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008A - 광학 모듈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모듈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008A
KR20190023008A KR1020170107973A KR20170107973A KR20190023008A KR 20190023008 A KR20190023008 A KR 20190023008A KR 1020170107973 A KR1020170107973 A KR 1020170107973A KR 20170107973 A KR20170107973 A KR 20170107973A KR 20190023008 A KR20190023008 A KR 20190023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optical module
elastic
flexible display
elastic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5107B1 (ko
Inventor
안이준
김성철
노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107B1/ko
Priority to US15/959,392 priority patent/US10802537B2/en
Priority to CN201810914806.XA priority patent/CN109427254B/zh
Publication of KR2019002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신축성 표시 장치 및 신축성 표시 장치의 광학 모듈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신축성 표시 장치는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신축성 표시 패널 및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이미지가 시인되는 표시면의 반대면 상에 배치된 광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모듈은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신장 또는 수축에 의해 외부에서 시인되거나 시인되지 않는다.

Description

광학 모듈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STRETCH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OPTICAL MODULE AND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학 모듈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발달하면서 화면을 반으로 접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거나 적어도 한 방향으로 늘리는 등 사용 단계에서 변형이 가능한 표시 장치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신축성 표시 장치(stretchable display device)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장 또는 축소가 가능한 차세대 표시 장치의 일종이다.
한편, 표시 장치에는 카메라 모듈, 조도 센서, 지문 센서 등 광학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 모듈이 포함될 수 있는데, 표시 장치의 전면(前面)에는 이러한 광학 모듈이 출광/입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를 출력하는 화면은 이러한 공간을 회피하여 형성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전면에서 시인되는 표시 장치의 전체 영역 대비 화면의 면적, 즉 스크린-바디 비율(screen to body ratio)을 높이는 것에 한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면에서 시인되는 표시 장치의 실질적인 전체 영역을 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으로 구성할 수 있는 신축성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는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신축성 표시 패널 및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이미지가 시인되는 표시면의 반대면 상에 배치된 광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모듈은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신장 또는 수축에 의해 외부에서 시인되거나 시인되지 않는다.
상기 광학 모듈은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이 평면상 일측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일 때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과 상기 광학 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이 상기 일측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광학 모듈과 중첩된 부분 내에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컷팅홀이 정의되며, 상기 광학 모듈은 상기 컷팅홀의 확장에 의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상기 컷팅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컷팅홀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셔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이 두께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학 모듈과 적어도 일 부분이 중첩된 하나 이상의 컷팅선이 정의되며, 상기 광학 모듈은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절단된 부분 내로 삽입됨에 따라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상기 광학 모듈의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측의 반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 모듈의 위치를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절단된 부분 내로 이동시키는 높이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컷팅선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컷팅선일 수 있다.
상기 광학 모듈은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는 광학 모듈 및 상기 광학 모듈 상에 상기 광학 모듈을 덮도록 배치되며,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신축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광학 모듈을 노출한다.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평면상 일측 방향으로 수축되어 상기 광학 모듈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과 상기 광학 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이 상기 일측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광학 모듈과 중첩된 부분 내에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컷팅홀이 정의되며,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컷팅홀이 확장되어 상기 광학 모듈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컷팅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컷팅홀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셔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이 두께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학 모듈과 적어도 일 부분이 중첩된 하나 이상의 컷팅선이 정의되며, 상기 광학 모듈은 상기 절단된 부분 내로 삽입됨에 따라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광학 모듈의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측의 반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 모듈의 위치를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절단된 부분 내로 이동시키는 높이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광학 모듈 사용 방법은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신축성 표시 패널 및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이미지가 시인되는 표시면의 반대면 상에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에 중첩되도록 배치된 광학 모듈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를 준비하고, 상기 광학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을 신장 또는 수축시켜 상기 광학 모듈이 외부에서 시인되도록 한다.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광학 모듈과 중첩된 부분 내에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컷팅홀이 정의되며, 상기 컷팅홀을 확장시켜 상기 광학 모듈이 시인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이 두께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학 모듈과 적어도 일 부분이 중첩된 하나 이상의 컷팅선이 정의되며, 상기 광학 모듈이 상기 절단된 부분 내로 삽입되어 시인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모듈은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면에서 시인되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실질적인 전체 영역이 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stretchable)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신축성 표시 패널이 일측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신축성 표시 패널의 컷팅홀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서 신축성 표시 패널의 절단된 부분으로 광학 모듈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신축성 표시 패널이 일측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또는 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신축성 표시 장치()는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신장 및/또는 수축(이하, '신축')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신축성 표시 장치()에 포함된 신축성 표시 패널()은 표시 소자를 이루는 기본 단위에 해당하는 발광 소자들이 서로 유연한(flexible) 배선들로 연결되어 서로 독립적인 유동이 가능함으로써 신축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신축성 표시 패널()에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한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공지된 구성들을 통해 본 발명의 신축성 표시 패널()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표시 장치()는 외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신축된 후 외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태, 즉 평형 상태로 복원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외력에 의해 변형된 후 외력이 사라지거나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stretchable) 표시 장치(1)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신축성 표시 장치(1)는 이미지가 시인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에 인접하며 이미지가 시인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신축성 표시 장치(1)의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신축성 표시 장치(1)에 포함된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표시면이 시인되는 영역일 수 있고, 비표시 영역(NDA)은 신축성 표시 패널(200)이 배치되지 않아 배면의 프레임 부재(100)가 시인되는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표시면에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이 모두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영역(DA)과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표시면이 실질적으로 중첩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는 신축성 표시 장치(1)의 전면 방향에서 프레임 부재(100)가 일부 시인되는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신축성 표시 패널(200)이 신축성 표시 장치(1) 전면의 모든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어 전면 방향에서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만이 시인되고 프레임 부재(100)는 시인되지 않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신축성 표시 장치(1)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배면 상에 배치된 광학 모듈(OM), 고정 부재(FM) 및 고정부(F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배면이란 도면으로 도시된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표시면(전면)과 반대측에 위치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광학 모듈(OM)은 광을 이용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광학 모듈(OM)은 조도 센서, 지문 센서 등일 수도 있다.
광학 모듈(OM)은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 가려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다가, 신축성 표시 패널(200)이 신축됨에 따라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고정 부재(FM)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이 복원력을 갖는 경우 신축성 표시 패널(200)이 신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고정부(FP)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가장자리를 신축성 표시 장치(1) 내 프레임 부재(100) 등의 다른 구성들에 고정시켜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필요한 부분만 신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들에 대하여 신축성 표시 장치(1)의 확대도 및 단면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일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신축성 표시 장치(1)는 프레임 부재(100), 프레임 부재(100) 상에 배치된 신축성 표시 패널(200), 프레임 부재(100)와 신축성 표시 패널(200) 사이에 배치된 광학 모듈(OM)을 포함한다. 신축성 표시 장치(1)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된 고정 부재(FM)와 신축성 표시 패널(200) 상에 배치된 윈도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신축성 표시 장치(1)의 표시면 측을 의미하고, "하부", "바텀", "하면"은 신축성 표시 장치(1)의 표시면의 반대측을 의미한다.
프레임 부재(100)는 상부 측에 배치되는 신축성 표시 장치(1)의 내부 소자들을 수납하여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00)는 신축성 표시 장치(1)의 바텀 샤시(bottom chassis), 리어 케이스(rear case) 또는 브라켓(bracket) 등일 수도 있다. 프레임 부재(100)는 내부에 수납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재(100)는 외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신축성 표시 장치(1)의 외부 디자인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 부재(100)의 외측에 별도의 하우징(미도시)이 결합될 수도 있다.
신축성 표시 패널(200)은 표시면(상면)을 통해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 소자들을 포함한다. 특히, 상술한 것처럼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 포함된 발광 소자들이 서로 독립적인 유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신축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한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학 모듈(OM)은 신축성 표시 패널(200)과 프레임 부재(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모듈(OM)은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하면 상에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광학 모듈(OM)은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 덮여 외부, 즉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표시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는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고정 부재(FM)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FM)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복원력보다 큰 힘이 가해질 때만 변형 또는 거동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 복원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면 고정 부재(FM)도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신축과 함께 변형되고, 이후 외력이 사라지면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는 복원력만이 작용하기 때문에 고정 부재(FM)가 신축성 표시 패널(200)이 원형으로 복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고정 부재(FM)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 고정된 고정축(10),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 고정되지 않는 유동축(20) 및 고정축(10)과 유동축(20)을 연결하는 링크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30)는 고정축(10) 및 유동축(20) 각각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고정축(10), 유동축(20) 및 링크부재(30)는 각각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축(10)은 서로 링크부재(30) 및 유동축(20)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고정축(10)의 위치는 링크부재(30)가 고정축(10) 및 유동축(20)에 대한 회전운동이 가능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고정축(10)은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축(10)의 이동과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신축은 서로 종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링크부재(30)의 고정축(10) 및/또는 유동축(20)에 대한 회전운동의 정지 마찰력은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복원력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것처럼 고정 부재(FM)에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복원력보다 큰 힘이 가해질 때만 링크부재(30)의 회전 운동에 의해 고정축(10)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고, 이에 고정된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신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고정 부재(FM)가 외력의 크기에 따라 고정되거나 변형되는 수동적인 부품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부재(FM)는 외부 전력에 의한 유동축(20)의 능동적인 회전운동을 통해 고정축(1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신축을 제어하는 부재일 수도 있다.
도면에는 2개의 고정축(10)을 갖는 단일 고정 부재(FM)가 신축성 표시 장치(1)의 일 부분에만 배치된 경우가 도시되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고정축(10) 또는 고정 부재(FM)의 개수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표시 패널(200)이 별도의 복원력을 갖지 않는 경우, 고정 부재(FM)는 생략될 수도 있다.
고정부(FP)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일 부분을 프레임 부재(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FP)는 평면상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축성 표시 패널(200)이 일측 방향으로 신축될 때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가장자리 부분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FP)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과 프레임 부재(100)가 일체로 연결된 부분일 수도 있고, 별도의 결합 부재에 의해 간적접으로 연결된 부분일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FP)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을 프레임 부재(100)뿐만 아니라 신축성 표시 장치(1)의 기타 소자들에 연결하는 부분일 수도 있다. 아울러, 고정부(FP)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정 부재(FM)는 중앙부에 연결부를 가지며 수평으로 배치된 일자형태의 바 부재도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300)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윈도우(300)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서 출사되는 광을 투과시킨다. 윈도우(300)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 중첩하고, 신축성 표시 패널(200)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300)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과 같이 신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신축성 윈도우(300)일 수 있다. 신축성 윈도우(300)의 연신율은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연신율과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서 신축성 표시 패널(200)이 일측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신축성 표시 패널(200)은 외력에 의해 일측 방향, 즉 도 4에서는 하부 방향으로 도 5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형 상태에서는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 가려져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던 광학 모듈(OM)이 노출될 수 있고, 광학 모듈(OM)의 입광/출광을 통한 광학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신축성 표시 패널(200)이 일 방향으로 수축될 때,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하면에 고정된 고정 부재(FM) 또한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것처럼 신축성 표시 패널(200)에 고정된 고정축(10)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신축성 표시 패널(200)이 수축된 후 외력이 사라지더라도, 신축성 표시 패널(200)은 복원력보다 큰 힘에 의해서만 거동이 가능한 고정 부재(FM)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고 수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은 고정부(FP)에 의해 프레임 부재(100) 등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력이 가해진 중앙 부분만이 내측 방향으로 만입된 형태로 수축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신축성 표시 장치(1)의 전면(前面) 방향에서 광학 모듈(OM)이 시인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함 없이, 신축성 표시 패널(200)의 신축 특성을 이용하여 광학 모듈(OM)이 사용될 때만 시인되도록 함으로써 광학 모듈(OM)이 사용되지 않을 때는 신축성 표시 장치(1) 전면의 실질적인 모든 영역이 표시면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축성 표시 장치(1)의 스크린-바디 비율(screen to body ratio)이 이론상 100%까지도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2)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서 신축성 표시 패널(201)의 컷팅홀(H)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10의 신축성 표시 장치(2)는 신축성 표시 패널(201)에 컷팅홀(H)이 정의되고, 고정 부재(FM) 대신 셔터 부재(SM)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신축성 표시 패널(201)에는 신축성 표시 패널(201)을 관통하여 형성된 컷팅홀(H)이 정의될 수 있다. 컷팅홀(H)은 신축성 표시 패널(201)의 두께 방향, 즉 도 8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컷팅홀(H)은 윈도우(301)에도 형성되어 신축성 표시 패널(201)의 컷팅홀(H)과 일체화될 수 있다.
컷팅홀(H)은 평면상 광학 모듈(OM)과 중첩되는 영역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광학 모듈(OM)과 중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컷팅홀(H)은 신축성 표시 패널(201)이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평형상태일 때 광학 모듈(OM)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좁은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컷팅홀(H)은 신축성 표시 패널(201)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를 기준으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존재하는 형상을 의미할 수도 있고 별도의 공간 없이 신축성 표시 패널(201)이 홀 형식으로 절개된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다.
컷팅홀(H) 내에는 컷팅홀(H)을 확대 및/또는 축소(이하, '확대/축소')시키거나 컷팅홀(H)이 확대/축소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셔터 부재(SM)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셔터 부재(SM)는 컷팅홀(H)의 내벽을 따라 배치된 신축 부재(SM1) 및 신축 부재(SM1)와 연결되어 신축성 표시 패널(201)의 하면에 배치된 신축 조절 부재(SM2)를 포함할 수 있다.
신축 부재(SM1)는 컷팅홀(H)의 내벽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고리 형상의 신축성 소재일 수 있다. 신축 조절 부재(SM2)는 신축성 표시 패널(201)의 하부에서 신축 부재(SM1)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신축 부재(SM1)를 확대/축소시키거나 신축 부재(SM1)가 확대/축소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신축 조절 부재(SM2)는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신축성 표시 패널(201)은 외력에 의해 컷팅홀(H)이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형 상태에서는 신축성 표시 패널(201)에 의해 가려져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던 광학 모듈(OM)이 노출될 수 있고, 광학 모듈(OM)의 입광/출광을 통한 광학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컷팅홀(H)의 확장은 컷팅홀(H) 내에 배치된 셔터 부재(SM), 구체적으로 셔터 부재(SM)의 신축 부재(SM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고리 형상의 신축 부재(SM1)가 확대됨에 따라 신축 부재(SM1)로부터 내벽이 지지되는 컷팅홀(H) 또한 확장될 수 있다. 즉, 신축 부재(SM1)는 광학 모듈(OM)의 노출 여부를 조절하는 조리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 부재(SM1)의 확대 또는 확장은 신축 부재(SM1)의 외측에 연결 배치된 신축 조절 부재(SM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신축 조절 부재(SM2)가 신축 부재(SM1)의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컷팅홀(H)도 확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컷팅홀(H)의 확대/축소는 셔터 부재(SM)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직접 외력을 가하여 컷팅홀(H)을 확대/축소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신축성 표시 패널(201)의 컷팅홀(H)은 평형 상태에서 충분히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기 때문에 표시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 모듈(OM)이 사용되지 않을 때 신축성 표시 장치(2) 전면의 실질적인 모든 영역이 표시면으로서 활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3)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일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에서 신축성 표시 패널(3)의 절단된 부분으로 광학 모듈(OM)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15의 신축성 표시 장치(3)는 신축성 표시 패널(3)에 컷팅선(CL)이 정의되고, 고정 부재(FM) 대신 높이 조절 부재(HM)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신축성 표시 패널(3)에는 신축성 표시 패널(3)이 절단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컷팅선(CL)이 정의될 수 있다. 컷팅선(CL)은 신축성 표시 패널(3)의 두께 방향, 즉 도 13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절단된 선일 수 있다. 컷팅선(CL)은 윈도우(302)에도 형성되어 신축성 표시 패널(3)의 컷팅선(CL)과 일체화될 수 있다.
컷팅선(CL)은 적어도 일 부분이 평면상 광학 모듈(OM)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어도 일 부분이 실질적으로 광학 모듈(OM)과 중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컷팅선(CL)은 내부에 별도의 공간 없이 신축성 표시 패널(3)이 선 형태로 절개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축성 표시 패널(3)이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평형상태일 때 광학 모듈(OM)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컷팅선(CL)은 복수개가 서로 교차하여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컷팅선(CL)이 교차하여 십자가(┼)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 이상의 컷팅선(CL)이 별표(*) 형상으로 정의될 수도 있고, 복수의 컷팅선(CL) 중 일부만이 서로 교차하도록 정의될 수도 있는 등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광학 모듈(OM)의 하부에는 광학 모듈(OM)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부재(HM)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 조절 부재(HM)는 광학 모듈(OM)과 프레임 부재(101)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지지 부재(HM1) 및 지지 부재(HM1)들을 연결하며 길이 변경이 가능한 가변 부재(HM2)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부재(HM2)는 그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한 쌍의 지지 부재(HM1)간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학 모듈(OM)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가변 부재(HM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 부재(HM)에 의해 광학 모듈(OM)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신축성 표시 패널(3)의 절단된 부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신축성 표시 패널(3)은 그 신축성에 의해 광학 모듈(OM)이 절단된 부분 사이로 끼워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형 상태에서는 신축성 표시 패널(3)에 의해 가려져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던 광학 모듈(OM)이 노출될 수 있고, 입광/출광을 통한 광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처럼 광학 모듈(OM)이 사용되지 않을 때 신축성 표시 장치(3) 전면의 실질적인 모든 영역이 표시면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4)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신축성 표시 패널(203)이 일측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 및 17의 신축성 표시 장치(4)는 신축성 표시 패널(203)이 평형 상태로 복원된 상태일 때 광학 모듈(OM)이 사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신축성 표시 패널(203)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 일부가 상부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신축성 표시 패널(203)은 양측 가장자리를 프레임 부재(100)에 고정하는 제1 고정부(FP1)와 상측 모서리를 프레임 부재(100)에 고정하는 제2 고정부(FP2)에 의해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신축성 표시 패널(203)의 배면에 배치된 광학 모듈(OM)은 신축성 표시 패널(203)의 상측으로 신장된 부분에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신축성 표시 패널(203)의 상측이 프레임 부재(100)로부터 분리되어 복원력에 의해 수축됨으로써, 신축성 표시 패널(203)의 상측 부분에 의해 가려져 있던 광학 모듈(OM)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고정부(FP2)는 신축성 표시 패널(203)이 프레임 부재(100)에 대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레임 고정부(FP2a)와 패널 고정부(FP2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고정부(FP2a)는 프레임 부재(100)에 부착 및 고정되어 있는 부분이고, 패널 고정부(FP2b)는 신축성 표시 패널(203)의 배면에 부착 및 고정되어 있는 부분이다. 프레임 고정부(FP2a)와 패널 고정부(FP2b)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신축성 표시 패널(203)이 프레임 부재(100)에 대해 탈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신축성 표시 패널(203)이 평형 상태가 아닌 신축된 상태일 때 광학 모듈(OM)이 비노출되고 신축성 표시 패널(203)이 복원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구될 때 광학 모듈(OM)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신축성 표시 장치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OM: 광학 모듈
100: 프레임 부재
200: 신축성 표시 패널
300: 윈도우

Claims (20)

  1.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신축성 표시 패널; 및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이미지가 시인되는 표시면의 반대면 상에 배치된 광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모듈은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신장 또는 수축에 의해 외부에서 시인되거나 시인되지 않는 신축성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은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이 평면상 일측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일 때 외부에서 시인되는 신축성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과 상기 광학 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이 상기 일측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광학 모듈과 중첩된 부분 내에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컷팅홀이 정의되며,
    상기 광학 모듈은 상기 컷팅홀의 확장에 의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신축성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컷팅홀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셔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이 두께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학 모듈과 적어도 일 부분이 중첩된 하나 이상의 컷팅선이 정의되며,
    상기 광학 모듈은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절단된 부분 내로 삽입됨에 따라 외부에서 시인되는 신축성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의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측의 반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 모듈의 위치를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절단된 부분 내로 이동시키는 높이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컷팅선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컷팅선인 신축성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은 카메라 모듈인 신축성 표시 장치.
  10. 광학 모듈; 및
    상기 광학 모듈 상에 상기 광학 모듈을 덮도록 배치되며,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신축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광학 모듈을 노출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평면상 일측 방향으로 수축되어 상기 광학 모듈을 노출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과 상기 광학 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이 상기 일측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에 고정된 고정축,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에 고정되지 않은 유동축 및 상기 고정축과 상기 유동축을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광학 모듈과 중첩된 부분 내에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컷팅홀이 정의되며,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컷팅홀이 확장되어 상기 광학 모듈을 노출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컷팅홀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셔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이 두께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학 모듈과 적어도 일 부분이 중첩된 하나 이상의 컷팅선이 정의되며,
    상기 광학 모듈은 상기 절단된 부분 내로 삽입됨에 따라 노출되는 신축성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의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측의 반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 모듈의 위치를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절단된 부분 내로 이동시키는 높이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17.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신축성 표시 패널; 및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이미지가 시인되는 표시면의 반대면 상에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에 중첩되도록 배치된 광학 모듈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를 준비하고,
    상기 광학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을 신장 또는 수축시켜 상기 광학 모듈이 외부에서 시인되도록 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광학 모듈 사용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광학 모듈과 중첩된 부분 내에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컷팅홀이 정의되며,
    상기 컷팅홀을 확장시켜 상기 광학 모듈이 시인되도록 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광학 모듈 사용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은 상기 신축성 표시 패널이 두께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학 모듈과 적어도 일 부분이 중첩된 하나 이상의 컷팅선이 정의되며,
    상기 광학 모듈이 상기 절단된 부분 내로 삽입되어 시인되도록 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광학 모듈 사용 방법.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은 카메라 모듈인 신축성 표시 장치의 광학 모듈 사용 방법.
KR1020170107973A 2017-08-25 2017-08-25 광학 모듈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395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73A KR102395107B1 (ko) 2017-08-25 2017-08-25 광학 모듈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US15/959,392 US10802537B2 (en) 2017-08-25 2018-04-23 Stretch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optical module and method of using the stretchable display device
CN201810914806.XA CN109427254B (zh) 2017-08-25 2018-08-13 包括光学模块的可伸缩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73A KR102395107B1 (ko) 2017-08-25 2017-08-25 광학 모듈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008A true KR20190023008A (ko) 2019-03-07
KR102395107B1 KR102395107B1 (ko) 2022-05-06

Family

ID=6543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973A KR102395107B1 (ko) 2017-08-25 2017-08-25 광학 모듈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02537B2 (ko)
KR (1) KR102395107B1 (ko)
CN (1) CN109427254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077A1 (ko) * 2021-01-27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469400B2 (en) 2020-02-21 2022-10-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11581393B2 (en) 2020-07-31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WO2023096180A1 (ko) * 2021-11-29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및 ud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11895383B2 (en) 2021-01-27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4417B1 (en) 2019-08-15 2021-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changable display screen and camera segments
CN111710249B (zh) * 2020-06-09 2021-11-0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1832A1 (en) * 2015-04-07 2016-10-13 Lenovo (Beijing)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s Thereof
KR20160150539A (ko) * 2015-06-22 2016-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67143B1 (en) * 2005-04-06 2011-11-02 Nokia Corporation Extensible mobile electronic device
US7570483B2 (en) * 2005-06-01 2009-08-04 Kim Si-Han Portable display device
CN2870332Y (zh) * 2005-12-29 2007-02-14 英业达股份有限公司 一种隐藏式摄像装置
KR101692252B1 (ko) * 2012-04-08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903053B1 (ko) * 2012-07-10 2018-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88448B1 (ko) * 2012-09-07 2018-08-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 방법
CN205721537U (zh) * 2016-05-31 2016-11-23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06790833A (zh) * 2017-02-24 2017-05-3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摄像头的移动终端
CN106993125B (zh) * 2017-05-23 2019-04-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1832A1 (en) * 2015-04-07 2016-10-13 Lenovo (Beijing)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s Thereof
KR20160150539A (ko) * 2015-06-22 2016-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9400B2 (en) 2020-02-21 2022-10-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11581393B2 (en) 2020-07-31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WO2022164077A1 (ko) * 2021-01-27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95383B2 (en) 2021-01-27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or
WO2023096180A1 (ko) * 2021-11-29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및 ud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27254A (zh) 2019-03-05
CN109427254B (zh) 2022-10-04
KR102395107B1 (ko) 2022-05-06
US10802537B2 (en) 2020-10-13
US20190064875A1 (en)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3008A (ko) 광학 모듈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US20180192527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20190208649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06233362B (zh) 显示装置
US8380327B2 (en) Flexible electronic product having a shape change characteristic and method thereof
EP3264732A1 (en) Mobile terminal
US20160205792A1 (en) Foldable display
US20210004054A1 (en)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60087435A (ko) 표시모듈
US20160014914A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TWM555067U (zh) 可撓式顯示器及具有可撓式顯示器的裝置
US20170027067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20123502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909889B2 (en) Display device
KR2015009967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US10754158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WO1999046932B1 (en) Portable visual display device with a collapsible presentation screen
JP6639313B2 (ja) 携帯端末
KR101678498B1 (ko) 확장화면형 이동 단말기
US11775012B2 (en) Foldabl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KR20160100000A (ko) 신축성 표시 장치
JP2009164861A (ja) ヒンジ構造、及び折り畳み式電子機器
US10725499B1 (en) Display device
JP2019518536A (ja) 仮想現実兼用携帯電話ケース
US9389497B2 (en) Micro-projection-display devices and adjustable display scre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