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150A - 대시포트 - Google Patents

대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150A
KR20190024150A KR1020170110852A KR20170110852A KR20190024150A KR 20190024150 A KR20190024150 A KR 20190024150A KR 1020170110852 A KR1020170110852 A KR 1020170110852A KR 20170110852 A KR20170110852 A KR 20170110852A KR 20190024150 A KR20190024150 A KR 20190024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chamber
fluid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남
김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7011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4150A/ko
Publication of KR20190024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83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characterised by giving a particular shape to the cylinder, e.g. co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의 스트로크에 따라 상이한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는 대시포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포트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피스톤; 및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시에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를 구성하는 유체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시포트{DASH POT}
본 발명은 대시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점성력을 이용하여 기계장치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대시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시포트는 실린더 내부의 챔버에 저장된 유체가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피스톤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통과할 때,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체의 점성을 이용하여 기계장치를 감속시키거나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대시포트는 피스톤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통해 감쇠력을 얻기 때문에 피스톤의 스트로크에 따른 감쇠력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시포트에 의해 감쇠력을 얻는 기계장치 중에서는 스트로크에 따라 감쇠력을 상이하게 얻는 것이 장치의 구동에 적합한 것들이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의한 오일 대시포트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7-067272호에 개시되어 있다.
JP 2017-06727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피스톤의 스트로크에 따라 상이한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는 대시포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수용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피스톤; 및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시에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를 구성하는 유체유로;를 포함하는 대시포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유로는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오목한 슬릿(Slit)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은 상기 피스톤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유체유로는 상기 구간별로 단면적이 상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밀한 감쇠력 조절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포트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시포트에 포함되는 실린더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대시포트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실린더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실린더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포트에 포함되는 실린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포트의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포트(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포트(100)는 실린더(110), 피스톤(120) 및 유체유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10)는 내부에 피스톤(120)이 삽입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실린더(110)의 내부공간에는 점성력을 가지는 유체가 충진될 수 있다. 일 예로, 실린더(110)의 내부에 충진되는 유체로는 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110)의 내부공간은 피스톤(120)에 의해 제1 챔버(111) 및 제2 챔버(112)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챔버(111) 및 제2 챔버(112)에는 유체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20)은 실린더(110)의 내부공간에 실린더(1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120)은 실린더(110)의 내부공간을 제1 챔버(111)와 제2 챔버(112)로 구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스톤(120)은 피스톤(120)과 실린더(110)의 내벽 사이로 유체의 유동이 불가하도록 외경이 실린더(110)의 내경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피스톤(120)에는 피스톤로드(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로드(140)는 피스톤(120)의 일측에 결합되며 실린더(110)의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실린더(110)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로드(140)는 제1 챔버(111)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피스톤로드(140)는 제1 챔버(111)에 배치되는 부분이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일정한 환봉 또는 각봉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피스톤로드(140)는 실린더(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가 감속대상물에 연결되어, 감속대상물의 이동에 의한 하중을 피스톤(120)에 전달하고 동시에, 제1 챔버(111) 및 제2 챔버(112)에 충진된 유체동압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력을 감속대상물에 전달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피스톤로드(140)는 접지개폐기 또는 단로기의 가동접촉자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포트(100)는 피스톤로드(140)에 연결되는 감속대상물이 접지개폐기 또는 단로기의 가동접촉자로 설정되어, 접지개폐기 또는 단로기의 개폐동작시 가동접촉자의 속력을 감속하고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체유로(150)는 실린더(110)의 내벽에 형성되며 피스톤(120)의 이동시에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유체유로(150)는 피스톤(120)이 실린더(1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경우 피스톤(120)의 진행방향 측에 존재하는 유체가 피스톤(120)을 지나도록 유동하여 피스톤(120)의 진행방향 측의 실린더(110) 내부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피스톤(120)의 진행을 허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유체유로(150)는 피스톤(120)의 이동시에 제1 챔버(111)와 제2 챔버(112) 간에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유체유로(150)는 피스톤(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유체유로(150)로 유동하는 유체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유체유로(150)는 피스톤(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선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유체유로(150)는 실린더(110)의 내벽에 오목한 슬릿(Slit)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체유로(150)가 실린더(110)의 내벽에 과도하게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면 유체유로(150)가 형성된 부분의 실린더(110) 몸체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실린더(110)의 강성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유체유로(150)의 충분한 넓이의 단면적을 확보하고 동시에, 실린더(110)의 소형화 및 실린더(11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유체유로(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10)의 내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유체유로(150)가 실린더(110)의 내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유체유로(150)가 피스톤(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피스톤(120)의 단면적에 유체의 압력이 편향되게 작용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 예로, 유체유로(150)는 피스톤(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유체유로(150)는 피스톤(120)에 가하는 유체의 압력이 피스톤(120)의 이동거리에 따라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포트(100)는 피스톤(120)의 스트로크에 따라 감쇠력이 상이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110)의 내부공간은 피스톤(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이때, 유체유로(150)는 상기 구간별로 단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유로(150)의 단면적은 피스톤(120)이 외부 하중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제1 챔버(111)에서 제2 챔버(112) 또는 제2 챔버(112)에서 제1 챔버(111)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결정하기 때문에, 단면적이 상이한 유체유로(150)를 피스톤(120)이 지나갈 때 유체유로(150)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피스톤(120)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이 달라지고, 결과적으로 대시포트(100)의 감쇠력이 피스톤(120)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10)의 내부공간은 피스톤(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제1 구간(S1), 제2 구간(S2) 및 제3 구간(S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간(S1)에 형성된 유체유로(150) 전체의 단면적과 제2 구간(S2)에 형성된 유체유로(150) 전체의 단면적과 제3 구간(S3)에 형성된 유체유로(150) 전체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구간별로 형성된 복수의 유체유로(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별로 서로 분리되어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구간에 형성되는 유체유로(150)는 끝단이 실린더(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위치 내지 서로 겹치는 위치까지 형성된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구간별로 형성된 복수의 유체유로(15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체 구간(S1 내지 S3)에 형성된 유체유로(150)가 구간별로 단면적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 예로서, 유체유로(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유체유로(150)가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감쇠력이 점차적으로 변경되는 동작특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포트(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대시포트(100)는 서로 다른 형태의 유체유로(150)를 가지는 내부실린더(110-3a,110-3b)를 교체하는 작업을 통해 감쇠력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대시포트(100)는 일단이 개방된 외부실린더(110-1), 외부실린더(110-1)의 개방된 일단에 탈착 가능한 커버(110-2) 그리고, 외부실린더(110-1)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부실린더(110-3a,110-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유로(150)는 내부실린더(110-3a,110-3b)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피스톤(120)은 내부실린더(110-3a,110-3b)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서로 다른 형태의 유체유로(150)가 형성된 내부실린더(110-3a,110-3b)를 교체함으로써 대시포트(100)의 성능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내부실린더(110-3a,110-3b)로는 제1 타입 내부실린더(110-3a)와 제2 타입 내부실린더(110-3b)가 있을 수 있으며, 제1 타입 내부실린더(110-3a)와 제2 타입 내부실린더(110-3b)에는 서로 다른 형태의 유체유로(150) 즉, 서로 다른 감쇠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유체유로(150)가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 타입 내부실린더(110-3a) 및 제2 타입 내부실린더(110-3b)를 선택적으로 외부실린더(110-1)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대시포트(100)는 감쇠력을 조절하기 위해 실린더(110)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내부실린더(110-3a,110-3b)만 교체함으로써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대시포트(100)의 성능 변경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시포트(1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적보상부(1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적보상부(160)는 피스톤(1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제2 챔버(112)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피스톤(120)의 이동에 따른 제1 챔버(111)의 체적변화량의 절댓값과 제2 챔버(112)의 체적변화량의 절댓값이 서로 동일하도록 제1 챔버(111)에서 피스톤로드(140)가 차지하는 부피의 변화량을 제2 챔버(112)에서 보상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챔버(111) 및 제2 챔버(112)의 체적은 유체가 차지하는 부피를 의미한다.
이러한 체적보상부(160)는 피스톤(120)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챔버(111)에서 피스톤로드(140)가 빠져나가는 부피만큼 제2 챔버(112)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고, 반대로 피스톤(120)이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챔버(111)에 피스톤로드(140)가 인입되는 부피만큼 제2 챔버(112)에서 빠져나갈 수 있다.
이러한 체적보상부(160)는 대시포트(100)의 댐핑동작 초기에 제1 챔버(111)에 피스톤로드(140)가 인입되어 제1 챔버(111)의 체적이 증가하는 양이 제2 챔버(112)의 체적이 감소하는 양보다 작아서 발생하는 반발력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체적보상부(160)는 피스톤(120)의 타측에 결합되며 실린더(11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실린더(110)의 타측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적보상부(160)는 제2 챔버(112)에 배치된다.
또한, 체적보상부(160)는 제2 챔버(112)에 배치되는 부분이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일정한 환봉 또는 각봉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체적보상부(160)는 제1 챔버(111)에 배치되는 부분의 단면적이 피스톤로드(140)의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체적보상부(160)는 제2 챔버(112)에 배치되는 부분이 피스톤로드(140)의 제1 챔버(111)에 배치되는 부분의 외형과 동일한 외형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적보상부(160)와 피스톤로드(140)는 피스톤(120)의 양측에 서로 대칭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적보상부(160)는 피스톤(120)의 변위에 따라 실린더(110)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만 피스톤로드(140)와 동일하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체적보상부(160)는 피스톤로드(14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스톤로드(140)와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체적보상부(160)는 실린더(110)의 타측으로 돌출된 단부에 감속대상물이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포트(100)는 피스톤로드(140)의 단부에 감속대상물이 연결될 수도 있고 반대방향에 있는 체적보상부(160)의 단부에 감속대상물이 연결될 수도 있으므로, 방향성이 배제되어 설치자유도가 향상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서, 체적보상부(160)는 피스톤(12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체적보상부(160)와 피스톤(120)의 결합방식에는 나사결합 및 억지끼움결합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적보상부(160)가 피스톤(120)에서 분리 가능한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포트(100)가 필요에 따라 체적보상부(160)를 제거하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시포트(100)의 기능이 다양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포트(100)는, 피스톤(120)의 양측에 동일한 부피변화량을 가지도록 구비된 피스톤로드(140)와 체적보상부(160)를 통해 양방향으로 댐핑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즉, 피스톤로드(140)가 전진할 때와 후퇴할 때 모두 댐핑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11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10)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제1 주입구(113) 및 제2 주입구(1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주입구(113) 및 제2 주입구(114)는 실린더(110)의 외부에서 제1 챔버(111) 및 제2 챔버(112)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경로를 구성하도록 실린더(110)의 몸체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입구(113)는 제1 챔버(111)에 연결되며, 제2 주입구(114)는 제2 챔버(112)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챔버(111) 및 제2 챔버(112)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주입구를 구비한 구조는 제1 챔버(111) 및 제2 챔버(112)를 빈 공간 없이 유체로 가득 채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달리, 제1 챔버(111) 및 제2 챔버(112) 중 어느 하나에만 주입구가 형성된 경우, 유체가 유입되는 챔버의 반대측 챔버에는 공기가 차있는 상태이고 직경이 작은 유체유로(150)가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제1 챔버(111) 및 제2 챔버(112) 모두에 유체를 완전히 채우기가 어렵다.
특히, 피스톤(120)의 피스톤로드(140) 측 면 또는 실린더(110)의 내벽에는 피스톤(120)의 스트로크(즉, 댐핑 스트로크)를 조절하기 위한 돌출구조물이 구비되고 피스톤(120)의 체적보상부(160)측에는 실린더(110)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므로, 피스톤(120)을 한 쪽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경우에도 필연적으로 피스톤(120)의 양측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실린더(110)에 하나의 주입구만 형성된 경우에는 제1 챔버(111) 및 제2 챔버(112)에 유체를 완전히 채우기 어려우며, 제1 챔버(111) 및 제2 챔버(112)에 유체가 완전히 채워졌는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포트(100)는 실린더(110)에 제1 챔버(111)에 연결된 제1 주입구(113) 및 제2 챔버(112)에 연결된 제2 주입구(114)를 구비함으로써, 제1 챔버(111) 및 제2 챔버(112) 각각에 유체를 완전히 채울 수 있으며, 유체의 완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주입구(113) 및 제2 주입구(114)는 마개부재(17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대시포트
110: 실린더 110-1: 외부실린더
110-2: 커버 110-3a: 제1 타입 내부실린더
110-3b: 제2 타입 내부실린더 111: 제1 챔버
112: 제2 챔버 113: 제1 주입구
114: 제2 주입구 120: 피스톤
140: 피스톤로드 150: 유체유로
160: 체적보상부 170: 마개부재
S1: 제1 구간 S2: 제2 구간
S3: 제3 구간

Claims (13)

  1. 내부에 유체가 수용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피스톤; 및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시에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를 구성하는 유체유로;
    를 포함하는 대시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로는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오목한 슬릿(Slit)형태로 형성된 대시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내부가 상기 피스톤에 의해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유체유로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시에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간에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를 구성하는 대시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로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대시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로는 상기 피스톤에 가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이 상기 피스톤의 이동거리에 따라 상이하도록 형성된 대시포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은 상기 피스톤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유체유로는 상기 구간별로 단면적이 상이한 형태로 형성된 대시포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별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유체유로가 상기 구간별로 서로 분리되어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대시포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별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유체유로가 서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된 대시포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로는 상기 실린더의 내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대시포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일단이 개방된 외부실린더;
    상기 외부실린더의 개방된 일단에 탈착 가능한 커버;
    상기 외부실린더의 내측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며, 내벽에 상기 유체유로가 형성된 내부실린더;를 포함하는 대시포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이 상기 피스톤에 의해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실린더의 일측을 관통하고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챔버에 배치되고, 감속대상물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피스톤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챔버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따른 상기 제1 챔버의 체적변화량의 절댓값과 상기 제2 챔버의 체적변화량의 절댓값이 서로 동일하도록 상기 제1 챔버에서 상기 피스톤로드가 차지하는 부피의 변화량을 상기 제2 챔버에서 보상하는 체적보상부;를 포함하는 대시포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보상부는 상기 실린더의 타측을 관통하고 상기 피스톤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바 형태로 구성된 대시포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보상부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외형과 동일한 외형을 가지는 대시포트.
KR1020170110852A 2017-08-31 2017-08-31 대시포트 KR20190024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852A KR20190024150A (ko) 2017-08-31 2017-08-31 대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852A KR20190024150A (ko) 2017-08-31 2017-08-31 대시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50A true KR20190024150A (ko) 2019-03-08

Family

ID=6580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852A KR20190024150A (ko) 2017-08-31 2017-08-31 대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41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67272A (ja) 2015-10-02 2017-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ベローズ式ダンパ、振動絶縁装置及びベローズ式ダンパの設計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67272A (ja) 2015-10-02 2017-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ベローズ式ダンパ、振動絶縁装置及びベローズ式ダンパの設計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015B1 (ko) 유압식 댐퍼용 밸브
US9347512B2 (en) Damping valve for shock absorber
US20070084687A1 (en) Vibration damper with adjustable damping force
US20080067019A1 (en) Magnetorheological damper
US20210054902A1 (en) Hydraulic damper
US20160356335A1 (en) Pressure damping device and elastic member
JP2012506523A (ja) 減衰装置
CN107850165B (zh) 用于机动车辆的振动阻尼器
JP7135006B2 (ja) 緩衝器のための電子的に制御される弁
US20210115998A1 (en) Hydraulic Vibration Damper Having a Rebound Stop and a Compression Stop
US20070080034A1 (en) Vibration damper with amplitude-selective damping force
JP5388289B2 (ja) 磁気粘性流体流動型制振装置
JP5751617B2 (ja) 磁気粘性流体流動型制振装置
CA2996155A1 (en) Double acting hydraulic pressure intensifier
KR20190024150A (ko) 대시포트
WO2019131138A1 (ja) バルブ及び緩衝器
JP4884790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CN108700155B (zh) 具有改进的活塞结构的减震器
US20210048083A1 (en) Improvements in dampers
JP5756310B2 (ja) 複筒型液圧緩衝器
JP4994051B2 (ja) 油圧制御装置
US20150034434A1 (en) Damping valve
KR20180136710A (ko) 대시포트
JP6808186B1 (ja) ガスシリンダ
KR20200094091A (ko) 제어 밸브 및 방향 전환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