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216A -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 Google Patents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216A
KR20190026216A KR1020170112674A KR20170112674A KR20190026216A KR 20190026216 A KR20190026216 A KR 20190026216A KR 1020170112674 A KR1020170112674 A KR 1020170112674A KR 20170112674 A KR20170112674 A KR 20170112674A KR 20190026216 A KR20190026216 A KR 20190026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tire
tire
tube
double
t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638B1 (ko
Inventor
정대성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6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11Sealing
    • B60B2900/5112Sealing against dust or di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휠림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타이어 사이에 구비되는 더블타이어 보호장비로서, 상기 한 쌍의 타이어 사이의 이격 공간 내에 마련되어, 유체 주입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이격 공간 내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Double Tire Protector, Double Tire Having the Same and Vehicle Having the Double Tire}
본 발명은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고중량의 이동수단은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한 쌍의 타이어가 직렬로 장착된 더블타이어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은 타이어 사이의 이격 공간 내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더블타이어 보호장비를 구비할 수 있다.
더블타이어 보호장비는 더블타이어의 내측 타이어와 외측 타이어 사이에 장착되며, 타이어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막아 줄 수 있도록 일정 폭을 갖는 링 형상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더블타이어 보호장비는 통고무로 제조하기 때문에 무겁고 가격이 비싸다. 또한, 더블타이어 보호장비는 한 쌍의 타이어 사이에 설치되므로, 타이어와의 마찰에 의해 더블타이어 보호장비가 마모되어 서로 밀착되지 못하고 갭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가볍고 저렴하며 마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더블타이어 보호장비는, 휠림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타이어 사이에 구비되는 더블타이어 보호장비로서, 상기 한 쌍의 타이어 사이의 이격 공간 내에 마련되어, 유체 주입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이격 공간 내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튜브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타이어는,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함몰부가 마련되고, 상기 튜브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함몰부에 끼워지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튜브 사이 또는 상기 보호커버에서 상기 튜브에 인접한 일측에 마련되며, 좌우로 벌어지려는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통해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함몰부에 고정하는 결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튜브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 주입부는, 주입구가 상기 휠림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 주입부의 상기 주입구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타이어의 공기 주입구와 함께 상기 휠림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더블타이어는 차축에 결합되는 휠림; 상기 휠림에 상기 차축의 축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타이어; 및 상기 더블타이어 보호장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수단은 상기 더블타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은, 유체 주입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는 튜브를 포함함으로써, 더블타이어 보호장비의 무게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더블타이어 보호장비의 마모로 인해 갭이 발생할 경우, 추가 공기 주입으로 갭을 제거함으로써, 더블타이어 보호장비의 지속적인 유지관리에 강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타이어 보호장비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타이어 보호장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타이어 보호장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타이어 보호장비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타이어 보호장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더블타이어(10)는 차량과 건설기계를 포함하는 이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될 수 있다. 더블타이어(10)는 이동수단의 하중을 지지하며 엔진의 구동력 및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노면에 전달하고, 또한 노면으로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타이어(10)는 내측 타이어(11)와 외측 타이어(12)를 포함한다. 또한, 더블타이어(10)는 휠림(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타이어(11)와 외측 타이어(12)는 휠림(13)에 차축(15)의 축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내측 타이어(11)와 외측 타이어(12)는 한 쌍의 휠림(13)에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휠림(13)은 체결 부재(17)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휠림(13)은 차축(15)에 결합된다. 단, 더블타이어(10)의 구조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더블타이어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더블타이어(10)는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를 더 포함한다.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는 내측 타이어(11)와 외측 타이어(12) 사이의 이격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이격 공간을 막아 줄 수 있도록 일정 폭을 갖는 링 형상을 갖는다. 단,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의 직경은 내측 타이어(11) 및 외측 타이어(12)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타이어(11, 12)는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함몰부(11a, 12a)가 마련되고,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는 상기 함몰부(11a, 12a)에 끼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함몰부(11a, 12a)는 타이어의 측면 둘레를 따라 하나의 라인으로 형성되거나, 다른 실시예에서, 함몰부(11a, 12a)는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의 구체적인 특징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타이어 보호장비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는 튜브(21), 보호커버(22), 결속부(23) 및 유체 주입부(25)를 포함한다.
튜브(21)는 유체 주입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여 한 쌍의 타이어(11, 12) 사이의 이격 공간 내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한다. 튜브(21)는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유체는 공기일 수 있다.
튜브(21)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주입부(25)와 연결되며, 유체 주입부(25)의 주입구(26)가 열리지 않는 이상 밀봉되어 내부압력과 탄성력이 유지된다.
튜브(21)는 유체 주입에 의해 부피가 변화하는데, 그 최대 크기는 보호커버(22)의 내측 공간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커버(22)가 마모되어 사이즈가 줄어들 경우, 튜브(21)에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킴으로써, 내외측 타이어(11, 12)와의 갭을 제거할 수 있다.
보호커버(22)는 튜브(21)의 외측을 감싸며 튜브(21)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보호커버(22)는 내측으로 튜브(21)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영역(OA)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커버(22)는 한 쌍의 타이어(11, 12)와 접하는 양 측면에 함몰부(11a, 12a)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2a, 22b)를 가질 수 있다.
더블타이어(10)와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는, 보호커버(22)의 돌출부(22a, 22b)를 한 쌍의 타이어(11, 12)의 함몰부(11a, 12a)에 끼움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튜브(21)와 보호커버(22)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결속부(23)는 보호커버(22)와 튜브(21) 사이 또는 보호커버(22)에서 튜브(21)에 인접한 일측에 마련되며, 좌우로 벌어지려는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통해 보호커버(22)를 상기 함몰부(11a, 12a)에 고정할 수 있다.
결속부(23)는 튜브(21)의 외주면 및 보호커버(22)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결속부(23)는 링 형상의 단일체일 수 있고, 또는 분절된 다수개의 구조일 수 있다.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는 보호커버(22) 내에 결속부(23)를 삽입한 후, 튜브(21)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는 한 쌍의 타이어(11, 12) 사이의 이격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타이어(11, 12) 사이의 이격 공간 내에 튜브(21)를 설치한 뒤, 튜브(21)의 외측에 보호커버(22) 등을 조립함으로써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때 튜브(21)는 부피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 놓여서, 보호커버(22)의 결합 시 보호커버(22)가 좌우 폭이 줄어들도록 변형되면서 이격 공간으로 인입된 후, 탄성력에 의해 좌우 폭이 늘어나도록 복원되면서, 함몰부(11a, 12a)에 돌출부(22a, 22b)가 끼워져 보호커버(22)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튜브(21)는 유체 유입에 의해 부피가 팽창할 수 있다.
유체 주입부(25)는 튜브(21)와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체 주입부(25)는 주입구(26)가 휠림(13)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 주입부(25)의 주입구(26)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공기 주입구(11b, 12b)와 함께 휠림(13)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유체 주입부(25)의 주입구(26)는 내측 타이어(11)의 공기 주입구(11b)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거나, 외측 타이어(12)의 공기 주입구(12b)와 함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결속부(23)와 유체 주입부(25)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10)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은, 유체 주입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는 튜브(21)를 포함함으로써,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의 무게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의 마모로 인해 갭이 발생할 경우, 튜브(21)에 추가 공기 주입하여 갭을 제거함으로써, 더블타이어 보호장비(20)의 지속적인 유지관리에 강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더블타이어 11: 내측 타이어
12: 외측 타이어 13: 휠림
15: 차축 17: 체결 부재
20: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21: 튜브
22: 보호커버 23: 결속부
25: 유체 주입부 26: 주입구
11a, 12a: 함몰부 22a, 22b: 돌출부

Claims (8)

  1. 휠림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타이어 사이에 구비되는 더블타이어 보호장비로서,
    상기 한 쌍의 타이어 사이의 이격 공간 내에 마련되어, 유체 주입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이격 공간 내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타이어는,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함몰부가 마련되고,
    상기 튜브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함몰부에 끼워지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튜브 사이 또는 상기 보호커버에서 상기 튜브에 인접한 일측에 마련되며, 좌우로 벌어지려는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통해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함몰부에 고정하는 결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주입부는,
    주입구가 상기 휠림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주입부의 상기 주입구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타이어의 공기 주입구와 함께 상기 휠림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7. 차축에 결합되는 휠림;
    상기 휠림에 상기 차축의 축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타이어; 및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더블타이어 보호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타이어.
  8. 제 7 항의 상기 더블타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KR1020170112674A 2017-09-04 2017-09-04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KR102351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74A KR102351638B1 (ko) 2017-09-04 2017-09-04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74A KR102351638B1 (ko) 2017-09-04 2017-09-04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216A true KR20190026216A (ko) 2019-03-13
KR102351638B1 KR102351638B1 (ko) 2022-01-17

Family

ID=6576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674A KR102351638B1 (ko) 2017-09-04 2017-09-04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63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8703U (ko) * 1985-03-08 1986-09-13
JPS634803U (ko) * 1986-06-30 1988-01-13
KR970033979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더블 타이어의 돌 끼임 방지부재
KR19990031176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대형차량용 바퀴의 냉각장치
JP2001524043A (ja) * 1996-10-17 2001-11-27 ジョン・エム・オブライエン 車両ホイール用のトラクション装置
US20030071515A1 (en) * 2001-10-15 2003-04-17 Elkow Douglas B. Variable-diameter wheel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KR20070018300A (ko) * 2005-08-09 2007-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륜식 타이어 구조
KR20120067144A (ko) * 2010-12-15 2012-06-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복륜 차량용 보조 타이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8703U (ko) * 1985-03-08 1986-09-13
JPS634803U (ko) * 1986-06-30 1988-01-13
KR970033979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더블 타이어의 돌 끼임 방지부재
JP2001524043A (ja) * 1996-10-17 2001-11-27 ジョン・エム・オブライエン 車両ホイール用のトラクション装置
KR19990031176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대형차량용 바퀴의 냉각장치
US20030071515A1 (en) * 2001-10-15 2003-04-17 Elkow Douglas B. Variable-diameter wheel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KR20070018300A (ko) * 2005-08-09 2007-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륜식 타이어 구조
KR20120067144A (ko) * 2010-12-15 2012-06-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복륜 차량용 보조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638B1 (ko)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5271A (en) Tire sidewall protector shield assembly
CN106573504B (zh) 非充气轮胎
WO2016098477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KR101859741B1 (ko) 비공기입 타이어
CA2976055A1 (en) Non-pneumatic tire and other annular devices
KR101841655B1 (ko) 비공기입 타이어
CA3047386A1 (en) Wheel comprising a non-pneumatic tire
KR20070062312A (ko) 차륜 구조
US8640534B2 (en) Mounting method and device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KR20190026216A (ko) 더블타이어 보호장비, 이를 구비하는 더블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KR101818660B1 (ko) 비공기입 타이어
US6076578A (en) Device enabling a motor vehicle to run on a flat tire
KR20160107448A (ko) 비공기입 타이어
KR20200069605A (ko) 실린더 타이어
KR20070018300A (ko) 복륜식 타이어 구조
KR102218152B1 (ko) 주행소음을 저감시킨 공기입 타이어
KR100570850B1 (ko) 더블타이어 조립체 및 그 더블타이어의 보호링
CA1217413A (en) Vehicle wheel and pneumatic tire assembly
KR100288050B1 (ko) 환형 테를 스프링과 댐퍼로 연결한 립 조립체
JP2020093722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3962038B2 (ja) 注意喚起用具
WO2019101475A1 (en) Dirt scrapper assembly
KR20100108183A (ko) 타이어에 체결되는 조립식 타이어 커버 및 이들의 조립체
KR20100128391A (ko) 타이어 펑크 방지 장치
WO2008155671A2 (en) Integration of ballistic resistant meterials into a w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