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430A - 텐트 - Google Patents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430A
KR20190026430A KR1020170113341A KR20170113341A KR20190026430A KR 20190026430 A KR20190026430 A KR 20190026430A KR 1020170113341 A KR1020170113341 A KR 1020170113341A KR 20170113341 A KR20170113341 A KR 20170113341A KR 20190026430 A KR20190026430 A KR 20190026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ixing
ceiling
fixing surfa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502B1 (ko
Inventor
이문주
한재용
Original Assignee
(주)엔비텍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비텍이앤씨 filed Critical (주)엔비텍이앤씨
Priority to KR1020170113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5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2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04H15/16Ventilating of tent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상기 텐트를 형성하는 외벽은 심재를 외피가 감싸 외피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진공단열재로 형성되며, 상기 외벽은 상기 텐트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실내측 벽에 고정되는 고정면과, 일단이 상기 고정면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면과, 상기 천장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면와 대향하는 측면을 형성하는 대향면과, 상기 고정면과 상기 대향면에 각각 이웃하는 양측면과, 상기 고정면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텐트{Tent}
본 발명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벽체에 일면이 고정되어 가변형으로 형성되며 진공단열재를 외벽으로 사용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텐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겨울철 추운 날씨에 온열매트, 전기히터 등 계절 가전의 이용량이 높아지면서 일반가정에서도 난방비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다. 전기요금은 사용량이 많을수록 요금 단가가 높아지는 누진세가 적용되는 점을 고려 할 때 가정에서 느끼는 난방 비용은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또한, 주택이 노후화될수록 겨울철 외풍에 취약한데 주로 바닥을 가열하여 난방을 하는 주택 구조를 고려할 때 외풍은 난방 효율을 현저히 떨어뜨리게 된다. 외풍에 의해 떨어지는 실내 온도를 올리기 위하여, 별도의 난방 가전을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비용적인 부담이 큰 문제가 있다.
실내에 외풍이 심하면, 실내 바닥을 가열하더라도 바닥과,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있는 공간은 온도 차이가 크게 나기 마련이다. 통상적으로 난방 비용 문제로 실내 바닥을 종일 가열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실내 공간의 온도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차가운 외풍에 의해 빠르게 떨어질 수 있다. 이에 포근한 실내 공간을 유지하기 위해, 외풍을 차단하여 열 손실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외풍을 차단하기 위해서, 창문이나 창틈에 방풍 수단들이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외풍을 차단하는데 제한적이다. 이에 실내 공간을 둘러싸서 외풍을 차단하는 텐트가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텐트는 바닥을 제외한 소정의 실내 공간을 둘러쌈으로써 소정의 실내 공간과 외부 공간을 격리하여 외풍에 의해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텐트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풍 또는 방한 기능이 있는 원단으로 구성되는 텐트의 외벽이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텐트 내부 공간이 작은 경우 원단만으로 둘러싸도 어느 정도의 방풍 및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텐트 내부 공간이 큰 경우 외풍을 차단하고 텐트의 내부 공간을 보온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 일반적인 텐트는 실내 공간의 한 영역을 차지하기 때문에 생활공간에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겨울철에 실내에 설치되어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으며, 난방 효과를 높임으로 인해 난방비를 줄일 수 있는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벽체에 일 측면이 고정되어 가변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생활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텐트는 상기 텐트를 형성하는 외벽은 심재를 외피가 감싸 외피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진공단열재로 형성되며, 상기 외벽은 상기 텐트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실내측 벽에 고정되는 고정면과, 일단이 상기 고정면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면과, 상기 천장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면와 대향하는 측면을 형성하는 대향면과, 상기 고정면과 상기 대향면에 각각 이웃하는 양측면과, 상기 고정면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양측면의 일단은 상기 고정면의 양측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대향면의 높이는 상기 고정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천장에는 상기 텐트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면, 천장면, 대향면, 양측면, 바닥면은 하나의 진공단열재로 형성되고, 각 면의 경계부는 상기 진공단열재가 압축되어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면, 천장면, 대향면, 양측면, 바닥면은 각각의 진공단열재로 형성되고, 각 면의 경계부에는 각 면이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천장면, 대향면, 양측면, 바닥면을 상기 고정면 측으로 접었을 때 상기 고정면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벽을 형성하는 상기 진공단열재가 보호되도록 상기 진공단열재 외부를 감싸는 보호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대향면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면의 단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트에 의하면, 본 텐트는 심재가 진공상태로 내부에 구비되는 진공단열재가 외벽으로 형성되어 실내의 난방 효과를 높이며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내측 벽에 고정면이 고정되고 고정면의 전면으로 각 면들이 가변되어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텐트를 펼친 전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경계부를 나타낸 상세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텐트에 보호부재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계부를 나타낸 상세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텐트를 가변시키는 형상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텐트를 고정부재에 의하여 가변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텐트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실내 벽체에 일면이 고정되어 가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텐트를 형성하는 외벽은 심재(120)를 외피(110)가 감싸 상기 외피(110)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진공단열재(10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벽은 상기 텐트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실내측 벽에 고정되는 고정면(200)과, 일단이 상기 고정면(2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면(300)과, 상기 천장면(300)의 타 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면(200)와 대향하는 측면을 형성하는 대향면(400)과, 상기 고정면(200)과 상기 대향면(400)에 각각 이웃하는 양측면(500)과, 상기 고정면(20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600)을 구비할 수 있다.
진공단열재(100)로 형성되는 상기 텐트는 도 2에 도시된 실내측 벽에 고정되기 전 펼쳐진 전개도를 참조하면, 실내측 벽에 고정되는 고정면(200)을 중심으로 일 단부에 바닥면(600)이 구비되고, 타단에 텐트의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면(300)이 구비되며, 천장면(300)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향면(400)이 모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면(200)의 양측에는 천장면(300)과 고정면(200)과 대향면(400) 그리고 바닥면(600)에 모두 연결되며 고정면(200)에서 회전 가능한 양측면(50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각 면의 경계부(700)는 회전가능하며 가변되는 순서에 따라 폭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면(200)은 실내측 벽에 후면이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재, 벨크로, 고정철물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면(200)은 실내측 벽 하단과 바닥이 접하는 위치에 하단이 고정되어 바닥에서 뜨거나 넘어지지 않고 실내측 벽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천장면(300)은 실내측 벽에 고정되는 고정면(200) 상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면(200)과 상기 대향면(400) 사이에 구비되어 텐트의 천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천장면(300)은 상기 대향면(400)의 높이가 상기 고정면(2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면(200)의 상단에서 상기 대향면(400)의 상단까지 사선으로 연결되므로 다른 면보다 넓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면(300)은 텐트가 가변된 후 각각 면들이 회전하여 상기 고정면(200)에 겹치도록 형성된 후 외측에 회전하여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면(200)과 상기 천장면(300)의 경계부(700) 폭이 일측면과 바닥면(600)과 대향면(400)이 겹치는 폭과 동일하거나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면(300)은 텐트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며 실내에 형성된 조명이 텐트 내부로 유입되어 텐트 내부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기구(310)는 곤충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메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환기구(310)가 없이 상기 천장면(300)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천장면(300)의 내측에는 텐트 내부에 조명이 설치될 수 있도록 조명걸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대향면(400)은 상기 천장면(300)에서 상기 고정면(200)이 접하는 일단과 대응되는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면(200)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면(20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대향면(400)의 일 단부에는 상기 바닥면(600)과 상기 바닥면(600)의 단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벨크로 테이프나 지퍼 등 암수 형태의 체결이 가능한 결합부재(8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향면(400)은 세로 방향으로 지퍼 등과 같이 개방되어 대향면(400)을 관통하여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는 별도의 개폐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대향면(40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바닥면(600)은 실내측 벽에 고정되는 고정면(200)의 하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텐트가 설치되는 바닥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면(200)과 접하는 일 단부와 대응되는 타단에는 대향면(400)과 동일하게 벨크로 테이프나 지퍼 등 암수 형태의 체결이 가능한 결합부재(8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600)은 USB 등과 같이 별도의 전력이 공급되면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열원이 구비되어 바닥에서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하며, 실내에 난방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난방 효과를 이룰 수 있으므로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양측면(500)은 상기 바닥면(600)의 양측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되며, 텐트가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조립되면 양측면(500)을 제외한 바닥면(600), 고정면(200), 천장면(300), 대향면(400)에 각각 이웃하도록 상기 고정면(200)의 양측에서 회전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양측면(500)은 상기 대향면(400)이 상기 바닥면(600)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므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면(500)은 고정면(200)의 양측에서 회전하여 천장면(300)과 대향면(400)과 바닥면(600)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벨크로테이프나 지퍼 등과 같이 결합부재(8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800)는 상기 양측면(50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천장면(300)과 대향면(400)과 바닥면(600)의 일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측면(500)에 형성된 결합부재(800)가 천장면(300)과 대향면(400)과 바닥면(600)에 각각 결합되도록 천장면(300)과 대향면(400)과 바닥면(600)의 양측에서 내측 방면으로 결합부재(8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각 면들은 도 3을 참조하면, 내부에 판 형태로 형성되는 심재(120)를 외피(110)가 감싸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진공단열재(10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공단열재(100)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진공단열재(100)의 외피(110) 내부에 판 형태의 상기 심재(120)가 삽입된 후 상기 외피(110)를 진공으로 마감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진공단열재(10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면들의 경계면에 형성된 경계부(700)는 심재(120)와 외피(110)를 보다 진공 상태로 압축시켜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경계부(700)는 각 면들보다 유연성이 확보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경계부(700)를 통해 열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단열재(100)는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 내구성이 약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부를 감싸는 보호부재(9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900)는 상기 진공단열재(100)의 외측면 또는 상기 진공단열재(100) 전체를 감싸는 구조일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 및 바람 등에 의하여 진공단열재(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텐트의 각 면이 서로 회전하는 경계부(700)는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써 힌지(710)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710)를 활용하여 각 면들을 회전하기 위하여 경계부(700)가 구비되는 각면의 양단부는 플라스틱, 스틸 등 다양한 재질의 프레임(720)으로 감싸질 수 있으며, 프레임(720)의 외측에는 힌지(7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710)는 한쌍이 결합되었을 때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710)의 길이는 각 면들이 가변되는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텐트를 가변시키는 형상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텐트를 고정부재에 의하여 가변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실내 벽체에 일면이 고정되어 가변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면(200) 측으로 각 면들을 접었을 때 고정부재(210)로 고정하여 실내 벽체를 향해 접힐 수 있다.
이와 같이, 텐트를 실내측 벽에 고정하기 위한 순서로는 실내측 벽에 고정된 고정면(200)의 양측에 구비된 양측면(500)을 각면들에서 분리하여 고정면(200)의 전면과 접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양측면(500)은 고정면(200)에 각각 접하며 서로 겹치지 않도록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측면(500)의 전면으로 바닥면(600)이 접히기 위하여 고정면(200)의 하단에서 바닥면(600)이 상부로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면(600)은 양측면(500)의 전면에 구비되므로 고정면(200)과 바닥면(600)의 경계부(700)는 양측면(500)의 폭보다 같거나 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600)의 전면에는 상기 텐트가 가변되어 고정될 때 결합될 수 있도록 벨크로 테이프와 같이 고정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면(200)의 전면에 가변되어 접힌 양측면(500)과 바닥면(600)이 벌어지지 않고 고정되기 위하여 전면에 천장면(300)과 대향면(400)이 가변되어 고정되어야 하므로 천장면(300)의 일 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대향면(400)이 천장면(300)의 내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대향면(400)이 내측으로 접힌 천장면(300)은 대향면(400)의 실외측이 상기 바닥면(600)의 고정부재(210)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면(200)의 상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천장면(300)의 경계부(700)는 고정면(200) 전면에서 회전되어 겹치도록 형성되는 양측면(500)의 폭과 바닥면(600)의 폭 그리고 천장면(300)의 내측으로 회전되는 대향면(400)의 폭이 모두 합쳐진 길이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향면(400)은 상기 바닥면(600)과 접하는 실외측에 상기 바닥면(600)의 고정부재(210)와 접할 수 있도록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고정부재(210)는 밴드와 같이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210)의 전면에 각각의 면들이 가변되어 접히면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텐트가 실내측 벽에 고정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진공단열재 110: 외피
120: 심재 200: 고정면
210: 고정부재 300: 천장면
310: 환기구 400: 대향면
500: 양측면 600: 바닥면
700: 경계부 710: 힌지
720: 프레임 800: 결합부재
900: 보호부재

Claims (9)

  1.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텐트에 있어서,
    상기 텐트를 형성하는 외벽은 심재를 외피가 감싸 외피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진공단열재로 형성되며,
    상기 외벽은 상기 텐트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실내측 벽에 고정되는 고정면과, 일단이 상기 고정면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면과, 상기 천장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면와 대향하는 측면을 형성하는 대향면과, 상기 고정면과 상기 대향면에 각각 이웃하는 양측면과, 상기 고정면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의 일단은 상기 고정면의 양측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의 높이는 상기 고정면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는 상기 텐트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 천장면, 대향면, 양측면, 바닥면은 하나의 진공단열재로 형성되고, 각 면의 경계부는 상기 진공단열재가 압축되어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 천장면, 대향면, 양측면, 바닥면은 각각의 진공단열재로 형성되고, 각 면의 경계부에는 각 면이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면, 대향면, 양측면, 바닥면을 상기 고정면 측으로 접었을 때 상기 고정면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텐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을 형성하는 상기 진공단열재가 보호되도록 상기 진공단열재 외부를 감싸는 보호부재를 더 구비하는 텐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면의 단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구비하는 텐트.
KR1020170113341A 2017-09-05 2017-09-05 텐트 KR102030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341A KR102030502B1 (ko) 2017-09-05 2017-09-05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341A KR102030502B1 (ko) 2017-09-05 2017-09-05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430A true KR20190026430A (ko) 2019-03-13
KR102030502B1 KR102030502B1 (ko) 2019-10-10

Family

ID=6576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341A KR102030502B1 (ko) 2017-09-05 2017-09-05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5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000B1 (ko) * 2010-07-14 2013-07-02 이준석 진공판넬단열재를 이용한 텐트 제조방법 및 텐트
KR200480039Y1 (ko) * 2014-11-03 2016-04-05 방부현 조립식 텐트
KR20170012936A (ko) * 2015-07-27 2017-02-06 임성록 접이식 휴대용 가림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000B1 (ko) * 2010-07-14 2013-07-02 이준석 진공판넬단열재를 이용한 텐트 제조방법 및 텐트
KR200480039Y1 (ko) * 2014-11-03 2016-04-05 방부현 조립식 텐트
KR20170012936A (ko) * 2015-07-27 2017-02-06 임성록 접이식 휴대용 가림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502B1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236B1 (ko) 이중단열복합 커튼월창의 프레임 구조
JP6532608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100905803B1 (ko)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KR101384768B1 (ko) 결로 방지 도어 프레임
KR101495694B1 (ko) 블라인드
KR20190026430A (ko) 텐트
KR200356679Y1 (ko) 에어컨 실외기용 차양 덮개
KR101996480B1 (ko) 과열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097897A (ko) 발열수단이 내장된 도어 프레임
AU2016273806B2 (en) Building having security and safety function
KR20180078667A (ko) 범용성을 구비하는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97170B1 (ko) 실외기-외부 창 구조물 연결조립체
KR200416574Y1 (ko) 난방기능을 가지는 조립식건물
KR20200058813A (ko) 에어컨 실외기 덮개
KR102017666B1 (ko) 루버창 단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시스템
KR101022962B1 (ko)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KR20130130561A (ko) 마감 커버 일체형 환기 유닛
JPH05321534A (ja) 洗濯物乾燥出窓
KR102450706B1 (ko) 차양방충망 내재형 고효율 슬라이딩 창호
KR101331246B1 (ko) 시스템 루버 장치
KR101858023B1 (ko) 이중 창호 부착용 프레임
KR101627814B1 (ko) 실내 기능성 창호
KR20190026436A (ko) 텐트
JP6785479B2 (ja) 窓開口部の省エネルギ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