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536A - A desktop board - Google Patents

A desktop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536A
KR20190026536A KR1020170121483A KR20170121483A KR20190026536A KR 20190026536 A KR20190026536 A KR 20190026536A KR 1020170121483 A KR1020170121483 A KR 1020170121483A KR 20170121483 A KR20170121483 A KR 20170121483A KR 20190026536 A KR20190026536 A KR 20190026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lding type
type folding
support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0657B1 (en
Inventor
원용길
Original Assignee
원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길 filed Critical 원용길
Publication of KR20190026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5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6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 having a storage space so that a user can store office supplies, writing articles and others therein, and more specifically, to a board which is assembled simply, and includes a support of a triangular shape to which a calendar, photographs or a mirror can be attached and a hold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upporter and having a storage space, wherein the assembled holder can be disassembled in a one-touch way. The storage space has a front plate and a fixed plate folded at an end of a floor plate to be erected, a side plate and a fixed wing which form the side of the storage space are formed to be fold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fixed wing is fit or locat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fixed plate fixed by magnetic power so that the holder is assembled easily. When a pair of support plat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holder can be disassembled at once.

Description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A DESKTOP BOARD}{A DESKTOP BOARD} which has a storage space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본 발명은 사무용품, 필기구 등의 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토록 한 보드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보드판을 조립하여 달력, 사진 또는 거울 등이 부착될 수 있도록 삼각형 형태를 갖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면에 수납공간이 구비된 받침대를 이루도록 함과 더불어 조립된 받침대를 원터치로 분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 board having a storage space capable of storing items such as office supplies, writing utensils, and the like. More specifically, And a pedestal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pedestal, and a pedestal assembled with the pedestal can be disassembled by one-touch operation.

일반적인 탁상용 캘린더는 일정 또는 기타 사항 등을 기록해 놓고 이를 기억하는데 편리하므로 많이 애용되고, 이러한 탁상용 캘린더는 날짜가 인쇄된 다수의 내지와 이들 내지를 적당한 각도로 지지하는 것으로 두꺼운 판지로 된 삼각형 형태를 갖는 받침대와 상기 내지와 받침대를 연결하여 상기 표지와 내지를 후면으로 넘길 수 있게 하는 코일링으로 구성된 것이다.A typical desk calendar is a favorite because it is convenient to record a schedule or other items and so on. Such desk calendars have a triangular shape of thick cardboard by supporting a large number of date stamps and their proper angle And a coil ring for connecting the pedestal with the pedestal and the pedestal so that the sign and the pedestal can be passed to the backside.

이러한 탁상용 캘린더가 배치되는 탁상에는 모니터, 스탠드 및 책꽂이 등이 놓여 있어 그 활용면적이 좁고 특히, 탁상 위에 기본적으로 놓이는 책 및 업무 포대 등의 각종 학습 및 사무용품 이외에 연필, 볼펜 및 여러가지 색상의 형광펜 등의 필기구로 인해 탁상 위의 학습 및 업무를 위한 공간을 침범받게 되어 그 활용 면적이 더욱 좁아져 업무 및 학습에 효율적이지 못한 실정이다.In addition to various learning and office supplies such as a book and a work post that are basically placed on a desk, a monitor, a stand, and a book shelf are placed on the desk on which the desk calender is placed, and a pencil, a ballpoint pen, Because writing instruments are used to infiltrate space for learning and work on the tabletop, their use area becomes narrower, making them inefficient for work and learning.

따라서, 각종 필기구가 탁상 위에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으면 학습 또는 업무 도중에 각종 필기구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학습 또는 업무가 일시 중단되어 그만큼 학습 및 업무 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Therefore, if the various writing instruments are not properly arranged on the table, the learning or the work may be temporarily suspended because the user must find various writing instruments during the learning or the work.

이를 위해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필기구 수납대를 탁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탁상 위를 차지하는 각종 물품 및 도구로 인한 공간이 부족함은 물론 필기구 수납대를 별도로 구매 및 보관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t enough space due to various articles and tools that occupy the table top. In addition, the user can purchase and store the writing implement storage box separately There is also a problem to be stored.

이와 관련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무용품 및 필기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탁상용 캘린더가 개시된 바 있다.In this connection, as shown in FIG. 1, a desk calendar having a storage space capable of storing office supplies, writing utensils, and the like has been disclosed.

이러한 탁상용 캘린더를 이루는 받침대는 내지가 지철되는 메인판과, 상기 메인판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수납공간을 이루는 바닥판과 전면판 그리고 측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판과 메인판은 서로 끼임결합되도록 끼임홈이 형성된 것이다.The pedestal making up the tablet calender is composed of a main plate, a main plate, a bottom plate, a front plate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plate to form a storage space, A groove is formed.

이때 상기 받침대는 조립된 상태에서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를 갖는 판지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받침대에 형성된 끼임홈은 분해조립을 거치다 보면 쉽게 헐거워져 받침대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 것이다.At this time, the pedestal is made of a cardboard having a certain thickness so that the pedestal can maintain its shape in the assembled state. When the pedestal formed on the pedestal is disassembled and assembled, it is easily loosened and the shape of the pedestal can not be maintained.

또한, 상기 받침대 즉, 메인판과 측면판에 끼임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연장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면은 상기 끼임홈이 서로 맞물려 끼워져 받침대의 형태를 이루게 될 경우 상기 받침대의 양단과 후단으로 연장면이 돌출되어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n extension surface may be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pedestal, that is, the main plate and the side plate in a state where the grooves are formed in the pedestal, and the extended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pedestal There is a problem that an extended surface is protruded to both ends and a rear end of the housing, occupying an unnecessary space.

따라서 수납부를 구비하면서 불필요하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기 위한 특허 제10-1680240호로 탁상용 캘린더가 개시된 바 있다.Therefor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680240 discloses a tabletop calendar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portions from being protruded while having a storage portion.

이러한 탁상용 캘린더는 복수의 달력을 이루는 내지와 상기 내지를 직립 상태를 지지하고 저면 광폭직립부를 구비한 서포트, 상기 서포트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지의 넘김을 보조하는 선회부재, 내지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기 서포트에 결합되어 있고, 상향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호 연결된 벽체부 및 저면부를 갖는 조립식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esk calendar includes a support having a calendar having a plurality of calendars and supporting the upright state and having a bottom wide width upright portion, a pivot member provided on the support and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calendar, And a prefabricated receptacle coupled to the support, the prefabricated receptacle having a wall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interconnected to form an upward opening.

여기서 상기 수납부는 제1패널의 하부와 연결되고, 수납부를 접이식으로 지립할 수 있도록 구비된 다수의 접이부와 각각 접이부 및 벽체부를 구성하는 제1시트 및 제2 내지 제4시트 중 측벽을 구성하는 제2 및 제4시트에서 연장되어 제1패널에 연결된 제2-2겹침부와 제1패널 사이에 형성된 끼움슬릿에 끼움 끼움되는 끼움돌기를 갖는 연장패널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The receiving portion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ane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provided so as to foldably fold the receiving portion, a first sheet constituting a folding portion and a wall portion, and a side wall of the second through fourth sheets And a second 2-lap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and fourth sheets and connected to the first panel, and an extension panel having a fitting protrusion that is fitted into the fitting slit formed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이러한 결합방법을 갖는 보드판은 매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접어서 사용하기 어려울 분만 아니라, 한번 조립된 보드판은 분해할 때 끼움슬릿 또는 끼움돌기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The board board having such a coupling method has a complicated structure,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easily fold and use the board board. In addition, the board board once assembled has a problem that the insertion slit or the fitting projection is torn when disassembl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날짜가 인쇄된 복수 개의 내지, 거울, 또는 사진 등을 적당한 각도로 지지하는 받침대에 사무용품 및 필기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할 때 불필요하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고, 상기 받침대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보관 및 이동시 쉽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torage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office supplies and writing instruments is provided in a pedestal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to-be-printed dates, mirrors, or photographs at appropriate angles, there is no unnecessary protruding portion So that the pedestal can be easily assembled, and can be easily disassembled when stored and moved.

이를 위하여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바닥판의 일단에서 직립되도록 절첩되는 전면판과 고정판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판과 고정날개는 좌우방향으로 절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개는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전면판과 고정판 사이로 끼임되거나 위치되어 용이하게 조립되는 받침대를 갖도록 하는 한편, 한 쌍의 지지판을 서로 밀착시켰을 때 상기 받침대는 한 번에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A front plate and a fixing plate which are folded so as to stand upright at one end of the bottom plate, and a side plate which forms a side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and which is fixed The wing is formed to be fold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fixed blade has a pedestal which is pinched or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fixed plate fixed by the magnetic force and is easily assembled. When the pair of supporting plate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are separated at once.

따라서 본 발명은,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하여 슬림한 형태을 갖도록 하는 한편,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하여 수납공간을 갖는 받침대를 이루도록 함과 더불어 보관 및 이동시에 원터치로 분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토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destal having a storage space by assembling it by a simple method while having a slim shape by eliminating unnecessary protruded parts, and by disassembling it by one-touch when storing and moving, .

도 1은 종래의 탁상용 캘린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탁상용 캘린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받침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받침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받침대를 이루는 보드판의 전개도.
도 6은 및 도 7은 보드판을 접어 받침대를 이루는 상태도.
도 8은 받침대의 지지대를 가압하여 분해되는 상태도.
도 9는 받침대에 코일링에 의해 내지가 구비되는 상태도.
도 10은 받침대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의 받침대의 측면도.
도 12는 받침대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받침대를 이루는 보드판의 전개도.
도 14는 탁상용 액자로 사용되는 상태도.
도 15는 탁상용 메모판으로 사용되는 상태도.
도 16은 탁상용 거울로 사용되는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desktop calenda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other conventional desk calenda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of a board board constituting a pedestal.
Fig. 6 and Fig. 7 are state diagrams in which the board is folded to form a pedestal.
8 i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of the pedestal is decomposed by pressing.
9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pedestal is provided with a coil by a coil rin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edestal.
11 is a side view of a pedestal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edestal.
FIG. 13 is an exploded view of the board board constituting the pedestal of FIG. 12;
14 is a state diagram used as a desk frame.
15 is a state diagram used as a desktop note board.
Figure 16 is a state diagram used as a desk mirror.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받침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받침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받침대를 이루는 보드판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및 도 7은 펼쳐진 보드판을 접어 받침대로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받침대를 이루는 지지대를 가압하여 분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받침대에 내지가 코일링에 의해 절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제1지지판이 수직으로 이루어져 측면판과 바닥판 사이로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또 다른 받침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받침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경사진 측면판으로 인해 측면판과 바닥판 사이로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받침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받침대를 이루는 보드판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지지대에 사진이 구비되어 탁상용 액자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지지대에 포스트잇이 부착되어 탁상용 메모판으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지지대에 거울이 부착되어 탁상용 거울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eveloped view of a board board constituting a pedestal, and Figs. 6 and 7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panded board board is folded into a pedestal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member constituting a support is pressed and disassemble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support is folded by a coil ring, FIG. 10 is a cross- FIG. 11 is a side view of the pedestal of FIG. 10, and FIG. 12 is a side view of the pedestal shown in FIG. FIG. 13 is an overall view of a pedestal so as to prevent a gap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the side plate and the bottom plate, and FIG. 13 is a cross-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hotograph is provided on a support and used as a desktop frame,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st-contact is attached to a support and used as a desktop memo plate,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irror is attached to a support and used as a desk mirror.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필기구 등의 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토록 한 받침대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보드판을 조립하여 삼각형 형태를 갖는 지지대을 구비할 때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수납공간이 구비된 받침대를 구성토록 함과 더불어 조립된 받침대를 원터치로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 board which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 pedestal hav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articles such as writing instrument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 board When a support having a triangular shape is provided, a pedestal having a storage spac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edestal, and the assembled pedestal can be disassembled at one-touch.

본 발명은 탁상용 캘린더를 일 실시 예로 설명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거울, 사진, 또는 메모지 등이 부착되어 탁상용 거울, 탁상용 액자, 탁상용 보드판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tablet calender as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used as a desk mirror, a desktop frame, a desktop board, and the like by attaching a mirror, a photograph,

이를 위하여 상기 보드판(10)은 받침대(100)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의 전단으로 직립되도록 절첩되어 수납공간(102)의 전벽을 구성하는 전면판(14)과, 상기 전면판(14)에 대응하는 고정판(1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The board 10 includes a bottom plate 11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pedestal 100 and a front plate 14 folded upright at a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11 to form a front wall of the storage space 102 And a fixing plate 15 corresponding to the front plate 14 are sequentially formed,

후단으로는 날짜가 인쇄된 다수의 내지(300)를 코일링(200)에 의해 지철되어 넘김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대(101)와, 상기 지지대(101)는 제1지지판(12)과 제2지지판(13)으로 이루어져 적당한 각도로 경사지게 직립되어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구비되고, And a support base 101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tokens 300 printed with dates on the rear end so as to be rotatable by a coil ring 200. The support base 101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12, (13), and is formed so as to have a triangular shape standing upright at an appropriate angle,

상기 제1지지판(12)의 끝단에는 수납공간(102)의 측벽을 이룰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측면판(16)과 고정날개(17)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A pair of side plates 16 and a fixed blade 17 are sequenti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12 so as to protrude on both sides so as to form side walls of the storage space 102,

상기 측면판(16)과 고정날개(17)는 내측으로 다단 절첩되어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제1지지판(12)과 마주보는 고정날개(17)는 접힘된 전면판(14)과 고정판(15) 사이로 위치되어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102)을 갖도록 한 것이다.The side plates 16 and the fixed vanes 17 are folded inward to form a "C" shape, and the fixed vanes 17, which face the first support plates 12, And a receiving space 102,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fixed plate 15 and the upper plate, and which is open at the top.

이때 상기 전면판(14)과 고정판(15)의 내측으로 금속 또는 자석(20)이 각각 구비되어 자기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a metal or a magnet 20 is provided inside the front plate 14 and the fixed plate 15 so as to be attached by a magnetic field.

또한, 전면판(14)과 고정판(15)의 부착력을 더욱 극대화 시키도록 전면판(14)과 고정판(15)의 내측으로 각각 자석(20)이 구비될 수 있다.The magnets 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ont plate 14 and the fixing plate 15 in order to further maximize the adhesion between the front plate 14 and the fixing plate 15.

또한, 상기 자석(20)은 전면판(14)과 고정판(15)의 양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면판(14)과 고정판(15) 사이로 위치되는 고정날개(17)가 임의로 분해되지 않게 고정시키거나, 또는 자석(20)이 전면판(14)과 고정판(15)의 중단에 위치되어 보드판(10)이 받침대(100)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대(101)을 서로 밀착시켰을 때 전면판(14)과 고정판(15) 사이에 고정된 고정날개(17)가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실시 예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The magnet 2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ront plate 14 and the fixed plate 15 so that the fixed blade 17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plate 14 and the fixed plate 15 is fixed Or when the pair of supports 101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magnet 20 is positioned at the stop of the front plate 14 and the fixed plate 15 and the board 10 is made of the pedestal 100, 14 and the fixing plate 15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또한, 상기 제1지지판(12)과 제2지지판(13)은 대응된 크기로 형성될 경우 제1지지판(12)과 제2지지판(13)이 삼각형 형태로 직립될 때 상기 제1지지판(12)에 형성된 수납공간(102)의 측면판(16)의 하단과 바닥판(11)의 상면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있음으로 상기 제1지지판(12)은 제2지지판(13)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제1지지판(12)은 바닥판(11)과 수직을 이루도록 직립되고, 상기 제2지지판(13)은 제1지지판(12)의 상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바닥판(11)의 후단과 연결되어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지지판(12)에 형성된 측면판(16)의 하단은 바닥판(11)의 상면과 서로 밀착되어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2지지판(13)에 의해 받침대(100)는 더욱 견고하게 직립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When the first support plate 1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3 are formed in corresponding sizes, when the first support plate 1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3 are erected in a triangular shape, the first support plate 12 A clearance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6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storage space 102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late 12 so that the first support plate 12 is formed shorter than the second support plate 13 The first supporting plate 12 is vertically aligned with the bottom plate 11 and the second supporting plate 13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plate 11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12,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6 form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1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to prevent the gap from being generated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3 100) can be more firmly erected.

상기 제1지지판(12)과 제2지지판(13)은 서로 대응된 크기로 이루어질 경우 측면판(16)과 바닥판(11) 사이로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1지지판(12)에 경사진 측면판(16)과 고정날개(17)를 형성하여 측면판(16)이 바닥판(11)과 밀착된 상태로 직립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측면판(16)과 바닥판(11)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 first support plate 1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3 ar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gap between the side plate 16 and the bottom plate 11 is not generate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ide plate 16 and the bottom plate 11 by making the side plate 16 and the fixed blade 17 so that the side plate 16 can be erected in a state of being in tight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11 .

또한, 상기 측면판(16)과 고정날개(17)는 제1지지판(1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버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원지를 절약하기 위해 측면판(16)과 고정날개(17)를 별도로 제작하여 제1지지판(12)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plates 16 and the fixed vanes 17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12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plates 16 and the fixed vanes 17 to minimize the discarded portion,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12. [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쌍의 측면판(16) 사이에는 부착판(18)이 형성되고, 상기 부착판(18)은 접착수단에 의해 제1지지판(12)에 부착되어 일체로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n attachment plate 18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16, and the attachment plate 18 is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12 by an adhesive means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

또한, 상기 부착판(18)은 바닥판(11)의 전폭(좌측단부터 우측단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지지판(12)에 구비된 측면판(16)은 전방을 향하도록 절첩되었을 때 바닥판(11)의 내측에 위치되어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수납공간(102)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ttachment plate 18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full width (distance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end) of the bottom plate 11. That is, when the side plate 16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12 is folded toward the front side, it is positioned inside the bottom plate 11 to be seated, thereby having a solid storage space 102.

또한, 고정판(15)의 전폭은 전면판(14)의 전폭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그럴 경우 상기 측면판(16)은 바닥판(11)보다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최소한 상기 측면판(16)의 두께만큼 고정판(15)의 전폭을 전면판(14)의 전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측면판(16)이 바닥판(1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 width of the fixing plate 15 may correspond to the overall width of the front plate 14 so that the side plate 16 protrudes outward from the bottom plate 11, The entire width of the fixing plate 15 is mad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plate 14 by the thickness so that the side plate 16 does not protrude outside the bottom plate 11. [

이때 상기 고정판(15)의 전폭은 부착판(18)의 전폭과 대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entire width of the fixing plate 15 corresponds to the full width of the attachment plate 18.

또한, 상기 바닥판(11)의 측폭(전단부터 후단까지의 거리) 넓이는 제1지지판(12)이 직립되어 바닥판(11)의 상면에 안착될 때 상기 제1지지판(12)은 바닥판(11)의 중단에 위치되고, 제1지지판(12)과 연결된 제2지지판(13)은 상기 바닥판(11)의 후단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판(12)에 형성된 측면판(16)은 전방으로 절첩되었을 때 바닥판(11)의 선단과 맞닿는 크기로 형성되어 수납공간(102)을 확보토록 함과 더불어 탁상용 캘린더가 임의로 쓰러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11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is such that when the first support plate 12 is erected and rests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The second support plate 13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12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plate 11 and the side plate 16 form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12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12. [ Is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11) when folded forward so as to secure the storage space (102) and to prevent the desk calendar from collapsing at will.

이때 상기 각각의 구성이 연결된 부분 또는 형성된 부분은 절힘라인에 의해 접혀지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nected or formed portions of the respective structures are folded by the folding lines.

이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드판이 접힘라인에 의해 접혀쳐 받침대를 이루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process in which the board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lded by a folding line to form a pedestal.

먼저, 바닥판(11)의 후단으로 연결된 제2지지판(13)을 직립시키고, 상기 제2지지판(13)에 연결된 제1지지판(12)의 끝단은 바닥판(11)의 상면에 안착토록 하여 삼각형 형태의 지지대(101)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바닥판(11)의 상면에 안착된 제1지지판(12)의 양측으로 돌출된 측면판(16)을 전방으로 절첩시켜 그 끝단이 바닥판(11)의 전단에 위치토록 하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측면판(16)에 연결된 고정날개(17)는 서로 마주보게 내측방향으로 절첩되며 그 상태에서 바닥판(11)의 전단에 형성된 전면판(14)은 고정날개(17)의 일면과 밀착되도록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판(14)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판(15)은 고정날개(17)의 타면에 밀착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절첩되어 전면판(14)과 고정판(15) 사이로 고정날개(17)가 위치되어 수납공간(102)을 갖는 받침대(100)를 구성토록 한 것이다.The second support plate 13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plate 11 is erected and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12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13 is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A side plate 16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12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is folded forward to form a support plate 101 having a triangular shape, The fixed blades 17 connected to the pair of side plates 16 are folded inward to face each other and the front plate 14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11 in this state, The fixing plate 15 formed at the end of the front plate 14 in an upright stat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ne surface of the fixing vane 17 is folded inwar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vane 17, And the fixed blade (17) is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plate (15) and the supporting base (100) having the accommodating space (102) The.

그리고, 받침대로 이루어진 보드판을 원터치로 분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A description will now be given of a process of disassembling a board made of a pedestal by one-touch.

먼저, 삼각형 형태를 이루는 제1지지판(12)과 제2지지판(13)을 파지한 상태에서 제1지지판(12)을 제2지지판(13)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면 고정날개(17)를 감싸고 있던 전면판(14)과 고정판(15)은 제1지지판(12)에 형성된 측면판(16)에 의해 고정날개(17)가 제2지지판(13)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고정판(15)은 전면판(14)과 벌어지면서 상측방향으로 열리게 되면서 고정날개(17)는 완전하게 전면판(14)과 고정판(15) 사이에서 빠져나와 분해되는 것이다.When the first support plate 12 is pressed against the second support plate 13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plate 1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3 having a triangular shape are grasped, The front plate 14 and the fixing plate 15 are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plate 13 by the side plate 16 formed on the first supporting plate 12, The wing 17 is fully opened between the front plate 14 and the fixing plate 15 and disassembled.

따라서,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하여 슬림한 형태를 갖도록 하는 한편,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하여 수납공간을 갖는 받침대를 이루도록 함과 더불어 보관 및 이동시에 원터치로 분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토록 한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lim shape by eliminating unnecessarily protruded portions, and to provide a pedestal having a storage space by assembling by a simple method.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can be disassembled by one-touch operation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It is.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re will be.

10:보드판 12:제1지지판 13:제2지지판
11:바닥판 14:전면판 15:고정판
16:측면판 17:고정날개 18:부착판
20:자석
100:받침대 101:지지대 102:수납공간
200:코일링 300:내지
10: board 12: first support plate 13: second support plate
11: bottom plate 14: front plate 15: fixed plate
16: side plate 17: fixed blade 18: attachment plate
20: Magnet
100: pedestal 101: support 102: storage space
200: Coil ring 300:

Claims (9)

접힘되어 삼각형 형태를 갖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수납공간이 구비토록 하는 보드판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10)은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의 전단으로 직립되도록 절첩되어 수납공간(102)의 전벽을 구성하는 전면판(14)과, 상기 전면판(14)에 대응하는 고정판(1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후단으로는 지지대(10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01)는 제1지지판(12)과 제2지지판(13)으로 이루어져 적당한 각도로 경사지게 직립되어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판(12)의 끝단에는 수납공간(102)의 측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측면판(16)과 고정날개(17)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16)과 고정날개(17)는 내측으로 다단 절첩되어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제1지지판(12)과 마주보는 고정날개(17)를 감싸지게 전면판(14)과 고정판(17)이 위치되고,
상기 전면판(14)과 고정판(15)에 구비된 부착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102)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A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The board 10 includes a bottom plate 11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 front plate 14 folded upright at a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11 to form a front wall of the storage space 102, 14 are successively formed on the fixing plate 15,
And a supporting table 101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upporting table 101. The supporting table 101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ing plate 12 and a second supporting plate 13 and is inclined at an appropriate angle,
A pair of side plates 16 and a fixed blade 17 are sequenti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12 so as to be able to constitute side walls of the storage space 102,
The side plate 16 and the fixed blade 17 are folded inward to form a "C" shape and the front plate 14 is wrapped around the fixed blade 17 facing the first support plate 12, And the fixing plate 17 are positioned,
And a storage space (102) which is fixed by an attachment member provided on the front plate (14) and the fixing plate (15) and has an open upper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1)의 상단으로는 날짜가 인쇄된 다수의 내지(300)를 코일링(200)에 의해 지철하여 넘김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table 10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o-be-printed 300 through which the date can be turned by the coil ring 200. The base board 101 has a storage space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1)의 전면에 사진이 부착되어 탁상용 액자로 사용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hotograph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table (101) so as to be usable as a desktop frame. The board board has a storage space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1)의 전면에 포스트잇 또는 메모지가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을 구비하여 탁상용 메모판으로 사용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ounting surface on which a post-note or a memo can be attached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table 101 so as to be usable as a desk memo board, wherein the storage space is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1)의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어 탁상용 거울로 사용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irror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01 so that the mirror can be used as a desk mirror.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측면판(16) 사이에는 부착판(18)이 형성되고, 상기 부착판(18)은 접착수단에 의해 제1지지판(12)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원지를 제단시 버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ttachment plate 18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16 and the attachment plate 18 is adher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12 by an adhesive means to minimize the portion of the raw paper discard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The board board has a storage space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12)은 제2지지판(13)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제1지지판(12)은 바닥판(11)과 수직을 이루도록 직립되고, 상기 제2지지판(13)은 제1지지판(12)의 상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바닥판(11)의 후단과 연결되어 경사진 지지대(101)를 갖도록 하여 상기 제1지지판(12)에 형성된 측면판(16)의 하단이 바닥판(11)의 상면과 서로 밀착되어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2지지판(13)에 의해 받침대(100)는 더욱 견고하게 직립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plate 12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second support plate 13 so that the first support plate 12 is vertically aligned with the bottom plate 1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3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late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6 form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12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plate 11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ottom plate 1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3) allows the pedestal (100) to be more firmly uprighted. [Claim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12)과 제2지지판(13)은 서로 대응된 크기로 이루어질 경우 측면판(16)과 바닥판(11) 사이로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1지지판(12)에 경사진 측면판(16)과 고정날개(17)를 형성하여 측면판(16)이 바닥판(11)과 밀착된 상태로 직립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측면판(16)과 바닥판(11)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plate 1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3 ar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gap between the side plate 16 and the bottom plate 11 is not generated, (16) and a fixed blade (17) are formed so that the side plate (16) can be upright in a state of being in tight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Wherein a gap is not formed between the side plate (16) and the bottom plate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18)은 바닥판(11)의 전폭(좌측단부터 우측단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고, 고정판(15)은 상기 부착판(18)의 전폭과 대응되게 형성토록 함으로서
제1지지판(12)에 형성된 측면판(16)이 수납공간(102)의 측벽을 이루도록 절첩되었을 때 바닥판(11)의 내측에 위치되게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수납공간(102)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ounting plate 18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full width (distance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end) of the bottom plate 11 and the fixing plate 1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ull width of the mounting plate 18
When the side plate 16 formed on the first supporting plate 12 is folded to form the side wall of the receiving space 102, the bottom plate 11 is positione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bottom plate 11, Which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KR1020170121483A 2017-09-05 2017-09-20 A desktop board KR10201065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21 2017-09-05
KR20170113521 2017-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536A true KR20190026536A (en) 2019-03-13
KR102010657B1 KR102010657B1 (en) 2019-08-13

Family

ID=6576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483A KR102010657B1 (en) 2017-09-05 2017-09-20 A desktop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65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126U (en) * 2007-01-07 2007-01-25 우광주 Desk CALENDAR
KR20140078202A (en) * 2012-12-17 2014-06-25 차경미 A case with coupler for receipt
KR20150116704A (en) * 2014-04-08 2015-10-16 모국진 Desk calender equipped with pock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126U (en) * 2007-01-07 2007-01-25 우광주 Desk CALENDAR
KR20140078202A (en) * 2012-12-17 2014-06-25 차경미 A case with coupler for receipt
KR20150116704A (en) * 2014-04-08 2015-10-16 모국진 Desk calender equipped with po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657B1 (en)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21073A1 (en) Portable tabletop lectern suitable for mass-manufacture
JP3165771U (en) Folding portable book stand
TWI324716B (en)
KR101725782B1 (en) A table calendar
KR20190026536A (en) A desktop board
KR102347494B1 (en) desktop calendar
US11660901B2 (en) Self-supporting book
US10682876B2 (en) Self-supporting book
KR20090010219U (en) Triangle calendar
KR200319633Y1 (en) Versatile calendar
EP3538376B1 (en) Self-supporting book
KR20130001044U (en) Desk calendar
JP3246430U (en) Support stand
KR101965068B1 (en) Multifunctional desk calend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94086Y1 (en) Calendar stand of multi-expanded type
KR100352699B1 (en) Calendar for table
US9895920B2 (en) Self-supporting book
KR100798762B1 (en) A wall-hanging structure combined use a table
KR200415835Y1 (en) Article supporter
KR200415569Y1 (en) A wall-hanging structure combined use a table
JP3127626U (en) Desktop display device
KR200436966Y1 (en) The supporter
JP4796997B2 (en) stand
JP2002177058A (en) Detachable desk-top easel
KR200427836Y1 (en) Multi-function calendar of fold and unfold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