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576A -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576A
KR20190021576A KR1020170106467A KR20170106467A KR20190021576A KR 20190021576 A KR20190021576 A KR 20190021576A KR 1020170106467 A KR1020170106467 A KR 1020170106467A KR 20170106467 A KR20170106467 A KR 20170106467A KR 20190021576 A KR20190021576 A KR 20190021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lding member
folding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3662B1 (ko
Inventor
이대현
이용욱
이윤규
Original Assignee
이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현 filed Critical 이대현
Priority to KR102017010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엘이디 조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엘이디 모듈이 장착된 램프 부분을 본체에 인입하며, 사용시에는 램프 부분을 펼쳐서 사용하는 접이식 엘이디 조명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접이식 엘이디 조명은 길이 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며,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되며, 일측은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되며, 저면에 엘이디(LED) 모듈이 형성된 접이부재;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자;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며, 삼각대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LED Lamp}
본 발명은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엘이디 모듈이 장착된 램프 부분을 본체에 인입하며, 사용시에는 램프 부분을 펼쳐서 사용하는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으로 널리 사용되어온 백열전구와 형광등은 밝기에 비하여 소비전력량이 많아 사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대체하여 전력자원의 낭비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조명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근래에는 삼파장 램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조명등인 스탠드 조명기구에 있어서는, 전력소모가 많은 백열전구나 형광등대신 발광다이오드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이하, "엘이디" 로 칭하기로 함)의 사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엘이디(LED)는 백열등이나 형광등과 같은 조명수단에 비하여 다양한 색을 연출할 수 있으며, 내구수명이 길고 전기소모량이 적을 뿐 아니라 크기까지 작은 장점이 있다.
엘이디 조명기구의 경우 기판에 복수개의 엘이디가 장착되도록 구성된 엘이디 모듈과 엘이디 모듈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야간에는 주변의 사물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조명을 이용하고 있다. 실내에서 활동할 경우에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조명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야외활동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낚시, 캠핑 등의 취미 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휴대용 엘이디 조명기구는 대부분 건전지를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예컨대 건전지가 모두 소모된 상태에서 새로운 건전지가 없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 가 없다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엘이디 조명기구를 거치하기에도 불편하였다. 가령 야영시 엘이디 조명기구를 외부의 걸이대상(가령 못, 나뭇가지, 텐트의 줄이나 구멍 등등)에 걸어 놓기가 마땅치 않은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야외에서 사용되는 엘이디 조명기구의 경우, 휴대가 간편해야 하며 부피가 작아야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33607(발명의 명칭: 휴대용 랜턴) 한국공개특허 제2012-0014637호(발명의 명칭: 야외용 랜턴)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휴대가 간편한 LED 조명기구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부피가 작은 LED 조명기구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충전이 용이하며, 거치가 간편한 LED 조명기구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간편하게 접거나 펼 수 있는 LED 조명기구를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는 길이 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며,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되며, 일측은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되며, 저면에 엘이디(LED) 모듈이 형성된 접이부재;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자;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며, 삼각대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LED 조명기구는 엘이디 모듈이 내장된 접이부재가 접이식 형태를 가짐으로써 평상시에는 본체에 인입되며, 필요한 경우 펼쳐서 사용 가능하므로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는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며, 충전 단자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므로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하단에 삼각대와 체결이 가능한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고리를 형성하여 삼각대에 거치하거나 텐트의 천장 또는 나뭇가지 등 원하는 곳에 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의 홈부에 인입된 접이부재는 접이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하단으로 이동하면 홈부로부터 이탈되므로 별도의 노력없이 홈부에서 접이부재를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LED 조명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LED 조명기구를 구성하는 접이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부재와 본체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부재의 타측과 본체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부재에 형성되는 영구자석과 본체에 형성되는 전자석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의 본체 상단에 형성된 고리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LED 조명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LED 조명기구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접이식 LED 조명기구는 본체(110), 접이부재(120), 파워 스위치(130), 충전 단자(140) 및 체결부(150)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접이식 LED 조명기구에 포함될 수 있다.
본체(1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타입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체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체(110)는 삼각기둥, 사각기둥을 포함하는 다각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접이부재(120)가 인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홈부가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접이부재(120)는 막대 타입으로 형성되며, 본체(110)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된다. 접이부재(120)의 일측(상단)은 본체(110)와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접이부재(120)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접이부재(120)는 본체(110)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되거나, 펼쳐진 상태가 가능하다.
파워 스위치(130)는 본체(110) 상에 형성되며, 접이부재(120)에 형성된 LED 모듈로 전원을 공급한다. 즉, 파워 스위치(130)가 On(온)으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본체(110)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이 LED 모듈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본체(110) 내부는 배터리가 장착(내장)된다.
충전 단자(140)는 파워 스위치(130)와 동일하게 본체(110) 상에 형성되며, 본체(110)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이다.
체결부(150)는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되며, 삼각대 등이 체결된다. 즉, 체결부(150)를 이용하여 삼각대에 본체(110)를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LED 조명기구를 체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LED 조명기구를 구성하는 접이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LED 조명기구를 구성하는 접이부재가 펼쳐진 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이부재(120)의 저면에는 다수의 LED 모듈(120a)이 구성된다. 접이부재(120)는 평상시에는 본체(110)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되며, 필요한 경우 홈부로부터 이격(이탈)된다. 또한, 접이부재(120)의 일측은 본체(110)와 힌지 결합된다.
도 2는 3개의 접이부재(12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접이부재(120)는 2개 또는 4개 등 다양한 개수를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접이부재(120)가 홈부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파워 스위치(130)의 위치가 온(on) 위치인 경우에도 LED 모듈(120a)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즉, 파워 스위치(130)의 위치가 온(on) 위치인 상태에서 접이부재(120)가 홈부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진 상태가 되는 경우에 LED 모듈(120a)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를 위해 접이부재(120)의 상단면에 제1 전원단자가 형성되며, 본체(110)는 접이부재(1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이부재(120)의 상단면과 접촉되는 지점(면)에 제2 전원단자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워 스위치(130)의 위치를 온(on)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 필요한 접이부재(120)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펼쳐진 접이부재(120)를 구성하는 LED 모듈(120a)만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접이부재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접이부재를 구성하는 LED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부재와 본체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부재와 본체의 체결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서 제안하는 접이부재와 본체의 체결 구조는 도 2의 A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이부재(120)는 본체(110)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접이부재(120)와 본체(110)가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접이부재(12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접이부재(120)를 본체(110)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접이부재(120)와 본체(110)의 체결 구조를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10)는 길이 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다. 홈부의 양측면에는 제1 탄성부재(110a)와 돌출부(110b)가 형성된다. 제1 탄성부재(110a)는 돌출부(110b)에 의해 가압되면 압축되며, 가압된 힘이 제거되면 신장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돌출부(110b)는 방사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홈부의 양측면으로 홀이 형성되며, 형성된 홀 내부로 제1 탄성부재(110a) 및 돌출부(110b)의 일부가 인입된다.
접이부재(120)의 측면은 길이 방향으로 인입 홈부(120b)가 형성된다.
도 3(a)는 접이부재(120)가 본체(110)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에 의하면, 본체(110)에 형성된 돌출부의 방향(방사선 방향)과 접이부재(120)의 측면에 형성된 인입 홈부(120b)의 방향은 서로 직각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체(110)에 형성된 돌출부(110b)의 방향과 접이부재(120)의 측면에 형성된 인입 홈부(120b)의 방향이 서로 직각이므로 접이부재(120)가 돌출부(110b)를 가압하며, 이로 인해 제1 탄성부재(110a)는 압축된다.
도 3(b)는 접이부재를 45도 정도 펼쳐진 상태이며, 이 경우 역시 본체(110)에 형성된 돌출부(110b)의 방향과 접이부재(120)의 측면에 형성된 인입 홈부(120b)의 방향이 서로 직각인 상태와 동일하게 접이부재(120)가 돌출부(110b)를 가압하며, 이로 인해 제1 탄성부재(110a)는 압축된다.
도 3(c)는 접이부재(120)를 90도로 펼쳐진 상태이며, 이 경우 역시 본체(110)에 형성된 돌출부(110b)의 방향과 접이부재(120)의 측면에 형성된 인입 홈부(120b)의 방향이 서로 평행인 상태를 유지하며, 제1 탄성부재(110a)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110b)가 인입 홈부(120b)에 인입된다. 돌출부(110b)가 인입 홈부(120b)에 인입되면 접이부재(120)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돌출부와 인입 홈부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또는 접이부재(120)의 자중)에 의해 펼쳐진 접이부재(120)가 본체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이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인입 홈부에 인입되는 돌출부의 면적이 넓을수록 돌출부는 인입 홈부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물론 돌출부는 구 형태로 형성하며, 인입 홈부는 반구형의 홈부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를 구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부재(120)의 타측과 본체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부재(120)의 타측과 본체의 체결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본체(110)의 하단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반지름이 작은 오목부(110d)가 형성된다. 오목부(110d)는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는다. 오목부(110d)의 외측에는 고정부재(160)가 형성된다. 고정부재(160)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을 가지며, 고정부재(160)의 폭은 오목부(110d)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고정부재(160)는 오목부(110d) 내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고정부재(160)의 하단에는 제2 탄성부재(110c)가 위치한다. 즉, 제2 탄성부재(110c)의 일측은 고정부재(160)의 저면에 밀착되며, 타측은 본체(110)에 밀착된다. 제2 탄성부재(110c)는 고정부재(16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a)는 고정부재가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 의하면, 접이부재(120)의 타측은 본체(110)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60)가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접이부재(120)는 본체(110)에 형성된 홈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b)는 사용자에 의해 고정부재(160)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부재(160)가 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이부재(120)의 타측 종단은 외부로 노출되며, 따라서 접이부재(120)의 종단은 본체(110)에 형성된 홈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이부재(120)의 종단에 제1 자석을 형성하며, 본체(110)에 형성된 홈부에 제2 자석을 형성한다. 제1 자석과 제2 자석은 상호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마주보는 면의 극성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접이부재(120)에 종단에 형성된 제1 자석과 본체(110)에 형성된 홈부에 형성된 제2 자석의 마주보는 극성을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고정부재(160)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홈부에 인입된 접이부재(120)는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접이부재(120)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는 점등하고자 하는 LED 모듈이 내장된 접이부재(120)만을 펼치며, 점등하지 않는 LED 모듈이 내장된 접이부재(120)는 본체(110)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한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물론 고정부재는 외부로부터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마주보는 면의 극성의 동일한 두 개의 자석을 장시간 붙여놓게 되면, 자석의 자성을 약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이부재(120)에는 일반적인 영구자석을 형성하며, 본체(110) 상에는 전자석을 형성한다. 고정부재의 저면에 제3 전원 단자를 형성하며, 고정부재가 하단으로 이동하였을 때 밀착되는 부분에 제4 전원 단자를 형성한다. 고정부재가 하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3 전원 단자와 제4 전원 단자가 접촉되며, 이로 인해 본체(110)에 형성된 전자석에 전류가 공급된다. 전류가 공급되면 전자석은 극성을 가지게 되며, 이 때 마주보는 면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부재에 형성되는 영구자석과 본체에 형성되는 전자석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영구자석과 전자석의 마주보는 면의 극성이 동일하게 함으로써 접이부재(120)가 홈부에서 외부로 이탈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본체 상단에 형성된 고리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본체 상단에 형성된 고리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본체(110) 하단에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체결부를 이용하여 본체(110)를 삼각대에 고정 체결한다. 하지만, 삼각대가 없는 경우 또는 삼각대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본체(110) 상단에 형성된 고리(110e)를 이용하여 접이식 LED 조명을 거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체결부 또는 고리를 이용하여 접이식 LED 조명을 거치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접이식 엘이디 조명 110: 본체
120: 접이부재 130: 파워 스위치
140: 충전단자 150: 체결부재
160: 고정부재 110a; 돌출부
110b: 제1 탄성부재 110c: 제2 탄성부재
110d: 오목부 110e: 고리
120a: 엘이디 모듈 120b: 인입 홈부

Claims (6)

  1. 길이 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며,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되며, 일측은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되며, 저면에 엘이디(LED) 모듈이 형성된 접이부재;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자;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며, 삼각대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엘이디 조명.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홈부의 상단 양측면에 방사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이부재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인입된 인입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가압하면 홈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엘이디 조명.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내부에 제1 탄성부재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일부가 인입되며,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압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엘이디 조명.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고 제1 폭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상단부에 상기 접이부재의 타측 종단이 위치하며,
    상기 오목부의 외측에는 제1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 폭을 가지며, 고리 형태를 갖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오목부 상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엘이디 조명.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저면에는 제2 탄성부재가 위치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가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엘이디 조명.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재의 타측 종단에는 제1 자석이 위치하며, 상기 홈부의 하단에는 제2 자석이 위치하며,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마주보는 면의 극성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엘이디 조명.
KR1020170106467A 2017-08-23 2017-08-23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 KR101963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467A KR101963662B1 (ko) 2017-08-23 2017-08-23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467A KR101963662B1 (ko) 2017-08-23 2017-08-23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576A true KR20190021576A (ko) 2019-03-06
KR101963662B1 KR101963662B1 (ko) 2019-03-29

Family

ID=6576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467A KR101963662B1 (ko) 2017-08-23 2017-08-23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943B1 (ko) * 2019-04-11 2020-09-25 울산과학기술원 2차사고를 방지하는 자율주행 안전삼각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637A (ko) 2010-08-10 2012-02-20 홍석훈 야외용 랜턴
KR20120123779A (ko) * 2011-05-02 2012-11-12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KR20120133607A (ko) 2011-05-31 2012-12-11 신동철 휴대용 랜턴
US20160356439A1 (en) * 2015-06-04 2016-12-08 Mathew Inskeep Expanding multi-faced work light flashligh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637A (ko) 2010-08-10 2012-02-20 홍석훈 야외용 랜턴
KR20120123779A (ko) * 2011-05-02 2012-11-12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KR20120133607A (ko) 2011-05-31 2012-12-11 신동철 휴대용 랜턴
US20160356439A1 (en) * 2015-06-04 2016-12-08 Mathew Inskeep Expanding multi-faced work light flashligh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943B1 (ko) * 2019-04-11 2020-09-25 울산과학기술원 2차사고를 방지하는 자율주행 안전삼각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662B1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59606A1 (en) Removable LED light device
KR101319502B1 (ko) 다용도 엘이디 랜턴
US20210310641A1 (en) Modular System
JP2007311055A (ja) 携帯型照明装置
US20220364712A1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963662B1 (ko)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
US11047556B2 (en) Modular system
KR101218372B1 (ko) 휴대용 랜턴
KR101609749B1 (ko) 엘이디 랜턴
US20150055330A1 (en) Solar Lantern Lamp having LED Candel
KR200478235Y1 (ko) 랜턴 탈착식 스탠드
CN209511790U (zh) 一种可拼接灯具
US20080304257A1 (en) Lamp
KR20130040982A (ko) 랜턴
WO2019084542A1 (en)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04421651A (zh) 登山杖电筒
KR101529882B1 (ko) Led 조명장치
JP2013004509A (ja) Led灯具
US11226543B2 (en) Bistable luminaire
KR101334602B1 (ko) Led 이미지 폴 조명
CN216896880U (zh) 一种安全互助多功能野外便携灯具
CN110707829A (zh) 无线充便捷灯具
KR101449618B1 (ko) Led 조명장치
CN211083869U (zh) 一种球泡灯
CN215335871U (zh) 一种便携式户外照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