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433A -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 Google Patents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433A
KR20190020433A KR1020170105395A KR20170105395A KR20190020433A KR 20190020433 A KR20190020433 A KR 20190020433A KR 1020170105395 A KR1020170105395 A KR 1020170105395A KR 20170105395 A KR20170105395 A KR 20170105395A KR 20190020433 A KR20190020433 A KR 20190020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door
main body
uni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323B1 (ko
Inventor
박기주
김광순
김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7010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3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6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arc or othe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0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arc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1M2/1247
    • H01M2/128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75Vent means sensitive to or responsiv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복수의 배터리가 탑재되는 ESS용 외함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를 적어도 둘 이상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판;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상기 분리판을 중심으로 분리되고, 각각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아크 플래시 발생 시 압력의 이동경로가 되는 제1챔버와 재2챔버;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서 각각 상기 제1챔버 또는 제2챔버와 연통하는 아크 방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아크 방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Enclosure for ESS having Arc Outfall}
본 발명은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패키지가 복수개 구비되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시스템)이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여 필요할 때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력 공급 시스템의 안정화를 유도하기 위한 장치이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화석 연료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규제 및 일본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한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인해 화력 에너지 및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하절기나 동절기에 전력 소모가 집중되는 기간 동안에는 대규모 정전 사태, 소위 블랙 아웃(black out)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력 당국, 전력 공급 회사 및 전 국민이 전기 사용을 절약하기 위한 국민적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력 수급 불안의 문제는 기업이나 국민의 절전 노력에만 의존할 수는 없는 상황이고, 전기 절약으로 인해 기업 활동이나 국민의 생활에 막대한 지장을 주고 있는 만큼 국가 시스템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ESS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국가에서도 입법을 통해 ESS 시스템을 독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즉,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3-71호에서는 공공기관 에너지 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을 고시하여 공공기관은 전력 피크 저감을 위해 계약 전력 1,000kW 이상의 건축물에 수전설비용량의 5%에 해당하는 에너지 저장장치(ESS)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그 범위와 대상을 넓혀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이러한 정부의 요구에 따라 관공서 및 공공기관에서는 종래에 사용되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를 철거한 후, ESS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지만, ESS의 안전에 대한 대비는 미비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아크 플래시 발생 시 주변 작업자의 안전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 상부에 아크 방출구를 구비하여 본체부 내부에서 아크 플래시 발생 시 압력을 상부로 배출할 수 있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복수의 배터리가 탑재되는 ESS용 외함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를 적어도 둘 이상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판;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상기 분리판을 중심으로 분리되고, 각각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아크 플래시 발생 시 압력의 이동경로가 되는 제1챔버와 재2챔버;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서 각각 상기 제1챔버 또는 제2챔버와 연통하는 아크 방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아크 방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을 제공한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고, 아크 플래시의 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은 각각의 상기 챔버 상에 구비되어 전기 선로 또는 배터리 상에서 발생된 아크를 검출하는 아크 검출부와, 상기 도어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도어 개방유닛과, 상기 아크 검출부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통해 아크 플래시가 발생될 경우 상기 도어부를 강제로 개방시키도록 상기 도어 개방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아크 플래시가 검출된 상태를 상기 본체부의 주변으로 알려주는 부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저의 전원을 강제로 해제시키는 부저 스톱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아크 플래시 검출 시, 이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알려주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아크 플래시 검출과 동시에 상기 도어 개방유닛을 제어하여 폭발 전에 상기 도어부를 미리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유닛은 상기 아크 방출구가 일부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부를 순간적으로 가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아크 검출부는 광전관, 광전자 증배관, ZnS, CdZnS, CdS, CdSe, PbS, PbSe 광도전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판은 아크 플래시의 압력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정된 주름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에 따르면,
첫째, 본체부 내부에서 복수의 챔버들을 통해 아크 플래시의 이동 경로를 상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주변 사용자로 하여금 안전사고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둘째, 아크 플래시 발생 시 도어부를 먼저 일부 개방하여 아크 플래시의 압력을 용이하게 배출 및 유도할 수 있으며,
셋째, 제1챔버와 제2챔버 사이의 분리판에 구비된 주름 패턴을 통하여 각 챔버에서 아크 플래시 발생 시 압력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의 상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의 상부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의 상부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의 도어부 작동에 따른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의 상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의 상부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은 본체부(110)와, 분체부 내부를 분리하는 분리판(120)과, 본체부(110) 내부에서 분리판(120)에 의해 구획된 제1챔버(130) 및 제2챔버(140)와, 본체부(110) 상부에 형성된 아크 방출구(111)를 개폐하는 도어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부(110)는 ESS(Energy Storage System) 즉, 에너지 저장장치의 외관 하우징에 해당하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이 장착될 배터리 랙이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부(110) 내부에는 배터리에서 발생된 열을 낮추는 방열 또는 냉각 유닛(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ESS뿐만 아니라, 내부에 전기 선로나 스위치(미도시), 차단기(미도시) 등이 설치되는 일반 분전반이나 수배전반, 모터 제어반의 외함으로도 물론 사용이 가능하다.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내벽을 서로 복수개로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판(120)이 구비된다. 따라서 본체부(110)는 분리판(120)을 통해서 복수개의 챔버로 구획된다. 이렇게 분리된 제1챔버(130)와 제2챔버(140)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각 챔버들은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의 배치구조에 따라서 더 여러 개로 나뉠 수 있다.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아크 방출구(111)가 형성된다. 이때 아크 방출구(111)는 각 챔버에 대응하는 본체부(110) 상부에 배치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아크 방출구(111)를 복수의 챔버들이 공유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동일한 아크 방출구(111)를 공유하지만 하나의 챔버에서 다른 챔버로 아크 플래시의 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각 챔버간에 분리판(120)은 최대한 독립적인 공간을 확보하도록 아크 방출구(111)에 인접한 부분까지 배치된다.
또한 분리판(120)은 제1챔버(130)와 제2챔버(140) 사이에서 아크 플래시의 압력이 서로 다른 챔버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챔버 내부에서 아크 플래시가 발생하면 그 챔버를 통하여 아크 플래시가 이동하는 경로가 된다. 그러면 아크 플래시가 본체부(110)의 상부를 통해 아크 방출구(111)로 배출되기 때문에 본체부(110) 측방향으로 아크 플래시가 방출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판(120)은 아크 플래시의 압력에 대응해서 탄력적으로 그 외형이 변형되도록 주름 패턴(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주름 패턴은 분리판(120)이 설정 범위 내에서 휘어지거나 늘어나게 되어 챔버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 플래시 압력을 일부 흡수할 수 있다. 물론 분리판(120)은 아크 플래시 압력이 모두 배출된 후에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도어부(150)는 본체부(110)의 상면 일부가 개구된 아크 방출구(111)를 커버하도록 복수개 배치된다. 이때 도어부(150)는 서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아크 플래시 압력이 마주하지 않도록 본체부(110)의 외측 바깥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부(110)의 안쪽 방향으로 도어부(150)가 개방되는 경우 복수의 도어부(150)가 열리면서 서로의 도어부(150)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어부(150)와 아크 방출구(111) 사이에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스토퍼는 아크 플래시의 압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 경우, 또는 도어를 미리 개방한 경우에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토퍼의 유무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도어부(150)의 결합상태는 본체부(110) 상부에서 억지끼움 방식으로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 자연스럽게 개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도어부(150)는 개방된 상태에서도 내부 압력이 없거나 약해지면 다시 폐쇄될 수 있도록 완전히 개방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서 도어부(150)의 힌지와 인접한 부분에는 간섭부재(151)가 구비된다. 간섭부재(151)는 도어부(150)의 개방 정도를 제한하여 아크 플래시 배출 후 다시 도어가 폐쇄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물론 간섭부재(151)는 도어부(150)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다. 도어부(150)를 완전히 개방하지 않는 것은 내부에 이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크 방출구(111)를 구비한 ESS용 외함의 상부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의 도어부(150) 작동에 따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은 본체부(110)와, 분리판(120)과, 제1챔버(130)와, 제2챔버(140)와, 도어부(150)와, 아크 검출부(160)와, 도어부(15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개방유닛(170)과, 아크 검출부(160)와 도어 개방유닛(170)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의 특징은 아크 플래시의 발생을 감지하여 도어부(150)를 먼저 개방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아크 검출부(160)는 아크 플래시의 발생을 감지한다. 아크 검출부(160)는 광전관, 광전자 증배관, ZnS, CdZnS, CdS, CdSe, PbS, PbSe 광도전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센서로 이루어진다. 광센서는 전도체 및 전력소자를 감시하여, 전기 선로 또는 배터리와 연결된 전도체 및 전력소자에서 발생하는 아크 플래시를 검출하여 검출결과를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광센서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호 간에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또한 포인터 센서와 루프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포인터 센서는 아크를 감지하면,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된 아크의 크기에 비례하는 전류를 출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광센서에 광자가 입사되면, 전류가 흐르고 통전전류는 OP-AMP의 입력단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며, 전위차의 크기가 일정 값 이상 커지면, 출력 트랜지스터가 온(on)되어 전류가 증폭회로로 흐르게 된다.
또한, 포인터 센서의 회로에는 출력부의 LED 중 하나가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에서 다이오드는 LED 중 하나이다. 이 다이오드는 아크가 감지되면 느린 속도로 점등되어 아크가 발생된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루프센서는 아크 발생을 360°로 감지할 수 있어 본체부(110) 전체의 아크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루프센서는 광출력(또는 송신)과 광입력(또는 수신)을 포함하여 구성되나. 광출력과 입력을 하나의 회로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출력과 광수신은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광세기를 검출하여 아크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광출력은 일정 간격으로 광출력 다이오드를 구동시키고, 수신단에서 광수신 다이오드를 통하여 광을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광자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게 되고 OP-AMP에서 전위차를 발생시켜 트랜지스터를 구동함으로써 아크 플래시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개방유닛(170)은 도어부(150) 또는 본체부(110) 중 일 측에 마련되어 도어부(15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다. 예를 들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폐쇄된 도어부(150)를 가압하여 아크 플래시 압력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도어 개방유닛(170)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도어부(150)를 개방할 수 있다. 앞서 아크 검출부(160)를 통해서 아크가 검출되면 아크 플래시가 발생하기 전에 도어부(150)를 먼저 강제 개방하여 아크 플래시의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부저(181)와, 부저 스톱 스위치(182)와 알람부(183)를 포함한다.
아크 검출부(16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근거로 아크 플래시 검출 시, 부저(181)가 울리게 되고, 아크 플래시의 검출이 확정되면 알람부(183)를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통신채널을 통해 상위 시스템과 원격 제어명령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아크 플래시의 검출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부저 스톱 스위치(182)를 눌러 부저(181)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알람부(183)는 아크 검출부(160)를 통해 아크가 검출된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110 : 본체부
120 : 분리판
130 : 제1챔버
140 : 제2챔버
150 : 도어부
160 : 아크 검출부
170 : 도어 개방유닛
180 : 제어부

Claims (10)

  1. 내부에 복수의 배터리가 탑재되는 ESS용 외함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를 적어도 둘 이상의 구획된 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판;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상기 분리판을 중심으로 분리되고, 각각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아크 플래시 발생 시 압력의 이동경로가 되는 제1챔버와 재2챔버;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서 각각 상기 제1챔버 또는 제2챔버와 연통하는 아크 방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아크 방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고, 아크 플래시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챔버 상에 구비되어 전기 선로 또는 배터리 상에서 발생된 아크를 검출하는 아크 검출부와,
    상기 도어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도어 개방유닛과,
    상기 아크 검출부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통해 아크 플래시가 발생될 경우 상기 도어부를 강제로 개방시키도록 상기 도어 개방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크 플래시가 검출된 상태를 상기 본체부의 주변으로 알려주는 부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저의 전원을 강제로 해제시키는 부저 스톱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크 플래시 검출 시, 이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알려주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크 플래시 검출과 동시에 상기 도어 개방유닛을 제어하여 폭발 전에 상기 도어부를 미리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유닛은,
    상기 아크 방출구가 일부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부를 순간적으로 가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크 검출부는,
    광전관, 광전자 증배관, ZnS, CdZnS, CdS, CdSe, PbS, PbSe 광도전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아크 플래시의 압력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정된 주름 패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KR1020170105395A 2017-08-21 2017-08-21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KR10198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95A KR101987323B1 (ko) 2017-08-21 2017-08-21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95A KR101987323B1 (ko) 2017-08-21 2017-08-21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33A true KR20190020433A (ko) 2019-03-04
KR101987323B1 KR101987323B1 (ko) 2019-06-11

Family

ID=6576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395A KR101987323B1 (ko) 2017-08-21 2017-08-21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3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7029A1 (en) * 2020-09-24 2022-03-31 Battelle Memorial Institute Automatic venting safety enclosure for grid-storage batteries
KR20230088012A (ko) * 2021-12-10 2023-06-19 바이오코엔 주식회사 재사용 배터리를 위한 운반시스템
WO2023214862A1 (ko) * 2022-05-06 2023-11-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에너지 저장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392A (ko) * 2013-12-26 2015-07-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방압 통로 구조물이 구비된 배전반
KR101584980B1 (ko) * 2015-07-17 2016-01-14 (주)서전기전 자체 발전과 상태 조절 기능을 갖춘 하우스형 배전반
KR101588255B1 (ko) * 2015-12-04 2016-02-15 (주)서전기전 아크 방출 시스템과 센서를 이용한 자동 도어 적용 하우스형 배전반
KR101636343B1 (ko) * 2015-12-07 2016-07-05 주식회사 광명전기 금속폐쇄형 스위치기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392A (ko) * 2013-12-26 2015-07-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방압 통로 구조물이 구비된 배전반
KR101584980B1 (ko) * 2015-07-17 2016-01-14 (주)서전기전 자체 발전과 상태 조절 기능을 갖춘 하우스형 배전반
KR101588255B1 (ko) * 2015-12-04 2016-02-15 (주)서전기전 아크 방출 시스템과 센서를 이용한 자동 도어 적용 하우스형 배전반
KR101636343B1 (ko) * 2015-12-07 2016-07-05 주식회사 광명전기 금속폐쇄형 스위치기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7029A1 (en) * 2020-09-24 2022-03-31 Battelle Memorial Institute Automatic venting safety enclosure for grid-storage batteries
KR20230088012A (ko) * 2021-12-10 2023-06-19 바이오코엔 주식회사 재사용 배터리를 위한 운반시스템
WO2023214862A1 (ko) * 2022-05-06 2023-11-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에너지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323B1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323B1 (ko) 아크 방출구를 구비한 ess용 외함
KR102358433B1 (ko) 배터리 팩
KR102257375B1 (ko) 지능형 안전관리가 가능한 태양광 접속반
JP5599066B2 (ja) 電流管理機能付分電盤
WO2021077687A1 (zh) 模块化标准电池箱
JP6198778B2 (ja) バッテリーシステムの可変的断線装置及び可変的断線制御方法
KR102077736B1 (ko) 화재 분석이 가능한 블랙박스를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20160111915A1 (en) Installation for restoring power to equipment to be supplied with power, particularly an electric vehicle
CN205538114U (zh) 一次锂电池组漏液报警装置
KR20210042789A (ko) 화재감지로 전원자동차단기능을 갖는 신재생 전기설비 시스템
JP2007043802A (ja) 無停電電源装置及び分電盤
CN103807720B (zh) 具有摄像头的消防应急灯
KR20220131082A (ko) 태양광 발전의 분산형 에너지 저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CN218482338U (zh) 一种光储充系统的分舱储能设备
US20120126629A1 (en) Controller, power inverter, photovoltaic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activation of at least one photovoltaic module
KR101452448B1 (ko) 임의 개조 방지구조를 갖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용 정션박스
CN106207899A (zh) 高压配电盒
CN204190466U (zh) 一种紧急避险设施备用锂二次电源防爆箱
CN205680953U (zh) 一种防爆节能配电箱
CN209086866U (zh) 一种计算机防断电装置
JP2021132006A (ja) 蓄電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2013230002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CN221263451U (zh) 一种集成式小型分布式光伏并网接入信息采集装置
KR20140143995A (ko) 배터리전환이 가능한 전원 일체형 카메라
CN204168291U (zh) Gprs信号的增强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