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404A - 전지 셀 픽업 지그 - Google Patents

전지 셀 픽업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404A
KR20190025404A KR1020170112007A KR20170112007A KR20190025404A KR 20190025404 A KR20190025404 A KR 20190025404A KR 1020170112007 A KR1020170112007 A KR 1020170112007A KR 20170112007 A KR20170112007 A KR 20170112007A KR 20190025404 A KR20190025404 A KR 20190025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
base block
pickup
members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029B1 (ko
Inventor
박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1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0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12Load carriers, e.g. hooks, slings, harness, gloves, modified for load car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마다 인서트 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블럭; 및 각각 일측은 상기 인서트 홀 속에 결합되고, 타측은 자성체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블럭의 일면과 같거나 그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복수의 픽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 셀 픽업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지 셀 픽업 지그{Pick up zig for secondary battery cell}
본 발명은 전지 셀 픽업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용 박스에서 전지 셀을 용이하게 픽업할 수 있는 전지 셀 픽업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리튬 이차 전지는 전자 장비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수소 전지보다 약 3배의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 활용 정도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캔형 이차전지는 다시 금속 캔의 형태에 따라 원통형 이차전지와 각형 이차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 공정을 거친 캔형 이차전지, 예를 들면 원통형 이차전지는 박스 단위로 포장되어 운송 및 보관될 수 있다.
포장용 박스(4)는 간지(5)에 의해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있다. 간지(5)는 원통형 이차전지(3)의 유동성을 저지할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3)들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원통형 이차전지(3)의 탑 캡 부분과 포장용 박스(4)의 접촉으로 부식이 발생하는 이슈가 있어 포장용 박스(4) 내부 간지(5)가 원통형 이차전지(3)보다 더 높게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셀 픽업 지그(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마다 자석(2)이 매입된 바아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셀 픽업 지그(1)를 사용하여, 도 1과 같은 포장용 박스에 수납되어 있는 전지 셀들을 픽업할 때, 간지와의 간섭 때문에 셀 픽업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즉, 포장 박스 내의 간지가 전지 셀보다 높아짐에 따라 종래의 셀 픽업 지그로는 원통형 이차전지를 픽업하기 어렵게 되었다. 또한, 종래 픽업 지그는 1회에 픽업할 수 있는 원통형 전지 셀의 수량이 고정(10개)되어 있다. 예컨대, 셀 10개 짜리 픽업 용도의 지그는 전지 셀 수납 규격이 다른 박스에 대해서는 호환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지 셀 픽업 지그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지셀 픽업 지그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포장용 박스 내부의 간지와의 간섭 없이 쉽게 전지 셀을 픽업할 수 있는 전지 셀 픽업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마다 인서트 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블럭; 및 각각 일측은 상기 인서트 홀 속에 결합되고, 타측은 자성체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블럭의 일면과 같거나 그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복수의 픽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 셀 픽업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픽업 부재는, 상기 베이스 블럭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자성체로 구성된 픽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홀 속에는 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픽업 부재는 상기 인서트 홀에 개별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픽업부는 원판형으로 상기 삽입부에 비해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에 의해 형성된 내측면에 상기 인서트 홀 속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랙 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랙 기어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통공과 상기 인서트 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블럭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블럭에 삽입되는 길이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 부재는, 상기 베이스 블럭 내부에 개재되는 원통형 로드와, 상기 베이스 블럭의 외측에 위치되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원통형 로드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원통형 로드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픽업 부재들의 랙 기어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업부는, 상기 삽입부와 직경이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홀들 및 상기 복수의 픽업 부재는, 상기 베이스 블럭 상에 N×N 배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블럭의 일측에 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셀 픽업 지그에 의하면, 포장용 박스 내부 간지와의 간섭 없이 쉽게 복수의 전지 셀들을 한꺼번에 픽업할 수 있다.
또한, 픽업 부재를 추가 또는 생략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1회 픽업할 수 있는 전지 셀 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베이스 블럭의 일면에 대한 픽업 부재들의 돌출 정도를 쉽고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및 도 2는 포장용 박스에 수납된 원통형 전지 셀들과, 종래 기술에 따른 전지 셀 픽업 지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 픽업 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픽업 부재들 중 일부를 분리한 전지 셀 픽업 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 픽업 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지 셀 픽업 지그에서 픽업 부재들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길이조절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전지 셀 픽업 지그의 주요 부분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픽업 부재가 인서트 홀 속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셀 픽업 지그는, 원통형 이차전지 및 각형 이차전지와 같은 금속 캔형의 이차 전지의 픽업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픽업 대상을 원통형 이차전지로 특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원통형 이차전지의 픽업 용도에만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자력으로 픽업이 가능한 것이라면 다른 형태의 금속 캔형 이차전지를 포함하여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셀 픽업 지그의 픽업 대상물이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 픽업 지그는 베이스 블럭(10)과, 상기 베이스 블럭(10)의 일면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픽업 부재(20), 그리고 상기 베이스 블럭(10)의 타면에 장착되는 손잡이 부재(30)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블럭(10)은 바(bar) 또는 판상체(plat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블럭(10)의 일면에는 인서트 홀(12)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 홀(12)은 베이스 블럭(10)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까지 함몰 형성된 홀로서 픽업 부재(20)를 베이스 블럭(10)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소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홀(12)들은 베이스 블럭(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등 간격으로 10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결졍된 간격은 포장용 박스 내부에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2개의 전지 셀에서 어느 하나의 탑 캡부 중심에서 다른 하나의 탑 캡부 중심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간격에 해당할 수 있다.
인서트 홀(12)들의 깊이는 적어도 픽업 부재(20)의 길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블럭(10)에 대한 픽업 부재(20)의 인입 및 인출 범위를 최대한 넓힐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인서트 홀(12) 속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픽업 부재(20)는 개당 하나씩의 원통형 전지 셀을 픽업하는 구성이다. 픽업 부재(20)들은 인서트 홀(12)들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픽업 부재(20)들은 베이스 블럭(10)의 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호 간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픽업 부재(20)는 각각 삽입부(21)와 픽업부(22)를 포함한다. 삽입부(21)는 상기 인서트 홀(12) 속에 삽입 및 삽입해제 가능하게 마련되고, 픽업부(22)는 삽입부(21)의 일단에 위치하며 원통형 전지 셀의 원형 탑 캡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전지 셀을 자력으로 픽업할 수 있는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1)는 인서트 홀(12)에 나사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21)는 외측 둘레에 상기 인서트 홀(12) 속의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수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사 결합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가 각각의 픽업 부재(2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베이스 블럭(10)의 일면에 대한 픽업 부재(20)의 돌출 정도를 쉽고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전지 셀 픽업 작업 전에 먼저 포장용 박스에서 전지 셀의 높이와 간지의 높이 차이만큼 삽입부(21)의 길이 조절하여 전지 셀 픽업 지그를 사용하면 된다.
픽업부(22)는 전지 셀을 자력으로 픽업하는 부분으로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픽업부(22)는 원판형으로 삽입부(21)에 비해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에 비해 픽업부(22)를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픽업부(22)가 인서트 홀(12) 속에 인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픽업부(22)를 파지하고 돌리기 쉬워진다.
또한, 원판형 픽업부(22)는 원통형 전지 셀의 탑 캡에 대면해서 원통형 전지 셀을 안정적으로 픽업할 수 있다.
그리고 픽업부(22)에 비해 삽입부(21)의 직경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인서트 홀(12)의 직경을 작게 형성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베이스 블럭(10)의 공간 자유도가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지 셀 픽업 지그에 의하면, 도 3과 같이, 픽업 부재(20)들 사이 사이에 여유 공간이 존재하게 되므로, 포장용 박스 내부에 솟아있는 간지(도 1 참조)와 간섭 없이 전지 셀을 픽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지 셀 픽업 지그는 삽입부(21)를 인서트 홀(12) 속에서 완전히 삽입해제시켜 픽업 부재(20)를 베이스 블럭(10)에서 분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박스에는 (도 1 참조) 10개의 전지 셀이 한 열에 배열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8개의 전지 셀만을 한꺼번에 픽업해서 운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개의 픽업 부재(20) 중 2개의 픽업 부재(20)를 풀어 인서트 홀(12)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픽업 대상 전지 셀들의 개수에 맞게 전지 셀 픽업 지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다른 예로서, 포장용 박스의 규격에 따라 10개의 미만의 전지 셀들이 한 열에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필요한 수만큼의 픽업 부재(20)를 남겨두고 나머지 픽업 부재(20)를 베이스 블럭(10)에서 분리하고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지 셀 픽업 지그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픽업 지그에 비해, 포장용 박스 내부의 간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 전지 셀 픽업 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픽업 부재(20)의 개수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손잡이 부재(30)는 픽업 부재(20)의 반대편 위치에서 베이스 블럭(10)에 장착될 수 있다. 손잡이 부재(30)는 간편하게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지 셀 픽업 지그가 포장용 박스에 일 열로 배열된 10개 이하의 전지 셀들을 한꺼번에 픽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셀 픽업 지그는 포장용 박스에 배열되는 N×N 개의 전지 셀을 한꺼번에 픽업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의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 경우, 베이스 블럭(10)은 판상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인서트 홀(12)들 및 상기 인서트 홀(12)들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픽업 부재(20)는 상기 베이스 블럭(10) 상에 N×N 배열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때 상기 복수의 픽업 부재(20)들은 포장용 박스에 배열되는 N×N 개의 전지 셀들에 대응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때, 10개의 픽업 부재(20)들의 길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동일한 부재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 픽업 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전지 셀 픽업 지그에서 픽업 부재(20)들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길이조절 부재(4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 픽업 지그는, 복수의 픽업 부재(20)들의 길이를 한꺼번에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 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 부재(40)의 헤드(42)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복수의 픽업 부재(20)들이 일률적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픽업 부재(20)들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픽업 부재(20)들의 길이에 조금씩 차이가 생길 우려가 존재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모든 픽업 부재(20)의 길이를 동시에 일률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전지 셀 픽업 작업 전, 픽업 부재(20)들의 길이를 쉽고, 세밀하며, 정확히 동일하게 세팅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픽업 부재(20) 세팅 시간도 훨씬 단축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전지 셀 픽업 지그의 주요 부분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픽업 부재(20)가 인서트 홀(12) 속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과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픽업 부재(20)의 삽입부(21)는 통공(21a)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공(21a)에 의해 형성된 내측면에 랙 기어(21b)를 포함한다. 상기 통공(21a)은 삽입부(21)의 일 부분을 탭(tap) 가공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즉, 통공(21a)은 픽업 부재(20)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부(21)의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길이조절 부재(40)는 상기 랙 기어(21b)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41a)를 구비하고 상기 통공(21a)과 인서트 홀(12)들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블럭(10)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길이조절 부재(40)는 외주면에 피니언 기어(41a)가 형성되고 베이스 블럭(10) 내부에 개재되는 원통형 로드(41)와, 상기 베이스 블럭(10)의 외측에 위치되는 헤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블럭(10)은 인서트 홀(12)들과 몸체를 관통하는 중공 구조로 상기 길이조절 부재(40)를 삽입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41a)는 원통형 로드(41)의 둘레에 형성되되, 원통형 로드(41)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복수 개가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피니언 기어(41a)들은 원통형 로드(41)를 베이스 블럭(10) 내부에 삽입했을 때, 복수의 픽업 부재(20)들에 마련된 랙 기어(21b)들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치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원통형 로드(41) 전체를 톱니 형태로 제작하여 원통형 로드(41)가 하나의 피니언 기어(41a)로 작용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각 랙 기어(21b)들 위치에 대응되는 원통형 로드(41) 상에만 피니언 기어(41a)들을 형성함으로써 원통형 로드(41)를 베이스 블럭(10) 내부에서 회전시킬 때 원통형 로드(41)의 내측면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헤드(42)는 원통형 로드(41)와 일체로 형성되고 베이스 블럭(10)의 외측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작업자가 파지하고 돌리기 쉽게 헤드(42)에 링(ring)이나 덧판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참고로, 베이스 블럭(10), 픽업 부재(20) 및 길이조절 부재(40)의 조립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인서트 홀(12) 속에 픽업 부재(20)들을 삽입한 후 픽업 부재(20)들을 돌려 삽입부(21)의 통공(21a)이 원통형 로드(41)가 끼워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원통형 로드(41)를 베이스 블럭(10)에 삽입시킨다. 이때, 원통형 로드(41)는 상기 통공(21a)들과 인서트 홀(12)들 통과하게 되어 복수의 픽업 부재(20)와 원통형 로드(41)가 베이스 블럭(10) 내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헤드(42) 부분을 파지하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원통형 로드(41)의 피니언 기어(41a)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에 맞물려 있는 랙 기어(21b)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 블럭(10) 내부에서 회전만 가능하고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원통형 로드(41)에 대해 상대적으로 랙 기어(21b)와 일체를 이루는 픽업 부재(20)는 인서트 홀(12) 내부 공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픽업부(22)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원통형 전지 셀을 자력으로 픽업할 수 있게 구성되지만, 삽입부(21)와 직경이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픽업부(22)는 삽입부(21)와 함께 베이스 블럭(10)의 인서트 홀(12) 속에 인입될 수 있다. 예컨대, 평상시 픽업부(22)를 베이스 블럭(10) 내부에 인입시켜 전지 셀 픽업 지그를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성체 부분인 픽업부(2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포장용 박스 내부에서 간지가 없거나 전지 셀의 탑 캡부의 높이가 충분히 높아서 간지와 간섭이 필요하지 않을 때, 픽업부(22)를 베이스 블럭(10)에서 인출시키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필요시 픽업 부재(20)의 개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전술한 픽업 지그의 조립 순서의 역순으로 픽업 부재(20)를 분리한다. 즉, 원통형 로드(41)를 부분적으로 인출한 베이스 블럭(10)의 끝 부분부터 픽업 부재(20)를 인서트 홀(12) 속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지 셀 픽업 지그에 의하면, 포장용 박스 내부의 간지와의 간섭 없이 쉽게 소정 개수의 전지 셀들을 한꺼번에 픽업할 수 있다. 또한, 픽업 부재(20)를 추가 또는 생략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1회 픽업할 수 있는 전지 셀 수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관측자의 보는 위치나 대상의 놓여져 있는 위치 등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베이스 블럭 12: 인서트 홀
20: 픽업 부재 21: 삽입부
21a: 통공 21b: 랙 기어
22: 픽업부 30: 손잡이 부재
40: 길이조절 부재 41: 원통형 로드
41a: 피니언 기어 42: 헤드

Claims (10)

  1.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마다 인서트 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블럭; 및
    각각 일측은 상기 인서트 홀 속에 결합되고, 타측은 자성체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블럭의 일면과 같거나 그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복수의 픽업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픽업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업 부재는, 상기 베이스 블럭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자성체로 구성된 픽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픽업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홀 속에는 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픽업 부재는 상기 인서트 홀에 개별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픽업 지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는 원판형으로 상기 삽입부에 비해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픽업 지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에 의해 형성된 내측면에 상기 인서트 홀 속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랙 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랙 기어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통공과 상기 인서트 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블럭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블럭에 삽입되는 길이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픽업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부재는,
    상기 베이스 블럭 내부에 개재되는 원통형 로드와, 상기 베이스 블럭의 외측에 위치되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원통형 로드의 둘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픽업 지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원통형 로드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픽업 부재들의 랙 기어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픽업 지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는, 상기 삽입부와 직경이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픽업 지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홀들 및 상기 복수의 픽업 부재는, 상기 베이스 블럭 상에 N×N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픽업 지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럭의 일측에 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픽업 지그.
KR1020170112007A 2017-09-01 2017-09-01 전지 셀 픽업 지그 KR102306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007A KR102306029B1 (ko) 2017-09-01 2017-09-01 전지 셀 픽업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007A KR102306029B1 (ko) 2017-09-01 2017-09-01 전지 셀 픽업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404A true KR20190025404A (ko) 2019-03-11
KR102306029B1 KR102306029B1 (ko) 2021-09-27

Family

ID=6575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007A KR102306029B1 (ko) 2017-09-01 2017-09-01 전지 셀 픽업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0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148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이차전지 셀 제조용 전극 픽앤플레이스 장치 및 방법
WO2021141285A1 (ko) * 2020-01-06 2021-07-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전지셀의 분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류방법
CN117985453A (zh) * 2024-04-03 2024-05-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转接片上料组件、转接片上料装置以及电池生产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596B1 (ko) * 1995-08-30 1998-08-17 배순훈 건전지 자동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596B1 (ko) * 1995-08-30 1998-08-17 배순훈 건전지 자동 적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148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이차전지 셀 제조용 전극 픽앤플레이스 장치 및 방법
WO2021141285A1 (ko) * 2020-01-06 2021-07-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전지셀의 분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류방법
JP2022530975A (ja) * 2020-01-06 2022-07-05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円筒型電池セルの分類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分類方法
US11865587B2 (en) 2020-01-06 2024-01-09 Lg Energy Solution, Ltd. Cylindrical battery cell sorting apparatus and sor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7985453A (zh) * 2024-04-03 2024-05-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转接片上料组件、转接片上料装置以及电池生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029B1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5404A (ko) 전지 셀 픽업 지그
US7993777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256080B1 (ko) 어셈블링된 배터리와 그에 사용되는 환상형 셀
EP2747183A2 (en) Cable-type secondary battery
EP2779281B1 (en)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KR102283960B1 (ko) 베터리 팩
EP3896781B1 (en) Rechargeable battery
EP2602841B1 (en) Battery
KR20210021840A (ko) 이차 전지
US20110140666A1 (en) Secondary battery
US20070020517A1 (en)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50072218A1 (en)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US9263911B2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able-type secondary battery
KR20170027497A (ko) 이차전지의 제작방법
WO2022170496A1 (zh) 电极组件及电池单体、电池、装置、制备方法和制备装置
KR102005415B1 (ko) 2차전지
KR102112693B1 (ko) 2차 전지
KR102245118B1 (ko) 2차 전지
KR100670431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0670430B1 (ko) 리튬 이차 전지
KR20170054347A (ko)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 형성방법, 그에 의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를 형성하는 방법
US20220158278A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156557B1 (ko) 2차 전지
US20220216550A1 (en) Rechargeable battery
US20220416331A1 (en) Battery and electric device contain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