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534A - 생리혈 배출기능과 보조기구를 구비한 생리컵 - Google Patents

생리혈 배출기능과 보조기구를 구비한 생리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534A
KR20190026534A KR1020170113595A KR20170113595A KR20190026534A KR 20190026534 A KR20190026534 A KR 20190026534A KR 1020170113595 A KR1020170113595 A KR 1020170113595A KR 20170113595 A KR20170113595 A KR 20170113595A KR 20190026534 A KR20190026534 A KR 20190026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strual
cup
discharge
user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준
티투람 응우엔
박환희
Original Assignee
이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준 filed Critical 이희준
Priority to KR1020170113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6534A/ko
Publication of KR20190026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61F5/45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placed in the vagina, e.g. for catamen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18Evaluation of the lower reproduc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7Closure means other tha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2005/4415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venting by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의 생리혈을 수집하고 배출하는 생리컵에 관한 것으로서, 생리컵과 보조기구로 구성되고, 생리컵의 입출을 위생적이면서도 원활하게 하고, 장시간 생리컵을 꺼내지 않고 생리혈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직장생활이나 강의, 운동 시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세하게는 생리컵의 배출부를 *패드(Pad)타입 자성체와 볼(Ball)타입 자성체를 이용해 개폐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생리컵, 생리컵의 배출부를 개폐하는 기능을 외부에서 제어하고 생리혈의 수집과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위생적인 보조기구, 또한 보조기구는 질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구매 전에 본인의 신체구조를 파악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 중에 수집된 생리혈의 변화를 장기적으로 파악하여 조언이나 병원 내방을 요청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잊어버리기 쉽고 변경되기도 하는 임신주기를 파악하여 걱정을 제거하고, 혈액의 나트륨함량, 색, 농도, 밀도, 혈당 등을 통해 물이나 건강식품 등을 처방하고, 전문가의 진단을 통해 건강식품, 의학용품, 임신진단 등을 처방하는 서비스 구현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보조기구는 교체 가능한 커버를 일측(말단)에 고정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하고, 야외나 장시간의 교육 등에서 냄새와 위생 등의 문제로부터 사용자를 편안하게 하고, 보조기구를 끼우는 방식의 세척 장치를 함께 제공하여 천연세제를 이용한 세척액을 이용하여 쉽게 세척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생리혈 배출기능과 보조기구를 구비한 생리컵 {Menstruation cup with assistant system and lifeblood emission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생리컵의 입출과 생리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생리컵에 관한 것이다.
여성은 생리 시에 위생적이고, 쾌적한 활동을 위해 생리혈이 의복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생리대, 생리컵, 및 탐폰 등과 같은 생리혈 누출 방지 도구가 사용하고 있다.
이 중 생리대는 착용이 불편하고 생리혈이 외부로 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탐폰의 경우 간혹 독성 쇼크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과 화학약품 사용에 따른 건강문제와 폐기 시 환경을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다.
생리컵은 질 내부에 삽입되어 생리혈이 외부로 새는 것을 막아 사용자의 생활에 지장을 덜 주는 장점이 있지만, 삽입 제거시에 손을 이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위생적인 문제와 사용 후 혈흔 제거를 위해 충분한 세척방법이 준비되어야 한다.
생기컵 중에 생리혈을 제거 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사용시간을 연장하는 제품도 있으나, 기존 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는 어렵다.
또한, 종래의 제품들은 생리혈 누출을 막는 목적을 주로 하는 것으로서, 생리혈을 통한 여성의 건강이나 임신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제 10-097352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생리컵을 삽입 제거하는 과정에서 손을 질 내부로 삽입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생리혈을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생리컵 착용 가능시간을 증가 시킬 수 있도록 하고, 외출 등과 같은 야외활동, 세미나 등과 같은 장시간 단체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배출된 생리혈의 농도, 밀도, 점도, 색상, 나트륨함량, 혈당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생리주기를 통해 가임기간을 통보하고, 센서를 접목하여 임신테스트 등을 지원함으로서, 건강한 성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생리컵에는 초음파 센서 등을 통해 질의 길이, 크기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질내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보조 기구를 제공하여, 성병과 같은 신체적, 의학적 문제를 의사를 검진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생리혈 배출 사이클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생리혈이 유출되거나, 사용 중 생리컵의 사이즈를 변경해야 하는, 등의 불편을 최소화 하고, 불필요하게 신체적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부의 일 공간에 생리혈을 수용하는 저장부; 생리혈을 배출하는 배출부; 자성이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구체나 패드 형태로 구현되어 배출구 내부를 이동하려는 생리혈을 제한하는 볼타입 또는 패드타입 배출부를 포함하는 생리컵을 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생리컵의 홀더부에 자성체나 금속체를 삽입하여 보조기구가 접근하면서 거리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부; 발생된 신호를 분석하는 제어부; 생리혈의 양을 출력음파와 반사음파를 통해 감지하고 송신 하는 음파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생리혈을 생리컵으로부터 이동 또는 구속 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타입 또는 볼타입 삽입부; 생리컵의 홀더부를 잡고 질 내부로 입출 할수 있도록 하는 입출보조부; 생리혈을 모으는 생리혈 배출탱크; 모여진 생리혈의 상태를 파악하여 데이터 얻고, 외부로 전송하거나 데이터 베이스로 만드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생리컵 배출시에 홀더부에 보조기구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유도하는 디스플레이부; 자장을 변화시켜 볼타입 또는 패드타입 배출부를 개폐하는 패드타입, 볼타입 삽입부; 청소를 위해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의 보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리컵의 배출부에는 한 개 이상의 패드타입 자성체가 삽입되어, 자성의 변화에 따라 배출부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드타입 자성체는 보조기구의 생리혈 배출부에 설치된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성에 의해 굽어지며 배출부 구멍을 막거나, 두장으로 붙어서 구멍을 막는 방식으로 배출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생리컵의 배출부에는 구형 또는 입방체를 삽입하고 이를 자성이나 물리적인 방법으로 배출부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기구의 제어부에는 나트륨, 혈당 등 다양한 센서를 보유 또는 연결할 수 있고, 이는 생리혈이 모여진 생리혈 배출탱크에 연결되게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기구의 제어부는 무선통신이나 비가청 구간의 음파를 통해 외부에 설치된 단말기로 전송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것 이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 도면, 특허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리컵 사용과정에서 손을 질 내부로 삽입하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생리혈을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출된 생리혈의 농도, 밀도, 점도, 색상, 나트륨함량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생리주기를 통해 가임기간을 통보하고, 센서를 접목하여 임신테스트 등을 지원함으로서, 건강한 성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생리컵에는 초음파 센서 등을 통해 질의 길이, 크기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질내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보조 기구를 제공하여, 성병과 같은 신체적, 의학적 문제를 의사를 검진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생리혈 배출 사이클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생리컵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불필요하게 신체적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생리혈 배출시 생리컵과 보조기구의 배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생리컵이 접힌 형태로 보조기구에 구속된 상태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패드타입 생리혈 배출구조의 생리컵 단면도 및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볼타입 생리혈 배출구조의 생리컵 단면도 및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기구의 외형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생리혈량 측정 방법에 대한 예시도
도7는 본 발명에 의한 패드타입 생리컵과 볼타입 생리컵 외형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된 구성요소는 단지 표시된 바와 같이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고,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과 보조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생리컵이 접힌 형태로 보조기구에 구속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해 구현하고자 하는 실시예는 생리컵(100)과 보조기구(300)으로 기본 구성된다.
생리컵(100)은 생리혈을 저장하는 저장부(110)와 생리혈을 배출하는 통로인 배출부(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리컵(100)에는 음파를 이용하여 생리혈의 양을 측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도 6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배출부(120)는 패드타입 자성체(320)를 이용하는 방법과 볼타입 자성체(351)를 사용하는 일반 방법을 기술하면, 한 장을 이용하는 경우, 일측을 고정하고, 외부의 자성에 따라 좌우로 움직여 배출 통로를 막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두장을 이용하는 경우 서로 자성을 이용해 결합해 있다가 외부 자성에 의해 이격되는 되는 방법과 자성을 가진 패드타입 삽입부(220)가 틈새로 진입하여 사이를 벌리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드타입 삽입부(220)는 패드타입 자성체에 적용되는 이동 보조수단으로 상세한 내용은 도3에서 설명한다.
상기 배출부(120)는 생리혈을 배출하기 위해 구현하는 것으로 그 상세한 기능은 도3과 도4, 도6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보조기구(300)는 크게 입출보조부(305)와 생리혈 배출부(200) 생리컵홀더부(316) 등으로 구성되고, 생리컵(100)의 질내 인출시에 홀더부(130)을 잡는 부분으로, 개폐부힌지(315)와 같이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리컵을 외부로부터 잡는 기능을 수행한다.
생리혈 배출부(200)의 일측에는 전자기 발생부(210)를 포함하고, 자성의 세기를 제어하여 패드타입자성체(320)를 외부로 당기거나 밀어서 배출부(1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상기 전자기 발생부(210)는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볼타입자성체(351)를 배출1실(352)에서 배출2실(354)로 이동 시킬 수 있다.
볼타입자성체(351)의 이동을 통한 배출부(120)의 개폐는 도4의 볼타입 배출부(350)의 설명을 통해 추가하도록 한다.
홀더부 개폐 구동부(310)은 개폐부힌지(315)를 집게와 같이 동작시켜 생리컵을 잡거나 풀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500)은 보조기구의 기능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생리혈 배출탱크와 연동되어 생리혈의 상태를 파악하고, 생리컵으로 유도하는 등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에는 다양한 센서와 통신, 메모리, 베터리 등을 포함될수 있다.
상기 보조기구(300)에는 생리혈 배출탱크(260)과 내부를 분리 청소하기 위해 일측 이상에 보조기구 분리부(400)를 구현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패드타입 생리혈 배출구조의 생리컵 단면도 및 상세도이다.
생리컵 배출부(120)에 삽입된 패드타입자성체(320) 두장을 끼운 형태를 도식한 것으로서, 패드타입 삽입부(220)을 통해 개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패드타입 자성체는 유격을 가지고 배출구를 열고 닫기 위해 탄력제(330)를 포함하고, 탄력제 없는 형태로는 배출부(120)의 외벽이 좁아지는 형태 등이 가능하다. 또는 패드타입 자성체와 저장부의 접촉부는 고정되고 패드타입 삽입부와 접촉하는 부분만 열리고 닫히는 방법도 배출구의 형태에 따라 구현이 가능하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볼타입 생리혈 배출구조의 생리컵 단면도 및 상세도이다.
볼타입자성체(351)는 한 개 이상의 전자기발생부(210)를 통해 이동 에너지를 받아서 생리혈이 배출되는 배출1실(352)와 배출2실(354)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볼타입자성체(351)이 배출1실에 머무르는 경우에 배출부(120) 외벽과 볼타입자성체 사이에 공간이 발생해서 그 사이로 생리혈이 지나가게 된다.
상기 볼타입자성체(351)은 자성이 약해지거나, 전자기발생부에 문제가 있는 경우 자성을 포함하는 볼타입 삽입부(230)을 통해 견인할 수 있다.
또한 손이나 보조기구를 통해 물리적인 힘으로 볼을 이동시키는 방법도 적용 가능하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기구의 외형도이다.
보조기구(300)의 기본 기능은 생리컵(100)의 삽입과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저장부(110)에 모인 생리혈을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구현한다.
디스플레이부(600)는 컵홀더부(130)나 생리혈 배출부(200)이 진행하는 방향에 잘 보일수 있도록 위치하고, 질내부의 생리컵의 위치까지 거리와 배출된 생리혈의 양 등 기타 정보를 제공하고, 방향표시부(650)은 생리컵 홀더부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표시하여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입출커버 고정부(810)와 배출커버 고정부(800)은 보조기구의 외부를 덮는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유출되는 생리혈이 손에 묻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생리혈량 측정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생리컵(100)은 생리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표시한 바와 같이 음파를 발생시키는 출력음파부(170)과 반사음파부(180), 이를 제어하는 음파제어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파제어기는 베터리와 통신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 기능으로는 출력음파부(170)에서 가청음을 벗어난 음파를 발생시켜 외부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사음파부(180)는 생리혈 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음을 수집하는 방법으로서, 인체의 이동으로 인해 수면의 기울기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음파제어기(160)에는 가속도 센서나 기울기 센서 등의 기능을 포함하여 적합한 환경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는 본 발명에 의한 패드타입 생리컵과 볼타입 생리컵 외형도이다.
볼타입의 경우 이동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배출구의 외부가 불룩하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한 실시 예들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이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제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 또는 물리적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생리컵
110 저장부
120 배출부
125 신호부
130 홀더부
140 신호 발생기
150 반사 신호 수신기
160 음파제어기
170 출력음파
180 반사음파
190 생리혈
200 생리혈 배출부
210 전자기 발생부
220 패드타입 삽입부
230 볼타입 삽입부
250 신호감지부
260 생리혈 배출탱크
300 보조기구
305 입출보조부
310 홀더부 개폐 구동부
315 개폐부 힌지
316 생리컵 홀더부
320 패드타입 자성체
330 탄력제
340 패드타입 배출부
350 볼타입 배출부
352 배출 1실
354 배출 2실
400 보조기구 분리부
500 제어부
600 디스플레이부
650 방향표시부
700 버튼부
800 배출커버 고정부
810 입출커버 고정부

Claims (12)

  1. 일측 이상의 개구부를 통해 생리혈을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일측에 구현되어 생리혈을 배출하는 통로와 수단을 제공하는 배출부,
    상기 생리혈 배출부의 일측 이상에 고정 또는 삽입된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를 휨, 이동, 접촉 등의 방법으로 배출부를 개폐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생리컵
  2. 제 1항에서
    배출부의 밸브역할을 하는 자성체를 위아래 또는 좌우로 이동 시켜 저장부에 모인 생리혈을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생리컵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생리컵
  3. 제 2항에서
    상기 생리컵 보조기구의 일측에 설치된 제어부는 자력을 제어하여, 배출구의 내부로 삽입되는 패드타입 또는 볼타입 삽입부에 자력을 제공하고, 배출구를 밀어내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배출구를 개폐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생리컵과 보조기구
  4. 제 1항 또는 2항에서
    상기 생리컵의 배출구조에는 회전이 가능한 밸브 형태 또는 이동하는 볼 형태 또는 매끄러운 표면으로 배출구를 막는 밸브 형태로 구현하고, 이 밸브에는 자성을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자성을 제공 받아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생리컵
  5. 제 1항 또는 2항에서,
    상기 생리컵의 홀더부에는 자력에 반응하거나 금속탐지에 반응하는 물질을 한 개 이상 삽입하는 구조의 생리컵
  6. 제 2항 또는 5항에서
    생리컵 배출부 말단 또는 홀더부에 삽입된 한 개 이상의 금속성 신호부,
    보조기구에서 발산하는 금속 탐지 신호 또는 자성 탐지 신호로 신호부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
    제어부에서 파악된 신호부의 위치를 통해 거리와 방향을 데이터로 산출하고,
    상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와 방향표시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생리컵과 보조기구
  7. 제 1항에서,
    배출부에 삽입된 패드타입 자성체는 한 장 이상으로 배출구의 일측 이상에 구현되며, 보조기구에서 발생하는 자성에 따라 목구멍과 혀의 구조처럼 휘거나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배출구를 개폐하는 구조의 생리컵과 보조기구
  8. 제 4항에서,
    자성이 약하거나 없는 볼 형태의 생리컵을 사용하는 경우
    보조기구에서 제공하는 삽입부를 통해 자성을 제공하여 제어하거나,
    추가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제공하여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생리컵과 보조기구
  9. 제 1항 또는 2항에서,
    생리컵의 일측에 삽입되어, 음파를 발생하고 반사되는 음파를 받아 생리혈의 양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를 비가청 영역의 음파를 통해 외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생리컵과 보조기구.
  10. 제 2항에서,
    보조기구의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위생 커버,
    생리컵과 보조기구를 질 내부로 삽입하거나 제거할 경우 흐를 수 있는 생리혈을 격리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생리컵과 보조기구
  11. 제 2항에서
    보조기구의 제어부와 생리혈 배출탱크에 설치되는 한 개 이상의 센서,
    생리혈의 나트륨, 혈당 등을 측정하는 한 개 이상의 센서와 혈액의 색을 파악하는 센서 등으로부터 수집하는 정보,
    상기 정보를 통신을 통해 외부로 알리거나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기능 포함하는 생리컵과 보조기구
  12. 제 2항 또는 3항 또는 4항에서,
    개방된 배출부를 통해 생리혈이 원활하게 흐를수 있도록 유도하는 흡입기능을 포함하는 보조기구를 구비한 생리컵
KR1020170113595A 2017-09-05 2017-09-05 생리혈 배출기능과 보조기구를 구비한 생리컵 KR20190026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95A KR20190026534A (ko) 2017-09-05 2017-09-05 생리혈 배출기능과 보조기구를 구비한 생리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95A KR20190026534A (ko) 2017-09-05 2017-09-05 생리혈 배출기능과 보조기구를 구비한 생리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534A true KR20190026534A (ko) 2019-03-13

Family

ID=6576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595A KR20190026534A (ko) 2017-09-05 2017-09-05 생리혈 배출기능과 보조기구를 구비한 생리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65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657A (ko)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지니컵 생리컵의 비접촉식 생리혈량 측정방법
WO2022153276A1 (en) * 2021-01-18 2022-07-21 Vanguard Ip Ltd A measurement device
KR20240022898A (ko) 2022-08-12 2024-02-20 주식회사 지니컵 측정 생리혈량에 기초한 생리일 예측 방법
EP4153105A4 (en) * 2020-05-21 2024-05-22 Watkins Conti Products Inc VAGINAL DEVICES AND PROCEDU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24B1 (ko) 2009-07-27 2010-08-02 (주)그린실리콘 삽입형 생리 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24B1 (ko) 2009-07-27 2010-08-02 (주)그린실리콘 삽입형 생리 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657A (ko)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지니컵 생리컵의 비접촉식 생리혈량 측정방법
EP4153105A4 (en) * 2020-05-21 2024-05-22 Watkins Conti Products Inc VAGINAL DEVICES AND PROCEDURES
WO2022153276A1 (en) * 2021-01-18 2022-07-21 Vanguard Ip Ltd A measurement device
KR20240022898A (ko) 2022-08-12 2024-02-20 주식회사 지니컵 측정 생리혈량에 기초한 생리일 예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6534A (ko) 생리혈 배출기능과 보조기구를 구비한 생리컵
CA2974944C (en) Urine collection device for dependent patients
US11259953B2 (en) Female smart wearable system for urine incontinence management
JP4732519B2 (ja) 体液の収集及び分析装置
US7833177B2 (en) Breast feeding quantification
JP2019511705A (ja) 体液の自動的採取および分析
CN103781508A (zh) 冲洗装置和包括冲洗装置的导管套件
CN209187670U (zh) 一种新型智能尿袋看护装置
JP2008513176A (ja) サンプラー
KR102029067B1 (ko) 생리혈 수집장치
JP4643097B2 (ja) 生理学的標本採取装置
CN109883769A (zh) 一种泪液定量采集器
KR102093468B1 (ko) 진단용 생리컵 키트
CN209332280U (zh) 简易尿动力及残余尿检测包
KR102029068B1 (ko) 생리컵
KR101021842B1 (ko) 모니터링용 중공부를 포함하는 자궁경부 검사용 도관 및 이를 포함하는 검출기
KR100860456B1 (ko)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CN109717874A (zh) 宫颈扩张测量装置、宫颈扩张测量手套
KR101800077B1 (ko) 유아용 소변채취장치
CN215018011U (zh) 一种取尿专用纸尿裤
WO2021142510A1 (en) Improved continence pad
CN208769825U (zh) 一种通用型医用集尿装置
CN209236539U (zh) 一种多功能的女性心脏病患者假性导尿装置
CN216854708U (zh) 宫腔造影用阴道探头套
CN215739096U (zh) 多功能婴幼儿集尿及生殖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