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298A - 개선된 기능을 갖는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 Google Patents

개선된 기능을 갖는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298A
KR20190021298A KR1020190021838A KR20190021838A KR20190021298A KR 20190021298 A KR20190021298 A KR 20190021298A KR 1020190021838 A KR1020190021838 A KR 1020190021838A KR 20190021838 A KR20190021838 A KR 20190021838A KR 20190021298 A KR20190021298 A KR 20190021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x
fire
hinge
open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국
Original Assignee
홍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국 filed Critical 홍승국
Priority to KR1020190021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1298A/ko
Publication of KR20190021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01H83/04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with testing means for indicating the ability of the switch or relay to function proper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단지의 실내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의 공간에 전원을 분지 공급하기 위한 분전함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 내부 및 외부에는 상기 분전함의 현재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송신된 상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지령을 수신하여 상기 분전함이 제어되도록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와이 파이, 지그비, NFC 내지 비콘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300)이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분전함 외부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분전함의 상태 정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LED 내지 OLED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부(500)가 마련되고, 상기 분전함 내부 및 외부에는 온도센서(610) 및 연기센서(630)를 포함하는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을 마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및 근거리 통신수단(300)을 통해 화재 발생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알람 수단(700)을 상기 분전함에 마련함으로써 화재 시 건물 내 또는 상기 분전함 인근 지역에 화재에 관한 알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분전함 내부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 디스플레이부(500),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 알람수단(700) 및 분전함을 제어하는 마이콤 제어부(400)가 마련되고, 외부의 우수나 해충의 침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수, 누전, 손상 방지를 위한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싱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은 내화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확보하도록 아노다이징 표면처리 된 알루미늄과 스칸듐의 합금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전함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밀폐성능, 절연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그립감을 개선시키도록 실리콘 고무, 도자, ABS 및 PL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되, 정교한 형태를 확보하기 위해 3D 프린팅 가공을 통해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기능을 갖는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Architectural electric ceiling distribution box with improved function}
본 발명은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함 내에 설치된 누전차단기를 전원케이블의 연결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누전차단기에 전원케이블 연결시 그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주어, 이들을 신속, 용이하게 연결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분전함 시공시 편의성을 향상시켜 주며, 재질을 개선하고 통신수단 및 디스플레이 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성 및 편리성을 증진시킨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 공장, 오피스텔, 발전소 및 변전소등 전력 배전용으로 종래에는 케이블을 사용하였으나, 설비의 증가로 전류 용량이 대형화되면서 전압 강하등을 고려하여 바(Bar) 형태의 부스(Bus)로 송전 선로를 구축한다.
전술한 부스바(Bus Bar)는 부스 덕트(Bus Duct)에 의해 보호되어 송ㆍ배전 라인을 형성한다. 부스 덕트는 전력을 공급하는 매개체로서 기존의 전력 케이블과 동일하지만 전기적 안정성이 높고, 대용량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대용량의 전력 및 양질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추세와 조화를 이루어 최근 반도체 공장 및 인텔리젼트 빌딩 등에 설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부스 덕트의 배선 방식은 판넬 및 점유 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설치를 위한 별도의 자재가 없고 인건비가 적게 들면서 증설이 용이한 구조이다. 또한, 전압 강하 및 상 불평형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공기 단축 효과가 있고 계통의 단순화로 향후 유지 보수가 수월하다.
이러한 부스 덕트는 각층 또는 각층의 임의의 위치에서 분지되어 일정 범위의 공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분전되며, 이를 위하여 부스 덕트의 분지되는 각각의 위치에는 분전 단자가 인출되는 분전함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분전함은, 벽면을 따라 배선되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건축 구조물에 매설된 매립형의 분전함체와, 상기 전원케이블과 개별 접속되는 복수개의 누전차단기와, 전원 케이블 및 차단기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상기 분전함 체의 상면에 복개되는 사용자 보호용 덮개 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전함은, 분전함체로 유입되는 전원케이블의 배선작업이 어려워 시공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분전함체로 유입된 각각의 전원케이블은 누전차단기와 연결시켜야 하는데, 분전함과 누전차단기 사이의 폭이 좁아 좁은 공간 내에서 배선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 시 분전함의 현 상태를 센싱하기 어렵고 센싱 된 현 상태를 파악하기도 어려운 불편함과 사용자에게 분전함의 현 상태 내지 센싱 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화재 발생에 대한 방지 책이 없으며, 사용자가 분전함을 제어하는 경우 곤란하거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822668 호(2008.04.17. 등록공고)
본 발명은 종래 분전함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분전함 내에 설치된 누전차단기를 전원케이블의 연결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를 가변 및 고정가능하도록 하여 누전차단기에 전원케이블 연결시 그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주어, 이들을 신속,용이하게 연결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분전함 시공시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을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통신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현 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화재의 발생을 방지 및 알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단지의 실내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의 공간에 전원을 분지 공급하기 위한 분전함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은
천장에 매설되어,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내면 양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가이드홈의 인접한 양측에는 양단부에 경사편이 돌출되어 하방으로 개구된 호형상의 탄성편이 그 외주면에 돌출된 체결공을 갖는 돌출편에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에 전원케이블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분기관이 연결고정된 분전함체;
상기 분전함체로 유입된 전원케이블들과 개별 접속되며,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홈에 연결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부 양측에 반원돌기가 돌출형성된 누전차단기;
슬라이딩 이동하는 누전차단기가 선택적으로 걸림을 취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인접한 일측에 호 형상의 슬릿홈과 이와 연통되는 설치공을 갖는 연결편이 용접고정되고, 상기 슬릿홈에는 상부에 상기 설치공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반원돌기가 연결되는 홈부가 형성된 링형상의 결합편이 연결고정된 걸림구;
상기 분전함체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분전함체의 하단에 서로 대칭되어 경첩에 의해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부에 상기 탄성편에 삽입되어 걸림을 취하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된 한 쌍의 개폐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전함 내부 및 외부에는 상기 분전함의 현재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송신된 상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지령을 수신하여 상기 분전함이 제어되도록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와이 파이, 지그비, NFC 내지 비콘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300)이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분전함 외부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분전함의 상태 정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LED 내지 OLED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부(500)가 마련되고,
상기 분전함 내부 및 외부에는 온도센서(610) 및 연기센서(630)를 포함하는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을 마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및 근거리 통신수단(300)을 통해 화재 발생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알람 수단(700)을 상기 분전함에 마련함으로써 화재 시 건물 내 또는 상기 분전함 인근 지역에 화재에 관한 알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분전함 내부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 디스플레이부(500),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 알람수단(700) 및 분전함을 제어하는 마이콤 제어부(400)가 마련되고,
외부의 우수나 해충의 침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수, 누전, 손상 방지를 위한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싱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은 내화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확보하도록 아노다이징 표면처리 된 알루미늄과 스칸듐의 합금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전함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밀폐성능, 절연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그립감을 개선시키도록 실리콘 고무, 도자, ABS 및 PL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되, 정교한 형태를 확보하기 위해 3D 프린팅 가공을 통해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전함 내에 설치된 누전차단기를 전원케이블의 연결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누전차단기에 전원케이블 연결시 그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주어, 이들을 신속,용이하게 연결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분전함 시공시 발생하는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통신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현 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화재의 발생을 방지 및 알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및
도 5a, 도 5b,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의 화재 발생 시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100)은 분전함체(110), 누전차단기(120), 걸림구(130), 개폐덮개(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전함체(110)는 천장(W)에 그 하부가 실내를 향하도록 매설된다.
이때, 상기 분전함체(110)는 그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설치공간(111)이 형성되고, 내면 양측에 가이드홈(113)이 형성되며, 상기 각 가이드홈(113)의 인접한 양측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호형상의 탄성편(116)이 결합된다.
이에, 상기 탄성편(116)은 그 양단부에 경사편(115)이 돌출되고,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돌출편(118)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돌출편(118)의 내측에는 체결공(11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공(117)에 볼트를 연결한 후, 볼트의 단부를 분전함체(110) 내벽에 체결고정함으로써, 상기 탄성편(116)이 분전함체(110)와 긴밀한 연결관계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경사편(115)은 하방으로 벌어진 상협하광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느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전함체(110)의 상부에는 전원케이블(L)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분기관(119)이 상기 설치공간(111)과 연통되도록 연결고정된다.
한편, 상기 누전차단기(120)는 상기 분전함체(110)로 유입된 전원케이블(L)들과 개별 접속되며, 그 양측는 가이드돌기(121)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121)는 가이드홈(113)에 연결되어 가이드홈(1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누전차단기(120)의 상부 양측에는 반원돌기(123)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구(130)는 슬라이딩 이동하는 누전차단기(120)가 선택적으로 걸림을 취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113)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홈(113)의 인접한 일측에는 호 형상의 슬릿홈(131)과 상기 슬릿홈(131)과 연통되는 설치공(132)을 갖는 연결편(133)이 용접고정된다.
이때, 상기 슬릿홈(131)에는 링형상의 결합편(139)이 연결고정된다. 이에, 상기 결합편(139)은 그 상부에 상기 설치공(117)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연결공(135)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반원돌기(123)가 연결되는 홈부(137)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홈(1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누전차단기(120)는 상기 걸림구(130)에 선택적으로 걸림을 취하여 설치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덮개(140)는 상기 분전함체(110)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분전함체(110)의 하단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고정된다.
즉, 상기 분전함체(110)는 그 하부 양측에 각각 경첩(141)의 일단이 볼트체결되며, 상기 경첩(141)의 타단은 상기 개폐덮개(140)에 볼트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덮개(140)는 힌지회전을 통해 분전함체(110)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경첩(141)의 결합관계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된 방법으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덮개(140)는 그 상부에 상기 탄성편(116)에 삽입되어 걸림을 취하는 걸림돌기(143)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표시부(150)는 누전차단기(120)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개폐덮개(140)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150)는 한 쌍의 개폐덮개(140) 중 일측 하부에 힌지핀(151)이 삽입연결되는 힌지공(152)을 갖는 힌지구(153)가 용접고정되고, 한 쌍의 개폐덮개(140) 중 타측 개폐덮개(140) 에는 결합공(15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덮개(140)와 개폐덮개(140) 사이를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표시창(159)은 그 일단에 상기 힌지핀(151)이 삽입연결되는 힌지홀(157)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공(155)과 연통되는 결합홀(15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홀(158)에는 상기 상태표시창(159)을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N)가 삽입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나사(N)는 그 단부가 결합공(155)에 체결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건축 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은 분전함 내에 설치된 누전차단기를 전원케이블의 연결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누전차단기에 전원케이블 연결시 그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주어, 이들을 용이하게 연결설치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분전함 설치를 편리하게 시행하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도 5b,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도 5a는 상기 표시부(150)가 개폐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먼저, 분전함체(110)에 설치된 누전차단기(120)의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표시부(150)의 상태표시창(159)을 힌지회전시켜 개폐덮개(140)와 개폐덮개(140) 사이를 개방하여야 한다.
즉, 상기 고정나사(N)의 회전동작을 통해 결합공(155)과 결합홀(158)에서 탈거시키면, 상기 상태표시창(159)은 힌지구(153)에 연결된 힌지핀(151)을 중심으로 힌지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태표시창(159)을 힌지회전시키면, 누전차단기(120)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b는 한 쌍의 개폐덮개(140)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누전차단기(120)에 전원케이블(L)을 연결하기 위해선 먼저, 상기 개폐덮개(140)를 개방하여야 한다.
즉, 상기 고정나사(N)를 회전동작을 통해 결합공(155)과 결합홀(158)에서 탈거시킨 후, 개폐덮개(140)를 하방으로 당긴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덮개(140)를 당기면, 상기 탄성편(116)에 걸림을 취하고 있던 걸림돌기(143)는 탄성편(116)에서 이탈된다. 이에, 상기 걸림돌기(143)가 탄성편(116)에서 이탈되면, 상기 개폐덮개(140)는 경첩(141)을 기준으로 힌지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덮개(140)를 힌지회전시키면, 분전함체(110)의 하부가 개방되어 용이하게 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c는 상기 누전차단기(120)의 슬라이딩 동작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누전차단기(120)의 용이한 배선작업을 위해 분전함체(110) 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먼저, 배선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측으로 누전차단기(120)를 가압한다. 이와 같이 누전차단기(120)를 가압하면, 상기 누전차단기(120)의 가이드돌기(121)는 가이드홈(1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때, 상기 누전차단기(120)의 상부에 형성된 반원돌기(123)는 가압하는 힘이 결합편(139)의 탄성력보다 강할 경우 결합편(139)의 홈부(137)에서 이탈하여 자유로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누전차단기(12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그 이동거리만큼 공간이 확보되어 그 확보된 공간을 통해 누전차단기(120)에 용이하게 배선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누전차단기(1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누전차단기(120)의 상부에 위치한 반원돌기(123)를 결합편(139)의 홈부(137)에 접하도록 위치시킨다.
즉, 상기 누전차단기(120)를 슬라이딩회전시켜 반원돌기(123)를 홈부(137) 내면에 위치되도록 밀면, 상기 결합편(139)은 그 탄성력에 의해 반원돌기(123)를 가압하여 누전차단기(120)의 자유로운 슬라이딩이동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분전함 내부 및 외부에는 상기 분전함의 현재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송신된 상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지령을 수신하여 상기 분전함이 제어되도록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와이 파이, 지그비, NFC 내지 비콘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300)이 하나 이상 마련된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은 경우에 따라서 별도의 서버(미도시)를 포함하거나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원거리로 정보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수단(300)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사용자의 일방적인 지령 전달이나, 분전함의 상태 정보 송신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분전함의 상태정보를 송신하고 이에 맞는 사용자의 지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300)은 지그비나 비콘 등을 사용하여 상기 분전함의 근방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관리자 내지 사용자가 상기 분전함을 관리하거나 체크하는 경우 별도로 상기 분전함을 개방하거나 확인하지 않더라도 근거리를 지나치면서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분전함 내부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 및 분전함을 제어하는 마이콤 제어부(400)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크기가 작아 상기 분전함 내부에 삽입될 만한 마이콤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서버를 통한 온라인 제어도 가능하다.
이때, 별도의 서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로 마련되고, 송신 및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매체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분전함 외부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분전함의 상태 정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LED 내지 OLED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모양, 색채, 문자 등의 정보전달 메시지를 도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별도의 전원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무선전력공급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분전함 내부 및 외부에는 온도센서(610) 및 연기센서(630)를 포함하는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을 마련하여 상기 제어부(400) 및 근거리 통신수단(300)을 통해 화재 발생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한다.
즉, 상기 분전함이 누전되거나 자체 과열 등의 이슈가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하려고 하거나 발생한 경우 화재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고 사용자 등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알람 수단(700)을 상기 분전함에 마련함으로써 화재 시 건물 내 또는 상기 분전함 인근 지역에 화재에 관한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알람 수단(700)은 소리, 냄새, 시각적인 전달 등 모든 정보확인 가능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이렌 소리 등과 같은 알람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의 우수나 해충의 침입으로 발생하는 누수, 누전, 손상 방지를 위한 밀폐부재(미도시)를 포함하는 케이싱(미도시)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은 내화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확보하도록 아노다이징 표면처리 된 알루미늄과 스칸듐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 밀페부재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및 섬유재질 등 다양한 밀폐성능을 가지는 부재를 사용하여 외부의 공기나 수분,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고 상기 밀폐부재라 사용된 상기 케이싱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 내지 다양한 구성부품은 알루미늄과 스칸듐의 합금으로 제작하여 내열성, 내화성 및 내부식성을 확보하고 표면을 아노다이징 처리함으로써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분전함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밀폐성능, 절연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그립감을 개선시키도록 실리콘 고무, 도기, 자기,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및 PLA(Poly Lactic Aci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재질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의 요구 성능을 만족하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전함의 자체 특성 상, 상술한 밀폐성, 내열성, 절연성 등의 기능이 필요하므로 재질에 있어서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고무는(silicone rubber) 고 중합도 곧은사슬 모양의 디올가노폴리실록산에 미분 실리카 등을 보강제로 혼화하여 가교시킨 고무 탄성체로서. 내후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50 ~200℃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교하고 다양한 요구 조건에 적합한 부품을 만들기 위해 상기 분전함의 부품들은 상술한 재료를 이용하되 3D 프린팅 가공을 통해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상기 분전함의 구성부품을 가공 및 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맞는 부품, 및 상기 분전함이 설치될 장소, 건물의 형태, 환경조건 등에 대한 다양한 요인에 맞는 제품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의 구성요소 사이 관계를 대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전함은 상기 제어부(400)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500), 통신수단(300), 알람수단(700), 화재감지수단(60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종래 분전함에 비해 월등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이 화재 감지 시 발생하는 프로세스를 순서에 맞게 보여주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수단(600)이 화재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S100), 이벤트(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00), 알람수단(700)이 작동하는 단계(S300), 통신수단(300)이 작동하는 단계(S400), 사용자가 확인하는 단계(S500) 및 사용자의 조치단계(S60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건축 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은 누전차단기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전함의 신속한 설치 및 이에 따른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현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지령 등을 사용자에게 송신 및 수신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화재 시 대응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은 별도의 통신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현 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며 화재의 발생을 방지 및 알람할수 있는 분전함에 이용될 수 있다.
100 : 분전함 110 : 분전함체
120 : 누전차단기 130 : 걸림구
140 : 개폐덮개 150 : 표시부
L : 전원케이블 W : 천정
300: 근거리 통신수단 400: 마이콤 제어부
500: 디스플레이부 600: 화재감지수단
610: 온도센서 630: 연기센서
700: 알람수단

Claims (1)

  1. 건축단지의 실내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의 공간에 전원을 분지 공급하기 위한 분전함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 내부 및 외부에는 상기 분전함의 현재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송신된 상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지령을 수신하되, 건물의 관리자 내지 사용자가 상기 분전함을 관리하거나 체크하는 경우 별도로 상기 분전함을 개방하거나 확인하지 않고도 근거리를 지나면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여 상기 분전함이 제어되도록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와이 파이, 지그비, NFC 내지 비콘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300)이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분전함 외부에는 개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상기 분전함의 상태 정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LED 또는 OLED로 마련되되 무선전력 공급방식으로 운영되는 디스플레이부(500)가 마련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은 경우에 따라서 별도의 서버(미도시)를 포함하거나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원거리로 정보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도 있고,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일방적인 지령 전달이나, 분전함의 상태 정보 송신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분전함의 상태정보를 송신하고 이에 맞는 사용자의 지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 및 분전함을 제어하는 마이콤 제어부, 클라우드 서버 및 송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가 더 마련되고,
    상기 분전함 내부 및 외부에는 온도센서(610) 및 연기센서(630)를 포함하는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을 마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및 근거리 통신수단(300)을 통해 화재 발생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알람 수단(700)을 상기 분전함에 마련함으로써 화재 시 건물 내 또는 상기 분전함 인근 지역에 화재에 관한 알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분전함 내부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 디스플레이부(500),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 알람수단(700) 및 분전함을 제어하는 상기 마이콤 제어부(400)가 마련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이 화재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S100),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00), 상기 알람 수단(700)이 작동하는 단계(S300),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이 작동하는 단계(S400), 사용자가 확인하는 단계(S500) 및 사용자가 조치를 하는 단계(S600)가 순서대로 동작하며,
    외부의 우수나 해충의 침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수, 누전, 손상 방지를 위한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싱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은 내화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확보하도록 아노다이징 표면처리 된 알루미늄과 스칸듐의 합금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케이싱은 밀폐성능, 절연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그립감을 개선시키도록 실리콘 고무, 도기, 자기,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및 PLA(Poly Lactic Aci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되, 정교한 형태를 확보하기 위해 3D 프린팅 가공을 통해 성형되며,
    상기 분전함(100)은 천장(W)에 매설되어, 내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설치공간(111)이 형성되고, 내면 양측에 가이드홈(113)이 형성되며, 상기 각 가이드홈(113)의 인접한 양측에는 양단부에 경사편(115)이 돌출되어 하방으로 개구된 호형상의 탄성편(116)이 그 외주면에 돌출된 체결공(117)을 갖는 돌출편(118)에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에 전원케이블(L)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분기관(119)이 연결고정된 분전함체(110); 상기 분전함체(110)로 유입된 전원케이블(L)들과 개별 접속되며,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1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홈(113)에 연결되는 가이드돌기(121)가 돌출형성되며, 상부 양측에 반원돌기(123)가 돌출형성된 누전차단기(120); 슬라이딩 이동하는 누전차단기(120)가 선택적으로 걸림을 취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113)의 인접한 일측에 호 형상의 슬릿홈(131)과 이와 연통되는 설치공(132)을 갖는 연결편(133)이 용접고정되고, 상기 슬릿홈(131)에는 상부에 상기 설치공(132)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연결공(135)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반원돌기(123)가 연결되는 홈부(137)가 형성된 링형상의 결합편(139)이 연결고정된 걸림구(130); 상기 분전함체(110)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분전함체(110)의 하단에 서로 대칭되어 경첩(141)에 의해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부에 상기 탄성편(116)에 삽입되어 걸림을 취하는 걸림돌기(143)가 돌출형성된 한 쌍의 개폐덮개(14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덮개(140) 사이에는 상기 누전차단기(120)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150)을 설치하되,
    상기 표시부(150)는 한 쌍의 개폐덮개(140) 중 일측 하부에 용접고정되며, 내측에 힌지핀(151)이 삽입연결되는 힌지공(152)이 형성된 힌지구(153); 한 쌍의 개폐덮개(140) 중 타측에 형성된 결합공(155); 상기 개폐덮개(140)와 개폐덮개(140) 사이를 힌지회전을 통해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에 상기 힌지핀(151)이 삽입연결되는 힌지홀(157)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공(155)과 연통되는 결합홀(158)이 형성된 투명합성수지 재질의 상태표시창(159) 및 상기 상태표시창(159)을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홀(158)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결합공(155)에 체결되는 고정나사(N)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KR1020190021838A 2019-02-25 2019-02-25 개선된 기능을 갖는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KR20190021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838A KR20190021298A (ko) 2019-02-25 2019-02-25 개선된 기능을 갖는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838A KR20190021298A (ko) 2019-02-25 2019-02-25 개선된 기능을 갖는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460A Division KR20190007255A (ko) 2017-07-12 2017-07-12 개선된 기능을 갖는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298A true KR20190021298A (ko) 2019-03-05

Family

ID=6576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838A KR20190021298A (ko) 2019-02-25 2019-02-25 개선된 기능을 갖는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12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974B1 (ko) * 2021-02-01 2021-08-23 전준열 소방전기공사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668B1 (ko) 2007-10-31 2008-04-17 (주)우보엔지니어링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668B1 (ko) 2007-10-31 2008-04-17 (주)우보엔지니어링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974B1 (ko) * 2021-02-01 2021-08-23 전준열 소방전기공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9948B1 (en) Power adapter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power adapter to provide power to a load
US12003051B1 (en) Control attachment for an in-wall power adapter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control attachment
US11201444B1 (en) Power adapter having contact elements in a reces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adapter
KR101219137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US11264769B1 (en) Power adapter having contact elements in a reces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adapter
WO2022174140A1 (en) Door system with wire harness routed inside of door and outer door frame for connection with electric devices
EP3018673A1 (en) Electrical enclosure operating mechanism housing an external antenna
US20210207420A1 (en) Door system with integrated electric devices
KR100822668B1 (ko)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US12013709B1 (en) Power adapter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power adapter to provide power to a load
KR20190021298A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EP3631586B1 (en) Electrical control system, in particular for home automation systems
EP0677214A1 (en) Busway tap-off base assembly
KR20190007255A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KR101055420B1 (ko) 자동문을 구비한 배전반
KR101597195B1 (ko) 벽면 매입방식 콤팩트 분전반
CN112595868B (zh) 智慧物联表箱
JP4981657B2 (ja) 分電盤
KR101245222B1 (ko)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5108670B2 (ja) 直流開閉器
KR101569646B1 (ko) 전류 제어에 기반하여 차폐되는 배전반
CN102215331A (zh) 尤其用于家用通讯设施的安装装置
KR101934528B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벽면 매설용 건축 전기 콘센트박스
CN218242680U (zh) 一种安全型应急发电车快速接入的配电箱
RU101548U1 (ru) Система удаленного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