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749A -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 및 카토마이저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 및 카토마이저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749A
KR20190026749A KR1020197000591A KR20197000591A KR20190026749A KR 20190026749 A KR20190026749 A KR 20190026749A KR 1020197000591 A KR1020197000591 A KR 1020197000591A KR 20197000591 A KR20197000591 A KR 20197000591A KR 20190026749 A KR20190026749 A KR 20190026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assembly
aerosol
forming substrate
base portion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3292B1 (ko
Inventor
올레그 푸르사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26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6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mounted on an insulating bas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1)는 베이스부를 통하는 개구부(10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0)를 포함하고 있으며, 개구부 위에 배열된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 구조(11)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부는 베이스부 상에 배열된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14)를 포함하고 있다. 카토마이저 카트리지(2)는 에어로졸 형성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카트리지 바디부 내에 저장조를 포함하고 있는 카트리지 바디부(20)를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히터 조립체는 저장조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액체를 수신하기 위해 카트리지 바디부의 한 말단에서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 및 카토마이저 카트리지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 및 카토마이저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담배 함유 기재가 연소되기보다는 가열되는 흡연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를 사용하여, 니코틴 함유 제품이 기화되는 흡연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에어로졸 형성 액체 함유 카트리지가 액체를 가열 및 증발시키기 위한 히터와 직접 조합된다. 새로운 흡연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종래의 궐련이 가열되고 그러한 카토마이저와 조합되는, 시스템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에어로졸에 대한 담배 노트를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개선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형성 액체를 증발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에어로졸에 개선된 담배 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가 제공되어 있다.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는 베이스부를 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는 베이스부 및 개구부 위에 배열된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부는 베이스부 상에 배열된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부는 또한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 구조로부터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열을 전도하도록 배열된 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유체 투과성 히터는 통상적으로 히터 조립체 내의 필라멘트 구조를 가열하여, 에어로졸 형성 액체, 예를 들어 니코틴 함유 액체를 가열 및 증발시키기 위해, 액체 저장조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히터 조립체에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제공하여, 가열된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의 물질이 히터 조립체의 필라멘트 구조에 의해 가열된 증발된 액체에 의해 형성된 에어로졸에 첨가될 수 있다. 따라서, 흡연 경험은 바람직하게는 히터 조립체에 의한 에어로졸 형성 액체의 기화 작동을 변경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담배 또는 담배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고체 기재에 이전에 함유된 담배 향을 에어로졸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필라멘트 구조로부터의 잔류 열이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히터 조립체는 필라멘트 구조에 의해 액체를 증발시키기 위해 이용할 수 없는 잔류 열이 히터 상의 고체 기재로부터의 물질, 특히 담배 향과 같은 향을 증발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에너지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히터 조립체로부터의 잔류 열의 사용은 히터 필라멘트로부터 주변 히터 구역으로의 상당한 열 손실을 갖는 히터를 사용할 때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행하게 배열된 여러 개의 메쉬 스트립을 사용하는 히터는 주변 히터 표면 또한 가열되게 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조립체를 사용하면, 에어로졸 형성 액체를 기화시키고, 액체를 증발시키는 데 필요한 동일한 양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고체 기재로부터 추가적인 증발된 물질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의 낭비없이 액체를 증발시키기 위해 덜 효율적이며 가능하게 덜 비싼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들을 방출할 수 있는 기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휘발성 화합물들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방출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히터 조립체의 베이스부에 적용된 에어로졸 형성 시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베이스부 코팅층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히터 조립체의 조립 이전, 도중 또는 이후에 히터 조립체의 베이스부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히터 조립체의 조립 후에 히터 조립체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베이스부의 개구부 내에 배열된 필라멘트 구조의 부분을 제외하고 히터 조립체 상에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히터 조립체의 베이스부의 최상부 측에 배열되어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개구부를 제외하고 베이스부의 최상부 측에 배열되어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베이스부의 최상부 측에만 배열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베이스부의 전체 최상부 측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적어도 필라멘트 구조의 접촉부에 제공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필라멘트 구조의 접촉부는 필라멘트 구조의 대향 말단들을 포함하고 있다. 접촉부는 베이스부 내의 개구부의 대향 측면들 상의 히터 조립체의 베이스부 위로 연장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필라멘트 구조의 접촉부에만 배열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의한 베이스부의 코팅층은 기재 코팅층과 베이스부 사이 또는 베이스부의 코팅층 및 접촉 영역과 매우 밀접하고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을 제공한다. 따라서, 베이스부로부터 코팅층으로의 열 전달은 최적화된다. 밀접한 접촉은 코팅층의 빠른 가열을 야기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시트, 예를 들어 캐스트 잎을 베이스부에 제공하는 것은 히터 조립체로부터 독립적으로 시트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히터에 적용될 시트 조각은 요구되는 정확한 크기로 절단될 수 있고, 그에 대한 의도된 영역에서 히터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 물질은 단일 에어로졸 형성 기재 코팅층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단일 시트를 포함하고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효과는 가열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코팅 공정 또는 적용 공정에서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두께 및 점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 코팅층의 두께는 80μm 내지 1mm, 바람직하게는 100μm 내지 600μm, 예를 들면 100μm 내지 400μm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시트는 0.1mm 내지 2mm, 바람직하게는 0.3mm 내지 1.5mm, 예를 들어 0.8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규칙으로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값이 언급될 때마다, 상기 값은 명시적으로 개시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기술적 고려로 인해 값이 정확하게 특정 값일 필요가 없는 것으로도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히터 조립체의 코팅층은 베이스부 물질을 에어로졸 형성 기재 슬러리로 코팅하기에 적합한 공지된 코팅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코팅은, 코팅되지 않은 베이스부 상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 슬러리를 증착, 딥 코팅, 분사, 페인팅 또는 캐스팅하는 것 중 하나에 의해 수행된다.
이들 코팅 방법은 코팅된 물체의 대량 생산을 허용하는 표준의 신뢰성 있는 산업 공정이다. 이들 코팅 공정은 또한 제조시 높은 제품 일관성 및 히터 조립체 성능의 재현성을 가능하게 한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가열 시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담배 향미 화합물을 함유하는 담배 함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비-담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형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에어로졸 형성제의 예는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이다.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허브 잎, 담배 잎, 담배 리브 조각, 재구성 담배, 균질화 담배, 압출 담배 및 팽화 담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예를 들어 추가적인 담배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또한 함유할 수 있고, 이러한 마이크로 캡슐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가열 동안에 용융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하나 이상의 균질화 담배 물질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균질화 담배 물질의 시트이다.
슬러리 함유 담배 및 담배 시트 뿐만 아니라 슬러리 함유 담배로부터 만들어지는 코팅층은, 담배 입자, 섬유 입자, 에어로졸 형성제, 바인더 및 예를 들어 향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담배 기재는 담배 재료, 섬유, 결합제 및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하는 담배 시트이다. 바람직하게는, 담배 시트는 캐스트 잎이다. 캐스트 잎은 담배 입자들, 섬유 입자들, 에어로졸 형성제, 바인더 및 예를 들어 향미제도 포함하는 슬러리로부터 형성된 재구성 담배의 한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코팅은 슬러리 함유 담배로부터 형성되는, 재구성 담배의 형태이다.
담배 입자는 원하는 코팅층 두께 또는 원하는 시트 두께 및 캐스팅 갭(casting gap)에 따라, 30μm 내지 250μm 정도의 입자를 갖는 담배 가루 형태일 수 있으며, 여기서 캐스팅 갭은 일반적으로 시트의 두께를 규정한다.
섬유 입자는, 담배 줄기 물질, 대, 또는 기타 담배 식물 물질, 및 리그닌 함량이 적은 목질 섬유와 같은 기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캐스트 잎 및 코팅을 형성하기 위해 슬러리 내에 포함된 에어로졸 형성제는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그 능력, 예를 들어 실온 또는 그 부근에서 안정적으로 잔류하지만 더 높은 온도, 예를 들어 40℃ 내지 250℃의 온도에서 휘발될 수 있는 능력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에 바람직한 수준의 수분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 습윤제(humectant) 타입 특성 또한 가질 수 있다.
조합식 에어로졸 형성제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형성제가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을 전달하는 트리아세틴의 능력 및 글리세롤의 습윤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트리아세틴이 글리세롤 및 물과 조합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 코팅층을 위한 캐스트 잎 및 슬러리를 생산하기 위해 슬러리를 함유하는 담배는 균질화된 담배 재료를 포함하고, 글리세롤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에어로졸 형성제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슬러리 함유 담배로 만들어진다.
유리하게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다공성이어서 휘발된 물질들이 기재를 떠날 수 있도록 한다. 작은 두께를 갖는 고체 기재는, 예를 들어 큰 두께를 갖는 고체 기재보다 적은 다공성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히터 조립체의 베이스부는, 임의의 적절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고온(300 ° C 초과)과 급속한 온도 변화를 견딜 수 있는 물질이다.
바람직하게, 베이스부의 물질은 비-취성이다. 베이스부 물질은 액체가 증발되게 하는 모세관 작용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열전도성 물질로 만든 것이다. 열 전도성 물질은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 구조로부터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열을 전도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전체적으로 열 전도성일 수도 있고 또는 고체 기재가 존재하는 영역에만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의 개구부 주변의 외주에 열전도성 층이 제공될 수 있다.
열전도성 물질이 베이스부 안이나 위에 존재하면 필라멘트 구조로부터의 열 분포가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보다 균일한 열 분포 및 예를 들어 베이스부의 전체 최상부 측 위로의 열 분포가 지지될 수 있다.
열 전도성은 열을 전도하는 물질의 능력이다. 열 전달은 열 전도성이 높은 재료보다는 열 전도성이 낮은 재료에 걸쳐 더 낮은 속도로 발생한다. 재료의 열 전도성은 온도에 종속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특히 베이스부 상에 제공된 열 전도성 층 또는 베이스부 물질을 위한 열 전도성 물질. 용어 '열 전도성 물질'은 10 W/m·K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 W/m·K 초과, 예를 들어 10 내지 500 W/m·K의 열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지칭한다.
적합한 열 전도성 물질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크롬, 구리, 금, 철, 니켈 및 은과 같은 금속, 황동, 강철 및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합금,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열 전도성 물질은 열 전달의 관점에서 그리고 열 분포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베이스부 상에, 바람직하게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 아래의 지지 물질로서 그리고 히터 조립체의 가열 영역과 밀접하게 접촉하여, 배열된 열 전도성 물질에 의해, 가열된 필라멘트 구조로부터의 열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열 전도성 물질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에 균질한 열 온도 분포를 지원할 수 있다.
열 전도성 물질은 예를 들어 세라믹 물질일 수도 있다. 열 전도성 물질로서 또한 금속 또는 합금과 같은 전기 전도성 물질이 사용되는 경우, 필라멘트 구조는 전기 및 열 전도성 층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히터 조립체가 사용되는 에어로졸 형성 장치 또는 시스템에 생성된 에어로졸의 담배 향미 함량을 가능하게 하거나 증진시키는 고체 담배 함유 에어로졸 형성 기재이다.
히터 조립체는 예를 들어 메쉬 히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히터 조립체는 편평한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이고, 필라멘트 구조는 편평한 필라멘트 구조다.
용어 '편평한' 필라멘트 구조 또는 '편평한' 히터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2개의 치수를 갖는 위상 다양체의 형태인 필라멘트 구조 또는 편평한 히터 조립체를 지칭하기 위해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따라서, 평평한 필라멘트 구조 및 평평한 히터 조립체는 제3 차원보다는 표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더 많이 2차원으로 연장되어 있다. 특히, 평평한 필라멘트 구조의 표면 내에서 2차원 방향으로의 치수는 그 표면에 법선 방향인 3차원 방향으로의 치수보다 적어도 5 배 더 크다. 평평한 필라멘트 구조 및 평평한 히터 조립체의 일 예는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가상 표면 사이의 구조이고, 이러한 2개의 가상 표면 간의 거리는 표면 내의 연장부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평평한 필라멘트 구조 및 평평한 히터 조립체는 평면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평평한 필라멘트 구조 및 평평한 히터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치수를 따라 휘어져, 예를 들어, 돔 형상 또는 브리지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평평한 필라멘트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가열 요소에 사용되며, 평평한 가열 요소는 제조 동안 쉽게 취급될 수 있고 견고한 구조를 제공한다.
'필라멘트'라는 용어는, 두 개의 전기 접촉부 사이에 배열된 전기적 경로를 가리키도록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필라멘트는, 임의로 분기되어 여러 개의 경로 또는 필라멘트로 각각 분기되거나, 여러 전기적 경로로부터 하나의 경로로 수렴될 수 있다. 필라멘트는 원형, 정사각형, 납작한 형상,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필라멘트는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필라멘트 구조'라는 용어는, 하나의 필라멘트 또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필라멘트의 배열을 가리키도록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필라멘트 구조는,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필라멘트들의 어레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들은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 메쉬는 직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 구조는 약 0.5 μm와 약 500 μm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필라멘트 구조는 예를 들어, 평행형 또는 십자형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의 배열 형태일 수 있다. 필라멘트는 예를 들어 측면 부분에서 또는 중심 표면 및 측면 표면 각각에서 뿐만 아니라 중심 부분에서 필라멘트 또는 개구부를 정의하게 에칭되는, 전기 전도성 포일,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포일로 형성되는, 전기 접촉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 구조는 메쉬 형태이다.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의 메쉬, 어레이 또는 직물의 면적이 작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mm2 이하일 수 있어서, 핸드헬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게 한다. 전도성 필라멘트의 메쉬, 어레이 또는 직물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일 수 있고, 5 mm x 2 mm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들의 메쉬 또는 어레이는 히터 조립체의 면적의 10% 내지 50%의 면적을 커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들의 메쉬 또는 어레이는 히터 조립체의 면적의 15%와 25% 사이의 면적을 커버한다. 면적의 10%와 50%, 또는 25mm2 이하인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들의 메쉬, 어레이 또는 직물의 크기는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들의 메쉬, 어레이 또는 직물을 가열하는 데 필요한 총 전력의 양을 감소시키는 한편 바람직하게는 여전히 휘발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모세관 물질에 의해 필라멘트 구조에 제공된, 액체에 대한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들의 메쉬, 어레이 또는 직물의 충분한 접촉을 보장한다.
필라멘트 구조는, 예를 들어 필라멘트 구조 및 베이스부 물질을 함께 직접 성형함으로써 베이스부 상에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필라멘트 구조는 또한 고정수단(fastener)에 의해 베이스부 상에 유지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전기 전도성일 수 있고, 필라멘트 구조를 통해 가열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접촉부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고정수단은 화학 또는 기계 고정수단일 수 있다. 필라멘트 구조는 예를 들어, 본딩 또는 접착에 의해 기재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수단은 클램프, 나사 또는 폼 로킹 고정수단과 같은 기계 고정수단이다.
고정수단은 상술된 고정수단 중 하나 또는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카토마이저가 또한 제공되어 있다. 카토마이저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카트리지 바디부 내에 저장조를 포함하고 있는 카트리지 바디부와 상술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다. 히터 조립체는 저장조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액체를 수신하기 위해 카트리지 바디부의 한 말단에서 배열되어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히터 조립체의 베이스부 상에 배열되어 있다. 카토마이저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들을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접촉부들을 더 포함하고 있다. 전기 접촉부들은 히터 조립체의 필라멘트 구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토마이저 카트리지에서, 히터 조립체는 저장조로부터 수신된 에어로졸 형성 액체를 가열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따라서, 히터 조립체의 필라멘트 구조를 가열함에 따른 잔류 열은 히터 조립체의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한다. 카트리지 바디부는 개방되어 있고 에어로졸 형성 액체의 한쪽 말단이 카트리지 바디부를 떠나게 되어 있다. 카트리지 바디부는 바람직하게는 히터 조립체의 베이스부 내의 개구부와 정렬된, 출구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구 개구부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 바디부를 통하는 유동 채널의 출구 개구부일 수 있다. 출구 개구부는 또한 카트리지 내에 포함된 심지 물질 또는 높은 보유 물질에 대한 카트리지 바디부의 출구 개구부일 수 있으며, 이때 카트리지 내에 포함된 액체가 히터 조립체의 필라멘트 구조와 접촉하게 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 바디부의 출구 개구부 및 베이스부의 개구부는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히터 조립체의 베이스부의 개구부는 카토마이저 카트리지의 중앙부, 즉 카트리지 바디부의 한 말단의 중앙부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이어서 히터 조립체의 베이스부의 개구부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카토마이저 카트리지에서, 히터 조립체 및 카트리지 바디부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카트리지 바디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히터 조립체의 최상부 측에 배열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기재는 편평한 히터 조립체의 베이스부의 최상부 측 상에 배열되고, 여기서 편평한 히터 조립체는 카트리지 바디부의 한 말단에 수직으로, 예를 들어 길이방향 카트리지 바디부의 한 말단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카트리지 바디부와 히터 조립체는 둘 다 원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 바디부 및 히터 조립체는 동일한 직경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와 수송 매질, 예컨대 섬유 또는 다공성 세라믹 재료로 만든 심지 같은 모세관 수송 매질 간의 신뢰할 만한 접촉은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의 필라멘트 구조의 일정한 습윤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는,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 장치의 과열 및 액체의 의도되지 않은 열적 분해의 위험성을 유리하게 감소시킨다.
카트리지 바디부 내의 저장조 또는 액체 저장부는 유리하게 모세관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모세관 물질은 액체를 물질의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능동적으로 전달하는 물질이다. 모세관 물질은 유리하게는 액체를 히터 조립체로 전달하도록 카트리지 바디부 내에 배향되어 있다.
모세관 물질은 섬유상 또는 스폰지 구조체를 가질 수도 있다. 모세관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모세관 다발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모세관 물질은 복수의 섬유 또는 스레드(threads) 또는 기타 미세 보어(bore)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 또는 스레드는 액체를 히터에 전달하도록 전체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세관 물질은 스폰지류 또는 발포체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모세관 물질의 구조는 액체가 모세관 작용에 의해 수송될 수 있는 복수의 작은 보어 또는 관을 형성한다. 모세관 물질은 임의의 적절한 물질 또는 물질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물질의 예는 스폰지 또는 발포체 재료, 섬유 또는 소성된 분말 형태의 세라믹계 또는 그라파이트계 재료, 발포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면 초산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또는 결합된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릴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나일론 섬유 또는 세라믹과 같은 스펀 또는 압출된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상 재료이다. 모세관 물질은 상이한 액체 물성과 함께 사용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모세관 현상 및 다공도를 가질 수 있다. 액체는 점도, 표면 장력, 밀도, 열 전도성, 비등점 및 증기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물성을 가지며, 이는 액체가 모세관 작용에 의해 모세관 장치를 통해 운반될 수 있게 한다.
모세관 물질은 필라멘트 구조의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들과 접촉하고 있을 수도 있다. 모세관 물질은 필라멘트들 사이의 간극 내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히터 조립체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간극 내로 흡인할 수 있다. 모세관 물질은, 베이스부 내의 개구부의 실질적으로 전체에 걸쳐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들과 접촉할 수도 있다. 한 구현예에서,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 구조와 접촉하는 모세관 물질은 필라멘트 심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필라멘트 심지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갖고, 제1 부분은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 구조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카트리지의 저장조 내로 도달한다. 바람직하게, 필라멘트 심지의 제2 부분은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 구조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필라멘트 심지의 필라멘트들은, 필라멘트 심지의 제1 부분으로부터 필라멘트 심지의 제2 부분까지 연속된다. 이는 필라멘트 심지의 제1 부분을 통해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 구조를 향하여 액체를 빠르게 이송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필라멘트 심지의 제2 부분을 통해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 구조에 걸친 빠른 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유리하게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 구조 전체의 연속 습윤을 가능하게 한다. 연속 습윤은, 과열을 피할 수 있고, 과열로 인한 액체의 우연한 분해를 방지할 수 있다.
유리하게, 히터 조립체와 모세관 물질은 대략 동일한 면적을 갖게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대략이라는 것은, 히터 조립체가 모세관 물질보다 0과 15% 사이에서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히터 조립체의 형상은, 또한, 히터 조립체와 모세관 물질이 실질적으로 중첩되도록 모세관 물질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히터 조립체와 모세관 매질의 크기와 형상이 실질적으로 유사하면, 제조가 간략화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의 강건성이 개선될 수 있다. 모세관 물질은, 에어로졸 발생을 촉진하도록 히터 조립체의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들의 메쉬, 어레이 또는 패브릭과 직접 접하는 모세관 물질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모세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토마이저 카트리지의 저장조는 에어로졸 형성 액체, 예를 들어 니코틴 함유 액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를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시스템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보유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우징은 개방 말단을 가지고 있다. 시스템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있다. 히터 조립체는,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의 필라멘트 구조가 하우징의 개방 말단 위에 배열되도록 하우징 옆에 배열되어 있다. 시스템은, 전력 공급원 및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의 필라멘트 구조를 전력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력 공급원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담배를 연소시키지 않고 흡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흡연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보유하고 있는 하우징은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들의 제1 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기류 채널은 액체 저장부에 대한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들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를 지난 공기 흐름은 기화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기재로부터 연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터 조립체 상의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기화된 물질을 연행할 수 있다.
저장부의 하우징은 두 개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요소는 캡이고, 제2 요소는 탱크이며, 캡이 탱크를 폐쇄한다. 바람직하게, 캡은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거나 히터 조립체와 밀접하게 접촉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탱크는, 모세관 물질이 존재하는 액체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캡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또는 Kapton® 등의 고 열분해 온도를 갖는 물질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캡은, 캡에 걸쳐 충분한 온도 강하를 제공하도록 적어도 1.5mm, 바람직하게는 1.5mm와 2mm 사이의 거리만큼 탱크를 히터 조립체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유리하게, 이러한 구현예에서, 탱크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분해 온도가 더욱 낮은 더욱 비용 효율적인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 및 히터 조립체는 시스템에 고정적으로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개별 부품일 수 있다. 하우징 및 히터 조립체는 또한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 카트리지의 형태로 된, 유닛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유리하게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토마이저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카트리지 바디부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보유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시스템은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상기 장치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카토마이저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조 또는 액체 저장부 및 히터 조립체는 카토마이저 카트리지 내에 제공되어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있다.
장치는 카토마이저 카트리지를 수신하기 위한 공동을 한정하는 메인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히터 조립체 및 전력 공급원에 연결된 전기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히터 조립체, 또는 히터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의 전기 저항을 모니터링하여, 히터 조립체 또는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의 전기 저항에 따라 히터 조립체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기 회로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추가적인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히터 조립체로의 전력 공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은 시스템이 활성화된 후 히터 조립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거나, 간헐적으로, 예컨대 퍼핑할 때 마다 공급될 수 있다. 전력은 전류의 펄스 형태로 히터 조립체에 공급될 수 있다.
시스템의 전력 공급부는 통상적으로는 배터리,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메인 바디부 내에 있다.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을 필요로 할 수 있고 한 번 이상의 흡연 체험을 위해 충분한 에너지의 저장을 허용하는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공급부는 약 6분의 기간 동안, 또는 6분의 여러 배의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력 공급부는 소정의 퍼핑 횟수 또는 히터 조립체의 개별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에 의해 예시되는 구현예와 관련하여 추가로 설명되며, 여기서:
도 1,2는 카토마이저 카트리지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메쉬 히터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4는 세 개의 히터 요소를 가진 히터 조립체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카트리지(2) 및 히터 조립체(1)에 의해 형성된 카토마이저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최상부측 사시도이다. 도 2는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로 된 카토마이저 카트리지이다.
히터 조립체(1)는 측방향 평면으로 연장되어 있고 히터 조립체(1) 및 하우징(20)의 원주를 따라 카트리지(2)의 하우징(20)과 동일 평면에 있다. 하우징(20)은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높은 보유 물질, 모세관 물질을 포함하거나 단순히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신하고 보유하기 위한 빈 탱크일 수 있다.
히터 조립체(1)는 디스크의 형태를 갖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히터이다.
히터 조립체(1)는 중앙 개구부(100)를 포함하고 있는 디스크형 베이스부(10) 및 개구부(100) 위로 배치되고 베이스부(10)에 부착된 필라멘트 구조(11)를 포함하고 있다. 필라멘트 구조(11), 예를 들어 메쉬 구조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고정수단, 예를 들어 클램프, 스크류, 접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일체 성형에 의해 베이스부(10)에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부(10) 상에는, 각각 가열 영역(12)을 제외하거나 또는 베이스부(10)에 제공된 개구부(100)를 제외하고,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 층(14)이 제공되어 있다. 층(14)은 베이스부(10)를 덮고 있는 담배 물질 함유 층일 수 있으며 필라멘트 구조(14)의 부분들은 예를 들어 필라멘트 구조의 접촉부(13)에서, 베이스부 위로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부(10)에는 코팅, 침지, 분무 또는 다른 적절한 적용 방법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 층(14)이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또한 층을 제조한 후에 베이스부(10)에 적용되는, 사전제조된 층(14)을 구비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 코팅층이 제공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가열 영역(12) 및 가열 영역(12) 내의 필라멘트 구조(11)는 가열 영역 내의 필라멘트 구조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 층(14)의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구비하도록 덮여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보호된다. 층(14)의 두께는 약 1mm이다.
바람직하게, 베이스부(10)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특히 접촉 영역(13)에서,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의 전체 표면 위로 또는 전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 층(14) 위로, 필라멘트 구조(11)에 의해 생성된 열의 더욱 양호한 열 분배를 위해, 열 전도성 층(15), 예를 들어 세라믹 재료 또는 금속이 베이스부의 최상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열 전도성 층(15)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 층(14)과 동일한 베이스부(10)의 동일한 구역을 실질적으로 덮고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열 전도성 층(15)은 베이스부(10)와 필라멘트 구조(11)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필라멘트 구조(11)와 열 전도성 층(14)의 접촉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가열 영역(12)의 필라멘트 구조의 히터 필라멘트는 베이스부(10) 내의 개구부(100)를 통해 노출되어, 증발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히터 조립체를 지나서 기류 내로 빠져 들어갈 수 있다.
하우징(20)은 폴리프로필렌 같은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 것이다. 히터 조립체(1)는 하우징(20)에 접착(glue)될 수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를 조립하고 채우는 여러 방식들이 가능하다.
카트리지 하우징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0)에 존재하는 모세관 물질은 모세관 섬유들의 긴 막대로부터 모세관 물질의 적절한 길이를 절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는 먼저 모세관 물질을 하우징(20) 내로 삽입하여 조립될 수 있다. 이어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소정의 부피를 하우징(20) 내에 도입하여, 모세관 물질을 침지시킨다. 이어서, 히터 조립체(1)를 하우징의 개방 말단 상에 가압하고 접착제, 용접, 열 밀봉, 초음파 용접, 또는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다른 방법에 의해 하우징(20)에 고정시킨다. 하우징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밀봉 작업 중에 160oC 아래 또는 그 아래로 유지되어서 히터(1) 및 하우징(20)의 조립 시에 존재하는 경우 하우징(20) 내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또는 히터 조립체(1) 상 층(14)의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원하지 않는 휘발을 방지하게 된다. 모세관 물질은 히터 조립체(1)에 의해 압축될 때까지 하우징(20)의 개방 말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하는 길이로 절단될 수도 있다. 이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사용 중인 히터 요소의 간극 내로 수송하는 것을 촉진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채워지고 나서 히터 조립체(1)와 조립된다. 하우징을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채우고 후속하여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하우징(20) 내에 도입하기 전에 히터 조립체(1)와 하우징(20)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 히터 조립체(1)는, 설명한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카트리지 하우징(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어서, 히터 조립체(1) 또는 하우징(2)을 중공 바늘을 사용하여 뚫고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하우징 내로, 예를 들어 하우징 내 모세관 물질 내로 주입한다. 이어서, 중공 바늘에 의해 형성되는 임의의 개구를 가열 밀봉에 의해 또는 밀봉 테이프를 사용하여 밀봉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층(14)은 히터 조립체(1) 및 카트리지 하우징(20)이 조립되기 전에 히터 조립체(1) 상에 제공된다. 그러나, 히터 및 하우징의 조립이 수행될 수 있고, 완전한 조립 후에, 고체 에어로졸 형성 층(14)은 다른 최종 카토마이저 카트리지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이미 흡연 시스템에 사용된 사전제조된 카토마이저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카토마이저 카트리지에는 흡연 경험을 개선하고 특히 접촉부에서 발생된, 히터 조립체(1)의 잔류 열을 활용하기 위한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 층(14)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메쉬 구조(11)를 갖는 편평한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의 셋업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히터의 조립된 상태에서, 히터 조립체는 메쉬 구조(11) 및 2개의 금속 시트(16) 형태의 전기 절연 베이스부(10), 히터 요소 및 필라멘트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금속 시트(16)는 예를 들어, 메쉬 구조(11)의 측면 부분과, 커넥터, 예를 들어 접촉 핀의 전기 접촉을 변경하기 위해, 주석 시트일 수 있으며, 메쉬 구조가 접촉되어 있다.
베이스부(10)는 원형 디스크의 형태를 갖고, 중심에 배열된 개구부(100)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부(10)는 기재에서 서로 대향하여 대각선으로 배열되는 2개의 보어 홀(101)을 포함하고 있다. 보어 홀(101)은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 위나 히터 조립체가 사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히터 조립체를 위치 결정하고 장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메시 구조(11)는 가열 영역 및 가능하게는 2개의 PEEK 오버몰딩된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메쉬 구조는 정사각형 형태의 중심에 배열된 개구부(100) 위로 그리고 베이스부(10)의 부품들 위로 배열된다. 메쉬 구조의 가열 영역은 개구부(100) 위로 놓이게 된다. 2개의 접촉 영역, 특히 PEEK로 오버몰딩되고 주석 도금된(금속 시트(6)로 커버된) 메쉬의 그러한 부분은 베이스부(10) 상에 놓이게 된다.
가열 영역의 메쉬의 폭은 가열 영역의 측방향 측면 둘 모두 상에서 개구부(100)의 개방 부분이 형성되도록 개구부(100)의 폭보다 더 작다. 개방 부분은 메쉬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다. 필라멘트 구조의 측면 부분의 주석 도금한 메쉬는 메쉬 자체보다 더 평면의 접촉 면적을 형성한다. 접촉 면적은 예를 들어 배터리로부터 전기 커넥터에 의해 히터 조립체와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 (미도시함)는 개구부(100) 및 필라멘트 조립체(11)를 제외한 히터 조립체의 최상부 표면 전체 위에, 즉 가시적 베이스부 표면(10) 위와 금속 시트(16) 위에 제공되어 있다. 금속 시트(16)의 양호한 접촉을 위해, 시트의 부분들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 없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 층의 부드러움 때문에, 포고 핀과 같은 접촉 요소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 층을 쉽게 통과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히터 조립체(1)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3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히터 요소(36a, 36b, 36c)가 직렬로 전기 연결되어 있다. 히터 조립체(1)는 내부에 형성된 정사각형 천공(35)을 갖는 전기 절연 베이스부(34)를 포함하고 있다. 천공의 크기는 이 실시예에서 5mm x 5mm이지만, 다른 형상 및 크기의 천공이 히터의 특정 적용예를 위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인정될 것이다. 제1 및 제2 전기 접촉부(32a, 32b)가 천공(35)의 대향 측면에 제공되고, 천공(35)의 측면 에지(35a, 35b)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2개의 추가 접촉부(32c, 32d)가 천공(35)의 대향하는 측면 에지(35c, 35d)의 일부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제1 히터 요소(36a)는 제1 접촉부(32a)와 추가 접촉부(32c) 사이에 연결된다. 제2 히터 요소(36b)는 추가 접촉부(32c)와 추가 접촉부(32d) 사이에 연결된다. 제3 히터 요소(36c)는 추가 접촉부(32c)와 제2 접촉부(32b) 사이에 연결된다. 이 구현예에서, 히터 조립체(1)는 홀수의 히터 요소(36), 즉 3개의 히터 요소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접촉부(32a, 32b)는 베이스부(34)의 천공(35)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한다. 히터 요소(36a, 36c)는 천공의 측면 에지(35a, 35c)로부터 이격되어 이들 히터 요소(36a, 36c)와 절연 베이스부(34) 사이에 직접적인 물리 접촉이 없게 된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이 배열은 절연 기재(34)로의 열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고, 액체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효과적인 증발을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 요소(36a, 36b, 36c)로부터의 작거나 큰 열 전달이 히터 조립체(1) 상의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베이스부(34)의 최상부 표면의 가시적인 부분들은 해치 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구비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히터 조립체의 조립 후에 적용되면,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해치 선으로 된 베이스부 표면 뿐만 아니라 접촉부(32a, 32b, 32c, 32d)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천공(35)과 3개의 히터 요소를 제외하거나 또는 적어도 천공(35) 위로 연장되어 있는 3개의 히터 요소 부분을 제외한 모든 히터 표면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Claims (14)

  1.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로, 상기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는
    베이스부를 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개구부 위로 배열된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 구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열된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전도성 필라멘트 구조로부터 상기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열을 전도하도록 배열된 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히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베이스부에 적용된 에어로졸 형성 시트의 형태로 된 것이거나 베이스부 코팅층의 형태로 된 것인, 히터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베이스부의 최상부 측에 배열되어 있는 것인, 히터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필라멘트 구조의 부분들과 접촉하여 배열되어 있는 것인, 히터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담배 함유 에어로졸 형성 기재인 것인, 히터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조립체는 편평한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이고, 상기 필라멘트 구조는 편평한 필라멘트 구조인 것인, 히터 조립체.
  7.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카토마이저 카트리지로서, 상기 카토마이저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카트리지 바디부 내에 저장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바디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히터 조립체로, 상기 저장조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액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바디부의 한 말단에서 배열되어 있는, 상기 히터 조립체;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들을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접촉부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상기 저장조로부터 수신된 에어로졸 형성 액체를 가열하기에 적합한 것인, 카토마이저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바디부는 상기 히터 조립체의 베이스부 내의 개구부와 정렬된, 출구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카토마이저 카트리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히터 조립체 및 카트리지 바디부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상기 카트리지 바디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히터 조립체의 최상부 측에 배열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인, 카토마이저 카트리지.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조립체의 베이스부의 개구부는 상기 카토마이저 카트리지의 중앙부에 배열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개구부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인, 카토마이저 카트리지.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니코틴 함유 에어로졸 형성 액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를 함유하고 있는 것인, 카토마이저 카트리지.
  12.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보유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저장부로, 상기 하우징은 개방 말단을 가지는, 상기 저장부;
    상기 하우징 옆에 배열되어 있어서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의 필라멘트 구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방 말단 위로 배열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
    전력 공급원; 및
    상기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의 필라멘트 구조를 상기 전력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력 공급원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토마이저 카트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보유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바디부를 갖는 것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토마이저 카트리지를 수신하기 위한 공동을 한정하는 메인 바디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0197000591A 2016-07-14 2017-06-19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 및 카토마이저 카트리지 KR102523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9478.9 2016-07-14
EP16179478 2016-07-14
PCT/EP2017/064965 WO2018010916A1 (en) 2016-07-14 2017-06-19 Fluid permeable heater assembly and cartomizer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749A true KR20190026749A (ko) 2019-03-13
KR102523292B1 KR102523292B1 (ko) 2023-04-20

Family

ID=5641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591A KR102523292B1 (ko) 2016-07-14 2017-06-19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 및 카토마이저 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660369B2 (ko)
EP (1) EP3484315B1 (ko)
JP (2) JP2019524075A (ko)
KR (1) KR102523292B1 (ko)
CN (1) CN109310156B (ko)
RU (1) RU2747837C2 (ko)
WO (1) WO20180109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528A (ko) * 2019-08-02 2021-02-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9825A (zh) * 2015-04-30 2018-01-02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气溶胶生成系统的筒
US10342262B2 (en) * 2016-05-31 2019-07-09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US10485267B2 (en) * 2016-07-25 2019-11-26 Altria Client Services Llc Fluid permeable heater assembly with cap
WO2019152873A1 (en) * 2018-02-02 2019-08-08 Alexza Pharmaceuticals, Inc. Electrical condensation aerosol device
WO2019237052A1 (en) 2018-06-07 2019-12-12 Juul Labs, Inc. Cartridges for vaporizer devices
KR102442049B1 (ko) * 2018-09-18 2022-09-1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서로 다른 상을 갖는 재료들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11974603B2 (en) 2018-10-12 2024-05-07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visible indicator
US11291249B2 (en) 2018-10-12 2022-04-05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visible indicator
US11502466B2 (en) 2018-10-12 2022-11-15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improved connectivity, airflow, and aerosol paths
US11678700B2 (en) 2018-10-12 2023-06-20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visible indicator
US10939702B2 (en) 2018-10-12 2021-03-09 Rai Strategic Holdings, Inc. Connectors for forming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interchangeable units in an aerosol delivery system
US10791767B2 (en) 2018-10-12 2020-10-06 Rai Strategic Holdings, Inc. Connectors for forming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interchangeable units in an aerosol delivery system
KR20210080360A (ko) * 2018-10-25 2021-06-30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지급기 및 상보적 기화기
US11350664B2 (en) 2018-11-08 2022-06-07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more than one heating element
US11372153B2 (en) 2018-11-19 2022-06-28 Rai Strategic Holdings, Inc. Cartridge orientation for selection of a control function in a vaporization system
US11592793B2 (en) 2018-11-19 2023-02-28 Rai Strategic Holdings, Inc. Power control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US11156766B2 (en) 2018-11-19 2021-10-26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US11614720B2 (en) 2018-11-19 2023-03-28 Rai Strategic Holdings, Inc. Temperature control in an aerosol delivery device
CN109907375B (zh) * 2019-03-20 2024-03-29 广东金莱特智能科技有限公司 雾化组件及其制备方法
WO2020186487A1 (zh) * 2019-03-20 2020-09-24 昂纳自动化技术(深圳)有限公司 雾化组件及其制备方法
US11856986B2 (en) 2020-10-19 2024-01-02 Rai Strategic Holdings, Inc. Customizable panel for aerosol delivery device
EP4026438A4 (en) 2020-11-16 2023-06-21 Japan Tobacco Inc. CASSETTE AND METHOD OF MAKING THE CASSETTE
CA3156294A1 (en) 2020-11-16 2022-05-16 Mitsuru OKADA Cart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rtridge
KR20220067529A (ko) 2020-11-16 2022-05-24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KR20220067527A (ko) 2020-11-16 2022-05-24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US11910826B2 (en) 2021-01-18 2024-02-27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capsules
USD1028336S1 (en) 2021-06-22 2024-05-21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7704A1 (en) 2014-02-10 2015-08-13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 heater assembly and a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 fluid permeable heater assembly
WO2015177045A1 (en) * 2014-05-21 2015-11-26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fluid permeable susceptor element
WO2016005533A1 (en) * 2014-07-11 2016-01-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forming cartridge comprising a tobacco-containing material
WO2016005602A1 (en) * 2014-07-11 2016-01-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cartridge detection
KR20160119773A (ko) * 2014-02-10 2016-10-1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장치가 카트리지와의 전기 접촉을 보장하는 장치 및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3894A (en) * 1989-12-01 1992-03-03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ly-powered linear heating element
US5944025A (en) * 1996-12-30 1999-08-31 Brown & Williamson Tobacco Company Smokeless method and article utilizing catalytic heat source for controlling products of combustion
DE19854009C2 (de) * 1998-11-12 2001-04-26 Reemtsma H F & Ph System zur Bereitstellung eines inhalierbaren Aerosols
ES2637322T3 (es) * 2011-10-25 2017-10-11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con unidad de calentamiento
RU2621468C1 (ru) 2012-09-11 2017-06-06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м нагревателем для ограниче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BR112015015098B1 (pt) 2012-12-28 2021-02-09 Philip Morris Products S.A conjunto de aquecimento para aquecimento de um substrato de formação de aerossol, dispositivo gerador de aerossol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conjunto de aquecimento
CN203735478U (zh) * 2013-10-31 2014-07-30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加热卷烟
EP3912496A1 (en) * 2014-02-10 2021-11-24 Philip Morris Products, S.A.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AU2014381786B2 (en) 2014-02-10 2019-02-21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 fluid-permeable heater assembly
CN105224572B (zh) 2014-06-30 2019-11-15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鉴别垃圾目录的方法及装置
CN116172269A (zh) * 2014-08-13 2023-05-30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包括多用途计算装置的气溶胶生成系统
CN204653790U (zh) * 2015-05-22 2015-09-23 陕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一体式的固液雾化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7704A1 (en) 2014-02-10 2015-08-13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 heater assembly and a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 fluid permeable heater assembly
KR20160119773A (ko) * 2014-02-10 2016-10-1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장치가 카트리지와의 전기 접촉을 보장하는 장치 및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WO2015177045A1 (en) * 2014-05-21 2015-11-26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fluid permeable susceptor element
WO2016005533A1 (en) * 2014-07-11 2016-01-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forming cartridge comprising a tobacco-containing material
WO2016005602A1 (en) * 2014-07-11 2016-01-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cartridge det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528A (ko) * 2019-08-02 2021-02-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4315B1 (en) 2020-12-02
JP2022125131A (ja) 2022-08-26
KR102523292B1 (ko) 2023-04-20
US10660369B2 (en) 2020-05-26
RU2019102918A3 (ko) 2020-09-24
CN109310156A (zh) 2019-02-05
US20200214343A1 (en) 2020-07-09
JP7451607B2 (ja) 2024-03-18
EP3484315A1 (en) 2019-05-22
WO2018010916A1 (en) 2018-01-18
JP2019524075A (ja) 2019-09-05
CN109310156B (zh) 2022-08-12
US20180014575A1 (en) 2018-01-18
RU2747837C2 (ru) 2021-05-14
RU2019102918A (ru) 2020-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51607B2 (ja)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用の流体透過性ヒーター組立品及びカトマイザーカートリッジ
US20240122254A1 (en) Element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disabling mechanism
CN110022704B (zh) 具有带侧孔口的筒的气溶胶生成系统
KR102663840B1 (ko)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히터 조립체
KR102468024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히터를 구비한 용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RU2681866C2 (ru)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генерирующей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ы
JP6755180B2 (ja) ヒーター組立品を持つ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および流体透過性ヒーター組立品を持つ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用のカートリッジ
RU2674537C2 (ru)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одержащая устройство и картридж, в которой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ивает 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онтакт с картриджем
KR102500897B1 (ko)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히터 및 심지 조립체
KR102603405B1 (ko) 다수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관통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518749B1 (ko) 유체 투과성 히터 조립체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590701B1 (ko) 모듈형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JP7257359B2 (ja)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のためのカートリッジ
RU2783933C2 (ru) Нагреватель в сборе, имеющий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изолированный от запаса жидкости
RU2775649C2 (ru)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имеющая проницаемый для жидкости нагреватель в сборе
KR20240016341A (ko) 자동 분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