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989A -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989A
KR20190024989A KR1020197002918A KR20197002918A KR20190024989A KR 20190024989 A KR20190024989 A KR 20190024989A KR 1020197002918 A KR1020197002918 A KR 1020197002918A KR 20197002918 A KR20197002918 A KR 20197002918A KR 20190024989 A KR20190024989 A KR 20190024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ass
boron
polarizing film
pv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7242B1 (en
Inventor
와타루 오하시
다카노리 이소자키
준이치 요시모토
다츠야 오조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190024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9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2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5Boron-containing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21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alcohol radical
    • C08F216/04Acyclic compounds
    • C08F216/06Polyvinyl alcohol ; Vinyl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폴리비닐알코올 (A) 와, 보론산기 및 물의 존재하에서 보론산기로 전화될 수 있는 붕소 함유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갖는 붕소 함유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편광 필름으로서, 편광 필름 중의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이 폴리비닐알코올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 3 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으로 한다. 추가로 붕산을 함유하고,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이 0.2 ∼ 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내습열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이 제공된다.(B) hav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vinyl alcohol (A), a boronic acid group and a boron-containing group which can be converted to a boronic acid group in the presence of water, Wherein the content of the boron element derived from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n the film is 0.1 to 3 parts by mas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vinyl alcohol (A). And further contains boric acid, and the content of the total boron element in the polarizing film is preferably 0.2 to 5% by mass. Thereby, a polarizing film excellent in anti-wet heat performance is provided.

Description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습열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heat and humidity resistan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광의 투과 및 차폐 기능을 갖는 편광판은,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키는 액정과 함께 액정 디스플레이 (LCD) 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이다. 대부분의 편광판은 편광 필름의 퇴색을 방지하거나, 편광 필름의 수축을 방지하거나 하기 위해, 편광 필름의 표면에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등의 보호막이 첩합 (貼合) 된 구조를 갖고 있고,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 필름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이하,「폴리비닐알코올」을「PV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을 1 축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매트릭스에 요오드계 색소 (I3 - 나 I5 - 등) 가 흡착되어 있는 것이 주류가 되고 있다.A polarizing plate having light transmission and shielding functions is a fundamental componen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ogether with a liquid crystal that changes the polarization state of light. Most polarizing plates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rotective film such as a cellulose acylate (TAC) film is bonded to the surface of a polarizing film in order to prevent discoloration of the polarizing film or prevent shrinkage of the polarizing film, (I 3 - , I 5 -, and the like) are added to a matrix obtained by uniaxially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 film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 PVA " Is adsorbed by the adsorbent.

LCD 는, 전자식 탁상 계산기 및 손목 시계 등의 소형 기기, 휴대 전화, 노트북, 액정 모니터, 액정 컬러 프로젝터, 액정 텔레비전, 차재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옥내외에서 사용되는 계측 기기 등의 광범위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이들 기기는 박형·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LCD 의 각 부재도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LCD 의 부재 중 하나인 편광판의 보호막을 박형화하면, 요오드계 편광 필름의 퇴색을 방지하는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우려되고 있다. 그래서, 고온 또한 고습도하에서의 퇴색이 적은, 이른바 내습열성이 우수한 요오드계 편광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LCDs are used in a wide range of small-sized devices such as electronic desk calculators and wrist watches, mobile phones, notebook computers, liquid crystal monitors, liquid crystal color projectors, liquid crystal televisions, vehicle navigation systems, and measuring instruments used indoors and outdoors. It is required to be thin and lightweight. Therefore, each member of the LCD is also required to be thin. However, if the protective film of the polarizing plate, which is one of the members of the LCD, is made thinner, there is a concern that the function of preventing discoloration of the iodine polarizing film is lowere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n iodine-based polarizing film excellent in resistance to humidity and humidity, which has a low discoloration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그런데, 요오드계 편광 필름의 내습열성을 개량하는 수법으로는, 편광 필름에 대하여, 다가 알데히드로 가교 처리하는 수법 (특허문헌 1) 이나, 다가 카르복실산 화합물로 가교 처리하는 방법 (특허문헌 2) 이 공지되어 있다.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heat and humidity resistance of the iodine-based polarizing film, there have been proposed a method of crosslinking the polarizing film with polyaldehyde (Patent Document 1) and a method of crosslinking with a polyvalent carboxylic acid compound (Patent Document 2) Is known.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35815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23581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57756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257756

그러나, 다가 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데히드가 휘발되기 쉽고, 농도 관리가 어려운 점에서, 공업적인 실시가 곤란하였다. 또, 다가 카르복실산 화합물은 반응성이 낮아, 산 촉매의 사용이나 고온에서의 처리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편광 필름이 착색된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polyhydric aldehyde, since aldehyde is easily volatilized and concentration control is difficult, industrial implementation is difficult. In addition, since the polyvalent carboxylic acid compound has low reactivity and requires use of an acid catalyst or treatment at a high tempera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larizing film is colored.

그래서 본 발명은, 산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고온에서의 처리가 불필요하며, 공업적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내습열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film excellent in resistance to moisture and heat, which can be produced industrially easily, without using an acid catalyst, requiring no treatment at a high temperature.

본 발명자들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폴리비닐알코올과 특정한 붕소 함유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편광 필름에 의하면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As a result of diligent studi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by a polarizing film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and a specific boron-containing organic compound,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과제는, 폴리비닐알코올 (A) 와, 보론산기 및 물의 존재하에서 보론산기로 전화될 수 있는 붕소 함유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갖는 붕소 함유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편광 필름으로서, 편광 필름 중의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이 폴리비닐알코올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 3 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The above problem is solved by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yvinyl alcohol (A), a polarizing plate containing a boron-containing compound (B) hav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oronic acid group and a boron- Wherein the content of the boron element derived from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n the polarizing film is 0.1 to 3 parts by mas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vinyl alcohol (A).

이 때, 추가로 붕산을 함유하고,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이 0.2 ∼ 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붕소 함유 화합물 (B) 가 복수의 상기 관능기를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boric acid is further contained and the content of the total boron element in the polarizing film is 0.2 to 5% by mass.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has a plurality of the above functional groups.

또, 상기 과제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염색 처리, 및 그 필름을 1 축 연신하는 연신 처리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그 필름을 붕소 함유 화합물 (B) 의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처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도 해결된다.The above object is also achieved by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a dyeing treatment for dyeing a polyvinyl alcohol film with a dichroic dye and a stretching treatment for uniaxially stretching the film, By mass of the polarizing film in an aqueous solution of the polarizing film.

본 발명에 의하면, 내습열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그러한 편광 필름을 공업적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heat and humidity resistanc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polarizing film can be industrially easily produced.

도 1 은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편광 필름의 1H-NMR 차트이다.1 is a 1 H-NMR chart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in Example 1. Fig.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 (A) 와, 보론산기 및 물의 존재하에서 보론산기로 전화될 수 있는 붕소 함유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갖는 붕소 함유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편광 필름이다. 폴리비닐알코올을 붕소 함유 화합물 (B) 로 가교시킴으로써, 편광 필름의 내습열성이 향상된다.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lyvinyl alcohol (A), a boron-containing compound (B) hav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oronic acid group and a boron-containing group capable of being converted into a boronic acid group in the presence of water . By crosslinking the polyvinyl alcohol with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the heat and humidity resistance of the polarizing film is improv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붕소 함유 화합물 (B) 는, 보론산기 및 물의 존재하에서 보론산기로 전화될 수 있는 붕소 함유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이다. 보론산기는 하기 구조식 (1) 로 나타내는 1 가의 치환기이며, 붕소 원자가 2 개의 수산기와 탄소 원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에 결합된 구조를 갖고 있다. 붕산 [B(OH)3] 에 있어서는 붕소 원자가 3 개의 수산기와 결합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보론산은 붕소-탄소 결합을 갖는 점에서 상이하다. 그리고, 보론산기가 갖는 붕소-탄소 결합은 가수 분해되지 않으므로, 물이 존재하는 환경하에 있어서도 안정적이다. 물의 존재하에서 보론산기로 전화될 수 있는 붕소 함유기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보론산에스테르기를 대표적인 것으로서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ganic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oronic acid group and a boron-containing group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boronic acid group in the presence of water. The boronic acid group is a monovalent substituen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1)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boron atom is bonded to two hydroxyl groups and carbon atoms (not shown). In boric acid [B (OH) 3 ], a boron atom is bonded to three hydroxyl groups, whereas boronic acid differs in that it has a boron-carbon bond. Since the boron-carbon bond of the boronate group is not hydrolyzed, it is stable even in an environment in which water exists. As the boron-containing group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boronic acid group in the presence of water, the boronic acid ester group described below can be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보론산기의 수산기는, 붕산의 수산기와 동일하게, 알코올과 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다. 하기 구조식 (2) 가, 보론산기에 대하여 1 분자의 알코올 (R-OH) 이 반응한 보론산모노에스테르기이다. 여기서, 보론산기가 PVA 의 수산기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구조식 (2) 중의 R 은 PVA 사슬이고, PVA 사슬에 붕소 원자를 개재하여 탄소 함유기가 결합되게 되어, 편광 필름의 내습열성이 향상된다.The hydroxyl group of the boronic acid group can form an ester with an alcohol in the same manner as the hydroxyl group of boric acid.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2) is a boronic acid monoester group in which one molecule of alcohol (R-OH) is reacted with a boronic acid group. Here, when the boronic acid group is bonded to the hydroxyl group of the PVA, R in the structural formula (2) is a PVA chain, and the carbon-containing group is bonded to the PVA chain via a boron atom, so that the humidity resistance of the polarizing film is improved.

[화학식 2](2)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하기 구조식 (3) 이, 보론산기에 대하여 2 분자의 알코올 (R-OH) 이 반응한 보론산디에스테르기이다. 여기서, 보론산기가 PVA 의 수산기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구조식 (3) 중의 2 개의 R 은 모두 PVA 사슬이고, 복수의 PVA 사슬이 서로 가교되게 되어,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내습열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3) is a boronic acid diester group in which two molecules of alcohol (R-OH) have reacted with respect to the boronic acid group. Here, when the boronic acid group is bonded to the hydroxyl group of PVA, the two R's in the structural formula (3) are all PVA chains, and a plurality of PVA chains are cross-linked to each other, effectively improving the moisture and heat resistance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화학식 3](3)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붕소 함유 화합물 (B) 로는, 메틸보론산, 에틸보론산, 프로필보론산, 부틸보론산, 펜틸보론산, 헥실보론산, 및 그것들의 이성체, 그리고 페닐보론산 등이 예시된다. 이것들은, 분자 중에 보론산기 및 물의 존재하에서 보론산기로 전화될 수 있는 붕소 함유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1 개 갖는 것이다.Examples of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ethylboronic acid, ethylboronic acid, propylboronic acid, butylboronic acid, pentylboronic acid, hexylboronic acid, isomers thereof and phenylboronic acid . These have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oronic acid group in the molecule and a boron-containing group capable of being converted into a boronic acid group in the presence of water.

붕소 함유 화합물 (B) 가 방향족 화합물임으로써, 편광 필름의 내습열성이 향상되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는 분명하지는 않지만, 방향 고리의 π-π 스태킹에 의해 수분이 투과하기 어려워져, 편광 필름의 내습열성 향상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붕소 함유 화합물 (B) 로는, 페닐보론산, 1,4-벤젠디보론산, 1,3-벤젠디보론산, 1,3,5-벤젠트리보론산 등을 들 수 있다.When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s an aromatic compound, the moisture resistance of the polarizing film may be improved. Although the reason is not clear, it is presumed that the water permeation becomes difficult due to the π-π stacking of the aromatic rings,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eat and humidity resistance of the polarizing film is increased. Examples of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nclude phenylboronic acid, 1,4-benzene diboronic acid, 1,3-benzene diboronic acid, and 1,3,5-benzenetric boronic acid.

또, 붕소 함유 화합물 (B) 가, 분자 중에 보론산기 및 물의 존재하에서 보론산기로 전화될 수 있는 붕소 함유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복수 가짐으로써, 편광 필름의 내습열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하기 구조식 (4) 에 분자 중에 보론산기를 2 개 갖는 경우의 붕소 함유 화합물 (B) 를 나타낸다. 여기서, X 는 2 가의 유기기이며, 알킬렌기나 아릴렌기 등이다. 이 경우, PVA 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포인트가 4 개 있어, PVA 사슬이 보다 효과적으로 가교되게 된다.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has a plurality of functional group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oronic acid group in the molecule and a boron-containing group capable of being converted into a boronic acid group in the presence of water, .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having two boronic acid groups in the molecule is shown in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4). Here, X is a divalent organic group and is an alkylene group or an arylene group. In this case, there are four points of reacting with the hydroxyl group of PVA to form an ester, so that the PVA chain is more effectively crosslinked.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복수의 상기 관능기를 갖는 붕소 함유 화합물 (B) 로는, 메탄디보론산, 에탄디보론산, 프로판디보론산, 부탄디보론산, 펜탄디보론산, 헥산디보론산, 및 그것들의 이성체, 그리고 1,4-벤젠디보론산, 1,3-벤젠디보론산, 1,3,5-벤젠트리보론산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having a plurality of the functional groups include methane diboronic acid, ethane diboronic acid, propane diboronic acid, butane diboronic acid, pentane diboronic acid, hexane diboronic acid and isomers thereof, Lonic acid, 1,3-benzene diboronic acid, and 1,3,5-benzenetric boronic acid.

본 발명의 편광 필름 중의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은, 폴리비닐알코올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 3 질량부인 것이 필요하다.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이 0.1 질량부보다 적은 경우, 폴리비닐알코올 (A) 의 가교량이 적어, 내습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불충분하다.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 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질량부 이상이다. 한편,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을 3 질량부보다 많게 하고자 하면, 필름이 지나치게 단단해져 취급성이 저하되는 데다가, 오랜 처리 시간이 필요해지는 등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하이다.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은, 1H-NMR 측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boron element derived from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n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quired to be 0.1 to 3 parts by mas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vinyl alcohol (A). When the content of the boron element derived from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s less than 0.1 part by mass, the crosslinking amount of the polyvinyl alcohol (A) is small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sistance to humidity and humidity is insufficient. The boron element content derived from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s preferably 0.2 parts by ma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3 parts by mass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boron element derived from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s more than 3 parts by mass, the film becomes too hard and the handling property is lowered. The content of the boron element derived from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s preferably 2 parts by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 part by mass or less. The boron element content derived from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can be obtained by 1 H-NMR measurement.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이, 추가로 붕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고온에서 습식 연신할 때에 PVA 가 물에 용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이 0.2 ∼ 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이란,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과 붕산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을 포함하는 모든 붕소 원소의 함유량을 합계한 양이다.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이 0.2 질량% 보다 적은 경우, 내습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저하된다.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이 1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이 5 질량% 보다 많은 경우, 고온시의 편광 필름의 치수 변화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이 4.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은, ICP 발광 분석 등에 의해 구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ntains boric aci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PVA from being eluted into water when subjected to wet stretching at a high temperature.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total boron element in the polarizing film is preferably 0.2 to 5% by mass. Here, the total boron element content is the sum of the contents of all the boron elements including the content of the boron element derived from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and the content of the boron element derived from the boric acid. When the content of the total boron element in the polarizing film is less than 0.2 mas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eat and humidity resistance deteriorates. The content of the total boron element in the polarizing film is more preferably 1% by mass or mo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total boron element in the polarizing film is more than 5 mass%,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polarizing film at high temperature may be increase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ntent of the total boron element in the polarizing film is 4.5 mass% or less. The content of the entire boron element in the polarizing film can be obtained by ICP emission analysis or the like.

본 발명의 편광 필름에 함유되는 PVA 의 중합도는, 1,500 ∼ 6,000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0 ∼ 5,000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 4,000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중합도가 1,500 이상임으로써, 필름을 1 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당해 중합도가 6,000 이하임으로써, 제조 비용의 상승이나, 제막 (製膜) 시에 있어서의 공정 통과성의 불량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PVA 의 중합도는, JIS K 6726-1994 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한 평균 중합도를 의미한다.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 contained in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00 to 6,000,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800 to 5,000, and stil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00 to 4,000. Whe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1,500 or more, the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uniaxially stretching the film can be impro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6,000 or les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cost and the defective processability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 means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measured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JIS K 6726-1994.

본 발명의 편광 필름에 함유되는 PVA 의 비누화도는, 필름을 1 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내수성의 면에서, 95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6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8 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PVA 의 비누화도란, PVA 가 갖는, 비누화에 의해 비닐알코올 단위 (-CH2-CH(OH)-) 로 변환될 수 있는 구조 단위 (전형적으로는 비닐에스테르 단위) 와 비닐알코올 단위의 합계 몰수에 대하여, 당해 비닐알코올 단위의 몰수가 차지하는 비율 (몰%) 을 말한다. 당해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VA contained in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95 mol% or more, more preferably 96 mol%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8 mol% or more in view of the water resistance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uniaxially stretching the film Is more preferable.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PVA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PVA has a structural unit (typically, a vinyl ester unit)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vinyl alcohol unit (-CH 2 -CH (OH) -) Refers to the ratio (mol%) of the number of moles of the vinyl alcohol unit to the total number of moles of alcohol units.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description of JIS K 6726-1994.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VA 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닐에스테르 단량체를 중합시켜 얻어진, 폴리비닐에스테르의 비닐에스테르 단위를 비닐알코올 단위로 변환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PVA 의 제조에 사용되는 비닐에스테르 단량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포름산비닐,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이소부티르산비닐, 피발산비닐, 버사틱산비닐, 카프로산비닐, 카프릴산비닐, 카프르산비닐, 라우르산비닐, 팔미트산비닐, 스테아르산비닐, 올레산비닐, 벤조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경제적 관점에서는 아세트산비닐이 바람직하다.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V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re can be mentioned a method of converting a vinyl ester unit of a polyvinyl ester into a vinyl alcohol unit, which is obtained by polymerizing a vinyl ester monomer. The vinyl ester monomer used in the production of PV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vinyl formate,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vinyl isobutyrate, vinyl pivalate, vinyl versatate, vinyl caprate, Vinyl, caprylic acid, vinyl laurate, vinyl palmitate, vinyl stearate, vinyl oleate and vinyl benzoate. From an economic standpoint, vinyl acetate is preferred.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VA 는, 비닐에스테르 단량체와 그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닐에스테르 단위를 비닐알코올 단위로 변환시킨 것이어도 된다. 비닐에스테르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텐 등의 탄소수 2 ∼ 30 의 α-올레핀 ;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 염 ;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 n-프로필, (메트)아크릴산 i-프로필, (메트)아크릴산 n-부틸, (메트)아크릴산 i-부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옥타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 (메트)아크릴아미드 ;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또는 그 염,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 또는 그 염,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등의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등의 N-비닐아미드 ;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n-프로필비닐에테르, i-프로필비닐에테르, n-부틸비닐에테르, i-부틸비닐에테르, t-부틸비닐에테르, 도데실비닐에테르, 스테아릴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 ;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비닐 ;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불화비닐, 불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비닐 ; 아세트산알릴, 염화알릴 등의 알릴 화합물 ; 말레산 또는 그 염, 에스테르 혹은 산 무수물 ; 이타콘산 또는 그 염, 에스테르 혹은 산 무수물 ;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릴 화합물 ; 불포화 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기한 다른 단량체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가질 수 있다. 당해 다른 단량체는, 비닐에스테르 단량체를 중합 반응에 제공할 때에 이것을 반응 용기 내에 미리 존재시켜 두거나, 혹은 중합 반응의 진행 중에 반응 용기 내에 이것을 첨가하거나 하는 등 하여 사용할 수 있다. 편광 성능의 관점에서는, 다른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위의 함유량은, 1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PV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tained by converting a vinyl ester unit of a polyvinyl ester copolymer obtained by copolymerizing a vinyl ester monomer and an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therewith into a vinyl alcohol unit.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the vinyl ester monomer include, for example,? -Olefins having 2 to 30 carbon atoms such as ethylene, propylene, 1-butene and isobutene; (Meth) acrylic acid or a salt thereof;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i-butyl (meth) acrylate, t- (Meth) acrylic acid esters such as butyl, 2-ethylhexyl (meth) acrylate, dodecyl (meth) acrylate and octadecyl (meth) acrylate; (Meth) acrylamide; (Meth) acrylamide, N, N-dimethyl (meth) acrylamide, diacetone (meth) acrylamide, (meth) acrylamide propanesulfonic acid or a salt thereof, ) Acrylamidopropyldimethylamine or a salt thereof, (meth) acrylamide derivatives such as N-methylol (meth) acrylamide or derivatives thereof; N-vinyl amides such as N-vinyl formamide, N-vinylacetamide and N-vinyl pyrrolidone; Vinyl ethers such as methyl vinyl ether, ethyl vinyl ether, n-propyl vinyl ether, i-propyl vinyl ether, n-butyl vinyl ether, i-butyl vinyl ether, t-butyl vinyl ether, dodecyl vinyl ether and stearyl vinyl ether Ether; Vinyl cyanide such as (meth) acrylonitrile; Vinyl halides such as vinyl chloride, vinylidene chloride, vinyl fluoride and vinylidene fluoride; Allyl compounds such as allyl acetate and allyl chloride; Maleic acid or its salt, ester or acid anhydride; Itaconic acid or its salt, ester or acid anhydride; Vinylsilyl compounds such as vinyltrimethoxysilane; Unsaturated sulfonic acid, and the like. The vinyl ester copolymer may have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one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other monomers. The other monomer may be used when the vinyl ester monomer is present in the reaction vessel whe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carried out, or may be added to the reaction vessel during the course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the content of the unit derived from the other monomer is preferably 10 mol% or less, more preferably 5 mol%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2 mol% or less.

상기 비닐에스테르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중, 연신성이 향상됨과 함께 보다 높은 온도에서 연신할 수 있고, 광학 필름 제조시에 연신 끊김 등의 트러블의 발생이 저감되어 광학 필름의 생산성이 보다 더 향상되는 점에서, 에틸렌이 바람직하다. PVA 가 에틸렌 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에틸렌 단위의 함유율은, 상기와 같은 연신성이나 연신 가능 온도 등의 관점에서, PVA 를 구성하는 전체 구조 단위의 몰수에 대하여, 1 ∼ 4 몰% 가 바람직하고, 2 ∼ 3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Among the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the vinyl ester monomer, the stretching property can be improved and the stretching can be carried out at a higher temperature, the occurrence of troubles such as breakage of stretching during production of the optical film is reduc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optical film is further improved , Ethylene is preferred. When the PVA contains an ethylene unit, the content of the ethylene unit is preferably 1 to 4 mol%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moles of all the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PVA from the viewpoint of the stretching property and the stretchable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And more preferably 2 to 3 mol%.

비닐에스테르 단량체를 중합시킬 때의 중합 방식은, 회분 중합, 반회분 중합, 연속 중합, 반연속 중합 등의 어느 방식이어도 되며, 중합 방법으로는, 괴상 중합법,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무용매 또는 알코올 등의 용매 중에서 중합을 진행시키는 괴상 중합법 또는 용액 중합법이 통상적으로 채용된다. 고중합도의 폴리비닐에스테르를 얻는 경우에는, 유화 중합법도 바람직하다. 용액 중합법의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코올이다. 용액 중합법의 용매에 사용되는 알코올은,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이다. 중합액에 있어서의 용매의 사용량은, 목적으로 하는 PVA 의 중합도에 따라 용매의 연쇄 이동을 고려하여 선택하면 되며, 예를 들어 용매가 메탄올인 경우, 용매와 전체 단량체의 질량비 (용매/전체 단량체) 로서, 바람직하게는 0.01 ∼ 10 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3 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The polymerization method for polymerizing the vinyl ester monomer may be any of batch polymerization, semi-batch polymerization, continuous polymerization and semi-continuous polymerization.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method include bulk polymeriz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suspension polymerization, A known method such as a polymerization method can be applied. A bulk polymerization method or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in which polymerization is allowed to proceed in a solvent such as a solvent or alcohol is usually employed. In the case of obtaining a polyvinyl ester of high polymerization degree, an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is also preferable. The solvent of the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an alcohol. Alcohols used in the solvent of the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are, for example, lower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and propanol. The amount of the solvent used in the polymerization solution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in transfer of the solv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desired PVA. For example, when the solvent is methanol, the mass ratio of solvent to total monomer (solvent / ,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1 to 10,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5 to 3.

비닐에스테르 단량체의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는, 공지된 중합 개시제, 예를 들어 아조계 개시제, 과산화물계 개시제, 레독스계 개시제에서 중합 방법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아조계 개시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이다. 과산화물계 개시제는, 예를 들어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등의 퍼카보네이트계 화합물 ;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 α-쿠밀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 등의 퍼에스테르계 화합물 ; 아세틸시클로헥실술포닐퍼옥사이드 ; 2,4,4-트리메틸펜틸-2-퍼옥시페녹시아세테이트 ; 과산화아세틸이다.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산화수소 등을 상기 개시제에 조합하여 중합 개시제로 해도 된다. 레독스계 개시제는, 예를 들어 상기 과산화물계 개시제와 아황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타르타르산, L-아스코르브산, 론갈리트 등의 환원제를 조합한 중합 개시제이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중합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중합 속도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중합 개시제에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혹은 과산화아세틸을 사용하는 경우, 비닐에스테르 단량체에 대하여 0.01 ∼ 0.2 몰% 가 바람직하고, 0.02 ∼ 0.15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온 ∼ 150 ℃ 정도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또한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 이하이다.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 the polymerization of the vinyl ester monomer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olymerization method in known polymerization initiators such as an azo-based initiator, a peroxide-based initiator, and a redox-based initiator. Examples of azo-based initiators include azo initiators such as 2,2'-azobisisobutyronitrile, 2,2'-azobis (2,4-dimethylvaleronitrile), 2,2'-azobis -2,4-dimethylvaleronitrile). The peroxide-based initiator includes, for example, percarbonate-based compounds such as diisopropyl peroxydicarbonate, di-2-ethylhexyl peroxydicarbonate, and diethoxyethyl peroxydicarbonate; per-tertiary compounds such as t-butyl peroxyneodecanate and? -cumyl peroxyneodecanate; Acetylcyclohexylsulfonylperoxide; 2,4,4-trimethylpentyl-2-peroxyphenoxyacetate; Acetyl peroxide. Potassium persulfate, ammonium persulfate, hydrogen peroxide, or the like may be combined with the initiator to form a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redox-type initiator is, for example, a polymerization initiator in which the peroxide-based initiator is combined with a reducing agent such as sodium hydrogensulfite, sodium hydrogencarbonate, tartaric acid, L-ascorbic acid, and ronic acid.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o be used can not be uniformly determined because it varies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but may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polymerization rate. For example, when 2,2'-azobisisobutyronitrile or acetyl peroxide is used as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amount is preferably 0.01 to 0.2 mol%, more preferably 0.02 to 0.15 mol% based on the vinyl ester monomer.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suitably from room temperature to 150 ° C, preferably 40 ° C or more, and is not more than the boiling point of the solvent used.

비닐에스테르 단량체의 중합은,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서 실시해도 된다. 연쇄 이동제는, 예를 들어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 2-하이드록시에탄티올 등의 메르캅탄류 ; 포스핀산나트륨 일수화물 등의 포스핀산염류 등이다. 그 중에서도 알데히드류 및 케톤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연쇄 이동제의 연쇄 이동 계수 및 목적으로 하는 PVA 의 중합도에 따라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비닐에스테르 단량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 10 질량부가 바람직하다.The polymerization of the vinyl ester monomer may be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chain transfer agent. The chain transfer agent includes, for example, aldehydes such as acetaldehyde and propionaldehyde; Ketones such as acetone and methyl ethyl ketone; Mercaptans such as 2-hydroxyethanethiol; And phosphinic acid salts such as sodium phosphinate sodium monohydrate. Among them, aldehydes and ketones are preferably used. The amount of the chain transfer agent to be use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in transfer coefficient of the chain transfer agent to be used and the polymerization degree of the desired PVA, but is generally 0.1 to 1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vinyl ester monomer.

폴리비닐에스테르의 비누화는, 예를 들어 알코올 또는 함수 알코올에 당해 폴리비닐에스테르가 용해된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다. 비누화에 사용하는 알코올은,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이다. 비누화에 사용하는 알코올은, 예를 들어 그 질량의 40 질량% 이하의 비율로, 아세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벤젠 등의 다른 용매를 함유해도 된다. 비누화에 사용하는 촉매는, 예를 들어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나트륨메틸레이트 등의 알칼리 촉매, 광산 등의 산 촉매이다. 비누화를 실시하는 온도는 한정되지 않지만, 20 ∼ 60 ℃ 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비누화의 진행에 따라 겔상의 생성물이 석출되어 오는 경우에는, 생성물을 분쇄한 후, 세정, 건조시켜, PVA 를 얻을 수 있다. 비누화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The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ester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polyvinyl ester is dissolved in an alcohol or a hydrated alcohol. Alcohols used for saponification include, for example, lower alcohols such as methanol and ethanol, and preferably methanol. The alcohol used for saponification may contain other solvents such as aceton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nd benzene in a proportion of 40 mass% or less of the mass thereof. The catalyst used for the saponification is, for example, a hydroxide of an alkali metal such as potassium hydroxide or sodium hydroxide, an alkali catalyst such as sodium methylate, or an acid catalyst such as a mineral acid.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saponification is carried out is not limited,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60 占 폚. When a gel-like product precipitates in accordance with progress of saponification, the product is pulverized, washed and dried to obtain PVA. The saponif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ethod, but a known method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은, 상기 PVA 외에 가소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가소제로는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으며, 구체예로는,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가소제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연신성의 향상 효과의 면에서 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The PVA film use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plasticizer in addition to the PVA. Examples of suitable plasticizers include polyhydric alcohols.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ene glycol, glycerin, 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diglycerin,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and trimethylolpropane. In addition, these plasticizers may contain one or more of these plasticizers. Of these, glycerin is preferable in terms of improving the stretchability.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PVA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 20 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17 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15 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함유량이 1 질량부 이상임으로써 필름의 연신성이 보다 향상된다. 한편, 당해 함유량이 20 질량부 이하임으로써, 필름이 지나치게 유연해져 취급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in the PVA film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2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 to 17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PVA,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15 parts by mass. Since the content is 1 part by mass or more, the stretching property of the film is further impro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is 20 parts by mass or less, the film is excessively softened and deterioration in handling properties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에는, 추가로, 충전제, 구리 화합물 등의 가공 안정제, 내후성 안정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다른 열가소성 수지, 윤활제, 향료, 소포제, 소취제, 증량제, 박리제, 이형제, 보강제, 가교제, 곰팡이 방지제, 방부제, 결정화 속도 지연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The PVA film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dditives such as processing stabilizers such as fillers and copper compounds, weather stabilizers, colorants, ultraviolet absorbers, light stabilizers, antioxidants, antistatic agents, flame retardants, other thermoplastic resins, , An antifoaming agent, a deodorant, an extender, a stripping agent, a releasing agent, a reinforcing agent, a crosslinking agent, a fungicide, a preservative, and a crystallization rate retarder.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에 있어서의 PVA 및 가소제의 합계가 차지하는 비율은, PVA 필름의 질량에 기초하여, 8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proportion of the total of PVA and plasticizer in the PVA film use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80%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90% by mass or more based on the mass of the PVA film, And more preferably 95 mass% or more.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의 팽윤도는, 160 ∼ 24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70 ∼ 23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0 ∼ 220 % 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팽윤도가 160 % 이상임으로써 극도로 결정화가 진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고배율까지 연신할 수 있다. 한편, 팽윤도가 240 % 이하임으로써, 연신시의 용해가 억제되어, 보다 고온의 조건하에서도 연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film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60 to 240%,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70 to 230%, and particularly preferably in the range of 180 to 220% . When the swelling degree is 160% or more, the progress of crystallization can be suppressed to an extreme, and the stretching can be performed stably at a high magnific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gree of swelling is 240% or less, dissolution at the time of stretching is suppressed, and stretching can be performed even at a higher temperature.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1 ∼ 100 ㎛, 나아가서는 5 ∼ 60 ㎛, 특히 10 ∼ 45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1 축 연신 처리시에 연신 끊김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 당해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1 축 연신 처리시에 연신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The thickness of the PVA film to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to 100 탆, more preferably 5 to 60 탆, particularly preferably 10 to 45 탆. If the thickness is too small, stretching tends to occur easily in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is excessively large, unevenness in stretching tends to occur in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제조되는 편광 필름의 용도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최근, 액정 텔레비전이나 액정 모니터의 대화면화가 진행되고 있는 점에서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의 폭을 3 m 이상으로 하면, 이들 용도에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의 폭이 너무 지나치게 크면 실용화되어 있는 장치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1 축 연신을 균일하게 실시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쉬우므로,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의 폭은 7 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width of the PVA film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use of the polarizing film to be produced and the like. In recent years, when the width of the PVA film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film is set to 3 m or more in view of the ongoing enlargement of the liquid crystal television or the liquid crystal monitor, it is preferable for these applications.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dth of the PVA film use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is too large,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conduct the uniaxial stretching in the case of producing a polarizing film by a device that is put into practical use. The width of the PVA film is preferably 7 m or less.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막 후의 필름의 두께 및 폭이 보다 균일해지는 제조 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을 구성하는 상기한 PVA, 및 필요에 따라 추가로 상기한 가소제, 첨가제, 및 후술하는 계면 활성제 등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액체 매체 중에 용해된 제막 원액이나, PVA, 및 필요에 따라 추가로 가소제, 첨가제, 계면 활성제, 및 액체 매체 등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고, PVA 가 용융되어 있는 제막 원액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당해 제막 원액이 가소제, 첨가제, 및 계면 활성제 중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들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VA film to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production method in which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film after film formation become more uniform can be preferably employed. For example, PVA, PVA, and PVA which constitute the PVA fil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necessary, the aforementioned plasticizer, additive, and surfactant described later, dissolved in a liquid medium, If necessary, further containing one or more kinds of plasticizer, additive, surfactant, liquid medium and the like, and PVA is melted. When the stock solution for film formation contains at least one of a plasticizer, an additive and a surfactan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nents are uniformly mixed.

제막 원액의 조제에 사용되는 상기 액체 매체로는, 예를 들어, 물, 디메틸술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들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환경에 주는 부하나 회수성의 면에서 물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liquid medium us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film-forming stock solution include water, dimethylsulfoxide, dimethylformamide, dimethylacetamide, N-methylpyrrolidone, ethylene glycol, glycerin, 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trimethylolpropane, ethylenediamine, diethylenetriamine, and the like, and one or more of these may be used. Among them, water is preferred from the standpoint of environmental load and recoverability.

제막 원액의 휘발분율 (제막시에 휘발이나 증발에 의해 제거되는 액체 매체 등의 휘발성 성분의 제막 원액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 은, 제막 방법, 제막 조건 등에 따라서도 상이한데, 일반적으로는, 50 ∼ 95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 90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막 원액의 휘발분율이 50 질량% 이상임으로써, 제막 원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고, 제막 원액 조제시의 여과나 탈포가 원활하게 실시되어, 이물질이나 결점이 적은 필름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한편, 제막 원액의 휘발분율이 95 질량% 이하임으로써, 제막 원액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아, 공업적인 필름의 제조가 용이해진다.The volatile matter content of the stock film-forming solution (the content ratio of volatile components such as a liquid medium, which is removed by volatilization or evaporation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in the film-forming stock solution) varies depending on the film-forming method, By mass to 95% by mass, and more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55 to 90% by mass. By virtue of the volatile matter content of the stock film-forming solution being 50 mass% or more, the viscosity of the stock film-forming solution does not become excessively high, and filtration and defoaming at the time of preparation of the film-forming solution are smoothly carried out. 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atile fraction of the film-forming raw liquid is 95 mass% or less, the concentration of the film-forming stock solution is not excessively low and production of an industrial film is facilitated.

제막 원액은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제막성이 향상되어 필름의 두께 불균일의 발생이 억제됨과 함께, 제막에 사용하는 금속 롤이나 벨트로부터의 필름의 박리가 용이해진다.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제막 원액으로 PVA 필름을 제조한 경우에는, 당해 필름 중에는 계면 활성제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금속 롤이나 벨트로부터의 박리성의 관점 등에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ock solution contains a surfactant. By containing the surfactant, the film-forming property is improved, the occurrence of the thickness irregularity of the film is suppressed, and the film from the metal roll or the belt used for the film formation is easily peeled off. When a PVA film is produced from a film forming stock solution containing a surfactant, the film may contain a surfactant. The kind of the surfacta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n anionic surfactant or a nonionic surfactan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peelability from a metal roll or a belt.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라우르산칼륨 등의 카르복실산형 ;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염, 옥틸술페이트 등의 황산에스테르형 ;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등의 술폰산형 등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 carboxylic acid type such as potassium laurate; Sulfuric acid ester type such as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sulfate and octyl sulfate; Sulfonic acid type such as dodecylbenzenesulfonate and the like are preferable.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등의 알킬에테르형 ;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등의 알킬페닐에테르형 ; 폴리옥시에틸렌라우레이트 등의 알킬에스테르형 ;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미노에테르 등의 알킬아민형 ; 폴리옥시에틸렌라우르산아미드 등의 알킬아미드형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에테르 등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형 ;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올레산디에탄올아미드 등의 알칸올아미드형 ; 폴리옥시알킬렌알릴페닐에테르 등의 알릴페닐에테르형 등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nonionic surfactant include alkyl ether types such as polyoxyethylene oleyl ether and the like; Alkyl phenyl ether type such as polyoxyethylene octyl phenyl ether; Alkyl ester types such as polyoxyethylene laurate; Alkylamine type such as polyoxyethylene lauryl amino ether; Alkyl amide types such as polyoxyethylene lauric acid amide; Polypropylene glycol ether type such as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ether; Alkanolamide types such as diethanolamide laurate, and diethanolamide oleic acid; And allyl phenyl ether type such as polyoxyalkylene allyl phenyl ether.

이들 계면 활성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se surfactant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제막 원액이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제막 원액에 함유되는 PV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 ∼ 0.5 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 0.3 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 0.2 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함유량이 0.01 질량부 이상임으로써 제막성 및 박리성이 보다 향상된다. 한편, 당해 함유량이 0.5 질량부 이하임으로써, 계면 활성제가 PVA 필름의 표면에 블리드 아웃되어 블로킹이 발생하고, 취급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stock solution contains a surfactant, the content thereof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01 to 0.5 part by mass,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02 to 0.3 part by mass,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02 to 0.3 part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PVA contained in the stock solution To 0.2 parts by mass. When the content is 0.01 part by mass or more, the film forming property and the peeling property are further impro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is 0.5 parts by mass or less, it is possible to inhibit the surfactant from bleeding out on the surface of the PVA film to cause blocking and deterioration in handling properties.

상기한 제막 원액을 사용하여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을 제막할 때의 제막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캐스트 제막법, 압출 제막법, 습식 제막법, 겔 제막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막 방법은 1 종만을 채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채용해도 된다. 이들 제막 방법 중에서도 캐스트 제막법, 압출 제막법이, 두께 및 폭이 균일하고 물성이 양호한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막된 PVA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건조나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Examples of a film forming method for forming a PVA film to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a polarizing film using the above-mentioned film forming stock solution include a cast film forming method, an extrusion film forming method, a wet film forming method, and a gel film forming method . These film-forming method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se film forming methods, the cast film forming method and the extrusion film forming method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PVA film to be use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having uniform thickness and width and good physical properties. The PVA film thus formed can be dried or heat-treated as required.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의 예로는, 예를 들어, T 형 슬릿 다이, 호퍼 플레이트, I-다이, 립 코터 다이 등을 사용하여, 상기 제막 원액을 최상류측에 위치하는 회전하는 가열된 제 1 롤 (혹은 벨트) 의 둘레면 상에 균일하게 토출 또는 유연하고, 이 제 1 롤 (혹은 벨트) 의 둘레면 상에 토출 또는 유연된 막의 일방의 면으로부터 휘발성 성분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고, 계속해서 그 하류측에 배치된 1 개 또는 복수 개의 회전하는 가열된 롤의 둘레면 상에서 추가로 건조시키거나, 또는 열풍 건조 장치 안을 통과시켜 추가로 건조시킨 후, 권취 장치에 의해 권취하는 방법을 공업적으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가열된 롤에 의한 건조와 열풍 건조 장치에 의한 건조는,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Examples of a specific method for producing the PVA film to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method of producing the PVA film by using the T-shaped slit die, hopper plate, I-die, lip coater die, (Or belt)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 (or belt), and the volatile component And then further dri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or a plurality of rotating heated rolls arranged on the downstream side thereof or further dried in a hot air dryer to be dried, It is industrially preferable to employ a method of winding by the above method. The drying by the heated roll and the drying by the hot air drying apparatus may be carried out in appropriate combination.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염색 처리, 및 그 필름을 1 축 연신하는 연신 처리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그 필름을 붕소 함유 화합물 (B) 의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처리를 갖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PVA 필름에 대하여, 염색 처리, 1 축 연신 처리, 및 필요에 따라 추가로 팽윤 처리, 붕산 가교 처리, 고정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열처리 등을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팽윤 처리, 염색 처리, 붕산 가교 처리, 1 축 연신 처리, 고정 처리 등의 각 처리의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1 개 또는 2 개 이상의 처리를 동시에 실시할 수도 있다. 또, 각 처리의 1 개 또는 2 개 이상을 2 회 또는 그 이상 실시할 수도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 preferred production method is a production method of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a dyeing treatment for staining a polyvinyl alcohol film with a dichroic dye and a stretching treatment for uniaxially stretching the film, And then immersing the film in an aqueous solution. The PVA film use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jected to a dyeing treatment, a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and, if necessary, further swelling treatment, boric acid crosslinking treatment, fixing treatment, cleaning treatment, drying treatment, Method. In this case, the order of each treatment such as swelling treatment, dyeing treatment, boric acid crosslinking treatment,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and fixing treat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one or two or more treatments may be simultaneously carried out. In addition, one or two or more of the treatments may be performed twice or more.

팽윤 처리는, PVA 필름을 물에 침지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물에 침지시킬 때의 물의 온도로는, 20 ∼ 4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2 ∼ 38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 35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물에 침지시키는 시간으로는, 예를 들어, 0.1 ∼ 5 분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 3 분간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물에 침지시킬 때의 물은 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성분이 용해된 수용액이어도 되고, 물과 수성 매체의 혼합물이어도 된다.The swelling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by immersing the PVA film in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when immersed in wat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40 캜,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2 to 38 캜, stil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5 to 35 캜. The time for immersing in water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for example, 0.1 to 5 minutes, and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2 to 3 minutes. Further, the water to be immersed in water is not limited to pure water, and may be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dissolved, or a mixture of water and an aqueous medium.

염색 처리는, PVA 필름에 대하여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는 요오드계 색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염색 처리의 시기로는, 1 축 연신 처리 전, 1 축 연신 처리시, 1 축 연신 처리 후의 어느 단계여도 된다. 염색 처리는 PVA 필름을 염색욕으로서 요오드-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용액 (특히 수용액)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염색욕에 있어서의 요오드의 농도는 0.01 ∼ 0.5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요오드화칼륨의 농도는 0.01 ∼ 10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염색욕의 온도는 20 ∼ 50 ℃, 특히 25 ∼ 4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염색 시간은 0.2 분 내지 5 분이다.The dyeing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by bringing a dichroic dye into contact with the PVA film. As the dichroic dye, an iodine dye is generally used. The dye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at any stage before uniaxial stretching, uniaxial stretching, or uniaxial stretching. The dyeing treatment is generally carried out by immersing the PVA film in a solution (particularly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potassium iodide as a dyeing bath. The concentration of iodine in the dyeing bath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1 to 0.5 mass%, and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1 to 10 mass%. The temperature of the dyeing bath is preferably 20 to 50 캜, particularly 25 to 40 캜. The preferred dyeing time is 0.2 to 5 minutes.

PVA 필름에 대하여 붕산 가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고온에서 습식 연신할 때에 PVA 가 물에 용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붕산 가교 처리는 1 축 연신 처리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산 가교 처리는, 붕산 가교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PVA 필름을 침지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당해 붕산 가교제로는, 붕산, 붕사 등의 붕산염 등의 붕소 함유 무기 화합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붕산 가교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있어서의 붕산 가교제의 농도는 1 ∼ 15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7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붕산 가교제의 농도가 1 ∼ 15 질량% 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충분한 연신성을 유지할 수 있다. 붕산 가교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 등의 보조제를 함유해도 된다. 붕산 가교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온도는, 20 ∼ 50 ℃ 의 범위 내, 특히 25 ∼ 40 ℃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온도를 20 ∼ 50 ℃ 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붕산 가교시킬 수 있다.By carrying out a boric acid crosslinking treatment on the PVA film,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PVA from being eluted into water upon wet stretching at a high temperatur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boric acid cross-linking treatment is preferably carried out before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The boric acid crosslinking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by immersing the PVA film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boric acid crosslinking agent. As the boric acid crosslinking agent, boron-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such as boric acid, borax, and other boron-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may be used. The concentration of the boric acid crosslinking agent i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boric acid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15 mas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 to 7 mass%. The concentration of the boric acid crosslinking agent is in the range of 1 to 15 mass%, so that sufficient stretchability can be maintained.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boric acid crosslinking agent may contain an auxiliary agent such as potassium iodide.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boric acid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50 캜, particularly in the range of 25 to 40 캜. By setting the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20 to 50 占 폚, boric acid crosslinking can be efficiently carried out.

1 축 연신 처리는, 습식 연신법 또는 건식 연신법 중 어느 쪽으로 실시해도 된다. 습식 연신법의 경우에는, 붕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실시할 수도 있고, 상기한 염색욕 중이나 후술하는 고정 처리욕 중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또 건식 연신법의 경우에는, 실온인 채로 1 축 연신 처리를 실시해도 되고, 가열하면서 1 축 연신 처리를 실시해도 되고, 흡수 후의 PVA 필름을 사용하여 공기 중에서 1 축 연신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습식 연신법이 바람직하고, 붕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1 축 연신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붕산 수용액 중에 있어서의 붕산의 농도는 0.5 ∼ 6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5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붕산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해도 되고, 그 농도는 0.01 ∼ 10 질량%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축 연신 처리에 있어서의 연신 온도는, 30 ∼ 9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8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70 ℃ 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1 축 연신 처리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 (원료인 PVA 필름으로부터의 전체 연신 배율) 은,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편광 성능의 면에서 5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연신 배율은 8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by a wet stretching method or a dry stretching method. In the case of the wet stretching method, it may be carried out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or in a fixed bath described later or in a dyeing bath described later. In the case of the dry stretching method, the film may be subjected to a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at room temperature, a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while heating, or a monoaxial stretching treatment in air using the absorbed PVA film. Of these, the wet stretching method is preferable,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perform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The concentration of boric acid in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5 to 6 mass%,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1 to 5 mass%. The boric acid aqueous solution may contain potassium iodide, and the concentration thereof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01 to 10 mass%. The stretching temperature in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90 占 폚,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 to 80 占 폚, and particularly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 to 70 占 폚.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factor (the total stretching magnification factor from the raw PVA film) in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s preferably 5 times or more, more preferably 5.5 times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the polarizing performance of the resulting polarizing film. The upper limit of the draw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draw ratio is preferably 8 times or less.

장척의 PVA 필름에 1 축 연신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1 축 연신 처리의 방향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장척 방향으로의 1 축 연신 처리나 횡 1 축 연신 처리나, 이른바 비스듬한 연신 처리를 채용할 수 있지만, 편광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이 얻어지는 점에서 장척 방향으로의 1 축 연신 처리가 바람직하다. 장척 방향으로의 1 축 연신 처리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롤을 구비하는 연신 장치를 사용하여, 각 롤 간의 주속을 변경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횡 1 축 연신 처리는 텐터형 연신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direction of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on the elongated PVA film.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and the transvers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so-called oblique stretching treatment are employed However, uniaxial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eferable in that a polarizing film excellent in polarization performance can be obtained.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carried out by changing the peripheral velocity between rolls by using a stretch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rolls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transvers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using a tenter type stretching machine.

편광 필름의 제조시에는, PVA 필름에 대한 이색성 색소 (요오드계 색소 등) 의 흡착을 강고하게 하기 위해 1 축 연신 처리 후에 고정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처리에 사용하는 고정 처리욕으로는, 바람직하게는 붕소 함유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고정 처리욕 중에 붕산, 요오드 화합물, 금속 화합물 등을 첨가해도 된다. 고정 처리욕의 온도는, 15 ∼ 60 ℃, 특히 25 ∼ 40 ℃ 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film,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fixing treatment after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n order to strengthen the adsorption of the dichroic dye (iodine-based dye, etc.) on the PVA film.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can be preferably used as the fixed treatment bath used for the fixing treatment. If necessary, boric acid, an iodine compound, a metal compound, and the like may be added to the fixed treatment bath. The temperature of the fixed treatment bath is preferably 15 to 60 ° C, particularly 25 to 40 ° C.

붕소 함유 화합물 (B) 는, 염색 처리, 붕산 가교 처리, 1 축 연신 처리, 고정 처리 중 어느 공정에서 편광 필름에 흡착시켜도 되는데, 고정 처리시에 흡착시키는 것이 1 축 연신 처리시의 절단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 붕소 함유 화합물 (B) 는 1 종류뿐만 아니라,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붕소 함유 화합물 (B) 의 수용액 농도는, 0.05 ∼ 15 질량% 가 바람직하고, 특히 0.1 질량% ∼ 10 질량% 가 바람직하다. 붕소 함유 화합물 (B) 의 수용액 농도가 0.05 질량% 보다 낮은 경우에는 흡착이 느려지는 경우가 있으며, 수용액 농도가 15 질량% 보다 높은 경우에는 편광 필름 표면에 붕소 함유 화합물 (B) 의 석출물이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 붕소 함유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수용액은 편광 성능 향상의 면에서 요오드화칼륨 등의 보조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처리욕의 온도는 10 ∼ 7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60 ℃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 ∼ 50 ℃ 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처리욕 중에서 붕소 함유 화합물 (B) 가 석출되는 경우가 있다. 또,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비교적 온화한 조건에서 공업적으로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곤란해진다.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may be adsorbed to the polarizing film in any of the dyeing treatment, the boric acid crosslinking treatment,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and the fixing treatment. The adsorption during the fixing treatment affects the cutting in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And is particularly preferable in that it does not give.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solution of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s preferably from 0.05 to 15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0.1 to 10 mass%. When the aqueous solution concentration of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s lower than 0.05 mass%, adsorption may be slowed. When the aqueous solution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15 mass%, precipitates of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There is a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contains an auxiliary agent such as potassium iodide in terms of improving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bath is preferably 10 to 70 캜, more preferably 20 to 60 캜,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0 to 50 캜. If the temperature is too low,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may precipitate in the treatment bath. On the other hand, if the temperature is too high, it becomes difficult to industrially easily produce under relatively mild conditions.

고정 처리시에 붕소 함유 화합물 (B) 를 편광 필름에 흡착시키는 경우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팽윤 처리, 붕산 가교 처리, 1 축 연신 처리, 고정 처리를 이 차례로 실시하는 것이다. 그 후, 추가로 필요에 따라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및 열처리에서 선택되는 1 개 이상의 처리를 이 차례로 실시해도 된다.A preferable production method when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s adsorbed to the polarizing film at the time of fixing treatment is to carry out the swelling treatment, the boric acid crosslinking treatment,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and the fixing treatment in this order. Thereafter, one or more treatments selected from the cleaning treatment, the drying treatment and the heat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in this order, if necessary.

세정 처리는, 물, 증류수, 순수 등에 필름을 침지시켜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편광 성능 향상의 면에서 세정 처리에 사용하는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물을 보조제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요오드화물의 농도는 0.5 ∼ 10 질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세정 처리에 있어서의 수용액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5 ∼ 50 ℃ 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4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40 ℃ 이다. 경제적인 관점에서 수용액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수용액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편광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The cleaning treatment is generally performed by immersing the film in water, distilled water, or pure wat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queous solution used for the washing treatment in the aspect of the improvement of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contains iodide such as potassium iodide as an auxiliary agent,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iodide is preferably 0.5 to 10% by mass.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in the cleaning treatment is generally 5 to 50 캜, preferably 10 to 45 캜, and more preferably 15 to 40 캜. From an economical point of view,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is excessively low,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is excessively high,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건조 처리의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 ∼ 150 ℃ 의 범위 내, 특히 50 ∼ 130 ℃ 의 범위 내의 온도에서 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 150 ℃ 의 범위 내의 온도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The conditions for the drying treatmen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the drying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30 to 150 ° C, particularly in the range of 50 to 130 ° C. It is easy to obtain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by drying at a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30 to 150 ° C.

건조 처리 후에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더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열처리란, 수분율이 5 % 이하인 건조 처리 후의 편광 필름을 추가로 가열하여, 편광 필름의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처리를 말한다. 열처리의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60 ℃ ∼ 150 ℃ 의 범위 내, 특히 70 ℃ ∼ 150 ℃ 의 범위 내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0 ℃ 보다 저온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면 열처리에 의한 치수 안정화 효과가 불충분하고, 150 ℃ 보다 고온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면, 편광 필름에 적변이 격심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By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after the drying treatment, a polarizing film having further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can be obtained. Here, the heat treatment refers to a treatment for further increasing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polarizing film by further heating the polarizing film after the drying treatment in which the water content is 5% or less. The conditions of the heat treatmen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within the range of 60 占 폚 to 150 占 폚, particularly 70 占 폚 to 150 占 폚. When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60 deg. C, the effect of stabilizing the dimension due to heat treatment is insufficient. When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150 deg.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 필름의 내습열 성능은, 고온 또한 고습도하에 있어서의 PVA-요오드 착물 유래의 색의 퇴색을 지표로 하여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 장의 편광 필름을 크로스 니콜에 중첩시켰을 때의 퇴색되기 전의 흡광도 C (610 ㎚) 에 대한, 퇴색된 후의 흡광도 D (610 ㎚) 의 백분율 (흡광도 잔존율) 로 평가할 수 있다. 60 ℃/90 %RH 에서 8 시간 퇴색시킨 후의 흡광도 잔존율은, 바람직하게는 22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이다.The anti-moisture heat performance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as described above can be evaluated with the discoloration of the color derived from the PVA-iodine complex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s an index. Concretely, it can be evaluated by the percentage (absorbance remaining ratio) of the absorbance D (610 nm) after fading to the absorbance C (610 nm) before the two polarizing films are superimposed on Cross Nicol. The absorbance remaining ratio after fading at 60 DEG C / 90% RH for 8 hours is preferably 22%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5% or more.

편광 필름은, 통상적으로 그 양면 또는 편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보호막을 첩합하여 편광판으로 하여 사용된다. 보호막으로는,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아세트산·부티르산셀룰로오스 (CAB)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등이 사용된다. 또, 첩합을 위한 접착제로는, PVA 계 접착제나 우레탄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PVA 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The polarizing film is usually used as a polarizing plate by adhering a protective film optically transparent and having mechanical strength on both sides or one side thereof. As the protective film, a cellulose triacetate (TAC) film, an acetic acid-butyric acid cellulose (CAB) film, an acrylic film, a polyester film and the like are used. As the adhesive for bonding, PVA adhesive, urethane adhesive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and among them, PVA adhesive is preferable.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판은, 아크릴계 등의 점착제를 코트한 후, 유리 기판에 첩합하여 LCD 의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동시에 위상차 필름이나 시야각 향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과 첩합해도 된다.The polarizing plate obtain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component of an LCD after being coated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ch as an acryl-based adhesive and then adhered to a glass substrate. At the same time, it may be laminated with a retardation film, a viewing angle improving film, a luminance improving film or the lik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채용된 각 측정 또는 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t all. Each measurement or evaluation method employ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s shown below.

[PVA 필름의 팽윤도][Swelling degree of PVA film]

PVA 필름을 5 ㎝ × 10 ㎝ 로 커팅하고, 30 ℃ 의 증류수 1000 ㎖ 에 30 분간 침지시켰다. 그 후, PVA 필름을 꺼내어, 여과지로 PVA 필름 표면의 수분을 닦아내고, 침지 후의 PVA 필름 질량 (질량 E) 을 측정하였다. 그 후, 105 ℃ 의 건조기에 PVA 필름을 넣어 16 시간 건조시킨 후, 건조 후의 PVA 필름 질량 (질량 F) 을 측정하였다. PVA 필름의 팽윤도는 하기 계산식 (5) 에 질량 E 와 질량 F 의 값을 대입하여 산출하였다.The PVA film was cut into 5 cm x 10 cm and immersed in 1000 ml of distilled water at 30 ° C for 30 minutes. Thereafter, the PVA film was taken out, the water on the surface of the PVA film was wiped off with a filter paper, and the mass of the PVA film after the immersion (mass E) was measured. Thereafter, the PVA film was put in a drier at 105 DEG C and dried for 16 hours, and then the mass (F) of the PVA film after drying was measured.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film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values of mass E and mass F into the following equation (5).

팽윤도 (%) = (질량 E/질량 F) × 100 (5)Swelling degree (%) = (mass E / mass F) x 100 (5)

[편광 필름의 광학 특성][Optical properties of polarizing film]

(1) 투과율 Ts 의 측정(1) Measurement of transmittance Ts

이하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 필름의 중앙부로부터,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으로 4 ㎝, 폭 방향으로 2 ㎝ 의 샘플을 2 장 채취하고, 적분구가 형성된 분광 광도계 (니혼 분광 주식회사 제조의「V7100」) 를 사용하여, JIS Z 8722 (물체색의 측정 방법) 에 준거하여, C 광원, 2°시야의 가시광 영역의 시감도 보정을 실시하고, 1 장의 샘플에 대해, 길이 방향에 대하여 +45°기울였을 경우의 광의 투과율과 -45°기울였을 경우의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그것들의 평균값 Ts1 (%) 을 구하였다. 다른 1 장의 샘플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45°기울였을 경우의 광의 투과율과 -45°기울였을 경우의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그것들의 평균값 Ts2 (%) 를 구하였다. 하기 계산식 (6) 에 의해 Ts1 과 Ts2 를 평균내어, 편광 필름의 투과율 Ts (%) 로 하였다.Two samples of 4 cm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2 cm in the width direction were collect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a spectrophotometer (manufactured by Nippon Spectroscope, V7100 "), the visual sensitivity of the C light source and the visible region of the 2 ° field of view was corrected in accordance with JIS Z 8722 (measurement of the object color), and the sample was tilted by + 45 °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ransmittance of light when the light was inclined at -45 [deg.] Were measured, and their average value Ts1 (%) was determined. In the same manner for the other one sample, the transmittance of light when tilted by + 45 ° and the transmittance of light when tilted by -45 ° were measured, and their average value Ts2 (%) was determined. Ts1 and Ts2 were averaged by the following equation (6) to obtain the transmittance Ts (%) of the polarizing film.

Ts = (Ts1 + Ts2)/2 (6)Ts = (Ts1 + Ts2) / 2 (6)

(2) 편광도 V 의 측정(2) Measurement of polarization degree V

상기 투과율 Ts 의 측정에서 사용한 2 장의 샘플에 대해, 그 연신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중첩시킨 경우의 광의 투과율 T⊥ (%) 와, 그 연신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중첩시킨 경우의 광의 투과율 T// (%) 를, 적분구가 형성된 분광 광도계 (니혼 분광 주식회사 제조의「V7100」) 를 사용하여, JIS Z 8722 (물체색의 측정 방법) 에 준거하여, C 광원, 2°시야의 가시광 영역의 시감도 보정을 실시하고 측정하였다. 측정한 T// (%) 와 T⊥ (%) 를 하기 계산식 (7) 에 대입하여, 편광도 V (%) 를 구하였다.The two samples used in the measurement of the transmittance Ts were measured for transmittance T // (%) of light in the case where the stretching directions we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ransmittance of light in the case of superimposing the stretching directions T // %) Was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V7100" manufactured by Nihon Spectroscope KK) equipped with an integrating sphere, according to JIS Z 8722 (measurement of object color), and the visual sensitivity of the C light source and the visible region of 2 ° field And measured. The polarization degree V (%) was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measured T // (%) and T ⊥ (%) into the following equation (7).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내습열 성능][Wet heat performance]

2 장의 편광 필름을 각각 금속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크로스 니콜에 중첩시키고, 초기 (0 시간) 의 흡광도 C (610 ㎚) 를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또한, 금속 프레임에 고정된 편광 필름을 60 ℃/90 %RH 의 분위기하에서 8 시간 정치 (靜置) 시킨 후, 크로스 니콜에 중첩시키고, 8 시간 후의 흡광도 D (610 ㎚) 를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흡광도 D/흡광도 C × 100 의 값을 잔존율 (%) 로 하고, PVA-요오드 착물 유래의 색의 퇴색의 지표로 하였다.Two polarizing films were each fixed to a metal frame, superimposed on Cross-Nicol, and absorbance C (610 nm) at the initial (0 hour) was measured with a spectrophotometer. Further, the polarizing film fixed to the metal frame was allowed to stand for 8 hours under an atmosphere of 60 deg. C / 90% RH, then superposed on Cross-Nicol, and the absorbance D (610 nm) after 8 hours was measured with a spectrophotometer . The value of the absorbance D / absorbance C x 100 was taken as the residual rate (%), which was used as an indicator of the color fading resulting from the PVA-iodine complex.

[폴리비닐알코올 (A) 100 질량부에 대한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의 측정][Measurement of boron element content derived from boron-containing compound (B)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polyvinyl alcohol (A)] [

23 ℃/50 %RH 에서 16 시간 조습 (調濕) 한 편광 필름을 중수 (重水) 로 0.005 질량% 가 되도록 용해시키고, 로터리 이배퍼레이터로 0.15 질량% 가 되도록 농축시킨 용액을 1H-NMR 의 측정 샘플로 하였다. 1H-NMR (니혼 전자 주식회사 제조의 JNM-AL400 : 400 ㎒) 측정은 80 ℃ 에서 실시하고, ALICE2 (니혼 전자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측정하여 얻어진 1H-NMR 차트에 대해, 베이스라인이 매끄러워지도록 위상을 조정한 후, 애버리지 포인트를 20 으로 설정하여 자동으로 베이스라인의 보정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측정 용매인 중수의 피크가 4.65 ppm 의 위치가 되도록, 레퍼런스로서 자동으로 설정하였다. 그 후, 도 1 과 같이 붕소 함유 화합물 (B) 에 함유되는 탄화수소기의 수소 피크를 적분하여, 그 피크 면적을 구하였다. 이 때, PVA 유래의 수소 피크와 중첩되고 있지 않은 붕소 함유 화합물 (B) 에 함유되는 탄화수소기의 수소 피크 면적을 모두 더한 것 (면적 G) 을 피크 면적의 기준으로 하고, 붕소 함유 화합물 (B) 의 해당하는 탄화수소기의 수소수와 면적 G 의 값이 동일해지도록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1.7 ppm ∼ 2.4 ppm 의 범위의 수소 피크를, PVA 의 메틸렌기 유래의 수소 피크와, PVA 의 메틸렌기 유래의 수소 피크와 중첩되고 있는 붕소 함유 화합물 (B) 에 함유되는 탄화수소기의 수소 피크의 합계로 간주하여 피크 면적 (면적 H) 을 구하였다. 그 후, PVA 유래의 메틸렌기의 수소 피크와 중첩되고 있는 붕소 함유 화합물 (B) 의 탄화수소기의 수소수를 면적 H 로부터 뺀 면적 I 를 산출하였다. 이들 방법으로 구한 값을 하기 계산식 (8) 에 대입하여 폴리비닐알코올 (A) 100 질량부에 대한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하기 계산식 (8) 의 X, Y 는 각각 PVA 의 피크와 중첩되고 있지 않은 붕소 함유 화합물 (B) 에 함유되는 탄화수소기의 수소수와, 붕소 함유 화합물 (B) 의 1 분자당의 붕소수이다. 또한, 계산식 (8) 은, 변성되지 않은 PVA 를 사용하였을 때에 사용되는 식으로서, 변성된 PVA 를 원료로서 사용할 때에는, 계산식 (8) 을 적절히 변형할 필요가 있다.A polarizing film conditioned at 23 ° C / 50% RH for 16 hours was dissolved in 0.005% by mass of water and concentrated to 0.15% by mass using a rotary evaporator. The solution was analyzed by 1 H-NMR And a measurement sample. 1 H-NMR (JNM-AL400: 400 MHz, manufactured by NOF Corporation) was carried out at 80 占 폚 and analyzed by ALICE2 (manufactured by Nihon Electronics Co., Ltd.) by the following method. For the 1 H-NMR chart obtained by measurement, the phase was adjusted so that the baseline became smooth, and then the baseline was automatically corrected by setting the average point to 20. Next, the reference was set automatically so that the peak of the heavy water as the measuring solvent would be at a position of 4.65 ppm. Thereafter, as shown in Fig. 1, the hydrogen peak of the hydrocarbon group contained in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was integrated to determine the peak area thereof. At this time, the peak area of the peak of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was determined by adding the hydrogen peak area derived from the PVA plus the hydrogen peak area of the hydrocarbon group contained in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s set so that the value of the area G and the number of the hydrogen atoms of the corresponding hydrocarbon groups are the same. Next, the hydrogen peak in the range of 1.7 ppm to 2.4 ppm is converted to the hydrogen peak of the hydrocarbon group contained in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superimposed on the hydrogen peak derived from the methylene group of PVA and the hydrogen peak derived from the methylene group of PVA And the peak area (area H) was obtained. Thereafter, an area I obtained by subtracting the hydrogen number of the hydrocarbon group of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superimposed on the hydrogen peak of the methylene group derived from PVA from the area H was calculated. The values obtained by these methods were substituted into the following equation (8) to calculate the boron element content from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vinyl alcohol (A). X and Y in the following formula (8) are the number of hydrocarbons in the hydrocarbon group contained in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not overlapping with the peak of the PVA and the number of boron per molecule in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 The equation (8) is a formula used when unmodified PVA is used, and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modify the equation (8) when using the modified PVA as a raw material.

폴리비닐알코올 (A) 100 질량부에 대한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 (질량부) = {(면적 G/X)/(면적 I/2)} × {(10.811 × Y)/44.0526} × 100 (8)(Parts by mass) = (area G / X) / (area I / 2)} (10.811 x Y) / (amount of boron contained in boron-containing compound (B))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polyvinyl alcohol 44.0526} x 100 (8)

10.811 은 붕소의 원자량, 44.0526 은 변성이 없는 PVA 의 반복 단위 1 몰당의 분자량이다. 또한, 도 1 의 1H-NMR 차트는 실시예 1 의 편광 필름을 측정한 것이며, 폴리비닐알코올 (A) 100 질량부에 대한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은 소수점 제 2 자리를 위로 올려 0.5 질량부가 되었다.10.811 is the atomic weight of boron, and 44.0526 is the molecular weight per mole of repeating unit of PVA without denaturation. The 1 H-NMR chart of FIG. 1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polarizing film of Example 1. The content of boron element derived from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vinyl alcohol (A) And then 0.5 mass part was added.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 (질량%) 의 산출][Calculation of the total boron element content (mass%) in the polarizing film]

23 ℃/50 %RH 에서 16 시간 조습한 편광 필름의 질량 (J (g)) 을 측정하고, 편광 필름이 0.005 질량% 가 되도록 증류수 20 ㎖ 에 용해시켰다. 편광 필름을 용해시킨 수용액을 측정 샘플로 하고, 그 질량 (K (g)) 을 측정하였다. 그 후, 시마즈 제작소 제조의 멀티형 ICP 발광 분석 장치 (ICP) 를 사용하여 측정 샘플의 붕소 농도 (L (ppm)) 를 측정하였다. 그 후, 하기 계산식 (9) 에 값을 대입하여 산출한 값을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 (질량%) 으로 하였다.The mass (J (g)) of the polarizing film that was humidified at 23 ° C / 50% RH for 16 hours was measured and dissolved in 20 ml of distilled water to make the polarizing film 0.005% by mass.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a polarizing film was dissolved was used as a measurement sample, and its mass (K (g)) was measured. Thereafter, the boron concentration (L (ppm)) of the measurement sample was measured using a multi-type ICP emission spectrometer (ICP)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Thereafter, the value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value in the following equation (9) was used as the content (mass%) of the total boron element in the polarizing film.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 (질량%)The content (% by mass) of the total boron element in the polarizing film

= [(L × 10-6 × K)/J] × 100 (9)= [(L x 10 -6 K) / J] x 100 (9)

[실시예 1][Example 1]

PVA (비누화도 99.9 몰%, 중합도 2400) 100 질량부, 가소제로서 글리세린 10 질량부, 및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0.1 질량부를 함유하고, PVA 의 함유율이 10 질량% 인 수용액을 제막 원액으로서 사용하여, 이것을 80 ℃ 의 금속 롤 상에서 건조시키고, 얻어진 필름을 열풍 건조기 중에서 120 ℃ 의 온도에서 10 분간 열처리를 함으로써 팽윤도를 200 % 로 조정하여, 두께가 30 ㎛ 인 PVA 필름을 제조하였다.100 parts by mass of PVA (saponification degree: 99.9 mol%, degree of polymerization: 2400), 10 parts by mass of glycerin as a plasticizer, and 0.1 part by mass of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sodium sulfate as a surfactant, and a PVA content of 10% The resultant film was dried on a metal roll at 80 캜, and the resulting film was heat-treated at 120 캜 for 10 minutes in a hot-air dryer to adjust the degree of swelling to 200% to prepare a PVA film having a thickness of 30 탆.

이렇게 하여 얻어진 PVA 필름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폭 5 ㎝ × 길이 5 ㎝ 의 범위를 1 축 연신할 수 있도록 폭 5 ㎝ × 길이 9 ㎝ 의 샘플을 커팅하였다. 이 샘플을 30 ℃ 의 순수에 30 초간 침지시키면서 1.1 배로 길이 방향으로 1 축 연신하여, 팽윤 처리하였다. 계속해서 요오드 0.04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 4.0 질량% 를 함유하는 수용액 (염색 처리욕) (온도 30 ℃) 에 60 초간 침지시키면서 2.2 배 (전체로 2.4 배) 로 길이 방향으로 1 축 연신하여 요오드를 흡착시켰다. 이어서, 붕산을 3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3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용액 (붕산 가교 처리욕) (온도 30 ℃) 에 침지시키면서 1.2 배 (전체로 2.7 배) 로 길이 방향으로 1 축 연신하였다. 추가로 붕산을 4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6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58 ℃ 의 수용액 (1 축 연신 처리욕) 에 침지시키면서, 전체로 6.0 배까지 길이 방향으로 1 축 연신하였다. 그 후, 1,4-부탄디보론산을 0.5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4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용액 (고정 처리욕) (온도 30 ℃) 에 100 초간 침지시켰다. 마지막으로 60 ℃ 에서 4 분간 건조시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건조 후의 2 장의 편광 필름을 각각 금속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크로스 니콜에 중첩시켰을 때의 흡광도 (610 ㎚) 는 3.9 가 되었다.A sample having a width of 5 cm and a length of 9 cm was cut from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VA film thus obtained so as to be uniaxially stretched in the range of 5 cm in width x 5 cm in length. This sample was uniaxially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factor of 1.1 times while being immersed in pure water at 30 DEG C for 30 seconds, and swelled. Subsequently, while being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dyeing treatment bath) (temperature 30 ° C) containing 0.04% by mass of iodine and 4.0% by mass of iodine for 60 seconds, the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2.2 times . Subsequently, while being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boric acid crosslinking treatment bath) (temperature 30 ° C) containing 3 mass% of boric acid and 3 mass% of potassium iodide, the composition was uniaxially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1.2 times (2.7 times as a whole) . And then uniaxially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 to 6.0 times as a whole while immersing it in an aqueous solution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bath) at 58 DEG C containing 4 mass% of boric acid and 6 mass% of potassium iodide. Thereafter, the substrate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fixed treatment bath) (temperature: 30 ° C) containing 1% by weight of 1,4-butane diboronic acid and 4%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for 100 seconds. Finally, the film was dried at 60 DEG C for 4 minutes to prepare a polarizing film. Two polarizing films after drying were each fixed on a metal frame, and the absorbance (610 nm) when they were superimposed on Cross-Nicol was 3.9.

얻어진 편광 필름의 1H-NMR 을 측정하여 해석한 결과, 1.0 ∼ 1.3 ppm 에 PVA 유래의 수소 피크와 중첩되지 않는 1,4-부탄디보론산의 수소 피크가 나타났기 때문에, 이 피크 면적 (면적 G) 을 4 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1.7 ∼ 2.4 ppm 의 범위에 피크가 나타나는 PVA 의 메틸렌기의 수소의 피크 면적 (면적 H) 을 산출하였다. PVA 의 메틸렌기의 수소 피크와 중첩되는 1,4-부탄디보론산의 수소 피크가 존재하였기 때문에, PVA 의 메틸렌기와 중첩되는 수소 피크에 해당하는, 1,4-부탄디보론산의 수소수 4 를 면적 H 로부터 빼서 면적 I 를 산출하였다. 이들 값을 계산식 (8) 에 대입한 결과, 폴리비닐알코올 (A) 100 질량부에 대한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함유량은 0.5 질량부가 되었다.As a result of 1 H-NMR analysis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hydrogen peaks of 1,4-butane diboronic acid not overlapping with hydrogen peaks derived from PVA appeared at 1.0 to 1.3 ppm, Was set to four. Next, the peak area (area H) of hydrogen of the methylene group of PVA in which the peak appears in the range of 1.7 to 2.4 ppm was calculated. Since there was a hydrogen peak of 1,4-butane diboronic acid overlapping with the hydrogen peak of the methylene group of PVA, the hydrogen number of 1,4-butane diboronic acid, which corresponds to the hydrogen peak overlapping with the methylene group of PVA, H and the area I was calculated. These values were substituted into the calculation formula (8). As a result, the boron content derived from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vinyl alcohol (A) was 0.5 parts by mass.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편광 필름 0.00099 g (질량 J) 을 20 ㎖ 의 증류수에 용해시켜, ICP 측정용의 측정 샘플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측정용 샘플의 질량을 측정한 결과, 질량은 20.03 g (질량 K) 이었다. 그 후, ICP 측정을 실시한 결과, 측정 샘플의 붕소 농도는 1.24 ppm (붕소 농도 L) 이었다. 이들 값을 계산식 (9) 에 대입한 결과, 편광 필름에 대한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은 2.5 질량% 가 되었다. 또, 얻어진 편광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한 방법에 의해 편광 필름의 광학 특성 및 내습열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 에 정리하여 나타낸다.Further, 0.00099 g (mass J) of the polarizing film prepared by the same method was dissolved in 20 ml of distilled water to prepare a measurement sample for ICP measurement. The mass of the sample for measurement was measured and found to be 20.03 g (mass K). Thereafter, as a result of ICP measurement, the boron concentration of the measurement sample was 1.24 ppm (boron concentration L). As a result of substituting these values into the equation (9), the content of the total boron element in the polarizing film was 2.5 mass%. Using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nd anti-wet heat performance of the polarizing film were evaluat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able 1 summarizes the above results.

또한, 실시예 2 ∼ 4 및 비교예 1 ∼ 3 에서는, 요오드 1 질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칼륨을 100 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용액 (염색 처리욕) (온도 30 ℃) 에 60 초간 침지시키면서 2.2 배 (전체로 2.4 배) 로 길이 방향으로 1 축 연신하여 요오드를 흡착시켰다. 이 때, 염색 처리욕의 요오드나 요오드화칼륨 농도는, 건조 후의 2 장의 편광 필름을 각각 금속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크로스 니콜에 중첩시켰을 때의 흡광도 (610 ㎚) 가 3.6 내지 4.2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In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hile immersing for 60 seconds in an aqueous solution (dyeing treatment bath) (temperature 30 ° C) containing potassium iodide in an amount of 100 parts by mass relative to 1 part by mass of iodine, 2.4 times as a whole) to uniaxially stre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dsorb iodine. 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s of iodine and potassium iodide in the dyeing treatment bath were adjusted so that the two polarizing films after drying were each fixed to the metal frame and the absorbance (610 nm) when they were superimposed on Cross-Nicol was 3.6 to 4.2.

[실시예 2][Example 2]

고정 처리욕에 1,3-프로판디보론산을 0.5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3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용액 (온도 3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해서 편광 필름을 제조하여, 각 측정 또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queous solution (temperature 30 ° C) containing 0.5% by mass of 1,3-propanediboronic acid and 3% by mass of potassium iodide was used in the fixed treatment bath , Each measurement or evaluation was carried ou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3][Example 3]

고정 처리욕에 페닐보론산을 1.0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2.0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용액 (온도 3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해서 편광 필름을 제조하여, 각 측정 또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queous solution (temperature: 30 ° C) containing 1.0% by mass of phenylboronic acid and 2.0% by mass of potassium iodide was used in the fixed treatment bath, .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4][Example 4]

고정 처리욕에 n-프로필보론산을 4.0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3.0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용액 (온도 3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해서 편광 필름을 제조하여, 각 측정 또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queous solution (temperature: 30 ° C) containing 4.0% by mass of n-propyl boronic acid and 3.0% by mass of potassium iodide was used in the fixed treatment bath, Measurement or evalu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고정 처리욕에 붕산을 2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3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용액 (온도 3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해서 편광 필름을 제조하여, 각 측정 또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queous solution (temperature: 30 占 폚) containing boric acid at 2 mass% and potassium iodide at a ratio of 3 mass%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고정 처리욕에 붕산을 1.0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3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용액 (온도 3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해서 편광 필름을 제조하여, 각 측정 또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queous solution (temperature: 30 ° C) containing 1.0% by mass of boric acid and 3% by mass of potassium iodide was used in the fixed treatment bath,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고정 처리욕에 붕산을 0.5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3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용액 (온도 3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해서 편광 필름을 제조하여, 각 측정 또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queous solution (temperature: 30 占 폚) containing boric acid at 0.5 mass% and potassium iodide at a ratio of 3 mass%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실시예 1 및 2 와 비교예 2 를 비교하면,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이 동등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 및 2 의 흡광도 잔존율이 비교예 2 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3 및 4 와 비교예 1 을 비교하면,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이 동등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3 및 4 의 흡광도 잔존율이 비교예 1 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규정을 만족하는 실시예 1 ∼ 4 의 편광 필름은 내습열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Comparing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 2, it can be seen that the absorbance remaining ratio in Examples 1 and 2 is higher than that in Comparative Example 2, although the content of all boron elements in the polarizing film is equal or less. Comparing Examples 3 and 4 with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the absorbance remaining ratio of Examples 3 and 4 is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although the content of all boron elements in the polarizing film is equal or less. From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olarizing films of Examples 1 to 4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cellent in anti-wet heat performance.

1 : 측정 용매인 중수 유래의 수소 피크
2 : PVA 의 메틸렌기 유래의 수소 피크
3 : PVA 의 메틸렌기 유래의 수소 피크
4 : PVA 유래의 수소 피크와 중첩되는, 붕소 함유 화합물 (B) 에 함유되는 탄화수소기 유래의 수소 피크
5 : PVA 유래의 수소 피크와 중첩되지 않는, 붕소 함유 화합물 (B) 에 함유되는 탄화수소기 유래의 수소 피크
1: Hydrogen peak derived from heavy water as a measurement solvent
2: Hydrogen peak derived from methylene group of PVA
3: Hydrogen peak derived from methylene group of PVA
4: Hydrogen peak derived from a hydrocarbon group contained in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superimposed on the hydrogen peak derived from PVA
5: Hydrogen peak derived from a hydrocarbon group contained in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not overlapping with the hydrogen peak derived from PVA

Claims (4)

폴리비닐알코올 (A) 와, 보론산기 및 물의 존재하에서 보론산기로 전화될 수 있는 붕소 함유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갖는 붕소 함유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편광 필름으로서, 편광 필름 중의 붕소 함유 화합물 (B) 유래의 붕소 원소 함유량이 폴리비닐알코올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 3 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B) hav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alcohol (A), a boronic acid group and a boron-containing group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boronic acid group in the presence of water, Wherein the content of the boron element derived from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in the film is 0.1 to 3 parts by mas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vinyl alcohol (A).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붕산을 함유하고, 편광 필름 중의 전체 붕소 원소 함유량이 0.2 ∼ 5 질량% 인 편광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boric acid, wherein the content of the total boron element in the polarizing film is 0.2 to 5 ma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붕소 함유 화합물 (B) 가 복수의 상기 관능기를 갖는 편광 필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has a plurality of the functional groups.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염색 처리, 및 그 필름을 1 축 연신하는 연신 처리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그 필름을 붕소 함유 화합물 (B) 의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처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A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a dyeing process for dyeing a polyvinyl alcohol film with a dichroic dye and a stretching process for uniaxially stretching the film, wherein the film i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of the boron-containing compound (B)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KR1020197002918A 2016-07-26 2017-07-25 Polarizing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3272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6373 2016-07-26
JP2016146373 2016-07-26
PCT/JP2017/026789 WO2018021274A1 (en) 2016-07-26 2017-07-25 Polarizing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989A true KR20190024989A (en) 2019-03-08
KR102327242B1 KR102327242B1 (en) 2021-11-16

Family

ID=6101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918A KR102327242B1 (en) 2016-07-26 2017-07-25 Polarizing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88673B2 (en)
KR (1) KR102327242B1 (en)
CN (1) CN109564313B (en)
TW (1) TWI733862B (en)
WO (1) WO201802127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64524B2 (en) * 2017-04-03 2021-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JP7284716B2 (en) * 2018-01-25 2023-05-31 株式会社クラレ Polarizing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00110373A (en) * 2018-01-25 2020-09-23 주식회사 쿠라레 Polarizing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202104418A (en) * 2019-05-09 2021-02-01 日商可樂麗股份有限公司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ing same
TW202108682A (en) 2019-06-27 2021-03-01 日商可樂麗股份有限公司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21020349A1 (en) * 2019-07-29 2021-02-04 株式会社クラレ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21138824A (en) * 2020-03-04 2021-09-16 株式会社クラレ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containing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KR20220149535A (en) 2020-03-13 2022-11-08 주식회사 쿠라레 Polarizing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7288526B2 (en) * 2021-11-16 2023-06-07 長春石油化學股▲分▼有限公司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FILM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5815A (en) 1993-02-09 1994-08-23 Kuraray Co Ltd Polarizing film and its production
JP2011257756A (en) 2010-06-10 2011-12-22 Dongwoo Fine-Chem Co Ltd Production method of polarizer
KR20140075154A (en) * 2012-12-11 2014-06-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Crosslinking agent for preparing a polarizer and method of preparing a polarizer using the same
KR20150052777A (en) * 2013-11-06 2015-05-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ocess for Preparing Polarizer
KR20160054229A (en) * 2014-11-06 2016-05-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ocess for Preparing Polariz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9375A (en) * 2007-09-12 2009-04-02 Sumitomo Chemical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CN102301260B (en) * 2009-01-30 2013-09-25 Lg化学株式会社 Outstandingly durable and heat-resistant polarising element, polarising plate and image-display device, and polarising-element production method
KR20150001276A (en) * 2013-06-27 2015-01-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Method for preparing polarizer and polarizer
JP6404036B2 (en) * 2014-03-05 2018-10-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WO2016056600A1 (en) * 2014-10-08 2016-04-14 株式会社クラレ Polarizing fil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5815A (en) 1993-02-09 1994-08-23 Kuraray Co Ltd Polarizing film and its production
JP2011257756A (en) 2010-06-10 2011-12-22 Dongwoo Fine-Chem Co Ltd Production method of polarizer
KR20140075154A (en) * 2012-12-11 2014-06-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Crosslinking agent for preparing a polarizer and method of preparing a polarizer using the same
KR20150052777A (en) * 2013-11-06 2015-05-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ocess for Preparing Polarizer
KR20160054229A (en) * 2014-11-06 2016-05-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ocess for Preparing Polar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64313A (en) 2019-04-02
JPWO2018021274A1 (en) 2019-04-11
TW201821507A (en) 2018-06-16
JP6788673B2 (en) 2020-11-25
KR102327242B1 (en) 2021-11-16
CN109564313B (en) 2022-04-01
WO2018021274A1 (en) 2018-02-01
TWI733862B (en)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4989A (en)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41922A (en) Vinyl-alcohol-based polymer film
KR102232980B1 (en) Master film for producing optical film
KR102161870B1 (en) Original film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JP2019015926A (en) Polarizatio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21070622A1 (en) Film for production of optical film,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and optical film
JP7284716B2 (en) Polarizing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858499B2 (en)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WO2022102185A1 (en) Film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JP7282042B2 (en) Polarizing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467101B1 (en) Film
JP7042583B2 (en) Raw film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using it
WO2022097336A1 (en) Film for producing optical film,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and optical film
WO2020226153A1 (en) Polaris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457853B1 (en) Film
JP2023056678A (en) Polyvinyl alcohol film, method of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stretched film and polarizing film
WO2023171710A1 (en) Poly(vinyl alcoho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