vane; And
And a link member coupled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vane moto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vane,
Wherein a sliding groove is formed in the body so that a rotational axis of the vane is inserted and a rotational axis of the vane is slid when the vane motor is drive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내측면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링크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축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베인의 회전축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vane includes a blade portion that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port and adjusts a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a connection portion that slopes in one direction from the inner side of the blade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connection shaft to which the link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And the vane portion is formed with a rotating shaft of the van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베인의 회전축은 상기 날개부 중 상기 연결부가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 rotation axis of the van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 portion of the wing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portion protrudes.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에 상기 토출구에서 돌출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w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discharge port when the discharge port is opene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베인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the air conditioner is discharged to both sides based on the vane.
KR1020160127778A 2016-10-04 2016-10-04 An air conditioner KR201800375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78A KR20180037514A (en) 2016-10-04 2016-10-04 An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78A KR20180037514A (en) 2016-10-04 2016-10-04 An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514A true KR20180037514A (en) 2018-04-12

Family

ID=6196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778A KR20180037514A (en) 2016-10-04 2016-10-04 An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751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338A (en)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90130846A (en) * 2018-05-15 2019-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338A (en)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90027336A (en)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4165912A (en) * 2017-09-06 2022-03-11 Lg电子株式会社 Air conditioner
CN114165912B (en) * 2017-09-06 2023-08-18 Lg电子株式会社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90130846A (en) * 2018-05-15 2019-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890339B2 (en) 2018-05-15 2021-01-12 Lg Electronics Inc.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52465A1 (en) Air conditioner
WO2005052464A1 (en) Air conditioner
WO2015145726A1 (en) Air conditioner
WO2010035584A1 (en) Indoor unit for floor mounted air conditioner
CN109804202B (en) Air conditioner
CN107278255B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80129074A (en) air guide for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20150077776A (en) Dehumidifier
KR10245476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6429204B2 (en) Air conditioner
KR102025993B1 (en) Stand type air conditioner
KR20100119140A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JP6776531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80037514A (en) An air conditioner
KR100506896B1 (en) Air conditioner
KR100714591B1 (en) Inner-door unit of air-conditioner
JP5773674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20080101475A (en) Air conditioner
KR100714592B1 (en) Inner-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2343464B1 (en)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KR102451313B1 (en) Air Conditioner
JP2017215091A (en)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KR100925585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20080062890A (en) Airconditioner
JP6323469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