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464A - 족압 정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 Google Patents

족압 정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464A
KR20190020464A KR1020170105464A KR20170105464A KR20190020464A KR 20190020464 A KR20190020464 A KR 20190020464A KR 1020170105464 A KR1020170105464 A KR 1020170105464A KR 20170105464 A KR20170105464 A KR 20170105464A KR 20190020464 A KR20190020464 A KR 20190020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exercise
real
foo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084B1 (ko
Inventor
최승병
Original Assignee
최승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병 filed Critical 최승병
Priority to KR1020170105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0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62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posture
    • A63B2230/62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pos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족압 정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정보 확인 단계, 상기 사용자의 족압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로딩하는 운동 프로그램 로딩단계, 및 압력 센서를 구비한 제 1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족압 정보를 포함한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자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자세 정보에 기반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운동 가이드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족압 정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Personal Training Methods Using Foot Pressure Measuremen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족압 정보를 이용한 퍼스널트레이닝(Personal Training)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족압 정보를 이용한 운동 자세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운동 방법, 운동 자세를 제시하여 보다 효율적인 운동을 하도록 도와주는 퍼스널 트레이닝(Personal Training) 방법이다.
자신의 건강 향상을 위해서 운동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으며, 운동 방법으로 걷기, 달리기 및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ining)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하지만, 잘못된 운동 자세로 운동을 할 경우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개인별로 신체 상태가 다를 경우 그에 적합한 운동 자세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쿼트(Squats) 운동을 할 경우, 일반적으로 도 1(a)와 같이 사용자는 앉은 자세에서 무릎이 발끝을 넘지 않아야 하지만, 도 1(b)와 같이 앉은 자세에서 사용자의 무릎이 사용자의 발끝을 넘을 경우 일어나는 자세에서 무릎에 과도한 부하가 걸릴 수 있고 반면에 목적하는 근육에 원하는 자극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1(b)에서 보는 것처럼, 발뒤꿈치가 들릴 경우 대퇴사두근 중 대퇴직근보다 측광근에 운동 부하가 더 가해질 수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의 경우 운동의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 전문 강사의 도움을 받아 개인별로 1:1로 지도를 받으며 운동하는 퍼스널 트레이닝(Personal Training)을 수강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강사의 도움없이 혼자하는 것보다 운동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며 운동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다만, 퍼스널 트레이닝은 상기 장점에 불구하고 특정 장소와 시간의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고, 강사가 수강생에게 1:1로 지도를 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비싼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2460호, 2017.6.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족압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별 맞춤 퍼스널 트레이닝을 사용자가 보유한 전자 장치 등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은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정보 확인 단계, 상기 사용자의 족압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로딩하는 운동 프로그램 로딩단계 및 압력 센서를 구비한 제 1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족압 정보를 포함한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자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자세 정보에 기반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운동 가이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 프로그램 로딩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로그인한 전자 장치에 저장된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로딩하거나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여 로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제 2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일정 걸음에 따른 테스트 족압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신체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신체 정보는 상기 테스트 족압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내반슬 또는 외반슬 판단 정보, 상기 테스트 족압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경직성 근육 또는 이완성 근육의 분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걸음에 따른 양발의 중심 정보, 양발의 테스트 족압 분포 차이 정보를 더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웨어러블 장치 또는 상기 제 2 웨어러블 장치는 압력 센서가 장착된 신발, 압력 센서가 장착된 매트 또는 압력 센서가 장착된 양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웨어러블 장치 또는 상기 제 2 웨어러블 장치는 관성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최소한 어느 하나를 구비한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실시간 자세 정보에 기반하여 서버 또는 사용자 전자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포함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실시간 자세 정보가 전송된 트레이너의 전자 장치로부터 실시간 수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가이드 단계는 상기 실시간 족압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운동 가이드 단계는 상기 실시간 자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더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을 통해서 사용자는 신체 상태 및 자세에 적합한 운동 방법을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이 퍼스널 트레이닝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사용자의 서로 다른 운동 자세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자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5 및 6은 본 발명의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의 운동 가이드 정보의 일 실시예이다.
도 7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운동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8, 9는 본 발명의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은 사용자 정보 확인 단계(S210), 운동 프로그램 정보 로딩 단계(S220) 및 운동 가이드 단계(S2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확인 단계(S210)에서 사용자가 로그인한 ID를 통해서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유료 또는 무료 회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이전 테스트를 이용해 저장한 사용자의 운동 목적, 원하는 목표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테스트 방법은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해 사용자의 운동 프로그램 정보 생성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ID를 생성하고 기본적인 키, 몸무게 및 나이 등의 정보를 입력한 후 사용자는 문진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목적, 주(週)당 운동 회수, 운동 목표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운동 목적은 근육 증가, 체력 향상 또는 다이어트 등의 목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고, 운동 목표는 실존하는 특정 인물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문진 정보가 저장된 후 사용자는 압력 센서가 장착된 신발, 양말 등을 착용하고 테스트 장치의 지시에 따라 일정 걸음을 걸으면 상기 사용자의 해당 걸음에 따른 테스트 족압 정보가 테스트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S320). 또한, 압력 센서가 장착된 매트 위에서의 사용자 걸음에 따른 테스트 족압 정보가 테스트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송 방법은 특정 유/무선 네트워크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테스트는 사용자가 소유한 장치(스마트폰, 태블릿, TV, 스마트 워치 등)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문 센터에 방문해서 강사의 지도하에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테스트의 테스트 족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경직된 근육(810), 이완된 근육(820)이 자동적으로 판단될 수 있고, 사용자의 참고를 위해 사용자의 장치 또는 별도의 테스트 장치 화면에 해당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의 장치 또는 별도의 테스트 장치는 해당 근육에 대한 추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맞는 스트레칭 종류, 운동 종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테스트의 테스트 족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에 따른 양발의 테스트 족압 정보(911, 912, 921, 922)를 사용자의 장치 또는 별도의 테스트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에서 사용자는 걸음시 왼쪽 발의 족압이 다소 높게 측정되어(930) 체중이 왼쪽 발에 조금 더 실리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양발의 무게 중심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오른쪽 발의 경우 족압 분포의 97%가 발 앞꿈치에 분포되어 있고(912) 왼쪽 발의 경우 발 뒤꿈치를 주로 사용하는 것을(911)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한쪽 발에서도 발 위치에 따른 족압의 분포(921, 922)를 파악할 수 있다. 이 정보들을 파악해 사용자가 내반슬 또는 외반슬인지 그 정도를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의 경직된 근육(810), 이완된 근육(820)을 포함하는 신체 정보가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S330).
사용자의 내반슬 또는 외반슬 정도에 대한 판단 및 경직된 근육 또는 이완된 근육 분포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미리 서버에 저장된 내반슬/외반슬에 따른 족압 DB(Database), 내반슬/외반슬에 따른 경직된 근육/이완된 근육 DB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결정되거나,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측정된 테스트 족압 정보 또는 별도의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 강사 또는 의료진이 수동으로 내반슬 또는 외반슬 정도에 대한 판단 및 경직된 근육 또는 이완된 근육 분포 정보를 판단하여 신체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신체 정보가 결정되면, 사용자의 장치 또는 테스트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내반슬/외반슬 정도, 이완성/경직성 근육의 분포 정도, 양발의 무게 중심, 양발의 족압 분포 등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이 DB에서 자동적으로 선택되거나 알고리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 강사가 수동으로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여 운동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정보는 각 운동 별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무게도 함께 생성하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운동 프로그램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같은 운동이라도 사용자에 맞는 운동 자세를 사용자마다 다르게 생성하여 저장될 수 있다.
운동 프로그램 정보는 주당 운동 회수에 맞게 생성될 수 있고, 각 회당 스트레칭을 포함하여 여러 개의 운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의 정보가 확인되고 사용자가 운동 시작을 원하면 운동 프로그램 정보 로딩 단계(S220)에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별 신체 정보에 적합하게 설계된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로딩(Loading)한다. 운동 프로그램 정보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 장치로부터 읽는 방식일 수 있으며 또는 운동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받는 방식일 수 있다.
운동 프로그램 정보가 사용자의 장치에 로딩된 후, 운동 가이드 단계(S230)에서 사용자가 압력 센서가 장착된 신발, 양말 등을 착용하거나 압력 센서가 장착된 매트 위에서 운동을 시작하면, 운동 중 사용자의 실시간 족압 정보가 센싱되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또는 TV 등의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된다.
사용자 전자 장치는 수신된 실시간 족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행 중인 운동이 스쿼트이고 족압 정보가 양발의 앞꿈치 뒤꿈치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가 앞꿈치의 족압이 상승하는 경우 스쿼트의 앉는 자세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운동 서버의 미리 저장된 각 운동에 따른 족압 정보 변화 DB를 이용해서 판단될 수 있으며, 자동 알고리즘을 이용해 판단될 수 있다. 운동 자세 판단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족압 정보를 포함한 자세 정보가 운동 서버에 전송되고 운동 서버에서 사용자의 실시간 운동 자세를 판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압력 센서가 장착된 신발, 양말 뿐만 아니라 관성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된 손목 착용형 밴드, 워치 등을 더 착용한 상태로 운동을 진행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 장치는 족압 정보 뿐만 아니라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센싱된 관성, 가속도 정보 등이 포함된 사용자의 실시간 자세 정보를 사용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 또는 운동 서버는 사용자의 실시간 운동 자세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변경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주 바벨 컬을 50kg의 무게를 이용해 다른 날에 2번 하도록 운동 프로그램이 결정되었는데, 첫 번째 운동시 바벨을 드는 속도보다 두 번째 운동에서 바벨을 드는 속도가 일정 기준 이상 향상된 경우, 자동으로 또는 전문 강사가 수동으로 사용자의 차주 바벨 컬의 운동 무게를 증가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스쿼트를 할 경우 운동 시 사용자의 족압 정보가 정확한 자세가 아닌 상태의 족압 분포를 나타낼 경우,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바르게 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 또는 운동 서버는 자동으로 또는 전문 강사가 수동으로 사용자의 차주 스쿼트 운동 무게를 감소시켜 저장할 수 있다.
운동 가이드 단계에서 사용자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실시간 자세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운동 자세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적합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다른 출력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S230).
도 4를 참고하면, 운동 가이드 단계는 사용자의 실시간 족압 정보(411~413, 421~42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족압 정보는 등고선 형태일 수 있고, 또는 압력 별로 서로 다른 색을 이용할 수도 있다. 등고선 형태일 경우, 지도의 등고선처럼 바깥 등고선(411, 421) 보다 내부의 등고선(413, 423)으로 갈수록 높은 족압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자신의 족압 정보를 통해 자신이 올바른 자세로 운동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 올바르지 않은 자세라면 이에 맞도록 자신의 운동 자세를 변경 등을 통해 운동 능력 및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쿼트, 바벨 컬 등 양쪽이 대칭적인 운동을 할 경우 양발의 족압 분포는 대칭적인 것이 올바른 자세이므로,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보다 족압이 높다면 이를 반영하여 운동 자세를 스스로 교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정보는 음성 형태로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쪽의 족압이 높다면 이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다른 한쪽에 무게를 좀더 실으라는 음성 지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양발의 족압 대칭뿐만 아니라 한쪽 발의 족압 정보를 이용하여 운동 가이드 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운동시 발 앞꿈치와 뒤꿈치의 족압 분포가 비슷해야 하지만 사용자의 자세가 잘못 되어 앞꿈치의 족압이 더 높은 경우(420), 이에 대한 가이드 정보가 화면 또는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다.
가이드 정보는 사용자의 장치에서 알고리즘을 통해서 생성되거나 실시간 자세 정보가 전송된 운동 서버에서 알고리즘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실시간 자세 정보가 트레이너의 장치로 전송될 수 있고,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한 전문 강사가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문 강사가 원격으로 사용자의 실시간 자세 정보를 확인하면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공간적인 퍼스널 트레이닝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기존 퍼스널 트레이닝의 질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운동 가이드 단계에서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실시간 자세 정보에 기반하여 정해진 운동 횟수 대비 수행된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카운트 하여 이를 디스플레이(43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행 중인 운동이 스쿼트이고 족압 정보가 양발의 앞꿈치 뒤꿈치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가 앞꿈치의 족압이 상승하는 경우 스쿼트의 앉는 자세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다시 고르게 분포되는 경우 이를 1회로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자세 정보가 바르지 않은 경우 이를 카운트에서 제외하고 정확한 자세의 경우에만 운동 회수를 카운트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운동 가이드 단계에서 사용자의 실시간 족압 정보(520)와 해당 운동시 올바른 족압 정보(510)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5에서 사용자의 오른발 족압 정보(522)는 올바른 오른발 족압 정보(512)와 달리 앞꿈치에 높은 압력이 센싱되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를 반영하여 운동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왼쪽 발(521)의 경우 올바른 왼쪽 발의 족압 정보(511)보다 높은 압력이 센싱되는 것을 반영하여 오른 발에 무게 부하가 걸리도록 운동 자세를 반영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운동 가이드 단계에서 사용자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실시간 족압 정보(620)와 함께 트레이너 영상(610)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실시간 자세 정보를 반영하여 자세가 정확한 경우 트레이너 영상은 “잘 했어요”, “정확합니다” 등의 음성과 함께 출력할 수 있으며, 자세가 부정확한 경우 “오른쪽 발에 무게를 더 실으세요”, “양쪽 발의 무게를 맞추세요”, “뒤꿈치에 무게 중심을 두세요” 등의 올바른 자세를 지시하는 음성을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경우마다 사용자 전자 장치 또는 운동 서버에 미리 저장된 트레이너 영상이 실시간 자세에 따라 선택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실시간 자세 정보가 전송된 트레이너 장치에서 트레이너가 직접 실시간으로 트레이너의 실시간 영상 및 음성 지시를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 회수(630)에 적합한 트레이너 영상 및 음성 지시를 출력하여 사용자를 격려하는 운동 가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전자 장치 또는 운동 서버는 미리 정해진 회수가 15번이고 사용자의 운동 카운터가 14인 경우, “한번 남았습니다” 라던가 운동 카운터가 15번을 더 채운 경우 “수고했습니다”, “한번 더 할 수 있으면 한번 더!”라는 지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운동 가이드 단계에서 사용자 전자 장치 또는 운동 서버는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장치(711, 712)를 더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판단하거나 사용자의 운동 회수를 카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쿼트의 경우 실시간 족압 정보뿐만 아니라,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장치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앉아 있는 자세(721)에서 스탠딩 자세(722)로의 변경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각 자세에서의 족압 정보를 올바른 족압 분포 정보와 비교하여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 전자 장치에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410~413, 421~423 : 족압 정보
430 : 운동 회수
610: 트레이너 영상
620: 족압 정보
630: 운동 회수
711, 712: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장치
810: 경직된 근육
820: 이완된 근육
911, 912: 족압 앞/뒤 분포 정보
930: 족압 좌우 분포 정보

Claims (10)

  1.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정보 확인 단계;
    상기 사용자의 족압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로딩하는 운동 프로그램 로딩단계; 및
    압력 센서를 구비한 제 1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족압 정보를 포함한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자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자세 정보에 기반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운동 가이드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로그램 로딩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로그인한 전자 장치에 저장된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로딩하거나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여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제 2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일정 걸음에 따른 테스트 족압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신체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정보는 상기 테스트 족압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내반슬 또는 외반슬 판단 정보, 상기 테스트 족압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경직성 근육 또는 이완성 근육의 분포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걸음에 따른 양발의 중심 정보, 양발의 테스트 족압 분포 차이 정보를 더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어러블 장치 또는 상기 제 2 웨어러블 장치는 압력 센서가 장착된 신발, 압력 센서가 장착된 매트 또는 압력 센서가 장착된 양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어러블 장치 또는 상기 제 2 웨어러블 장치는 관성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최소한 어느 하나를 구비한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실시간 자세 정보에 기반하여 서버 또는 사용자 전자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포함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실시간 자세 정보가 전송된 트레이너의 전자 장치로부터 실시간 수신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가이드 단계는 상기 실시간 족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가이드 단계는 상기 실시간 자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KR1020170105464A 2017-08-21 2017-08-21 족압 정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KR102022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464A KR102022084B1 (ko) 2017-08-21 2017-08-21 족압 정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464A KR102022084B1 (ko) 2017-08-21 2017-08-21 족압 정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64A true KR20190020464A (ko) 2019-03-04
KR102022084B1 KR102022084B1 (ko) 2019-09-17

Family

ID=6576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464A KR102022084B1 (ko) 2017-08-21 2017-08-21 족압 정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0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127A1 (ko) * 2019-10-22 2021-04-29 솔티드 주식회사 운동 피드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2163954A1 (ko) * 2021-02-01 2022-08-04 주식회사 오몰래 인터렉티브 피트니스를 위한 스마트 매트, 단말,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23219309A1 (ko) * 2022-05-09 2023-11-16 솔티드 주식회사 스마트 인솔을 이용한 운동 처방 시스템 및 방법
KR102619064B1 (ko) * 2022-12-30 2023-12-28 박상훈 운동 재학습을 위한 컨디셔닝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및 운동 재학습을 위한 컨디셔닝 프로그램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466A (ko) * 2007-05-21 2008-11-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균형 및 보행측정방법 및 치료시스템
KR20120085064A (ko) *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착용형 보행분석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보행분석시스템
KR20150111433A (ko) * 2014-03-24 2015-10-06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신발을 이용한 피검자의 운동장애 진단을 위한 생체역학적 파라미터 추출장치
KR20170019126A (ko) * 2015-08-11 2017-02-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솔을 이용한 운동 자세 교정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72460A (ko) 2015-12-17 2017-06-27 솔티드벤처 주식회사 신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466A (ko) * 2007-05-21 2008-11-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균형 및 보행측정방법 및 치료시스템
KR20120085064A (ko) *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착용형 보행분석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보행분석시스템
KR20150111433A (ko) * 2014-03-24 2015-10-06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신발을 이용한 피검자의 운동장애 진단을 위한 생체역학적 파라미터 추출장치
KR20170019126A (ko) * 2015-08-11 2017-02-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솔을 이용한 운동 자세 교정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72460A (ko) 2015-12-17 2017-06-27 솔티드벤처 주식회사 신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127A1 (ko) * 2019-10-22 2021-04-29 솔티드 주식회사 운동 피드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2163954A1 (ko) * 2021-02-01 2022-08-04 주식회사 오몰래 인터렉티브 피트니스를 위한 스마트 매트, 단말,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23219309A1 (ko) * 2022-05-09 2023-11-16 솔티드 주식회사 스마트 인솔을 이용한 운동 처방 시스템 및 방법
KR102619064B1 (ko) * 2022-12-30 2023-12-28 박상훈 운동 재학습을 위한 컨디셔닝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및 운동 재학습을 위한 컨디셔닝 프로그램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084B1 (ko)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7932B2 (en) Biometric data gathering
JP6454304B2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製品及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US103913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the training of athletes
US8348809B2 (en) System for training optimisation
KR20190020464A (ko) 족압 정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닝 방법
US11351419B2 (en) Smart gym
US20110165998A1 (en) Method For Monitoring Exercis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US20140142439A1 (en)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method and system
US20190143174A1 (en) Motion training guide system based on wearable sensor and method thereof
KR101999748B1 (ko) IoT 운동기구, 운동지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동지도방법
US11413501B2 (en) Method and system of planning fitness courses
US201903146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physical exercises
Tahmosybayat et al.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utcome measures to assess postural control in older adults who undertake exergaming
KR20200026420A (ko) 재활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훈련 방법
TWI679557B (zh) 適應性運動姿態感測系統與方法
US20200215390A1 (en) Fitness monitoring system
US20170278420A1 (en) Method to monitor impacts on the human body while practicing running or sports
KR101940032B1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10085253A (ko) 스마트 개인훈련 운동시스템 및 개인훈련 운동방법
US201901929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fitness
KR20190102473A (ko) 센서를 이용한 운동자의 움직임 가이드 및 피드백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74769B1 (ko) 무게 중심 운동 개선 장치
KR102457614B1 (ko) 체력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체력관리방법
CN116416096B (zh) 一种运动协同管理方法、系统、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08597575A (zh) 瑜伽运动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