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140A - 단지통합시스템. 그리고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지통합시스템. 그리고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140A
KR20190024140A KR1020170110828A KR20170110828A KR20190024140A KR 20190024140 A KR20190024140 A KR 20190024140A KR 1020170110828 A KR1020170110828 A KR 1020170110828A KR 20170110828 A KR20170110828 A KR 20170110828A KR 20190024140 A KR20190024140 A KR 20190024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information
home
comm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927B1 (ko
Inventor
하영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to KR102017011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9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5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using 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e.g.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TMN] or unifi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UNMA]
    • H04L41/0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58Access network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Abstract

단지통합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통합시스템은 복수개의 공용설비를 관리 및 제어하는 단지서버; 및 복수개의 댁내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며, 단지서버와 연동되어 공용설비의 제어를 요청하는 댁내단말을 포함하되,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단말과 공용설비가 연결된 경우, 단지서버는 공용설비 및 댁내단말 상호간에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각각에 대한 유동IP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로 저장하거나 갱신하고, 지정된 시간에 IP 정보를 공용설비 및 댁내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지통합시스템. 그리고 서비스 제공방법{Complex integra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지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인터넷, 무선 통신망 등을 비롯한 정보 통신망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첨단의 기술이 다수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 전용선의 설치 및 자동 보안 시스템 등 다양한 첨단 정보 기술을 채용하여 정보 통신 시스템을 갖춘 아파트들이 들어서고 있다. 이와 같은 아파트들은 사용자가 댁내에 설치된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조명 제어, 가스 제어, 창문 제어, 난방 제어 및 가전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외부인의 침입, 화재 발생, 외부인 침입, 구급 상황 발생 등을 감지하여 경비 용역 회사나 경비실 또는 관리실 등으로 알리는 보안 관리 시스템과도 연동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아파트나 주택들로 이루어지는 공동 주택 단지는 주거자들의 편의 및 안전을 위하여 주차관제, 출입 통제, 무인 택배,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디지털 영상 저장 장치 (DVR: Digital Video Recorder) 등의 공용설비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가정에 설치된 댁내단말과 공동 주택 단지에 설치된 각종 공용설비들을 연동시키기 위하여 각 공동 주택 단지별로 단지서버를 구축한다.
단지서버는 단지 내 공용설비의 종류, 각 가정에 설치된 댁내단말의 종류, 단지 정보 서비스의 종류, 연동 방법 등 각 공동 주택 단지별 특성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구축된다. 이에 따라서, 단지서버는 각 공동 주택 단지별로 따로 구축되어 구축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 아니라, 유지 보수에 있어서도 각 단지별로 서로 다른 시스템이 설치되어 일괄적인 오류 수정이나 기능 추가가 불가능하므로, 각 단지별로 각각 오류를 수정하고 기능을 추가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단지서버가 비정상 작동(예를 들어, 다운된경우)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단지별 상이하게 구축된 단지서버를 수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더러, 그 동안 댁내단말은 공용설비에 연결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출원번호 10-2012-0012959 공동주택단지에서의 최적 에너지 관리 및 에너지 설비 제어 연동 시스템.
본 발명은 단지 서버의 유지보수 및 기능 추가 등이 용이한 단지 통합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지 서버가 비정상 작동중인경우에도 댁내단말과 공용설비가 연결될 수 있는 단지통합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동 주택단지의 공용설비와 각 가정 내의 댁내장치를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공용설비를 관리 및 제어하는 단지서버; 및 복수개의 상기 댁내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단지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공용설비의 제어를 요청하는 댁내단말을 포함하되,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단말과 공용설비가 연결된 경우, 상기 단지서버는 공용설비 및 댁내단말 상호간에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각각에 대한 유동IP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고, 지정된 시간에 상기 IP 정보를 상기 공용설비 및 상기 댁내단말로 전송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공동 주택단지의 공용설비와 각 가정 내의 댁내장치를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공용설비를 관리 및 제어하는 단지서버; 및 복수개의 상기 댁내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단지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공용설비의 제어를 요청하는 댁내단말을 포함하되,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단말과 공용설비가 연결된 경우, 상기 단지서버는 상기 댁내단말 및 상기 공용설비의 유동IP정보를 상호간에 전송하고, 상기 댁내단말과 상기 공용설비 각각은 상호간에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수신되는 유동 IP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댁내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공용설비에 대한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단지서버로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이내에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단지서버가 비정상인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결정보에 상기 공용설비의 IP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공용설비의 IP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용설비로 직접 연결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용설비는,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지정된 댁내단말에 대한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단지서버로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이내에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단지서버가 비정상인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결정보에 상기 댁내단말의 IP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댁내단말의 IP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단말로 직접 연결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지서버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각 가정 내의 댁내단말과 연동된 단지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가정에 설치된 댁내장치 및 공동 주택 단지의 공용설비를 제어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1 댁내단말과 제1 공용설비가 연결된 경우, 상기 단지서버가 상기 제1 댁내단말과 상기 제1 공용설비가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각각에 대한 유동IP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지서버가 상기 연결정보를 상기 공용설비 및 상기 댁내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공용설비 및 상기 댁내단말은 수신된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c1) 상기 댁내단말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공용설비에 대한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단지서버로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이내에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단지서버가 비정상인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d1) 상기 댁내단말이 상기 연결정보에 상기 공용설비의 IP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공용설비의 IP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용설비로 직접 연결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2) 상기 공용설비가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지정된 댁내단말에 대한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단지서버로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이내에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단지서버가 비정상인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d2) 상기 공용설비가 상기 연결정보에 상기 댁내단말의 IP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댁내단말의 IP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단말로 직접 연결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지서버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 주택단지의 공용설비와 각 가정 내의 댁내장치를 제어하는 단지서버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공용설비를 관리 및 제어하는 공용설비 연동 컴포넌트; 및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단말과 공용설비가 연결된 경우, 상기 공용설비 및 상기 댁내단말 상호간에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각각에 대한 유동IP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고, 지정된 시간에 상기 IP정보를 상기 공용설비 및 상기 댁내단말로 전송하는 단지서버 서비스 컴포넌트;를 포함하되, 상기 댁내단말은 복수개의 상기 댁내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단지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공용설비의 제어를 요청하는, 단지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 주택단지의 공용설비와 각 가정 내의 댁내장치를 제어하는 단지서버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공용설비를 관리 및 제어하는 공용설비 연동 컴포넌트; 및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단말과 공용설비가 연결된 경우, 상기 댁내단말 및 상기 공용설비의 유동IP정보를 상호간에 전송하고, 상기 댁내단말과 상기 공용설비 각각은 상호간에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수신되는 유동 IP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는 단지서버 서비스 컴포넌트;를 포함하되, 상기 댁내단말은 복수개의 상기 댁내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단지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공용설비의 제어를 요청하는, 단지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지 서버의 유지보수 및 기능 추가 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지 서버가 비정상 작동중인경우에도 댁내단말과 공용설비가 연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서버와 댁내단말로 구성되는 단지 통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서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댁내단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른 단지 통합시스템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도 5는 단지서버(100)가 생성하는 연결정보의 일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지 통합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도 7은 단지서버(100)가 비정상 작동하거나 동작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댁내단말(120)이 공용설비에 연결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도 8은 단지서버(100)가 비정상 작동하거나 동작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지정된 이벤트가 공용설비(110)에 발생한 경우 공용설비(110)가 지정된 댁내단말(120)에 연결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서버와 댁내단말로 구성되는 단지 통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 통합 시스템은 단지서버(100), 복수개의 공용설비(110), 복수개의 댁내단말(120) 및 복수개의 댁내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지서버(100)는 복수개의 공용설비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지서버(100)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로서,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에 단지 특성별로 상이하게 단지서버가 구축되어 관리 및 보수에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라 단지서버(100)가 클라우드 서버로 구축되는 경우, 일괄 오류 수정이나 기능 추가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단지서버(100)의 내부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 도 2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댁내단말(120)은 복수개의 댁내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며, 단지서버와 연동되어 공용설비(110)의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댁내단말(120)은 복수개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댁내망에 연결된 각종 댁내장치(13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댁내단말(120)은 단지서버(100)와 연결되어, 단지서버(100)에 설치된 컴포넌트를 통해 공용설비(110)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댁내단말(120)은 홈 오토메이션, 홈 서버, 월 패드, 웹 패드 및 홈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댁내단말(120)의 내부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서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지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버로 구비될수 있으며, 단지서버 프레임 워크(102), 다수의 단지서버 서비스 컴포넌트(104), 공용설비 연동 컴포넌트(106) 및 댁내단말 연동 컴포넌트(108)를 포함할 수 있다.
단지서버 프레임 워크(102)는 필요시 외부장치로부터 단지서버(100)를 구성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다운로드하며, 각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구성이다.
단지서버 서비스 컴포넌트(104)는 공용설비 연동 컴포넌트(106) 및 댁내단말 연동 컴포넌트(108)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단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또한, 단지서버 서비스 컴포넌트(104)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단말과 공용설비가 연결된 경우, 공용설비 및 댁대 단말 상호간에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각각에 대한 유동 IP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지서버 서비스 컴포넌트(104)는 후술하는 공용설비 연동 컴포넌트(106) 및 댁내단말 연동 컴포넌트(108)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지정된 시기에 연결정보를 공용설비 및 댁내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추후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단지서버 서비스 컴포넌트(104)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단말과 공용설비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연결되는 상호장비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댁내단말(120)과 공용설비(110)는 상호간에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각각에 대한 유동 IP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추후.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용설비 연동 컴포넌트(106)는 해당 단지 내의 연동하려는 공용설비(110)의 종류에 맞추어 구비되어 설치되며, 공용설비(110)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공용설비(11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댁내단말 연동 컴포넌트(108)는 댁내에 설치된 댁내단말(120)의 종류에 따라 미리 지정되어 구비되며, 댁내단말(120)과 연동해서 정보를 교환하고, 댁내단말(120)을 통해 사용자의 공용설비(110)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명령에 따른 공용설비(110) 제어 결과를 댁내단말(120)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지금까지 도 2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단지서버(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단지서버(100)의 내부구성은 도 2에 예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단지서버(100)의 내부 구성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한다면 그 내부 구성은 더 세분화되거나 통합되어 다양한 개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댁내단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댁내단말(120)은 댁내단말 프레임워크(122), 복수개의 단말 서비스 컴포넌트(124), 댁내망 접속 컴포넌트(126) 및 단지서버 연동 컴포넌트(128)를 포함할 수 있다.
댁내단말 프레임워크(122)는 필요시 미리 지정된 외부장치로부터 댁내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컴포넌트를 다운로드하고, 이를 실행하는 구성이다.
단말 서비스 컴포넌트(124)는 댁내망 접속 컴포넌트(126)나 단지서버 연동 컴포넌트(128)를 통해 댁내장치(130)나 단지서버(100)를 통해 연결된 공용설비(110)와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댁내 네트워크 서비스 및 단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또한 단말 서비스 컴포넌트(124)는 단지서버(100)가 전송하는 연결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갱신하고, 단지서버가 비정상인 경우 연결정보에 포함된 공용설비의 유동IP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요청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추후,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댁내망 접속 컴포넌트(126)는 가정 내에 위치한 다수의 댁내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단지서버 연동 컴포넌트(128)는 댁내단말(120)을 이용하여 해당 단지 내의 공용설비(110)를 제어하기 위한 단지서버(100)와 연동을 위한 컴포넌트이다. 즉, 사용자는 단지서버 연동 컴포넌트(128)를 통해 댁내단말(120)을 이용하여 단지 내의 공용설비(110)를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3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댁내단말(12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댁내단말(120)의 내부구성은 도 3에 예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댁내단말(120)의 내부 구성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한다면 그 내부 구성은 더 세분화되거나 통합되어 다양한 개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른 단지 통합시스템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단계 S402에서 댁내단말(12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공용설비(110)에 대한 연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단지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고, 단계 S404에서 단지서버(100)는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신호를 댁내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406에서 단지서버(100)는 수신한 연결요청신호를 해당하는 공용설비(110)로 전송하고, 공용설비는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한 후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단지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단지서버(100)는 단계S408 이후, 응답신호를 댁내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으나, 이는 선택적이므로 생략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단지서버(100)는 공용설비(110) 및 댁내단말(120) 상호간에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각각에 대한 유동 IP 정보 및 이벤트 정보등을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도 5는 단지서버(100)가 생성하는 연결정보의 일례로, 도 5를 참고하면 연결정보는 공용설비와 댁내단말이 연결된 일시정보, 공용설비 및 댁내단말의 유동 IP정보 및 이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예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공용설비 명칭, 댁내단말 명칭, 위치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단계 S412에서 댁내단말(120)에 사용자의 제어명령이 입력이 있는 경우, 단계 S414에서 댁내단말(120)은 제어명령을 단지서버(100)로 전송하고, 단계S418에서 단지서버(100)는 수신한 제어명령을 공용설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422에서 공용설비(110)는 수신한 제어명령을 수행하고, 단계 S424에서 결과 정보를 단지서버(100)로 전송하고, 단계 S428에서 단지서버(100)는 수신한 결과정보를 댁내단말(120)로 전송하여, 사용자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단지서버(100)는 미리 지정된 시간에 갱신된 연결정보를 공용설비(110) 및 댁내단말로 전송하여, 공용설비(110) 및 댁내단말(120)는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4를 참고하여, 단지서버(100)가 정상작동 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 통합 시스템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4에 예시된 순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일부 순서가 변경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각 요청신호를 송신 및 수신함에 있어서 응답 메시지는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410은 단계 S408이후라면 어느 단계에서도 위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지 통합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4와 중복된 설명은 제2 실시예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단계 S602에서 단지서버(100)가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한 이후, 단게S606에서 해당하는 공용설비로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할 때, 연결요청한 댁내단말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댁내단말 정보는 유동IP 정보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되, 선택적으로 댁내단말의 명칭, 위치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610에서 공용설비(110)는 연결된 댁내단말(120)대한 히스토리로서 댁내단말(120)에 대한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614에서 댁내단말(120)도 연결된 공용설비(110)에 대한 히스토리로서 공용설비(110)에 대한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단계S610 또는 단계S614에서 공용설비(110) 또는 댁내단말(120)에 저장되거나 갱신되는 연결정보는 도 5예 예시된 일 례일 수 있다.
단계 S614 이후는 도 4의 단계S412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지통합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지서버(100)가 비정상 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단말(120)과 공용설비(110)가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단지서버(100)가 비정상 작동하거나 동작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댁내단말(120)이 공용설비에 연결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단계S702 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댁내단말(120)로부터 특정 공용설비(110)에 대한 연결요청신호가 단지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단지서버(100)는 비정상 작동하거나 동작하지 아니하는 경우이므로, 단계S704에서 댁내단말(120)은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단계S706에서 단지서버(100)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708에서 댁내단말(120)은 최근에 해당하는 공용설비(110)에 연결된 히스토리가 있는 경우, 단계S710에서 연결정보에 포함된 공용설비(110)의 유동IP 정보를 이용하여, 공용설비에 직접 연결요청하고. 이어서 단계S714에서 해당하는 공용설비(110)와 댁내단말(12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지서버(100)가 비정상 작동하거나 동작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댁내단말(120)은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공용설비(110)에 연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단지서버(100)가 비정상 작동하거나 동작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지정된 이벤트가 공용설비(110)에 발생한 경우 공용설비(110)가 지정된 댁내단말(120)에 연결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공용설비(110)에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결과를 통보받을 수화자(listener)는 미리 지정될 수 있으며, 공용설비(11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단계S802에서 공용설비(110)에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계S804에서 연결요청신호를 단지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서버는 비정상작동 또는 작동하지 아니한 경우이므로, 단계S806에서 단지서버(100)는 지정된 시간이내에 지정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단게S808에서 단지서버(100) 비정상인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공용설비(110)가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댁내단말(120)로 직접 연결요청하는 것은 앞서 상술한 도 7의 S710 이후 단계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지서버(100)가 비정상 작동하거나 동작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공용설비(110)에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공용설비(110)는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댁내단말(120)에 연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단지서버 110 : 공용설비
120 : 댁내단말 130 : 댁내장치

Claims (11)

  1. 공동 주택단지의 공용설비와 각 가정 내의 댁내장치를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공용설비를 관리 및 제어하는 단지서버; 및
    복수개의 상기 댁내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단지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공용설비의 제어를 요청하는 댁내단말;
    을 포함하되,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단말과 공용설비가 연결된 경우, 상기 단지서버는 공용설비 및 댁내단말 상호간에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각각에 대한 유동IP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고, 지정된 시간에 상기 IP정보를 상기 공용설비 및 상기 댁내단말로 전송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
  2. 공동 주택단지의 공용설비와 각 가정 내의 댁내장치를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공용설비를 관리 및 제어하는 단지서버; 및
    복수개의 상기 댁내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단지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공용설비의 제어를 요청하는 댁내단말;
    을 포함하되,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단말과 공용설비가 연결된 경우, 상기 단지서버는 상기 댁내단말 및 상기 공용설비의 유동IP정보를 상호간에 전송하고, 상기 댁내단말과 상기 공용설비 각각은 상호간에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수신되는 유동 IP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공용설비에 대한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단지서버로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단지서버가 비정상인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결정보에 상기 공용설비의 IP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공용설비의 IP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용설비로 직접 연결 요청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설비는,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지정된 댁내단말에 대한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단지서버로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단지서버가 비정상인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결정보에 상기 댁내단말의 IP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댁내단말의 IP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단말로 직접 연결 요청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지서버는 클라우드 서버인, 단지 통합 시스템.
  6. 각 가정 내의 댁내단말과 연동된 단지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가정에 설치된 댁내장치 및 공동 주택 단지의 공용설비를 제어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1 댁내단말과 제1 공용설비가 연결된 경우, 상기 단지서버가 상기 제1 댁내단말과 상기 제1 공용설비가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각각에 대한 유동IP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지서버가 상기 연결정보를 상기 공용설비 및 상기 댁내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공용설비 및 상기 댁내단말은 수신된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c1) 상기 댁내단말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공용설비에 대한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단지서버로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이내에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단지서버가 비정상인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d1) 상기 댁내단말이 상기 연결정보에 상기 공용설비의 IP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공용설비의 IP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용설비로 직접 연결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c2) 상기 공용설비가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지정된 댁내단말에 대한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단지서버로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이내에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단지서버가 비정상인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d2) 상기 공용설비가 상기 연결정보에 상기 댁내단말의 IP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댁내단말의 IP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단말로 직접 연결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지 통합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지서버는 클라우드 서버인, 단지 통합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방법.
  10. 공동 주택단지의 공용설비와 각 가정 내의 댁내장치를 제어하는 단지서버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공용설비를 관리 및 제어하는 공용설비 연동 컴포넌트; 및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단말과 공용설비가 연결된 경우, 상기 공용설비 및 상기 댁내단말 상호간에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각각에 대한 유동IP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고, 지정된 시간에 상기 IP정보를 상기 공용설비 및 상기 댁내단말로 전송하는 단지서버 서비스 컴포넌트;
    를 포함하되,
    상기 댁내단말은 복수개의 상기 댁내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단지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공용설비의 제어를 요청하는, 단지서버.
  11. 공동 주택단지의 공용설비와 각 가정 내의 댁내장치를 제어하는 단지서버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공용설비를 관리 및 제어하는 공용설비 연동 컴포넌트; 및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댁내단말과 공용설비가 연결된 경우, 상기 댁내단말 및 상기 공용설비의 유동IP정보를 상호간에 전송하고, 상기 댁내단말과 상기 공용설비 각각은 상호간에 연결된 히스토리로서 수신되는 유동 IP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는 단지서버 서비스 컴포넌트;
    를 포함하되,
    상기 댁내단말은 복수개의 상기 댁내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단지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공용설비의 제어를 요청하는, 단지서버.
KR1020170110828A 2017-08-31 2017-08-31 단지통합시스템. 그리고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53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828A KR102353927B1 (ko) 2017-08-31 2017-08-31 단지통합시스템. 그리고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828A KR102353927B1 (ko) 2017-08-31 2017-08-31 단지통합시스템. 그리고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40A true KR20190024140A (ko) 2019-03-08
KR102353927B1 KR102353927B1 (ko) 2022-01-21

Family

ID=6580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828A KR102353927B1 (ko) 2017-08-31 2017-08-31 단지통합시스템. 그리고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9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303A (ko) * 2002-02-23 200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KR20080001146A (ko) * 2006-06-29 2008-01-03 주식회사 케이티 이중 원격 구성되는 단지 통합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20120012959A (ko) 2011-12-15 2012-02-13 주식회사 한비즈컨버전스 택시 안심이용 서비스 방법
KR20130069287A (ko) * 2011-12-16 2013-06-2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홈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303A (ko) * 2002-02-23 200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KR20080001146A (ko) * 2006-06-29 2008-01-03 주식회사 케이티 이중 원격 구성되는 단지 통합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20120012959A (ko) 2011-12-15 2012-02-13 주식회사 한비즈컨버전스 택시 안심이용 서비스 방법
KR20130069287A (ko) * 2011-12-16 2013-06-2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홈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927B1 (ko)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7642C1 (ru) ЭФФЕКТИВНЫЙ СЕТЕВОЙ УРОВЕНЬ ДЛЯ ПРОТОКОЛА IPv6
US8467885B2 (en) Networked electrical interface
JP3906801B2 (ja) 集合住宅用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US11557186B2 (en) Connection to legacy panel and self-configuration
JP4740106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2834818A (zh) 具有并行处理架构的集成安全系统
US20220376945A1 (en) Method for remotely configuring access to, controlling and monitoring at least one home automation device forming part of a home automation installation
CN1577342B (zh) 对网络对应机器的访问方法及其装置
US9774916B2 (en) Information concentrating center capable of making P2P connections with remote client devices
EP2493147B1 (en) Control system and pairing method for a control system
JP4158585B2 (ja) 遠隔機器監視制御システムの生存確認方法及び遠隔機器監視制御システム
US20130173696A1 (e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device information exchange protocol
KR20190024140A (ko) 단지통합시스템. 그리고 서비스 제공방법
US10554433B2 (en) Method for discovering the configuration of a home-automation facility
KR100355048B1 (ko) 전기기기 감시 및 제어 시스템
JP4395769B2 (ja) 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
KR20140080054A (ko) 이더넷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의 관리시스템
KR101210621B1 (ko) 이중 원격 구성되는 단지 통합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20220167406A (ko) 공동 주택 단지에서의 원앱 기반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JP2022017078A (ja) 情報端末、管理装置、サーバ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