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921A - A working plate - Google Patents

A work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921A
KR20190021921A KR1020170107365A KR20170107365A KR20190021921A KR 20190021921 A KR20190021921 A KR 20190021921A KR 1020170107365 A KR1020170107365 A KR 1020170107365A KR 20170107365 A KR20170107365 A KR 20170107365A KR 20190021921 A KR20190021921 A KR 20190021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embers
frame
restrain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6282B1 (en
Inventor
박영식
박인재
Original Assignee
박영식
박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박인재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102017010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282B1/en
Publication of KR2019002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9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2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ing plate, which is st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frame of a scaffolding or a frame constituting a lift at a construction site to provide a worker with a high work space and enhances transport and storage efficiency by means of a length-variable and folding structur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size of an installation target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tepping members providing a stepping space; a hinge shaft axially coupling end portions of the stepping members to fold the stepping members about the axis; and a coupling means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stepp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frame constituting a structure or a lift. The coupl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overing the frame from the above.

Description

작업용 발판{A working plate} A working plate

본 발명은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현장의 고소작업을 위한 승강장비 또는 비계에 탈착되면서 작업자에게 안정적인 고속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rest for a 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trest for a work that can be provided to a worker with a stable high-speed work space while being detached from a floor space ratio or scaffold for a high-

공사현장에서의 고소작업은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수행하는 작업을 말하며, 예를들어 건물의 외벽작업, 천장작업, 교량점검 및 유지보수작업 등이 있다.Complaints on construction sites are work performed by workers at high altitudes, such as building exterior walls, ceiling work, bridge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이러한 고소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높은 곳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승강수단이 제공된다.In order to perform such a complaint operation, an elevating means is provided so that an operator can move to a higher position.

상기 승강수단은 복수의 프레임을 조립하여 제작한 비계와, 신축붐이 설치된 고소차량과, 유압동력을 이용해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한 시저형 테이블 리프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elevating means may be provided as a scaffold made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frames, a high-altitude vehicle equipped with a telescopic boom, and a scissor type table lifter adapted to lift and lower using hydraulic power.

이때, 시저형 테이블 리프터(이하, '테이블 리프터'라 함)는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유압장치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건물, 공장 등의 공사장에서 천장의 배관작업, 덕트 작업, 배관 및 덕트의 보온작업, 용접작업 등 고소 작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계장치이다. A table lif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able lifter') is a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a platform for providing a worker's work space by a hydraulic device, It is a machine widely used for high-altitude work such as working, insulation of pipes and ducts, and welding work.

또한, 테이블 리프터는 하부에 바퀴를 달아 좌우로 위치이동을 할 수 있고 작업자가 자신이 위치하는 플랫폼을 직접 승강시키면서 필요한 작업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천장의 각종 배관, 덕트 등의 시설작업, 그 수리 작업과 같이 공사장 내부의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the table lifter can b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by attaching a wheel to the lower part of the table lifter, and the operator can easily move to a necessary work position while directly raising and lowering the platform on which the operator is located. It is useful for working in high places inside the construction site, such as facility work and repair work.

이러한 테이블 리프터는 작업 위치의 직하방에 배치될 수 있고, 작업자가 위치되는 플랫폼이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승강하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하고 안정적인 장점이 있어 많은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Such a table lifter can be disposed directly below the work position, and the platform on which the worker is located descend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stable, and is used in many construction sites.

상기 테이블 리프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대(10) 하부의 유압구동부(20)에서 유압을 발생시키게 되면, 실린더(30)가 상부로 확장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아암(40)이 상승하면서 플랫폼(50)을 상승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 높이에 도달하게 된다.1,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hydraulic drive unit 20 under the vehicle 10, the cylinder 30 is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and simultaneously the plurality of arms 40 is raised, (50) to raise the work height desired by the operator.

이후,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유압구동부(20)를 제어하면서 플랫폼(50) 위치를 조절하여 작업 높이를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operato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platform 50 to optimize the work height while controlling the hydraulic drive unit 20 as necessary.

하지만, 종래의 테이블 리프터를 이용한 고소 작업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mplicated operation using the table lift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고소 주변의 구조물, 예컨대 배선, 덕트 등으로 인해 테이블 리프터의 플랫폼(50)이 상기 구조물에 간섭되어 상기 배선, 덕트 상방의 고소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플랫폼(50) 상승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바, 별도의 발판을 플랫폼(50)에 거치하여 고소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When the platform 50 of the table lifter is interfered with the structure due to the structure around the elevation, for example, wiring, duct, etc., and the elevation work of the wiring and the duct is required, the elevation of the platform 50 is not smoothly performed , A separate pedestal is mounted on the platform 50 to carry out a high-altitude operation, thereby causing a safety accident of an operator.

테이블 리프터의 플랫폼(50)에는 상기한 간섭 구조물에 대비하여, 별도의 발판(60)을 적재하여 다니다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50)의 중간프레임 또는 상부프레임(51)에 발판(60)을 단순 안착시킨 후, 그 위를 작업자가 딛고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부프레임(51)으로부터 발판(60)이 이탈되거나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치우쳐 작업자의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던 것이다.The platform 50 of the table lifter is loaded with a separate footrest 60 in contrast to the interference structure described above and the footrest 60 is mounted on the intermediate frame or the upper frame 51 of the platform 50 as shown in FIG. 60 are easily seated on the upper frame 51 and then the worker carries on the work so that the foot plate 6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frame 51 or the center of gravity is biased to one side.

상기 발판(60)은 공사 현장에서 규격화되어 있지 않은 발판(60)들을 임시로 차용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판(60)을 테이블 리프터에 적용시 작업자 안전사고가 발생의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Since the footrests 60 are used by temporarily borrowing the footsteps 60 that are not standardized at the construction si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worker safety accidents when the footrests 60 are applied to the table lifter .

또한, 일체의 긴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된 발판(60)을 플랫폼(50) 내부에 싣고 이동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50) 내부 작업공간이 협소해질 뿐만아니라, 상기 발판(60)을 세워 놓을 경우 플랫폼(50) 상방으로 발판(60)이 돌출되므로 주변 작업자들에게 찰과상 등의 안전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as the pedestal 60 constructed in the form of an integral long plate is loaded and moved within the platform 50, not only the working space inside the platform 50 becomes narrow as shown in FIG. 2, The pedestal 60 is protruded above the platform 50, which may cause a safety accident such as abrasion to nearby workers.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6-0017524호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1996-001752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사현장의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적인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되, 길이 가변 및 폴딩 구조를 제공하여 설치 대상물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고 운반 및 보관의 효율성을 높인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stable work space by being easily combined with a structure or a platform ratio of a construction site, To provide a footrest for a work which is not restricted by the size of an object to be installed and which has an increased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and storage.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딤공간을 제공하는 한 쌍의 디딤부재;상기 한 쌍의 디딤부재 일단부를 축 결합하여, 그 축을 중심으로 한 쌍의 디딤부재를 폴딩시키는 힌지축;상기 각 디딤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프레임을 상방에서 덮어씌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inge shaft comprising: a pair of treading members for providing a treading space; a hinge shaft for folding a pair of treading members about the axis of the pair of treading members, And a coupling means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tread members and coupled to a frame constituting a structure or an elevation ratio, wherein the coupling means is configured to cover the frame from above. to provide.

이때, 상기 한 쌍의 디딤부재 일단부는, 서로를 향해 어긋나게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을 덮어씌울 수 있도록 구성된 연장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one end of the pair of the tread members may include an extending piece formed to extend toward the other to cover the hinge shaft.

또한, 상기 각각의 디딤부재는, 타단부가 개구된 중공(中空)의 슬라이딩홈부를 형성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슬라이딩홈부를 출입하면서 디딤부재 전체의 길이를 가변시키며, 결합수단이 형성된 가변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tread members includes a fixed body defining a hollow sliding groove having an opening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entire tread member while allowing the sliding groove unit of the fixed body to move in and ou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osed of a variable body.

이때,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는 고정체의 슬라이딩홈부와 통하는 구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체에는 고정체의 구속공에 대응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속공을 통해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체에서 가변체의 유동을 구속시키는 구속볼트가 제공되되, 상기 구속볼트의 헤드부는 구속공의 너비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fix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liding groove portion of the fixing body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ody, a screw hol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of the fixing body is formed in the variable body, and screwed to the screw hole through the fixing hole, A restraining bolt for restraining the flow of the variable body is provided, and the head portion of the restraining bol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restraining hole.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work foot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고소 작업에 사용되는 비계의 프레임 또는 테이블 리프터의 핸드레일에 탈착되면서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결합수단이 제공됨으로써, 비계 또는 테이블 리프터로부터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ame from being removed from the scaffold or the table lifter or from being moved by providing the frame of the scaffold used for the complaint work or the coupling means for enabling the stable coupling while being detached from the handrail of the table lifter.

이에 따라,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여 고소 작업에 대한 작업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worker can be enhanced, and the stability of the work for the job of the complaint can be maximized.

둘째, 한 쌍의 디딤부재로 제공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디딤부재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크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Second, it is provided as a pair of tread members, and the rotation of the tread members about the hinge axis can be made,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entire size.

이에 따라, 운반 및 보관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테이블 리프터의 플랫폼에 배치하더라도 작업공간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efficiency in transportation and storage can be increased, and even when the table lifter is disposed on the platform, the efficiency of use of the work space can be increased.

셋째, 디딤부재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테이블 리프터의 플랫폼을 구성하는 핸드레일 간에 거리 또는 비계를 구성하는 프레임 간에 거리에 대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since the length of the tread member can be vari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rails constituting the platform of the table lifter can be corresponde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rames constituting the scaffold.

즉, 다양한 크기의 테이블 리프터 및 비계의 프레임 간 거리에 관계없이 발판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at is, the footrest can be stably installed regardles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rame lifter of the various sizes and the frame distance of the scaffold.

도 1은 시저형 테이블 리프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작업용 발판을 시저형 테이블 리프터에 안착 및 적재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이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이 테이블 리프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type table lifter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rk footre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eated and loaded in a scissor type table lifte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tre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footre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rk footre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table lifter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otr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에 대하여 설명하도도록 한다.Hereinafter, a work footre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attached hereto.

작업용 발판은 공사현장의 비계 또는 테이블 리프터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디딤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 work footrests have a technical feature that they can be used as a step of a worker by being attached to a scaffold or table lifter on a construction site.

즉, 작업용 발판은 단독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공사현장의 구조물에 탈착되어, 고소 작업을 위한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work footrest is detachably attached to a structure at a construction site rather than being used alon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footrest for a high-altitude work.

작업용 발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부재(100)와, 힌지축(200)과, 결합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work footrest is composed of a tread member 100, a hinge shaft 200, and a coupling means 300.

디딤부재(100)는 작업자의 디딤공간을 제공하며, 한 쌍으로 제공된다.The tread element 100 provides an operator's tread space and is provided in a pair.

디딤부재(100)는 작업자가 딛고 작업할 수 있도록 평평한 면을 제공하며, 상호 간에 폴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제공된 것이다.The tread element 100 is provided in a pair so as to provide a flat surface for the operator to work on and to be foldable with each other.

상기 디딤부재(100)는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섬유강화플라스틱(FRP)소재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나, 소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read member 100 is preferably provided as a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material which is light in weight and excellent in durability,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한 쌍의 디딤부재(100)는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제공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the treading members 100 are provided so that the total length thereof can be varied.

이는, 다양한 크기의 테이블 리프터 및 비계 등과 같이 공사현장에 마련된 장비에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able flexible adaptation to equipment provided at construction sites such as table lifters and scaffolds of various sizes.

이를 위해, 각각의 디딤부재(100)는 고정체(110)와 가변체(1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each of the treading members 10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ixing body 110 and a variable body 120.

각 고정체(110)의 일단부는 서로 축 결합되며, 그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One end of each fixture 110 is axi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is provided so as to be pivotable about its axis.

상기 고정체(110)는 중공(中空)의 슬라이딩홈부(111)를 형성하며, 각 고정체(110)의 타단부에는 슬라이딩홈부(111)를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The fixing body 110 forms a hollow sliding groove 111 and an opening for opening the sliding groove 111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fixing body 110.

이때, 슬라이딩홈부(111)의 양 내측면에는 가이드돌부(112)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protrusion 112 is further form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sliding groove 111.

가이드돌부(112)는 후술하는 가변체(120)와 고정체(110) 간에 슬라이딩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guide protrusion 112 is provided for smooth sliding action between the deformable member 120 and the fixture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각 고정체(110)의 일단부에는 서로를 향해 어긋난 상태로 연장된 연장편(113)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t one end of each fixture 110, an extension piece 113 extending in a state of being displaced toward each other is formed.

상기 연장편(113)은 작업자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며, 연장편(113)의 연장 길이는 힌지축(200)을 덮어씌우도록 형성된다.The extending piece 113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load of the worker. The extending length of the extending piece 113 is formed to cover the hinge shaft 200.

즉, 연장편(113)은 힌지축(200)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각각 엇갈리게 힌지축(200)을 덮어씌우도록 형성됨으로써, 디딤부재(100)에 전달되는 작업자의 하중을 힌지축(200)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디딤부재(1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extension piece 113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hinge shaft 200 in a staggered manner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middle part of the hinge shaft 200, so that the load of the worker, which is transmitted to the treading member 100, So that durability of the tread member 100 can be enhanced.

그리고, 가변체(120)는 고정체(110)와 함께 디딤부재(100)를 구성하며, 고정체(110)의 슬라이딩홈부(111)에 결합이 된다.The variable body 120 constitutes a tread element 100 together with the fixing body 110 and is engaged with the sliding trough 111 of the fixing body 110. [

가변체(120)는 고정체(110)의 슬라이딩홈부(110)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디딤부재(100) 전체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구성인 것이다.The variable body 120 is configured to vary the length of the entire tread member 100 while sliding in the sliding trough 110 of the fixture 110.

이때, 가변체(120)의 양측면에는 고정체(110)의 가이드돌부(112)에 대응되는 가이드홈부(121)가 형성된다.At this time, guide grooves 121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s 112 of the fixing body 1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ariable body 120.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고정체(110)상에서의 가변체(120) 이동시 가이드돌부(112)에 가이드홈부(121)가 가이드됨으로써 가변체(120)의 슬라이딩 작용이 유연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guide groove 121 is guided on the guide protrusion 112 when the variable body 120 is moved on the fixed body 110, so that the sliding action of the variable body 120 is smooth and smooth .

이때, 가변체(120)의 일단면에는 작업자가 고정체(110)로부터 가변체(120)를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홈(1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handle groove 122 is formed on one end face of the movable body 120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pull the movable body 120 from the fixed body 110.

다음으로, 결합수단(300)은 공사현장의 승강장비 또는 구조물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디딤부재(100)의 단부에 형성된다.Next, the coupling means 3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ift ratio or structure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read member 100.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수단(300)은 가변체(120)의 단부에 형성이 된다.More precisely, the coupling means 30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variable body 120.

결합수단(300)은 테이블 리프터와 같은 승강장비의 핸드레일 또는 비계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핸드레일 또는 프레임을 덮어씌우는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means 300 is coupled to a handrail or scaffold frame having the same lift ratio as the table lifter,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covering the handrail or the frame.

이는, 탈착의 용이성과 더불어 승강장비 또는 구조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detachment from the lift ratio or th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ease of detachment.

물론,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구성하여 승강장비 또는 구조물에 발판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지만, 이는 탈착의 편의성을 떨어뜨려 작업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어려울 것이다.Of course, the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may be used to firmly couple the footrest to the landing gear ratio or the structure. However, this may deteriorate the convenience of detachment, and it may be difficult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operator.

즉, 결합수단(300)은 발판을 승강장비 또는 구조물에 상,하 방향으로 구속시키기 보다는 가변체(1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구속시키는 구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승강장비의 핸드레일 또는 비계의 프레임을 덮어씌울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할 것이다.That is, since the coupling means 300 provides a structure for restraining the footrest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variable body 120, rather than restricting the footrest to the lift ratio or the structure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he frame of the handrail or scaffold of the lift ratio is covered If it is a composition that can be put on, it will be good.

이를 위해, 결합수단(300)은 가변체(120)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개구된 결합홈부(310)를 형성한다.To this end, the engaging means 300 forms an engaging groove 310 which is open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variable body 120.

상기 결합홈부(310)는 가변체(120)의 단부로부터 가변체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격벽(311)을 통해 형성된다.The coupling groove 310 is formed through a pair of partition walls 311 spaced from the end of the variable body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riable body.

이때, 상기 격벽(311)의 마주하는 대향면에는 판스프링(312)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plate spring 312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facing surface of the partition 311.

이는, 핸드레일 또는 프레임의 두께와 결합홈부(310)간 너비차를 보상하기 위함으로써, 판스프링(312)은 구속수단이라기 보다는 핸드레일과 프레임상에서 결합홈부(310)의 너비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라할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plate spring 312 is not a restraining means, but rather a means for preventing a difference in width between the handrail and frame and the width of the engaging groove 310, It is a means to prevent flow.

물론, 판스프링(312)이 반드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Of course, the leaf spring 312 is not necessarily constructed.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작업용 발판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use of the work footrest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작업용 발판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사현장의 고소 작업을 위한 승강장비 또는 비계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승강장비인 테이블 리프터에 사용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ork footres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platform ratio or a scaffold for a complaint work on a construction sit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scription will be made by taking the example of a table lifter as a platform fact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테이블 리프터의 유압구동부(20)를 작동하여 플랫폼(50)을 상승시킨다.The hydraulic drive unit 20 of the table lifter is operated to raise the platform 50. [

작업자는 플랫폼(50) 내부에서 고소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플랫폼(50) 상승시 상방에 간섭 구조물이 배치된 경우, 상승 작용을 정지시킨다.The worker performs a complaint operation inside the platform 50. When the interference structure is disposed above the platform 50, the worker stops the synergy.

이때, 작업자는 플랫폼(50) 내부에 폴딩되어 있던 작업용 발판을 펼쳐 테이블 리프터를 구성하는 핸드레일(H)에 결합시켜 고소 작업공간을 확보한다.At this time, the worker unfolds the work footrest folded inside the platform 50 and joins it to the handrail H constituting the table lifter to secure the work space for the high work.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110)로부터 가변체(120)를 슬라이딩하면서 플랫폼(50) 너비에 디딤부재(100) 전체 길이를 대응시킨 후, 결합수단(300)의 결합홈부(310)를 플랫폼(50)의 중간 핸드레일(H)에 덮어씌워 결합시킨다.5, after the entire length of the treading member 100 is matched with the width of the platform 50 while sliding the variable body 120 from the fixed body 110, the coupling groove portion 310 of the coupling means 300 To the intermediate handrail (H) of the platform (50).

이때, 작업 위치에 따라, 작업용 발판은 상부 핸드레일(H)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work footrest may be coupled to the upper handrail H, depending on the work position.

이때, 결합홈부(310)의 격벽(311)에 마련된 판스프링(312)은 핸드레일(H)의 양측면에 의해 수축되면서 탄성지지되므로 결합홈부(310)와 핸드레일(H) 간에 간격은 보상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leaf spring 312 provided on the partition 311 of the coupling groove 310 is elastically supported while being contracted by both sides of the handrail H, the gap between the coupling groove 310 and the handrail H is compensated .

이후,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테이블 리프터에 결합된 작업용 발판의 디딤부재(100)를 딛고 올라서서 고소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operator steps up the treading member 100 of the work footrest coupled to the table lifter as described above, and performs a complaint operation.

테이블 리프터에 작업용 발판이 안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작업자는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어, 고소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work footrest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table lifter, so that the worker can enhanc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feeling, and the job for the high-speed work can be stably performed.

한편, 고소 작업이 완료되면, 핸드레일(H)로부터 작업용 발판의 결합수단(300)을 분리한 후, 작업용 발판의 힌지축(200)을 중심으로 디딤부재(100)를 폴딩시킨다.After the complet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joining means 300 of the work footrest is separated from the handrail H, and then the wrestler 100 is folded about the hinge shaft 200 of the work footrest.

이후, 작업용 발판을 별도의 정해진 장소에 보관하거나, 플랫폼(50) 내부에 싣고 다니면서 고소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펼쳐 사용하게 된다.Thereafter, the work footrests are stored in a predetermined place, or loaded in the platform 50, and used when the work is required.

한편, 지금까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은 결합수단(300)이 핸드레일(H)을 덮어씌우고 작업자가 디딤부재(100)를 딛고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핸드레일(H)로부터 작업용 발판이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지만, 고정체(110)와 가변체(120) 간에 유격 발생으로 인해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The work footres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work footrest from the handrail H because the engaging means 300 covers the handrail H and the worker performs work on the tread member 100. [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foot plate is released, but a flow may occur due to occurrence of clearance between the fixing body 110 and the variable body 120. [

이러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되며,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structure for preventing such a flow is provided, and this will be described by referr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Prior to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고정체(110)의 상부에는 슬라이딩홈부(111)와 통하는 구속공(114)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a restricting hole 114 communicating with the sliding groove 111 is formed on each of the fixing bodies 110.

이때, 구속공(114)은 고정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restraining hole 114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body 110.

그리고, 가변체(120)에는 상기 구속공(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공(123)이 형성된다.A screw hole 123 is formed in the movable body 1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straining hole 114.

나사공(123)은 후술하는 구속볼트의 나사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The screw hole 123 is a structure for screwing a restraint bolt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구속볼트(400)는 고정체(110) 상에서 가변체(120)의 유동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구속공(114)을 통해 나사공(123)에 나사 결합된다.The restraining bolt 400 serves to restrain the flow of the variable body 120 on the fixing body 110 and is screwed to the screw hole 123 through the restraining hole 114.

이때, 구속볼트(400)의 헤드부(410)는 상기 구속공(114)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410 of the restraining bolt 40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restraining hole 114.

즉, 구속볼트(400)의 나사 결합시 상기 헤드부(410)가 고정체(110)의 상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at is, in order to allow the head part 410 to be pressed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ody 110 when the restraining bolt 400 is screwed,

이때, 구속볼트(400)의 헤드부(410)는 특정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410 of the constraining bolt 40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but is preferably formed in a long bar shap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변체(120)는 고정체(110)의 슬라이딩홈부(111)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디딤부재(100)의 길이를 가변시키며, 구속볼트(400)는 구속공(114)을 통해 가변체(120)의 나사공(123)에 나사 결합되어 헤드부(410)로 하여금 고정체(110)의 상면을 압착시키도록 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variable body 120 slides along the sliding groove portion 111 of the fixing body 110 to vary the length of the treading member 100, and the constraining bolt 400 has the restraining hole 114 And screwed on the screw hole 123 of the variable body 120 to allow the head portion 410 to com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ody 110. [

이에 따라, 가변체(120)는 고정체(110)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유동이 구속되기도 하지만, 구속볼트(400) 헤드부(410)의 압착으로 인해 고정체(110) 상에서 가변체(120)의 상,하 방향 유동이 구속된다.The movable body 120 is constrained to f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ixed body 110 but the movable body 110 is not compressed due to the compression of the head portion 410 of the constraining bolt 400. [ The upward and downward flows are confined.

이에 따라, 작업자가 디딤부재(100)를 딛고 작업하는 중에, 고정체(110)와 가변체(120) 간에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유격 발생으로 인한 소음을 억제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ile the worker is working on the treading member 100, the flow between the fixing body 110 and the variable body 120 can be prevented, noise caused by the occurrence of the gap can be suppressed, and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worker can be enhanced .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은 공사현장의 승강장비 또는 비계 등에 탈착되면서 작업자의 고소 작업공간을 제공하되, 길이 가변 및 폴딩구조를 갖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ork foot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variable work length and a folding structure, while being provided with a work space for a worker while being detached from a floor space ratio or scaffold of the work site.

이에 따라, 작업용 발판 설치 대상물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며, 운반 및 효율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mounted on the footrest is not restricted, and convenience for transportation and efficiency can be enhanc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디딤부재 110 : 고정체
111 : 슬라이딩홈부 112 : 가이드돌부
113 : 연장편 H : 핸드레일
114 : 구속공 120 : 가변체
121 : 가이드홈부 122 : 손잡이홈
123 : 나사공 H : 핸드레일
200 : 힌지축 300 : 결합수단
310 : 결합홈부 311 : 격벽
312 : 판스프링 400 : 구속볼트
410 : 헤드부
100: tread element 110:
111: sliding groove portion 112:
113: Extension piece H: Hand rail
114: restraint ball 120: variable body
121: guide groove portion 122: handle groove
123: Screw H: Handrail
200: hinge shaft 300: engaging means
310: coupling groove 311:
312: leaf spring 400: constraining bolt
410:

Claims (4)

디딤공간을 제공하는 한 쌍의 디딤부재;
상기 한 쌍의 디딤부재 일단부를 축 결합하여, 그 축을 중심으로 한 쌍의 디딤부재를 폴딩시키는 힌지축;
상기 각 디딤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프레임을 상방에서 덮어씌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A pair of tread elements providing a tread space;
A hinge shaft for axially coupling one end of the pair of the dition members and folding a pair of the dition members about the axis;
And engaging means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tread members and coupled to a frame constituting a structure or an elevation ratio,
Wherein the frame is configured to cover the frame from ab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디딤부재 일단부는,
서로를 향해 어긋나게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을 덮어씌울 수 있도록 구성된 연장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pair of tread members
And an extension piece extending and extending toward each other to cover the hinge shaf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딤부재는,
타단부가 개구된 중공(中空)의 슬라이딩홈부를 형성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슬라이딩홈부를 출입하면서 디딤부재 전체의 길이를 가변시키며, 결합수단이 형성된 가변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each of the step members comprises:
A fixed body forming a hollow sliding groove portion whose other end is opened,
And a variable member having a coupling means for varying a length of an entirety of the treading member while moving in and out of the sliding groove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는 고정체의 슬라이딩홈부와 통하는 구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체에는 고정체의 구속공에 대응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속공을 통해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체에서 가변체의 유동을 구속시키는 구속볼트가 제공되되, 상기 구속볼트의 헤드부는 구속공의 너비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The method of claim 3,
A restrai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liding groove portion of the fixing body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ody,
A screw hole corresponding to the restraining hole of the fixture is formed in the variable body,
Wherein the restraining bolt is screwed to the screw hole through the restraining hole to restrain the flow of the deforming member in the fixing member, and the head portion of the restraining bol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restraining hole.
KR1020170107365A 2017-08-24 2017-08-24 A working plate KR1020262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65A KR102026282B1 (en) 2017-08-24 2017-08-24 A working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65A KR102026282B1 (en) 2017-08-24 2017-08-24 A working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21A true KR20190021921A (en) 2019-03-06
KR102026282B1 KR102026282B1 (en) 2019-09-30

Family

ID=6576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365A KR102026282B1 (en) 2017-08-24 2017-08-24 A working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28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497U (en) * 1992-10-14 1994-05-13 ホリー株式会社 Leg adjustment mechanism for scaffolding for plasterers
JPH0682282U (en) * 1993-05-11 1994-11-25 大成建設株式会社 Scaffolding board
KR960017524A (en) 1994-11-14 1996-06-17 김광호 water purifier
JPH10121713A (en) * 1996-10-24 1998-05-12 Taisei Corp Load receiving stag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497U (en) * 1992-10-14 1994-05-13 ホリー株式会社 Leg adjustment mechanism for scaffolding for plasterers
JPH0682282U (en) * 1993-05-11 1994-11-25 大成建設株式会社 Scaffolding board
KR960017524A (en) 1994-11-14 1996-06-17 김광호 water purifier
JPH10121713A (en) * 1996-10-24 1998-05-12 Taisei Corp Load receiving stag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282B1 (en)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500A (en) Elevatable work facility
US20190263629A1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comprising an elevator car
EP1276692B1 (en) Device for carrying out work in an elevator shaft
US20180119432A1 (en) Scaffold unit
KR20130105536A (en) Motorized height access device for tower cranes
JP6159094B2 (en) Moving scaffold
KR20180111720A (en) Expandable bucket safety handrail structure mounted on aerial work vehicles
EP1509473B1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KR102426503B1 (en) 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
KR102241781B1 (en)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JPH05124593A (en) Body dock assembly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aircraft
US20050230194A1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KR20200086897A (en) Smart safety footrest with ICT function
JP6378550B2 (en) Scaffolding equipment
KR20070121228A (en) A folding worktable for electric pole
KR20190021921A (en) A working plate
KR20180070002A (en) Ramp variable stairs
KR101820954B1 (en) Foldable work stage for suspension scaffold
KR200378217Y1 (en) Scaffolding for the high ground working
KR20110010644U (en) Motor using movable stairs for controlling step angle
KR102204933B1 (en) Apparatus for elevating work table
KR20200075370A (en) A standing structure bench using a crane
WO2011107573A1 (en) Modular structure for scaffolding
KR102219660B1 (en) Elevating workbench for cable installation of cable-stayed bridge main tower and cable construction method for cable-stayed bridge main towerusing the same
NL1041774B1 (en) Foldable stair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