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950A -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950A
KR20190022950A KR1020170106473A KR20170106473A KR20190022950A KR 20190022950 A KR20190022950 A KR 20190022950A KR 1020170106473 A KR1020170106473 A KR 1020170106473A KR 20170106473 A KR20170106473 A KR 20170106473A KR 20190022950 A KR20190022950 A KR 20190022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tuning
vehicle
us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369B1 (ko
Inventor
전기완
김태림
권성진
이동원
이봉현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0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3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내부를 디자인하기 위한 튜닝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데이터베이스,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며 튜닝 디자인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 디자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튜닝 디자인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표시된 튜닝 디자인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튜닝 디자인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TUNING DESIG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인테리어를 가상으로 튜닝하기 위한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을 튜닝하기 위한 튜닝품을 개개인이 구입하여 장착하는 튜닝 문화가 활성화되는 추세에 있다. 차량에는 안테나, 카오디오, 타이어 휠 및 서스펜션 등의 각종 부품이 장착되며, 차량 소유주는 이러한 각종 부품들을 튜닝하기 위한 튜닝 부품을 구입하여 차량에 장착함으로써 자신의 취향에 맞게 차량을 튜닝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차량 튜닝은 차량의 서스펜션과 같은 외관에 대한 튜닝으로 한정되어 있어 차량 소유주의 다양한 욕구를 상쇄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차량의 감성 품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차량의 외관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인테리어 디자인도 튜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청된다. 다만, 차량의 물리적인 내부 튜닝을 위해 차량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튜닝 부품은 그 수가 한정적이며, 물리적인 내부 튜닝을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어, 차량 소유주가 보다 용이하게 내부 튜닝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7279호(2016. 05. 03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경제적이고 편리하게 차량 내부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튜닝하고, 차량 소유주의 감성 품질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는 차량의 내부를 디자인하기 위한 튜닝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데이터베이스,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튜닝 디자인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 상기 디자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튜닝 디자인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튜닝 디자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튜닝 디자인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정 저장부,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로부터 전달받은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튜닝 디자인을 링크시켜 상기 설정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가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생성한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부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설정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받은 식별 정보와 링크되어 저장된 튜닝 디자인을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튜닝 디자인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디자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튜닝 디자인과 함께 주행 환경 입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상기 표시된 주행 환경 입력 정보에 따른 튜닝 디자인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환경 입력 정보 및 상기 튜닝 디자인을 링크시켜 상기 설정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주행 환경 입력 정보는, 차속 정보, 주간/야간 주행 정보, 및 고속도로/국도 주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환경과 링크되어 저장된 튜닝 디자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튜닝 디자인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튜닝 디자인을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표시부는 스티어링 휠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튜닝 디자인은 그래픽 디자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 스크린을 통해 상기 그래픽 디자인을 표시하는 스크린 방식, 및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상기 그래픽 디자인을 영사하는 프로젝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디자인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튜닝 디자인은 배기음 및 변속타이밍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오디오 디자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오디오 디자인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디자인 튜닝 방법은 인터페이스부가, 차량의 내부를 디자인하기 위한 튜닝 디자인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튜닝 디자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튜닝 디자인을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소유주의 취향에 맞는 가상의 인테리어 디자인 튜닝을 통해 경제적이고 편리하게 차량의 내부 디자인을 튜닝할 수 있고, 사용자 및 주행 환경에 따라 차량의 내부 디자인을 가변적으로 튜닝하는 소프트웨어 튜닝 방식을 통해 보다 능동적으로 차량의 내부 디자인을 튜닝함으로써 차량 소유주의 다양한 취향에 맞는 인테리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자인 튜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는 디자인 데이터베이스(100), 표시부(200), 인터페이스부(3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데이터베이스(100)는 차량의 내부를 디자인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튜닝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튜닝 디자인은 후술할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디자인, 및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형태로 디자인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디자인 데이터베이스(100)는 저장하고 있는 튜닝 디자인을 후술할 제어부(6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디자인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제공받은 튜닝 디자인을 후술할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튜닝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디자인 데이터베이스(100)는 차량 외부에 존재하는 웹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자인 데이터베이스(100)는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와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해, 차량에 탑재되어 인터넷망에 연결된 제어부(600)로 튜닝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2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며 튜닝 디자인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표시부(200)는 디자인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제공된 튜닝 디자인을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2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스티어링 휠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튜닝 디자인을 표시할 수 있는 차량 내부의 모든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00)는 디자인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튜닝 디자인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표시된 튜닝 디자인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제어부(600)는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튜닝 디자인을 표시부(2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디자인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튜닝 디자인이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인터페이스부(300)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튜닝 디자인 중 사용자가 선택한 튜닝 디자인(사용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튜닝 디자인을 선택할 수도 있다.)을 제어부(600)가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차량 내부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구현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정 저장부(400) 및 사용자 식별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부(500)는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부(5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지문 인식 센서 또는 홍채 인식 센서와 같은 주지의 생체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사용자 식별부(500)로부터 전달받은 식별 정보 및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튜닝 디자인(튜닝 디자인군)을 링크시켜 설정 저장부(40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설정 저장부(400)는 하기 표 1과 같이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해당 사용자가 선택한 튜닝 디자인의 링크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1의 식별 정보

사용자 2의 식별 정보

튜닝 데이터군 1(튜닝 데이터 1 내지 7)

튜닝 데이터군 2(튜닝 데이터 8 내지 14)
상기한 구성을 토대로 제어부(600)는, 추후에 일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사용자 식별부(500)가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생성한 식별 정보를 사용자 식별부(500)로부터 입력받고, 설정 저장부(400)를 검색하여 입력받은 식별 정보와 링크되어 저장된 튜닝 디자인을 결정한 후, 결정된 튜닝 디자인을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취향에 맞는 튜닝 디자인을 차별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하나의 디자인으로 고정되는 물리적인 내부 튜닝 대비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300)는 디자인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튜닝 디자인과 함께 주행 환경 입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표시된 주행 환경 입력 정보에 따른 튜닝 디자인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주행 환경 입력 정보 및 튜닝 디자인을 링크시켜 설정 저장부(40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환경 입력 정보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튜닝 디자인을 변경시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한 튜닝 디자인과 링크되어 설정 저장부(400)에 저장되는 정보를 의미하며, 주행 환경 입력 정보는, 차속 정보, 주간/야간 주행 정보, 및 고속도로/국도 주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 저장부(400)에는 하기 표 2와 같은 주행 환경 입력 정보 및 튜닝 디자인의 링크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차속
범위 1
튜닝 디자인 1
고속도로/국도 주행 환경
고속도로 튜닝 디자인 4
주간/야간 주행 환경
주간 튜닝 디자인 6
범위 2 튜닝 디자인 2
국도
튜닝 디자인 5
야간

튜닝 디자인 7
범위 3 튜닝 디자인 3
따라서, 상기 표 1 및 표 2에 따라 설정 저장부(400)에는 사용자 및 주행 환경 입력 정보 별로 튜닝 디자인이 하기 표 3과 같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1의 식별 정보
튜닝 데이터군 1(튜닝 데이터 1 내지 7)


차속
범위 1 튜닝 디자인 1
고속도로/국도 주행 환경
고속도로 튜닝 디자인 4
주간/야간 주행 환경
주간 튜닝 디자인 6
범위 2 튜닝 디자인 2 국도 튜닝 디자인 5 야간 튜닝 디자인 7
범위 3 튜닝 디자인 3
사용자 2의 식별 정보
튜닝 데이터군 2(튜닝 데이터 8 내지 14)


차속
범위 1 튜닝 디자인 8
고속도로/국도 주행 환경
고속도로 튜닝 디자인 11
주간/야간 주행 환경
주간 튜닝 디자인 13
범위 2 튜닝 디자인 9 국도 튜닝 디자인 12 야간 튜닝 디자인 14
범위 3 튜닝 디자인 10
구체적인 예시로서 설명하면, 사용자 1이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제어부(600)는 사용자 1의 식별 정보와 링크된 튜닝 디자인군 1을 결정하고, 튜닝 디자인군 1에 포함된 튜닝 디자인 1 내지 7을 주행 환경 입력 정보와 함께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1이 차속 범위 1 내지 3 각각에 대하여 튜닝 디자인 1 내지 3을 선택하고, 고속도로 및 국도 주행 환경 각각에 대하여 튜닝 디자인 4 및 5를 선택하고, 주간 주행 환경 및 야간 주행 환경 각각에 대하여 튜닝 디자인 6 및 7을 선택하면, 제어부(600)는 사용자 1에 대하여 표 3에 기재된 링크 정보를 설정 저장부(4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설정 저장부(400)를 검색하여 차량의 현재 주행 환경과 링크되어 저장된 튜닝 디자인을 결정하고, 결정된 튜닝 디자인을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되는 튜닝 디자인을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될 튜닝 디자인이 중복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 1이 차량을 주행중인 경우로서 차량의 주행 환경이 차속 범위 1, 고속도로 주행 환경 및 주간 주행 환경인 경우에는 튜닝 디자인 1, 4 및 6이 중복되므로, 차속, 고속도로/국도 주행 정보, 및 주간/야간 주행 정보 간의 표시 우선 순위가 제어부(6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예: 차속 > 고속도로/국도 주행 정보 > 주간/야간 주행 정보).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튜닝 디자인은 그래픽 디자인(차량 제조업체의 로고, 클러스터의 색상, 밝기 및 표시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표시부(200)에 구비된 스크린을 통해 그래픽 디자인을 표시하는 스크린 방식, 및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프로젝터를 통해 표시부(200)에 그래픽 디자인을 영사하는 프로젝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그래픽 디자인을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표시부(200)에는 LCD 스크린 또는 LED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스크린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600)는 표시부(200)에 구비된 스크린을 통해 그래픽 디자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프로젝터를 제어하여 그래픽 디자인을 표시부(200)로 영사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그래픽 디자인을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젝터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튜닝 디자인은 3D 홀로그램 형태로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이 경우, 프로젝터로부터의 광을 반사시켜 3D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해 거울 또는 렌즈와 같은 광학 부재가 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윈드 쉴드를 통한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VR: Virtual Reality) 형태로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예: 헤드업 디스플레이).
또한, 튜닝 디자인은 배기음 및 변속타이밍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오디오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차량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디자인을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디자인은 배기음 및 변속타이밍음 뿐만 아니라 엔진음 또는 경음기음 등을 포함하도록 더욱 세분화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자인 튜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자인 튜닝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인터페이스부(300)는 차량의 내부를 디자인하기 위한 튜닝 디자인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표시된 튜닝 디자인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S200).
이어서, 제어부(600)는 S100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튜닝 디자인을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한다(S400).
한편, 본 실시예는 S200 단계 이전에, 사용자 식별부(500)가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S100 단계, 및 S200 단계 이후 제어부(600)가 사용자 식별부(500)로부터 전달받은 식별 정보 및 S200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튜닝 디자인을 링크시켜 저장하는 S30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400 단계에서 제어부(600)는, S100 단계에서 사용자 식별부(500)가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생성한 식별 정보를 사용자 식별부(500)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식별 정보와 링크되어 저장된 튜닝 디자인을 결정한 후, 결정된 튜닝 디자인을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S20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300)는 튜닝 디자인과 함께 주행 환경 입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상기 표시된 주행 환경 입력 정보에 따른 튜닝 디자인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으며, S300 단계에서 제어부(600)는 S200 단계에서 주행 환경 입력 정보 및 튜닝 디자인을 링크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400 단계에서 제어부(600)는 차량의 현재 주행 환경과 링크되어 저장된 튜닝 디자인을 결정하고, 결정된 튜닝 디자인을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되는 튜닝 디자인을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튜닝 디자인은 그래픽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S400 단계에서 제어부(600)는 표시부(200)에 구비된 스크린을 통해 그래픽 디자인을 표시하는 스크린 방식, 및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프로젝터를 통해 표시부(200)에 그래픽 디자인을 영사하는 프로젝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그래픽 디자인을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튜닝 디자인은 배기음 및 변속타이밍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오디오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제어부(600)가 차량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디자인을 출력하는 S50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차량 소유주의 취향에 맞는 가상의 인테리어 디자인 튜닝을 통해 경제적이고 편리하게 차량의 내부 디자인을 튜닝할 수 있고, 사용자 및 주행 환경에 따라 차량의 내부 디자인을 가변적으로 튜닝하는 소프트웨어 튜닝 방식을 통해 보다 능동적으로 차량의 내부 디자인을 튜닝함으로써 차량 소유주의 다양한 취향에 맞는 인테리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자인 데이터베이스
200: 표시부
300: 인터페이스부
400: 설정 저장부
500: 사용자 식별부
600: 제어부

Claims (18)

  1. 차량의 내부를 디자인하기 위한 튜닝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데이터베이스;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튜닝 디자인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
    상기 디자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튜닝 디자인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튜닝 디자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튜닝 디자인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설정 저장부;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로부터 전달받은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튜닝 디자인을 링크시켜 상기 설정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가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생성한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부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설정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받은 식별 정보와 링크되어 저장된 튜닝 디자인을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튜닝 디자인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디자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튜닝 디자인과 함께 주행 환경 입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상기 표시된 주행 환경 입력 정보에 따른 튜닝 디자인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환경 입력 정보 및 상기 튜닝 디자인을 링크시켜 상기 설정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환경 입력 정보는, 차속 정보, 주간/야간 주행 정보, 및 고속도로/국도 주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환경과 링크되어 저장된 튜닝 디자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튜닝 디자인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튜닝 디자인을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스티어링 휠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디자인은 그래픽 디자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 스크린을 통해 상기 그래픽 디자인을 표시하는 스크린 방식, 및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상기 그래픽 디자인을 영사하는 프로젝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디자인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디자인은 배기음 및 변속타이밍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오디오 디자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오디오 디자인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10. 인터페이스부가, 차량의 내부를 디자인하기 위한 튜닝 디자인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튜닝 디자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튜닝 디자인을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부가,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식별부로부터 전달받은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튜닝 디자인을 링크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가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생성한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부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식별 정보와 링크되어 저장된 튜닝 디자인을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튜닝 디자인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받는 단계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튜닝 디자인과 함께 주행 환경 입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상기 표시된 주행 환경 입력 정보에 따른 튜닝 디자인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환경 입력 정보 및 상기 튜닝 디자인을 링크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환경 입력 정보는, 차속 정보, 주간/야간 주행 정보, 및 고속도로/국도 주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환경과 링크되어 저장된 튜닝 디자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튜닝 디자인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튜닝 디자인을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스티어링 휠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디자인은 그래픽 디자인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 스크린을 통해 상기 그래픽 디자인을 표시하는 스크린 방식, 및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상기 그래픽 디자인을 영사하는 프로젝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디자인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디자인은 배기음 및 변속타이밍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오디오 디자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오디오 디자인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자인 튜닝 방법.
KR1020170106473A 2017-08-23 2017-08-23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및 방법 KR102082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473A KR102082369B1 (ko) 2017-08-23 2017-08-23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473A KR102082369B1 (ko) 2017-08-23 2017-08-23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950A true KR20190022950A (ko) 2019-03-07
KR102082369B1 KR102082369B1 (ko) 2020-02-27

Family

ID=6576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473A KR102082369B1 (ko) 2017-08-23 2017-08-23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3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040A (ja) * 2001-09-26 2003-04-03 Daihatsu Motor Co Ltd 車載機器の関連情報表示装置
JP2013095268A (ja) * 2011-11-01 2013-05-20 Toyota Motor Corp 車載表示装置とサーバとシステム
KR20130079872A (ko) *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출력음 선택 및 출력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040A (ja) * 2001-09-26 2003-04-03 Daihatsu Motor Co Ltd 車載機器の関連情報表示装置
JP2013095268A (ja) * 2011-11-01 2013-05-20 Toyota Motor Corp 車載表示装置とサーバとシステム
KR20130079872A (ko) *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출력음 선택 및 출력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369B1 (ko)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0109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US10769831B2 (en) Head up display
JP6629889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10302953B2 (en) Adjustable head-up display arrangement for a vehicle
US11034242B2 (en) Motor vehicle with a display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US1150719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content on an output means of a vehicle
WO2019097762A1 (ja) 重畳画像表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80078080A (ko) 표시 장치
US20220084256A1 (en) Integrat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sharing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between vehicle occupants
JP2017094882A (ja) 虚像生成システム、虚像生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80232190A1 (en) Display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9751530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082369B1 (ko) 차량의 디자인 튜닝 장치 및 방법
US723685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display of information
JP2019081450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53299A (ko) 차량의 주행환경 자동 세팅방법 및 장치
US11828947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18459B2 (en) Providing a lighting function for assisting a driver when driving a motor vehicle
JP6872441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70011300A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20152970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9082856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56249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880038B2 (en) Hybrid vehicle projector
WO2017110014A1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