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110A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110A
KR20190024110A KR1020170110762A KR20170110762A KR20190024110A KR 20190024110 A KR20190024110 A KR 20190024110A KR 1020170110762 A KR1020170110762 A KR 1020170110762A KR 20170110762 A KR20170110762 A KR 20170110762A KR 20190024110 A KR20190024110 A KR 20190024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cover
disposed
bobbin
corn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884B1 (ko
Inventor
이성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11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88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05670 priority patent/WO2018216955A1/ko
Priority to US16/615,599 priority patent/US11249277B2/en
Priority to CN202211054391.6A priority patent/CN115373192A/zh
Priority to CN201880033732.7A priority patent/CN110663000B/zh
Priority to EP18805222.9A priority patent/EP3633447B1/en
Priority to EP23180574.8A priority patent/EP4236338A3/en
Publication of KR20190024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110A/ko
Priority to US17/644,040 priority patent/US11768347B2/en
Priority to KR1020220069171A priority patent/KR102570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884B1/ko
Priority to US18/359,591 priority patent/US20230367100A1/en
Priority to KR1020230108512A priority patent/KR20230128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Abstract

본 실시예는 커버; 상기 커버의 안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연결된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제2측판과 연결된 제3측판과, 상기 제3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연결된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측부와, 상기 커버의 상기 제2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측부와, 상기 커버의 상기 제4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코일의 외측면은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의 내측면과 대향하고,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긴 렌즈 구동 장치와 카메라 모듈과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각종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스마트 기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있다.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스마트 기기를 "광학 기기"라 한다. 최근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하는 "렌즈 구동 장치"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이 등장하고 있다.
한편, 수요자의 요구에 의해, 광학 기기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점점 넓어지고 있다.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넓이는 광학 기기의 베젤 사이즈를 축소할수록 넓어질 수 있다. 광학 기기의 베젤 사이즈를 축소하기 위해서는 커버 글라스를 프레임의 가장자리로 이동시켜야 한다.
커버 글라스는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는 글라스로, 커버 글라스의 중심은 카메라 모듈의 광축 상에 위치한다.
만약, 카메라 모듈 내에서 렌즈 모듈의 광축을 프레임의 가장자리로 이동(시프트, shift)시킬 수 있다면, 동일 사이즈의 카메라 모듈과 비교하여 커버 글라스를 좀 더 프레임의 가장자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광학 기기의 베젤 사이즈가 축소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넓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렌즈 모듈의 광축을 중심에서 이동(시프트, shift)시켜 광학 기기의 베젤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광학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안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연결된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제2측판과 연결된 제3측판과, 상기 제3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연결된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측부와, 상기 커버의 상기 제2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측부와, 상기 커버의 상기 제4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코일의 외측면은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의 내측면과 대향하고,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2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와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4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는 동일하고,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2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짧고,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2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보빈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 사이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1코너부, 상기 제2측판과 상기 제3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2코너부, 상기 제3측판과 상기 제4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3코너부, 상기 제4측판과 상기 제1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4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1코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1코너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2코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2코너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3코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3코너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4코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4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2코너부와 상기 제2-3코너부를 연결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제2-2코너부의 하부와 상기 제2-3코너부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제2-2코너부와 상기 제2-3코너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리브부와, 상기 제2-2코너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2-3코너부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2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리브부는 상기 제1리브부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1리브부와 상기 제2리브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부와 상기 제2리브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2측부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3측부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사각 형태이고, 상하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과, 상기 제3측판과, 상기 제4측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제1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와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제3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의 차이는 0.15mm 이상 0.8mm 이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 구동 장치; 상기 렌즈 구동 장치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아래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렌즈 모듈의 광축 상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안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연결된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제2측판과 연결된 제3측판과, 상기 제3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연결된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측부와, 상기 커버의 상기 제2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측부와, 상기 커버의 상기 제4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코일의 외측면은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의 내측면과 대향하고,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이 외장 부재인 커버의 중심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프트, shift)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보빈의 홀에 장착되는 렌즈 모듈의 광축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프트, shift)되어 배치된다. 그 결과, 광학 기기의 베젤 사이즈를 줄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넓힐 수 있다.
도 1은 광학 기기의 베젤 사이즈 축소 방안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를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를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변형례의 렌즈 구동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의 보빈과, 제1탄성 부재와, 제2탄성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의 "광축"과 제1측판 사이의 거리, "광축"과 제2측판 사이의 거리, "광축"과 제3측판 사이의 거리, "광축"과 제4측판 사이의 거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은 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된 상태의 렌즈 모듈의 광축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및 수직 방향과 혼용될 수 있다. 또, "광축"은 "커버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고,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은,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외장 부재인 프레임과,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디스플레이 패널)와,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디스플레이 패널)와 이격된 커버 글라스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화각(FOV, Filed Of View)이 커버 글라스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고, 디스플레이부(디스플레이 패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 구동 장치(1000), 렌즈 모듈,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 기판(미도시), 이미지 센서(미도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00)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렌즈 모듈은 렌즈 및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렌즈 모듈의 일 구성이 렌즈 배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렌즈 모듈은 렌즈 구동 장치(1000)에 결합되어 렌즈 구동 장치(10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일례로서 렌즈 구동 장치(100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일례로서 렌즈 구동 장치(100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일례로서 렌즈 구동 장치(1000)와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일례로서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베이스(800)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홀더 부재(미도시)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적외선 필터는 베이스(8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일례로서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일례로서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와 같은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은 렌즈 구동 장치(1000)를 지지할 수 있다. 기판에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일례로서, 기판의 상면 내측에는 이미지 센서가 위치하고, 기판의 상면 외측에는 센서홀더(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센서홀더의 상측에는 렌즈 구동 장치(1000)가 위치할 있다. 또는, 기판의 상면 외측에 렌즈 구동 장치(1000)가 위치하고, 기판의 상면 내측에 이미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렌즈 구동 장치(1000)의 내측에 수용된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이 기판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기판은 렌즈 구동 장치(10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기판에는 렌즈 구동 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조사되는 광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된 영상은 기판을 통해 광학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일례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는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 구동 장치(100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는 렌즈 구동 장치(1000)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렌즈 구동 장치(1000)를 이루는 구성 각각에 대하여 공급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진폭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 구동 장치(1000)를 제어하여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렌즈 구동 장치(1000)를 제어하여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1000)"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를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를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변형례의 렌즈 구동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의 보빈과, 상측 탄성 부재와, 하측 탄성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의 "광축"과 제1측판 사이의 거리, "광축"과 제2측판 사이의 거리, "광축"과 제3측판 사이의 거리, "광축"과 제4측판 사이의 거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일반적인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커버의 중심에 보빈이 배치된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1000)에서는 커버(100)에 대해서 보빈(400)이 수평 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프트, shift)되어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커버(100)는 외장 부재로서, 이에 의해 렌즈 구동 장치(1000)와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가 결정된다.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1000)에서는 커버(100)의 사이즈는 유지하되, 렌즈 모듈이 장착되는 보빈(400)을 수평 방향 일측으로 이동하여 배치함으로써, "광축"이 수평 방향 일측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1000) 및 카메라 모듈은 동일 사이즈의 일반적인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과 비교하여, 광학 기기에 장착시 커버 글라스를 광학 기기의 프레임의 가장자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광학 기기의 베젤(bazel)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를 넓힐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1000)는 커버(100), 하우징(200), 제1구동부(300), 보빈(400), 제2구동부(500), 제1탄성 부재(600), 제2탄성 부재(700) 및 베이스(8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300)는 전자기적 설계 조건에 따라 "마그네트" 또는 "코일"일 수 있다. 제2구동부(500)는 전자기적 설계 조건에 따라 "마그네트" 또는 "코일"일 수 있다. 제1구동부(300)가 "마그네트"이면, 제2구동부(500)는 "코일"일 수 있다. 제1구동부(300)가 "코일"이면, 제2구동부(500)가 "마그네트"일 수 있다. 따라서 2가지 경우가 존재하지만, 이하, 제1구동부(300)가 "마그네트(300)"이고, 제2구동부(500)가 "코일(500)"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다른 경우에는 제1구동부(300)가 "마그네트(300)"이고, 제2구동부(500)가 "코일(500)"인 경우가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커버(100)는 렌즈 구동 장치(1000)의 외장 부재일 수 있다. 커버(100)에 의해 렌즈 구동 장치(1000) 및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가 결정될 수 있다.
커버(100)의 내측에는 하우징(200), 마그네트(300), 보빈(400), 코일(500), 상측 탄성 부재(600) 및 하측 탄성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100)의 아래에는 베이스(80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10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는 외부에서 내부로 전자기파가 유입되는 것이나, 내부에서 외부로 전자기파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00)는 "쉴드캔(Shiled Can)"으로 호칭될 수 있다. 다만, 커버(1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커버(1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는 상판(110), 제1측판(120), 제2측판(130), 제3측판(140), 제4측판(150), 제1코너부(C1-1), 제2코너부(C1-2), 제3코너부(C1-3) 및 제4코너부(C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110), 제1측판(120), 제2측판(130), 제3측판(140), 제4측판(150), 제1코너부(C1-1), 제2코너부(C1-2), 제3코너부(C1-3) 및 제4코너부(C1-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110)은 모서리가 라운드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상판(110)에는 홀(11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00)의 홀(111)은 상하 방향 중심축이 상판(110)의 중심에서 제3측판(14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할 수 있다.
피사체에 반사된 광은 커버(100)의 홀(111)을 통해 보빈(400)에 장착된 렌즈 모듈로 조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100)의 홀(111)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렌즈 모듈의 광축"은 상호 일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1000)에서는, 보빈(400)이 상판(110)의 중심에서 제3측판(14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치되므로, 커버(100)의 홀(111)도 제3측판(14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된 것이다.
상판(110)은 제1변(S1), 제2변(S2), 제3변(S3) 및 제4변(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변(S1)에서는 제1측판(120)이 아래로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배치되고, 제2변(S2)에서는 제2측판(130)이 아래로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배치되고, 제3변(S3)에서는 제3측판(140)이 아래로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배치되고, 제4변(S4)에서는 제4측판(150)이 아래로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측판(120), 제2측판(130), 제3측판(140) 및 제4측판(150)은 상판(110)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측판(120), 제2측판(130), 제3측판(140) 및 제4측판(150)에 의해 커버(100)의 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측판(120), 제2측판(130), 제3측판(140) 및 제4측판(150)은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제1측판(120) 및 제3측판(140)은 상호 대향하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측판(130) 및 제4측판(150)은 상호 대향하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측판(120) 및 제3측판(140) 사이에 제2측판(130) 및 제4측판(150)이 배치될 수 있고, 그 역도 성립할 수 있다. 제1측판(120) 및 제3측판(140) 각각은 제2측판(130) 및 제4측판(150) 각각과 모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측판(120)과 제2측판(130)은 연결될 수 있다. 제3측판(140)은 제1측판(12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측판(140)은 제2측판(1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측판(150)은 제2측판(13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4측판(150)은 제3측판(140)과 연결될 수 있고, 제1측판(1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1코너부(C1-1)에 의해 제1측판(120)과 제2측판(130)이 연결될 수 있다. 제1측판(120)과 제2측판(130) 사이에 제1-1코너부(C1-1)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측판(120)과 제2측판(130)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제1-1코너부(C1-1)가 위치할 수 있다.
제1-2코너부(C1-2)에 의해 제2측판(130)과 제3측판(140)이 연결될 수 있다. 제2측판(130)과 제3측판(140) 사이에 제1-2코너부(C1-2)가 위치할 수 있다. 제2측판(130)과 제3측판(140)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제1-2코너부(C1-2)가 위치할 수 있다.
제1-3코너부(C1-3)에 의해 제3측판(130)과 제4측판(140)이 연결될 수 있다. 제3측판(140)과 제4측판(150) 사이에 제1-3코너부(C1-3)가 위치할 수 있다. 제3측판(140)과 제4측판(150)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제1-3코너부(C1-3)가 위치할 수 있다.
제1-4코너부(C1-4)에 의해 제4측판(150)과 제1측판(120)이 연결될 수 있다. 제4측판(150)과 제1측판(120) 사이에 제1-4코너부(C1-4)가 위치할 수 있다. 제4측판(150)과 제1측판(120)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제1-4코너부(C1-4)가 위치할 수 있다.
제2측판(130)의 하단부에는 하측 탄성 부재(700)의 제1단자(712-1)와 제2단자(722-2)가 배치되는 제1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31)은 제2측판(130)의 하면에서 위로 파인 형태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단자(712-1)와 제2단자(722-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3측판(140)의 하단부에는 하우징(200)의 리브(240)가 배치되는 제2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41)은 제3측판(140)의 하면에서 위로 파인 형태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리브(24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코너부(C1-1), 제2코너부(C1-2), 제3코너부(C1-3) 및 제4코너부(C1-4)가 라운드된 형태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제1코너부(C1-1), 제2코너부(C1-2), 제3코너부(C1-3) 및 제4코너부(C1-4)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코너부(C1-1), 제2코너부(C1-2), 제3코너부(C1-3) 및 제4코너부(C1-4)는 각진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커버(100)가 원통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코너부(C1-1), 제2코너부(C1-2), 제3코너부(C1-3) 및 제4코너부(C1-4)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4개의 특정 지점일 수 있으며, 제1측판(120), 제2측판(130), 제3측판(140) 및 제4측판(150)은 제1코너부(C1-1), 제2코너부(C1-2), 제3코너부(C1-3) 및 제4코너부(C1-4) 사이에 각각 배치된 4개의 측판일 수 있다.
하우징(200)은 커버(10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커버(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보빈(400)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아래에는 베이스(8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에는 마그네트(3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위에는 상측 탄성 부재(6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과 커버(100)의 상판(110) 사이에는 상측 탄성 부재(6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아래에는 하측 탄성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과 베이스(800) 사이에는 하측 탄성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하우징(200)은 제1측부(210), 제2측부(220), 제3측부(230), 리브(240), 제2-1코너부(C2-1), 제2-2코너부(C2-2), 제2-3코너부(C2-3) 및 제2-4코너부(C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부(210)는 제1측판(120)에서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렌즈 모듈의 광축, 커버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측부(210)는 제1측판(120)과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측부(220)는 제2측판(130)에서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렌즈 모듈의 광축, 커버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측부(220)는 제2측판(130)과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측부(220)에는 제1마그네트(3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측부(220)에는 홀 형태의 제1마그네트 수용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 수용부(221)에는 제1마그네트(310)가 수용될 수 있다.
제3측부(230)는 제4측판(140)에서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렌즈 모듈의 광축, 커버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측부(230)는 제4측판(150)과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측부(230)에는 홀 형태의 제2마그네트 수용부(23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 수용부(231)에는 제2마그네트(320)가 수용될 수 있다.
제2측부(220)와 제3측부(230)는 상호 대향하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마그네트(310)와 제2마그네트(320)는 상호 대향하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1코너부(C2-1)는 커버(100)의 4개의 코너부 중 제1-1코너부(C1-1)와 가장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2코너부(C2-2)는 커버(100)의 4개의 코너부 중 제1-2코너부(C1-2)와 가장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3코너부(C2-3)는 커버(100)의 4개의 코너부 중 제1-3코너부(C1-3)와 가장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4코너부(C2-4)는 커버(100)의 4개의 코너부 중 제1-4코너부(C1-4)와 가장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1코너부(C2-1)는 제1-1코너부(C1-1)와 대응(대면,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코너부(C2-2)는 제1-2코너부(C1-2)와 대응(대면,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3코너부(C2-3)는 제1-3코너부(C1-3)와 대응(대면,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4코너부(C2-4)는 제1-4코너부(C1-4)와 대응(대면,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측부(210)는 제2-1코너부(C2-1)와 제2-4코너부(C2-4)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측부(210)는 제2-1코너부(C2-1)와 제2-4코너부(C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측부(220)는 제2-1코너부(C2-1)와 제2-2코너부(C2-2)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측부(220)는 제2-1코너부(C2-1)와 제2-2코너부(C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측부(230)는 제2-3코너부(C2-3)와 제2-4코너부(C2-4)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3측부(230)는 제2-3코너부(C2-3)와 제2-4코너부(C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코너부(C2-2)와 제2-3코너부(C2-3)는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2코너부(C2-2)와 제2-3코너부(C2-3) 사이에는 중공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1000)에서는 하우징(200)에 커버(100)의 제3측판(140)과 대응되는 측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제2-2코너부(C2-2)와 제2-3코너부(C2-3) 사이의 중공의 공간이 존재할 뿐이다. 그 결과, 보빈(200)을 제3측판(140)이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치할 수 있다. 즉, 보빈(400)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코일(500)의 적어도 일부는 제2-2코너부(C2-2)와 제2-3코너부(C2-3) 사이의 중공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하우징(200)은 측부의 결여에 의해, 내구성이 떨어지고 외력에 의한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리브(240)는 하우징(200)을 보강하기 위한 부재로, 제2-2코너부(C2-2)와 제2-3코너부(C2-3)를 연결할 수 있다. 다만, 리브(240)는 보빈(400) 및/또는 코일(500)의 수용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제2-2코너부(C2-2)의 상부와 제2-3코너부(C2-3)의 상부를 연결하거나, 제2-2코너부(C2-2)의 하부와 제2-3코너부(C2-3)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브(240)가 제2-2코너부(C2-2)의 하부와 제2-3코너부(C2-3)의 하부를 연결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보빈(400)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코일(500)의 적어도 일부는 리브(240)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리브(240)는 제1리브부(241)와 제2리브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브부(241)는 제2-2코너부(C2-2)와 제2-3코너부(C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리브부(242)는 제2-2코너부(C2-2)의 외측면과 제2-3코너부(C2-3)의 외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리브부(241)는 제2리브부(242)보다 "보빈(40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제2리브부(242)는 제2-2코너부(C2-2)와 제2-3코너부(C2-3)를 기준으로 한 방향으로 제1리브부(241)보다 길 수 있다. 즉, 제1리브부(241)와 제2리브(242)부는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제1리브부(241)와 제2리브부(242)는 하우징(200)에서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리브부(241)와 제2리브부(242)의 수평 방향 두께는 0.2mm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변형례(도 8 참조)에서는 리브(240)는 제2-2코너부(C2-2)의 상부와 제2-3코너부(C2-3)의 상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리브부(1241)는 제2-2코너부(C2-2)와 제2-3코너부(C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리브부(1242)는 제2-2코너부(C2-2)의 외측면과 제2-3코너부(C2-3)의 외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리브부(1241)는 제2리브부(1242)보다 "보빈(40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제2리브부(1242)는 제2-2코너부(C2-2)와 제2-3코너부(C2-3)를 기준으로 한 방향으로 제1리브부(1241)보다 길 수 있다. 즉, 제1리브부(1241)와 제2리브(1242)부는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제1리브부(1241)와 제2리브부(1242)는 하우징(200)에서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리브부(1241)와 제2리브부(1242)의 수평 방향 두께는 0.2mm 이상일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하우징(200)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코일(500)과 대향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코일(500)과 전자기적 상호 작용하여, 보빈(4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제1마그네트(310) 및 제2마그네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310) 및 제2마그네트(320)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제1마그네트(310)는 제2측부(220)에서 홀 형태로 형성된 제1마그네트 수용부(22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320)는 제3측부(230)에서 홀 형태로 형성된 제2마그네트 수용부(231)에 배치될 수 있다.
보빈(400)은 하우징(20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보빈(400)은 하우징(2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빈(400)에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보빈(400)에는 상하 방향으로 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보빈(400)의 홀(410)에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은 "렌즈 모듈의 광축"과 일치할 수 있다. 또,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은 "커버(100)의 홀(111)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다. 보빈(400)의 홀(410)의 직경은 커버(100)의 홀(11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렌즈 모듈은 커버(100)의 홀(111)을 통해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1000)에서는 보빈(400)이 커버(100)의 제3측판(140)이 위치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쉬프트, shift)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에서 커버(100)의 제1측판(120), 제2측판(130), 제3측판(140) 및 제4측판(150)까지의 최단 거리에 차이가 생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한다.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제1측판(120) 사이의 최단 거리(L1)는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제3측판(140) 사이의 최단 거리(L3)보다 길 수 있다.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제2측판(130) 사이의 최단 거리(L2)는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제4측판(150) 사이의 최단 거리(L4)와 동일할 수 있다.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제2측판(130) 사이의 최단 거리(L2)는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제1측판(120) 사이의 최단 거리(L1)보다 짧을 수 있다.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제2측판(130) 사이의 최단 거리(L2)는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제3측판(140) 사이의 최단 거리(L3)보다 짧을 수 있다.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렌즈 모듈의 광축"은 일치하므로, 상술한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제1측판(120), 제2측판(130), 제3측판(140) 및 제4측판(150)과의 거리 관계는, "렌즈 모듈의 광축"과 제1측판(120), 제2측판(130), 제3측판(140) 및 제4측판(150) 사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제1측판(120)의 최단거리와 "보빈(400)의 홀(410)의 상항 방향 중심축"과 제3측판(140) 사이의 최단 거리의 차이는 0.5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다. "보빈(400)의 홀(410)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제1측판(120)의 최단거리와 "보빈(400)의 홀(410)의 상항 방향 중심축"과 제3측판(140) 사이의 최단 거리의 차이는 0.15mm 이상 0.8mm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수치 범위의 최소값의 미만에서는 광학 기기(스마트폰)에서의 베젤 사이즈(bezel size) 축소 효과가 미미하고, 최대값을 초과하면 편향 배치에 의해 보빈(400)이 기울어져 광학 설계 및 구조 설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보빈(400)과 렌즈 모듈은 결합하여, 보빈(400)의 이동 시 렌즈 모듈은 보빈(40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보빈(400)은 마그네트(300)와 코일(50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서 광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보빈(400)과 일체로 광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빈(400)의 위에는 상측 탄성 부재(600)가 배치될 수 있다. 보빈(400)의 아래에는 하측 탄성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보빈(400)은 상측 탄성 부재(600)와 하측 탄성 부재(700)에 의해, 하우징(200)에 상하 방향(광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보빈(400)의 외주면에는 코일(500)이 배치될 수 있다.
코일(500)은 보빈(40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500)은 보빈(400)의 외주면에 권선될 수 있다. 코일(500)은 "코일 블럭" 형태일 수 있다. 코일(500)은 "전자석"일 수 있다. 코일(500)은 마그네트(30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하여, 보빈(4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코일(500)의 양 단부는 각각 인출되어 하측 탄성 부재(700)와 연결될 수 있다. 코일(500)은 하측 탄성 부재(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제1단자(712-1)와 제2단자(722-2)에 의해 기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코일(500)은 하측 탄성 부재(7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빈(400)이 제3측판(140)이 위치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고, 하우징(200)에 제3측판(140)과 대응되는 측판이 결여됨에 따라, 코일(500)은 제3측판(140)과 직접 대향하는 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제3측판(14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코일(500)의 외측면(외측 부분)은 제3측판(140)의 내측면(내측 부분)과 직접 대향할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600)는 판 스프링(Plate Spring)일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600)는 금속일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600)는 비자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탄성 부재(600)는 마그네트(300)의 자기력과, 코일(500)의 전자기력에 영향받지 않을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600)는 하우징(2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600)는 보빈(4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600)는 하우징(200)과 커버(100)의 상판(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600)는 보빈(400)과 커버(100)의 상판(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600)는 하우징(200) 및 보빈(400)과 결합할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600)는 하우징(200)과 보빈(400)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600)는 제1상측 탄성 부재(610), 제2상측 탄성 부재(620), 제3상측 탄성 부재(630), 제4상측 탄성 부재(640), 제5상측 탄성 부재(650), 제6상측 탄성 부재(660), 제7상측 탄성 부재(670) 및 제8상측 탄성 부재(6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측 탄성 부재(610), 제2상측 탄성 부재(620) 및 제3상측 탄성 부재(630)는 하우징(200)의 위에 배치되고, 하우징(200)과 결합할 수 있다. 제4상측 탄성 부재(640)는 보빈(400)의 위에 배치되고, 보빈(400)과 결합할 수 있다. 제5상측 탄성 부재(650), 제6상측 탄성 부재(660), 제7상측 탄성 부재(670) 및 제8상측 탄성 부재(680)는 제1상측 탄성 부재(610), 제2상측 탄성 부재(620) 및 제3상측 탄성 부재(630)와 제4상측 탄성 부재(640)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보빈(400)은 하우징(200)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1상측 탄성 부재(610)는 하우징(200)의 제1측부(210)와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상측 탄성 부재(620)는 하우징(200)의 제2측부(220)와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3상측 탄성 부재(630)는 하우징(200)의 제3측부(230)와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200)에서 커버(100)의 제3측판(140)과 대응되는 부분이 결여된 것과 마찬가지로, 상측 탄성 부재(600)에서도 커버(100)의 제3측판(140)에 위치하는 방향에 배치되고 제2상측 탄성 부재(620)와 제3상측 탄성 부재(630)를 연결하는 부분이 결여되었다. 보빈(200)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판 스프링(Plate Spring)일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금속일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비자성일 수 있다. 따라서 하측 탄성 부재(700)는 마그네트(300)의 자기력과, 코일(500)의 전자기력에 영향받지 않을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코일(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코일(500)과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하우징(2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보빈(4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하우징(200)과 베이스(8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보빈(400)과 베이스(8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하우징(200) 및 보빈(400)과 결합할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하우징(200)과 보빈(400)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하측 탄성 부재(700)는 서로 이격된 제1하측 탄성 부재(710)와 제2하측 탄성 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측 탄성 부재(710)에는 제1단자(712-1)가 배치되고, 제2하측 탄성 부재(720)에는 제2단자(722-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단자(712-1)와 제2단자(722-1)는 카메라 모듈의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제1하측 탄성 부재(710)는 코일(500)의 일측 인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하측 탄성 부재(710)는 코일(500)의 타측 인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기판에서 하측 탄성 부재(700)를 통해 코일(5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베이스(800)는 커버(1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800)는 하우징(2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800)는 보빈(4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800)와 커버(100)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베이스(800)와 하우징(200)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베이스(800)는 대략적으로 두께가 있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베이스(800)의 중앙에는 홀(811)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광은 베이스(800)의 홀을 통해 이미지 센서로 조사될 수 있다.
베이스(800)에는 홀(811)의 외측에 위치하고, 홀(811)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1스톱퍼(812), 제2스톱퍼(813), 제3스톱퍼(814) 및 제4스톱퍼(815)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스톱퍼(812), 제2스톱퍼(813), 제3스톱퍼(814) 및 제4스톱퍼(815)는 베이스(800)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800)의 측부에는 내측으로 파인 단자 수용홈(816)이 위치할 수 있다. 단자 수용홈(816)에는 제1단자(712-1)와 제2단자(722-1)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800)의 가장자리에는 위로 융기된 융기부(821)가 위치할 수 있다. 융기부(821)는 제1융기부(821)와 제2융기부(822)와 제3융기부(8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융기부(821)는 제1측판(120)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융기부(822)는 제2측판(130)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3융기부(822)는 제4측판(150)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이스(800)에서 제3측판(140)과 대응되는 가장자리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하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800)의 하강부에는 리브(2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커버;
    상기 커버의 안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연결된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제2측판과 연결된 제3측판과, 상기 제3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연결된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측부와, 상기 커버의 상기 제2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측부와, 상기 커버의 상기 제4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코일의 외측면은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의 내측면과 대향하고,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긴 렌즈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2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와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4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는 동일하고,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2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짧고,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2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긴 렌즈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보빈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 렌즈 구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1코너부, 상기 제2측판과 상기 제3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2코너부, 상기 제3측판과 상기 제4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3코너부, 상기 제4측판과 상기 제1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4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1코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1코너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2코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2코너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3코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3코너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4코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4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2코너부와 상기 제2-3코너부를 연결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2-2코너부의 하부와 상기 제2-3코너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렌즈 구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2-2코너부와 상기 제2-3코너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리브부와, 상기 제2-2코너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2-3코너부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2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리브부는 상기 제1리브부보다 긴 렌즈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부와 상기 제2리브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부와 상기 제2리브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아래로 돌출되는 렌즈 구동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2측부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3측부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사각 형태이고, 상하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과, 상기 제3측판과, 상기 제4측판과 연결되는 렌즈 구동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제1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와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제3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의 차이는 0.15mm 이상 0.8mm 이하인 렌즈 구동 장치.
  12. 렌즈 구동 장치;
    상기 렌즈 구동 장치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아래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렌즈 모듈의 광축 상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안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연결된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제2측판과 연결된 제3측판과, 상기 제3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연결된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측부와, 상기 커버의 상기 제2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측부와, 상기 커버의 상기 제4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코일의 외측면은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의 내측면과 대향하고,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보빈의 홀의 상하 방향 중심축과 상기 커버의 상기 제3측판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긴 렌즈 구동 장치.
KR1020170110762A 2017-05-22 2017-08-31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407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762A KR102407884B1 (ko) 2017-08-31 2017-08-31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16/615,599 US11249277B2 (en) 2017-05-22 2018-05-17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202211054391.6A CN115373192A (zh) 2017-05-22 2018-05-17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装置
CN201880033732.7A CN110663000B (zh) 2017-05-22 2018-05-17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装置
PCT/KR2018/005670 WO2018216955A1 (ko) 2017-05-22 2018-05-17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EP18805222.9A EP3633447B1 (en) 2017-05-22 2018-05-17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EP23180574.8A EP4236338A3 (en) 2017-05-22 2018-05-17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17/644,040 US11768347B2 (en) 2017-05-22 2021-12-13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0220069171A KR102570061B1 (ko) 2017-08-31 2022-06-07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18/359,591 US20230367100A1 (en) 2017-05-22 2023-07-26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0230108512A KR20230128242A (ko) 2017-05-22 2023-08-18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762A KR102407884B1 (ko) 2017-08-31 2017-08-31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171A Division KR102570061B1 (ko) 2017-05-22 2022-06-07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10A true KR20190024110A (ko) 2019-03-08
KR102407884B1 KR102407884B1 (ko) 2022-06-10

Family

ID=658017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762A KR102407884B1 (ko) 2017-05-22 2017-08-31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0220069171A KR102570061B1 (ko) 2017-05-22 2022-06-07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171A KR102570061B1 (ko) 2017-05-22 2022-06-07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7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724A1 (ko) * 2021-07-09 2023-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107A (ko) * 2014-03-17 2015-09-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US20160043622A1 (en) * 2010-07-06 2016-02-11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coil block for voice coil mo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il block, and voice coil motor having the coil block
KR20170021610A (ko) * 2015-08-18 2017-0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70029984A (ko) * 2015-09-08 2017-03-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70047962A (ko) * 2015-10-26 2017-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JP2017151312A (ja) * 2016-02-25 2017-08-3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鏡筒、レンズユニット及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3622A1 (en) * 2010-07-06 2016-02-11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coil block for voice coil mo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il block, and voice coil motor having the coil block
KR20150108107A (ko) * 2014-03-17 2015-09-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70021610A (ko) * 2015-08-18 2017-0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70029984A (ko) * 2015-09-08 2017-03-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70047962A (ko) * 2015-10-26 2017-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JP2017151312A (ja) * 2016-02-25 2017-08-3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鏡筒、レンズユニット及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724A1 (ko) * 2021-07-09 2023-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884B1 (ko) 2022-06-10
KR102570061B1 (ko) 2023-08-23
KR20220082797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8242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90001299A (ko) 카메라 모듈
US11882261B2 (en) Camera device, dual camera device and triple camera device
KR20190038146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EP3719568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111095095B (zh) 透镜移动装置及包括透镜移动装置的摄像头模块和光学装置
KR20180033959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70061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60128651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70021682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170034640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05083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20066034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70006895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60148281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20210018819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KR20160131367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17940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70047962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42557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60131368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70088543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90073808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170006727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54815A (ko) 렌즈구동장치 및 트리플 카메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