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432A - 물안경 - Google Patents

물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432A
KR20190023432A KR1020170109214A KR20170109214A KR20190023432A KR 20190023432 A KR20190023432 A KR 20190023432A KR 1020170109214 A KR1020170109214 A KR 1020170109214A KR 20170109214 A KR20170109214 A KR 20170109214A KR 20190023432 A KR20190023432 A KR 20190023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lens
main body
eyes
visual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338B1 (ko
Inventor
신지훈
Original Assignee
신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훈 filed Critical 신지훈
Priority to KR102017010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3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A63B33/004Swimming goggles comprising two separate lenses joined by a flexible brid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4Mirrors; 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2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안경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상부방향 시야를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하는 시야제공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는 수영시 시야제공유닛을 통해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수영 경로를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착지점을 확인하여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안경{WATERGLASS}
본 발명은 물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수영시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물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안경은 물속에서의 각종 작업시 시야확보를 위해 사용된다. 특히, 수영을 하거나 물놀이를 할 때 눈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눈을 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물안경을 착용한다. 이러한, 물안경은 등록실용신안 제20-0311389호(2003.04.10)의 "물안경"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렌즈, 상기 렌즈를 둘러싸는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한 쌍의 패킹, 및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일측에 연결된 머리끈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착용자는 물안경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된 물안경의 렌즈를 통해 착용자가 바라보는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물안경은 착용자가 바라보는 전방의 시야를 확보한다 하더라도, 착용자의 눈이 바라볼 수 있는 주시범위(건강안(健康眼)의 주시범위는 상당한 개인차가 있으나, 평균 단안시(單眼視)로 각 방향 약 50°, 양안시로 각 방향 약 45°임)가 대략 정해져 있기 때문에 눈의 전방에 배치된 렌즈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50°이상의 시야를 확보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착용자의 눈은 수영시 바닥면을 바라보게 되거나 천장이나 하늘을 바라보게 된다. 즉, 착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시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수영시 수영방향의 전방을 바라볼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수영 경로를 이탈하게 되거나, 도착지점에 머리를 부딪혀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한국실용신안공보 제20-0311389호(2003.04.10)의 "물안경"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가 수영시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물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한 목적은, 착용자가 눈 밑을 바라볼 때, 착용자가 바라보는 각도에 대응하여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야제공유닛을 통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시야제공유닛은 물안경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물안경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안경은 착용자의 눈 주위을 감싸는 형태로 투시가능하게 설치되는 렌즈가 마련되며, 착용자가 수영시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착용자의 상부방향 시야를 상기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하는 시야제공유닛;을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용자의 눈과 상기 렌즈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이때, 시야제공유닛은 상기 이격공간으로 입사되는 착용자의 상부방향 시야를 반사시켜 상기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시야제공유닛은 상기 착용자의 눈 밑에 대응되는 상기 이격공간에 마련되며, 착용자가 눈 밑을 주시하였을 때, 상기 착용자의 상부방향 시야를 상기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시야제공유닛은, 상기 렌즈에 장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착용자의 상부방향 시야를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시야제공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상기 반사부를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반사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힌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시야제공유닛은, 상기 반사부를 일정각도로 고정하는 각도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각도고정수단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반사부의 각도조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반사부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들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시야제공유닛은, 상기 본체부를 상기 렌즈에 착탈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착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렌즈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1결합부재는, 금속이나 마그네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자력결합하는 금속이나 마그네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안경에 의하면, 착용자는 전방 시야 확보가 어려운 수영시 시야제공유닛을 통해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수영 경로를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착지점을 확인하여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다.
그리고, 착용자의 눈이 아래를 바라볼 때, 착용자가 바라보는 각도에 대응하게 반사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개개인의 착용자 및 적용되는 물안경의 구조에 맞추어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반사부는 조절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영시에도 안정적으로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시야제공유닛은 자력방식의 착탈수단을 통해, 물안경의 렌즈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시야제공유닛은 다양한 형태의 반사체 중 하나로 교체하여 렌즈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반사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안경의 전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시야제공유닛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안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물안경(10)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에 마련되는 렌즈(20)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20)는 착용자의 눈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투시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렌즈(20)는, 상기 착용자의 눈 전방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면부(21); 및 상기 전면부(21)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착용자의 눈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외곽부(23);를 포함한다.
전술한 렌즈(20)의 구성들을 통해, 렌즈(20)에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눈과 렌즈(20)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격공간(S)은 후술하는 시야제공유닛(100)이 마련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렌즈(20)를 구성하는 전면부(21) 및 외곽부(23)는 투명한 유리 재질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이격공간(S)에는 렌즈(20) 외부의 빛, 즉 외부의 시야가 렌즈(20)를 통과하여 입사될 수 있다. 즉, 착용자는 물안경(10)을 착용한 상태라 하더라도, 렌즈(20)의 이격공간(S)으로 외부의 시야가 입사되기 때문에 렌즈(20) 외부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착용자는 렌즈(20) 외부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착용자의 주시범위에 해당되는 범위 내의 시야만을 확보하게 된다. 즉, 착용자는 전면부(21)를 통해 바라보는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나, 외곽부(23)를 통한 시야 확보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수영시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안경(10)은, 배영과 같이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도 착용자가 수영시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 즉 착용자의 머리쪽 상부방향(이하, '착용자의 상부방향(W1)' 이라함) 시야를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하는 시야제공유닛(100);을 포함한다.
시야제공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격공간(S)으로 입사되는 외부의 시야 중, 착용자의 상부방향(W1) 시야를 반사시켜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시야제공유닛(100)은 착용자의 눈 밑에 대응되는 이격공간에 마련되며, 착용자가 눈 밑을 주시하였을 때, 착용자의 상부방향(W1) 시야를 상기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시야제공유닛(10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이나 구조적 설명과, 이를 통해 착용자의 눈으로 착용자의 상부방향(W1) 시야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야제공유닛(100)은 상기 렌즈(20)에 장착되는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착용자의 상부방향(W1) 시야를 반사시키는 반사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상면이 편평한 수평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는 상면에 마련되는 후술할 구성들에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10)는 전술한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면이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폭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미도시)될 수도 있다. 이는, 본체부(110)의 상면에 후술할 반사부(130)를 경사지게 마련하거나, 반사부(130)와 같이 빛을 반사시키는 거울 형태의 반사면을 경사지게 마련하기 위함이다. 즉, 본체부(110)는 후술할 별도의 구성이나 구조 없이도 반사부(130)나 이와 같은 반사면을 경사지게 마련할 수도 있다.
본체부(110)는 하면이 렌즈(20)를 구성하는 외곽부(23)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체부(110)의 하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의 하부에 렌즈(20)를 구성하는 외곽부(23)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장착부재(111)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10)와 전술한 별도의 부재는 통상적인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서로 일체적인 구조로 결합될 수 있고, 사출성형을 통해 사전에 일체화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는 하면에 렌즈(20)를 구성하는 외곽부(23)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10)는 전술한 구조적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렌즈(20)를 구성하는 외곽부(23)의 내측 하부에 정합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즉, 본체부(110)는 착용자의 눈 밑 부위에 대응하는 렌즈(20)의 이격공간에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예시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면에는 일정각도를 이루는 반사면이 마련될 수도 있기 때문에 본체부(110)만을 렌즈(20)에 장착시켜 착용자의 상부방향(W1) 시야를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반사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130)는 하면이 편평한 수평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반사부(130)의 하면은 전술한 본체부(110)의 상면에 대응되는 길이나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부(130)는 하면에 마련되는 후술할 구성들에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반사부(130)는 상면에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부(130)는 금속 또는 유리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상면에 자연스럽게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반사부(130)는 반사면을 형성할 수 없는 재질로 구성될 경우, 반사부(130)의 상면에는 반사면을 마련하기 위하여 반사면이 형성된 별도의 반사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고, 금속 또는 유리 재질이 도포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반사부(130)는 상면에 반사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빛, 즉 외부의 시야를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반사부(130)의 상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반사부(130)의 상면은 오목한 형태(미도시)나 편평한 형태(미도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반사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반사면이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개개인의 착용자에게 알맞는 시야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130)는 전술한 구조적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본체부(110)의 상부에 직접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반사부(130)는 본체부(110)가 장착되는 위치, 즉 착용자의 눈 밑 부위에 대응하는 렌즈(20)의 이격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반사부(130)는 본체부(110)의 상면이 이루는 경사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시야제공유닛(100)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를 통해 착용자의 눈 밑 부위에 대응하는 렌즈(20)의 이격공간에 마련되며, 이때 착용자가 눈 밑을 주시하였을 때, 반사부(130)를 통해 착용자의 상부방향(W1) 시야를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배영과 같이 수영방향 전방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도 시야제공유닛(100)을 통해 착용자의 상부방향(W1) 시야, 즉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수영 경로를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착지점을 확인하여 안전하게 도착할 수도 있다.
한편, 시야제공유닛(100)은 반사부(13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10)에 상기 반사부(130)를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조절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조절수단(150)은, 상기 본체부(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브라켓(151); 및 상기 반사부(130)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51)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힌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153);을 포함한다.
고정브라켓(15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면에 마련되며, 길이방향 양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고정브라켓(151)은 반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브라켓(151)은 전술한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브라켓(151)은 내측을 관통하는 구멍형태의 힌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홀에는 별도로 마련되는 힌지핀(155)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브라켓(151)은 힌지핀(155)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연결브라켓(15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브라켓(151)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브라켓(151)과 마찬가지로 내측에 힌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153)은 반사부(130)의 하면에 마련되며, 길이방향 양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브라켓(153)은 본체부(110)의 양단에 마련되는 각각의 고정브라켓(151)에 제각기 마주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연결브라켓(153)에 마련된 힌지홀과 고정브라켓(151)에 마련된 힌지홀은 서로 동심원을 이루게 된다. 이때, 전술한 힌지핀(155)이 동심원을 이루는 힌지홀들에 관통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연결브라켓(153)과 고정브라켓(151)은 서로 힌지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연결브라켓(153)은 힌지핀(155)을 통해 고정브라켓(15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각도조절수단(150)은 고정브라켓(151)과 연결브라켓(153)의 힌지결합에 의해 반사부(130)가 힌지핀(155)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각도조절수단(150)은 힌지핀(155)을 축으로 회동반경을 따라 반사부(13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시야제공유닛(100)은 착용자가 눈 밑을 바라볼 때, 각도조절수단(150)을 통해 착용자가 바라보는 각도에 대응하게 반사부(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개개인의 착용자 및 적용되는 물안경(10)의 구조에 맞추어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시야제공유닛(100)은 상기 반사부(130)를 일정각도로 고정하는 각도고정수단(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고정수단(170)은, 상기 본체부(110)에 마련되며, 상기 반사부(130)의 각도조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71); 및 상기 반사부(130)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171)들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걸림돌기(173);를 포함한다.
고정돌기(17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브라켓(151)들 사이에서 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고정돌기(171)는 전술한 힌지핀(155)의 원주방향, 즉 반사부(130)의 회동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고정돌기(171)가 이루는 등간격은 대략 3°~ 7° 사이의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의 간격으로 마련된다. 이를 위한, 고정돌기(171)는 대략 30 ~ 40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의 등간격으로 마련되기 위하여 총 36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의 상면에는 반사부(130)의 회동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돌기(171)가 톱니 형태로 마련된다.
걸림돌기(17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30)의 하부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걸림돌기(173)는 전술한 고정돌기(171)가 마련되는 위치에 대향되는 반사부(130)의 하면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17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부(130)가 본체부(1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때, 고정돌기(171)들 사이에 삽입된다. 즉, 걸림돌기(173)는 고정돌기(171)들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돌기(171)들 중 어느 하나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각도고정수단(170)은 고정돌기(171)들 중 어느 하나에 걸림돌기(173)가 걸리는 고정구조에 의해 회동되는 반사부(1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각도고정수단(170)은 힌지핀(155)을 축으로 회동반경을 따라 회동되는 반사부(130)를 일정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시야제공유닛(100)은 각도고정수단(170)을 통해 반사부(130)의 조절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영시에도 안정적으로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시야제공유닛(100)은 상기 본체부(110)를 상기 렌즈(2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착탈수단(19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착탈수단(190)은 접착방식, 벨크로방식, 볼팅방식, 자력방식, 후크방식 등 다양한 방식들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력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착탈수단(190)은 상기 렌즈(20)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191) 및 상기 본체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191)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재(193);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재(191)는 자성을 지니는 마그네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는 강한 자화상태를 오래 보존하는 영구자석으로, 예컨대 페라이트 자석, 알니코 자석, 희토류계 자석, 플라스틱 자석, 고무자석, 네오디뮴 자석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결합부재(191)는 전술한 마그네트와는 달리, 자성을 지니는 자성체에 붙을 수 있는 다른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제1결합부재(191)는 후술할 제2결합부재(193)가 마그네트로 구성될 경우, 이에 자력결합될 수 있는 구성을 이루기 위함이다.
제1결합부재(19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 내재된다. 바람직하게는, 마그네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마련되는 장착부재(111)에 형성된 홈에 내재된다.
여기서, 제1결합부재(191)가 본체부(110)에 마련되는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결합부재(191)가 본체부(110)의 하면이나, 장착부재(111)의 하면에 접착되어 마련될 수도 있고, 심지어 본체부(110)가 마그네트나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재(191)는 후술할 제2결합부재(193)에 상응하는 재질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본체부(110)와 일체적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제2결합부재(193)는 자성을 지니는 마그네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성을 지니지 못하는 다른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결합부재(193)는 제1결합부재(191)가 자성을 지니는 마그네트로 구성될 경우, 제1결합부재(191)와 자력결합되도록 이에 상응하는 다른 마그네트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결합부재(191)가 자성을 지니지 못하는 금속으로 구성될 경우, 제1결합부재(191)와 자력결합되도록 이에 상응하는 다른 마그네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재(19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0)를 구성하는 외곽부(23)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결합부재(193)는 착용자의 눈 밑에 대응되는 렌즈(20)의 외곽부(23) 내측에 형성된 홈에 내재된다.
여기서, 제2결합부재(193)가 렌즈(20)에 마련되는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결합구조를 통해, 제2결합부재(193)가 렌즈(20)의 외곽부(23) 내측 표면에 일체적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심지어 착용자의 눈 밑에 대응되는 렌즈(20)의 외곽부(23) 내측면이 마그네트나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결합부재(193)는 전술한 제1결합부재(191)에 상응하는 재질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렌즈(20)와 일체적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착탈수단(190)은 제1결합부재(191)와 제2결합부재(193)의 자력결합에 의해 서로 착탈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제1결합부재(191)가 마련된 본체부(110)는 제2결합부재(193)가 마련된 렌즈(2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시야제공유닛(100)은 전술한 방식의 착탈수단(190)을 통해, 물안경(10)의 렌즈(2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시야제공유닛(100)을 통해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야제공유닛(100)을 렌즈(20)에 장착시킨다.
이러한, 시야제공유닛(100)은 본체부(110)에 내재된 제1결랍부재가 렌즈(20)의 외곽부(23)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2결합부재(193)와 자력 결합됨에 따라 렌즈(2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시야제공유닛(100)은 착용자의 눈 밑 부위와 대응되는 렌즈(20) 부위에 마련된다.
다음, 착용자는 반사부(130)를 회동시킨다. 이때, 반사부(130)는 힌지핀(155)을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기울기가 조절된다.
여기서, 반사부(130)의 기울기(θ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눈이 렌즈(20)의 전면부(21) 아래(θ2), 즉 눈 밑을 바라볼 때, 반사부(130)에 형서되는 반사면을 통해 착용자의 상부방향(W1)을 볼 수 있는 각도를 이루게 된다.
예컨대, 반사부(130)의 기울기(θ1)는 렌즈(20)를 구성하는 외곽부의 폭방향(W2)을 기준으로 아래로 대략 10°~ 30°를 이루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17° 또는 26°를 이룬다.
실시예로, 반사부(130)의 기울기(θ1)를 17°로 설정한 경우, 착용자의 눈이 아래(θ2)로 대략 45°를 바라볼 때, 반사부(130)는 렌즈(20) 외곽부(23)의 상부를 통해 입사되는 물체의 빛, 즉 착용자의 상부방향(W1)의 시야를 반사시켜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반사부(130)의 기울기(θ1)를 26°로 설정한 경우, 착용자의 눈이 아래(θ2)로 대략 30°를 바라볼 때, 반사부(130)는 렌즈(20) 외곽부(23)의 상부를 통해 입사되는 물체의 빛, 즉 착용자의 상부방향(W1)의 시야를 반사시켜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반사부(130)의 기울기(θ1)는 전술한 각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착용자의 눈에 맞추어 다른 각도로 기울기(θ1)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수영시 눈 밑을 바라보게 되면,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안경(10)은, 시야제공유닛(100)을 통해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수영 경로를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수영시 지정된 수영 경로를 따라 바르게 헤엄치기 때문에 전과 같이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없어 수영 경로를 이탈하면서 기록되는 기존의 수영 기록을 단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착용자는 수영시 도착지점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도착지점에 부딪치지 않고 안전하게 도착할 수도 있다.
10 : 물안경 20 : 렌즈
21 : 전면부 23 : 외곽부
100 : 시야제공유닛 110 : 본체부
130 : 반사부 150 : 각도조절수단
151 : 고정브라켓 153 : 연결브라켓
170 : 각도고정수단 171 : 고정돌기
173 : 걸림돌기 190 : 착탈수단
191 : 제1결합부재 193 : 제2결합부재

Claims (11)

  1. 착용자의 눈 주위을 감싸는 형태로 투시가능하게 설치되는 렌즈가 마련된 물안경에 있어서,
    착용자가 수영시 수영방향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착용자의 상부방향 시야를 상기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하는 시야제공유닛;을 포함하는 물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눈과 상기 렌즈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시야제공유닛은,
    상기 이격공간으로 입사되는 착용자의 상부방향 시야를 반사시켜 상기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제공유닛은,
    상기 착용자의 눈 밑에 대응되는 상기 이격공간에 마련되며, 착용자가 눈 밑을 주시하였을 때, 상기 착용자의 상부방향 시야를 상기 착용자의 눈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경.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제공유닛은,
    상기 렌즈에 장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착용자의 상부방향 시야를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물안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제공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상기 반사부를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물안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반사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힌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물안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제공유닛은,
    상기 반사부를 일정각도로 고정하는 각도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물안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고정수단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반사부의 각도조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반사부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들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물안경.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제공유닛은,
    상기 본체부를 상기 렌즈에 착탈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착탈수단;을 더 포함하는 물안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렌즈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물안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는,
    금속이나 마그네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자력결합하는 금속이나 마그네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경.
KR1020170109214A 2017-08-29 2017-08-29 물안경 KR102029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214A KR102029338B1 (ko) 2017-08-29 2017-08-29 물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214A KR102029338B1 (ko) 2017-08-29 2017-08-29 물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432A true KR20190023432A (ko) 2019-03-08
KR102029338B1 KR102029338B1 (ko) 2019-10-07

Family

ID=6580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214A KR102029338B1 (ko) 2017-08-29 2017-08-29 물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3139A (zh) * 2019-11-18 2020-02-0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游泳镜
FR3121609A1 (fr) * 2021-04-07 2022-10-14 Eric Pireyre Lunettes de natation anticollisions à miroirs convexes bidirectionnel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579A (ja) * 1994-11-10 1996-05-28 Takashi Fumita 水中めがね
JPH10290846A (ja) * 1997-04-18 1998-11-04 Shinji Kasahara ミラー付きゴーグル
KR200311389Y1 (ko) 2003-02-04 2003-04-21 김만석 물안경
US20170007889A1 (en) * 2012-08-08 2017-01-12 David Shau Swimming Gogg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579A (ja) * 1994-11-10 1996-05-28 Takashi Fumita 水中めがね
JPH10290846A (ja) * 1997-04-18 1998-11-04 Shinji Kasahara ミラー付きゴーグル
KR200311389Y1 (ko) 2003-02-04 2003-04-21 김만석 물안경
US20170007889A1 (en) * 2012-08-08 2017-01-12 David Shau Swimming Gogg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3139A (zh) * 2019-11-18 2020-02-0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游泳镜
FR3121609A1 (fr) * 2021-04-07 2022-10-14 Eric Pireyre Lunettes de natation anticollisions à miroirs convexes bidirectionnel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338B1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4192T3 (es) Monturas de gafas.
CN102246087B (zh) 具有由磁闭合保持的可替换镜片的眼镜框架以及可替换镜片的系统
US6939003B2 (en) Multi-faceted detachable magnetic hinge system
TWI676062B (zh) 用於眼鏡之可附件前部
US6811254B2 (en) Eyeglass with auxiliary lenses
CN104114132A (zh) 磁性护目镜镜片附件
US20060187406A1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magnets
KR20190023432A (ko) 물안경
JP2004512574A (ja) 補助レンズを取付けるためのブリッジ
CA2387187A1 (en) Fully-cover shelter frame
KR101512593B1 (ko) 경량화된 투톤 안경테
US20160026004A1 (en) Eyewear having magnetic clip-on lenses
US6789893B1 (en) Structure for combining assistance sunglasses to glasses
US9395561B2 (en) Eyeglasses having flip-up lenses
EP2898366B1 (en) Fixing device for an eyeglass frame for a pair of lenses
KR20220002437U (ko) 렌즈 교환이 가능한 단일 렌즈 안경
KR101574963B1 (ko) 렌즈의 각도조절과 가스켓의 탈, 부착이 가능한 방진용 안경
JP3089485U (ja) 前掛け式メガネフレーム
KR101436374B1 (ko) 헬멧 쉴드용 렌즈 조립체
KR20170123737A (ko) 탈착식 선글라스가 구비된 안경
KR200473157Y1 (ko) 안경 세트
KR200427279Y1 (ko) 선글라스 탈, 부착식 안경
CN210954497U (zh) 一种可拆卸视力矫正用镜片的护目镜
US2917970A (en) Clip-on swivel mirror for eyeglasses
JP2007108294A (ja) 潜望鏡付水中スコ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