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116A - 게양 장치 - Google Patents

게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116A
KR20190027116A KR1020170113736A KR20170113736A KR20190027116A KR 20190027116 A KR20190027116 A KR 20190027116A KR 1020170113736 A KR1020170113736 A KR 1020170113736A KR 20170113736 A KR20170113736 A KR 20170113736A KR 20190027116 A KR20190027116 A KR 20190027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tating
pair
rotary shaf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3036B1 (ko
Inventor
김응복
Original Assignee
김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복 filed Critical 김응복
Priority to KR1020170113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0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41Suspended ba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는, 내부에 회전축이 형성되고, 외면에 기를 권선하는 몸체; 상기 회전축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기설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며, 제1 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중공에 의해 형성되는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부재;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부재;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기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연통되어 상기 와이어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수나사에 상기 와이어가 권선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회전 발생장치에 의한 상기 제1 부재와의 나사 운동으로,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기의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고, 상기 기의 상승 및 하강 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나사 운동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부재에 의해 각각 가이드되는 한 쌍의 와이어가 서로 간의 상승위치 편차 및 하강위치 편차없이 동일하게 상승 및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게양 장치{Hoist Apparatus}
본 발명은 게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무대에서 게양되는 기 게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는 각 단체를 상징하는 표장으로써 국기를 포함하여 도기, 시기, 교기, 개별단체기 등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특히 태극기는 주요 관공서나 학교는 물론 일반 가정에까지 전 국민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기는 보통 액자 등에 보관하여 현수하는 보관용 현수 기와, 관공서나 학교 등의 게양봉에 걸어놓는 게양용 대형 기 및 휴대 가능한 휴대용 게양봉에 걸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소형 기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학교 외부가 아닌 내부의 무대에 기를 게양하거나 강하해야 하는 경우에 현수 기가 다수 사용되는데, 이러한 현수 기는 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상부에 필요하여 게양 장치의 설치 시 상당한 제약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게양 여건이 용이치 않은 경우 현수 기를 사용할 수 없어 지상에 세워 놓게 되어 다수의 사람들이 기를 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를 게양하는 장치에 대해서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양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기를 게양할 수 있는 게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는, 내부에 회전축이 형성되고, 외면에 기를 권선하는 몸체; 상기 회전축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기설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며, 제1 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중공에 의해 형성되는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부재;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부재;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기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연통되어 상기 와이어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수나사에 상기 와이어가 권선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회전 발생장치에 의한 상기 제1 부재와의 나사 운동으로,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기의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고, 상기 기의 상승 및 하강 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나사 운동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부재에 의해 각각 가이드되는 한 쌍의 와이어가 서로 간의 상승위치 편차 및 하강위치 편차없이 동일하게 상승 및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중공의 내면은, 상기 수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상기 암나사가 형성되는 암나사부; 평평하게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 각형을 가지되 상기 회전축에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중공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재와 고정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기를 회전시키는 기 회전부;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와 상기 기 회전부를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기 회전부는, 상기 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깃봉의 상승 힘에 의해 상기 연결대와 분리 시 상기 제1 부재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기를 상기 몸체에 권선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 회전부는, 상기 제1 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깃봉의 상승 힘에 의해 상기 연결대와 분리 시 압축되어 상기 복원력을 생성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깃봉의 상승 힘에 의해 상기 연결대와 분리되고, 상기 깃봉의 하강 힘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연결대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재는, 링 너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재는, 볼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는, 상기 기를 외면에 감을 수 있도록 원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양 장치는, 드럼 형태의 몸체와 와이어를 통해 기를 감아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게양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기를 게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양 장치는, 나사 형태의 제1 및 제2 부재를 통해서 기를 매다는 와이어의 좌우 권선량을 정확히 동일하게 할 수 있어 기의 상승 및 하강이 올바르게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양 장치는, 기 회전부를 사용하여 기의 상승 후 기가 매달린 봉과 함께 회전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 없이 회전만으로 기의 수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실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제1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제2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제3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A 부분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 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제1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제2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제3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의 A 부분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양 장치(1)는, 몸체(10), 제1 부재(21), 제2 부재(22), 기 회전부(23), 연결대(24), 회전 발생장치(30) 및 깃봉(40)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양 장치(1)를 설명하도록 한다.
몸체(10)는, 내부에 회전축(11)이 형성되고, 외면에 기(F)를 권선한다. 구체적으로 몸체(10)는, 중공(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며, 중공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각형이 형성된 단면을 가지는 회전축(11)을 가지고, 기(F)를 외면에 감을 수 있도록 원통 또는 드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몸체(10)는, 회전축(1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대(12)를 더 포함한다.
고정대(12)는, 한 쌍 형성되어 회전축(11)이 회전 가능하도록 중앙에 중공(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회전축(11)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대(12)는, 외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별도의 와이어(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매달리도록 형성되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제1 부재(21)는, 회전축(1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기설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며, 제1 중공(후보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되 제1 중공에 의해 형성되는 내면에 암나사(암나사부; 2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부재(21)는, 링 너트의 형태를 가지며 회전축(11)의 양단에 한 쌍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21)는, 제1 중공의 내면에 연통부(211)와 암나사부(212)를 가질 수 있다.
연통부(211)는, 제1 중공의 내면에서 평평하게 형성되며, 와이어(W)가 연통되는 연통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부(211)는, 기(F)에 연결되는 와이어(W)가 연통홀(213)에 연통되어 와이어(W)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한다. 이때, 기 회전부(23)의 하측에 와이어 가이드 홀(231)이 형성되어 와이어(W)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암나사부(212)는, 제1 중공의 내면에서 암나사가 형성되며, 제2 부재(22)의 수나사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암나사부(212)는, 회전 발생장치(30)에 의한 제2 부재(22)의 회전으로 제2 부재(22)와 나사운동이 발생하게 하고, 이러한 나사 운동으로 인해 제2 부재(22)가 회전축(11)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부재(21)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2 부재(22) 만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회전하게 된다.
제2 부재(22)는, 회전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회전축(11)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외면에 수나사(수나사부; 221)가 형성되어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되, 수나사에 와이어(W)가 권선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부재(22)는, 볼트의 형태를 가지며 회전축(11)의 양측에 제1 부재(21)에 대응되도록 한 쌍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22)는, 회전 발생장치(30)에 의한 제1 부재(21)와의 나사 운동으로 회전축(11)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수나사부(221)에 권취된 와이어(W)가 함께 회전하여 와이어(W)에 연결된 기(F)의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및 제2 부재(21,22)의 나사 운동으로 인한 회전축(11)의 축방향의 이동으로 인해 와이어(W)가 양측에서 동일하게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게 되며, 서로 간의 위치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기(F)의 상승 및 하강 시 제1 및 제2 부재(21,22)의 나사 운동으로 한 쌍의 제1 부재(21)에 의해 각각 가이드 되는 한 쌍의 와이어(W)가 서로 간의 상승 위치 편차 및 하강 위치 편차 없이 동일하게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제2 부재(22)는, 회전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회전축(11)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 각형을 가지되 회전축(11)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중공(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기 회전부(23)는, 제1 부재(21)와 고정되도록 형성되되 기(F)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기 회전부(23)는, 고정 시 와이어(W)가 제2 부재(22)의 나사 운동으로 상승 및 하강하도록 하고, 회전 시 기(F)를 회전시켜 기(F)가 몸체(10)에 권선되도록 할 수 있다.
기 회전부(23)는, 제1 부재(21)의 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제1 부재(21)의 상방에 연결부(24)와 연결 또는 탈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탈착대(232) 및 제1 부재(21)의 하측에 구비되어, 깃봉(40)의 상승 힘에 의해 연결대(24)와 분리 시 압축되어 복원력을 생성하는 탄성 부재(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 회전부(23)는, 깃봉(40)의 상승 힘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승하여 탈착대(232)가 연결대(24)의 연결홀(241)과 분리되고, 깃봉(40)의 하강 힘 및 탄성 부재(S)의 복원력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하강하여 탈착대(232)가 연결대(24)의 연결홀(241)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기 회전부(23)는, 기(F)의 일측에 형성되는 깃봉(40)의 상승 힘에 의해 연결대(24)와 분리 시 제1 부재(21)와 함께 회전하여 기(F)를 몸체(10)에 권선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 회전부(23)의 하측에 와이어 가이드 홀(231)이 형성되어 와이어(W)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깃봉(40)의 상승 시 부딪혀 깃봉(40)의 상승 힘을 기 회전부(23)에 전달할 수도 있다.
연결대(24)는 고정대(12)와 기 회전부(23)를 고정 또는 분리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연결대(24)는, 깃봉(40)의 상승 힘에 의해 기 회전부(23)가 전체적으로 함께 상승되면, 연결홀(241)과 결합되어 있던 탈착대(22)가 상승하여 분리되고, 깃봉(40)의 하강 힘 및 탄성 부재(S)의 복원력에 의해 기 회전부(23)가 전체적으로 함께 하강하면, 탈착대(22)가 연결대(24)의 연결홀(241)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깃봉(40)의 상승 힘에 의해 기 회전부(23)와 연결대(24)가 분리되면, 제2 부재(22)의 회전축(11) 축방향 이동 운동은 멈추고 제2 부재(22)가 기 회전부(23)와 함께 회전하게 되어 기 회전부(23)가 기(F)를 회전시켜 기(F)가 몸체(10)에 권선되도록 한다. 물론 이때, 제1 부재(21)는 기 회전부(23)와 함께 회전한다.
이후 회전 발생장치(30)의 역회전으로 인해 제2 부재(22)가 기 회전부(23)와 함께 역회전하여 기(F)를 몸체(10)로부터 풀리게 하고, 일정 역회전으로 기(F)가 몸체(10)로부터 다 풀리게 되면, 깃봉(40)의 하강 힘 및 탄성 부재(S)의 복원력에 의해 기 회전부(23)가 전체적으로 함께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하강으로 인해 탈착대(22)가 연결대(24)의 연결홀(241)에 삽입되고 기 회전부(23)와 고정대(12)가 고정되어 제1 부재(21)의 회전운동 및 기 회전부(23)의 회전운동이 멈추게 되고 제2 부재(22)의 회전축(11)의 축방향 이동 운동이 발생하고 회전 운동은 지속되어 와이어(W)의 하강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회전 발생장치(30)는, 동력을 발생시켜 회전축(11)을 회전시키며, 일례로 모터일 수 있다. 이때, 회전 발생장치(30)는, 회전축(11)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발생장치(30)는, 회전축(11)의 일측단에 고정대(12)의 일측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동력을 발생시켜 구동축(31)을 통해 회전축(11)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깃봉(40)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기(F)와 연결되고 타측에 한 쌍의 와이어(W)와 연결되며, 와이어(W)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기(F)와 함께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양 장치(1)는, 드럼 형태의 몸체(10)와 와이어(W)를 통해 기(F)를 감아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기(F)를 게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양 장치(1)는, 나사 형태의 제1 및 제2 부재(21,22)를 통해서 기(F)를 매다는 와이어(W)의 좌우 권선량을 정확히 동일하게 할 수 있어 기(F)의 상승 및 하강이 올바르게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양 장치(1)는, 기 회전부(23)를 사용하여 기(F)의 상승 후 기(F)가 매달린 봉(40)과 함께 회전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 없이 회전만으로 기(F)의 수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게양 장치 10: 몸체
11: 회전축 12: 고정대
21: 제1 부재 211: 연통부
212: 암나사부 213: 연통홀
22: 제2 부재 221: 수나사부
23: 기 회전부 231: 와이어 가이드 홀
232: 탈착대 24: 연결대
241: 연결홀 30: 회전 발생장치
31: 구동축 40: 깃봉
W: 와이어 F: 기
S: 스프링

Claims (8)

  1. 내부에 회전축이 형성되고, 외면에 기를 권선하는 몸체;
    상기 회전축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기설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며, 제1 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중공에 의해 형성되는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부재;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부재;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기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연통되어 상기 와이어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수나사에 상기 와이어가 권선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회전 발생장치에 의한 상기 제1 부재와의 나사 운동으로,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기의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고,
    상기 기의 상승 및 하강 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나사 운동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부재에 의해 각각 가이드되는 한 쌍의 와이어가 서로 간의 상승위치 편차 및 하강위치 편차없이 동일하게 상승 및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의 내면은,
    상기 수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상기 암나사가 형성되는 암나사부;
    평평하게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 각형을 가지되 상기 회전축에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중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고정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기를 회전시키는 기 회전부;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와 상기 기 회전부를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기 회전부는,
    상기 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깃봉의 상승 힘에 의해 상기 연결대와 분리 시 상기 제1 부재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기를 상기 몸체에 권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 회전부는,
    상기 제1 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깃봉의 상승 힘에 의해 상기 연결대와 분리 시 압축되어 복원력을 생성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깃봉의 상승 힘에 의해 상기 연결대와 분리되고,
    상기 깃봉의 하강 힘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연결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링 너트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볼트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기를 외면에 감을 수 있도록 원통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양 장치.
KR1020170113736A 2017-09-06 2017-09-06 게양 장치 KR101963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36A KR101963036B1 (ko) 2017-09-06 2017-09-06 게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36A KR101963036B1 (ko) 2017-09-06 2017-09-06 게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116A true KR20190027116A (ko) 2019-03-14
KR101963036B1 KR101963036B1 (ko) 2019-03-27

Family

ID=6575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736A KR101963036B1 (ko) 2017-09-06 2017-09-06 게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0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05791A1 (en) 2019-03-08 2020-09-09 LG Electronics Inc.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20220003920A (ko) * 2020-07-02 2022-01-11 (주) 삼현이앤씨 건축용 스트랩 고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430A (ko) * 2007-06-22 2008-03-18 곽현규 드럼형 게양장치
KR20090033540A (ko) * 2007-10-01 2009-04-06 송기운 블라인드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430A (ko) * 2007-06-22 2008-03-18 곽현규 드럼형 게양장치
KR20090033540A (ko) * 2007-10-01 2009-04-06 송기운 블라인드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05791A1 (en) 2019-03-08 2020-09-09 LG Electronics Inc.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20220003920A (ko) * 2020-07-02 2022-01-11 (주) 삼현이앤씨 건축용 스트랩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036B1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036B1 (ko) 게양 장치
CN209009847U (zh) 一种电缆收卷装置
CN110690665A (zh) 一种电力工程安装辅助工具
EP1452800A3 (en) Hoisting apparatus with horizontal stabilizing means for a load holder
CN203922318U (zh) 便于固定电缆末端的电缆盘
CN104192746A (zh) 一种固定于电杆上的手摇起吊装置
CN203497933U (zh) 一种中空圆柱件的专用吊取装置
CN210007259U (zh) 一种电缆敷设拉线机
CN105463695B (zh) 一种编织架
CN204794590U (zh) 一种吊装工具
CN209210101U (zh) 一种包装设计用展示装置
CN108928737A (zh) 一种自夹紧吊取机构
CN209668534U (zh) 一种简单易用电力线用绕线装置
CN210029541U (zh) 一种方便拆卸的线盘架
KR101710162B1 (ko) 엘리베이터 기능을 갖는 카메라 받침대
CN208500135U (zh) 一种自夹紧吊取机构
CN207495493U (zh) 一种可调节高度的机械手
CN211034653U (zh) 一种简易式线轴固定器
CN203316035U (zh) 一种液压升降分散机
CN109650191B (zh) 一种大数据通信工程排线的通信线缆收放装置
CN210573160U (zh) 一种室外实验课程投影装置
CN208617281U (zh) 一种多功能工程用升降装置
CN211294540U (zh) 高等数学用展示装置
CN205464884U (zh) 焊机悬挂工架
KR20160021698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