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995A - 가변식 건축 구조물 - Google Patents
가변식 건축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0995A KR20190020995A KR1020170106031A KR20170106031A KR20190020995A KR 20190020995 A KR20190020995 A KR 20190020995A KR 1020170106031 A KR1020170106031 A KR 1020170106031A KR 20170106031 A KR20170106031 A KR 20170106031A KR 20190020995 A KR20190020995 A KR 201900209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portions
- roof
- building structure
- wall
- variab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1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41 propul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 E04B1/34357—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은, 판 형상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서로 적층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벽부 및, 상기 복수의 벽부 중에서 최상단의 벽부에 결합되는 지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부 각각은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기 또는 유체의 저장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저장 공간에 공기 또는 유체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바닥부 둘레로부터 상 방향으로 팽창하여 건축 구조물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식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중 환경 또는 우주 환경 등의 극한 환경에서 설치 가능한 가변식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기술 발전에 따라 우주선, 잠수함 등을 통해 우주 환경, 수중 환경 등과 같이 극한 환경으로 사람들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 졌다.
사람들이 극한 환경에 정착하여 생활하기 위해서는 우주선, 잠수함 등의 수송 장치를 벗어나 생활할 수 있는 생활 시설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생활 시설의 경우, 지면에서 건설되어 고정되어 있고, 사람들이 생활하는 장소이므로 크기가 커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하기에는 어려움이 크다.
이에 따라, 극환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시설로는 별도의 수송 장치를 통해 움직일 수 있는 생활 시설이 필요하다.
또한, 움직일 수 있는 생활 시설의 경우, 극한 환경으로 이동 및 설치되어야 하므로 평상시 크기 축소가 가능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시 사람, 식물 또는 동물들이 안전하게 생활하도록 하는 생활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평상시 크기 축소가 가능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시 사람, 식물 또는 동물들이 안전하게 생활하도록 하는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가변식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은, 판 형상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서로 적층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벽부; 및 상기 복수의 벽부 중에서 최상단의 벽부에 결합되는 지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부 각각은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기 또는 유체의 저장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저장 공간에 공기 또는 유체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바닥부 둘레로부터 상 방향으로 팽창하여 건축 구조물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붕부는, 반 구형상으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붕부의 형상 변형을 한정하고, 상기 바닥부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붕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붕지지부는, 상기 지붕부 상부에 위치하는 원형의 판부; 및 상기 판부로부터 방사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지면에 고정 설치 가능한 복수의 막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막대부 각각은, 소정 간격마다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벽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벽부 내외부를 연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출입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에 의하면, 복수의 벽부가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평상시 복수의 벽부가 수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크기 축소가 가능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은, 사용시 복수의 벽부가 공기 또는 유체를 통해 간단히 팽창하여 건축 구조물의 벽을 형성함으로써, 사람, 식물 또는 동물들이 안전하게 생활하도록 하는 생활환경이 복수의 벽부 내부에 만들어 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의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구조물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이 수중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제1 사용 상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이 수중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제2 사용 상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막대부의 분리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막대부의 분리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의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구조물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이 수중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제1 사용 상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이 수중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제2 사용 상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막대부의 분리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막대부의 분리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의 평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은, 크기가 가변되는 구성요소들을 통해 부피 축소가 가능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수중 환경 또는 우주 환경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에 설치되어 사람, 식물 및 동물 등의 생물에게 생활환경을 제공 가능한 것으로서, 바닥부(110), 복수의 벽부(120), 지붕부(130), 지붕지지부(140) 및, 출입 구조물(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은 복수의 벽부(120)가 바닥부(110)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서로 적층되도록 구비되고, 지붕부(130)가 복수의 벽부(120) 중에서 최상단의 벽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벽부(120) 각각이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기 또는 유체의 저장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저장 공간에 공기 또는 유체가 투입되는 경우 바닥부(110) 둘레로부터 상 방향으로 팽창하여 건축 구조물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은, 복수의 벽부(120)가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평상시 복수의 벽부(120)가 수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크기 축소가 가능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은, 사용시 복수의 벽부(120)가 공기 또는 유체를 통해 간단히 팽창하여 건축 구조물의 벽을 형성함으로써, 사람, 식물 또는 동물들이 안전하게 생활하도록 하는 생활환경이 복수의 벽부(120) 내부에 만들어 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
바닥부(110)는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원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바닥부(110)는 원형의 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 사각 및 다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닥부(110)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별도의 화합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은 대략 최소 온도 240도에서 최고 온도 350도까지 열파손되지 않고 버틸 수 있는 재료이다. 또한, 바닥부(110)는 유연하고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벽부(120)는,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의 벽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원형의 관(파이프)일 수 있다. 복수의 벽부(120)는 바닥부(110)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벽부(120)는 서로 적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벽부(120)는 서로 적층될 때 서로 밀접하게 결합되고, 별도의 실링 장치를 통해 틈새가 완전히 밀봉될 수 있다. 복수의 벽부(120)는 도1 내지 도3에서 세 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더욱 많은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벽부(120)는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벽부(120)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별도의 화합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벽부(120)는 유연하고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벽부(120)는 내부에 공기 또는 유체의 저장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벽부(120)는 공기 또는 유체의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또는 유체는 별도의 주입 장치에 의해 출입구를 통해 복수의 벽부(120) 내부의 저장 공간에 투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또는 유체는 복수의 벽부(120) 내부의 저장 공간에 투입되는 경우, 복수의 벽부(120)를 바닥부(110) 둘레로부터 상 방향으로 팽창시켜 건축 구조물의 벽을 형성하도록 한다.
지붕부(130)는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의 지붕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기본적으로 원형의 판 형상이나 반 구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지붕부(130)는 반 구형상으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붕부(130)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별도의 화합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지붕부(130)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붕부(130)는 복수의 벽부(120) 중에서 최상단의 벽부에 결합될 수 있다. 지붕부(130)는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해 최상단의 벽부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부재는 도4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지붕부(130)는 보관 및 운반시 건축 구조물(100) 내부 압력을 낮춰 원형의 판 형상으로 유지되다가, 건축 구조물(100) 설치시 내부 압력을 높여 높아진 내부 압력에 의해 반 구 형상으로 변형되어 건축 구조물(100)의 지붕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지붕부(130) 내측면에는 별도의 그물망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그물망은 반 구형상으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물망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별도의 화합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물망은 인산염 원소(phosphoric elements) 또는 다른 대체 원소를 함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물망은 낮에 태양 빛을 흡수하고 밤에 태양 빛을 되돌려 줄 수 있다. 그물망은 태양 전지판이 장착된 측면에 추가 조명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붕부(130) 보호 기능도 수행한다.
지붕지지부(140)는 지붕부(130)의 형상 변형을 한정하고, 건축 구조물 설치시 바닥부(110)를 움직이지 않도록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판부(141), 막대부(143) 및 고정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판부(141)는 지붕부(13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판부(141)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 사각 및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판부(141)는 지붕부(130)가 형상 변형되어 지붕부(130)와 맞닿게 되면 지붕부(130)의 계속적인 형상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지붕부(130)의 형상 변형을 한정할 수 있다. 이러한 판부(141)는 막대부(143)와 고정부(145)에 의해 지면에 고정된다.
막대부(143)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막대부(143)는 판부(141)로부터 방사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막대부(143)는 고정부(145)에 의해 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막대부(143)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별도의 화합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막대부(143)는 유연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막대부(143)는 소정 간격마다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막대부(143)의 강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복수의 막대부(143)의 분리 결합 구조는 도8 및 도9를 통해 후술한다.
고정부(145)는 판부(141)와 막대부(143)를 지면에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막대부(143) 각각의 일단에 상부가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145)는 내측에 나사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45)는 내측에 구비되는 나사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자동 회전시켜 지면에 박히도록 하는 자동 로봇 장치일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환경에서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이 위치 고정되도록 도와준다.
출입 구조물(150)은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이 소정 환경에 설치된 이후에 사용자가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 내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출입구 및 통로가 구비된 일종의 컨테이너일 수 있다. 출입 구조물(150)은 복수의 벽부(12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출입 구조물(150)과 복수의 벽부(120) 사이의 틈새는 확실히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입 구조물(150)은 내부에 복수의 벽부(120) 내외부를 연통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출입 구조물(150)을 이용하여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 내외부로 드나들 수 있다. 출입 구조물(150)의 상세 구조는 도4 및 도5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3을 참고하면,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은 토양저장튜브(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양저장튜브(160)는 생물에게 필요한 토양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벽부(120) 내측에서 바닥부(110)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양저장튜브(160)는 바닥부(110) 상면 중심부로부터 나선형으로 외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부(110) 상면 전체 면적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토양저장튜브(160)에는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한 비옥한 토양이 포장될 수 있다. 또한 토양저장튜브(160)에는 담수와 접촉하여 용해되는 고분자가 선택적으로 포장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담수 또는 선택 품목인 젤(Gel)은 별도의 튜브에 포장될 수 있다. 상기한 토양, 고분자 및 담수 또는 젤은 바닥부(110) 상면에 해안 토양 환경을 조성하는데 이용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의 측단면도이다. 도4를 참고하면, 지붕부(130)가 복수의 벽부(121, 123, 125)에 결합되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지붕부(130)는 복수의 벽부(120) 중에서 최상단의 벽부(125)에 형성되는 체결 부재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부재는 최상단의 벽부(125)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는 최상단의 벽부(1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마다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는 지붕부(13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단이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지붕부(130)와 최상단 벽부 사이의 틈새는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구조물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4 및 도5를 참고하면, 출입 구조물(150)은 메인캡슐(151), 허브(153) 및 기둥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캡슐(151)은 복수의 벽부(12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메인캡슐(151)은 복수의 벽부(120) 내외부를 연통하는 통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인캡슐(151)은 복수의 벽부(120) 내외부에 출입구(Ent, Ht)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인캠슐(151)은 통로가 복수의 도어(D1, D2, D3)에 의해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캡슐(151)의 복수의 구역은,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이 수중 환경 또는 우주 환경 등 극한 환경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의 건축 구조물(100) 내외부 출입 과정에서 대기 장소 등으로 이용된다.
예컨대, 메인캡슐(151)의 복수의 구역은 입구 룸(entrance room:ER), 탈의실(changing room:CR), 의료실(medical room:MR) 및, 거실(living room:L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구 룸(ER) 바닥에는 출입구(Ent)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우주 환경 또는 수중 환경에서 사용자가 출입구(Ent)를 통해 출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탈의실(CR)은 제1 도어(D1)를 사이에 두고 입구 룸(ER)과 구분된다. 탈의실(CR)에서는 사용자가 우주복 또는 잠수복 등의 착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 도어(D1)는 탈의실 내부 압력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의료실(MR)은 제2 도어(D2)를 사이에 두고 탈의실(CR)과 구분된다. 의료실(MR)에서는 사용자의 검역과 의학 검사가 수행된다. 여기서, 제2 도어(D2)는 의료실 내부 압력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거실(LR)은 제3 도어(D3)를 사이에 두고 의료실(MR)과 구분된다. 거실(LR)에서는 사용자가 회복할 시간을 가지거나, 건축 구조물 내부에 대한 기술적인 상태 점검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 거실(LR)에는 각종 통제 및 전자 장비가 구비된다. 또한 거실(LR)에는 건축 구조물 내부 출입을 위한 출입구(Ht)가 형성되고, 출입구(Ht)는 자동 회전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출입구(Ht)가 열린 상태인 경우, 출입구(Ht)를 발판으로 사용하여 건축 구조물(100)과 메인캡슐(151)을 왕복할 수 있다. 또한 거실(LR)은 2층 구조로 구성되어 1층과 2층을 연결하는 계단(St)이 형성될 수 있다.
허브(153)는 입구 룸(ER)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허브(153)에는 부표, 비콘, 태양광 패널, 에어 펌프 등의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건축 구조물에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전기, 통신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기둥부(155)는 탈의실(CR)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기둥부(155)는 지면과 맞닿아 메인캠슐(151)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기둥부(155)는 수중 환경에서 추진력을 발생하는 노즐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기둥부(155)는 중심부가 유연하게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155)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155)가 노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도6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이 수중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제1 사용 상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건축 구조물이 수중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제2 사용 상태도이다.
도6 및 도7을 참고하면,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이 수중 환경에 설치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도6에서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은 별도의 수송 장치에 의해 수상에 놓여진 후 수중을 향해 진행한다. 이때 복수의 벽부(120)의 저장 공간과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의 내부 공간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의 내부는 진공 상태가 되고 지붕부(130)가 수축된 상태가 된다. 공기가 빠져나가게 된 복수의 벽부(120)의 저장 공간에는 바닷물이 주입된다. 이는 별도의 펌프에 의해 가능하다.
도6에서, 출입 구조물(150)은 복수의 벽부(120)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도면 표현의 용이함을 위한 것이며 실질적으로 출입 구조물(150)은 복수의 벽부(12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후 출입 구조물(150)의 기둥부(155)는 추진력을 발생하는 노즐 역할을 수행한다. 기둥부(155)는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이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분사 방향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기둥부(155)를 통한 추진력 발생은 메인캡슐(151)에 구비되는 별도의 추진력 발생 장치에 의해 가능하다.
도7에서,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이 수중 환경에 설치된 상태를 확인 가능하다.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이 수중 환경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별도의 수중 탐색 장치가 수중 환경의 평평한 바닥면을 탐색하여 설치되는 위치를 정한다. 이후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의 바닥부(110)가 수중 환경의 바닥면에 배치된다. 이때 출입 구조물(150)의 기둥부(155)는 일단이 수중 환경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변경되고, 이후 출입 구조물(15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지붕지지부(140)가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다. 판부(141)는 지붕부(120) 중심 상부 영역에 위치하고, 고정부(145)는 수중 환경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된다. 고정부(145)는 나사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수중 환경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이때 막대부(143)는 고정부(145)와 판부(141)를 연결함으로써, 판부(141)가 지붕부(120) 중심 상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막대부(143)는 고정부(145)에서 판부(141)를 향해 갈수록 구부러지는 형태이다. 막대부(143)는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고 장력을 높이기 위해 소정 간격마다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도8 및 도9에서 확인 가능하다.
그런 다음 별도의 에어 펌프가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한다. 이때 지붕부(130)는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상 방향을 향해 팽창한다. 즉 지붕부(130)는 반 구형상으로 변형된다. 지붕부(130)는 판부(141)와 막대부(143)에 맞닿게 되면 반 구형상이 유지된다. 최종적으로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은 수중 환경에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태양광 패널(SP)과 부표(BU)는 수상에 배치된 상태로 케이블을 통해 허브(153)와 연결된다. 태양광 패널(SP)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케이블을 통해 허브(153)로 전달한다. 허브(153)에 전달된 전기 에너지는 각종 전자 장치의 구동에 이용된다.
부표(BU)는 수상에 배치된 상태로 파이프 또는 케이블을 통해 허브(153)와 연결된다. 부표(BU)는 각종 수상 환경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부표(BU)에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비콘, 에어 펌프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수상 환경 관련한 정보는 GPRS 또는 비콘 등을 통해 부표(BU)에 수신되어 허브(153)로 전달된다. 또한, 수상 공기는 부표(BU)의 에어 펌프에 의해 허브(153)로 공급되고 나서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 내부에 투입된다. 이를 통해 지붕부(130)는 반 구형상으로 팽창이 가능하다.
한편, 가변식 건축 구조물(100)는 내부가 해안 토양 환경으로 구현된 수 있다. 토양 저장 튜브(160)에 저장되어 있는 해안 토양과 물, 고분자 등은 서로 섞여 바닥부(110) 상면에 펼쳐져 배치된다. 이러한 해양 토양 환경이 마련되면, 사용자가 나무, 야채, 씨앗, 등을 적절히 심어 지상의 식물 환경을 조성 가능하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막대부의 분리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막대부의 분리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막대부(143)는 제1 단부(143a), 제2 단부(143b) 및 끼움부재(14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부(143a)는 제1 돌출부(E1)과 제2 돌출부(E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E1)와 제2 돌출부(E2)는 제1 단부(143a)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서로 면접하지 않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돌출부(E1)의 상면과 제2 돌출부(E2)의 측면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돌출부(E1)의 측면과 제2 돌출부(E2)의 하면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제1 돌출부(E1)의 상면에는 제1 슬릿(S1)이 복수개 형성된다. 제1 슬릿(S1)은 제1 돌출부(E1)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 돌출부(E2)의 하면에는 제2 슬릿(S2)이 복수개 형성된다. 제2 슬릿(S2)은 제2 돌출부(E2)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 단부(143b)는 제3 돌출부(E3)와 제4 돌출부(E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단부(143b)는 제1 단부(143a)와 동일한 형상이다. 도8에서 제2 단부(143b)는 제1 단부(143a)와 대칭 구조로 표현된다.
제3 돌출부(E3)와 제4 돌출부(E4)는 제2 단부(143b)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서로 면접하지 않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돌출부(E3)의 하면과 제4 돌출부(E4)의 측면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3 돌출부(E3)의 측면과 제4 돌출부(E4)의 상면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제3 돌출부(E3)의 하면에는 제3 슬릿(S3)이 복수개 형성된다. 제3 슬릿(S3)은 제3 돌출부(E3)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4 돌출부(E4)의 상면에는 제4 슬릿(미도시)이 복수개 형성된다. 제4 슬릿은 제4 돌출부(E4)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끼움부재(143c)는 직사각 판형상일 수 있다. 끼움부재(143c)는 제1, 제2, 제3, 제4 슬릿(S1, S2, S3, S4) 각각의 개수에 맞춰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끼움부재(143c)는 제1, 제2, 제3, 제4 슬릿(S1, S2, S3, S4)의 폭과 거의 유사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재(143c)는 제1, 제2, 제3, 제4 슬릿(S1, S2, S3, S4)에 끼워짐으로써, 도9와 같이 제1 단부(143a)와 제2 단부(143b)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단부(143a)와 제2 단부(143b)의 결합 구조는 막대부(143)의 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도8 및 도9에서, 제1 단부(143a)와 제2 단부(143b)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표현하였으나, 제1, 제2 돌출부(E1, E2)가 형성되지 않은 제1 단부(143a)의 타측에는 제2 단부(143b)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3, 제4 돌출부(E3, E4)가 형성되지 않은 제2 단부(143b)의 타측에는 제1 단부(143a)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단부(143a)와 제3 단부(143b)를 가지는 여러 개의 막대 구성요소가 모여서 하나의 막대부(143)를 구성하는 것이 자명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가변식 건축 구조물
110: 바닥부
120: 벽부
130: 지붕부
140: 지붕지지부
141: 판부
143: 막대부
145: 고정부
150: 출입 구조물
151: 메인캡슐
153: 허브
155: 기둥부
160: 토양저장튜브
110: 바닥부
120: 벽부
130: 지붕부
140: 지붕지지부
141: 판부
143: 막대부
145: 고정부
150: 출입 구조물
151: 메인캡슐
153: 허브
155: 기둥부
160: 토양저장튜브
Claims (5)
- 판 형상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서로 적층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벽부; 및
상기 복수의 벽부 중에서 최상단의 벽부에 결합되는 지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부 각각은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기 또는 유체의 저장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저장 공간에 공기 또는 유체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바닥부 둘레로부터 상 방향으로 팽창하여 건축 구조물의 벽을 형성하는 것인 가변식 건축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는, 반 구형상으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건축 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의 형상 변형을 한정하고, 상기 바닥부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붕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건축 구조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지지부는,
상기 지붕부 상부에 위치하는 원형의 판부; 및
상기 판부로부터 방사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지면에 고정 설치 가능한 복수의 막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막대부 각각은, 소정 간격마다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건축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벽부 내외부를 연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출입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건축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6031A KR101964416B1 (ko) | 2017-08-22 | 2017-08-22 | 가변식 건축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6031A KR101964416B1 (ko) | 2017-08-22 | 2017-08-22 | 가변식 건축 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0995A true KR20190020995A (ko) | 2019-03-05 |
KR101964416B1 KR101964416B1 (ko) | 2019-04-01 |
Family
ID=6576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6031A KR101964416B1 (ko) | 2017-08-22 | 2017-08-22 | 가변식 건축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441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6667A (ja) * | 1997-07-16 | 1999-02-09 | Toyo Tire & Rubber Co Ltd | 二重空気膜構造エアテント |
JP3173983U (ja) * | 2011-12-19 | 2012-03-01 | 株式会社エコ計画 | ドーム状施設 |
JP2012246740A (ja) * | 2011-05-26 | 2012-12-13 | Toshio Hagiwara | プラネタリウム用エアド−ム |
KR101634557B1 (ko) | 2015-06-11 | 2016-06-29 | 김용빈 | 조립식 돔 하우스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3983B2 (ja) * | 1995-12-28 | 2001-06-0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経路選出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2017
- 2017-08-22 KR KR1020170106031A patent/KR1019644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6667A (ja) * | 1997-07-16 | 1999-02-09 | Toyo Tire & Rubber Co Ltd | 二重空気膜構造エアテント |
JP2012246740A (ja) * | 2011-05-26 | 2012-12-13 | Toshio Hagiwara | プラネタリウム用エアド−ム |
JP3173983U (ja) * | 2011-12-19 | 2012-03-01 | 株式会社エコ計画 | ドーム状施設 |
KR101634557B1 (ko) | 2015-06-11 | 2016-06-29 | 김용빈 | 조립식 돔 하우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4416B1 (ko) | 2019-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54546B2 (en) | Floating community | |
KR101948670B1 (ko) | 중앙 스파 피쉬 펜 | |
US20160156304A1 (en) | Floating solar panel systems | |
NO20172017A1 (en) | A floating fish farming plant and assembly of plants | |
JPH027B2 (ko) | ||
JP2008518604A (ja) | 魚の養殖漁業のための生け簀 | |
CN107072180B (zh) | 用于网笼的模块化浮力系统和漂浮元件 | |
CN109068616B (zh) | 鲍鱼养殖设备和方法 | |
NO344269B1 (no) | Tak til fiskeoppdrettsanlegg | |
KR20210061723A (ko) | 해상 양식 가두리 설비 및 그 설비의 설치 방법 | |
KR101964416B1 (ko) | 가변식 건축 구조물 | |
GB2184631A (en) | Fish breeding apparatus | |
US3706206A (en) | Lightweight readily portable underwater habitation and method of assembly and emplacement | |
CN106998671A (zh) | 泻湖 | |
EP0695387B1 (en) | Emergency shelter | |
CN107090911B (zh) | 环境通用住房、住所和商用的水上和陆基模块化系统 | |
CN113086111B (zh) | 一种水上组合平台 | |
KR101208116B1 (ko) | 복합형 해상풍력발전시설물 | |
CA2832802C (en) | Floating cover | |
EP3571762B1 (en) | Mooring system for a photovoltaic floating platform | |
KR102089294B1 (ko) | 지오데식 돔 구조를 이용한 가두리 양식 장치 | |
KR20160136938A (ko) | 가두리 양식장 전력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 |
US9963203B1 (en) | Floating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 cover of a body of water | |
JP2015147573A (ja) | 津波対策浮体建造物 | |
RU42041U1 (ru) | Культурно-развлекательный и/или оздоров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архипелага и платформа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острова комплекс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