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951A - Pipe coupling - Google Patents
Pipe coupl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1951A KR20190021951A KR1020170107452A KR20170107452A KR20190021951A KR 20190021951 A KR20190021951 A KR 20190021951A KR 1020170107452 A KR1020170107452 A KR 1020170107452A KR 20170107452 A KR20170107452 A KR 20170107452A KR 20190021951 A KR20190021951 A KR 201900219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pipe
- fastening
- connectio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pipe ends abutting each o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연결의 기밀성과 안정성을 향상한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액체나 기체를 관의 내부를 통해 이송시킨다. 통상 사용되고 있는 파이프의 연결방법은 그립형 장치를 이용한 방법, 홈 조인트 장치를 이용한 방법, 플랜지를 결합하여 연결하는 방법, 파이프와 파이프의 접합부분을 용접하여 직접 연결하는 방법, 파이프의 외주면에 용접 결합된 링에 조인트를 끼워 연결하는 방법 및 한쪽 파이프의 확관 부위에 타측 파이프를 끼워넣는 방법 등이 있다.In general, pipes transport liquid or ga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tube. A method of connecting a pipe commonly used includes a method using a grip type device, a method using a groove joint device, a method of connecting flanges, a method of directly connecting a joint portion of a pipe and a pipe, A method in which a joint is inserted into a ring to be connected, and a method in which the other pipe is inserted into an expanded portion of one pipe.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9396호(2015.08.27 등록, 발명의 명칭: 배관 연결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49396 (Registered on May 27, 2017, entitled "Piping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파이프 연결의 기밀성과 안정성을 향상한 파이프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ipe connecting apparatus which improves airtightness and stability of pipe connection.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는: 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의 유체 유동량을 조절하는 밸브부; 일면이 상기 밸브부의 플랜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의 외측면을 감싸고, 분리 가능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브래킷부를 포함한다.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alve unit connected to a pipe, the valve unit controlling a fluid flow amount of the pipe; A connection part having a surface connected to the flange of the valve part; And a bracket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enclo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the bracket part being detachable.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중심부에 상기 파이프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고, 타면이 상기 브래킷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몸체부; 상기 관통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에 장착되고, 유체의 누설을 차단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body portion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pipe passes at a central portion, one side connected to the flang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racket portion; A receiving groov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a sealing portion mounted o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and blocking leakage of the fluid.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관통부에서 외측으로 향할수록 직경의 크기가 점점 크게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its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in the penetrat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실링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portion includes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본 발명에서 상기 실링부는 테프론(Teflon)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portion includes Teflon.
본 발명에서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파이프의 일면을 감싸는 제1브래킷부; 상기 제1브래킷부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제1체결공부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 상기 파이프의 타면을 감싸고, 상기 제1브래킷부와 분리 가능한 제2브래킷부; 상기 제2브래킷부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체결공부에 대응되는 제2체결공부가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 및 상기 제1체결공부와 상기 제2체결공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를 체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bracket portion surrounding one side of the pipe; A first guide port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first bracket portion and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therein; A second bracket part surrounding the other surface of the pipe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bracket part; A second guide part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second bracket part and having a second fasten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a fixing part passing through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nd fastening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본 발명에서 상기 브래킷부와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브래킷부와 상기 연결부를 관통 체결하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밸브부는 상기 브래킷부, 상기 연결부, 상기 밸브부를 관통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are connected by a first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bracke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bracket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valve portion penetrate through the bracket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And is connected by a second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본 발명에서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개스킷이 장착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gasket for preventing leakage of fluid is mount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connec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는 휘발성 유체가 유동되는 파이프의 연결을 조립식으로 함으로써, 폭발 위험이 방지되고 안정성을 향상시킨다.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risk of explosion and improves the stability by assembling the connection of the pipe through which the volatile fluid flow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편하게 조립식으로 밸브부와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portion and the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imple assembling method, there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와 브래킷부의 직경을 변경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파이프를 밸브부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a pipe of various sizes into the valve portion while changing the diameters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bracket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열성, 내약품성에 우수한 실링부를 적용하여 비교적 안전한 유체인 물로부터 폭발 위험이 높은 유체를 이송하는 파이프에 적용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o a pipe for transferring a fluid having a high risk of explosion from water, which is a relatively safe fluid, by applying a sealing part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racke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Further,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p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는 밸브부(10), 연결부(20), 브래킷부(30)를 포함한다. 밸브부(10)는 일측(도 2 기준 우측)에 연결부(20)에 대응되는 플랜지(11)가 형성되고, 파이프(40)와 연결되어 파이프(40)의 유체 유동량을 조절한다. 파이프(40)는 유체가 유동되는 관으로, 밸브부(10)와의 연결에 맞는 길이로 미리 절단한 후 밸브부(10)로 연결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플랜지(11)와 연결부(20) 사이에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개스킷(13)이 장착된다. 개스킷(13)은 플랜지(11)의 연결부(20)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방지하는 것으로, 수밀성과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무재의 재료를 포함한다. 또한 개스킷(13)은 후술하는 테프론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Between the
연결부(20)는 일면(도 2 기준 좌측면)이 밸브부(10)의 플랜지(11)에 연결되는 것으로, 중심부가 비어 있고 플랜지(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20)는 일면(도 2 기준 좌측면)이 플랜지(11)에 접촉되고, 타면(도 2 기준 우측면)이 브래킷부(30)에 접촉된다. The connectin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는 연결부 몸체부(21), 수용홈부(23), 실링부(25)를 포함한다. 연결부 몸체부(21)는 밸브부(10)의 플랜지(1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연결부 몸체부(21)는 중심부에 파이프(40)가 관통되는 관통부(22)가 형성되고, 일면(도 2 기준 좌측면)이 플랜지(11)에 접촉되어 연결되고, 타면(도 2 기준 우측면)이 브래킷부(30)에 접촉되어 연결된다. 5 and 6, the connecting
수용홈부(23)는 관통부(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실링부(25)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실링부(25)는 수용홈부(23)에 장착되고,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수용홈부(23)는 관통부(22)에서 외측(도 6 기준 우측)으로 향할수록 직경의 크기가 점점 크게 형성된다. 수용홈부(23)는 관통부(22)에서 외측으로 향할수록 직경의 크기가 점점 크게 형성되어, 외측에서 실링부(25)가 수용홈부(23)에 장착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실링부(2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수용홈부(23)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부 몸체부(21)와 브래킷부(30)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실링부(25)는 오링(O-Ring), 슬리브(Sleeve), 패킹(Packing)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링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수용홈부(23)에 수용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며 연결부 몸체부(21)와 브래킷부(30)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sealing
슬리브는 신축 이음(Eexpansion Joint)의 일종으로, 한쪽이 다른 쪽에 꽂힐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연결부 몸체부(21)와 브래킷부(30)의 신축을 자유롭게 한다. The sleeve is a kind of expansion joint, which frees the
패킹은 수용홈부(23)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되어, 연결부 몸체부(21)와 브래킷부(30)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packing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실링부(25)는 테프론(Teflon))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테프론은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Tetrafluoroethylene)의 첨가중합으로 얻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으로 만든 섬유로, 내약품성, 내열성, 소수성에 대해 우수하다. 따라서 파이프(40)에 유동되는 유체가 고온이거나 산화성 등의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연결부 몸체부(21)와 브래킷부(30)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sealing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부(30)는 제1브래킷부(31), 제1가이드부(32), 제2브래킷부(35), 제2가이드부(36), 고정부(39)를 포함한다. 3, 4 and 7, the
제1브래킷부(31)는 파이프(40)의 일면(도 2 기준 상부면)을 감싸고, 중심부에 파이프(40)가 관통되는 반구형의 제1관통부(34)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32)는 제1브래킷부(31)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제1체결공부(33)가 형성된다. 제1체결공부(33)로 고정부(39)가 관통된다.The
제2브래킷부(35)는 파이프(40)의 타면(도 2 기준 하부면)을 감싸고, 중심부에 파이프(40)가 관통되는 반구형의 제2관통부(38)가 형성된다. 제2브래킷부(35)는 제1브래킷부(35)와 합쳐서 한 쌍의 원형을 이루게 되고, 제1브래킷부(31)와 분리 가능하다.The
제2가이드부(36)는 제2브래킷부(35)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제2체결공부(37)가 형성된다. 제2체결공부(37)는 제1체결공부(33)에 대응되게 제2가이드부(36)에 형성되고, 제2체결공부(37)로 고정부(39)가 관통된다.The
고정부(39)는 나사, 볼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체결공부(33)와 제2체결공부(37)를 관통하여 제1가이드부(32)와 제2가이드부(36)를 체결한다. 제1체결공부(33)와 제2체결공부(37)에는 고정부(39)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fixing
고정부(39)에 의해 제1가이드부(32)와 제2가이드부(36)를 체결함으로써, 제1브래킷부(31)와 제2브래킷부(35)는 일체를 이루면서 파이프(40)를 지지하게 된다. 제1관통부(34)와 제2관통부(38)의 크기는 적용되는 파이프(4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The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를 설명한다. 파이프(40)는 밸브부(10)와 연결하기 전 적용되는 공간에 맞는 길이로 미리 절단된다.1, 2, and 7,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브래킷부(30)에서 제1브래킷부(31)와 제2브래킷부(35)는 파이프(40)의 외측면을 감싸게 배치된다. 제1브래킷부(31)와 제2브래킷부(35)가 파이프(40)의 외측면을 감싼 후, 고정부(39)는 제1체결공부(33)와 제2체결공부(37)를 관통하여 제1가이드부(32)와 제2가이드부(36)를 체결한다. 따라서 제1브래킷부(31)와 제2브래킷부(35)은 파이프(40)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일체를 이루어, 파이프(40)를 지지한다.In the
연결부(20)는 브래킷부(30)에 의해 지지되고 노출된 파이프(40)의 단부(도 7 기준 좌측단부)에 장착된다. 연결부(20)와 브래킷부(30)는 제1체결부재(60)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된다. 제1체결부재(60)는 나사, 볼트 등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20)와 브래킷부(30)를 관통 체결한다.The connecting
연결부(20)와 밸브부(10)의 플랜지(11) 사이에 개스킷(13)을 장착하고, 연결부(20)를 플랜지(11)에 접촉시킨다. 밸브부(10)의 플랜지(11), 연결부(20), 브래킷부(30)을 일렬로 놓고, 브래킷부(30)와 연결부(20)와 밸브부(10)는 브래킷부(30), 연결부(20), 밸브부(10)의 플랜지(11)를 관통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50)에 의해 연결된다. 제2체결부재(50)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브래킷부(30)와 연결부(20)와 밸브부(10)가 일체를 이루게 한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는 휘발성 유체가 유동되는 파이프(40)의 연결을 조립식으로 함으로써, 폭발 위험이 방지되고 안정성을 향상시킨다.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risk of explosion and improves the stability by assembling the connec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편하게 조립식으로 밸브부(10)와 파이프(40)를 연결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20)와 브래킷부(30)의 직경을 변경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파이프(40)를 밸브부(10)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열성 및 내약품성에 우수한 실링부(25)를 적용하여 비교적 안전한 유체인 물로부터 폭발 위험이 높은 유체를 이송하는 파이프에 적용이 가능하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o a pipe for transferring a fluid having a high risk of explosion from water, which is a relatively safe fluid, by applying a seal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밸브
11: 플랜지
13: 개스킷
20: 연결부
21: 연결부 몸체부
22: 관통부
23: 수용홈부
25: 실링부
30: 브래킷부
31: 제1브래킷부
32: 제1가이드부
33: 제1체결공부
34: 제1관통부
35: 제2브래킷부
36: 제2가이드부
37: 제2체결공부
38: 제2관통부
39: 고정부
40: 파이프
50: 제2체결부재
60: 제1체결부재10: valve 11: flange
13: gasket 20: connection
21: connecting body part 22: penetrating part
23: receiving groove 25: sealing part
30: bracket part 31: first bracket part
32: first guide portion 33: first fastening portion
34: first penetrating part 35: second bracket part
36: second guide part 37: second fastening part
38: second penetrating portion 39:
40: pipe 50: second fastening member
60: first fastening member
Claims (8)
일면이 상기 밸브부의 플랜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의 외측면을 감싸고, 분리 가능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브래킷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A valve unit connected to the pipe and regulating a fluid flow amount of the pipe;
A connection part having a surface connected to the flange of the valve part; And
And a pair of bracket part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enclo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and being separable from each other.
상기 연결부는,
중심부에 상기 파이프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고, 타면이 상기 브래킷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몸체부;
상기 관통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에 장착되고, 유체의 누설을 차단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A connecting body portion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pipe penetrates in a center portion, one surface connected to the flange, and the other surface connected to the bracket portion;
A receiving groov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And a sealing portion which is mounted to the receiving groove and blocks the leakage of the fluid.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관통부에서 외측으로 향할수록 직경의 크기가 점점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has a diameter gradually increasing toward the outside in the through-hole.
상기 실링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aling portion comprises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상기 실링부는 테프론(Teflo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aling portion comprises Teflon. ≪ RTI ID = 0.0 > 11. < / RTI >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파이프의 일면을 감싸는 제1브래킷부;
상기 제1브래킷부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제1체결공부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
상기 파이프의 타면을 감싸고, 상기 제1브래킷부와 분리 가능한 제2브래킷부;
상기 제2브래킷부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체결공부에 대응되는 제2체결공부가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 및
상기 제1체결공부와 상기 제2체결공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를 체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ket portion
A first bracket portion surrounding one side of the pipe;
A first guide port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first bracket portion and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therein;
A second bracket part surrounding the other surface of the pipe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bracket part;
A second guide part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second bracket part and having a second fasten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And a fixing unit passing through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s and the second fastening projections and fastening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상기 브래킷부와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브래킷부와 상기 연결부를 관통 체결하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밸브부는 상기 브래킷부, 상기 연결부, 상기 밸브부를 관통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are connected by a first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bracke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bracket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valve portion are connected by a second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rough the bracket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valve portion.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개스킷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asket is mount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connecting portion to prevent leakage of the flui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7452A KR20190021951A (en) | 2017-08-24 | 2017-08-24 | Pipe coupl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7452A KR20190021951A (en) | 2017-08-24 | 2017-08-24 | Pipe coupl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1951A true KR20190021951A (en) | 2019-03-06 |
Family
ID=6576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7452A KR20190021951A (en) | 2017-08-24 | 2017-08-24 | Pipe coupl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21951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03413A1 (en) | 2020-06-30 | 2022-01-06 | Fucoli-Somepal - Fundição De Ferro S. A. | Pipe coupling and restraining device |
-
2017
- 2017-08-24 KR KR1020170107452A patent/KR2019002195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03413A1 (en) | 2020-06-30 | 2022-01-06 | Fucoli-Somepal - Fundição De Ferro S. A. | Pipe coupling and restrain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57468B1 (en) | Dual containment fitting | |
RU2612522C2 (en) | Device for fixing seals of pipe clamps | |
US10436364B2 (en) | Structure of resin-made pipe joint | |
US10571060B2 (en) | Structure of resin-made pipe joint | |
JP2011503449A (en) | Seal connection that does not require O-ring | |
MX2012001377A (en) | Quick connection coupling. | |
EP3203131B1 (en) | Resin-made tube joint | |
KR102566389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fluid equipment | |
JP2009052572A (en) | Resin pipe coupl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20190021951A (en) | Pipe coupling | |
KR101612064B1 (en) | Tube fitting member for ultra-high vacuum and ultra-high pressure | |
KR20140072571A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 with increased tensile force and combination by using clamp | |
KR102162670B1 (en) | Pipe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 |
JP2011220404A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piping | |
KR20170056944A (en) | Fit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hose | |
EP0513141A1 (en) | Methods and devices for joining pipes, and for attaching the pipes to connecting pieces on t-pipes, bends and equipment such as valves, fauchets, measuring instruments, etc. | |
KR102036446B1 (en) | Pipe with expanding protrusion and method for connecting it using coupling | |
KR20150090770A (en) | Clamping devices for branch joint plan | |
JP2008019980A (en) | Hose connection pipe joint | |
GB2528851A (en) | Self-sealing resin inlet port | |
KR101973850B1 (en) | Joint for connecting pipe | |
EP4113012B1 (en) | Heating/cooling system manifold | |
KR20190079232A (en) | Pipe connector | |
KR20160082724A (en) | Pipe connector | |
RU2786868C1 (en) | Polypropylene rotary-axial coup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